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국 3세대 여성 아이돌 스타의 패션 스타일에 따른 팬덤 유형별 선호도 및 관심도
최승은,김영인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9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9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lassify fashion style types for Korean 3rd generation female idol star, and identify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fashion style, and to define preferences and interests of 3 types of fandom for each type of fashion sty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fashion styles for female idol star are school look, mix match school look, retro, sexy, kitsch, romantic, casual and sporty. Second, female idol stars have different preferences and interests in fashion style types. Preference is shown in the order of mixed match school look, kitsch, casual, retro, school look, sporty, sexy, and romantic. Interests is revealed in the order of mix match school look, kitsch, casual, retro, school look, sporty, sexy and romantic.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preference and interest in all types except mix match school look, retro, casual. Third, there are differences in preference and interest of each type of fandom for the fashion style of female idol stars. As for preference, retro, kitsch and casual are preferred for men in 10s and 20s and women in 20s and 30s. But, School look, mix match school look, sexy and romantic for men in 30s and 40s. As for interest, men in 10s and 20s have more interest in mix match school look, retro, sexy, kitsch and sporty. Men in 30s and 40s have more interest in school look, mix match school look, sexy and romantic. Women in 20s and 30s have more interest in retro, kitsch, casual but less preference and interest in school look.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can see that each type of fandom has a different fashion style Preference and Interes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lan a fashion style that can appeal to each type of fandom. 이 연구의 목적은 2010년 중반 이후 한국 3세대 여성 아이돌 스타를 대상으로 패션 스타일 유형을 분류하여 유형별 특징을 분석하고, 각 패션 스타일 유형에 대한 3가지 팬덤(10-20대 남성 팬덤, 30-40대 남성 팬덤, 20-30대 여성 팬덤)의 유형별 선호도와 관심도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의의는 여성 아이돌 스타의 패션 스타일 전략과 방향성을 기획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이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아이돌 스타의 패션 스타일 유형은 스쿨 룩, 믹스 매치 스쿨 룩, 레트로, 섹시, 키치, 로맨틱, 캐주얼, 스포티 8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 아이돌 스타의 패션 스타일 유형에 대한 선호도와 관심도는 차이가 있었다. 선호도는 캐주얼, 믹스 매치 스쿨 룩, 키치, 레트로, 로맨틱, 섹시, 스쿨 룩, 스포티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관심도는 믹스 매치 스쿨 룩, 키치, 캐주얼, 레트로, 스쿨 룩, 스포티, 섹시, 로맨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믹스 매치 스쿨 룩, 레트로, 캐주얼을 제외한 모든 유형에서 선호도와 관심도에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여성 아이돌 스타의 패션 스타일 유형에 대한 팬덤 유형별 선호도 및 관심도는 차이가 있었다. 선호도에서 10-20대 남성 팬덤과 20-30대 여성 팬덤의 경우 레트로, 키치, 캐주얼을 30-40대 남성 팬덤의 경우 스쿨 룩, 믹스 매치 스쿨 룩, 섹시, 로맨틱 유형을 다른 팬덤 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심도에서는 10-20대 남성 팬덤이 믹스 매치 스쿨 룩, 레트로, 섹시, 키치, 스포티를 30-40대 남성 팬덤이 스쿨 룩, 믹스 매치 스쿨 룩, 섹시, 로맨틱 유형에 더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0-30대 여성 팬덤의 경우 레트로, 키치, 캐주얼에 더 관심을 보였지만, 스쿨 룩에 대한 선호도와 관심도는 다른 유형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아이돌 스타 팬덤 유형이 확장되고 다양해지는 현시점에서 각 팬덤 유형별로 패션 스타일에 대한 선호와 관심이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여성 아이돌 스타가 추구하는 패션 스타일은 팬덤 유형에 어필할 수 있도록 기획해야 할 필요가 있다.
