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생산직 기능 인력의 숙련형성에 관한 연구 - 자동차부품업체 사례를 중심으로 -

        박항준 한국질서경제학회 2004 질서경제저널 Vol.7 No.2

        본 연구는 제조업체의 생산성은 생산현장 오퍼레이터의 숙련수준에 의해 결정된다는 기존의 숙련연구를 토대로 하여 우리나라 기업의 자동차부품업체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여 이들 업체의 숙련형성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높은 수준의 숙련형성을 위해 어떠한 숙련형성방식으로 숙련형성을 강화하고 있는가를 기존의 숙련형성모형을 원용하여 면접조사와 관찰조사를 바탕으로 연구하여 제시하고 있으며, 앞으로 자동차부품업체의 숙련형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기존의 대기업을 대상으로 한 숙련형성연구에서는 작업자의 다기능숙련형성은 생산성과를 향상시킨다는 효과가 지배적이었지만, 중소기업 중 자동차부품업체에 있어서 작업자에 대한 다기능숙련형성은 상대적으로 작업자의 숙련수준 향상이 대기업으로의 인력유출을 가져올 수도 있다는 부정적 측면도 고려하여 숙련형성에 대한 효율화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고 본다. 그러나 숙련형성의 핵심은 작업자의 업무수행능력의 질적 고도화, 즉 제품의 불량률과 고장률을 낮추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있으므로 자동차 부품업체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숙련형성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고 본다.

      • KCI등재

        숙련형성 시스템의 동학과 분절에 대한 연구

        안정화 ( Ahn Jung-hwa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6 산업노동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한국의 숙련형성 시스템에 대한 정량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임금, 고용안정성, 숙련, 생산성으로 구성된 숙련형성의 기본 순환고리를 설정하고, 이 순 환고리와 자본, 노동, 국가의 전략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숙련 형성 시스템이 기업규모별로 분절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숙련형성의 기본 순환고리에 대한 분석 결과는 교육훈련의 증가가 숙련-생산성-임금-이직률로 이어지는 순환관계 속에서 선순환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숙련형성 순환고리와 자본, 노동, 국가 전략의 상호작용을 보면, 신제품개발에 적극적인 혁신적인 기업일수록 교육훈련에 대한 투자를 많이 하며, 이는 숙련수준의 상승, 생산성 향상, 임금 상승, 고용안정성 제고라는 선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노동조합은 교육훈련을 직접 증가시키지는 않지만 임금상승과 고용안정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숙련형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것은 숙련지향적인 전략을 통해 얻어낸 결과라기보다는 임금과 고용안정 노력에 대한 부산물로 해석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직업능력개발 정책의 지원은 기업의 교육훈련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규모별로 숙련형성의 특성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소기업 집단 에서는 숙련형성의 순환고리가 작동하지 않고 있을 가능성이 있어 현재와는 다른 정책적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kill Formation System in Korea. We set correlations of skill formation variables such as vocational training, skill, productivity, wage and turnover. We then analyzed how the correlations interacted with the strategies of the employer, union and government and whether or not segmentation of skill formation differs depending on the firm siz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the correlations of skill formation variables can lead to a low-skill or high-skill equilibrium. Second, the companies which are active and innovative in new products are more likely to invest in training, positively leading to skill improvement, increased productivity, a rise in wages and job security. Also, unions have positive, indirect effects on skill formation through wage increase and job security.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skill formation was foun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firm size. Particularl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ircle of skill formation does not work in small and medium-sized firm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process of skill formation in small and medium-sized firms become disconnect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re is a disconnect within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process of skill formation in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 KCI등재후보

        인천지역 사회적기업의 노동자 숙련형성 기능에 관한 고찰

        양준호(Yang Jun Ho),이혜정(Lee Hye Jung)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3 인천학연구 Vol.19 No.-

