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백제 식기(食器)의 양상과 식사문화

        정수옥(Jung, Su-Ock) 중앙문화재연구원 2015 중앙고고연구 Vol.0 No.17

        본고는 백제 한성기~웅진·사비기 식기의 양상과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당대의 식사문화를 복원해 보고자 하였다. 식기는 넓은 의미로는 먹을 것을 만드는데 필요한 기구, 먹는 장소에서 쓰는 기구와 기명도 포함된다. 또한 재질별, 용도별로 분류될 수 있는데, 재질별로는 토제, 목제, 금속 제, 유리제 등이 있으며, 용도별로 분류해 보면 배식기, 저장기, 조리기 그리고 식사 시 사용되는 식사구가 있다. 백제시기 식기의 변화는 크게는 2차에 걸친 획기로 구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차 획기로 보이는 백제 한성기에는 배류, 완류, 접시류 등 동일 기종 내에서도 세부 형태들이 다양하게 등장하고 평저에 굽이 없거나 낮은 굽이 일부 확인되는 양상을 띠는 배식기가 유행하고 있다. 즉 중국의 식기 문화가 도입되면서 중국 자기들의 영향으로 기존의 토착문화 속에서 중국 자기를 모방하면서 새롭고 다양한 기종이 융합하여 제작된 것이다. 이후 사비기에 들어서면서 중국과 고구려 식기의 영향이 더해짐으로써 2차 획기가 나타난다. 고배, 삼족기 등의 토기가 감소하고 굽이 높은 대부, 평저 양식의 식기가 유행한다. 특히 대부완은 중앙지역에서만 나타나는 고급식기류로 이는 백제 사비기 사회적 배경으로 인해 귀족층들의 선호도가 변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완은 고대 한국, 중국, 일본의 식기 중에서 중심 식기로 등장한다. 작은 완을 이용한 식사 방법은 음식의 개별 분배 방식과 관련된다고 볼 수 있으며, 匙箸를 사용하는 동아시아에 매우 적합한 형태의 식기였던 것이다. 그리고 공통적으로 좌식의 飯床문화가 보급되는데, 이는 중국의 漢代~魏晋代까지의 식사양식으로 한국과 일본의 식사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반상문화는 백제의 경우 좌식의 식사문화가 지속되고 이후 시기까지 이어지지만, 중국은 唐代부터 입식의 식 탁문화로 변화되는 양상이 나타난다. 본 연구를 통해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백제의 식기와 식사문화의 변화상을 살펴본 결과 식사 문화가 계층화되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백제의 사회변화를 다양한 관점에서 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 and characteristics of the kitchenware of the Baekje Dynasty from the Hanseong to Ungjin and Sabi periods and thereby restore the contemporary dining culture. In a broad sense, tableware includes utensils and appliances needed to make food, as well as cutlery and dinnerware used to eat food. It may be classified by material and purpose. By material, it includes earthenware, woodenware, metalware, and glassware, while by purpose, it includes dispensing, storage, cooking, and eating. Meanwhile, bowls characteristically constitute major tableware in the tableware from the ancient periods of Korea, China, and Japan. This shows that the dining method using smaller bowls has to do with how food is served to individuals, thus suggesting that it was the most appropriate tableware for East Asia where people use spoon and chopsticks. And the culture with on-floor level dining table was introduced to all three countries, a dining style that prevailed from Han Dynasty through Wei and Jin Dynasties, which influenced the dining culture of Korea and Japan. As for the use of on-floor level dining table, the floor dining continued through Baekje and beyond, whereas in China it changed to the use of dining table and chairs from Tang Dynasty. The study aims to bring light on the dining culture of the Baekje Dynasty through tableware and floor dining table, which previously failed to draw attention from archeology. By focusing on the use of tableware and floor dining table, I have made it clear that the period saw the stratification of the contemporary dining culture. I expect that this thesis will serve as a method to describe social change from various perspectives.

