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용협동조합의 사회공헌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우영 ( Woo-young Park ),박송춘 ( Song-choon Park ),김주환 ( Ju-hwan Kim ) 한국협동조합학회 2016 韓國協同組合硏究 Vol.34 No.1

        최근 들어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CSR)의 중요성 또한 높아지고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요구가 날로 증대하면서 사회공헌활동은 기업에 있어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되고 있다. 비영리조직인 신용협동조합(이하 ‘신협’이라 한다.)의 사회적 책임은 일반 영리기업의 사회적 책임과는 다르다. 신협의 경우, 신협의 이념 자체에 사회적책임과 지역사회공헌활동이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신협의 사회적 책임 이행을 위한 사회공헌활동은 신협업무의 일부로 수행되고 있다. 신협의 사회공헌활동은 정부가 무상으로 제공하는 공공서비스적성격이 강하다. 하지만, 신협은 정부조직이 아니라 조합원들에 의해 소유되는 협동조합으로, 조합원복리증진을 위해 효율적인 경영을 하여야 하고, 이러한 측면에서 사회공헌활동이 신협의 이미지 제고를 통해 영업실적의 개선으로 이어지고 나아가 신협의 가치를 제고하는가에 대한 분석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되는 신협의 사회공헌활동이 신협의 이미지와 브랜드가치, 그리고 궁극적으로 신협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기부협찬 방식은 신협의 이미지와 브랜드가치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궁극적으로는 경영성과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신협의 사회공헌활동은 기부협찬 방식보다는 공익사업과 자원봉사의 비중을 높이는 방향으로 전략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어 보이며 이러한 방향은 신협의 경영성과를 제고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지역신협의 개별적인 사회공헌활동 뿐만 아니라 최근 신협중앙회에서 설립한 사회적 협동조합인 신협사회공헌재단의 사회공헌활동 방식도 기부협찬 방식보다 공익사업과 자원봉사의 비중을 높여야 할 것이다. The importanc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ctivities is increasing rapidly in line with customers’ growing interest in CSR. In the face of escalating demands for corporations to demonst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ctivities are no longer considered merely an alternative option for corporations but are viewed as a necessity. The CSR of a credit union is different from that of a profit-pursuing corporation. Since credit union principles include social responsibility and service to communities, the CSR activities of a credit union form an integral part of its business activities and in fact, are similar to the public social services provided by the government for free. However, a credit union is not a public organization; rather, it is a cooperative owned by members and therefore, it needs to be managed efficiently to promote the well-being of its members. That is the reason why it is important to examine whether credit unions’ CSR activities are enhancing their image, brand value, and ultimately, business performance. In line with the above, this study conducts an empirical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 of various CSR activities in credit unions on their image, brand value, and business performance. The study findings indicate that donations and sponsorship do not serve to enhance credit unions in the aforementioned areas. Instead, the findings suggest that credit unions need to direct the strategic focus of their CSR activities towards public services and voluntary work in the community, which will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ir business performance. This strategic direction for CSR activities needs to be adopted, not just by individual credit unions but also by the Credit Union Foundation for CSR established by the National Credit Union Federation of Korea.

