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서적 가족주의와 문화적 가치가 일반신뢰와 특수신뢰에 미치는 영향

        이수인(Lee, Soo In) 비판사회학회 2011 경제와 사회 Vol.- No.92

        본 연구는 가족주의를 사회문화적 조건에 따라 변동가능한 범주체계이자 다양한 이념들의 집합체로 간주하여 정서적 가족주의를 독립변수로, 정서적 가족주의와 대인신뢰 모두에 영향을 줄 것으로 알려진 수평적 - 수직적 집단주의와 수평적 - 수직적 개인주의라는 문화적 가치를 또 다른 독립변수이자 통제변수로 설정한 후, 이들 변수들이 일반신뢰 및 특수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문화적 가치가 통제되지 않은 모델에서, 정서적 가족주의는 일반신뢰와 특수 신뢰 모두에 대해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수신뢰보다 일반신뢰에 대해 두드러진 영향력을 드러냈다. 집단주의적 가치가 통제되었을 때, 일반신뢰에 대해서는 수평적 집단주의 효과가 두드러지고 정서적 가족주의의 효과는 약간 완화되었다. 특수신뢰에 대해서는 정서적 가족주의의 효과가 사라지고 수직적 집단주의의 효과만 나타났다. 이것은 정서적 가족주의가 수평적 - 수직적 집단주의와 공유하는 특성이 있음을 의미하며, 정서적 가족주의의 일반신뢰에 대한 효과는 수평적 집단주의와 공유하는 특성의 효과 이외에도 그 자체의 고유한 특성의 효과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개인주의가 통제된 모델에서 일반신뢰나 특수신뢰에 대한 정서적 가족주의의 효과에는 별 변화가 없었다. 수평적 개인주의는 두 유형의 신뢰 모두와 관련이 없었고 수직적 개인주의가 일반신뢰에 대해서는 부적인 효과를, 특수신뢰에 대해서는 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이 모델에서 수직적 개인주의의 효과가 나타나고 정서적 가족주의의 회귀계수에서 약간이나마 변화가 발생한 것은 정서적 가족주의가 수직적 개인주의와 약간이지만 관련 부분이 있음을 뜻한다. 그만큼 한국사회 대학생들이 갖는 정서적 가족주의 안에 수직성이 많이 내포되어 있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집단주의 - 개인주의 가치가 모두 통제된 모델에서 일반신뢰에 대해서는 정서적 가족주의와 수평적 집단주의가 정적인 효과를, 수직적 개인주의가 부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특수신뢰에 대해서는 수직적 집단주의, 수직적 개인주의, 수평적 집단주의가 효과를 나타냈다. 수평적 집단주의가 일반신뢰에 대해 가장 효력이 있는 동시에 특수신뢰에 대해서도 효력이 있는 것이 눈에 띈다. 정서적 가족주의와 수평적 집단주의가 일반신뢰와 특수신뢰 모두와 관계를 맺는 것은 가족주의와 결합한 집단주의의 효과가 양면적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집단주의의 경우 일면적으로 좋은 공동체에 기능적이거나 역기능적인 가치가 아니라 구체적 조건과의 결합에 따라 기능적으로 작용할 수도, 역기능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considered familism as the changeable category system and a aggregate of various ideas. In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set up emotional familism,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ollectivism, the horizontal and vertical individualism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generalized trust and the particularized trust as dependent variables.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ollectivism, the horizontal and vertical individualism function as control variables too. When the analysis model don’t include cultural values, the emotional familism is related with all of the generalized trust and the particularized trust but it is more related with the generalized trust than the particularized trust.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ollectivism is controlled, The effect of the horizontal collectivism for the generalized trust is remarkable but the effect of emotional familism for it is a little decreased. This means that the emotional familism has some characteristics in common wit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ollectivism. The effect of emotional familism for the generalized trust comes from some characteristics peculiar to the emotional familism too. When the analysis model includ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individualism, the effects of emotional familism for the two types of trust change little. The horizontal individualism has no relation with two types of trust. The vertical individualism has some negative effect for the generalized trust and some positive effect for the particularized trust. In this model, the effect of the vertical individualism appears and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the emotional familism has a little change. This means that the emotional familism has a little characteristics in common with the vertical individualism. When all of the collectivism and the individualism are putted into analysis, the generalized trust has positive relation with the emotional familism and the horizontal collectivism but it has negative relation with the vertical individualism. The particularized trust has relation with the vertical collectivism, the vertical individualism and the horizontal collectivism. The horizontal collectivism has the best effect for the generalized trust, at the same time it has a little effect for the particularized trust. Besides all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ollectivism, the generalized trust and particularized trust have meaning correlations. The contrasted effect of the horizontal collectivism and the correlations among the four values mean that the collectivism, at least, in context of relational culture like korean society is functional or disfunctional one-sidely, According to the mode of incorporating collectivism into the concrete conditions, it can be functional or disfunctional for the ‘good community.’