      • 동아시아 3국의 공통 식사도구의 전파ㆍ수용 및 변화에 대하여

        정미선 국민대학교 동양문화디자인연구소 2009 Journal of Oriental Culture&Design Vol.1 No.1

        The three main countries in Northeast Asia region, China, South Korea, and Japan had established their cultures by having a close connection between one another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feature of traditional gastronomic culture especially focusing on chopsticks, which was the most common tool for eating for the three countries, and to propose a new food environment suitable 10 our new era. Currenlly, Chinese people use chopslick along wilh Renge which is a Iype of spoon. Korean people use chopsticks along wilh a spoon. However, in Japan, mosl of people use just chopsticks. Although thesese three counlries may look 10 have a similar food life cullure by using the same chopsticks, it may be distinctive by having a food or environmental difference. Then, we will be able to analyze why the distinction occurred and know the birth of the use of chopsticks by looking at the literatures, excavated articles, and wall paintings and so forth. Throughout this research, we will analyze the historical change of chopsticks and focus on the difference of their food culture. It could be the basic materials for comparing the features, functions, and research for future modeling of chopsticks. Also, it could be the basis for proposing a new food tools and new food environment for our global. 동아시아의 한 · 중 · 일 3국은 오랫동안 상호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전통적 문화를 형성해왔다. 이번 연구에서는 3국의 공통된 식사도구인 젓가락을 중심으로, 각 국의 전통적인 관습에 따른 식사문화의 특징을 비교분석하고, 새롭게 변화되는 국제화 시대에 알맞은, 새로운 식사도구와 식생활 환경을 제안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현재, 3국의 식사문화를 비교해 보면, 중국에서는 젓가락을 주요 식사도구로 렝게(숟가락의 변형)와 함께 사용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젓가락과 숟가락을 세트로 병용하고 있다. 한편, 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젓가락 만을 사용하는 식사문화가 형성되었다. 일반적으로는 동아시아권 역사 및 문화적인 배경의 공통적인 성격에 초점을 맞추어 한, 중, 일 삼국이 젓가락을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유사한 식사 문화를 형성하였다고 볼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각 국의 식생활 환경에는 차별화 된 특정이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젓가락 사용에 상이점은 무엇인지와 어떠한 배경이 원인이 되었는지에 대한 연구를 동아시아 3국의 젓가락의 탄생부터 현재까지의 문화적 요인과 배경 등을 출토품, 문헌 및 벽화 등을 통하여 고찰.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3국의 식생활 환경의 차이점을 인지하고 젓가락의 시대별 디자인 및 기능상의 특징 및을 비교 분석할 수 있었고 새로운 국제화 시대의 식사도구 및 식생활 환경을 제안할 수 있는 기초를 확립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사회 음식 문화의 현대적 전개 :

        김선업(Kim Sun Up),김흥주(Kim Heung Ju),정혜경(Chung Hae Kyung) 동양사회사상학회 2015 사회사상과 문화 Vol.19 No.2

