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양지수와 식생피복지수를 이용한 몽골의 사막화 분석

        에르뎅솜베 술드(Erdenesumbee Sulderdene),이근상(Lee, Geun Sang),최연웅(Choi, Yun Woong),송장기(Song, Jang Ki),조기성(Cho, Gi Sung) 한국지적정보학회 2017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9 No.1

        최근 급속한 기후변화와 개발로 전세계적으로 사막화가 심각한 환경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andsat 5 영상을 기반으로 토양지수와 식생피복지수를 이용하여 몽골의 사막화를 시계열별로 분석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먼저, 토지피복 클래스의 훈련자료에 대해 통계분석을 수행하여 토지피복 클래스별 토양지수 구간 범위를 결정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시계열 토지피복을 분류할 수 있었다. 그리고 토지피복 클래스별로 오차행렬을 통해 전체정확도와 Kappa 계수를 분석한 결과 분류정확도가 모두 9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시계열 토지피복 분석 결과 1990∼2011년 사이에 산림, 초원, 관목지의 면적이 각각 1.8%, 7.0%, 11.5% 감소한 반면 건조목지, 휴경지, 모래지역은 각각 9.9%, 7.4%, 3.0%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어 사막화가 많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식생이 분포하는 식생피복지수 10 이상의 면적을 분석한 결과 1990, 2001, 2011년도에 각각 74.9%, 34.4%, 60.5%로 나타났다. 따라서 1990년에 비해 2011년의 식생피복지수가 14.4%만큼 감소되어 사막화가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Recently desertification has been major environmental problem with rapid climate change and development all over the world. This study analyzed the desertification of Mongolia using Grain Size Index and Vegetation Index based on Landsat 5 satellite imagery and major results are as belows. Firstly, this study could determine the range of GSI according to the land cover class applying statistical analysis to training data of land cover class and could be classify time series land cover through it. And overall accuracy and Kappa coefficient were analyzed as over 90% through the analysis of error matrix according to the land cover class and analysis showed high classification accuracy. Also analysis showed that the area of forest, grass, shrubs grew down as 1.8%, 7.0%, 11.5% and the area of dry steppe, fallow, barren increased as 9.9%, 7.4%, 3.0% during 1990 and 2011. Therefore it showed that the desertification of Mongolia was progressed during 1990 and 2011. And the area over 10 of vegetation cover index which was the range of vegetation distribution, showed as 74.9%, 34.4%, 60.5% in 1990, 2001, 2011 respectively. Therefore vegetation cover index of 2011 was decreased as 11.4% compared to that of 1990 and it could show that the desertification of 2011 was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1990.

      • KCI등재

        Landsat 8 OLI 영상과 현장조사자료를 이용한 식생피복률 추정

        윤선용(Yoon, Seon Yong),최현(Choi, Hyun),김기홍(Kim, Gi Hong) 대한공간정보학회 2017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5 No.3

        우리나라는 대부분 산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잦은 지역개발과 산불로 인하여 산지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집중호우로 인한 토사재해를 예측하고 관리하기 위해 식생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식생피복률을 추정하는 것은 중요하다.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위성영상의 NDVI로부터 식생피복률을 추정하기 위한 변환식과 매개변수를 구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각 나라마다 산지 식생의 종류와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지역에 적합한 변환식의 매개변수를 구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NDVI를 추출하기 위해 대기보정된 Landsat-8 OLI 영상을 이용하였으며, 공간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전정색 영상을 이용한 pan-sharpening 기법을 적용하였다. 위성영상으로부터 추출된 NDVI를 산지의 식생피복률로 환산하기 위한 현장조사 자료로 환경부에서 시행한 전국환경조사를 이용하였으며, 현장조사된 식생피복률과 위성영상 NDVI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변환을 위한 회귀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변환식과 매개변수는 토양침식을 모델링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There are many mountain areas in South Korea, and the mountain environment changes rapidly due to frequent developments and wild fires. It is important to monitor changes in vegetation and estimate the vegetation cover fraction to predict and manage sediment-related disasters caused by heavy rainfall. Many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find the conversion equation and parameters for estimating vegetation cover fraction from NDVI of various satellite images around the world. However, since the vegetation type and environment of mountain are different in each country,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onversion equation and parameters suitable for our country. In this study, atmospheric corrected Landsat-8 OLI image was used to extract NDVI, and Pan-sharpening method was applied to improve spatial resolution of data. The nationwide environmental survey implemen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as used as a field survey data to convert the NDVI from the satellite images into vegetation cover fraction of the mountain area.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DVI extracted from satellite images and the vegetation cover fraction investigated in the field was analyzed and the regression equation for conversion was proposed. The conversion equation and parameters can be useful for modeling soil erosion.

