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의 짧은 목 굽힘 운동과 신경근전기자극치료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삼킴 기능에 미치는 효과

        김경돈 대한통합의학회 2017 대한통합의학회지 Vol.5 No.4

        Purposeˇ:ˇ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hort neck flexor strengthening in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on swallowing 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swallowing rehabilitation in stroke patients. Methodˇ:ˇThe study involved 30 chronic stroke patients who visited OO General Hospital in Daegu Metropolitan City between March and July, 2017.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 (n=15) or a control group (n=15). Both groups underwent traditional swallowing rehabilitation therapy for 30 minutes five times a week over a six-week period.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short neck flexor exercises, which are part of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for 30 minutes three times a week over a six-week period. The control group performe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for 30 minutes three times a week over a six-week period. Based on its results, changes in the patients’ swallowing function and degree of food intake were analyzed. Resultˇ:ˇIn terms of the ASHA NOMS scale and new VFSS scale,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ten sub-items and six sub-items, respectivel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ne sub-item were found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ˇ:ˇPNF-based short neck flexion exercise appear to be effective at improving swallowing function of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본 연구는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의 짧은 목 굽힘 운동과 신경근전기자극치료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삼킴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뇌졸중 환자의 삼킴 재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2017년 3월부터 7월까지 대구광역시 소재 oo종합병원에서 만성 뇌졸중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각 20명씩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무작위배치하였다. 두 그룹 모두 전통적 삼킴재활치료를 주 5회, 30분씩, 6주간 적용하였다. 실험군은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의 짧은 목 굽힘 운동을 주 3회, 30분씩, 6주간 추가 실시하고, 대조군은 신경근전기자극치료를 주 3회, 30분씩, 6주간 실시하였다. 두 그룹 모두 비디오투시조영검사(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를 실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new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scale(new VFSS scale)과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National Outcomes Measurement System Swallowing scale(ASHA NOMS scale)을 사용하여 연하 기능과 식이 정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은 ASHA NOMS scale과 new VFSS scale의 10개의 세부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고, 대조군은 ASHA NOMS scale과 new VFSS scale의 6개의 세부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ASHA NOMS scale, new VFSS scale의 1개의 세부항목에서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고유수용성신경근 짧은 목 굽힘 운동이 신경근전기자극치료보다 만성 뇌졸중 환자의 삼킴 기능을 향상 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테라테인먼트적인 신경가동술과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PNF)이 허리디스크(요추간판탈출증) 수술환자의 균형, 유연성, 통증, 보행에 미치는 영향

        이경현(Kyung-Hyun Lee),손경현(Kyung-Hyun Son),방주희(Ju-Hee Ba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0 No.2

        본 연구는 요추간판탈출증 수술을 받은 환자에게 물리치료 중재로써 신경가동술과 스프린터 패턴을 수술 직 후에 적용하여 균형, 유연성, 통증, 보행에 관한 연구이다. 본 실험에 동의한 대상자들은 30명이다. 대상자들은 무작위적으로 세 개의 집단으로 나누었고, 대조군(10명), 신경가동술군(10명), 스프린터군(10명)으로 분류하였다. 이 대상자들로 신경가동술군은 궁둥신경가동술과 넙다리신경가동술 실시하였고, 스프린터군은 스프린터 패턴을 실시하였으며, 2주간 1일 1회 진행하였다. 중재의 정확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 데이터는 운동 전·후로 수집하였다. 신경가동술과 스프린터의 중재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정적균형측정, 뻗음다리올림검사, 시각통증척도, 기능적보행평가를 측정 및 평가하였다. 측정된 데이터는 콜모고로프-스미르노프 검정과 대응 t-검정에 의한 공분산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신경가동술을 이용한 균형에서는 신경가동술이 고유수용성신경근 촉진법보다 좀 더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뻗음다리올림검사, 시각통증척도 점수에서는 대조군, 신경가동술과 신경가동술 세 군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보행에서는 세 군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나타내었다. 차후 연구에서는 신경가동술과 고유수용성신경근 촉진법을 임상적으로 다양하게 적용하고 세부적인 운동 프로그램과 장기추적으로 발전시켜 비교 해 볼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certain the effects of neurodynamics and sprinter pattern on pain, flexibility, balance and gait in patients received lumba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surgery. The number of subjects who agreed with these research was 30.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3 groups, a control group(n=10), a neurodynamic group(n=10), and a sprinter pattern group (n=10). The subjects of neurodynamic group were treated by the sciatic nerve and femoral nerve neurodynamics. The subjects of sprinter group carried out sprinter pattern exercise. Both interventions of neurodynamics and sprinter pattern exercise were treated and carried out once a day for two weeks, respectively. All subjects including ones of control group received two basic treatments, hot pack and TENS. In order to find the significances of both interventions, the tests were conducted at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the tests were visual analogue scale, straight leg raising test, balances and functional gait assessment. The measur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paired t-test and the analysis of covariance. This result represented that neurodynamic and sprinter pattern exercise might be useful intervention methods to improve the balance of patient received lumba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surgery.