        본 연구는 한국사회 음식 문화의 사회문화적 특징을 형식과 내용의 두 가지 측면으로 구분하여 사회 변동과의 연관성 속에서 분석한 탐색적 시도이다. 식사 양식의 공동체성과 전통적 음식정체성을 준거로 지난 십여 년 동안 음식문화의 변화를 경험적 자료를 활용하여 그 특성을 규명하였다. 식사 양식의 공동체성 분석을 위하여 생활시간의 시계열적 자료와 서구 사회의 자료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음식정체성 탐구를 위해서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주요 발견은 다음과 같다. 형식의 측면에서 가족식사는 탈공동체 과정에 있지만 전체 식사시간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으며, 가족에서 벗어나고 있는 식사는 개인화 양식으로 변환되기 보다는 또 다른 집단화의 특징을 보여준다. 이같은 변화 양상은 서구사회와 다른 궤적을 보여주는 것으로써 집단화의 구체적인 양상에 특별한 주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정체성 측면에서는 전통먹거리에 대한 정체성이 먹거리 인식의 기저에 견교하게 자리 잡고 있지만, 실제 먹기에서는 기능과 실용의 의도가 강하게 작용하여, 인식과 실제 먹기 사이에 격차를 드러내고 있다. 또한 먹기를 통한 개성이나 가치의 모색은 제한적 수준에 그치고 있어 먹기 내용의 측면에서 개인화 수준은 두드러지지 않았다. 가족식사의 탈공동체화 이후, 새로운 집단성을 둘러싸고 유동하고 있는 식사 형식, 그리고 정체성에 대한 강한 인식과 실제 먹기 행동 간의 간극으로 특징지워지는 음식 문화의 내용은 상호 영향을 미치면서 향후 한국사회 음식 문화의 전개 방향을 규정할 것으로 판단된다. 먹거리를 매개로 하는 새로운 음식공동체의 형성은 먹거리 체계의 구조적 경직에 대응하여 문화의 내용과 형식에서 자율성과 역동성을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확보할 것인가에 달려있다.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ood cultue in the views of eating patterns and food identity experiening past two decades. We used two research methods, the one was a longitudianl and comparative analysis of practices of eating using time-use survey data in Korea and Western four countries, the other was a depth interview of young college students in their twenties about food indenties. Our findings are summaried as following. In the meal patterns, family meals was experienced the de-communalization gradually not being together in family dinner and spending shorter times, while total meal times was not decreased and didn’t eat alone. This means non-individualization of eating mode, and can be understood as the another collectivity forms of eating is enduring. In the food identity, we found comparatively strong traditional food identity was formed among younger generation. Meanwhile, practical eating behavior was affected by convienence motive or functional necessity and also founded few evidences supporting individualization of appetite based on pursuit of liberated individual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are the dual dynamic forces underlying food culture, which can lead to alternative food community building or dependent eating culture forced by external food systems.

