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육 현장을 위한 한국적 실행연구 모델 개발

        조재성(Jae-seong Jo) 한국실행연구학회 2023 교육실행연구 Vol.1 No.2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개발된 여러 실행연구의 내용을 종합·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 현장의 맥락과 상황에 알맞은 한국적 실행연구 모델에 관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서구를 중심으로 한 기존 실행연구 모델의 단계와 구체적인 내용들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실행연구에서 공유되는 핵심적인 절차와 내용을 규명하고, 한국적 실행연구 모델에 포함되어야 하는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실제 수행된 실행연구 사례들을 토대로 핵심적인 4가지 요소에 따라 진행되는 실행연구의 절차를 제안하였다.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 적합한 실행연구 모델을 개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 확인과 구체화 단계에서는 실행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초기 문제를 확인하고 연구의 방향을 설정한다. 둘째, 실행 계획 단계에서는 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잠정적인 방안을 구상하고 준비한다. 셋째, 실행 단계에서는 준비한 해결 방안을 직접 실천하고 그 결과에 관한 증거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수집한다. 넷째, 성찰 단계에서는 지금까지 이루어졌던 실행 과정과 결과를 심층적으로 검토하여 연구의 의미와 가치를 규명하고, 연구를 종결할지, 재실행할지를 결정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모델을 토대로 연구자의 역량과 현장의 맥락에 적합한 다채롭고 심도 있는 실행연구 사례들이 축적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put together and analyze the content of many action researches developed so far and propose a Korean-style action research model proper for the context and situation of the education field. The study analyzed the stages and specific content of the old action research models mainly from the West to generate findings before identifying the core procedure and content shared among action researches and extracting the elements that should be included in a Korean-style action research model. Finally, the study proposed an action research procedure according to four core elements based on real action research cases. The study developed an action research model fit for the education field of South Korea,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age of checking and specifying a problem checks out the most important initial problem in action research and sets the research direction; second, the stage of planning an implementation designs and prepares a tentative plan to solve the initial problem; third, the stage of implementation practices the prepared solution firsthand and collects evidence about its outcomes in various ways; and finally, the stage of reflection investigates the research significance and value by review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es and outcomes in-depth and determines whether to end or rerun the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colorful and profound action research cases will be accumulated fit for the competence of a researcher and the context of the field based on the model proposed in the study.

      • 초등학교에서의 전자 포트폴리오 평가에 관한 협력적 실행연구

        조재성(Jae-seong Jo) 한국실행연구학회 2023 교육실행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실천가인 교사가 직접 연구를 설계하고 실행한 협력적 실행연구로서 그 목적은 전자 포트폴리오 평가 모델을 교실 현장에 적용하여 수업과 평가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전자 포트폴리오 평가 모델을 설계하기 위해 과학 교과를 선택하였고, 교육과정 내용을 재구성하여 A 초등학교의 상황에 적합한 전자 포트폴리오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후 전자 포트폴리오 평가를 협력적 실행연구 절차에 의하여 직접 실행하고 교육적 시사점과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A 초등학교의 맥락과 학습 상황에 적절한 전자 포트폴리오 평가 모델 및 3단원 36차시에 이르는 수업과 개별적인 루브릭을 제작하였다. 둘째, 전자 포트폴리오 평가를 실행한 결과 교사들은 수업 과정을 탐색하고 이를 다음 수업 시간에 다시 반영하는 순환적 교수·학습 과정을 통해 전자 포트폴리오 평가를 구현했다. 셋째, 연구자로서 교사의 경험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처음에는 실행연구에 대하여 상당한 불안감을 보였으나 실행연구의 여러 연구 과정에 몰입하게 되면서 보람과 희열을 느끼게 되었다. 본 연구가 앞으로 더욱 가속화될 평가의 맥락화, 탈중심화에 이바지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designed and conducted directly by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is to deduce implications for class and assessment aspects by applying an electronic portfolio assessment model in the classroom. Also, this study intends to research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on improving of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consciousness by analyzing participating teachers’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designed an appropriate electronic portfolio assessment model for an elementary school’s context and learning environment. Second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ecuting an electronic portfolio assessment model, the teachers implemented electronic portfolio evaluation through a cyclical teaching·learning process of re-searching the instruction process and reflecting on the next class. Third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eachers’ experiences as a researcher, teachers initially had considerable anxieties and doubts about the action research. However, they became immersed in various research processes of action research. As a result, they could solve real problems around them and develop their ability and feel worthwhile and great joy. This change worked as the power that helped to search for another action research topic. The researcher intends to contribute to contextualizing and de-centering educational assessment that will be more accelerated in the future. Various assessment models that applied action research are expected to be discussed.