      • KCI등재

        문화적 성향이 집단 창의성 변화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

        유의연,최지은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2 창의력교육연구 Vol.22 No.3

        Recently,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and China, are rapidly changing from a traditional collectivist culture to an individualistic cul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how individualism as an individual traits affects group creativity, which essentially requires social interaction. Under the background, we divided the cultural orientations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nto the four types of Triandis (1995): vertical individualism, horizontal individualism, vertical collectivism, and horizontal collectivism. And then we constructed 4 homogeneous groups according to each types, and their group creativity was tested three times over an 8-week period. The results were first, in the last measurement, the groups with the highest group creativity were the horizontal collectivist team and the vertical individualistic team. Although the horizontal collectivist team had the lowest score among the four teams at the beginning, it continued to show a steep rise over time, showing the highest score in the last. The vertical individualist team started with a high score from the beginning and maintained a consistently high level. The vertical collectivist team seemed to maintain a high level of group creativity from the beginning to the middle, but showed a sharp decrease at the end. The horizontal individualism team showed low group creativity from the beginning and tended to keep it at a low level. This tendency was also supported by peer ratings and expert ratings. In the subsequent discussion, the causes of this tendency were analyze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최근 중국은 전통적인 집단주의 문화에서 개인주의 문화로 빠르게 변화되고 있다. 이에 개인의 성향으로서의 개인주의, 집단주의가 본질적으로 사회적 상호작용을 필요로 하는 집단 창의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중국 대학생의 문화적 성향을 Triandis(1995)의 4유형으로 구분하고, 각 유형에 따라 동질적인 팀을 구성한 후, 12주간의 집단 활동을 거치는 동안 총 3차례에 걸쳐 집단 창의성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마지막 측정에서 집단 창의성이 가장 높은 집단은 수평적 집단주의팀과 수직적 개인주의팀이었다. 수평적 집단주의팀은 초반에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지속적으로 가파른 상승폭을 보여 마지막 측정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수직적 개인주의팀은 초반부터 높은 점수로 출발해서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수직적 집단주의 팀은 초, 중반까지 높은 집단 창의성 수준이 유지되는 듯했으나 마지막에 급격하게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수평적 개인주의팀은 초반부터 낮은 집단 창의성을 보이며 계속 낮은 수준을 유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경향성은 동료평정과 전문가 평정에서도 지지되었다. 이후 논의에서 이러한 경향성이 나타난 원인을 분석하고, 시사점과 한계점,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문화성향에 따른 전역선행성 효과에서의 차이

        주미정,신현정,이재식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4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tial effects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dimension (IC) and horizontal- vertical dimension (HV) in cultural orientation of individuals in the same cultural background on global precedence.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IC and HVD groups, and asked to respond to compound stimuli which were varied by stimuli types (figure/letter) and stimulus-stimulus (S-S) congruence. Differences in global precedence were compared.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s. First, although global precedence was larger in the compound figure than in the compound letter, and larger in the S-S incongruent condition than the congruent condition, none of cultural orientation dimensions made any difference. Second, IC and HV affected global precedence independently. Thir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HV and S-S congruence was found, but there was no interaction between IC and S-S congruence. These results indicated HVD rather than IC can be a more valid dimension to compare the effect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cultural orientation on global precedence. 본 연구는 동일 문화권에서의 문화성향(개인주의-집단주의 차원과 수평-수직 차원)이 전역/국소 처리(전역선행성 효과)에 미치는 상대적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Singelis 등(1995)의 문화성향 질문지(INDCOL)에 기초하여 실험참가자들을 분류한 후, 각 문화유형에 따라 자극 유형(화살표로 구성된 복합도형 또는 영문 대문자로 구성된 복합문자)과 자극-자극 속성 일치 여부(복합자극의 전역 속성과 국소 속성의 일치 또는 불일치 조건)가 체계적으로 조작된 실험조건에서 전역선행성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반적으로 복합문자에 비해 복합도형에 반응하는 경우, 그리고 자극-자극 속성 일치 조건에 비해 불일치 조건에서 전역선행성 효과가 더 컸으나, 개인주의-집단주의 차원이나 수평-수직 차원 각각에 따른 전역선행성 효과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2) 전역선행성 효과에 대한 개인주의-집단주의 차원과 수평-수직 차원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지 않아 두 차원이 서로 독립적임을 확인하였다. (3) 개인주의-집단주의 차원과 자극-자극 속성 일치 여부 조건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던 반면, 수평-수직 차원과 자극-자극 속성 일치 여부 조건 사이에서는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동일문화권 내에서는 개인주의-집단주의 차원보다 수평-수직 차원이 전역선행성 효과 차이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개인주의 - 집단주의 가치성향에 따른 다문화수용성에 관한 연구