      • KCI등재

        1960-1970년대 공장노동자의 신용협동조합운동―인천지역을 중심으로―

        오미일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2 民族文化硏究 Vol.96 No.-

        The Incheon Regional Credit Cooperative Movement, which began in 1962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Dapdong Credit Union, was first established by Catholicism based on church ties, but by the late 1960s, the trend changed to the establishment of a union based on factory workers' workplace ties. The establishment of a credit cooperative for factory workers wa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labor movement. However, it was the Methodist Incheon Christian Urban Industrial Mission that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revitalization of the labor movement in Incheon. Incheon Christian Urban Industrial Mission attempted to establish a credit cooperative with a credit union committee under the steering committee. In October 1967, 15 members of the Sanwoohoe Pyeongshin Group formed the Icheon Electric Credit Union, the first credit cooperative organized by factory workers in the Incheon area. In this article, 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operation of Daesung Credit Cooperative, Incheon Heavy Industries Credit Cooperative, and Sanwoo Credit Cooperative were analyzed as representative examples of credit cooperatives organized by factory workers, factory workers, and local residents. These credit cooperatives rescued members from the swamp of high-interest bonds by carrying out loan projects such as ordinary loans, loans within the scope of investment, emergency loans, small loans, and special loans. Members of the union benefited from cooperative financing, which usually borrows living funds at an interest rate of around 2% per month (24% per year), which is much cheaper than commercial rings with more than 6% per month (72% per year). 1962년 답동신협 설립으로 시작한 인천지역 신용협동조합운동은 처음 가톨릭교단의 교회유대에 기반을 둔 조합 설립이 대부분이었으나, 1960년대 말에 이르러 공장노동자의 직장유대를 기반으로 한 조합 설립으로 추세가 바뀌었다. 공장노동자들의 신용협동조합 설립은 노동운동의 전개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그런데 인천지역 노동운동이 활성화되는 데에 큰 영향을 끼쳤던 것은 감리교계 인천기독교도시산업선교회였다. 도시산업선교회는 운영위원회 아래에 신용조합위원회를 두고 신용협동조합 설립을 시도했다. 1967년 10월 산우회 평신도그룹 15명이 결성한 이천전기신용조합이 인천지역에서 공장노동자들로 조직된 최초의 신용협동조합이었다. 이 글에서는 공장노동자들, 그리고 공장노동자와 지역주민들의 협의체로 조직된 신용협동조합의 대표적인 사례로 대성신용협동조합, 인천중공업신용협동조합, 산우신용협동조합의 설립과정과 운영에 대해 분석했다. 이들 신용협동조합은 보통대부, 출자금범위내 대부, 긴급대부, 소액대부, 특별대부 등의 대출사업을 실시함으로써 조합원을 고리채의 늪으로부터 구제했다. 조합원들은 대개 월 6%(연 72%) 이상인 시중 고리대보다 훨씬 저렴한, 월 2%(연 24%) 내외의 이자율로 생활자금을 차입하여 협동금융의 혜택을 받았다.

      • KCI등재후보

        한국 신협의 변화하는 사회적 역할에 대한 고찰

        장종익 ( Jang Jongick ) 농협대학교 협동조합경영연구소 2023 협동조합경영연구 Vol.59 No.-

        최근 신용대출 비중의 하락, 비조합원이용 증대, 공동유대범위의 확대 필요성 등에 직면한 신협의 정체성을 재정립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들은 최근 신협이 직면하고 있는 환경 및 시대적 과제가 변화함에 따라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현상이고 새로운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는 방향으로 미션을 재정립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제기한다. 신협의 핵심적 정체성은 예금자와 대출자에 의한 신협 소유와 더불어 금융서비스의 사회적 목적성이다. 본 연구는 최근에 이러한 사회적 목적성의 내용이 크게 변화함에 따라 미션이 재설정될 필요가 있고 운영전략도 재정립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기하였다. 본 연구는 결론적으로 사회적 가치를 증진하는 신협과 여전히 잔존하는 금융배제계층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신협 등 신협 미션을 다양화하고 이에 따라 네트워크 내회원신협의 다양성을 추구할 필요가 있으며, 정부의 신협 정책도 이에 맞추어 혁신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With a recent decline in the share of credit loans, an increase in the use of non-union members, and a requirement to expand the border of joint bonds, the Korean credit union’s need to redefine its identity is growing. This paper raises that these problems are inevitable as the challenges of the times faced by the credit union have changed recently, and that missions need to be redefined in the direction of solving new challenges. The core identity of the credit union is the social purpose of financial services along with the ownership of the credit union by depositors and borrowers. As the content of these social objectives has lately altered dramatically,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to reset the mission and re-establish the related operating principle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missions of credit unions in the network, such as credit unions that promote social value and credit unions that help to meet the financial needs of the financially excluded.