        인천지역 인증 사회적기업은 그 대부분이 고용량을 급속하게 늘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용한 노동자에 대한 숙련형성 기능은 발휘하지 못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먼저 고용의 질적 측면보다는 양적 측면, 즉 일자리 개수를 사회적기업에 대한 정책지원의 조건으로 인식하고 있는 우리 중앙정부 및 지자체의 천박한 정책 기조로 인한 것으로 규명할 수 있다. 또 지역 사회적기업의 목적 및 설립경로 유형을 보더라도 대부분의 사회적기업이 고용정책과 연계되어 있음에도 이들 역시 진정한 사회통합 내지 노동통합을 유도할 수 있는 고용정책 및 고용방법에 대한 문제의식이 결여되었던 것을 부인하기 어렵다. 본고 4장에서 언급하였듯이, 지역 사회적기업의 노동자에 대한 숙련형성 기능은 취업 취약계층 여성을 고용하여 일정한 수준의 숙련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이를 통해 여성노동자들의 사회 서비스 및 자기개발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여 또 이들의 잠재된 노동력을 개발하고 훈련시켜 경제적 생산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사회통합 내지 노동통합의 기능을 발휘하는 것임에 틀림없다. 지역 사회적기업의 사내 교육 및 직무훈련을 통해 미숙련 또는 장애인 여성노동자들이 자신의 삶을 재발견하고 또 새로운 일을 알 수 있게 하는 것은 고용정책의 질적 측면을 넘어 지역사회의 활성화에도 기여하는 것이다. 여성노동자의 숙련형성을 도와 이들에 대한 장기고용과 또 이들의 상위 노동시장으로의 진입을 유도하여 미숙련 여성노동자에 대한 사회통합적 기능을 발휘하는 사회적기업이 육성되어야 한다. 즉 사회적기업은 고용의 양적 측면 뿐만 아니라 사회적기업 고유의 고용정책적 의의, 즉 고용의 안정성 또는 장기성 그리고 숙련형성을 통한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통합적 기능을 발휘해야 한다. 그러나 지역사회의 여성노동자의 제대로 된 숙련형성의 관점에서 보면, 소수이지만 노력하고 있는 이들 사회적기업의 노동통합 기능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선 취업 취약계층 여성노동자들에게 관련 직무 영역과 관련된 기본교육은 실시하고 있으나 보다 심도 있는 사내 교육 및 훈련을 제공하는 데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사회적기업 내 자체예산 및 인력만으로 교육 및 훈련을 제공하고 있어, 내실 있는 내부노동시장을 작동시키기에는 재정 및 인력 등의 어려움이 너무 크기 때문이다. 또 취업 취약계층 여성노동자들이 사회적기업에 취업하여 특정 숙련 및 기능을 체득하긴 했으나, 실질적으로 본인들이 노동력을 공급하는 노동시장이 이들을 취업 취약계층으로 인식함으로써 이들이 사회적기업 내부노동시장을 통해 일정한 수준의 숙련 및 기능을 형성하는데 성공했다고 하더라도 일반 기업으로의 이직을 허용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자격증 취득과 같은 보다 고도의 일반적 숙련에 대한 이들의 동기 부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는 즉 이들이 숙련 및 기능을 취득하고 또 심화시켜도 안정적인 일자리를 얻기는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돌봄 서비스의 경우, 일자리가 공공기관 등 용역사업의 형태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 영역에서 벗어나게 되면 고용이 더욱 더 불안한 상태에 놓여진다. 이에 돌봄 서비스에 종사하는 여성노동자들은 자격증이 필요한 공공 영역에서 벗어나 개인간병, 개인보육 등 좀 더 자유롭고 자격증을 필요로 하지 않는 영역에서 일을 할 것을 선호하게 된다. 그 결과, 고숙련 여성노동자들의 직무능력 및 시장가치가 저하될 우려가 크다. 따라서 사회적기업의 숙련형성 기능의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사회적기업 노동자의 추가적 기능 및 숙련 형성과 지속적인 자기개발을 유도할 수 있도록 기존의 일반 노동시장의 관성을 완화하는 노력도 중요할 것이다. It is verified that the function of skill formation on hired-workers in the certified-social enterprises in Incheon is not working well even though most of them have been attempting to increase their employment. First of all, this has been identified by the superficial way of basic policy conditions led by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who recognize the quantitative aspect of employment like a number of job positions rather than the qualitative aspect of that as the condition of policy support for social enterprises. And it is hard to deny that despite most of social enterprises’ association with employment policies, they have a lack of consciousness on the matter of employment policies and of the way of employment, which help to attract a true social or labor integration, even looking from the aim of local social enterprises and the type of