      • KCI등재

        전면 식생형 보강토 옹벽의 표면온도 저감 효과

        정성규(Sunggyu Jung),이광우(Kwangwu Lee),조삼덕(Samdeok Cho),김주형(Juhyong Kim)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3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4 No.12

        본 연구에서는 장기식생이 가능한 전면 식생형 보강토 옹벽의 식생 환경 적합성을 모니터링하고, 전면벽체 표면온도 측정을 통해 한여름철의 콘크리트 옹벽 전면벽체의 온도 변화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장기식생이 가능하도록 식생 포대를 삽입한 특수 블록 벽체를 시공하여 구절초, 맥문동을 포함한 20여 종의 종자 식재 후 2년간 식생 환경을 관찰하였을 뿐만 아니라, 실제 크기의 식생 옹벽을 건설하여 한여름철 식생 및 무식생 옹벽의 전면벽체 표면온도를 비교·분석하였다. 식생 환경 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 장기 식생이 가능한 블록 내에 식재된 대부분의 식물 생장 상태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생 포대를 삽입한 블록 벽체가 식물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여름철의 식생 옹벽과 무식생 옹벽의 콘크리트 블록 표면의 온도 변화량을 측정한 결과, 식생 옹벽에 비해 무식생 옹벽의 표면온도가 높게 나타났다. 식생 옹벽의 전면벽체의 경우, 무식생 옹벽의 전면벽체에 비해 표면온도 증가율이 작게 나타난 반면, 냉각율은 더 크게 나타나 장기식생이 가능한 전면 식생형 보강토 옹벽은 식생을 통해 열섬효과를 완화하는데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 new type of reinforced earth wall(REW) system is developed with vegetated facing which provides proper environment for long-term vegetation and also applicable to high retaining wall system. Vegetated retaining wall is a green alternative for retaining walls and an effective way to reduce heat island effect than conventional block or concrete systems. Several construction sites using vegetated facing is observed to monitor adaptation state of vegetation and estimate surface temperature of wall facing over two years. It was observed that a number of plants including Siberian chrysanthemum adapt well to the inside of the facing blocks because vegetation bag helps to keep a proper condition for veget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using thermographic camera, average surface temperature of vegetated facing is higher for all ranges of coverage ratio of vegetation. The increment of average surface temperature of vegetated facing is larger than that of non-vegetated facing when the air temperature rises, and vice versa.