      • KCI등재

        정부주도 경제개발기(1960~1981) 한국신협모델의 형성과 정착

        구정옥 ( Koo Chung-ok ) (사)한국협동조합학회 2020 韓國協同組合硏究 Vol.38 No.2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상황, 지도자의 지도방식, 법체계와 정책 환경 등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신협발전 요인들이 한국형 신협모델의 형성 및 정착 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고찰 분석하였다. 도입 시 미국신협정관을 번역하여 사용하였지만, 한국 신협은 전형적 개발도상국이었던 1960년 신협운동이 나라를 가난에서 벗어나게 할 수 있다고 확신한 지도자들에 의해 도입되어 저축(출자)이 강조되었고, 법적 보호를 원하는 신협과 경제개발 정책 수행을 위해 내자동원이 필요했던 정부의 이해가 일치되어 1972년 신협법 제정으로 이어지며 미국신협과 다른 한국형 신협모델이 만들어졌다. 신협법에는 공동유대, 무보수임원제 등 미국신협 모델을 구성하는 기본 특징에 당시 한국적 상황에서 필요했던 예·적금 수입, 교육 및 지역사회개발 업무, 조합의 연합회 가입의무와 연합회의 검사·감독권 등이 가미된 한국형 신협모델이 규정되었고, 이후 신협은 새마을운동 확산 속에 정부의 조직지원을 받으며 성공적으로 정착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social-economic situation, leadership, legal framework and government policies on the shaping of the Korean credit union model during the government-led economic development period. In 1960, when Korea was a typical developing country, a credit union was introduced by pioneering leaders who were convinced that the credit union movement was a way to overcome poverty. The savings-oriented Korean credit union movement gained the trust of the government, which needed to mobilize capital to finance its economic development policy. The Credit Union Act initiated by credit union leaders defined the Korean credit union model, which modified the American model to reflect Korean circumstances.

      • KCI등재

        스페인과 미국의 신협 회계규제 및 자본규제:조합원출자금을 중심으로

        구정옥 농협대학교 협동조합경영연구소 2023 협동조합경영연구 Vol.58 No.-

        This paper explored the accounting and capital regulations of credit unions in Spain and the US. Spain’s three credit cooperative groups should prepare their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according to EU-IFRS, and individual credit cooperatives should follow accounting standards issued by the Bank of Spain, which are not so different from EU-IFRS. Spain revised the credit cooperative law to make credit cooperatives’ member shares eligible for equity under EU-IFRS and thus count as common equity Tier 1 capital in the regulatory prudential capital ratio. Meanwhile, credit unions in the US do not prepare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because of restrictions on investment in subsidiaries. The NCUA determines the accounting standards that credit unions must follow; corporate and large-scale natural person credit unions must adhere to US GAAP made by the FASB, while small-scale natural person credit unions must follow NCUA- issued accounting rules. In any case, member shares are not reported as equity on financial statements or considered equity in the regulatory capital ratio. As prudential regulations tightened after financial or fiscal crises, accounting for member shares became similar regardless of the introduction of IFRS or Basel standards. 본 논문은 조합원출자금을 중심으로 스페인 신협의 미국 신협의 회계규제와 자본규제를 고찰하였다. 스페인의 세 개 신협금융그룹은 EU-IFRS에 따라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며, 별도재무제표는 스페인중앙은행이 제정한 기준을 따르지만 기본적으로 EU-IFRS와 크게 다르지 않다. 스페인은 신협법 개정을 통해 EU-IFRS 하에서 조합원출자금이 자본으로 분류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건전성규제자본비율 계산 시 출자금은 보통주자본으로 간주된다. 한편, 미국 신협은 자회사에 대한 투자한도 제한으로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지는 않으며, 연방신협감독청이 신협이 적용해야 할 회계기준을 결정하는데, 법인신협과 대규모 일반신협은 FASB가 제정한 GAAP를 적용하도록 하고, 소규모신협은 연방신협감독청이 회계편람을 만들어 따르도록 한다. 어느 경우든 조합원출자금은 자본으로 분류되지 않으며, 규제자본비율 계산 시에도 자본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국제회계기준이나 바젤기준을 적용하든 하지 않든, 금융위기나 재정위기를 겪고 규제감독이 강화되면서 신협출자금에 대한 회계와 자본규제 방식은 유사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경향을 보인다.

      • KCI등재

        신용협동조합의 하방경직적 원가행태에 관한 연구

        강정원,홍용식,정균범 전북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2022 아태경상저널 Vol.14 No.2