their establishment of route. As motioned in Chapter 4, it is true that the function of skill formation on the workers of local social enterprises proves the function of social or labor integration in the sense that it helps to make a certain level of skill by hiring employment-vulnerable class of??female, and this motivates the female workers to develop selfimprovement and to participate in social service, and it makes economic production possible by developing and training their potential work force. Making unskilled or disable female workers know new jobs and helping them to rediscover one’s life through on-the-job training and in-company education of local social enterprises contribute to community reinvigoration beyond the qualitative aspect of employment policies. The social enterprises, which show the function of social integration on unskilled female workers, must be fostered through the inducement of their entering into a high level’s labor market and long-term employment by supporting the skill formation on the female workers. The social enterprises should function not only in the quantitative aspect of employment, but also in the inherent meaning of employment policies of social enterprises, and show the function of social integration on vulnerable class through the stability of employment or long-term employment and the skill formation. Looked at from the point of view based on the proper skill formation of local society’s female workers, however, it seems that theses social enterprises, which are the minority but in one’s endeavors, have a limitation on the function of labor integration. They have implemented preferentially a basic education in terms of related-job domain to the female workers in employment-vulnerable class, but it seems that they are not able to reach more intensive in-company education and training providing level. This is because the education and training are provided by self-budget and self-labor in social enterprises, as a result, there are financial hardship and a??manpower hardship to operate internal labor market. The female workers in employment-vulnerable class learn a specific skill by getting jobs with social enterprise, butin fact, the labor market composed of their workforce recognizes them as employment- vulnerable class that their job change to general enterprises is not allowed even though they succeed to reach a certain level of specific skill through internal labor market in social enterprises. Because of this, it is not properly motivated to learn more advanced-general skills like obtaining certificate. This means that it is difficult for them to get a stable job position even though they learn or improve a skill. Especially, in the case of care service, the job positions are mostly in the service enterprise sector like a public institution that the employment is likely to be exposed to more unstable conditions if out of this sector. Therefore, departing from a public sector where the certificates are required, the female workers working in care service are going to prefer to work in more flexible sectors like private nursing and privat

