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테크놀로지 활용 동향 분석

        이영주 한국교원교육학회 201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3 No.4

        최근에는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해 마이크로티칭, e-포트폴리오, e-멘토링, 온라인 교사학습공동체 등의 다양한 형태로 테크놀로지가 적용되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목적으로 적용된 테크놀로지에 관한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RISS의 키워드 검색을 통해 최종적으로 34편의 분석 대상 연구물을 추출하고 1)교사 유형, 2)학교급별 유형, 3)매체 유형, 4)테크놀로지 활용 방법, 5)수업 전문성 요소로 분류 유목을 나누고 코딩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예비 교사의 경우, 마이크로티칭, e-포트폴리오, e-멘토링 사용 빈도가 높았고, 현직 교사의 경우, 온라인 교사학습공동체의 활용 비중이 높았다. 둘째, 교사의 수업 전문성 증진을 위해 비디오 매체를 활용한 마이크로티칭이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냈다. 셋째, 수업 전문성의 하위 요소별 분석 결과, 수업의 계획과 실행을 위한 수행적 요소의 향상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교과 내용적 전문 지식의 기억과 이해에 관한 인지적 요소의 비중이 가장 낮았다. 넷째,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테크놀로지 적용에서 동료 교사와의 협력을 통한 수업 전문성 신장이 강화되고 있었다. 다섯째, SNS기반 모바일 테크놀로지 활용이 확산되고 있다. 여섯째, 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위한 메타인지적 지원에 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drastic growth in technology use for improving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such as microteaching, e-portfolio, e-mentoring, online teacher communities.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systemic analysis and find trends on technology use for improving teaching professionalism for 10 years. Subject of analysis includes a total number of 34 research by keyword search on the RISS and is coded into 1)teacher type, 2)school type, 3)media type, 4)technology use method, 5)teaching professionalism sub-item. The summary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re were a great number of studies found for pre-service teachers rather than in-service teachers. Second, microteaching with video was utilized most. Third, the goal of teaching professionalism was to enhance teaching plans and practice, Fourth, there was an emphasis on teachers’ collaboration to improve teaching profssionalism. Fifth, there was a wide spread of SNS mobile technology. Last, there was a need for metacognitive support to foster teachers’ reflections.

      • KCI등재

        사회과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제고를 위한 수업비평

        김경은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1 교과교육학연구 Vol.15 No.3

        최근 교사의 수업전문성이 강조되면서 이를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는 주로 현장 교사를 대상으로 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과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제고를 위한 방안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분석을 통해 사회과 교사의 수업전문성의 의미와 이를 위해 요청되는 핵심적인자질을 도출하고 이를 발현하기 위한 조건들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조건을 중심으로 수업전문성 제고 방안으로서의 수업비평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불어 사회과 교사양성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한계를 보완한 수업비평의 과정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전문성 제고를 위한 핵심적 자질로 수업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수업 이해 능력과 반성적 사고가 도출되었고 이를 위한 조건들로는 실제 수업 상황의 제공, 수업에 대한 개방적 관점 허용, 능동성에 기반한 탐구의 장 제공, 탐구를 촉진하고 지속하기 위한 기제가 도출되었다. 수업비평은 수업전문성 제고를 위해 도출된 조건들을 상당부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수업에 대한 탐구를 촉진하고 지속시키는데 일정부분 한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수업 예상하기’, ‘수업 대화하기’, ‘비평문 공유하기’의 활동을 포함한 수업비평 과정의 틀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사회과 교사양성과정에서의 수업비평 활용 사례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class critiques for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of social studies student teachers. To achieve this aim, the meaning of teaching professionalism is identified, as are the essential qualifications and conditions of this concept through literature reviews. Second,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class critiques as a recipe for teaching professionalism are discussed. Third, a frame for class critiques, which was modified for overcoming weaknesses, is sugges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essential qualifications for teaching professionalism are competence of instruction, interpretation, and reflective thinking. The conditions for these qualifications are authentic lesson situations, open instruction perspectives, active areas for inquiry, and devices for promoting critical inquiry. Class critiques seem to meet most of these requirements. They fall short, however, of maintaining inquiry of instruction. A modified class critique frame is therefore suggested. It covers steps such as presupposing, lesson discussion, and the sharing of review papers. These activities provide opportunities for the student to experience different perspectives and choices with respect to the lesson. In addition, a case for class critiques in social studies teacher education is presented.