        This study conducts a comprehensive study on the cost downward rigidity of credit cooperatives based on the basic analysis model of Anderson et al. (2003) for a total of 9,790 credit cooperatives operating from 2001 to 2014 as of the end of 2014, the most recent sample period of limited data. The adjustment effect was verified by characteristic factors (operating ratio of loans to total assets, size of assets, subject to timely corrective action, reduction of operating income, etc.), and general control variables such as employee concentration and decrease of operating income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credit cooperatives, like general companies, showed a downward rigid cost behavior in which the reduction rate of cost was smaller than the reduction rate of operating income, and the moderating effect by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the credit union was also confirm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differences in cost behavior by industry, such as manufacturing, construction, distribution, and financial industries, by confirming that accounting standards such as profit and loss statements affect factors such as loan operating ratio, total asset size, and timely corrective measures. 본 연구는 724개 지역·단체신용협동조합의 총 9,790개 신협-연도를 대상으로 Anderson et al.(2003)의 기본 분석모형을 기반으로 신용협동조합의 원가하방경직성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신용협동조합의 경영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특성 요소들 (총자산 대비 대출금의 운용비중, 자산규모의 대형화 정도, 적기시정조치 대상 여부, 영업수익의 감소율 정도 등)에 의한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유형자산집중도, 종업원집중도와 영업수익의 2년 연속 감소 여부 등의 일반 통제변수를 사용하여 영업수익의 변화에 따라 영업비용, 이자비용, 판매관리비, 인건비, 재량적원가 등 5개 원가항목의 비대칭성이 존재하는지 여부와 존재하는 경우 각 주요변수에 따라 각 원가항목의 비대칭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여부를 회귀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일반기업과 마찬가지로 신용협동조합의 경우에도 영업수익의 감소율보다 원가의 감소율이 더 작게 나타나는 하방경직적 원가행태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고, 신협의 특성 요소들에 의한 조절효과도 함께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금융회사의 손익계산서 등 회계처리기준이 금융업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과거의 원가행태에 관한 분석대상에서 제외되어 왔던 금융회사를 대상으로 대출금의 운용비중, 총자산 규모, 적기시정조치 대상 여부 등의 요인에 따라 하방경직성 원가행태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제조업, 건설업, 유통업, 금융업 등의 산업별 원가행태 요인의 차이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고, 여기에 신협에서만 볼 수 있는 특수한 상황에 의한 조절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정책적 공헌점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논문 : 신협의 수익성 결정요인 분석

        권일숙 ( Il Sook Kwon ),박래수 ( Rae Soo Park ),정윤영 ( Yun Yeong Jeong ) 명지대학교 금융지식연구소 2013 금융지식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2004년부터 2011년까지 8년간 총 5,391개 단위신협의 재무특성자료를 이용하여 신협의 재무특성 및 시간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는 패널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신협의 수익성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주로 저축기관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CAMEL변수들을 위주로 결정요인을 선정하였으며, 이외에 생산성, 경영등급 및 신협규모변수 등을 추가변수로 포함하였다. 또한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과 이후 기간으로 나누어 경제위기를 전후로 신협의 수익성구조의 구조적 변화와 공동유대특성이 수익성에 미치는 요인을 근본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전 기간 전체단위신협의 수익성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여타 저축금융기관들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CAMEL변수들의 경우 대부분 예상대로 신협의 수익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자본적정성, 자산건정성, 운영수익성 그리고 생산성이 좋을수록 해당신협의 수익성이 제고되었으며, 수지비율과 유동성이 낮을수록 수익성은 더 좋게 나타났다. 따라서 여타 저축기관으로서 금융기관의 수익성관련 특성들이 대부분 신협에서도 그대로 드러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영성과를 측정하는 경영등급이 좋을수록 해당신협의 수익성 역시 긍정적이며, 공동유대의 특성에 따라 해당신협의 수익성도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2008년 경제위기를 전후로 신협의 수익성구조에 근본적인 변화도 파악되었는데, 경제위기 이전에는 유동성이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경제위기이후 적절한 유동성확보를 통한 유동성 위험대비가 해당신협의 수익성 개선에 도움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위기전에는 대출금 증가가 단위신협의 수익성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제위기 이후에는 대출금증가가 오히려 해당신협의 수익성을 훼손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금융위기 이후 조합원에 대한 대출의 경우라 하더라도 사전적인 대출심사와 사후감독이 더 필요한 것으로 해석된다. Using financial characteristics data obtained from total 4,727 local credit unions from 2004 to 2011 over the last 8 years, we analyze possible determinants of South Korean credit unions profitabil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we show that most of CAMEL variables, which are indices of efficiency in other thrift and financial institution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profitability of credit unions as expected. That is, asset soundness, operating profitability and productivity are associated with the higher profitability of local credit unions, but the lower ratio of gross profit to gross costs and the lower liquidity are associated with the better profitability of credit unions. And it is found that the better management grade - an index of business administration results - is also associated with the more positive profitability of local credit unions, and the profitability of credit unions varies significantly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common tie. On the other hand, we find that profitability structure of credit unions came to fundamental changes around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Liquidity had negative effects on profitability before global financial crisis, but preparations for liquidity risk with adequate liquidity acquired after the financial crisis were helpful to improve the profitability of local credit unions. Moreover, increasing amount of loan had positive effects on increasing profitability of local credit unions before the financial crisis, but increasing amount of loan can rather damage the profitability of local credit unions after the financial crisis. This finding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for credit unions to perform preliminary loan reviews and ex post loan administrations even in case of loan issued to union members after the finance.

