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 시민교육의 이념

        최성환(Sung-Hwan, Choi)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5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8

        다문화 시민교육이란 기본적으로 다문화사회에서 능동적으로 적응하고 이사회의 바람직한 발전을 위해 기여할 수 있는 시민의 자질을 함양하는 교육이다.이 교육의 목표는 한 공동체 내에서 다양한 문화를 인정·존중하는 정신을 함양하고, 더 나아가 글로벌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갖출 수 있도록 인도하는 것이다. 이 교육은 인종적·민족적·문화적·종교적(심지어 계층적) 편견과, 그에 기인하는 갈등을 예방하고 공존의 ‘모두스 비벤디’를 추구하기 위해 필요하다. 다문화 시민교육은 공동생활의 영위와 문화형성과 연관된 체계적 이해와 상호 작용의 가능성을 탐색하게 된다. 이 글은 다문화 시민교육의 이념을 공동체의 의미와 인간성에 대한 조망을 통해 제시하고자 하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다문화 시민교육의 영역조건들(Rahmenbedingungen), 예를 들면 교육의 주체, 대상, 내용, 방법, 평가, 피드백 등과 같은 구성 요소를 구체적으로 다루지 않는다. 그 대신 이 글은 예컨대 문화형성, 공동체 형성 그리고 편견의 형성과 극복과 같은 철학적·인간학적·심리학적 기초를 탐구함으로써 다문화 사회의 적절한 지향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이 글은 ‘시민권’이라는 정치적 영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전통적·고전적 시민교육대신에 ‘인간성 함양’이라는 측면에서 다문화 시민교육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는 다문화 시민교육이 인간과 연관된 다양한 편견들을 극복하고 올바른 인간이해를 도모하는 것에 가장 큰 의의를 두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마이클 왈쩌의 관용론에 기초한 다문화주의 이해와 마사 누스바움의 시민교육론을 집중적으로 다루게 되는데, 이는 미국과 한국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이 들의 관점이 공동체 이해와 인간 이해에서 토대적 의미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is basically an education which cultivates civic competency that actively adapts in multi-cultural society and contributes to the desirable development of the society. The goal of this education is to cultivate a mind that approves and respects a diversity of cultures in a community, and moreover, to guide to have quality as a global citizen. This education is needed to prevent racial, ethnic, cultural, religious (even hierarchical) prejudices and conflicts arising from those, and to seek ‘modus vivendi’ of coexistence.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will explore management of communalism, systematic understanding and the possibility of interaction related to the formation of culture. This paper tries to suggest the idea of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the meaning of community and the view on human nature. Therefore, here, the binding domain (Rahmenbedingungen) of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for example, the components including the subject of education, target, content, method, assessment, feedback, are not covered. Instead, this paper tries to seek appropriate intention point of multi-cultural society by exploring philosophical, anthropological, psychological basics such as formation of culture, formation of community, formation of prejudice and overcoming it. In addition, this paper tries to consider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in terms of the cultivation of ‘humanity’, instead of traditional, classic citizenship education carried out by political sphere. This is because a great importance is placed on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overcoming various prejudices related to human and promoting proper human understanding. This paper concentrates on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ism based on M. Walzer’s theory of tolerance and M. C. Nussbaum’s theory of citizenship education, and this is because their point of view holds meaning of foundation in the understanding of community and human understanding, despite the difference between America and Korea.