      • 뇌교육 실행연구의 가능성 탐색

        김명섭 ( Moung Seob Kim ),신혜숙 ( Hye Sook Shi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09 뇌교육연구 Vol.3 No.-

        실행연구는 이론과 실천을 통합함으로써 현실을 개선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실행연구는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해 양적 접근 방식과 질적 접근 방식을 모두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중, 질적 접근을 통한 실행연구에 관심을 두어 논의를 전개하고 있으며, 여기서 다루는 실행연구는 질적 접근을 통한 실행연구에 한정되어 있음을 밝혀둔다. 실행연구는 연구자가 참여자의 일상에 함께 존재함으로써 참여자의 역할과 연구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방식을 취한다. 연구자가 곧 참여자가 되는 실행연구의 방식은 참여자와의 거리를 밀착시킴으로써 참여자에 대한 해석과 이해를 충분히 이끌어낼 수 있고, 또한 참여자와 문제인식을 공유함으로써 현실 개선을 위한 방법을 함께 모색해나갈 수 있다. 뇌교육은 내향적 체험 활동을 통한 과정적 맥락을 중요시하고 있는데, 이 같은 뇌교육의 과정적 맥락을 연구에 충분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실행연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행연구를 뇌교육에 적용하여 보았을 때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세 가지로 논의될 수 있다. 첫째, 실행연구는 반성적 사고 과정을 통해 뇌교육 실천지를 개발할 수 있다. 둘째, 실행연구는 교육의 맥락에 맞는 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셋째, 실행연구는 뇌교육의 내재적 의미를 탐구할 수 있다. Action research aims at the actual improvement by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It use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is discussed with focusing on action research through qualitative approach. Here, we make it clear to confine to action research through qualitative approach. Action research holds the way that the researcher play roles of both participant and researcher, sharing with a participant`s daily life. This method of action research can draw enough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participant because researcher and participant become close together during the practice. Also, it is possible to find the solution for actual improvement together by sharing the recognition of problem with a participant. Brain education values procedural connection through inward experience, and it is desirable to apply action research so that this procedural connection can be reflected in study sufficiently. Applying this action research to brain education, we can get three effects to discuss. First, action research can develop the practical knowledge of brain education through a reflective thought process. Second, action research can develop the brain education program suitable for the connection with education. Third, action research can find the internal significance of brain education.