      • KCI등재

        1960년대 신용협동조합운동의 출발과 확산

        오미일 한국근현대사학회 2020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95 No.-

        The cooperative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mostly aimed at consumer unions with the aim of distributing and distributing supplies. By the late 1950s and 1960s, however, the mainstream of the cooperative movement changed from consumer unions to credit unions. After the Korean War, what was most needed for the common people’s economic independence was minimal reproduction capital. As a result, cooperative finance for the common people who were excluded from institutional finance and undermined by private finance such as Gae(契) or Kori Dae-up began to be sought. This study traces the start and spread of the credit cooperative movement in the 1960s, which forms the origins of the Credit Union and the Community Credit Cooperation(Saemaeul Bank), the leading financial institutions for the working class today. The Credit Cooperatives Movement started in May 1960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Busan Sungga Credit Cooperative. Since then, the Cooperative Education Center, a subsidiary organization of Busan Seongga Credit Cooperative, opened lectures and promoted the establishment of credit unions, spreading to Busan, Gyeongsangnam-do regions and nationwide. In addition, leaders of the Gyeongnam branch of the Reconstruction National Movement, which was taught by the Cooperative Education Center, established credit unions in each village after May 1963, which developed into today’s Community Credit Cooperation. 일제시기와 해방 직후의 협동조합운동은 당시 절대적으로 생활필수물자가 부족했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 물자 보급과 배분을 목적으로 하는 소비조합을 지향했다. 그러나 1950년대 말 1960년대에 이르러 협동조합운동의 주류는 소비조합에서 신용조합으로 바뀌었다. 한국전쟁 후 ‘경제재건’이 화두인 상황에서 경제적 자립을 위해서민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최소한의 재생산 자본이었다. 이에 제도권 금융으로부터 배제되어 契나 고리대업과 같은 私設 금융으로부터 약취당하는 서민들을 위한협동금융이 모색되기 시작했다. 이 연구는 오늘날 대표적 서민금융기관인 신용협동조합과 새마을금고의 기원을 이루는 1960년대 신용협동조합운동의 출발과 확산에 대해 추적한 글이다. 1960년 5월 부산 성가신용조합의 창립으로부터 출발한 신용협동조합운동은 조합의 부설기구인 협동조합교도봉사회가 강좌를 개설하여 신용조합 설립을 추동하면서 부산·경남지역과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또한 협동조합교도봉사회의 강습을 받은 재건국민운동 경남지부 지도자들이 1963년 5월 이후 각 마을에서 신용조합을 설립하여 이것이 오늘날의 마을금고로 발달했던 것이다.