      • KCI등재후보

        시민 문화예술 활동에서 거점공간의 역할

        이영범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시민인문학 Vol.39 No.-

        문화예술이 시민 기반의 일상생활과 결합되어 문화화 되기 위해서는 문화예 술의 실질적인 주체구성과 문화예술이 결합되는 공간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시민문화예술 활동에서 거점공간은 시민문화라는 콘텐츠가 가공되어 사회구성원 들이 서로 그 가치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거점으로서의 공간을 필요로 한다. 거점 공간은 시민문화예술의 차원에서 지역 문화자원과 공간자원을 재구성하여 생활 기반 공간을 활성화한 공간의 문화적 관계망을 의미한다. 시민문화예술 활동을 지속적으로 실행하는 33개 단체의 설문을 통해 시민문화예술교육에서 거점공간 은 단순한 프로그램형 공간에서 궁극적으로는 네트워크형 공간으로의 전환을 지 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거점공간은 문화예술활동의 확장을 통해 단순한 학 습장의 기능에서부터 시민들이 기획자로서의 역할로 성장하면서 사업장으로서의 성격으로 전환되며, 궁극적으로는 지역의 다양한 공간이나 단체의 활동들과 연계 되는 협력장으로 성장한다. In order for culture and arts to be combined with citizen-based daily life, the role of space becomes more important as the space where the subject and contents of culture and arts are combined in the context of vibrant citizenship. In civic culture and art activities, the hub space is processed with the contents of civil culture, so that social members need space as a base to share their values with each other. The hub space means the cultural network of the space that has revitalized the various arts and cultural places of everyday lives by reconstructing local cultural and spatial resources at the level of easy realization of citizenship. A survey taken by 33 local organizations that continuously carry out civic culture and arts activities shows that the hub space in civil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ultimately aimed at shifting from a simple program-type space to a network-type space.

      • KCI등재

        문화시민성 개념의 탐색 :문화예술교육의 시민교육적 의의

        김재근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5

        This study tries to explore the concept of ‘cultural citizenship’ and also to understand cultural-art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itizenship education. For the sake of it, the study formulated the purpose of cultural-art education as ‘cultivating cultural citizen and fostering the cultural citizenship.’ Then we explored the concept of ‘cultural citizenship’ to better understand the cultural citizen as well as cultural-art education. Cultural citizenship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Cultural citizenship as membership’ is the first category. Traditionally, this type of membership was cherished as a key for the social cohesion. But in the era of multicultural society, multicultural citizenship which embraces multiple identities and memberships carry higher importance. Second category is ‘Cultural citizenship as basic rights’. This includes a freedom from the oppression of art and cultural expression, a right to practice art and cultural activities, and a right to enjoy art and cultural works. Last category is ‘Cultural citizenship as virtues’. It requires cultural citizen to voluntarily as well as critically participate in an art and cultural community. Creativity, openness to the others, and ethical responsibility are also parts of the citizenship as virtues. The concepts proposed here, however, need to be challenged and revised consistently as the society changes. Researches that inquire into the contexts of cultural-art education as citizenship education, that further elaborate the concepts of cultural citizenship need to be conducted in the following researches. 본 연구에서는 ‘문화 시민성’의 개념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시민교육적 의의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문화시민성의 개념은 크게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지위와 자격으로서의 문화시민성(cultural citizenship as membership)이다. 전통적 의미에서 이러한 멤버십은 문화공동체의 통합과 결속을 가져올 수 있었지만, 다문화사회에서는 다양한 문화적 정체성을 포용하는 다문화적인 시민성 개념이 요구된다. 두 번째는 시민의 기본적 권리로서의문화시민성 (cultural citizenship as basic rights)이다. 소극적 의미에서 문화예술적 표현에 대한 억압으로부터 자유로울권리, 그리고 적극적 의미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요구할 권리, 문화예술활동을 실천할 권리, 문화예술작품을 향유할권리 등이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자질과 덕목으로서의 문화시민성 (cultural citizenship as virtues)이다. 