정치 갈등이 한국 기업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한국 스타 팬덤의 완충 효과 : 중국 소비자의 정치 갈등 인식이 한국 기업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유재미(Yoo, Jae Mee) 한국상품학회 2021 商品學硏究 Vol.39 No.1
본 연구는 중국과 정치 갈등이 한국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두 변수 관계에서 중국 소비자의 한국스타 팬덤이 완충 역할을 해 줄 수 있는가를 탐색했다. 한국기업에 긍정적 파급효과를 미치는 한류, 그 중심에는 한국스타가 있고 스타의 존재 기반은 팬덤이다. 팬덤은 위기 상황에서도 스타에 대한 충성도를 유지한다. 연구에서 팬덤(fandom)은 스타 자체에 애정을 보내는 개인적 자아로서 팬쉽(fanship) 그리고 같은 스타를 좋아하는 다른 팬들과 연대하는 사회적 자아로서 팬덤, 두 의미를 포괄했다. 중국 소비자의 한국과 정치 갈등 인식이 한국기업 태도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지, 이 영향이 개인 소비자의 한국스타 팬덤으로 완화될 수 있는지를 탐색했다. 연구 결과, 중국 소비자의 정치 갈등 인식이 직접적으로 한국기업 태도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했다. 둘째, 한국과 정치 갈등 인식은 중국소비자의 한국기업에 대한 부정 평가 인지를 증가시키고 이는 한국기업 태도 하락을 이끄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치 갈등 인식과 한국기업 태도 관계에서 한국스타 팬덤의 완충 효과를 확인했다. 정치 갈등 인식은 한국기업 태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데 중국 소비자의 한국스타 팬덤이 강할수록 이 효과가 완화됐다. 그러나 정치 갈등 인식이 한국기업 부정 평가에 대한 인지를 증가시키는 과정에서 한국스타 팬덤의 완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스포츠 분야를 넘어 팬덤의 역할을 확장 적용하고 그 효과를 실증했다는 의의가 있다. 실무적으로는, 한류, 한국스타 뿐 아니라 스타 팬덤의 의의와 활용에 대한 고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Korean star fandom(or fanship) of Chinese consumers could alleviate the corporate crisis situation caused by political conflict with China. In the study, fandom is defined as containing both of the following meanings: a fanship as a personal self that shows affection and dedication to stars, and a fandom as a social self that solidifies with other fans who like the same star. The result confirms that Chinese consumers perception of political conflicts directly and negatively affect the attitude of Korean companies. The more Chinese consumers perceive that there is a strong political conflict with Korea, the more negative their attitude toward Korean companies is. Second, the perception of political conflict with Korea increases Chinese consumers awareness of negative aspects of Korean companies, which leads to a decline in attitudes of Korean firms. Third, the results show the buffering effect of star fando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political conflict and the attitude of Korean companies. However,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star fando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political conflict and the awareness of negative aspects of Korean companie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effectiveness of star fandom in relation to corporate management (e.g., crisis situations, attitude formation, etc).
정민우(Min-Woo Jung),이나영(Na-Young Lee)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09 미디어, 젠더 & 문화 Vol.1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엔터테인먼트 산업과의 관계 속에서 팬덤이 스타를 향유하는 방식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2000년대 초반 음악 시장의 수익성의 위기에 대한 대응으로서의 엔터테인먼트 경영방식이 변화하는 맥락 속에서, 팬덤이 스타를 향유하는 지배적인 방식이 변화했음에 주목하고 그 구체적인 특징을 살피고자 하였다. 스스로를 ‘1세대’ 팬덤과의 관련 속에서 ‘2세대’ 팬덤으로 대별해내는 새로운 팬덤은, 스타를 유동적으로 선택하고 향유하는 ‘고객’인 동시에 이들을 육성하고 관리하는 매니저로서의 ‘엄마’로 표상된다. 엔터테인먼트 시장의 시간적ㆍ공간적ㆍ영역적 압축 속에서 증대된 ‘생존’에 대한 요구 하에서, 팬덤의 스타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관리는 스타가 끊임없이 자기를 계발할 것에 대한 관리이며, 이는 다시금 스타뿐만 아니라 팬덤을 상품으로 포획한 기획사의 관리 속에 놓이게 함으로써 위계적인 이중의 관리체계를 형성한다. 그러나 그러한 관리체계의 위계적 권력관계 및 팬덤 정체성의 불안정성은 스타(아들)-팬덤(엄마)-기획사(아빠)라는 성별화된 가족 표상 체계로 봉합된다. 본 연구의 함의는 팬덤의 문화실천을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맥락 속에 위치시키면서, 엔터테인먼트 산업과의 상호관계 속에 저항 및 행위성의 조건을 규명한다는 점에 있다. 팬덤의 문화실천이 특정한 사회역사적 국면에 놓인 과정 중의 실천이라는 사실은 현재의 형식과 의미가 다른 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음을 동시에 시사한다. Fandom as meaningful social phenomenon and cultural practices shows a significant dimension of contemporary Korean cultural topography.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 in fandom enjoying stars after mid-2000s under the condition of the management transformation of entertainment industry that attempted to cope with the crisis of profitability then. The so-called ‘2nd Generation’ fandom, or the new fandom who seperates itself from the ‘1st Generation’, is represented as ‘customers’ who can choose and enjoy stars with mobility on one hand, and ‘mothers’ who nurture and manage their ‘babies/sons’ on the other hand. In the context of the market compressions of time, space, and sphere, star management of fandom is about ceaseless self-development of stars. However, this management of fandom is reversely managed by the corporation, which shows the hierarchical dual managing system over fandom-stars-corporation triangle. What informs from this analysis is a need to contextualize the agency of fandom as cultural practices, which means to understand it in relation to the entertainment industry. Fandom, as understood as a process situated in the socio-historical context, implies the possibility of changing forms and meanings to alternative directions.