      • KCI등재

        국내 역사교육 실행연구에 대한 방법적 탐구

        지연정(Yeonjung Ji) 한국역사교육학회 2023 역사교육연구 Vol.- No.46

        본 연구의 목적은 역사교육에서 실행연구가 보다 더욱 방법적으로 그리고 이론적으로 발전하기 위해 그동안 실행연구 방법을 쓴 논문과 학술 자료들이 어떠한 내용과 특징 그리고 문제점이 있는지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하여 앞으로 역사교육에서 이루어질 실행연구가 연구의 목적에 맞게 그리고 더욱 충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체적인 방향을 탐구하고자 한다. 역사교육에서 1999년 이후부터 2022년까지 축적된 실행연구의 특징과 문제점을 살펴보면, 첫째, 역사 교사들이 연구의 주체가 되어 수업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방법으로 실행연구를 활용하고 있었다. 둘째, 실행연구 과정인 ‘계획-실행-관찰-성찰’ 단계를 1차 적용한 실행연구가 상당수 차지하고 있었다. 1차 적용 후에 재계획한 수업을 다시 실행하고 관찰 및 성찰하는 2차 수행 과정이 생략되어 교수・학습방안이나 프로그램의 완전한 개선과 개발을 알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셋째, 자료 분석 절차나 방법적 측면에서 ‘관찰 기간’, ‘삼각 검증’, ‘동료 검증’ 등 자료의 분석 과정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질적 연구에서 중요한 방법론적 타당성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았다. 넷째, 실행연구 형태로는 공동 연구보다는 개인 연구자 중심의 실행연구가 다수를 이루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역사교육에서 실행연구가 앞으로 더 확산하기 위해서는 첫째, 실행연구의 연구 방법에 대한 깊은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고 연구 절차에 따라 체계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둘째, 질적 연구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자료 분석 타당도 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협력적 실행연구의 확산으로 교사연구 공동체의 전문지식을 발현시키며, 교사연구자들의 노동력을 분담하여 교사연구를 지속시킬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action research in history education through a content analysis of previously published action research.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study analyzes the purpose of action research in history education, the research topics, and the methods employed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action research in history education from 1999 to 2022, Firstly, history teachers were utilizing action research as a means to improve their classes and curriculum. Second, many action studies that applied the first step of ‘planning-action-observing-reflecting’, which is an action research process. After the first application, the second performance process of re-action, observing, and reflecting on the re-planned class was omitted, making it difficult to determine through which process the class was improved and how students' learning effects changed in detail af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hird, the validity process was unclear in terms of data analysis procedures and methods, so it was insufficient to verify to what extent the results of the study had an effect on the educational field. Lastly, in the form of action research, there were many action research centered on individual researchers rather than collaborative research. In order for action research to spread further in history education, first, a deep understanding of the research method of action research must be preceded and systematically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cedure. Secondly, it is necessary to clearly outline the criteria for data analysis validity. Lastly, it is necessary to showcase the expertise of the teacher research community by conducting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and to continue teacher research by sharing the labor of teacher researchers.

      • KCI등재

        현장연구와 실행연구

        조용환 ( Yong Hwan Jo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5 교육인류학연구 Vol.18 No.4

        실행연구는 ‘재현의 위기’를 극복하는 데 강점을 가진 질적 연구방법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질적 실행연구의 원리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그 기법에 대한 비판적인 논의는 충실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한 실정에 대한 상심을 바탕으로 이 논문은 실행연구다운 실행연구가 무엇이며, 어떻게 해야 실행연구를 실행연구답게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탐구를 시도하였다. 그 탐구의 결과를 다음 일곱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동향 진단, 문제 분석, 향후과제 등을 제시하였다. 첫째로, 질적 연구를 소개하는 기존 문헌들에서 실행연구를 현장연구와 동일시하거나 현장연구의 한 가지 접근방법이라고 보는 경향이 있다. 둘째로, 현장연구와 실행연구는 문제의식을 공유하지만 그 문제의식을 어떻게 방법(론)으로 구현해내는가에 따라서 명확히 구분될 수 있고 구분되어야 하는 것이다. 셋째로, 실행연구는 철저한 현장연구, 생활세계의 실질적 개선, 실천적 지식인으로서 주체 형성, 현장이론의 생성이라는 방법(론)적 특징을 가진다. 넷째로, 질적 실행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실천주의 패러다임의 견지, 불확실성의 지혜, 협동의 진화에 최대한 유의해야 한다. 다섯째로, 실행연구는 최근 들어 연구자-참여자 합작 실행연구, 참여자 주도 실행연구, 비판적 실행연구 등으로 진화하고 있다. 여섯째로, 실행연구의 ‘실행’이 행위이론의 ‘행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므로 함께 이해되고 연구될 필요가 있다. 일곱째로, 향후 질적 실행연구에서 사전검사-사후검사 형태 효과 검증에서의 탈피, ‘3E’의 교차적이면서도 통합적인 수행, 다양하고 독창적인 분석 및 해석 틀의 개발과 적용, 이해가 아닌 설명에 치우친 문적인 연구의 지양, 문질빈빈의 존재론적 접근 등의 과제들이 요청된다. Action research is highlighted these days for its strengths in overcoming ‘the crisis of representation.’ Action researchers have tried to minimize the gap or separation between the life world and the academic world, between ordinary people and professional researcher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However, we still have superficial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 of action research as well as insufficient technical know-how about action research. Grieving over such problems, this paper tries to clarify the methodological essence of action research and to examine its relevant research techniques from a critical perspective. The result is reported along with seven items including the diagnosis of ‘state of the art,’ the analysis of problem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First, we easily find papers in which action research is either confused with field research or regarded as a branch of field research. Second, action research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field research for its methodological specialties even though the two shares some of the same problems and orientations. Third, the methodological specialties include: ① research on the practical site ② the actual betterment of the life world ③ the formation of subjectivity and transforma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④ production of grounded theories, among others. Fourth, especially in qualitative action research, we should attend to: ① keep the emancipatory paradigm ② value the wisdom of uncertainty ③ promote the evolution of collaboration. Fifth, we are asked to take note of new-brand action researches including: ①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② practitioner action research ③ critical action research. Sixth, we need to develop the connotation and denotation of action research along with various ‘action theories.’ Seventh, we offer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such as: ① getting out of the old ‘before-after’ effect verification research models ② performing integrative and cross-modal research practices on three ‘Es’ (Experiencing, Enquiring, and Examining) ③ developing diverse analytic tools and creative interpretation frames ④ nourishing descriptive researches based on understanding rather than explanation ⑤ furthering ontological ‘moonzilbinbin (文質彬彬)’ approaches.