        남희은(Nam, Heeeun),이미란(Lee, Miran),배은석(Bae, Eunsuk),김선희(Kim, Sunhee),백정원(Baik, Jeongwon)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4 디아스포라 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성향을 살펴보고,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B도시의 4년제 대학, 8개 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이며, 학교와 학년을 고려하여 유의표집 하였다.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372부를 회수하였으며, 불성실한 설문을 제외한 총 361부를 최종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성별에 따라 남학생이 수평적 집단주의 부터 수직적 개인주의까지 전체가치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가치 차이는 수직적 개인주의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다문화 수용성은 성별에 따라서는 여학생이, 학년의 경우는 4학년, 종교에서는 기독교가 비교적 다문화수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안에서도 수평적 가치가 높을수록 다문화 수용성이 높아지고, 수직적 가치가 높을수록 다문화 수용성이 낮게 나타났다. 즉,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가치는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수평적 가치일 때 다문화수용성이 높고, 수직적 가치일 때 다문화수용성이 낮게 나타났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impact that university student’s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have on their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e test subjects were sampled from students from 8 different universities in city ‘B’, who were currently enrolled in a 4 year degree. Out of a total 400 surveys issued, 372 were collected, and of those 7 were removed due to insincere responses. When viewing the results by sex, male students were found to have horizontal collectivism and vertical individualism. When viewing the results according to grade, only individualism was found to be vertical. The sociodemographic trends found when looking at adaptability to multiculturalism; female students were found to be more accepting, in terms of grade, 4th grade students were more accepting and in terms of religion, Christians were found to be most accepting. High horizontal values correlated with a higher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vertical values correlated with lower level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at is, both collectivism and individualism have an impact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with horizontal values raising acceptability and vertical values lowering it.

      • KCI등재

        조직구성원의 문화성향에 따른 조직시민행동의 차이: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

        김혜진,김비아,이재식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5 No.2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의 문화성향을 수평-개인주의, 수직-개인주의, 수평-집단주의, 그리고 수직-집단주의로 구분하고 측정한 후, 각 문화성향의 점수에 따라 조직지원인식(POS)이 조직시민행동(OCB)의 두 차원인 개별성원 지향 조직시민행동(OCBI)과 조직전체 지향 조직시민행동(OCBO)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OCB를 두 차원으로 구분하여 문화성향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선행 연구결과와 달리 수평/수직-개인주의 성향 점수가 높은 경우에도 수평/수직-집단주의 성향 점수가 높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OCBO 수행과 유의한 정적 관련성을 보였다. 둘째, 수직-개인주의 성향과 OCBI 사이의 관계, 그리고 수평-개인주의 성향과 OCBI/OCBO 사이의 관계를 제외한 문화성향에서 POS는 OCB에 대한 문화성향의 영향을 조절하기 보다는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문화성향의 유형에 따라 OCBI/OCBO의 양상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과, OCBI/OCBO에 대한 문화성향의 효과가 조직구성원의 POS 수준에 따라 문화성향별로 차별적으로 조절되기보다는 대부분의 문화성향에서 POS를 매개로 OCBI/OCBO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함의와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개인주의-집단주의와 자기개방이 가족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온·오프라인 교류비교