      • KCI등재

        수업전문성 연구의 대안적 관점: 적응적 전문성

        이상훈(Lee, Sangh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7

        교사는 학교 교육의 혁신과 변화에 필수적인 핵심 수행자이며, 수업전문성은 교사의 다양한 역할 중 가장 고유하고 중요한 전문성으로서 다양한 연구자에 의해 주목받아 연구되어왔다. 이에 본 연구는 교사의 전문성을 어떤 관점에서 이해해야 하는지 규명하기 위해 수업전문성에 관한 기존의 다양한 관점을 분류하고, 각 관점의 의의와 한계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관한 관점은 행동 중심 관점, 지식 중심 관점, 판단 중심 관점, 성찰 중심 관점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었다. 이들 관점은 탁월한 수업을 위한 교사의 능력 요소를 개별적으로 드러내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었으나, 오늘날의 급격하게 변화하는 현대사회 및 교육환경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수업전문성의 기존 관점의 대안적 관점으로 적응적 전문성 개념을 제시하고, 적응적 전문성 관점의 필요성과 특징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향후 수업전문성 연구와 수업전문성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eachers are key performers essential to the innovation and transformation of school education, and teaching expertise is the most unique and important specialty of the teacher s diverse roles and has been studied with attention by various researchers.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d and critically reconstructed the existing perspectives on teaching expertise to find out from what perspectiv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should be understood. The teacher s perspective on teaching professionalism was divided into behavior-oriented perspective, knowledge-oriented perspective, judgment-oriented perspective, and reflection-oriented perspective. This wa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s the individual elements of the teacher s ability to excellent teaching. But It has the limitation that it does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oday s rapidly changing modern social environment. As an alternative to the existing view of teaching expertise, this study suggested an adaptive expertise perspective. Accordingly, the concept of adaptive expertis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 expertise from the adaptive expertise perspective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discussions,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of teaching expertise and development of teaching expertise were presented.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수업전문성 개발의 촉진요인과 제약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고재천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2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수업전문성 개발의 촉진요인과 제약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2개 시⋅도 교육청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23명을 대상으로 개념 도 연구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수업전문성 개발의 촉진요인과 제약요인 각각에 대해 교육 차원과 학교 차원의 두 가지 차원 에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수업전문성 개발의 촉 진요인과 제약요인은 각각 4개의 군집으로 나타났다. 촉진요인은 학생 및 수업에 대한 관심, 교사 존중 풍토 및 수업 개선에 대한 요구, 수업 관련 정책 및 제도의 지원, 수업 연구 및 협 의 활동의 참여의 순이었다. 반면에 제약요인은 수업 관련 행정 및 정책 지원의 미흡, 수업 연 구 및 협의 활동의 소홀, 수업 개선 의지의 부족, 수업 환경 및 여건의 열악 순이었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수업전문성 개발의 촉진요인으로 중요하게 평가한 군집은 수업에 대한 관 심과 수업 개선 요구이었고, 제약요인으로 중요하게 평가한 군집은 수업 관련 행정 및 정책 지 원의 미흡이었다. 이 연구의 결론은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수업전문성 개발의 촉진 요인과 제약요인은 바로 교육차원과 학교차원에서 다양한 요인들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업전문성 개발의 제약 조건을 해소하고 이를 촉진하 기 위해서는 수업 개선에 대한 요구를 적극 반영함과 동시에 수업 관련 행정 및 정책을 적극 지원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업전문성 개 발에 영향을 미치는 촉진요인과 제약요인의 개념적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 은 물론 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factors fostering and inhibit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instruction by using concept mapping methods. 23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interviewed. And through the process of synthesizing and editing, the final statements were reduced to 46 fostering factors and 47 inhibiting factors. 23 participants classified and rated the final statement lists.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luster analysis were employed to estimate dimensions in the previous extracted factors. As a result, concept maps were formed that consisted of each 2 dimensions and 4 clusters of both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by two dimensions of ‘education’ and ‘school’. Second, both fostering and inhibiting factor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to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instruction were 4 clusters. The fostering factors were ‘attention to students and instruction’, ‘culture of respect for teachers and demand for improved class’, ‘support for policies and systems of instruction’, and ‘participation in class research and consultation activities’. The inhibiting factors were ‘lack of class-related support policies’, ‘neglect of teaching research and consultation activities’, ‘the lack of willingness to improve teaching’, and ‘poor classroom environments and conditions’. And last, the cluster of ‘attention to students and instruction and demand for improved class’ in the fostering factors were highly evaluated; Instead of, the cluster of ‘lack of instruction-related support policies’ in the inhibiting factors were highly appreciat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dentifi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factors fostering and inhibit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instruction were related with various factors by the two dimensions of education and school.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instructions it needs to reflect the requirements of instructional improvement as fostering factors as well as there is a need to strongly support the class-related polices as impeding factors. And last, this study will provide appropriate basic data to identify the conceptual structures about fostering and inhibiting factors to develop the professionalism of teaching.

