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정주 초기시의 극적 성격-니체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허윤회 상허학회 2007 상허학보 Vol.21 No.-

        This article focused on relation Seo-JeongJoo and Friedrich Nietzsche. Seo-JeongJoo is recollected of which reading of Nietzsche"s Zarathustra in eighteen years old. However relation of Seo-JeongJoo"s poetry and Nietzsche"s is could find difficult in seriously. Therefore this article is inquire into Nietzsche"s philosophy that Seo-JeongJoo is understand, and Nietzsche"s philosophy is influenced to Seo-JeongJoo"s poetry and is represented in later on. And This article is used problem flame of dramatic and dramatization as intermediation in study of Nietzsche"s philosophy of which be represented on Seo-JeongJoo"s poetry. Poetic I in The Self Portrait is descript with background, he don"t free because of wretched in background. This case is as like as actor is don"t free from the character in drama. He is created poetic I"s character and then spoken poetic utterance by him in special boundary. He is said that it"s express method is directed language. If directed language is useful method in poetic express, it"s need form like which emotion and thinking is full, Another said that It"s dramatic 제시 in poetic situation. If Dramatic situation is pre-situated in poet"s mind, and then metaphor like adverb"s usage is secondary Actor is closest to character in drama at time, actor"s utterance is transmission to audience. Seo-JeongJoo"s poetry is shown relative with drama in genre so deeply. This is implied meaning of directed language. Meanwhile Cho-YeonHyeon is expanded in space-reality"s level nietzsche"s philosophical value in 1940s". But Seo-JeongJoo is approached by time-ontological in which how could figure out with poet"s attention. This is showed that he is accepted Nietzsche"s philosophy by the way naturally rather than realistic need. Nietzsche"s philosophy which he accepted is implied with individuality. 이 글에서는 우선 서정주와 프리드리히 니체와의 관련성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서정주는 자신의 나이 18세 무렵에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를 읽었다고 회고한 바 있다. 하지만 정작 서정주의 시와 니체와의 관련성에 대한 심도 있는 글을 찾기는 어렵다. 이 글에서는 서정주가 바라본 니체 사상의 실상이 어떠하였으며, 또한 서정주의 시에서는 어떤 영향을 미쳤으며, 이후에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 지에 대한 검토를 하려고 한다. 그리고 서정주의 시세계에 나타난 니체의 영향을 검토함에 있어서 그 매개항으로서 ‘극적인 것’ 혹은 ‘극회(dramatization)’의 문제를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서정주의 「자화상」에서 시적 자아는 배경을 갖고 있으며, 그 배경 속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마치 무대에서 배우가 인물의 성격에서 자유롭지 못한 것처럼. 그런데 서정주의 경우는 매우 특별한 지점에서 자신의 성격을 창조하고, 그 대리인을 통하여 자신의 시적 진술을 하도록 만들었다. 한편 서정주가 말하는 직정언어가 제대로 사용되려면 시인의 진솔한 감정과 생각도 필요하지만, 그러한 감정과 생각을 담을 수 있는 형식이 또한 필요하다. 이를 다른 말로 하자면 시적 상황의 극적제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극적인 상황이 시인의 머리 속에 전제되어 있을 경우에 형용사나 부사와 같은 수식어나 비유는 부차화 될 수 있다. 오로지 무대 위에서 연기하는 배우처럼, 일상의 나를 주어진 역할에 일치시킴으로 해서, 시인의 진술은 독자들에게 감정이입 된다. 이것은 시와 극이라는 장르의 친연성을 뜻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서정주가 말하고 있는 언어표현에 있어서 ‘직정언어’가 갖고 있는 내포적 의미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조연현은 새로운 가치를 보여주고 있는 니체를 현실의 논리에서 공간적으로 확장시키려 했다. 하지만 서정주의 경우에는 자신의 시 속에서 어떻게 형상화할 것인가에 ‘시간-존재적’으로 접근하였다. 이는 보다 서정주가 니체를 통해 고답적인 방식으로 니체를 수용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서정주의 니체 수용이 ‘개인적’인 것에 머물 수밖에 없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적어도 해방이전의 서정주가 탐색한 신성의 추구에는 개인의 윤리가 자리 잡고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후보