      • KCI등재

        북한의 시장화와 숙련불평등

        황규성 ( Gyu Seong Hwang ),이재경 ( Jae Kyung Lee ) 북한연구학회 2014 北韓硏究學會報 Vol.18 No.1

        한의 시장화는 숙련형성체계와 불평등 양상의 변화를 수반했다. 전통적인 숙련형성체계는 교육제도와 대중운동으로 구성되었고 국가에 의한 일원적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방식은 숙련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지 않았고 불평등을 제거하지도 못했다. 시장화의 충격으로 인해 변화된 숙련형성체계는 계획특수숙련과 시장특수숙련을 분화시켰다. 변화된 계획숙련형성체계는 생산단위로 권한을 분산하고 숙련에 따른 차별을 제도화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물자부족의 만성화로 인해 계획의 복원이 지체되면서 숙련형성을 촉진하기보다는 계획 내의 숙련에 따른 양극화를 초래했다. 시장의 등장에 따라 나타난 시장숙련은 개인적 경험과 능력에 따라 숙련형성이 이루어진다. 시장화가 진행됨에 따라 시장숙련은 점차 고도화되며 기능과 규모의 면에서 분화가 일어나고 있다. 그 결과 시장 내의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으며 사회경제적 재계층화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 북한에서는 계획과 시장의 공존이 장기화되면서 숙련과 관련된 흥미로운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다. 첫째, 작동숙련을 핵심으로 하는 계획숙련이 재부상하고 있다. 계획숙련은 계획과 시장에서 모두 유용한 지위상승의 수단이 되고 있다. 둘째, 계획숙련이 시장을, 시장숙련이 계획을 넘나들면서 계획과 시장의 숙련교차가 일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북한의 불평등 양상은 계획과 시장 내부에서 일어나고 있는 동시에 계획과 시장을 교차하면서 보다 복합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Marketization in North Korea has changed its skill-formation system and skill related inequality. Traditional state-imposed skill formation system which was characterized by combination of the educational system and a popular movement has proved to be ineffective either in human capital accumulation or reduction of inequality. A shock of marketization has changed skill-formation system differentiating plan-specific and market-specific skill. Changed skill formation system has disperses authority to production unit and institutionalized inequality of skill. But it has brought about skill polarization rather than promoted skill formation against the background of delayed recovery of plan caused mainly by chronic shortage of goods. Market-specific skill appeared by the advent of market puts importance on personal experience and ability. Gradually developed market skill has been divided by the function and scale resulting in deepening inequality in market performance and facilitating socioeconomic re-stratification. Today in North Korea where coexistence of plan and market has las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interesting phenomena are observed in a viewpoint of skill and related inequality. First, the plan-specific skill is re-emerging making operation skill among others as one of the most promising means of upward mobility in both plan and market. Second, as cross-sectional use of plan-specific and market-specific skill has widened, inequalities in North Korea has witnessed more complex pattern in that inequality between plan and market has been deteriorated and respective inequality in plan and market has deepened and finally intersection of plan and market skill has added to the unequal landscape.

      • KCI등재

        노동문제에 대한 통계적 분석 : 업무 및 업종 변화가 숙련에 미치는 효과: 화이트칼라 근로자를 중심으로

        김안국 ( Ahn Kook Kim ),황규희 ( Gyu Hee Hwang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3 산업노동연구 Vol.19 No.2

        이 연구는 근로자의 업무 변화가 조사된 유일한 자료인 「인적자본기업패널조사」자료를 이용하여 근로자의 업종변화 및 업무(직종)변화 등에 따른 숙련형성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가설은 동일 업무의 지속 혹은 동일 업종의 지속이 획득되는 숙련의 성격과 숙련의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의 사항들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지지한다: (1) 직장 이동시 동일한 업무의 수행은 특정 업무에 대한 숙련, 즉 직종특수숙련을 형성한다; (2) 직장 이동시 동일한 업종을 유지하는 것은 특정 업종에서만 통용가능한 업종특수숙련을 형성한다; (3) 직종특수숙련을 획득한 근로자는 업종의 변화가 없는 경우에 숙련 향상의 단절이 없어 승진의 가능성이 높다; (4) 업종특수숙련을 획득한 근로자는 업무의 변화가 없는 경우와 업종의 변화가 없는 경우 모두에 숙련 향상의 단절이 없어 승진의 가능성이 높다. 전반적으로 이상의 결과는 하는 일의 연속성에 의한 숙련형성과 향상으로 해석된다. This study analyzes the skills formation according to the changes in job or the changes in industry, using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data in KRIVET(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Research hypothesis asserts that the continuity of job and industry influences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skills. The empirical results verify following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such that 1) the maintenance of the same job through switching work place brings job specific skills; (2) remaining in the same industry, while switching work place, cultivates the industry specific skills; (3) the holders of job specific skills have higher probabilities of job promotion if they remain in the same industry; (4) the holders of industry specific skills have higher probabilities of job promotion if they remain in the same industry and the same job. Overall, the results are explained as due to the continuity of relevant skills enhancement.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습관 이해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성찰 - 숙련성, 자발성, 실천성, 공동체성을 중심으로 -