김정은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23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70
홍콩 스타들이 한국의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력과 파급력은 매우 컸다. 본고에서는 한국에서 홍콩 스타들의 한국 수용과 홍콩 스타 팬덤의 문화적 함의를 고찰하였다. 특히 1970년대부터 1990년대 한국에서 문화 아이콘으로서 입지를 공고히 했던 대표적인 홍콩스타인 ‘이소룡’, ‘주윤발’, ‘장국영’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이소룡은 한국에서 홍콩영화 속의 ‘배우’이자 ‘절권도’라는 무술을 구사하는 한 명의 ‘무술인(스포츠맨)’으로서 혼종적 정체성을 가지고 수용되었고, 그의 팬덤은 남성 팬들이 주요 구성원을 이뤘다. 주윤발은 나쁜 남자와 의리/순정의 사나이라는 이중적 이미지를 구축하며, 성별을 초월한 시대의 아이콘으로서 그의 팬덤은 남성과 여성 팬들을 모두 아울렀다. 장국영은 원조 꽃미남 스타로서 그의 사후에도 여성 팬들의 영원한 오빠로, 그의 팬덤은 여성 팬들이 주요 구성원을 이루고 있다. 이소룡과 주윤발의 남성 팬들은 여성 중심의 대중문화 팬덤에서 남성 팬들의 활동과 가능성을 구축했고, 주윤발과 장국영은 남성다움 만을 강조하던 기존 남성 스타들과는 다른 이미지로 한국의 남성 스타 수용에 다양성을 제공했다. 또한, 이들의 한국 수용과 그들의 팬덤은 한류스타의 초국적 활동과 한류 팬덤 문화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The influence and impact of Hong Kong stars on the landscape of Korean popular culture has been significant. This paper aims to scrutinize the acceptance of Hong Kong stars within Korea and to delve into the cultural implications stemming from the fervent fandom surrounding these personalities. Specifically, attention is directed towards Bruce Lee, Joo Yun-bal, and Jang Kook-young, three prominent Hong Kong stars who cemented their status as cultural icons in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the 1970s to the 1990s. Bruce Lee gained acceptance in Korea embodying a hybrid identity, recognized both as an "actor" within Hong Kong cinema and as a "martial artist (or sportsman)" dedicated to practicing the martial art form of "Jeet Kune Do." His fan base primarily comprised male admirers. Zhu Yunbal fashioned a dual persona, characterized as both a rebellious figure and a paragon of loyalty and purity. As a gender-neutral symbol of his era, his fan base appealed to audiences encompassing both male and female admirers. Jang Kuk-young, recognized as the original flower boy star, retained a predominantly female-dominated fan following even after his demise. The male fans of Bruce Lee and Joo Yun-bal notably suggested the roles and potentials of male followers within a predominantly female-driven domain of pop culture fandom. Simultaneously, Joo Yun-bal and Jang Kook-young introduced a range of diversity to South Korea's reception of male celebrities by portraying images distinct from prevailing masculine stereotype. Their reception in Korea, along with their respective followings, significantly impacted the transnational activities of Hallyu (Korean Wave) stars and the evolution of Korean wave fandom culture.