      • KCI우수등재

        근활성화 후 상승효과를 위한 등속성 근수축과 무산소성 사이클링이 전문체력요인 및 근신경전도율에 미치는 영향

        박병재 ( Park Byoung-jae ),선세영 ( Seon Se-young ),김정훈 ( Kim Jung-hoon ) 한국체육학회 2021 한국체육학회지 Vol.60 No.3

        이 연구는 인라인롤러스피드스케이팅 선수 7명을 대상으로 근활성화 후 상승효과(Post-Activation Performance Enhancement, PAPE)를 위한 복합트레이닝(Complex Training, CT)이 전문체력요인에 미치는 효과와 이에 대한 근신경학적인 기전을 조사하였다. PAPE의 유도를 위한 CT는 피험자의 시합 전 준비운동과정에서 적용되는 루틴과 유사한 고강도 등 속성 근수축과 무산소성 사이클링을 적용하였으며, PAPE 검증의 수단으로 반응시간(Reaction Time, RT) 및 수직점프(Vertical Jump, VJ) 그리고 조작적인 전기자극에 의한 근신경전도율(Muscle Fiber Conduction Velocity, MFCV)을 측정하여 CT 적용 전후의 차이를 대응표본 t-test를 통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CT에 의하여 사후에 측정된 RT 및 VJ는 각각 14.8%(p<.01)의 감소 및 15.5%(p<.05)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근신경전도의 시간과 속도에서 각각 13.6%(p<.05)의 감소 및 14.1%(p<.05)의 향상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PAPE의 효과를 위하여 사전에 진행된 CT는 스탠딩 스타트 기능에 필수적인 Triple Extensors의 민첩성과 순발력의 일시적 상승을 유도하였으며, 근기능 상승의 잠재적 기전으로 MFCV가 향상되는 근신경학적인 실험 결과를 관찰하였다. 그러므로 엘리트스포츠현장에서 PAPE를 효과적으로 전개할 수 있도록 종목특이적인 CT를 개발하여 적용한다면 스포츠과학의 현장적용 차원에서 매우 의미 있는 준비운동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effects of complex training (CT) to lead to post-activation performance enhancement (PAPE) on sports-specific fitness components and its neuromuscular mechanism among inline roller speed skaters. In this regard, CT was consisted of high intensity isokinetic contraction (IC) and anaerobic cycling (AC) based on the start performance factors. To verify the effects of CT on PAPE, reaction time (RT), vertical jump (VJ) and muscle fiber conduction velocity (MFCV) by manipulated electrical stimulation were measured and their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CT was analyzed by using paired t-test. As a result, compared to prior to CT treatment, RT and VJ improved by 14.8% (p<.01) and 15.5% (p<.05), respectively, and muscle fiber conduction time and velocity improved by 13.6% (p<.05) and 14.1% (p<.05), respectively. Therefore, CT conducted in advance for the induction of PAPE can provide a temporary synergistic effect in terms of the agility and power of Triple Extensors necessary for the subjects’ standing start performance, and the potential neuromuscular mechanism by which performance improvement could be inferred as an experimental observation of MFCV. Taken together, if CT is developed and applied to sport events to effectively induce PAPE, it is considered that a meaningful pre-match routine program can be presented in terms of field application of sports science.

