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Q모집단으로부터 Q표본 구성 과정에 대한 분석: 학술지 주관성 연구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1996∼2014)
백평구 ( Pyoung Gu Baek )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5 주관성연구 Vol.- No.30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화 가능성, 신뢰도와 타당도 문제에 대한 Q연구자의 대응 유형과 의미를 구체화하는 데에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연구 문제와 관련된 이론의 개입 정도, 그리고 연구 수행과정에서 연구자 주도의 수준을 기준으로 다섯 개의 유형을 설정하고, 한국주관성연구학회의 학술지 주관성 연구의 1996년 창간호부터 가장 최근인 2014년 12월 발간 29호까지 총 221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먼저 비구조화 Q표본이 구조화 Q표본에 비해 더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이는 Q표본 도출 과정에서 이론의 개입 정도 보다는 타인의 관점 반영이 주관성 연구를 통해 논문을 게재한 Q연구자의 주요 관심사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Q방법론은 범주화의 시점, 인터뷰의 유형과 적용 등에 있어서 질적 연구의 전통과는 다른 고유한 연구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Q방법론의 이론과의 차이로는 이론적으로 강조된 것에 비해 신뢰도 확보 절차에 대한 노력이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았다고 판단된다. 타인의 관점으로는 전문가 집단에 의한 동료 검토가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Q표본 도출 방법 중 주체별 체계적 표집과 단순 무작위 표집의 활용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Q방법론 연구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한 가이드라인의 활용, 그리고 Q모집단에서 Q표본을 도출하는 과정에 한정해 타당도라는 표현의 대안 모색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y how Q researchers handle the issue of generalizability, reliability, and validity in their own Q research and its meaning. For the purpose, the author considered the five types based on the degree of theoretical dependency and researcher autonomy. Total of 221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cientific Study of Subjectivity from 1996 to 2014 were analyzed in the current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at first, unstructured Q sampling was used more than structured one. This implies the Q researchers` main interests were researcher autonomy (i.e. considering other person`s opinion) rather than theoretical dependency on the transition from Q population to Q sample. Next, Q methodology adopts the authentic research procedures in that it differs from the traditions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concerning the starting point of developing categories, the types of interview and its applications. The gap between theoretical guidelines of Q methodology and Q methodological research papers lie in performing actions for acquiring the reliability doing Q methodology. The way considering the other person`s opinion was mainly with peer review. Systematic sampling and simple random sampling were relatively less used in constructing final Q sample. Based upon findings, the author suggests the application of Q methodological research guidelines ensuring effective doing Q research and the adoption of alternative term as to validity on the transition from Q population to Q sample.
이송이 ( Song Yi Lee ),심태은 ( Tae Eun Shim )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8 주관성연구 Vol.- No.41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들이 유학생들을 어떻게 생각하는지의 주관적 인식을 토대로 공통적인 특징과 다양성을 도출하고 이를 유형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한국 대학생들의 유학생들에 대한 인식의 유형을 구분하여 살펴보기 위해 Q방법을 사용하였고, Q표본은 한국 대학생들의 인식과 관련된 문헌고찰, 인터뷰내용, 설문지 등을 통하여 최종 33개를 선정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P 샘플 수는 한국대학생 총 31명이었다. 자료 분석은 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요인분석을 실시하고 관련 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학생들에 대한 한국대학생들의 인식유형은 5가지로, 유형 1은 유학생들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며 학교에서 함께 학업을 수행하는 동료의식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특성을 반영하여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는 긍정적 공존형’, 유형 2는 유학생들에 대해 배타적이며 경쟁적인 느낌을 반영하는 ‘공정성 추구의 배타적 방어형’, 유형 3은 대학생활을 하면서 본인이 느끼는 유학생들에 대한 감정을 자신의 문제로 바꾸어 인식하는 ‘세계관이 좁은 자기중심적 판단형’, 유형 4는 유학생들을 미래 한국 사회의 구성원으로 생각 할 의향은 있으나 현재는 대학 생활에서 보이는 모습에 거부감을 느끼고 있는 ‘피해보기 싫은 거부형’, 유형 5는 유학생에 대해 관심을 가지되 개인적인 거리감을 두는 ‘관계를 거부하는 이성적 수용형’ 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한국 대학생들과 유학생 두 집단의 소통과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derive typology of how Korean students perceive international students by sorting the features of responses by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order to achieve this, we used Q method, and Q samples were selected from literature reviews,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and 33 questions were finalized. QUANL program was used for factor analysis on 31 subjects. As a result, total number of valid types of perception of Korean college students were five. Type 1 is a ‘positively coexisting for synergy ‘group that refers to group of students who think positively about international students, have a sense of collectivity, and actively accept them as a partner in college. Type 2 is a ‘exclusively defensive for equitability’group that holds exclusive and competitive feeling towards international students. Type 3 is a ‘critically egocentric with a narrow world view’ group which tends to be critical about international students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 and Type 4 has a willingness to think of international students as members of Korean society in the future, but it is named ‘rejective avoiding disadvantage’ type because they refrain from coworking with international students due to their reluctant attitude and behavior. Type 5 is a ‘reasonably acceptive without relationship’ group that car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but keeps personal distance from them. This result is expected to contribute as a basis for promoting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Korean and international students.