      • Eco-Green 사방댐 적용을 위한 C.S.G 공법의 식생 특성

        김용성 ( Kim Yong-seong ),연규석 ( Yeon Kyu-seok ),김영익 ( Kim Young-ik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사방댐’은 사방공사의 하나로 황폐한 산지나 계곡물에서 유출되는 자갈을 모으기 위한 댐으로 산지·계곡물에서 유출되는 자갈을 저류시켜 하천의 하류로 유출되는 자갈의 양을 억제·조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원래 사방 사업은 녹화와 피복을 기본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사업에 해당하나 최근 재해방지 위주의 콘크리트 공작물의 대량 시공으로 생태·환경 및 경관저해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사방댐이 콘크리트로 축조되어 자연환경과 조화되지 못한 점을 해결하고자 토사, 조립재, 시멘트 등의 혼합재료를 다짐공법을 이용하여 축조한 후 식생으로 피복하는 Eco-Green 사방댐을 건설하기 위한 C.S.G 공법의 식생 특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실내시험에 사용된 재료는 강원도 춘천시 효자동에 위치한 강원대학교내 신축공사현장의 터파기시 발생된 재료로써 골재의 입도 분포가 매우 양호하며 운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였으며, 선별기를 이용하여 40~25, 20~10, 10~4.76mm 그리고 4.76mm 이하로 선별 분리하여 사용하였고, 시멘트는 국내 H사의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다. 식생 적용을 위한 품종은 우리나라에서 비탈면 시공에 많이 사용되는 한지형 잔디로 Tall fescue와 Perennial ryegrass 및 난지형 자생 식물인 비수리를 각각 단일 파종한 3 배합과 3 품종을 함께 혼합한 혼파 1 배합으로 하였다. 식생 적용을 위한 공시체는 200×200mm의 각주 공시체를 사용하여 수정 E 다짐과 동일한 수준의 다짐에너지로 다짐을 실하였으며, 다짐 방법에 따른 식생 평가를 위하여 Hilti Vibrating 다짐을 또한 실시하였다. 식생을 위한 공시체의 높이는 식생 후 식물의 뿌리가 관통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도록 100mm로 하였다. 씨앗의 파종은 파종 방법에 따른 식생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씨앗, 상토 및 원재료를 동시 혼합한 후 상부에 약 10mm의 두께로 다짐을 실시하는 배합과 공시체 완성 후 씨앗과 상토를 혼합하여 공시체의 상부에 약 10mm 두께로 포설하는 배합으로 구분하였다. 식생 적용 후 온도 및 외부 환경 조절을 위하여 비닐 하우스내에서 생육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씨앗의 발아 및 생육을 촉진하기 위하여 오전과 오후 두 차례에 걸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하였다. 씨앗의 발아 및 초기 생육 상태를 육안으로 매일 관찰하였으며, 초기 발아일 및 발아율, 피복도, 밀도 및 성장 길이 등을 측정하였다. 식생 적용 결과 다짐 방법, 파종 방법 및 품종에 관계없이 2~3주 안에 씨앗이 모두 발아되었으며, 발아율 또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지형 잔디인 Tall fescue와 Perennial ryegrass의 초기 조성 속도가 아주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수리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높은 피복율을 나타내었다. 초기 조성이 우수한 한지형 잔디와 뿌리의 원지반 고착 및 근계력이 우수한 비수리 등을 혼파 할 경우 사면 안정 및 녹화에 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 녹지 공간 조성을 위한 Green Planting Block에서 장기 식생 특성

        김영익 ( Kim Young-ik ),성찬용 ( Sung Chan-yong ),김태호 ( Kim Tae-ho ),이승훈 ( Lee Seong-hoon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최근 환경문제가 사회 전 분야에서 크게 대두되면서 건설분야에서도 친환경건설공법 및 건설재료 개발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구상의 자원 및 환경보전의 유한성을 고려해 볼 때 생태계를 파괴하지 않고 지구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재료의 개발 및 사용이 절실히 요구된다. 특히 식생콘크리트는 내부에 연속된 공극을 통하여 물과 공기 등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큰 연속공극을 함유하고 있어 식물의 뿌리 및 작은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서 자연친화적이면서 동ㆍ식물의 서식처 제공 등의 생태 및 환경보호 등에 활용될 수 있다. 현재 식생콘크리트의 모체가 되는 포러스 콘크리트에는 시멘트를 결합재로 사용한 포러스 시멘트 콘크리트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골재와 골재의 결합에 의해 강도 발현을 하는 포러스 콘크리트의 구조 특성상 결합재로 사용되는 시멘트의 낮은 결합력에 의하여 강도, 내약품성 및 동결융해저항성과 같은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결합력이 높은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와 재생골재를 활용한 포러스 폴리머 블록에 식생을 적용한 Green Planting Block을 개발하여 도시지역 녹지공간조성에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결합재량에 따른 Green Block의 공극률, 압축강도 및 휨강도 특성과 Green Block에 한지형 잔디 및 초본식물의 식재를 통한 Green Planting Block 에서 식물의 지상부 및 지하부의 장기 생장 특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포러스 폴리머 콘크리트 제조를 위한 결합재는 올소타입의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사용하였으며, 충전재는 탄산칼슘을 사용하였다. 포러스 폴리머 콘크리트의 배합에서 식생 적용 후 뿌리의 활착을 위한 공극 확보와 활착에 따른 골재의 저항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7.5% 결합재량 및 5-20mm의 골재를 적용하였다. 또한, 식생 적용을 위한 Gren Planting Block의 단면은 식생 후 발아율, 피복도 및 식물의 장기 생장 특성 등의 평가가 용이하도록 24×24 cm의 크기로 하였으며, 블록의 높이는 식생 적용 후 식물의 뿌리가 고착되어 성장할 수 있는 필요 공간을 평가할 수 있도록 5, 10 및 15 cm의 세 종류로 하였다. Green Planting Block에서 식물의 생장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발아율, 피복도 및 생장량 등을 파종 후 12개월 동안 측정하였다. 발아율 및 피복도는 육안으로 관찰하여 블록의 높이 및 식물의 종류에 따른 생육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피복도는 시각적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파종 후 4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생장량은 식물의 생장에 따른 지상부의 초장 및 지하부의 뿌리 길이를 직접 측정하여 정량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 KCI등재