      • KCI등재

        일본의 밥상문화에 관한 고찰-음식 및 식사와 관련된 사회적 맥락과 문화적 태도-

        임경택 비교민속학회 2018 비교민속학 Vol.0 No.67

        이 글은 기존의 음식문화 연구가 주로 식품가공 즉 요리에 중점을 두고 이루어져 온 것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식사행동에 대해서도 분석하고자 하는 목표를 세우고 ‘밥상문화’라는 개념을 제시하였다. 일본 열도에 벼농사가 전해진 이래로 쌀과 생선을 중심으로 하는 음식문화가 생겨났고, 귀족과 승려 그리고 무사층이 주도하는 요리양식이 발달하였다. 에도시대가 되면 일본요리의 원점이라 할 수 있는 카이세키(会席) 요리가 성립되었다. 그리고 상류층이 독점해 왔던 요리가, 요리서가 보급되고 요리집이 영업을 하게 되면서 일반 민중과 농촌 지역에까지 확산되어 갔다. 쌀과 생선을 중심으로 하는 식사 유형은 에도시대까지 계속되어, 일반 서민들은 육식을 금지당했다. 하지만 메이지 시대에 들어와 육식금지가 해제되고, 서양풍의 요리를 수용하면서 육식이 증가하게 되었다. 서양요리는 요리집과 요리책이라는 매개들을 통해 일본 사회에 급속도로 확산되어 갔는데, 이 서양요리도 일본요리와 혼합하여 ‘양식’이라는 장르를 성립시켰고, 그것은 곧 가정요리의 탄생으로 이어져 간다. 이 글에서 특히 주의를 기울인 것 중 하나는, 상층계급의 요리가 일반 서민 사이에 일반화되어 가는 과정이었는데, 그 과정에서 출판물과 교육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요리에 관한 출판은 에도시대부터 시작되어, 처음에는 주로 실용서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근대에 들어와 요리에 관한 과학적 연구가 시도되었다. 근대의 여학교에서 실시한 조리실습 등의 교육과 군대식의 보급은 일본에서 서양요리를 보급하는 데 결정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한편, 식사를 하는 장소도 가옥구조의 변천과 함께 변화해 왔다. 식사 전용 공간이 따로 없던 전통 가옥에서는 개인이 각각 사용하는 하코젠을 가지고, 각자의 정해진 위치에서 식사를 했다. 20세기 초가 되어 도시중산층의 직장인 가정에서부터 차부다이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는데, 이는 가족 구조의 변화가 반영된 것이었다. 그리고 2DK 구조의 공동주택에 식탁이 들어오게 되었다. 이처럼 식사 장소는 가족과 주거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이었다. 또한 쇼진 요리에서부터 식사에 철학적 개념이 부여되고, 인간관계가 확대되면서, 식사예법도 강조되었는데, 특히 고대(헤이안시대)로부터 사용해 온 젓가락과 관련한 예법은 지금도 크게 변하지 않고 지속되고 있다. 이를 통털어 ‘밥상문화’라고 부르고 있다. This article critically examines the fact that the existing food culture research has mainly focused on food processing, ie, cooking, and has set the goal of analyzing the eating behavior, and presented the concept of ‘dining-table(밥상) culture’. Since rice cultivation on the Japanese islands, food culture centering on rice and fish has emerged, and noble, monk and samurai-led cooking styles have developed. In the Edo period, Kaiseki cuisine, which is the origin of Japanese cuisine, was established. And the food that the upper class has monopolized spreads out to the general public and the rural area as the cooking book is spread and the cooking house is opened. The type of meals centered on rice and fish continued until the Edo period, and ordinary people were prohibited from eating meat. However, during the Meiji era, the prohibition of meat-eating was lifted, and meat-eating increased as Western-style dishes were accepted. Western cuisine has been rapidly spreading into Japanese society through the medium of cooking houses and cookbooks. This Western cuisine has also been combined with Japanese cuisine to establish a genre called “western food”, which is the birth of home cooking. Particular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fact that publications and education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generalization of food of the upper classes among ordinary people. This publication, which was started in the Edo period, was originally centered on practical books, but in the modern age, scientific research on cooking was attempted. Education and military service such as cooking exercises conducted in modern girls’ schools played a crucial role in spreading western cuisine in Japan. On the other hand, the place to eat has changed with the change of the house structure. In a traditional house where there is no space dedicated for meals, each person has their own hako-zen, and they eat at their respective designated locations.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t began to use Chabudai from the workplace family of urban middle class, reflecting the change in family structure. And the dining table came into the apartment with 2DK structure. As such, eating places were greatly affected by family and housing. In addition, philosophical concepts have been given to shojin dishes and meals, and as human relationships have expanded, the method of eating has also been emphasized. In particular, the rules concerning chopsticks used from ancient times (the Heian era) have not changed much. It is called “dining table culture”.

      • KCI등재

        아제르바이잔 한류 팬을 통한 음식문화에 관한 연구

        마심리레일라 ( Masimli Leyla ),박미숙 ( Misuk Park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5