뉴노멀 시대 MZ세대의 라이프스타일 변화 유형에 관한 연구
김기연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22 주관성연구 Vol.- No.59
This interpretative Q study aims at exploring typologies of the MZ’s lifestyle change according to respondents’ MBTI types under the pandemic environment in the new normal era. As the millenials and generation Z become a major social class or consumer group in the market worldwide, related academic studies also tend to increase. Different from previous generations, their consumption behavior and lifestyle are creating new trends. 31 P-sample respondents for each of the 16 MBTI types participated in the Q-sorting of 34 Q samples collected from Q-population statements on ‘How the pandemic has changed my lifestyle?’. As a result, four types were discovered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based on abductory Q research. The first type was named the value consumption of ‘Zipcoktem’ (A term referring to items necessary to enjoy indoor life) type, the second type is a healthy-life challenger, the third type was named H-YOLO tribe, and the last is couch potato type. The new theoretical definition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as the basis for further researches or industrial application. 본 논문은 Q 방법론과 MBTI 유형 이론을 적용하여 팬데믹 이후 뉴노멀 시대의 MZ세대 라이프스타일 변화 유형을 탐색한 해석적 연구이다. 전 세계적으로 MZ세대가 주력 소비자층이자 사회계층으로 위상이 높아지고 새로운 트렌드를 주도하면서 관련 연구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팬데믹이 나의 라이프스타일을 어떻게 변화시켰는가’의 연구문제에 대해 Q 모집단 진술문으로부터 최종 34개의 Q 표본을 구성하였고, 16개의 MBTI 유형별로 선정된 총 31명의 P 표본 응답자들이 Q 분류에 참여하였다. 가설생성적 Q 연구를 통한 데이터 분석 결과, 4개의 유형을 발견하였다. 제1유형은 집콕템(실내생활을 즐기기 위한 아이템) 가치소비 형, 제2유형은 헬시라이프 챌린저(healthy-life challenger) 형, 제3유형은 횰로(H-YOLO) 형, 제4유형은 카우치 포테이토(couch potato) 형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는 MZ세대의 자아개념을 기초한 라이프스타일 변화 유형의 개념 및 특성을 이론화함으로써 후속 연구나 실용적 활용의 선험적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윤은자,전미영,서미정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9 주관성연구 Vol.- No.45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pplying the Q-methodology, to identified the subjectivity on self-management of patients receiving hemodialysis. A sample of 34 participants was recrui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nd classified 43 selected Q-samples into a nine-point normal distribution grid. Analysis for collected data were used a PC-QUANL program.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were as follows. The three types account for 49.9% of the total variance: 35.8%, 8.1%, and 6.1%, respectively. Type 1 was ‘enthusiastic self-initiative’, type 2 was ‘pessimistic reality-atrophy’, and type 3 was ‘support-based depend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able to provide patient-centered and qualified nursing services, and improve satisfaction of the patients who receive hemodialysis treatment by developing customized nursing intervention to enhance self-management of the patients.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의 자기관리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파악하고 그 유형별 특성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해Q방법론을적용하였다. P표본은만19세 이상 성인으로 만성신부전을 진단받고 3개월 이상 혈액투석을 하는환자 34명을 편의표집 하였고 43개의 Q표본을각자 의견의 중요도에 따라 강제정상분포가 되도록 9점 척도상에 Q분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CQUANL program에 의한 Q-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혈액투석환자의 자기관리에 대한 주관성은 3개의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체변량의 49.9%를 설명하였다. 혈액투석환자의 자기관리에 대한 주관성은 ‘열정적 자기주도형’, ‘비관적 현실위축형’, ‘지지기반 의존형’ 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환자맞춤형 투석자기관리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제언하였다.