문화시민에게는주체적이며 비판적인 문화공동체에의 참여, 문화예술적 독창성과 창의성, 그리고 타자에 대한 열린 태도와 윤리적책임 등이 요구된다. 그리고 시민교육적 맥락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은 이와 같은 문화시민성을 담지한 문화시민을양성하는 것을 중요한 목표로 삼아야 한다. 후속연구들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시민교육적 맥락을 보다 깊이 있게탐구하려는 시도들, 그리고 문화예술교육의 목표로서 문화 시민성의 개념을 보다 정교화 시키고자 하는 연구들이 이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네트워크가 다문화시민권리에 미치는 영향: 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이소영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4 다문화교육연구 Vol.7 No.1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hat marriage immigrant women do not receive discrimination and not excluded from enjoyment in any sense and rights as multicultural citizen.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of the multicultural citizenship and network of marriage immigrant women that affects on the relation to multicultural citizenship. Thus, marriage immigrant women have left their home country for social and economic reasons to find new settlements while their family members live in their country and they live as citizen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rough their ethnic cultural identity. The role of their ethnic and cultural identity is also examined in this study.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network and multicultural citizenship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their relationship based on the multicultural citizenship of Kymlicka's viewpoint of ‘liberal multiculturalism.’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marriage immigrant women's network and multicultural citizenship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was reviewed. A number of personal and institutions were conducted for survey to acquire data at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province from September 19, 2012 to November 28, 2012. Available samples of 268 were investigated affect on relationship.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Analysis the affect on the relationship of the marriage immigrant women's networks and the multicultural citizenship shows that the marriage process, home country, current residenc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lso affects multicultural citizenship and social network and the national cultural network significantly. However, marriage immigrant women's age, education, marital age, marital education, duration of marriage, family networks do not affect the multicultural citize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network of marriage immigrant women have positive influence on multicultural citizenship and need a suggestion to establish practical strategies for enabling the network of marriage immigrant women. 이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가 한국사회에서 차별받고 배제되는 타자의 존재가 아닌 다문화시민으로서 어떠한 의식과 권리를 향유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통해 초국가시대에 사회적・경제적 동기로 모국을 떠나 새로운 정착지를 찾아 이주한 여성결혼이민자들이 거주국에 가정을 꾸리며 생활하면서도 그들의 민족적・문화적 정체성을 통해 다문화사회의 시민으로서 살아가고 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 관점에서 Kymlicka가 주장한 다문화주의 시민권을 토대로 한국에서 다문화시민으로 살아가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네트워크(가족네트워크, 사회네트워크, 민족문화네트워크)와 그들의 다문화시민권리(정치적 공간 필요성, 문화적 권리, 특별대표권리)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전라남도지역의 다수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2012년 9월 19일부터 2012년 11월 28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68부의 표본을 활용하여 여성결혼이민자의 네트워크와 다문화시민권리에 대한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네트워크와 민족문화네트워크가 다문화시민권리에 영향을 주었다. 둘째,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과정, 출신국, 현재거주지도 다문화시민권리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연령, 학력, 배우자 연령, 배우자 학력, 결혼기간은 다문화시민권리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사회네트워크, 민족문화네트워크와 관계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여성결혼이민자의 네트워크가 다문화시민권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실천적 전략이 수립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다문화시민의 비대칭적 관광불평등 구조에 대한 비판적 고찰: 사회적 배제 및 결핍 현상을 중심으로