        1940년대 후반기 서정주의 사회적 궤적과 시의 상관성

        김익균(Kim, Ig-kyun) 한국비평문학회 2013 批評文學 Vol.- No.48

        서정주는 1940년대 전반기 자신의 시세계에 식민지 시기의 동양론을 반영하기 시작한다. 한편 해방 이후 1940년대 후반기 서정주의 시세계는 동양적 전회를 심화시키고 있다. 이처럼 동양이라는 매개는 해방 이전과 이후 서정주의 시세계가 마치 하나의 세계인 것 같은 착시를 불러일으킨다. 본 논문은 해방 이전 서정주의 시세계와 변별되는 해방 이후 서정주의 시세계의 원리를 해명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동양론의 위상의 변화에 주목해 보겠다. 1940년대 전반기의 동양론은 일종의 지배 담론이었다. 하지만 해방 이후 동양론은 더 이상 지배 담론이 아니었다. 따라서 동양론에 인접해 있는 서정주의 시세계는 해방 이전과 이후 서로 다른 효과 속에 놓인다. 해방 이후 서정주의 욕망의 대상은 대학이라는 제도이다. 1940년대 후반기 서정주의 시세계에는 대안 담론이 된 동양론과 지배 담론이 된 대학이 동시에 작동한다. 해방 이후 사회의 혼란 속에서 서정주는 안정된 직장과 시인으로서의 인정을 추구하였다. 하지만 어떻게 해야 안정과 인정을 얻을 수 있는지 답을 알고 있지는 않았다. 1940년대 후반 서정주의 시세계를 해명하기 위해서 당대 혼란스러웠던 서정주의 사회적 궤적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1940년대 후반기 서정주 시세계가 동양론과 관련해서 사회주의적 절충론의 성격을 갖는다는 점을 증명하려 했다. 한편 서정주는 대학이라는 제도를 의식하여 시론을 적극적으로 제시한다. 이 과정에서 서정주는 1940년대 후반의 자의식을 식민지 시기의 시에 투사하면서 일관된 시세계를 재구성하게 된다. 본 논문은 1940년대 후반기 서정주의 자의식에 의해 재구성되는 과정에서 탄생한 서정주의 시세계를 밝히고자 한다. The Orientalism of the colonial period is reflected in the poetry of Suh Jung―ju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940s. After the Liberation and into the latter half, however, the Oriental turn is intensified in Suh’s world of poetry. This medium of the oriental, thus, is what causes thefalse impression that the world of Suh’s poetry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is one unified entity. This study aims to shed some light on the principles of the poetic world of Suh, in its distinction from the form it took before the Liberation. For this purpose, the change that the status of Orientalism went through at the time will be a key object of attention; it was no longer the dominant discourse after the Liberation. Suh’s world of poetry, therefore, in its proximity with Orientalism, was at that point put under effects different from those before the event. After the Liberation Suh’s object of desire was the university system. In the late 1940s, in the world of Suh’s poetry, one sees both Orientalism, now an alternative discourse, and the new dominant discourse surrounding the university. In the social turmoil after the Liberation, Suh pursued stable work as well as recognition as a poet. He was not aware what he should do to achieve that stability and recognition, however. To understand the world of Suh’s poetry in the late 1940s, one must, at the same time, take into consideration his social trajectory. This study attempts to prove that the world of Suh’s poetry in the late 1940s has the characteristic of a socialist eclecticism in regard to Orientalism. Meanwhile Suh actively suggested his poetics, being conscious of the system called the university, and in this process was able to restructure a world of poetry that seemed consistent, by projecting his self―consciousness of the late 1940s onto his poetry of the colonial period. This study aims to disclose the poetic world of the poet Suh Jung―ju, created in the process of restructuring through his self― consciousness during the late 1940s.