      • KCI등재

        제 2경추증성 신경근증: 이학적 소견 및 영상촬영을 이용한 진단 및 현미경적 추간공 감압술을 통한 치료- 증례 보고 -

        정유훈,이영상,은동찬,이준하 대한척추외과학회 2018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5 No.3

        Study Design: Case report. Objectives: We report the case of a patient with C2 spondylotic radiculopathy who was treated by microscopic posterior foraminotomy.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C2 spondylotic radiculopathy is rare, but it can occur due to spondylosis, compression by a venous plexus or vertebral artery, or hypertrophy of the atlantoepistrophic ligament. Materials and Methods: A 64-year-old woman was hospitalized with severe occipital pain radiating toward the left cervical area and posterior to the left ear. It started 3 years previously, and became aggravated 3 months previously. Foraminal stenosis of C1-2 was observed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degenerative changes of the facet joint of C1-2 and osteophytes originating from the left atlantoaxial joint were shown on computed tomography (CT). Dynamic rotational CT showed narrowing of the left C1-2 neural foramen when it was rotated to the left. Selective C2 root block was done, but the pain was aggravated. Thus, we decompressed the C2 nerve root by microscopic posterior laminotomy of the C1 vertebra. After surgery, the patient’s occipitocervical pain mostly resolved. By the 6-month follow up, pain had not recurred, and instability was not observed on plain radiographs. Results: C2 Spondylotic radiculopathy was diagnosed by physical examination and imaging studies and it was treated by a surgical approach. Conclusions: C2 spondylotic radiculopathy should be considered when a patient complains of occipitocervical pain triggered by cervical rotation and C1-2 foraminal stenosis is observed on MRI and CT. 연구 계획: 증례 보고목적: 일측성 척추증을 동반한 제 2경추증성 신경근증을 이학적 검사 및 영상촬영을 통해 진단하고 현미경하 후방 감압술로 치료한 증례를 보고한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제 2경추 신경근증은 발생빈도가 매우 낮지만 척추증, 정맥총의 압박, 척추동맥의 압박, atlantoepistrophic ligament의 비대 등에의해 발생할 수 있다. 대상 및 방법: 64세 여자환자가 3년 전부터 시작, 3달 전 악화된 좌측 경부 및 귀 뒤로 방사되는 심한 후두하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자기공명영상상좌측 제 1-2경추간 신경공 협착증이 관찰되었고, 컴퓨터 단층촬영상 좌측 제 1-2경추간 후관절의 퇴행성 변화, 좌측 환축추에서 기시한 골극이 관찰되었다. 역동적 회전 컴퓨터 단층촬영상 좌측 회전시 좌측 제 1-2경추간 신경공의 좁아진 소견을 보였다. 선택적 제 2경추 신경근 차단술을 시행하였으나 통증은 점차 악화되었다. 이에 현미경하 제 1경추의 후궁 절개술 (laminotomy)을 시행하여 압박되어 있던 제 2경추 신경근을 감압하였다. 술후 환자의 경부및 후두하 통증은 거의 사라졌다. 6개월 추시시 통증은 재발하지 않았고, 단순 방사선 사진 상에서 불안정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과: 이학적 소견 및 영상촬영을 이용하여 일측성 척추증을 동반한 제 2경추증성 신경근증을 진단하였고 이를 수술적으로 치료하였다. 결론: 환자가 경부의 움직임에 의해 유발되는 경부 및 후두하 통증을 호소하고 자기공명영상 및 컴퓨터 단층촬영에서 제 1-2 경추간 신경공 협착증을 보일 때 척추증성 신경근증을 의심하여야 한다. 약칭 제목: 제 경추증성 신경근증

      • Effect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on Muscle Activity of Upper Trapezius in Subjects With Myofascial Pain Syndrome

        Koh, Eun-kyung,Kwon, Oh-yun,Kim, Young,Jung, Do-young,Seo, Hyoun-soon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2002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Vol.9 No.4