김익지 ( Ick Jee Kim ),심형화 ( Hyung Wha Shim )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6 주관성연구 Vol.- No.32
본 연구는 남자간호사의 직업이미지에 관한 주관성을 탐색하고 유형화하며 각 유형에 따른 남자간호사의 직업이미지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간의 주관성 연구에 적합한 Q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P 표본으로 선정된 남자간호사 35명에게 최종 도출된 37개의 Q표본을 9점 척도 상에 강제 분포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QMethod program에 의한 주성분요인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남자간호사의 직업이미지에 관한 주관성은 4개로 유형화되었으며 ‘자부심이 높은 양성평등적 사고형’, ‘이상과 현실 사이의 갈등형’, ‘직업적 시선을 가진 발전지향형’, ‘낮은 만족도를 가진 이직의도형’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남자간호사들의 직업적 정체성을 확인하고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다양한 남자간호사의 직업이미지에 관한 주관성 유형에 따라 남자간호사들의 직업에 관한 인식이 개선될 수 있는 전략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and classify the types of the subjectivity on the job image of male nurses using Q methodology. Methods: 37 Q statements were selected as the Q sample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 Q sorting was conducted by 35 people who are hospital male nurses or have been before as P samp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PQMethod program. Results: Four distinctive types of the occupation image about male nurses were identified: Type Ⅰwas ``Gender equality thinking type with great pride``. TypeⅡ was ``Conflict type between the ideal and the real``. Type Ⅲ was ``Development orientation type looking at nursing as just a job``. Type Ⅳ was ````Turnover intension type with dissatisfaction``. Conclusion: This result will be contribute to find the identification of male nurses and provide the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job image of male nurses.
김상미,고진희,문정순,양기훈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9 주관성연구 Vol.- No.47
This study attempted to prototype the welfare awareness of adolescents in accordance with their preferences on the systematic-residual welfare system. Types of welfare awareness are established through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on a wide range of variables. In this study, analysis of welfare awareness prototyping is structuralized by classifying them into 7 categories (awareness on income distribution, role of the country, systematic and residual welfare, increase in taxation, welfare and will to work). Analysis was made with 40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reas related to social welfare in the Jeju region as the subjects through the utilization of Q-methodology as the research method capable of dealing with the subjectivity of human being quite simply and effectively. As the results of the study, all the subjects fundamentally preferred systematic welfare. The awareness of the adolescents on welfare was classified into 3 types. Type 1 is referred to as the tax increase-defined type, type 2 as the tax increase-resistant type and type 3 as tax increase-selfish type. It was attempted to present the educational and practical directions for the adolescents in order to establish a welfare nation through the introspec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welfare awareness of adolescents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results. 본 연구는 제도적-잔여적 복지체제 선호에 따른 청소년의 복지인식에 대한 유형화를 하고자 하였다. 복지인식유형은 다양한 변수들에 대한 직⋅간접적인 경험에 의해서 형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복지 인식 유형화 분석을7가지 분류기준(소득분배인식, 국가의 역할인식, 제도적 복지와 잔여적 복지에 대한 인식, 조세 증세에 대한 인식, 복지와 근로의욕에 대한 인식)으로 설정하여 구조화하였다. 연구대상은 제주지역 청소년 사회복지 연계전공4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인간의 주관성을 다루는데 용이한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 모두에서 기본적으로 제도적 복지를 선호하고 있었다. 청소년의 복지에 대한 인식은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유형 1은 권리적 복지형, 유형 2는 효율적 복지형, 유형 3은 의무적 복지형으로 명명화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복지인식의 현시점을 성찰하여 복지국가로 나아가기 위한 청소년의 교육적, 실천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바람직한 대통령 이미지에 대한 유권자 인식 연구: 대통령의 능력과 자질을 중심으로
한효임 ( Hyo Im Han ),김창남 ( Chang Nam Kim )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7 주관성연구 Vol.- No.37