방탄소년단의 스타 속성이 스타와 팬 커뮤니티에 미치는 영향
서일호,이용기,조혜덕,송종길 한국상품학회 2018 商品學硏究 Vol.36 No.5
The development of Internet technology and the emergence of social networking have caused the influence of star on public attitude and behavior formation 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to be more than influence of mass media. I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star’ attributes (trustworthiness, professionalism, physical and artistic attractiveness), star and fan community identification, fan community attitude, and fan community participation. We collected the data from 989 Boy Band BTS fans.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show that trustworthiness, expertness, and artistic attractiveness among star attributes positively influence star identification, but physical attractiveness did not. Second, the star attributes do not positively influence fan community identification. Third, star identification affects fan community identification. Fourth, star identification does not influence fan community attitude but fan community identification positively influences fan community attitude. Finally, fan community attitude positively influences fan community particip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tar agency needs to identify what star attributes are and to engage in a star endorsement effect strategy and star marketing efforts to attract fans' empathy. At the end of the paper, manageri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방탄소년단의 스타 속성을이 팬의 스타 동일시와 팬 커뮤니티 동일시, 팬 커뮤니티 태도와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스타 속성은 스타 보증 이론을 바탕으로 신뢰성, 전문성, 외적과 예능적 매력성의 4가지로 측정되었으며, 동일시 이론과 동일시 전이 이론을 적용하여 스타 동일시는 개인적 동일시, 팬 커뮤니티 동일시는 사회적 동일시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방탄소년단 팬 커뮤니티인 아미 회원 98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가 실시되었다. 분석 결과, 스타 속성의 하위 차원 중 신뢰성, 전문성, 예능적 매력성은 스타 동일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팬 커뮤니티 동일시에는 모두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타 동일시는 팬 커뮤니티 동일시, 그리고 팬 커뮤니티 동일시는 팬 커뮤니티 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팬 커뮤니티 태도는 팬 커뮤니티 참여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K-pop 스타인 가수 아이돌 그룹의 스타 속성을 이용한 스타 마케팅 전략의 방향을 제시해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V 드라마 속 남자 아이돌스타에 대한 수용자 선호유형에 관한 연구
Seung Hoon Hyun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1 Journal of Human Subjectivity Vol.9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ypes of audience`s preference of idol stars appearing in dramas. Accordingly, it used Q-Methodology. As a result, various characteristics by the types of the customers` preferences of idol stars appearing in broadcast dramas were fou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included (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first, the type of pursuing a commoner style while preferring the looks and characters that are well harmonized with dramas; that of pursuing a heroic style while emphasizing the stars` acting abilities as well as their charismatic style; and lastly, that of pursuing all-round entertainer style while emphasizing the stars` individual talents and the awareness of them rather than the overall completeness of the dramas. What could be inferred from the classification of the types of preferences was that the public`s values of the stars as new idols; i.e. idol stars emerged in earnest unlike the past. Therefore, in order to study the industrial values of the stars, from now on, extensive studies and investigations on the public`s tastes, interests, and preferences, and the phenomena of fandom which cover all these, instead of approaches from the phenomenon of the stars itself should be carried out together. 본 연구의 목적은 드라마 출연 아이돌 스타의 수용자 선호유형을 고찰해 보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방법론으로써 Q방법론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방송 드라마 출연 아이돌 스타에 대해 수용자들의 다양한 선호유형별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각 유형별 특징은 먼저 드라마와 잘융화되는 외모와 성격을 선호하는 소시민적 스타일 추구형과 스타의 카리스마적인 스타일과 함께 연기력을 강조하는 영웅적 스타일 추구형, 그리고 마지막으로 드라마의 전체적인 완성도 보다는 스타의 개인적 내능과 스타적 인지도를 강조하는 만능엔터테이너 추구형 등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와 같은 선호 유형의 구분을 통해 추론할 수 있었던 것은 과거와 다르게 본격적으로 아이돌 스타라는 새로운 우상이 등장하면서 스타에 대한 대중들의 가치관이 새롭게 변화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스타에 대한 산업적 가치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이제 스타라는 현상 그자체만을 보고 접근 할 것이 아니라, 스타에 의해 발생된 현상, 즉 스타에 대한 대중의 취향, 