        RGB 식생지수를 활용한 밀 군락 엽면적과 군락 피복 및 적정 노출 평가

        이윤호,박혁진,김정원,김보경,장현수,김대욱,윤종탁,황태영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6 No.6

        The leaf area and canopy coverage were important factor for crop production. In recent years, these measurements have been used in digital cameras to measure crop growth as an RGB vegetation index.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of the RGB vegetation indexes, leaf area index (LAI), and canopy cover light interception (CCLI) were evaluated by setting the appropriate exposure value of the camera during the wheat cultivation period. Leaf area index, canopy cover light interception, and digital camera measurements were performed. It was taken within 30 minutes after the sunrise. The exposure value was performed at 3 levels (1/60s, 1/340s, 1/640s). RGB vegetation indexes analysis was performed in Python. The correlation (r2=0.94) was shown between the leaf area index and canopy cover light interception. EXG, GLI, NGRDI, EXG-EXR, MEXG, TGI, MNGRD, and MeXG-CIVE of canopy coverage images were positive correlated with leaf area index and canopy cover light interception. However, CIVE and EXR showed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leaf area index and canopy cover light intercep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1/640s was higher than 1/60s and 1/320s in exposure value. During the separation between the soil and the green ground, the exit was not too young, but the best separation before heading time.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exposure value must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technology that reduces light interference instead of excessive exposure, taking into account the growing stage and weather environment of the crop. 작물 생육 진단에 있어서 군락 엽면적과 군락 피복은 주한 요소 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측정을 디지털 카메라를 활용하여 RGB 식생지수로작물 생육을 측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밀 재배 기간 카메라의 노출 값을 다르게 설정하여 RGB 컬러 식생 지수와 군락 엽면적지수 및 군락피복에대해 평가하였다. 군락 엽면적, 군락 피복 및 디지털 영상 측정은 출수 16일전부터 출수 후 25일까지 하였다. 일출 후 30분 이내에 촬영하였다. 노출 값은 셔터 속도를3 수준(1/60s, 1/340s, 1/640s)으로 하였다. RGB 컬러 식생지수 분석은 파이썬으로 하였다. 실제 군락 엽면적과 군락피복간에는 정의 상관관계(r2 =0.94)를 보였다. 군락 피복 이미지의 ExG, GLI, NGRDI, ExG-ExR, MExG, TGI, MNGRD 및 MExG-CIVE는군락 엽면적 지수와 및 군락 피복과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CIVE와 ExR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 1/640s 가 1/60s와1/320s에 비하여 노출이 높게 설정된 것으로 보였다. 또한, 토양과 녹색 영역을 분리하는데 있어서 너무 어린 시기 보다는 출수 전이 가장 잘분리되었다. 따라서 야외에서의 다양한 광 조건에서는 과도한 노출보다는 광 간섭을 줄이는 기술과 함께 작물의 생육 시기와 기상환경을 고려하여노출 값이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토지이용변화와 식생피복지수(FVC)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

        마캉,김용석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3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9 No.2