      • KCI등재

        1940년 전후 서정주의 시적 도정(道程)

        김진희(Kim, Jin-Hee) 한국시학회 2015 한국시학연구 Vol.- No.43

        1940년 전후는 서정주가 시인으로서 어떤 시를 써야 하는가에 대한 모색기였다. 내 · 외부적인 현실과 조건 속에서 시인 서정주는 자신의 시적 방향을 설정할 필요가 있었다. 이 연구는 이 시기 서정주의 시와 산문에서 달리 표현되고, 또 모순적이며 갈등하고 있는 시인의 의식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일제 말기 서정주 시의 의미와 그 의의를 살피고 있다. 이 연구는 전체적으로 비교문학적 연구의 성격을 갖고 있다. 1940년 전후 서정주의 시적 변화를 설명하는 데에 보들레르와 랭보와의 단절, 혹은 서양에서 동양으로의 전환은 중요한 지점으로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단절이 아니라 오히려 서구문학과의 적극적인 관련성을 보인다는 점에 주목하여 랭보와 방랑, 릴케와 가출의 모티브를 작품에서 분석했다. 둘째, 서정주와 릴케의 텍스트, 그리고 당대 일본의 문예 잡지 『四季』에 대한 비교 이해를 통해 서정주의 릴케 수용의 특수성을 고찰했다. 셋째, 서정주와 박용철, 릴케에 공통적으로 언급되었던 ‘체험’을 서정주의 시세계를 이해하는 데 폭넓게 사용하여 시학과 관련시켰다. 릴케의 체험론이 서정주 시인의 상상력의 동인이 되는 한편 역사와 현실을 매개하는 요소였음을 밝혔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체험이 환기하는 현실, 역사와 순수가 환기하는 탈역사성을 논의했다. 넷째, 서정주의 「시의 이야기-주로 국민시가에 대하여」 분석을 통해, 체험과 역사성의 논리가 순수시와 탈역사성의 논리로 변화해간 과정과 의미를 당대 문인과 철학자의 글을 비교하면서 평가했다. Around 1940 was a time of searching, where poet Seo Jeong-Joo was searching for a direction in his poetry. It was necessary for him to establish his own poetic direction in the contex to internal and external realities and conditions. This study seeks to find significance and meaning of his poetry, which was expressed differently in prose and poetry, through reviewing of contradictory and conflicting consciousness of the poet at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era. This study is characterized by comparative literature. First, severance of Charles Pierre Baudelaire and Arthur Rimbaud, or are action against the West and adaption into the East has been said to be a critical point of change in his works. However, over riding the disconnection, this study was based on the relevance of Western literature and analyzed a motif of his works from vagabondage of Arthur Rimbaud, and runway from home of Rainer Maria Rilke. Second, the procedure of acceptance of Rainer Maria Rilke by Seo Jeong-Joo was reviewed by the text of Seo Jeong-Joo and Rainer Maria Rilke along with the comparison of Japanese literary magazine at that time, Four seasons. Third, ‘experience’, which was mentioned frequently by Seo Jeong-Joo, Park Young-Cheol, and Rainer Maria Rilke, was used extensively to understand his poetic world in relation to Poetics in this study. The theory of ‘experience’ of Rainer Maria Rilke made its debut in the works of Seo Jeong-Joo in the 1950s, but Seo Jeong-Joo had already focused on the ‘experience’ earlier than that in his life and works. They were antagonistic elements with reality as well as main drivers of the poet imagination. This paper discussed both, reality that experience arouses and riddance of historicity in which history and purity conjure. It is because this study considers Seo Jeong-Joo’s recalling of Charles Pierre Baudelaire, Arthur Rimbaud, and Rainer Maria Rilke as ‘experience’. Fourth, although “The Story of Poetry-mainly ballade about people” of Seo Jeong-Joo is not the article consistent with the exquisite logic, it shows his thought and logical knowledge at that time while proving he had been seeking his own way. This paper analyzed why Seo Jeong-Joo led to pure poetry in the early 1940s, and what made his pure poetry lose its historicity by researching proses for its meaning in comparison with the works of contemporary writers and philosophers.