      • KCI등재

        협동적 게임을 적용한 체육수업 실행 연구

        박대권(Park, Dae G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5

        본 연구는 실행연구로서, 협동적 게임을 적용한 체육수업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학생들에게 적용될 수 있으며, 적용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변화를 살펴보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B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약 5개월 동안, 매주 1시간씩 협동적 게임을 적용한 체육수업을 실행하였다. 연구과정은 조재식(2002)이 제시한 실행연구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16주 동안 이루어졌으며, 1차 실행연구의 성과를 검토하고 반성하여 2차 실행 연구를 계획하고 재실행하였다. 1차 실행연구 결과 학생들은 신기함과 즐거움 등 긍정적인 경험을 하였으나, 운동기능이 뛰어난 학생들의 경우는 약간의 부정적인 경험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이러한 학생들을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차 실행연구에서는 1차 실행연구의 평가를 토대로 게임 만들기를 도입하여 학생들이 직 접 게임을 수정․보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행의 결과, 협동적 게임의 실행 과정은 학생들이 가지는 협동적 게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제대로 된 수업이 진행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협동적 게임의 실행연구 결과 학생들은 즐거움, 친밀감 그리고 책임감 등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협동적 게임을 적용한 체육수업은 경쟁중심의 체육수업을 개선하기 위한 대안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not only to inspect how the physical education applying cooperative games can be applied on students, but also to examine the various phenomena and students change. To do this, the physical education applying cooperative games was conducted for 6th graders of B elementary school from March to July of 2013(a class per a week). And the research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a teacher. As this study was an action research, so the process introduced by Cho(2002) was adapted to this study; understanding the problem and making the lesson plan, carrying out the plan and observing the process and result, reflecting the process and result, modification the plan․plactice and observation․repetition of refle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during 16 weeks and the second action research was planed and carried into practice after evaluating and reflecting the first action research. The result of the first research showed that students had positive experiences like curiosity and enjoyment but some high-skilled students had some negative experiences. So, it was necessary to prepare a measure for high-skilled students.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first research, the game making method was introduced to make students modify and supplement the games themselves. The result of the second research showed that students experienced pleasure, affinity and responsibility. So, it seems that the physical education applying cooperative games showed the possibility to be an alternative for improving competition-oriented physic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력 향상을 위한 긍정적 타임아웃 실행연구