        고원석,이민화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3

        본 연구는 습관의 형성이 기독교교육에 던지는 시사점을 성찰하려는 목적으로 작 성되었다. 특별히 고대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습관 개념과 습관 형성에 대해 고찰 함으로써 신앙 형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독교교육이 신앙의 어떤 측면을 고려해야 할 지 살펴보고자 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습관 이해는 크게 두 가지로 구별되는데, 하나 는 개별 경험의 반복과 축적의 과정으로서 ‘에토스’이고, 다른 하나는 개별 경험들이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안정된 태도나 성품으로 자리 잡은 상태로서 ‘헥시스’이다. 습관은 개별 행위를 반복하는 습관화 과정을 통해 인간 안에 품성으로 자리잡게 되고 더 나아가 탁월성(덕)으로 발전해 간다. 이러한 탁월성은 궁극적으로 인간의 최종 목 적인 행복을 만들어 낸다. 탁월성은 탁월한 행위를 하였을 때 이르는 것이기에 습관을 들이고, 습관으로 살아가는 삶이 중요하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서 습관 형성은 ‘숙련성,’ ‘자발성,’ ‘실천성,’ ‘공동체성’의 의미를 지닌다. 습관은 신앙과 긴밀한 관계에 놓여있다. 신앙을 통해 인간의 덕이 자 란다는 것은 신앙이 습관의 요소일 수 있으며, 형성되고 성장한다는 의미를 지님을 알 수 있다. 신앙을 형성함에 있어 습관의 형성이 주는 시사점은 지대하다. 먼저 반복 이 주는 놀라운 교육적 효과에 묻혀서 질적인 성숙에 대한 고찰을 놓치고 있지는 않 았는지, 비판적이고 생성적인 질문이 기독교교육에 요청된다. 또한 습관이 자발적인 주체자의 행위를 통해 형성되듯이 기독교교육함이 타율과 강요가 아닌 자율적 의지에 서 이루어지는가를 돌아보아야 한다. 셋째로, 습관이 작은 실천을 통해 탁월성을 지향 하듯이 신앙이라는 것은 작은 몸짓, 작은 한 마디의 말에서 드러남으로 실천을 이루 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관습으로서의 습관은 신앙이 개인의 영역에 머무는 것이 아니 라 공동체로 시선을 돌리고, 더 나아가 공동의 영역으로서 문화를 형성해가는 기독교 교육이 요청되어야 한다. 기독교교육은 단순한 지식 전달의 교육이 아닌 형성을 이루는 교육이기에 도야 (Bildung)의 차원에서 접근함으로 지평을 넓히고 상호 소통함으로 자기를 성찰하고 자기를 결정하는 교육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이는 습관형성이 기독교교육에 선사하 는 네 가지 기둥을 통해 얻게 되는 시사점을 통해 시작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four pillars of habit formation and their implications for Christian education. The research interest emerges from our ‘new normal’ context after the COVID-19 pandemic. The new normal context has caused some drastic changes in society shaking the foundations, thinking habits, and life habits of human beings. In other words, people need to form new habits in their lives. Noting such a necessity, in this research, I examine the concept of habit and how it can be related to Christian education. Particular attention is given to Aristotle’s concept of habit and his understanding of habit formation. Aristotle contends that habit has two dimensions: ethos and hexis. First, ethos means habit as repetition or accumulation of individual experiences. Second, hexis refers to habit which is formed by repeated individual experiences with certain directions and embodied as an attitude or a character. When one repeats a certain deed and when it becomes a habit of the person, the habit enables the person to form a character related to it and to lead a more excellentlife. By doing so, the person can experience happiness,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human life. Because a more excellent life is possible by performing an excellent deed, it is important for each individual to repeat an excellent act, make it one’s habit, and live by the habit. According to Aristotle, habit formation has four pillars: (1) proficiency, (2) willingness, (3) practicality, and (4) communality. First, habit formation takes proficiency because habits are formed not merely by behavioral repetition, but by intellectual skills such as critical thinking. Second, habit formation accompanies willingness because habits are formed by one’s voluntary will to repeat a certain deed. Third, habit formation is practical because it is possible by practicing some actual deeds. Fourth, habit formation is communal because a habit is formed through a community. I argue that such habit formation is deeply engaged with faith formation. This is because faith itself can be formed, become a habit, grow, and even facilitate the growth of human virtue. With this possibility, I find that the addressed four pillars of habit formation offer important implications for faith formation. First, proficiency requires Christian educators to pose a critical question if we have missed considering qualitative maturity of one’s faith by focusing solely onthe astonishing educational effects of repetition. Second, willingness demands Christian educators to consider whether Christian education is done out of autonomous will, not by compulsion and coercion. Third, practicality implies that just as habit aims for a more excellent life by performing actions, faith should be practiced by certain actions such as gestures and words. Finally, communality requires that Christian education and faith formation should be communal rather than individual, and further create a communal culture among faith community members. With the analysis of habit formation and its four pillars, I discuss that Christian education is not merely a kind of education that passes certain knowledge but rather faith formation which is possible with habit formation. For this habit formation related to faith, Christian education neccessitates a lens of ‘Bildung,’ through which people can expand their horizons,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reflect on themselves, and establish better self-identities. I suggest that such a lens be equipped by the four pillars of Christian education that I draw from those of habit formation, including proficiency, willingness, practicality, and communality.