기호, 선호도 그리고 이를 전체적으로 포괄하고 하고 있는 팬덤 현상에 관한 폭넓은 연구조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중국인들의 한류스타에 대한 동일시욕구 및 관광기념품 선택속성이 한류 스타 관련 관광기념품 만족도, 재구매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Ding, Jing-Yi,남윤재 한국관광학회 2020 관광학연구 Vol.4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perception level of the selective attribute of tourism souvenirs related to Hallyu stars and fandom and the desire for homogeneity for them affect purchasing behavior, including repurchase and friendly word-of-mouth behavior. Results indicate that the quality and uniqueness of tourism souvenirs and the atmosphere, facilities, and accessibility of the stores ha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satisfaction. However, the language, knowledge, and attitude of salespersons who sold of Hallyu star souvenir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satisfaction. Also, the desire to identify with Hallyu star fandom ha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satisfaction for Hallyu star souvenirs. Furthermore, all optional attributes of Hallyu star tourist souvenirs and the desire for identification of fandom had a direct effect on word-of-mouth behavio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als with Hallyu star tourism souvenirs, which have not been thoroughly covered in the previous research.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desire to identify with the fandom of Hallyu stars was studied together with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urchase satisfaction and post-purchase behavior is more significant than previous studies, which have mainly focused on the selection attributes of tourism souvenirs. 본 연구는 한류스타의 이미지를 활용해 제작한 관광기념품의 선택속성과 한류 스타에 대한 팬덤으로 인한 동일시 욕구가 한류스타 관광기념품 구매의 전반적인 만족도와 구전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한류스타의 관광기념품의 품질, 독특함 그리고 점포 분위기 및 접근성은 구매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류스타 관광기념품을 판매하는 판매원의 언어, 지식, 태도는 구매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류스타에 대한 동일시 욕구도 구매 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재구매 및 구전의도에 통계적으로 직접적이고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많이 다루지 않은 한류스타 관광기념품을 소재로 다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관광기념품의 선택 속성에 주로 중심을 두었던 선행연구들에 비해 한류스타에 대한 팬덤의 동일시 욕구를 함께 연구하여 구매만족과 구매 후 소비행동과의 인과 관계를 규명하였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무도스포츠 SNS 활동이 스포츠스타 팬덤과 관계효익에 미치는 영향
곽영만,김우식,김차용 대한무도학회 2020 대한무도학회지 Vol.22 No.1
이 연구는 무도스포츠 SNS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활용한 스포츠스타 팬덤과 관계효익에 대한 관계를 알아보고 SNS 이용자, 스포츠 팬덤, 관계효익에 대한 정보 및 전달효과를 확인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SNS에서 나타나는 정보속성에 관한 역할을 조사함으로써 팬덤과 관계적 효익의특성을 모두 반영하고자 한다. 즉, 팬덤과 스포츠스타의 효익관계를 조사함으로써 이로 인해 발생되는 효익의 검증을 하고자 한다. 또한 팬덤을 통한 무도스포츠에 대한 정보 및 전달효과를 알아봄으로써 무도스포츠 분야에서 나타나는 차별성, 생산성, 자본축적 특성에 주목하고, 관계에 영향을 받는사회적, 심리적, 경제적 효익관계와 무도스포츠 SNS 이용자의 태도가 어떻게 나타났는지를 조사 하였다. 이를 위해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이용자 대상으로 모바일 프로그램(서베이몽키)을 이용하여 활용편의표준추출법 250명을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설정한 SNS 커뮤니케이션, 스타팬덤, 관계효익의 구조적 관계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SNS 환경에서의 스포츠 스타와팬, 팬과 팬 사이의 새로운 형태의 관계효익이 발생한다는 점은 단순한 스포츠 콘텐츠가 아닌 재 생산 가능한 사용자 중심의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인 형성된다는 점은 차후 무도스포츠의 전략적 대응방안으로 작용한다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s star fandom and the benefits of relationship using the strategy of communication on social media and to check the information and delivery effect of SNS user, sports fandom and relationship benefit. Accordingly, we inten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both fandom and related benefits by investigating the role of information attributes that appear on SNS. In other words, we want to verify the benefi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ndom and sports star. In addition, by looking into the information and delivery effects of ball sports through fandom, we focused on the differentiation, productivity, and capital accumulation characteristics in the field of ball sports, and investigated how social, psychological, and economic benefit relationships affected by the relationship and the attitude of users of ball sports SNS. To this end, 250 users of social network services (SNS) were analyzed using a mobile program (SubayMonkey), and the analysis found that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SNS communication, star fandom, and relationship benefits were influential, especially the new form of relationship between sports stars and fans in the SNS environment, which is not just a form of communication that is not a new form of communication, but a new form of communication that is not just a response. be fed