        음식문화는 집단의 정서를 포괄하고 있기 때문에 외국인들을 보다 깊게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아제르바이잔 한류 팬의 한국 음식문화 인식을 통해 아제르바이잔 음식문화와 비교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증가하는 아제르바이잔인을 이해를 돕고자 한다. 연구는 한국음식에 관심이 많은 아제르바이잔의 한류 팬 5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고 이를 음식 재료, 식사하는 방법, 식사 예절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제르바이잔은 대부분 소고기와 양고기를 이용한 음식이 많으나 한국 사람들은 육류보단 채소를 즐겨 먹으며 건강을 우선시 하였다. 둘째, 한국의 젓가락 문화와 다르게 아제르바이잔은 손가락으로 먹는 문화가 아직 남아 있으며, 찌개를 같이 먹는 한국의 음식문화를 신기해하였다. 셋째, 한국 사람들은 음식을 먹으며 소통하고 상호작용하는 것을 중시하지만 아제르바이잔 사람들은 개인중심의 서양문화와 이슬람 문화가 공존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에 거주하는 아제르 바이잔 사람들의 음식문화를 이해하는 기초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The food culture is so helpful to understand foreigners because it encompasses group emoti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mpare with the food culture of Azerbaijan through recognition of Korean food culture of K-Wave fans from Azerbaijan. Through this, we want to help understand Azerbaijan growing in Korea.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K-Wave fans from Azerbaijan who are interested in Korean food and analyzed them by dividing them into food ingredients, how to eat, and table manners. First, the Azerbaijan used to eat beef and lamb, but Koreans enjoy eating vegetables and put health first. Second, the way to eat food is different from the Korean chopsticks culture, Azerbaijan still has finger culture and they are curious about the Korean food culture of eating stew together. Third, Koreans value interacting and communicating with food while the Azerbaijan had a mix of individual Western culture and Islamic culture. As such, Korean food culture and Azerbaijan food culture are many different. I hope this study will serve as basic data to understand food culture of Azerbaijan people living in Korea.

      • KCI등재

        국어 문화에 대한 교육 내용으로서의 어휘사 교육 연구

        최소영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1 국어교육연구 Vol.28 No.-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perspective on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Cultural education is not enough now, although the aim of Korean education always includes the statement about Korean culture. It's possible to supplement some contents for cultural education, keeping the area and system of Korean education. Observations in historical changes of vocabularies are taken part in cultural education contents. Vocabularies shows us very good examples of culture, especially lexical history contains amount of excellent samples about certain culture. Lexical history education can lead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al literacy. Therefore lexical history education can be an important part of culture education. This study is described some lexical history education about very basic materials of life in Modern Korean: ‘Yang-bok’(suit), ‘Ja-jeon-geo’(bicycle), ‘Shik-sa’(meal). Modern Korean lexical histories reflect dynamic movements of history and culture such as today. It's useful that students may be aware of their own language habits and ways of thinking, and eventually they can have an effect on the culture. 본고는 국어교육의 목표에 부합하는 교육 내용의 설계를 위해서 국어 문화에 관한 내용이 더욱 강화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국어 문화의 교육 내용을 마련하는 방향으로는, 먼저 국어 문화를 범주화한 후 기존의 국어교육 내용을 재편하는 길과 기존 국어교육의 틀은 유지하되 국어 문화적 내용을 보강하는 길을 생각할 수 있다. 전자에 대해서는 아직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하며 후자로도 문화적 내용을 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아 후자의 관점을 택하였다. 이어서 국어 문화의 교육 내용을 풍부하게 하는 어휘사 교육에 주목하였다. 어휘사는 삶의 모습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역사적 실체이므로, 어휘사 교육은 국어의 발전과 문화적 문식성 함양에 기여한다. 교육 내용이 되는 어휘사는 교육 목표에 따라 다양한 범주화가 가능한데, 본고에서는 국어사의 시대 구분에 따라 범주화하고, 역사와 문화의 격변기였던 근대국어의 어휘사를 예로 들어 교육의 실제를 보였다. ‘양복’의 예에서는 성차별적 문화를, ‘자전거’의 예에서는 외래 문물 수용에 대한 문화를, ‘식사’의 예에서는 예절 문화를 중심적으로 살펴보았다. 학습자는 일상생활 속 어휘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자신의 언어생활 습관이나 가치관이 언어 변화, 나아가 문화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다.