      • KCI등재

        한국 자동차부품산업의 수요추동형 비숙련균형

        이승봉 한국산업노동학회 2019 산업노동연구 Vol.25 No.1

        자동차부품산업에서 과연 숙련은 필요한가? 이 연구는 직무에서 요구되는 조건이자 인간에게 체화되는 인적 특징인 숙련을 생산방식과 직업훈련이라는 대표적인 제도들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숙련의 두 가지 속성은 각각 수요와 공급 측면에서 드러나는 양상으로서 생산방식과 직업훈련이라는 제도들과 긴밀히 연관된다. 숙련 수요와 공급 차원의 제도들을 통해 자동차부품산업의 숙련형성체제가 가지는 특징을 규명하는 것이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이다. 자동차부품산업은 완성차업체-1차 부품업체-2차 부품업체에 걸쳐 위계적이고 종속적인 가치사슬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조에서 하도급 업체들은 수익성이 낮은 노동집약적 부품생산을 강요받는다. 가치사슬구조의 제약은 부품업체들로 하여금 자동화ㆍ기계화를 극대화함으로써 이윤을 창출하는 유연자동화 생산방식을 취하도록 한다. 이 방식에서 숙련은 부차적이고 불필요한 것으로 수요 측면에서 비숙련이라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또한 많은 부품업체들이 직업훈련을 실시하고 있으나 숙련향상과 거리가 먼 형식적 훈련에 불과해 수요에서 촉발된 비숙련을 더욱 강화한다. 이렇듯 자동차부품산업의 숙련형성체제는 수요 측면에서 숙련을 필요로 하지 않고 그것이 공급의 특징으로 이어져 수요추동형 비숙련균형으로 나타난다. Is there a need for skill-building in the auto parts industry? Skill is a characteristic of jobs. At the same time, skill is also a human attribute embodied in human beings.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demand and supply of skills through a representative production system and vocational training.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kill formation system in the auto parts industry. The auto parts industry has a hierarchical value chain structure ranging from automobile makers to primary vendors and then secondary vendors. In this structure, subcontractors are forced to produce low return, labor-intensive parts. The constraint of the value chain structure allows auto parts companies to take advantage of flexible automation production system, which maximizes automation and mechanization to increase profitability. This system characterizes unskilled demand, which requires no skill. In addition, many auto parts companies are conducting vocational training; however, this only includes formal training that does not improve skills, further reinforcing the demand-induced unskilled. As a result, the auto parts industry appears to maintain a demand-driven unskilled equilibrium.