        Veget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onstruction of a region, so the change of vegetation coverage (Fractional Vegetation Cover; FVC) is an important research field of urban geographical environment change. Land cover is also used in various fields in urban expansion and development. In this paper, Landsat Multi-temporal Satellite Image data (1999, 2010, and 2019) were used to analyze the effect of land use changes on the vegetation cover index (FVC) centering on Busan. ENVI 5.6 was used for satellite image processing and normalization vegetation index (NDVI) analysis, and ArcGIS was used for time series land use change analysis. As a result, the average vegetation cover index was 0.571, 0.568, and 0.542, respectively, and a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 was derived to objectively analyze the presented FVC value and land use change data.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FVC in Busan decreased gradually from 1999 to 2010, but the rate of decline in FVC values from 2010 to 2019 accelerated, consistent with the increase in urbanized areas due to urbanization. The FVC value in Busan fell by about 5.1% over the past 20 years, of which urban construction sites increased the most to 15.6%, and forest increased by 4.5%. Although the increase between the two factors is large,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 on FVC change due to conservation of vegetation in the urban development process is relatively low. 식생은 한 지역의 환경 및 생태 건설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식생 커버리지의 변화(Fractional Vegetation Cover; FVC)는 도시 지리적 환경 변화의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토지피복도는 도시의 확장과 개발에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부산시를 중심으로 토지이용변화가 식생피복지수(FVC)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시기(1999년, 2010년, 2019년) Landsat 위성영상 자료를 이용하였다. 위성영상 처리와 정규화식생지수(NDVI) 분석은 ENVI 5.6을 이용하였으며, 시계열적 토지이용변화 분석은 ArcGIS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평균 식생피복지수는 각각 0.571, 0.568, 0.542로 나타났으며, 제시된 FVC값과 토지이용변화 자료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각 인자 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1999∼2010년까지 부산시의 FVC는 완만하게 감소하였지만, 2010∼2019년의 FVC 값의 하락 속도가 가속화되어 도시화 과정에서 도시건설로 인한 시가화 건조지역의 증가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부산시의 FVC값은 20년 동안 전체적으로 약 5.1% 하락했으며, 이 중 도시건설 용지가 15.6%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임야는 4.5%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두 인자 간의 증가 폭은 크지만, 도시개발과정에서 식생의 보존 등으로 인하여 FVC 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계안비탈면에 시공한 식생기반재돌망태기슭막이의 녹화효과 분석

        양재경,김지수,박재현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5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9 No.6

        이 연구는 식생기반재돌망태기슭막이의 녹화효과를 분석하였다. 식생기반재돌망태기슭막이 시공 후 20일 경과 후 식생이 발아하기 시작하였으며, 봄의 피복율은 약 20%를 나타내었다. 여름에는 피복율이 약 65%로 나타났으며, 출현종은 파종한 목본인 낭아초, 참싸리 모두 출현 하였으며, 초본으로는 벌노랑이, 자운영, 수레국화, 기생초, 코스모스 등 5종이 출현하였다. 이때 침입식생은 개망초, 새, 벼룩자리, 버들잎엉겅퀴, 미국자리공, 망초, 미국가막사리, 민들 레, 아까시나무, 찔레, 물쑥, 매듭풀, 자귀나무, 바랭이, 쇠무릅 등 15종이었다. 가을에는 피 복율이 약 82%로 나타났으며, 출현종은 6종, 침임식생은 5종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생기반재 돌망태기슭막이와 전석기슭막이, 식생낭기슭막이를 비교한 결과, 식생기반재돌망태기슭막이만 녹화효과가 나타났다. This study was analyzed revegetation effect of gabion systems with vegetation base materials revetment. After construction of the gabion systems with vegetation base materials revetment the seed germination was started in 20 days later. Also, in the spring and summer season, the surface coverage rate of gabion systems with vegetation base materials revetment was appeared about 20% and 65%, respectively. Among the investigated plants, sowed woody plant(Lespedeza cyrtobotrya Miq. and Indigofera pseudotinctoria Matsum.) was occurred about 100%. In addition, five species herb plant(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a Regel, Astragalus sinensis L., Centaurea cyanus, Coreopsis tinctoria Nutt. and Cosmos bipinnatus Cav) appeared. At this time, the 15 invasive vegetation species were Erigeron annuus PERS., Arundinella hirta, Arenaria serpyllifolia L., Cirsium lineare(Thunb.) Sch. Bip, Phytolacca americana, Erigeron canadensis, Bidens frondosa L., Taraxacum platycarpum Dahlst., Robinia pseudoacacia L., Rosa multiflora var. multiflor Thunb., Artemisia selengensis Turcz. ex Besser, Kummerowia striata (THUNB.) SCHINDL., Albizia julibrissin Durazz., Digitaria sanguinalis (L.) Scop and Achyranthes japonica (Miq.) Nakai. In the fall season, the surface coverage rate of gabion systems with vegetation base materials revetment was appeared about 82%. And appeared species and invasive vegetation species were six and five species, respectively. Consequently, compared to the gabion systems with vegetation base materials revetment, Streanm stone revetment and vegetation bag revetment were results demonstrated revegetation effect only the gabion systems with vegetation base materials revetment.