        본 연구에서는 상부 승모근의 근막통증(myofascial pain syndrome; MPS)를 대상으로 이완상태에서 근 활성도를 측정해보고, 통증을 감소시키는 데 주로 이용되는 경피신경자극 치료 후 근 활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근막 통증으로 진단을 받은 총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주관적 시각 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와 압통 역치 측정계(pressure threshold meter)를 이용하여 경피신경자극 전, 후 통증의 정도를 평가하였고, 표면 근전도를 이용하여 이완시 근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치료 기구는 경피신경자극기(TENS: HAT-2000)를 이용하였다. 치료전과 비교하여 VAS는 통증이 심한 쪽과 약한 쪽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5), 압통 역치는 통증이 심한 쪽과 약한 쪽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근 활성도는 통증이 심한 쪽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 KCI등재

        The Effects of Sciatic Neurectomy on Rat Gastrocnemius Muscle

        Sang-Soo Oh(오상수),Jung-Min Lim(임정민),Hyoung-Tae Kim(김형태) 대한체질인류학회 2008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21 No.2

        근육위축은 신경절단이나 부동, 고정, 비운동, 비부하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신경절단 후 일어나는 근육 손상의 기전을 이해하고자 시행되었다. 흰쥐 왼궁둥신경을 절단한 후 8주에 양쪽 장딴지근의 형태학적 변화를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Western blot 분석을 통해 근육발육과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정도를 측정하였다. 궁둥신경이 절단된 왼쪽 다리의 장딴지근의 무게는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광학현미경상에서 신경절단에 의해 근육섬유의 직경과 가로면의 면적이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장딴지근에서 아교섬유가 신경절단 후 증가되었다. 전자현미경상에서 신경절단에 따른 근육섬유의 변화는 주로 근원섬유의 손상과 소설, 사립체의 손상과 소설, 가로세관 및 근육형질세망의 소설 등이었다. 근육원섬유의 직경이 작아지고, 근육원섬유의 구성성분인 굵은 및 가는 근육미세섬유의 수가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이들의 배열이 매우 불규칙하였다. 근육원섬유마디에서 끝가로막의 소설이 근육미세섬유의 소실보다 더 많았고, 가는근육미세섬유의 소설이 굵은근육미세섬유보다 더 심했다. 근육섬유의 핵은 퍼진염색질과 약한 뭉친염색질을 보였으며, 간혹 핵소체도 관찰되었다. 사립체의 손상은 주로 농축과 팽대 및 사립체능선의 소설 등이었다. 가로세관이나 근육형질세망은 그 수가 감소하였으며, 근육형질내에 무정형의 물질들과 함께 불규칙하게 흩어져 있었다. 결합조직내에서 간혹 근육위성세포가 근육섬유와 인접하여 관찰되었으며, 형태학적으로 비활성상태였다. 근육섬유의 발육관련 인자인 MyoD와 myogenin은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세포의 성장과 증식에 관련된 인자인 인산화 mTOR와 FOXOl도 감소하였다. 반면에 세포위축관련인자인 MuRFl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신경절단에 의한 장딴지근의 형태학적 변화는 근육섬유의 발육을 유지하는 단백형성의 감소와 단백파괴의 증가에 의한 근육미세섬유와 세포소기관의 소설에 따른 세포위축에 기언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The effects of unilateral sciatic neurectomy on gastrocnemius muscle were studied in adult male rats.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both gastrocnemius muscles were observed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Western blot analysis was performed to study the protein expression. Following the denervation, the affected muscle weights decreased significantly than normal. And the denervation led to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area and diameter of muscle fibers on light microscopy. The affected muscle fibers showed the decreasing in size and the irregularity of myofibrilar arrangement on electron microscopy. On transverse view, the area of affected muscle fiber were smaller than normal. Their myofibrils were smaller and very irregular in size. The thin and thick myofilaments were not regular and partially lost. Mitochondria between myofibrils and subsarcolemmal area in affected muscle fibers were damaged and partially lost. The sacoplasmic reticulum and T-tubules were mostly lost and irregular. Some satellite cells were observed adjacent the muscle fiber, but they were inactive morphologically. On longitudinal view, most of myofibrils in affected muscle fibers were lost generally or partially although the their most sarcomeres were regularly arranged. Z line and myofilaments were lost partially and were partially irregularly arranged. The loss of thin myofilaments was more than that of thick myofilaments. Much debris of cell organelles were scattered among myofibrils. The expression of MyoD and myogenin were decrease significantly and the expression of p-mTOR and p-FOXO1 were decreased, too. On the other hand, MuRF1 was increased significantly. Taken together, the main effect of gastrocnemius muscle by sciatic neurectomy is the atrophy as a result of the loss of myofilaments and cell organelles through the decrease of protein synthesis and the increase of protein degradation.