      • KCI등재

        임순득(任淳得)과 서정주(徐廷柱)의 관계 연구 – 임순득의 소설 「달밤의 대화(月夜の語り)」와 서정주의 시 「엽서-동리에게」를 중심으로

        이상경 한국여성문학학회 2023 여성문학연구 Vol.60 No.-

        일제 말 임순득이 마지막으로 발표한 소설 「달밤의 대화(月夜の語り」에는 서정주의 시 「엽서–동리에게」에 나오는 “포올 베를레에느의 달밤이라도/ 복동이와 같이 나는 새끼를 꼬마”라고 하는 한 구절이 인용되어 있다. 이를 단서로 하여 이연구에서는 같은 전북 고창 출신 소설가인 임순득과 시인인 서정주의 인간적, 문학적 관계를 밝혔다. 서정주는 1936년 초 최첨단 모던 여성이었던 임순득에게사랑을 호소했으나 임순득에게 거절당하고 수더분한 고향 여인과 결혼한다. 임순득에게 서정주는 어설픈 모더니스트처럼 보였고 또 임순득이 지고 있는 시대적 고민을 나눌 만한 상대도 아니었다. 두 사람의 관계에서 임순득은 서정주에게 보들레르처럼 섧고 괴로운 여자였고 임순득에게 서정주는 베를렌느의 달밤에도 생활을 위해 새끼를 꼬아야 하는 가난한 시인이었다. 이 과정은 서정주의 초기 시 세계가 서양적인 보들레르를 떠나 동양적인 전통 세계를 발견하는 것과 궤를 같이한다. 서정주는 일자리를 찾아 만주국에 갔다온 뒤 1942년 친일문학에의길로 들어선다. 임순득은 거기서 생활인으로서의 서정주를 보았고 소설 「달밤의대화」에서 서정주의 시를 인용하는 것으로 그 ‘생활의 표정’에 연민을 표했다. 이두 사람의 인연은 개인사로서도 흥미롭지만 그 상호텍스트성으로 해서 두 사람의 작품 해석을 풍부하게 해주며, 보들레르에서 잠시 만났던 두 사람이 한 사람은 ‘동양’으로의 귀환을 거쳐 친일 시인으로, 또 한 사람은 식민지 여성 지식인으로서 사명감을 견지하면서 시국색을 띄지 않는 서정적 작품을 쓰는 소설가로 서로 멀어지는 일제 말기 문학사의 흥미로운 한 장면을 빚어냈다. The last novel released by Im Soon-deuk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Moonlight Talk” quotes a verse from Seo Jeong-ju. With this as a clue, this study revealed the human and literary relationship between Im Soon-deuk, a novelist and Seo Jeong-ju, a poet. In early 1936, Seo Jeong-ju appealed for love Im Soon-deuk, a cutting- edge modern woman, but was rejected by Im and Seo married to a shabby country woman. This process parallels Seo’s departure from the Western world of Baudelaire in his early poetry to discover the Eastern world of tradition. To Im Soon-deuk, Seo Jungju looked like a clumsy modernist and was not a match to share the agony of the times. Later, Seo Jeong-ju went to Manchuria to make money and entered pro-Japanese literature around 1942. Im Soon-deuk saw Seo Jeong-ju’s life hardship and expressed her compassion for the “weight of poverty” by quoting Seo Jeong-ju’s poem in her novel “Moonlight Talk”. This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reated an interesting scen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in that it was an interesting relationship between pro-Japanese writer and writer who resisted with indirect writing.