      • KCI등재

        GIS 기반 지적도와 연계한 토사유실 평가기법 개선

        이근상,조기성 한국지적정보학회 2019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21 No.3

        In this study, we updated the latest land cover information by linking cadastral information in the GIS environment and used it to evaluate soil loss.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 of the land cover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hich is difficult to update periodically, eight categories were selected from the cadastral maps for the assessment of soil loss. This enabled us to effectively update the land cover map used in the latest assessment of soil loss.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vegetation cover factor using the updated land cover map, it was analyzed that the cover management factor decreased from 0.111 to 0.107 due to urbanization. And soil loss was increased by 14.1% from 749,154 tons to 872,486 tons. Thus, in this study, the soil loss was assessed in connection with the cadastral map,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land cover map in connection with the cadastral map was demonstrated by comparing with the calculated soil loss using the land cover map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본 연구는 GIS 환경에서 지적정보를 연계하여 최신의 토지피복 정보를 갱신하고 이를 활용하여 토사유실 평가를 수행하였다. 먼저 주기적인 갱신이 어려운 환경부 토지피복도 문제를 개선하고자 지적도로부터토사유실 평가에 활용 가능한 8개 지목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최신의 토사유실 평가에 활용될 토지피복도를 효과적으로 갱신할 수 있었다. 갱신한 토지피복도를 활용하여 식생피복인자를 계산한 결과, 도시화의 영향으로 식생피복인자가 0.111에서 0.107로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토사유실량은 749,154 ton에서 872,486 ton으로 약 14.1%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지적도와 연계하여 토사유실량을 평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환경부 토지피복도를 활용하여 계산한 토사유실량과 비교함으로서 지적도와 연계한 토지피복도의 효용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 녹화공법 적용을 위한 포러스 폴리머 콘크리트의 개발 및 식생 블록 내 생장 특성

        성찬용 ( Chan-yong Sung ),김영익 ( Young-ik Kim ),김태호 ( Tae-ho Kim ),이승훈 ( Seong-hoon Lee )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0 No.-

        건설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구조물의 대형화 및 고층화 등 사용환경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새로운 건설재료에 대한 인식이 대두되면서 강도 뿐만 아니라 내마모성, 내충격성, 내약품성 및 내동결융해성 등과 같은 내구성이 매우 우수한 고분자 재료인 폴리머를 활용한 폴리머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콘크리트를 환경친화적인 재료로 개발하는 연구가 확대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서 환경보존 및 생태계와의 조화를 도모한다는 의미에서 환경친화적인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다공성 콘크리트의 공극을 활용하여 식생을 적용한 식생콘크리트는 자연친화적이면서 동·식물의 서식처 제공 등의 생태 및 환경보호가 가능하여 하천 호안 및 사면 등의 녹화 공법에 활용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결합력이 높은 불포화폴리에스터 수지와 쇄석을 활용한 포러스 폴리머 콘크리트 및 포러스 폴리머 블록 내 식생 적용을 통한 식생 폴리머 블록을 개발하여 하천의 호안 및 사면의 녹화 공법에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포러스 폴리머 콘크리트의 공극률 및 압축강도와 다공성 폴리머 블록에 한지형 잔디 및 초본식물의 식재를 통한 식생 폴리머 블록 내에서의 식물의 초기 발아 및 생장 특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포러스 폴리머 콘크리트 제조를 위한 결합재는 올소타입의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사용하였으며, 충전재는 탄산칼슘을 사용하였다. 골재는 5-10mm 및 5-20mm의 쇄석을 사용하였으며, 포러스 폴리머 콘크리트블록 내 식생 적용을 위한 품종은 녹화시 피복 밀도가 높으며, 초기 생육속도가 우수하여 우리나라의 비탈면시공에 많이 사용되는 한지형 잔디인 톨훼스큐(Tall fescue) 및 페레니얼 레이그라스(Perennial ryegrass)와 다년 초본식물로서 난지형 자생 식물인 비수리(Lesedeza) 및 알파파(Alfalfa)를 선정하였으며, 각각 단일 파종하였다. 포러스 콘크리트 블록에 식생 적용 결과 식생 종류에 관계없이 초기 발아 시점은 5~7일로 나타났으며, 파종 후 2주가 경과한 시점에서 한지형 잔디의 경우 80% 이상의 높은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파종 후 4주가 경과한 시점에서 한지형 잔디의 경우 초기의 높은 생장으로 인하여 8~9점의 높은 피복도를 나타내었으며, 발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비수리는 6점 이하의 피복도를 나타내었다. 파종 후 8주가 경과한 시점에서 한지형 잔디의 생장량은 16~22cm로 높은 생장량을 나타낸 반면에 자생식물은 3~6cm의 생장량을 나타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