      • KCI등재

        ICALT 관찰도구를 활용한 교사의 교실수업전문성 분석 연구

        천세영 ( Seyeoung Chun ),이옥화 ( Okhwa Lee ),전미애 ( Meae Jeon ) 한국교육공학회 2017 교육공학연구 Vol.33 No.2

        이 연구는 ICALT 도구를 활용하여 중고등학교 교사들의 수업행동을 관찰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교사들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교실 수업관찰을 위하여 사용된 ICALT 도구는 네덜란드에서 개발된 것으로 지역적 문화적 문맥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가능하도록 개발된 도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ICALT 도구의 한국에서의 문화간 타당도를 검증하고, ICALT 도구를 활용하여 수집한 자료를 통하여 수업전문성이 교사들의 개인 배경변인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 교사의 수업전문성 향상이 가능한 것인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업전문성`에 대한 이론적 동향을 살펴보고, 수업전문성 이론을 바탕으로 개발된 ICALT 수업관찰 도구에 대해 소개하고, 2014년에 우리나라에서 시범적으로 실시된 중학교와 고등학교 학교현장 교사들의 수업관찰 및 분석 결과를 소개하였다. 자료수집은 2014년도 10월과 11월에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396건의 수업에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첫째, ICALT 도구를 활용하여 교사의 수업행동을 관찰하고, 관찰한 결과를 6가지 하위영역으로 구분하여 검증한 결과, ICALT를 한국 상황에서 사용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연구대상 교사들의 수업전문성은 교사 개인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성별로는 여자교사가, 학교급별로는 중학교 교사가 수업전문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수업전문성은 학생의 학습참여와 관련이 있으며, 교사의 수업전문성은 향상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의 경력이 높아질수록 수업행동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특히 난이도가 높은 수업행동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많이 발견된 것은 수업컨설팅과 수업장학을 통하여 교사들의 수업전문성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교사의 수업전문성 발현이 교사 내부 변인과 외부상황에 따라서 발현 정도에 차이가 있으므로, 교사들의 수업활동 연수에서 예비교사의 효과적인 양성은 물론 현직교사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해 어떤 점에 주안점을 두고 연수를 제공해야 하는지에 의미있는 시사를 던지고 있다. This paper is to analyze teachers` classroom teaching quality using the instructional observation tool called ICALT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Learning and Teaching) and suggest teacher education.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ICALT, is developed by the Dutch researchers to be able to collect instructional data of classroom teaching behavior without cultural and local context.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he validity test of ICALT in Korean context, and how the teaching effectiveness are correlated to instructional variables, and finally the feasibility of teaching effectiveness. Research trends in teaching effectiveness and ICALT instruments are introduced. Using the ICALT tool, data collection from Korean secondary schools classrooms was done in 2014 October and November. The results are first, ICALT is valid to use in Korean context by examining teachers` instructional behavior under the 6 domains. Second, teacher effectiveness differ by gender (female teachers are better), and school level (junior high school teachers are better). and ere discussed.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to find the meaning of pedagogical behaviors and the implications to improve the expertise of pedagogy. Thirdly, teachers` pedagogical expertise are related to the teaching experience; teaching expertise are learnable. Teachers with more experience showed higher expertise of pedagogical skills, particularly in teaching domains of higher difficulty, which implies classroom consulting and supervision of classroom pedagogy can lead to elevate pedagogical skills. Teachers` pedagogical expertise can be improved by the teachers` internal conditions as well as the external conditions. This implies how pre-service educational program as well as in-service educational programs should consider.