      • KCI등재

        역동적 정중신경가동기법이 뇌졸중 환자의 손 근활성도 및 악력에 미치는 영향

        강정일,문영준,정대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9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hanges in hand muscle activity and grip strength and provide clinical basic data for predicting the degree of the upper limb function recovery of stroke patients by applying dynamic median neural mobilization to stroke patients for a more efficient increase in grip strength of the affected side. 10 of stroke patients were randomly placed in each group and for a pre-test, hand muscle activity and grip strength of the affected side were measured. A total of 10 interventions were conducted per set (3 sets at a time, once per day, 4 times per week, for 4 weeks). Then a post-test was carried out the same way as the pre-test to analyze the changes. When measuring hand muscle activity of each group, Experimental groupⅠ on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lexor carpi radialis and extensor carpi radialis(p<0.05)(p<0.01). Experimental groupⅡ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of muscles, and all th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ip strength(p<0.01)(p<0.001). When comparing hand muscle activity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of muscles(p<0.05)(p<0.01) and grip strength(p<0.05). It was revealed that dynamic median neural mobilization was an effective exercise program for stroke patients to improve muscle activity and grip strength by stimulating broader surrounding tissues of the hand. This result demonstrates that in order to increase grip strength, which refers to the degree of the upper limb function recovery of stroke patients, in a more effective way, there is a need to make full use of dynamic median neural mobilization. 뇌졸중 환자들의 마비측 악력을 더 효율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들에게 역동적 정중신경가동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손 주위 근 활성도와 악력의 변화를 규명하고, 이를 통해 뇌졸중 환자들의 팔 기능 회복 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임상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각 집단에 10명씩 무작위 배치하고 사전 검사로 마비측 손 주위 근활성도와 악력을 측정하였으며, 총 4주 간, 주 4회, 1일 1회, 1회 3세트, 세트당 10회 중재를 시행하였다. 그리고 사후 검사는 사전 검사와 동일하게 재측정하여 변화를 분석하였다. 각 집단 내 손 근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실험군Ⅰ은 노쪽손목굽힘근과 노쪽손목폄근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p<0.01), 실험군Ⅱ에서도 모든 근육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악력에서도 모든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p<0.001). 두 집단 간 손 근활성도를 비교한 결과에서는, 모든 근육과(p<0.05)(p<0.01) 악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뇌졸중 환자들에게 역동적 정중신경가동기법은 더 넓은 손 주변 조직들이 자극되어 근활성도와 악력 변화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운동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들의 팔 기능 회복 정도를 알 수 있는 악력과 같은 기능을 더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역동적 정중신경가동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후보

        상완신경총 종양에 의한 단일신경병증

        김상준,권정이,강민재 대한근전도전기진단의학회 2013 대한근전도 전기진단의학회지 Vol.15 No.2

        본 저자들은 쇄골 상하부에 걸쳐 위치한 상완신경총 종양을 갖고 있으면서, 근전도 검사 결과 상 단신경병증 유형을 보였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좌측 상지의 저린감을 주소로 내원한 37세 여자 환자가 근전도실을 방문하였다. 시행한 신경근전도 검사 상 좌측 요골감각신경 활동전위 반응크기 감소 외에 다른 이상소견을 보이지 않았으나 자기공명영상 검사 상 상완신경총 전반에 걸쳐 위치한 신경초종으로 진단되었다. 따라서 신경초종이 상완신경총 전반에 걸쳐 위치하여도, 신경근전도 검사 상 침범정도는 다양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신경 펩타이드 Met-enkephalin의 분배함수 근 이론 연구