      • 밥상머리의 교육 -다문화가정의 밥상과 중산층가정의 식탁-

        서나래(Seo, Narae) 전북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8 교육문제연구 Vol.24 No.1

        In Korean, Bap(밥) indicates cooked rice narrowly but it is commonly called Korean food. Bap and/or Korean food is easily considered as ethnic food and national food, however it is merely a result of cultural hybridity. Even in this time, the collaboration and hybridity of food ingredients, recipe, and table manners from other culture, are consistently continued. Multiculturalism as educational practice, has become one of the important issues in Korean society of 21st century. In the view point of food culture, multiculturalism has not been treated as a new issue. Rather, it lasts for long time as a phenomenon in grocery market, kitchen, and our dining table, even though people don’t aware it. This article as educational practice, aims check our table and discusses educational value of dining. 우리가 일상적으로 접하는 밥, 혹은 한식(韓食)이라는 것도 고정불변의 전통 음식이 아니라 끊임없는 문화 혼종성(cultural hybridity)의 결과이다. 식탁 위에서 일어난 다른 문화권 식재료, 조리법의 수용과 식사예절로서 계층 문화의 변화는 현재에도 끊임없이 지속되고 있다. 교육적 실천으로서 ‘다문화’는 21세기 한국 사회의 새로운 화두로 등장했지만 식탁 위에서 본다면 다문화는 그다지 새로운 것이 아니며, 이미 오랫동안 시장에서, 부엌에서, 밥상에서 우리도 모르게 일어나고 있는 현상이다. 이 글은 다문화의 교육적 실천으로서 우리 주변의 식탁을 점검하고, 식사의 교육적 가치를 이야기하려고 한다.

      • KCI등재

        중국 내 조선족 부엌문화의 전통과 변화 -한국인 · 한족 문화의 영향을 생각하며-

        박선미 비교민속학회 2019 비교민속학 Vol.0 No.68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traditions and changes of the kitchen culture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kitchen culture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can be classified into a continuation of Korean tradition and an acceptance and change of Han chinese influence. Kitchen structures, while continuing Korean kitchen culture traditions, are in the form of Hamkyong Province style houses corresponding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of China and as housing structures changed according to the national policies of China, kitchen structures changed as well. The kitchens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kitchens of the Koreans and the Han chinese, which were independent spaces, were practical spaces consisting of an area that combined the living room and kitchen and they could be used for multiple purposes such as cooking, eating, heating, and sleeping. Factors for such changes in the kitchen structures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include the birth control policy of China after reform and opening up and housing improvement projects. With regard to changes in kitchen tools and cooking method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Han people were accepted but there were some transformations made to suit the kitchen culture characteristics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such as the ‘junbyeong gama(pancake kiln)’.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Korean-Chinese style junbyeong gama(pancake kiln), stir-fried dishes often appeared in meals, cooking times were shortened, and steam that filled the house was reduced. Also, food storage rooms exist in a form that combines the ‘Um(cellar)’ form of the Han chinese and the buried crock style of the Koreans and this has taken its place as a culture that represents Ethnic Koreans in China. 이 연구는 중국 내 조선족 부엌문화의 전통과 변화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연구 결과, 조선족의 부엌문화는 한국인의 전통을 지속하는 것, 한족의 영향을 받아 수용한 것과 변용한 것 등으로 구분되었다. 부엌의 구조는 한국인의 부엌문화 전통을 지속하면서도 중국의 자연환경에 조응한 함경도식 형태이며, 중국 국가정책에 따라 가옥구조가 변화되면서 부엌구조도 바뀌었다. 한국인과 한족의 전통 부엌은 독립된 공간으로 이루어졌으나 조선족 부엌은 정지와 정지간으로 이루어진 실용적인 공간으로서 취사․식사․난방․취침 등의 다용도로 기능했다. 이러한 조선족 부엌의 구조와 기능이 변화된 요인으로는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 산아정책제한, 주택개량사업 등을 꼽을 수 있다. 조리도구와 조리법의 변화에 있어서는 한족의 문화적 특성을 수용하되 ‘전병가마’와 같이 조선족 부엌문화의 특성에 맞춰 변용한 부분도 포착되었다. 조선족식 전병가마의 도입으로 식단에 볶음채가 자주 등장하는 식생활을 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조리 시간을 단축하고, 여러 종류의 음식을 한 번에 조리할 수 있으며, 집안에 서린 김도 잡아주었다. 또한 조선족식 음식저장소는 한족의 ‘움’ 형식에 한국인이 땅 속에 장독을 묻어 보관하는 형식을 결합한 형태로 존재하며, 오늘날 조선족을 대표하는 문화 가운데 하나로 자리 잡았다.