오디션 출신 스타의 인터넷 라이브 방송과 팬덤 형성과정: 팬텀싱어3 강동훈 팬카페를 중심으로
김미숙(Mi-Sook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2
2009년 이후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 배출된 스타들은 연예기획사에서 만들어진 스타와 달리 시청자들과 친숙한 유대관계를 맺는 과정을 거치며 등장했다. 이 연구는 2020년 jtbc 팬텀싱어3에 출연했던 성악가 강동훈과 그의 팬카페를 중심으로 오디션 출신 스타의 인터넷 라이브 방송(라방)의 특징과 역할, 정체성을 알아보는 사례연구이다. 연구 결과, 팬카페가 만들어지기 전부터 SNS를 중심으로 팬들이 결집하면서 팬들의 요청에 의해 ‘라방’이 시작되었고, 강동훈의 ‘라방’은 팬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형식 없는 형식의 참여형 토크 쇼’로서 팬들의 유대감과 소속감을 높이며 팬덤의 활성화를 촉진시켰다. 스타와 팬 모두 ‘라방’을 ‘서로를 알아가는 소통의 창구’로 인식했으며 ‘즉시성을 가진 댓글 소통’으로 TV 속에서 재현된 비현실적인 모습이 아니라 친숙하고 꾸밈없는 스타의 진솔한 모습 볼 수 있다는 점에 만족감을 드러냈다. ‘라방’은 스타의 일상생활, 음악활동, 방송출연, 취미 등 다양한 내용으로 구성되었으며 팬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스타와 팬들의 일상사를 공유하면서 ‘라방’을 보지 않는 사람들과 ‘미학적 차별화’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ince 2009, stars produced through audition programs have appeared through the process of establishing familiar ties with viewers, unlike stars created by entertainment agencies. This study is a case study tha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roles, and identity of internet live broadcasts (Labang) of vocalists Kang Dong-hoon and his fan cafe(fan community) who appeared in JTBC Phantom Singer 3 in 2020. As a result of the study, fans gathered around SNS even before the fan cafe was created, at their request, Labang began. Labang is a freely participating talk show in which fans actively participate. This brought about the bond of fans, a sense of belonging, and the activation of fandom. Both stars and fans recognized Live Broadcast as a window of communication to get to know each other, and expressed satisfaction that they could see the sincerity of familiar and unpretentious stars, not unrealistic images reproduced on TV through immediate comment communication. Labang consists of a variety of contents, including stars daily lives, music activities, broadcast appearances, and hobbies, and is showing aesthetic differentiation from those who do not watch Labang while sharing the daily lives of stars and fans with active participation.
한·중 BTS 여성 팬덤 비교 연구: 팬덤활동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지앙슈에진,살여라,황하성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0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1 No.4
The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BTS, which is popular around the world. Specifically, it aims to look at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BTS female fandom. Besides, it also explores factors affecting fandom’s daily happines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Korean and Chinese female fans. Findings from surveys suggest that first, there are differences on star attributes, fandom activity and illusory roma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female fandom. Specifically, Chinese female fandom’s professionalism and artistic attractiveness which are included in star attributes, and illusory romance which is gained in fandom activity are higher than Korean. In addition, Korean female fans actively participated in offline fandom activities, while Chinese female fans actively participated in online fandom activities. Second, it is found that fandom activity, star identification and illusory romance have positive effects on daily happines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 limitations, and topic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방탄소년단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한·중 여성팬덤의 활동 차이, 그리고 그들의 일상생활 행복감에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방탄소년단 한·중 여성팬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한·중 여성팬 각 300명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한·중 여성팬들의 스타 속성, 팬덤활동, 허구적 연애감정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스타 속성에서 전문성, 예능적 매력성, 그리고 팬덤활동에서 얻는 허구적 연애감정은한국 여성팬보다 중국 여성팬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한국 여성팬은 오프라인 팬덤활동을 적극적으로 참여한 반면, 중국 여성팬은 온라인 팬덤활동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중 여성팬의 팬덤활동,스타 동일시,허구적 연애감정은 팬들의 일상생활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함의 및 한계점,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