      • KCI등재

        통합적 수업전문성 모형 탐색

        박세훈,박지훈 한국교원교육학회 201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8 No.3

        이 연구는 변화하는 시대에 다양한 특성을 지닌 학교조직에서의 효율적인 수업전문성 확보를 위해 장학, 평가, 연수 등의 다차원적 접근을 통해 새로운 통합적 수업전문성 모형을 개발하고 그에 따른 적용방안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관한 장학, 평가, 연수 등의 다차원적 접근을 통하여 각각의 활동에서 갖게 되는 문제점이나 한계는 무엇인지를 밝히고, 새로운 통합적 수업전문성 모형을 개발하여 그 내용을 제시하였다. 모형에는 통합적 수업전문성 모형의 기본가정, 이념 및 목표, 핵심가치, 실천전략, 기대되는 성과 등이 포함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새로운 통합적 수업전문성 모형이 단위학교에 정착하기 위한 방향과 과제를 탐색·제시하였다.

      • 교사 연수와 수업 전문성 발달

        김찬종(Kim, Chan-Jong)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09 교육연구와 실천 Vol.75 No.-

        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수업 전문성은 양성과정에서 시작하여 교사의 전 생애를 통해서 발달되고 변화된다. 교사 연수나 전문성 신장 프로그램 참여 경험은 이의 발달을 위한 좋은 계기나 자극이 되기도 한다. 이 연구에서는 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연구 성과를 통하여 수업 전문성의 특성과 발달, 그리고 교사연수의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이다. 수업전문성에 대한 이해는 과정-결과 모형과 같은 학생의 성취에 영향을 주는 특정한 기능이나 성향 파악에서 보다 복합적인 PCK, 실천적 지식 등으로 확장되어 왔다. 교사는 생애 주기별로 독특하고 특정한 발달 단계를 겪는다. 이는 개인의 지향과 특성 그리고 근무 상황에 따라 달라지며 우리나라 교사들은 전문적인 발달보다는 현장 적응적인 특성과 경험과 시행착오를 통한 제한적인 발달을 한다. 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에서 결정적 경험과 반성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교사들은 매일 매일의 수업을 실행하면서 실천적 반성을 통해서 지속적인 변화를 겪는다. 교사들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연수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극복, 수업 전문성에 대한 연구 성과를 활용한 교사 재교육 실행, 교사의 자발적 연구 모임 활성화, 학교의 발전과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연계, 교사들이 발달 단계에 적합한 연수 프로그램을 제공, 현장의 필요와 교사의 요구를 기반으로 한 발달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professional teaching ability receives more attention than ever. It is developing and changing throughout teachers entire career, beginning from the teacher education college. Attending in-service education or professional development workshop may provide effective opportunity or stimulus. By summarizing research on teachers professional teaching ability,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professional teaching ability and the effects of in-service education on this are explored. Professional teaching ability had been understood based on process-product model. Recently, more comprehensive approach, such as PCK, practical knowledge have been developed. Teachers experience unique developmental process throughout career. It depends on personal orientations characteristics and working context. Korean teachers develop by adaptation and trial-and-error. In professional teaching ability development, critical experience or incidents play important role. It is important to provide such experience to teachers. Teachers also develop and experience continuous change from reflection-in-action in everyday teaching. For developing professional teaching ability, overcoming negative perception of teachers on in-service education, developing and administrating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based on research, activating teachers spontaneous study meetings, connecting school development and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viding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appropriate to teachers developmental stage, and based on needs and demands of teachers.