        민웅기 한국관광진흥학회 2023 관광진흥연구 Vol.11 No.3

        This study discusses the tourism inequality structure of multicultural citizens who are classified as vulnerable tourists among members of society and aims to come up with measures to overcome social discrimination against the members exposed to asymmetric policy, industrial, and sociocultural environments of their tourism activitie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in-depth interviews was used to explore the discrimination multicultural citizens experience in tourism activities and their discourse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e first category is social exclusion which can be overcome with human/material goods/service support, institutional environmental support, and non-material/subcultural support, and the second category is a deficiency that comes from intrinsic, interpersonal, and structural constraints in tourism activities. The analysis leads to policy suggestions to overcome the asymmetrical neutral system that causes tourism inequality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promote tourism based on publicity. Considering the individuality and collective nature of multicultural citizens, both material resources and psychologic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multicultural citizens and existing citizens. Specifically, policy support for multicultural citizens is for material resources support: economic support, language education, and granting accessibility through administrative system maintenance based on individuality; the institutionalization of working hours and available vacation time intervals, maintenance of support system and establishment of the network through tourism information, etc. based on collective nature. Policy support for existing citizens, meanwhile, is mainly f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expansion of education for cultivating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psychological education for emotional bonding with multicultural citizens based on individuality; civic education for mutual exchange between mainstream culture and subculture and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to overcome cultural exclusion based on collective nature. Through the above policy concepts, institutional efforts should be made to stably build economic, cultural, and social capital. 본 연구는 사회구성원 중 관광약자로 명명되는 다문화시민의 관광불평등 구조에 대해 논의하고, 관광과관련한 비대칭적인 정책적, 산업적, 사회문화적 환경에 노출된 그들의 사회적 차별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방법은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연구방법으로 진행되었으며, 직접적인대면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실제 다문화시민들이 관광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차별구조에 대해 고찰했다. 분석과정을 살펴보면, 다문화시민의 관광불평등 관련 담화 주제 중에서 첫 번째 주제군에 속하는 직접적인 인적·물적 재화 및 서비스 지원, 제도적 환경의 지원, 비물질적·하위문화 지원으로 극복될 수 있는 사회적 배제의 범주와 두 번째 주제군에 속한 관광활동 제약요인으로서의 내재적, 대인적, 구조적 요인으로 구성되는 결핍의 범주로 나누어 논의를 진행했다. 이상의 분석내용을 토대로 다문화가족의 관광불평등을 유발하는 비대칭적 뉴트럴 체계의 극복과 공공성에 기반을 둔 관광 진흥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면, 관련 정책들은 다문화시민의 개별성과 집단성을 함께 충족함은 물론, 물화된 물적 자원의 지원과 심리적 지원이 다문화시민과 기존 생활권에서 활동하는 시민에게 함께 구현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문화시민들을대상으로 한 정책 성격은 주로 물적 자원의 지원과 관련된 부분이다. 개별성에 기초한 지원 정책으로는 경제적 지원, 언어교육, 행정체계의 정비를 통한 접근성 부여 등이 있으며, 집단성에 근거한 정책적 지원으로는노동 및 휴가의 조정, 관광정보를 통한 지원 체계의 유지 및 네트워크 구축 등이 도출되었다. 기존 생활권에서의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정책적 지원은 주로 심리적·정서적 지원 형태로 나타난다. 개별성에 근거한 지원정책으로는 다문화감수성을 함양하는 교육의 확대, 다문화 시민과의 감정적 유대를 위한 심리교육 지원 등이 있으며, 집단성에 근거한 지원 정책으로는 주류문화와 하위문화의 상호교류를 위한 시민교육과 문화 배타성 극복을 위한 문화 다양성 교육이 이에 해당된다. 이상 논의한 정책 개념을 통해 경제적, 문화적, 사회적자본의 안정적 구축을 위한 제도적 노력을 실현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다문화 사회에서의 시민성 교육: 세계시민성과 환대의 개념을 중심으로

        이민경(Lee Min-Kyu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3 敎育問題硏究 Vol.26 No.2

        This paper investigates principes and method of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in era of globalis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has been done focusing on cultural diversity and tolerance. Therefore, the social problems such as social unequality and injustice has been neglected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This study proposes global citizenship and hospitality as a core elem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era of globalisation and investigate the principles and methode of education based on them. In brief, I discussed what is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global citizenship and hospitality and how we can practice this educational program. 이 논문은 지구화 시대의 다문화 시민 교육의 지향과 내용, 그리고 방법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글로벌화의 진전에 따른 다문화 사회의 형성과 함께 한국사회에서 이루어져 온 다문화 교육은 문화적 다양성의 강조와 수용이라는 아젠다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면서 불균등, 사회적 부정의 등 구조적·사회적 문제는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다루어지거나 간과되어 왔다. 이 논문은 이러한 한국사회의 다문화교육의 양상을 비판적 관점에서 검토하면서 지구화 시대의 다문화 시민성 교육의 핵심적인 요소로 세계시민성과 환대의 개념을 제시하고, 이에 기반한 다문화 시민성 교육의 원리와 실행사례를 고찰하였다. 다시 말하면, 지구화 시대의 다문화 시민성 교육은 어떤 비전과 목표를 가져야 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비전과 목표에 근거한 다문화 시민성 교육의 구체적인 실천사례는 어떤 것이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광주시민 문화예술 욕구조사>의 결과 분석 연구

        류재한(Ryu, Jae-Han)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6 디아스포라 연구 Vol.10 No.1