      • KCI등재

        신협 부도예측모형에 관한 연구

        남주하 ( Nam Joo-ha ),최재원 ( Choi Jae-won ) 국제지역학회 2017 국제지역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신용협동조합(신협)의 부도예측모형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1997년 국내 금융위기이후 신협은 심각한 부실화로 인해 327개 신협에 4조7천억여원의 공적자금이 투입된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실화의 역사적 경험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신협의 부도원인과 부도예측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부도예측모형의 분석을 위해 먼저 부도신협군으로는 2009~2016년 사이 부도가 났거나 사고가 난 신협 중 순자본비율이 0%이하인 26개 신협(이상치 제거 후)을 표본으로 선택하였다. 건전신협군으로는 2015년 기준 부도 및 사고가 없는 신협 중 630개 신협(Case1)과 순자본비율 6% 이상인 37개의 신협(Case2) 등 두 그룹을 표본으로 채택하였다. 분석대상이 되는 재무비율들은 과거 금융회사에 적용한 재무비율이 최대 30여개에 불과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60개로 확장하여 신협의 부도원인과 부도예측력을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사용한 재무변수들 외에 좀 더 다양한 수익성 변수, 자기자신과 타신협과의 상대적 성과변수, 변동성 지표 등을 새롭게 포함하였다. 로짓최우추정법에 의한 분석결과에 의하면 Case1과 Case2의 표본을 이용한 전반적 예측력은 각각 97.5%와 94.5%로 나타나 신협의 부실예방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제1종오류가 높아 부도신협군과 건전신협군의 좀 더 다양하고 정교한 표본선택에 의한 추가적인 연구도 필요해 보인다. This study analyzed the bankruptcy prediction model of credit union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Since the 1997 financial crisis, public fund of 4.7 trillion won injected into 327 the credit unions to prevent insolvency. However, in spite of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the bankruptcy, there is no study on the cause of bankruptcy and the prediction of bankruptcy of the credit unions. For the analysis of bankruptcy prediction models, we selected 26 credit unions with a net capital ratio of 0% or less among the credit unions with defaults or accidents between 2009 and 2016 as a bankruptcy sample. As for non-bankruptcy sample, we selected 2 groups, including 630 credit unions (Case 1) and 37 credit unions (Case 2) with a net capital ratio of 6% or more, among the credit unions with no defaults and accidents in 2015. The financial ratios used in previous studies are only about 30, but this study expanded to 60, which contributed to the cause of bankruptcy and the prediction power of bankruptcy. Unlike previous studies, we included more diverse profitability variables, relative performance variables of own and other credit unions, and volatility indicators. Using the logistic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ethod, the overall prediction power for the samples of Case1 and Case2 is 97.5% and 94.5%, respectively, which are helpful bankruptcy of credit unions. However, because of the high error of Type I, further study in the future are necessary by using a more diverse and sophisticated sample.

      • KCI등재

        국내 신용협동조합의 여신건전성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대구,경북지역 신협을 중심으로

        박정희 ( Jung-hee Park ) 한국협동조합학회 2016 韓國協同組合硏究 Vol.34 No.1

        어떠한 내부특성 요인들이 국내 신용협동조합의 여신건전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대구ㆍ경북 지역에 소재한 신협을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다. 2010년 상반기부터 2015년 상반기까지 모두 11개 기간동안 90개 지역신협의 재무자료를 수집하여 패널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신협의 순자본비율이 증가할수록 여신건전성이 향상된다는 유의한 증거를 발견하였다. 신협은 순자본비율의 향상을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는데, 표본에 포함된 신협의 평균 순자본비율이 감독기관의 재무상태 개선 권고의 최소 기준인 2%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임을 감안하면 개선의 여지는 클 것으로 보인다. 둘째, 비이자영업의 비중이 증가할수록 여신건전성이 향상된다는 증거를 발견하였다. 신협의 경우자산 중 현금과 예치금의 비중이 매우 높은 편에 속해서, 현재 자산규모를 유지한 상태에서 비이자영업의 비중을 제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셋째, 은행 등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는 달리 대출증가율은 부실여신비율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은행에 비해 매우 낮은 신협의 대출비중 등 신협의 자산구조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그 이유를 확실히 규명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규모의 증대가 여신건전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약한 증거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신협이 자산의 구성을 변화시키지 않고 규모의 확대에만 치중하는 것은 경계할 필요가 있음을 암시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credit soundness in the Korean credit union industry. The following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from an analysis of the semi-annual accounting data of various credit unions headquartered in the Gyeongbuk and Daegu province from 2010 to 2015: First, credit unions need to increase their net capital ratio, which will significantly improve their credit quality. The mean net capital ratio of credit unions in this analysis was less than 2% which is the minimum level required by the supervisory authority. Second, the expansion of non-interest activities is recommended. The ratio of noninterest activities to total operations in credit unions is much smaller than that of commercial banks. Since credit unions have excess cash that produces no profits at all, the simultaneous expansion of loans and non-interest activities is feasible and will not affect asset siz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growth of loan amounts improved loan quality significantly. This may be because the asset structure of credit unions is very different from that of commercial banks. In credit unions, the proportion of loans to total assets is much smaller than that of commercial banks, which implies that credit unions have much more leeway to implement additional loans. Meanwhile, the above results may also provide the supervisory authority with some insightful implications. For instance, credit unions’ strategy to increase their asset size may harm the soundness of their loans. Accordingly, the supervisory authority needs to monitor credit unions to see if they take strategies of increasing their asset siz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