      • KCI등재

        교사의 수업전문성 관점에서 본 교사교육의 발전방향

        손승남 한국교원교육학회 200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교사의 전문성을 수업전문성에서 찾아야 한다는 전제하에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수업전문성의 요소를 파악하여 교사의 수업전문성을 잴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나아가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관련변인에 따른 상관을 분석하여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이 연구에서는 현직교사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수업전문성과 성별 간에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지만, 수업전문성과 교직경력, 학교급 간에는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수업전문성 하위영역별로는 수업준비도, 매체활용, 피드백, 학급경영능력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나머지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교사교육과 교사평가에 줄 수 있는 몇 가지 시사점을 보면, 첫째, 교사의 전문성 논의를 수업전문성을 중심으로 이론적, 실증적으로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고, 둘째, 교사의 연구능력, 반성능력과 같은 ‘이해’의 관점이 수업전문성에서 강조되어야 할 것이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업전문성 척도를 교사의 자기진단평가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검토해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중학교 교사의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장선희,정제영 한국교원교육학회 2017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4 No.1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의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제5차년도(2014년) 자료 가운데 중학교 교사의 설문 결과를 활용하여 중학교 교사의 교사·학교·교육청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 참여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교사 및 교육청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 참여 빈도는 정적편포로 나타났기 때문에 종속변수의 과산포(overdispersion)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음이항회귀분석(Negative binomial regression)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학교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 참여 빈도는 정상분포로 나타나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 참여 빈도에 공통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사의 최종학력과 행정업무 투자시간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직경력이 오래될수록 학교·교육청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 참여 빈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임용형태는 정규직일수록, 학생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해 노력할수록 교사·학교 중심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 참여 빈도에 공통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중학교 교사의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 유형에 따라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 참여 빈도의 영향 요인이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중학교 교사의 수업전문성 계발 활동 유형에 따라 다각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that affect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in Middle School.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were classified into Teacher-based, School-based and educational Office-based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using the 5th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each type in order to analyze factors that affect the frequency of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Highest level of education’ and ‘Time spent on administrative work’ have a positive impact on all of the frequency of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Experience of teaching’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frequency of School-based and Educational Office-based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The factor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frequency of Teacher-based and School-based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when teachers have a full-time position and make an effort to improve students’ problem-solving skill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requency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s of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roach diversity according to the type of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y.

      • KCI등재

        초등학교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수석교사의 수업장학활동, 교사효능감, 교사의 수업전문성 간의 구조관계

        한재민,이윤식 한국교원교육학회 201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0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수석교사의 수업장학활동, 교사효능감, 교사 의 수업전문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이 연구를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수석교사의 수업장학활동이 교사효능감과 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유의미한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효능감이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사효능감도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유의미한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수석교사의 수업장학활동, 교사효능감, 교사의 수업전문성 간의 구조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수석교사의 수업장학활동은 직접적으로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고 있지 않았으나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유의미 한 총효과가 나타났으며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별로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10년 미만의 교사 집단의 경우에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냈으나 10년 이상 20년 미만의 교사 집단 과 20년 이상의 교사 집단에서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 의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총효과는 경력 10년 이상 20년 미만 교사 집단에서 가장 큰 효과 를 나타냈다. 수석교사의 수업장학활동이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10년 미만의 교사 집단과 10년 이상 20년 미만의 교사 집단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으나 20년 이상의 교사 집단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냈다. 수석교사의 수업장학활 동이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총효과는 10년 미만의 교사 집단에서 가장 큰 효과를 나타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