      • KCI등재

        밥에 대한 이미지가 유대감 형성과 식사문화 정착에 미치는 영향

        김수인(Kim, Su In),강진희(Kang, Jin-Hee),이진선(Lee, Jin Seon) 한국외식경영학회 2016 외식경영연구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밥에 대해 우리 민족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가 가족 내 또는 조직 내 구성원들의 유대감 형성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더 나아가 이러한 밥의 이미지가 식사 주방문화 정착에 미치는 영향을 증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 결과 밥의 이미지의 하위요인인 영양성, 관계성, 전통성, 본질성은 유대감 형성과 식사문화 정착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유대감은 식사문화 정착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대감은 밥의 이미지가 식사문화 정착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밥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이미지들을 강화한다면 가정이나 조직구성원들의 유대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의 건강, 더 나아가 식사문화 정착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nd analysis how image that our people have affect on my family or my organization connectedness formation and then it was carried out to demonstrate that this rice image was a significant variable affecting the meal culture settlement. As a result of this study, research model was verified that nutrition, relationship, tradition and nature in rice image sub-factor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nnectedness formation and meal culture settlement, and connectedness formation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eal culture settlement too, And also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onnectedness form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of rice image and meal culture settlement, nutrition, relationship, tradition and nature factors were found on the part mediating effects in statistics. Through this study, If it will be strengthen the image that you have, it has been proven that my organization connectedness formation and furthermore meal culture settlement.