        기윤옥,오익수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7 초등상담연구 Vol.16 No.4

        이 연구는 학급긍정훈육법(Positive discipline in the classroom; PDC)에서 제안하는 문제해결기술인 긍정적 타임아웃의 실행연구이다. 이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자기조절력 향상을 위한 긍정적 타임아웃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가? 둘째, 긍정적 타임아웃은 초등학생의 자기조절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H초등학교 3학년 학생 21명(한 학급)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참여자의 교실에서 Kemmis와 McTaggart의 자기반성적 실행 연구 사이클 모형에 따라 ‘계획-실행-관찰-반성’의 과정을 반복하며 예비, 1차, 2차에 걸쳐 실행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효과적인 긍정적 타임아웃을 구성하려면 활용 전, 중, 후의 단계로 나누어 단계별로 실행계획을 짠다. 긍정적 타임아웃 활용 전 단계에는 학급을 대상으로 감정 수업이 필요하며, 긍정적 타임아웃 공간의 목적이 감정을 조절하기 위한 것임을 안내한다. 활용 중 단계에서는 긍정적 타임아웃 후 학생들의 반응을 살피고, 수업시간에 공간을 남용하는 문제 등이 생기더라도 항상 학급 회의나 개인 면담 등 상황에 맞는 방법을 통해 문제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활용 후 단계에서는 긍정적 타임아웃의 효과를 분석하고 새로운 적용을 계획한다. 이러한 결과는 PDC의 한 방법인 긍정적 타임아웃이 초등학생 스스로 자신의 감정을 파악하여 이를 회복하는데 유익하며, 또한 자기조절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study was an action research of a positive time-out, which was proposed as a problem solving skill among the PDC method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ow can positive time-out be constructed to improve elementary students’ self-regulation? Second, what effects does positive time-out have on elementary students’ self-regulatio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21 students (in one class) who were 3rd graders at H elementary school. To the participants’ class, action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the preliminary, first, and second stages, following Kemmis and McTaggart’s self-reflective action research cycle model, which consisted of the process of planning, acting, observing, and reflect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In order to construct an effective positive time-out, it was recommended that positive time-out is implemented through three stages: before, during, and after the use of the positive time-out. Before the positive time-out is executed to the class, it is needed that an emotion education is provided to the students and the purpose of the time-out is introduced in relation to the regulation of emotions.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ositive time-out, students’ reactions should be observed. Even if there are problems involving the abuse of positive time-out during the lesson, class meetings, individual interviews, or other proper methods are effective to seek solutions to such problems. After the execution of the positive time-out, its effects should be analyzed and discussed for applying the positive time-out newly.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positive time-out as a PDC method is helpful for elementary students to understand and restore their emotions on their own, and that it can improve elementary students’ self-regulation.

      • KCI등재

        Action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이혁규(Lee, Hyugky)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1

        이 논문은 한국의 유아 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진 실행 연구의 특징과 경향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한국에서 실행 연구가 어떻게 시작되어 발전하여 왔는지를 먼저 역사적으로 살펴보고 이어서 유아 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진 실행 연구의 경향을 개관하고 유아 교육 분야 실행 연구의 논문들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밝혔다. 한국에서 실행 연구는 1950년대에 현장 연구라는 이름으로 보급되었으며 기존 현장 연구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1990년대 이후 실행 연구로 개칭되고 순환적이고 질적인 연구의 성격으로 변화하였다. 유아 교육 분야에서는 1990년대에 실행 연구 전통의 영향을 받아서 현장 개선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유아 교육 분야 실행 연구 논문을 실행 연구 주제, 실행 연구의 방법, 실행 연구의 개선 대상, 실행 연구의 참여자 형태의 네 가지 기준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는데, 전체적으로 볼 때 유아 교육 분야의 실행 연구는 과거 현장연구의 관행을 탈피해서 교육 현장 개선 연구의 최근 경향을 반영하려는 노력을 어느 정도 보여주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특징을 보면 교수 방법을 개선하려는 기술적 실행 연구(technical action research)가 주로 수행되고 있으며, 연구가 지향하는 범위도 교실 실행 연구(classroom action research)의 범위에 머물러 있다. 그리고 단독 연구보다는 공동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연구 참여자들 간에 협동적인 실행은 잘 관찰되지 않고 있다. 이런 분석에 터하여 실행 연구의 개선을 위한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and tendency of action research conducted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The study applied four classification standards to examine the research: theme of the silhaeng study, method of silhaeng study, scope of improvement, and participants of the study. The study found the following results. In general, the action research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ince the 1990’s, applied circul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contributing to overcoming the problems of the past hyeonjang researches in Korea and improving the problems of the education field. However, technical action research was mainly practiced in order to improve teaching methods, and also the range of improvement that the research orientated on only hovered around the category of classroom action research. Furthermore, rather than independent research, joint researches were being executed in majority but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not observed from the papers. Based on such analysis, the necessity of expanding the range of improvement, which the action research orients on, conducting a large-scale cooperative research, and executing a dialogical and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has been suggested by this study.