        류설,김승연,곽우섭 한국물리학회 2014 새물리 Vol.64 No.8

        We perform simulations of the neuropeptide Met-enkephalin by using the all-atom ECEPP/3 force field and evaluate the partition function zeros in the complex temperature plane for this continuous energy model by using Simple Molecular Mechanics for Protein (SMMP) and Wang-Landau sampling method. Through massive computation, the density of states and partition function Z(T) as a function of continuos T are obtained for the neuropeptide Met-enkephalin. From the continuous partition function Z(T), the first zero of Met-enkephalin, 3.55728, is evaluated for the first time by using Wang-Landau sampling method. From both the specific heat and the partition function zeros, the conformational transition temperature T = 396.444 Kelvin is obtained for the neuropeptide Met-enkephalin. The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neuropeptide Met-enkephalin is in good agreement with previous results. 왕란다우 표본잡기 서브루틴을 개발하여 추가한 전원자 펩타이드 (all-atom peptide)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SMMP (Simple Molecular Mechanics for Protein)와 ECEPP/3 포텐셜을 이용하여 연속에너지 모형인 신경 펩타이드 (neuropeptide) \textit{Met-enkephalin}의 분배함수의 근들을 복소수 온도 평면에서 계산하였다. 시뮬레이션으로부터 얻은 신경 펩타이드 \textit{Met-enkephalin}의 상태밀도와 연속온도의 함수로서의 분배함수 Z(\emph{T})로부터 분배함수의 첫 번째근 3.55782를 왕란다우 표분잡기 방법으로 최초로 계산하였다. 분배함수의 첫 번째 근 3.55782로부터 얻은 신경 펩타이드 Met-enkephalin의 상태전이점 \emph{T} = 396.444 Kevin은 비열로부터 얻은 상태전이점과 일치하였고, 이전의 다른 시뮬레이션 방법들로 수행되었던 신경 펩타이드 \textit{Met-enkephalin} 계산결과와도 매우 잘 일치함을 보였다.

      • KCI등재

        신경근증과 혼동을 일으키는 대상 포진

        안영준(Young-Joon Ahn),황창주(Changju Hwang),정경일(Kyeong-Il Jeong),이성우(Sung-Woo Lee),김영태(Yung-Tae Kim),이동호(Dong-Ho Lee),이춘성(Choon Sung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4

        목적: 경추부 및 요추부 신경근증과 혼동을 일으킬 수 있는 대상 포진의 임상 양상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대상 포진과 관련된 상지 또는 하지의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던 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 기록 및 검사 결과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결과: 면역기능저하 환자로서 포진후 신경통 또는 대상 포진 척수염의 후유증이 의심되었던 1예를 제외한 모든 환자가 갑자기 발생한 심한 초기 통증을 호소하였으며, 전구 증상 발생 후 평균 11일만에 전형적인 피부 병변이 나타났다. 3예에서 초진 당시 피부 병변이 나타나지 않은 상태였고, 요추 또는 경추의 자기 공명 영상을 시행한 5예 중 3예에서 환자의 증상에 합당한 소견을 보여 진단에 혼동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었다. 대부분 항바이러스제를 포함한 보존적인 치료로 증상이 호전되었으며,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을 시행한 5예 중 4예에서 50% 이상의 통증 완화 효과가 있었다. 결론: 대상 포진에 의한 상지 또는 하지의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전형적인 피부 병변이 나타나지 않을 경우 신경근증과 혼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철저한 병력 청취와 신체 검사를 통해 이를 조기에 진단하고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함으로써 증상 기간을 줄이고 각종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으며, 오진에 의해 수술 등 불필요한 치료가 시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Purpose: To describe the clinical features of herpes zoster that can be easily misdiagnosed as cervical or lumbar radiculopathy.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diagnostic studies of 7 patients with herpes zoster-related arm or leg pain. Results: Except one immunocompromised patient with suspected postherpetic neuralgia or sequelae of herpetic myelitis, the other 6 patients with herpes zoster complained of very severe initial pain of sudden onset. Three patients did not show skin lesions on initial examination, and 2 of 5 patients with an MRI of the cervical or lumbar spine had findings consistent with their arm or leg pain and may have been confused with radiculopathy. Conservative treatment, including antiviral agents, improved the symptoms of all patients except the immunocompromised one. Selective nerve root blocks of the corresponding dermatomes were performed in 5 patients and extremity pain decreased over 50% in 4 of them. Conclusion: Herpes zoster can be confused with radiculopathy in patients with arm or leg pain if the typical skin lesions have not been developed. Unnecessary treatments including surgery should be avoided by early, correct diagnosis through prudent history taking and physical exam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