      • KCI등재

        百濟寺院과 日本 飛鳥寺 三金堂의 源流

        이병호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3 百濟硏究 Vol.57 No.-

        It has been proposed and is widely accepted that the site plan of the 'Three Golden Halls (三金堂)' of Asukadera (飛鳥寺), the very first full-on Buddhist temple in Japan, was modeled upon that of Goguryeo, since there was no known case of Three Golden Halls other than those of the Goguryeo Cheongam-ri Temple site, at the time when the ruins of Asukadera were unearthed. Aside from the Three Golden Halls, however, Asukadera shows no other commonalities with Goguryeo temples. This paper argues that the site plan of Asukadera was originated from Baekje on the basis of Goguryeo features found in Baekje culture and new elements identified in Baekje temples comparable to the Three Golden Halls of Asukadera. Initiated in the late fifth and early sixth century, the introduction of Goguryeo culture into Baekje gradually reached the ruling class from the mid-sixth century, as evidenced by the Goguryeo style mural paintings in the Donghachong Tomb, which is thought to be the tomb of King Wideok. King Wideok started implementing initiatives to increase his royal power starting from 567, including resumption of negotiations with the Northern Dynasties, and aggressive adoption of their culture and that of Goguryeo, while shifting the diplomatic focus off the Southern Dynasties. Meanwhile, the Gunsu-ri Temple site and the Wangheungsa Temple site of Baekje, which date back to the mid- to late sixth century, preceding the creation of the Mireuksa Temple site, show elementary features of the temple type that consists of multiple compounds, such as additional buildings constructed the area outside the corridors. These new features are considered as representing the influence of the multiple compounds, which was prevalent in China from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y Period to the times of the Sui and Tang Dynasties, as well as in Goguryeo temples. There is a certain degree of consistency in the site plan of Gunsu-ri Temple site (created in the mid- to late sixth century), Wangheungsa Temple site (in 577), the reconstructed Hwangryongsa Temple (in 584), and Asukadera (in 588); the three shrines of the Hwangryongsa Temple are what multiple compounds temples in mid- to late sixth century Baekje would look like if the east and west halls or corridors were taken down, arranging the three shrines in the 品 shape, a Goguryeo characteristic, is arguably the site plan of Asukadera. Given that Goguryeo culture was embraced extensively in sixth century Baekje, it is reasonable to reckon that Asukadera was not influenced by Goguryeo directly, but the influence came via Baekje, even though the site plan of Baekje temples and that of Japanese Buddhist temple may not be the exact replications. Since Baekje sent its technicians and engineers for the construction of Asukadera in a form of specially organized government task force with a package of different technologies, it is hardly likely that the site plan was the sole influence of Goguryeo. Considering the Baekje elements, e. g. the original shape of the Golden Halls, and the dual stylobate and the footston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forms (下成礎石) of the east and west Golden Halls, it should be viewed that the Three Golden Halls of Asukadera were constructed under a master plan by the group of Baekje technicians and engineers. It can be posited that amid the changes in international politics in East Asia, i. e. thriving Silla and the emergence of the Sui Dynasty, Baekje's assistance to Japan was intended to consolidate their lead through technology transfer involving Buddhism. 일본 飛鳥寺 三金堂의 가람배치에 대해서는 高句麗起源說이 현재까지의 정설이다. 하지만 飛鳥寺에서는 三金堂이라는 플랜 이외에 고구려 사원과 관련시킬 만한 것이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6세기대 백제에서 고구려계 문화 요소가 다수 확인되고, 백제 사원에서 飛鳥寺 삼금당과 비교 가능한 신요소가 확인되는 점을 들어 百濟起源說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5세기 말에서 6세기 전반부터 시작된 고구려계 문화의 백제로의 유입은 6세기 중엽부터는 점차 지배층으로까지 확산되어, 위덕왕릉으로 추정되는 능산리 東下塚에는 고구려 계통의 벽화가 그려져 있다. 위덕왕은 567년을 기점으로 하여 북조 국가와의 교섭을 재개하는 등 왕권강화 작업을 본격화하며, 남조 위주의 외교에서 벗어나 북조나 고구려 계통의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한다. 한편 백제에서는 미륵사지 건립 이전인 6세기 중후반의 군수리사지나 왕흥사지를 건립하면서 회랑의 외곽에 새로운 성격의 건물을 건립하는 등 초보적인 형태의 多院式寺院을 조영하고 있다. 이러한 신요소들은 중국 남북조시대부터 隋唐代에 유행한 다원식사원이나 고구려사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6세기 중후반에 건립된 군수리사지와 577년의 왕흥사지, 584년의 황룡사지 중건가람, 588년의 飛鳥寺의 가람배치는 일정한 관련성을 가진다. 6세기 중후반부터 백제사원에 보이는 다원식사원에서 동당・서당이나 동서 회랑이 철거된 형태가 황룡사지 중건가람의 삼금당이고, 그것을 고구려적인 品字形으로 배치시킨 것이 飛鳥寺 삼금당의 가람배치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6세기대 백제에서는 고구려의 문화가 폭넓게 수용되고 있었다. 따라서 백제사원에서 飛鳥寺 삼금당과 똑같은 가람배치가 구현되지는 않았더라도 고구려가 직접 일본에 영향을 준 것이 아니라 백제를 경유하여 전해진 것으로 생각된다. 飛鳥寺의 건립을 위해 백제에서 파견된 기술자들은 국가에서 임시적으로 조직한 프로젝트팀과 같이 각 기술 부문들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었기 때문에 가람배치만 고구려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보기는 어렵다. 金堂의 本樣이 백제에서 전래되었고, 동・서 금당의 이중기단과 下成礎石이 백제의 영향을 받아 건립된 것을 보면 飛鳥寺 삼금당의 건립은 백제에서 파견된 기술자 집단에 의해 종합적으로 계획되어 시공되었다고 생각된다. 백제는 6세기 중후반 신라의 부상과 隋의 등장이라는 동아시아 국제정세의 변화 속에서 불교를 매개로 한 기술의 전수를 통해 일본에 대한 주도권을 보다 더 공고히 하기 위해 이러한 기술을 지원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