이 연구는 바람직한 대통령 이미지에 대한 유권자 인식을 탐색해 보았다. 대통령의 이미지에 대한 유권자의 인식이란 개인적인 느낌, 가치, 판단 등에 의해 형성되는 주관적 영역이기 때문에 인간의 주관성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는데 효과적인 Q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유권자들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는 3가지 유형의 대통령 이미지를 찾아냈다. 요인 A는 “비전과 현실타개능력을 겸비한 실천가”로서의 대통령 이미지를 나타낸다. 요인B는 “신뢰감을 주는 소통인”으로서의 대통령 이미지를 보여준다. 요인 C는 “사회 안정을 견인하는 상황대처능력자”로서의 대통령 이미지를 제시한다. 이 세 가지 유형의 대통령 이미지는 현 시점에서 국민의 바램, 인식, 가치판단 등이 반영된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기존의 정치인 이미지 구성요소에 대한 연구결과를 확인하기도 했지만, 기존의 연구결과에 배치되거나 새로운 관점의 유권자 인식을 찾아냈다. 이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어려운 문제들에 직면한 대한민국을 번영으로 이끌 정치지도자의 바람직한 전형을 탐색한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 연구는 연구주제의 선택, 연구방법론 등의 측면에서 정치인 이미지에 대한 기존의 연구결과를 보완하고 진화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연구는 이 시대 국민이 바라는 바람직한 대통령 이미지가 무엇인지 가늠하게 해줄 것이며, 대통령을 비롯한 정치지도자들의 바람직한 이미지 형성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voters` perception of presidents` desirable image. Three meaningful types of perception were identified through Q-methodology. The three types of perception respectively represent `a doer who possesses vision and the ability for resolving difficult reality`, `a reliable communicator`, and `a person of full capacity who can cope with various critical situations`. These three types of voters` perception of presidents` desirable image reflect the public`s current hope, cognition, value-judgement, and so on. Though this study confirms the results of many precedent studies on the components of politicians` image, it suggests some new aspects of voters` perception, contrary to the results of many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can contribute to the inquiry about the paradigm of politicians who have the responsibilities and power for our nation facing various difficulties.
4차 산업혁명시대 인재상에 대한 교사의 인식유형 연구: 교육에서 추구하는 역량의 담론을 중심으로
남상선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9 주관성연구 Vol.- No.47
This study aims at figuring out and classifying common characteristics of a leadership model based on teachers’ subjective perception of how they consider leadership model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research method employs Q-methodology to comprehend teachers’ perception on a leadership model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r Q sample, a total of 33 Q-statements are adopt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precedent studies, and in-depth interviews regarding perception. P samples for the research are 30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who have more than 10 years’ experience in education, while Q-sorting and in-depth interviews are conducted. Data analysis is carried out using QUANL program to analyze main factors and related types. The results suggest four types of teachers’ perception on a leadership model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first type of the leaders has emotional empathetic intelligence, the second type has convergence thinking intelligence, the third type has revolutionary challenge intelligence, and the fourth type has comprehensive thinking intelligence. The research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teachers’ perception types on a discourse of new leadership model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identified with a subjective point of view and a search for new methods on leader education is discussed in public. In addition, th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for development and support of education programs, a way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s. 본 연구는 교사들이 4차 산업혁명시대 인재상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지의 주관적 인식을 토대로 인재상에대한 공통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유형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교사들의 4차 산업혁명시대 인재상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Q방법론을 사용하였다. Q표본은 인식과 관련된 문헌고찰, 선행연구, 심층인터뷰내용 등을 종합하여 총 33개의 Q진술문을 선정하였으며, 연구에 참여한 P표본은 10년 이상 경력의 초⋅중등 교사 30명이며, Q소팅과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주요인분석을 실시하고 관련 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4차 산업시대 인재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유형은총 4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유형 1은 정서적 공감지능 인재형, 유형 2는 융복합적 사고지능 인재형, 유형 3은혁신적 도전지능 인재형, 유형 4는 종합적 사유지능 인재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4차 산업혁명시대 새로운 인재상의 담론에 대한 교사의 인식 유형을 주관적인 관점으로 파악하고, 인재교육에 대한 새로운 방안 모색을 공론화 하였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인재교육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들에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중국 유학생의 <태양의 후예> 시청에 관한 주관성 연구