      •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실행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이용숙(Yongsook Lee, Ph.D.) 한국실행연구학회 2023 교육실행연구 Vol.1 No.1

        이 글에서는 연구목표가‘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일반화’인 실행연구(action research)설계에서의 고려사항들을 논의하였다. 우선 새로운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과정 중 1차 프로그램 개발(수업디자인)의 단계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또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개선을 목표로 하는 실행연구를 할 때 커다란 시너지효과를 얻을 수 있는 액션러닝(action learning)과 연계시킨 실행연구에서의 고려사항들을 구체적인 연구사례와 함께 제시하였다. 다음에는 현장 적용 단계의 연구설계 시 고려할 사항들과 프로그램 개발을 목표로 하는 교육실행 연구에 알맞은 주기/기간, 그리고 하나의 프로그램을 여러 교과목/상황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This paper discusses considerations in the action research design aimed at "developing new educational programs and their generalization." Firstly, it explores important considerations during the initial stage of program development and course design when creating a new educational program. Additionally, the paper examines the connection between action research and action learning, highlighting the potential for a synergistic effect when conducting research to develop or improve educational programs. The following section reviews factors tha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designing research for the field application stage. Lastly, the paper discusses the appropriate cycle/duration of action research for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one program to multiple subjects or circumstances.

      • KCI등재

        초등교사 역량 강화를 위한 체육과 실행연구의 방향

        이호철 한국초등체육학회 2017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Noffke(2009)의 실행연구 목적에 따른 범주구성을 근거로 실행연구의 목적에 따른 가치를 탐색해 보고, Mills(2000)의 변증법적 나선형 실행연구 모형을 통해 체육과 실행연구의 구체적인 절차와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Noffke는 실행연구의 목적을 개인적, 전문적, 정치적 차원으로 구분하였는데 연구자는 정치적 차원을 개인적, 전문적 차원으로 통합시키고 주요 체육정책과 모형실행에 관한 내용을 정책적 차원으로 명명하여 해석하였다. 개인적 차원의 가치에서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자문화기술지와 실행연구의 관계를 기술하였으며, 전문적 차원에서는 현장개선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에 관한 선행연구를 소개하였다. 정책적 차원은 국가수준의 체육과 교육과정, 교과용 도서, 새롭게 소개된 체육수업모형 등의 현장적합성에 관한 실행연구의 확산을 강조하였다. Mills의 변증법적 나선형 실행연구 모형에 따른 실제에서는 초점영역 확인하기, 자료수집하기, 자료분석 및 해석하기, 발전된 실행계획 세우기 과정에서 필요한 기술이나 기법 등을 선행연구의 사례 위주로 소개하였다. 실행연구는 교육현장의 다양한 문제를 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비평적인 동료와의 지속적인 숙의를 통해 현장을 개선하려는 연구이다. 본 연구는 교사교육기관에서 직전교사를 대상으로 한 선험적인 실행연구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value of the action research based on its purpose defined by Noffke(2009) an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specific procedures and methods of the action research in physical education through the Dialectic Action Research Spiral model by Mills(2000). Noffke has classified the purposes of the action research into personal, professional, and political dimensions, the political dimension has been integrated into personal and professional dimensions with the implementation of major physical education policies and models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goals. The study has describ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to-ethnography that recently attracts keen attention and the action research in terms of the value in personal dimension and introduced the preceding studies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field improvement program in terms of the value in professional dimension. The policy dimension has emphasized the dissemination of the action research on field suitability of national leve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curriculum books and materials, and newly introduced physical education models. In actual practices associated with the Mills’ Dialectic Action Research Spiral model, a number of technologies and techniques required during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 focus area, collecting data, analyzing and interpreting data, and developing advanced action plans have been introduced with focus on the case studies of preceding studies. The action research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in various aspects of education through based on continues deliberations and consultations with critical colleagues based on teachers'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and experience. Therefore, this paper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 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the priori action research conducted by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for preparatory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