      • KCI우수등재

        유자녀 여성의 숙련 수준에 육아정책, 노동정책, 남성생계부양자 모델이 미치는 영향: OECD PIAAC 데이터를 중심으로

        윤수린 한국사회학회 2019 韓國社會學 Vol.53 No.4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emphasis on that the government of Korea should proactively intervene and lead to resolve the problem of career gap and deskilling of mothers after maternity leave. Considering that skill formation is largely affected by institutional context of the society that has been accumulated throughout history, it is crucial to implement policy that can offer opportunities for mothers to develop their skills to promote their employability. In light of this acknowledgment, this paper particularly explores what social policies and context actually influence the skill level of women with children; this paper applies multi-level analysis using PIAAC (Program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 data offered by OECD. It uses skill scores of PIAAC as dependent variables and background information of individuals as independent variables (level 1). Multiple social contexts and policies are applied as level-2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imply that the nations’ investment in ECEC(Early Child Education and Care) positively affects both literacy and numeracy scores of women with children. Investment in ALMP(Active Labour Market Policy) also positively affects their numeracy score. Meanwhile, whether a woman lives with a partner(spouse) or not has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on ALMP in nations where male breadwinner index is comparably high, implying that there might exist a clear gender roles in households with regard to being benefited from gender-neutral welfare service such as ALMP. Moreover, level of male breadwinner model also has a moderating effect on ALMP, suggesting that gender-divided workforce embedded in a society affects the social policies associated with mothers’ skill development. 최근, 여성의 출산과 육아로 인한 경력단절 및 숙련퇴화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가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숙련의 형성이 해당 사회가 역사적으로 쌓아 온 제도적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유자녀 여성들의 고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 이들의 숙련을 제고할 수 있는 정책적 환경이 중요하다. 그러나 정책적인 노력이 선행된다 하더라도 해당 사회에서 뿌리깊은 남성생계부양자 모델이 적용되어 왔다면 이러한 정책적 노력은 유자녀 여성의 숙련형성에 부정적인 상쇄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이 연구는 OECD PIAAC(Programme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 국제성인역량조사) 데이터의 숙련점수(문해력, 수리력)를 활용하여, 먼저 조사 대상 국가 내 유자녀 여성들의 숙련 수준을 결정짓는 대표적인 정책적 요인이 여성의 노동시장 접근을 촉진하는 육아정책(ECEC)과 완전고용을 위한 정부의 노력(ALMP)이라 가정하고, 이를 감안하여 개인 변수와 국가 변수를 함께 고려한 멀티레벨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의 결과, 국가의 육아정책(ECEC) 투자 규모가 클수록 유자녀 여성의 문해력과 수리력 모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ALMP) 또한 이들의 수리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성 대비 남성의 무급‧ 돌봄노동 비율이 낮은 국가들의 경우, 숙련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ALMP의 효과가 배우자(파트너) 동거 여부와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즉 해당 국가들에서는 배우자(남편)가 있는 경우 유자녀 여성의 숙련(수리력)에 대한 ALMP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로부터 ALMP와 같이 남녀에게 모두 해당되는 사회정책의 수혜에 있어서 가족 내 성 역할 구분이 존재한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또한 젠더레짐(남성생계부양자 모델)의 대리변수로서 활용한 무급노동, 돌봄노동의 여성대비 남성 수행 비율 자체도 유자녀 여성의 숙련 수준에 대해 ALMP와 상호작용 효과가 있어, 남성생계부양자 모델 지수가 낮은 경우 유자녀 여성의 숙련에 대한 ALMP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유자녀 여성의 숙련형성에는 고용정책, 육아정책 등의 제도적 노력뿐 아니라 사회에 뿌리깊게 배태되어 있는 성 역할 구분 또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하도급 구조하에서 행위자들의 숙련전략과 저숙련 균형 재생산에 대한 연구: 한국의 SI 산업을 중심으로