정현욱 ( Jung Hyun-wook )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7 주관성연구 Vol.- No.35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유학생들의 한류 드라마 <태양의 후예> 시청의 주관성 구조를 유형화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내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2016년 6월 5일에서 10일까지 Q 방법론에 입각해서 조사를 수행했다. 중국 유학생들의 <태양의 후예> 시청유형은 다음 3가지로 나타났다. 제1유형은 스타몰입형으로, 이들은 한류 드라마의 콘텐츠에 높은 관심을 보인 집단이다. 이들의 가장 주된 시청 동기는 주연배우에 대한 호기심이었다. 제2유형은 언어습득형으로, 이들은 한국어 습득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인 집단이다. 이들은 스토리나 영상 등과 같은 드라마 콘텐츠에 관심을 두지 않았다. 이들의 시청은 한국에 체류하고자 하는 목적 속에서 드라마 대사를 한국어 습득의 교본으로 활용하려는 의도에서 이루어졌다. 제3유형은 문화체험형으로, 이들은 한국문화를 배우고 체험하기 위해서 <태양의 후예>를 시청한 집단이다. 이 유형은 드라마가 다룬 사랑이야기, 패션, 화장법 등 한국문화에 관심을 두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e of Chinese students` subjectivities shown in relation to TV Drama, “Descendants of the Sun.” Data used for the Q analyses were collected from Chinese students from June 5 to 10, 2016. Three types of viewers` motivations were found. The first type was found among Chinese students who watched TV dramas for their crushes on stars playing major roles in the drama. It was named as “the crush-on star type.” Students belonging to this type watched the drama because they liked the actors and actresses. The second type was found among Chinese students who watched TV dramas for improving Korean language skills. It was named as “the language learning type.” Students belonging to this type watched the drama to brush up for Korean language skills. They did not focus on stars, stories, attractive scenes, etc.. The third type was found among Chinese students who watched TV dramas for their adjustment to Korean culture. It was named as “the culture training type.” Students belonging to this type watched the drama to learn Korean culture and internalize it. They were very much interested in such cultural elements as fashions, make-ups, manners, and others.
한국유학생활 적응에 대한 지방대학 몽골 유학생의 인식 유형 연구
문세진 ( Se Jin Moon ),조완성 ( Wan Sung Jo ),김민 ( Min Kim )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20 주관성연구 Vol.- No.53
본 연구는 한국유학생활 적응에 대한 지방대학 몽골 유학생의 인식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심층면접을 통해 총 344개의 진술문으로 구성된 Q 모집단을 구축하였으며, 분류과정을 거쳐 34개의 진술문을 Q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지방대학 몽골 유학생 31명을 대상으로 Q 분류를 진행하였으며, 최종 27개의 Q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그 결과, 한국유학생활 적응에 대한 지방대학 몽골 유학생의 인식 유형은 총 3개로 확인되었다. 1유형은 ‘한국문화 수용을 통한 적응형’, 2유형은 ‘몽골인 간의 유대를 통한 적응형’, 3유형은 ‘한국어 실력 향상을 통한 적응형’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지방대학에 재학 중인 몽골 유학생의 관점에서 한국유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심층적으로 파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모든 유형에서 몽골인 서포터 제도가 한국유학생활 적응에 도움이 되었다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방대학 내 몽골인 서포터 제도의 확대 시행을 제안하였다. The study focused on exploring the perception of Mongolian students at local universities about their adaptation of study abroad life in South Korea. Q population consisting of a total of 344 statements was constructed by literature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s. Through the sorting, 34 of the statements were selected as final Q samples. The Q sorting was conducted by 31 Mongolian students attending local universities, and the final 27 Q sort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were classified that there is a total of three types of perception among Mongolian students at local universities regarding adaptation to study abroad life in Korea. Type 1 was referred to as ‘adaptive through acceptance of Korean culture’, type 2 was called ‘adaptive through bonding between Mongolian’. The third type was named ‘adaptive by improving Korean skills’. This study has the meaning that understands the factors which affect adaptation study abroad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Mongolian students attending local universities. It also proposed the expansion of the Mongolian supporters system in local universities,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at the Mongolian supporters system in all types helped adapt to the life of a study abroad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