        본 논문은 광주의 문화예술 진흥을 위한 중장기계획 수립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하였던 <광주시민 문화예술 욕구조사>(문화예술관람 및 참여 정도, 지역 문화예술 공간의 이용 경험, 지역축제 등 문화행사 관람 경험, 문화예술 지원정책의 필요성과 수요 파악 등)의 결과에 관한 분석을 통해 광주시민의 문화의식이 무엇인지, 즉 광주시민의 문화수요가 무엇인지와 그 문화수요에 부응하는 정책이 무엇이어야 하는지를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가 도출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주시민의 문화시설의 이용도는 경제적 문제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분석하였다. 지출비용이 낮은 특정 문화시설의 선호는 광주시민의 열악한 경제 환경과 불가분의 관계가 있으며, 또한 문화욕구를 일으키는 다양한 문화시설이 많지 않음과도 관련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둘째, 광주의 문화예술행사는 아시아문화중심도시와 동아시아문화도시, 그리고 유네스코 미디어아트 창의도시라는 새로운 도시정체성 확립과 글로벌 도시 브랜드 구축에 있어서 역할이 미흡함을 분석하였다. 셋째, 광주 시민의 문화예술 관련 인식의 차원에서, 광주시민은 문화가 시민의 삶을 윤택하게 해주고 경제발전에 도움이 된다는 것에 적극적으로 공감하는 것은 광주가 문화예술을 통해 시민의 일상적 삶과 경제적 삶의 질을 높여주어야 한다는 것에 공감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광주시민의 시민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를 위한 지원 정책의 필요성을 분석하였다. 지원정책은 문화프로그램의 다양화와 다양한 문화행사의 지속적인 개최, 문화행사에 대한 홍보 강화를 핵심으로 삼아야 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기업문화가 조직시민행동과 성과측정지표특성 그리고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전웅수 한국회계정책학회 2016 회계와 정책연구 Vol.21 No.3

        There were many researches on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OC) o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on business performances. But, few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OC as antecedent to performance measurements and business performanc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OC, OCB and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 measurements and business performances. I have found some results as follows in this research. First, OC(clan, development and rational)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 measurements. Second, development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individuals(OCBI). Third, developmental culture has positively affected the characteristic of performance measurement through promoting OCBI. The findings from path analysis were that clan, developmental and rational culture has positively affected the OCBO and OCBI appears to improve financial performance through the enhanced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 measurements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OCBI has affected on financial performances only through improved non-financial performances. The findings could be used to design a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organizational culture type and the dimension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본 연구는 기업문화(가족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 조직시민행동(개인차원 시민행동, 조직차원 시민행동), 성과측정지표특성, 그리고 경영성과(비재무적성과, 재무성과)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계층회귀분석과 경로분석을 병행하였는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계층적 회귀분석결과 1단계 분석에서 가족문화, 개발문화, 합리문화는 성과측정지표의 특성에 정(+)의 영향을, 2단계 분석에서 개발문화와 위계문화는 개인차원 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그리고 3단계 분석에서 개발문화가 개인차원 시민행동을 경유하여 성과측정지표의 특성에 정(+)의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가족문화와 개발문화가 조직차원의 시민행동을 경유하여 성과측정지표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경로분석결과 가족문화와 개발문화, 합리문화는 조직차원의 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조직차원의 시민행동은 성과측정지표특성과 비재무적성과의 개선을 경유하여 재무성과를 개선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과측정지표특성은 재무성과에 직접효과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비재무적성과의 개선을 통해서만 재무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특이한 점은 개인차원의 시민행동의 경우에 가족문화와 위계문화는 개인차원 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개인차원 시민행동은 성과측정지표특성과 비재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재무성과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업문화와 조직시민행동, 그리고 성과측정지표특성에 대한 고려가 경영성과 개선의 선행요인이 될 수 있다는 증거를 확보하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 하겠다.