        노성철 한국산업노동학회 2019 산업노동연구 Vol.25 No.3

        This study explores how low-skill regime can be reproduced in the software industry which is under constant technological changes and, thereby, in need of skilled developers. Especially, among various areas of the SW industry in Korea, I shed light on the System Integration (SI) area, as it has long been known for its low-skilled and labor intensive nature. In the finding section, firstly, the key actors in the industry are identified based on the nature of rent they have held in the SI value chain. Then, the analysis focuses on their skill-related strategies as part of their effort to realize their rents. My finding suggests that the actors in the upper position of the value chain engage in the strategies of the quantification of skill and externalization of technical debt which allow them to maintain the dominance of their rent in the value chain. In response, the actors in the lower position rely on the strategies of the inflation and minimal implementation of skill in order to maximally realize their relational and technical rent. Finally, I illustrated how this interaction of skill-related strategies contributes to reproducing the low-skill equilibrium across the SI value chain. The policy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ill be discussed. 본 연구는 고숙련을 지향하는 SW 산업에서 저숙련 체제가 재생산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다양한 SW 산업 영역 중에서도 특히 저숙련ㆍ노동집약적 특색이 두드러지는 SI 분야의 숙련체제를 분석대상으로 삼는다. 먼저, 하도급 가치사슬이라는 구조적 조건하에서 가치사슬 내 위치에 따라 규정되는 지대의 형태들을 기술한다. 이어서 지대실현 및 보존의 맥락에서 주요 행위자들이 택하는 이질적인 숙련전략을 분석했다. 가치사슬의 상위행위자들은 SW 분야의 급격한 기술변화가 기술적 지대의 우위로 이어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기술적 채무를 발생시키고 이를 계속해서 하위행위자들에게 전가하는 한편, 숙련의 정량화를 통해서 숙련의 보상을 결정하는데 있어 주도권을 쥐는 전략을 취해왔다. 반면, 하위행위자들은 숙련 부풀리기와 숙련의 최소실현 전략을 통해 구조적 힘의 불균형 속에서 자신들의 관계적ㆍ기술적 지대실현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대방이 지닌 지대의 가치를 떨어뜨리면서 자신의 지대가치 실현을 꾀하는 숙련전략들 간의 상호작용은 전략 간 상보성을 형성하며 저숙련 균형을 낳고, 이는 하도급 구조를 고착시키고 재생산하며 SI 산업이 고숙련ㆍ고부가가치 체제로 이행하는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었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결과가 갖는 정책적ㆍ이론적 함의를 논의한다.

      • KCI등재

        근로자의 숙련향상 여부에 대한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

        송희,민지식,박자경,고귀영 한국기업교육학회 2022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level variables and company-level variables that affect whether or not workers improve their skills. To this end, a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multi-level model using data from the first year of the Ⅱ wave of ‘HCCP’ survey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improved workers was more than twice as high as that of those who remained skill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groups by dividing them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y improved their skills, it was found that non-routine tasks and self-selection in participation in education were higher in the improved group compared to the group in which the skill level was maintained. As a result of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skill improvement, it was analyzed that the usefulness of work and non-routine tasks and self-selection of education particip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In terms of company characteristics, the higher the odds of skill improvement, the higher the financial service industry, the larger the number of employees, and the number of long-term employe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dex that can objectively measure the change in the skills of workers, and that the segmentation of skills specific to the industry should be further studied. 이 연구는 근로자의 숙련향상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수준 변수와 기업 수준 변수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연구원에서 조사하는 ‘HCCP’의 Ⅱ차WAVE의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다층모형을 적용한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 근로자의 숙련향상 여부는 숙련이 유지된 근로자에 비해 향상된 근로자가 약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숙련향상 여부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여 특성을 분석한 결과 숙련 수준이 유지된 집단에 비해 향상된 집단에서 직무의 비정형성이 높고, 교육 참여의 자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숙련향상 여부에 대한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업무의 유용성과 비정형성, 교육참여의 자율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업 특성에서는 금융서비스업일수록, 기업의 인원이 많을수록, 장기 근속자가 많을수록 숙련이 향상될 승산비가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 를 바탕으로 근로자의 숙련 변화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표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과 산업에 특화된 숙련의 세분화가 추가연구 되어야 한다는 제언을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