        남순현,권정혜 한국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4 No.2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of family communication systems within the interpersonal paradigm of the digital era.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study conducted comparable analyses on the influences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tendencies and the online and offline self-disclosures in terms of family intimacy levels. The demography of the 1,697 research subjects ranged from teenagers to people in their thirties, who had been identified as active SNS users from December 2011 to March 2012 by the nationwide population and random sample surveys. The results showed that horizontal individualis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frequency of online family interaction, whereas vertical collectivism has no meaningful correlation with the online family interaction frequency. In terms of online self-disclosures, only the Domain A (intimate subject) ha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online family interaction frequency and the online family interaction frequen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s.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offline family interactions, the vertical collectivis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offline family interaction frequency. In terms of offline self-disclosures, all variables regarding offline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d no meaningful impact on the offline family interaction frequency. The research results also showed that individual cultural values and online self-disclosure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online family interaction frequency as mediators. In addition, the Domain C (simple acquaintance) of online self-disclosure and Domain A, B, and C of offline self-disclosure had directly influences with the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 The study results comprehensively verified that active online self-disclosure improved the frequency of online family interaction, thereby increased the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s in the society where horizontal individualism was becoming more prevalent than vertical collectivism. Therefore, the study indicated that a paradigm of family communication could also be transformed from offline to online.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시대를 맞이하여 대인관계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서 가족의사소통체계에 대한 변화를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개인주의-집단주의와 자기개방이 가족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가족의 온라인과 오프라인 의사소통체계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11년 12월부터 2012년 3월까지 전국비례할당표본과 임의표본을 통해서 표집된 SNS를 활발히 사용하고 있는 10대에서 30대까지 1,697명이었다. 연구결과, 온라인 가족의사소통체계에서 수평적 개인주의는 온라인 가족접촉빈도와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있었고, 수직적 집단주의는 온라인 가족접촉빈도와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보였다. 온라인 자기개방은 A영역(가까운 대상)에서만 온라인 가족접촉빈도와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보였고, 온라인 가족접촉빈도는 가족관계의 질과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보였다. 반면에 오프라인 가족의사소통에서는 수직적 집단주의만이 오프라인 가족접촉빈도와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보였고, 오프라인 자기개방의 모든 영역은 오프라인 가족접촉빈도와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오프라인 가족접촉빈도는 가족관계의 질과 유의한 정적 관계를 보였다. 개인의 문화적 가치와 온라인 자기개방은 온라인 가족접촉빈도를 매개로 가족관계의 질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온라인 자기개방 C영역(단순 지인)과 오프라인 자기개방 A, B, C영역은 모두 가족관계의 질과 직접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점차 수직적 집단주의에서 수평적 개인주의로 넘어가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활발한 온라인 자기개방이 온라인 가족접촉빈도를 촉진시킴으로써 가족관계의 질을 증진시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는 점차 가족의사소통의 패러다임도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변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사범대학 학생들의 문화성향과 다문화적 교사효능감 관계 연구

        김정덕 한국교원교육학회 201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8 No.2

        국내 다문화 연구는 다문화 구성원의 교육관련 실태와 정책을 제안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각종 다문화 정책들의 실시로 현장에서 많은 프로그램들이 운영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교 육현장에서 학생들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미비하 다.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지식, 태도 신념 등은 소수 민족 학생들의 학업 성취향상에 영향을 준다는 선행연구들이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교사의 문화성향에 주목하고, 교사가 어 떤 문화성향을 가지느냐에 따라서 다문화적 상황에서 교육을 하는 교사의 자신감을 다루는 다문화적 교사효능감이 달라지는 가를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예비 교사들의 개인, 집단 성향 보다는 수직, 수평 중심 성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수직적 개인주의의 특 성이 교사효능감에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직적 개인주의와 달리 수직적 집단주의, 수평적 개인주의, 수평적 집단주의의 점수가 높아질수록 교사효능감이 증가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앞으로 교사의 개별적인 성향을 고려한 교수학습의 접근 방식이 필요하며, 교사 스스 로에 대한 관심 요소들, 즉 교사의 인식, 태도, 행동을 고려하여 다문화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운영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가해염려를 동반한 사회공포증과 분노관련 변인들 및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과의 관계

        김은정,조용래 한국임상심리학회 2008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7 No.3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social phobia symptoms with concern for offending others, anger-related variables, and individualism-collectivism. For predicting social phobia symptoms with the concern for offending others, we used hierarchical regression with the level of Social Interaction Anxiety symptoms (SIAS) and Social Phobia symptoms (SPS) in the first step, and the other predictors were used in the subsequent step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anger inhibition, anger control, fear of negative evaluation from others, and a low level of horizontal individualism predicted the variance of social phobia symptoms with the concern for offending others. On the contrary, hierarchical regression for SIAS indicated that anger inhibition, anger control, and a high level of horizontal individualism predicted the variance of SIAS. Hierarchical regression for SPS indicated that the anger-related variables, and individualism-collectivism didn't predict the variance of S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ulture specific variables may explain social phobia symptoms with the concern for offending other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