      • KCI등재

        문화적 시민권과 문화연구의 만남에 대한 모색

        이희은(Hee-eun LEE)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0 언론과 사회 Vol.18 No.2

        이 논문은 정치학적 개념인 시민권과 문화연구의 교차지점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사회문화적 상황이 변화함에 따라, 정치적 정체성의 범주 및 문화와 커뮤니케이션의 의무와 권리도 함께 변화할 수밖에 없음을 전제로 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시민권의 개념은 정치적 영역에서의 현실적 참여와 사회적 영역에서의 상상의 즐거움이라는 양분된 가치 속에 놓여 있었다. 반면 문화연구를 비롯한 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는 시민권의 개념에서 문화적 측면이 크지 않다는 이유로 이에 대한 본격적 연구가 많지 않았다. 이 논문은 1990년대 이후 전지구화 과정과 함께 시민권 논의가 문화적 시민권이라는 개념으로 다시 논쟁의 중심에 등장한 배경을 설명하고, 시민권과 문화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흐름을 검토한다. 또한 미디어 수용자 연구와 정치적 시민권 연구가 가진 이론적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문화적 시민권 개념을 적극적으로 고찰할 것을 주장한다. 특히 다문화주의와 디아스포라 연구, 공간과 일상 연구, 오락 미디어와 정체성 연구 등에 문화적 시민권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문화연구가 비판적 시각을 잃지 않으면서도 외연을 확장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결국 문화적 시민권은 공적영역과 사적 영역이 이분법적으로 나뉘지 않는 일상생활에 대한 탐구, 그리고 능동적 수동자의 개인성을 넘어서는 연대의 가능성을 문화연구에 더해 주는 유용한 개념임을 제시한다. This article argues that we should employ an expanded concept of citizenship in order to explore and analyze the political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under which cultural rights and rights related to communication can be guaranteed and exercised. The concept of citizenship from political perspective envisages a process of expanding global governance, while cultural citizenship scholars suggest that more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extending role of culture and media in such context. Instead of polarizing those two approaches, this article argues for the distinctive contribution of cultural studies to the issues of cultural citizenship, as usually framed within political science. In the globalizing and digitalizing world,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citizenship and media should be addressed on the basis of new forms of identities and new territories of democracy. For the purpose, this paper suggests for reconsidering the demarca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spheres in culture and media. Also, aspects of solidarity and connections, which can be derived from the concept of citizenship, need to be employed to the audience studies.

      • KCI등재

        한국의 여성결혼이민자 다문화시민권리에 관한 사례 연구

        임채완(Lim, Chae-Wan),이소영(Lee, So-You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4 한국민족문화 Vol.50 No.-

        이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이 한국사회에서 다문화시민으로서 갖는 문화적 권리 향유와 특별대표권리 의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전남지역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2013년 6월부터 12월까지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여성결혼이민자의 다문화시민권리를 살펴보았다. 연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들은 정부기관 및 단체의 지원정책의 정보를 잘 알지 못하여 혜택을 받지 못하거나 육아 문제 및 경제적인 여건으로 인하여 문화적 권리를 향유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들은 개인의 성향에 따라 다문화가정을 대표하는 국회의원 및 시의원의 지지 정도가 각기 다르다. 연구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영주권제도 개선 등을 통해 이들이 다문화시민권리를 행사할 수 있도록 정책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농촌지역은 다문화가정 지원정책에 대한 정보의 결핍과 농촌지역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하여 관련정보를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는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어려운 농촌지역의 여성결혼이민자가 한국사회에서 다문화시민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고 도시와는 차별화된 정책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nalyzing sense and rights as multicultural citizen of marriage immigrant women in South Korea Society. Thus, marriage immigrant women have left their home country for social and economic reasons to find new settlements while their family members live in their country and they live as citizen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rough their ethnic cultural identity. The role of their ethnic and cultural identity is also examined in this study.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ulticultural citizenship of marriage immigrant women based on the multicultural citizenship of Kymlicka"s viewpoint of ‘liberal multiculturalism.’ A number of personal and institutions were conducted for In-depth Interviews to collect data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province from June, 2013 to December, 2013.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propensity, support of congress and city councilor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re different.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re is a lack of information for supporting policies for the multicultural family in the rural area. Immigrant women has difficulty who live in the rural areas"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so government should need to seek differentiated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