      • KCI등재

        서정주와 수치심-부성 콤플렉스와 영원성의 세계

        정영진 한국문학치료학회 2023 문학치료연구 Vol.69 No.-

        이 글은 목적은 서정주의 부성 경험과 부성 콤플렉스가 시인의 영원성 시학의 시작과 신라정신 탐구에 영향을 미쳤음을 밝히는 데 있다. 시 「자화상」에서 보이듯, 서정주는 ‘종’의 아들로서의 정체성을 갖고 있었다. 서정주는 농감인 아버지의 신분으로 인해 수치심을 느꼈다. 서정주에게 아버지는 질서와 권위, 금지하고 처벌할 힘을 가진 존재가 아니라 무능력한 존재였다. ‘피’의 구속력으로부터 자유롭길 원했던 그는 새로운 세계를 향한 자유로운 시정신을 쫓았다. 1942년 부친의 죽음은 서정주에게 큰 변화를 가져왔다. 서정주는 그토록 거부하고자 했던 아버지의 상(image)을 자신의 모습 속에서 발견했다. 무의식 속에 그림자로 억압된 아버지를 의식화함으로써, 서정주는 새로운 자기인식을 얻게 된다. 즉, 자신의 부성 콤플렉스를 일정 부분 극복하게 된 것이다. 자기인식의 변화는 세계인식의 변화를 동반한다. 수치심으로 인한 자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함에 따라, 서정주는 이전에 볼 수 없었던 낙관적 태도로 세계를 인식하게 되었다. 그는 관능과 죽음의 육체성에 대한 시 대신 선인(先人)들의 영혼의 현존에 대한 시를 쓰기 시작한다. 그런데 이러한 시적 경향이 변하는 시기가 그의 친일 활동 시기와 겹친다. 이는 부성 콤플렉스가 일부 해소되는 과정에서, 자기 수용의 정신적 태도가 부조리한 현실 수용의 기제로도 작동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서정주는 망상과 환청 등의 정신질환을 겪는다. 이는 아버지의 신분으로 인해 권력 관계에서 기인하는 모욕감과 수치심의 기억이 전쟁의 공포 속에서 재생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서정주는 피난 생활 중 자살 시도를 한 이후, 삼국유사 등 신라의 신화를 접하면서 변화된 자신의 시 세계를 심화, 확장할 세계관을 발견했다. 신라의 혼교 관념을 통해 서정주는 산 자와 죽은 자가 연결되고,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는 세계가 연결되어 있는 온전한 하나의 세계를 희구했다. 아무것도 사라지지 않는 세계, 즉 영원한 세계는 그 자체로 질서 잡혀 있는 안전한 세계였다. 이는 아버지의 보호 속에서 세계의 미적 질서를 경험하길 원했던 그의 결핍과 욕망이 투영된 결과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demonstrate how Seo Jeong-ju's father complex and paternal experience affected the beginning of his poetics of eternity and his quest to find the spirit of Silla. Seo Jeong-ju had an identity as the son of a "servant," as the poetry [Self-portrait] demonstrates. Seo Jeong-ju saw his father not as the one with the power to command, authorize, forbid, and punish, but as an incompetent man. He chased a free spirit of poetry into a new universe because he yearned to be free from the shackling influence of "blood." Seo Jeong-ju's life underwent a significant upheaval after his father passed away in 1942. The image of his father that Seo Jeong-ju had wished to shun is found in him. By awakening his father, who was repressed by the shadow in his unconsciousness, Seo Jeong-ju developed a new sense of self. He has therefore largely conquered his father complex. His understanding of the world also changed as he became more self-aware. Seo Jeong-ju developed an optimistic outlook on the world as his shame-based negative opinion of himself began to transform into a positive one. He started writing poems about the existence of ancestors' souls rather than pleasure and the materiality of death. However, the time when this lyrical inclination shifts is also when he engages in pro-Japanese activities. It appears that his mental attitude of acceptance of who he was also served as a strategy for accepting the ludicrous reality while the father complex was being partially resolved. Seo Jeong-ju experienced mental illness during the Korean War, including delusions and hallucinations. This can be understood as the horror of war regenerating the memory of the insult and disgrace created by the power relationship caused by his father's status. After Seo Jeong-ju attempted suicide while living as a refugee, he encountered Silla stories like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which helped him develop a worldview to broaden and enrich his altered poetic universe. Seo Jeong-ju sought a complete universe in which the living and the dead, as well as the visible and invisible worlds, are connected through Silla's concept of spiritual communion. The world that never ends, the eternal world, was a peaceful and secure place in and of itself. This can be attributed to his lack and desire to experience the aesthetic order of the world under the protection of his father.

      • KCI등재

        서정주의 김소월론에 관한 몇 가지 주석

        이유미(Lee, Yu-mi) 한국현대문학회 2015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7

        미당 서정주의 시론은 시적 세계의 보충물로 간주됨에 따라 주목되지 않았다. 하지만 서정주는 해방기부터 본격적으로 자신의 시론을 개작, 반복함으로써 논리를 구체화한다. 이 과정에서 서정주는 김소월론을 집필하는데, 그의 김소월론은 단순히 김소월 시학의 의미와 가치를 해명하는데 그치지 않는다.『시인부락』동인이었던 김동리, 오장환 또한 비슷한 시기에 김소월론을 발표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문제의식 하에 서정주의 김소월론이 김소월 시의 전통성 및 정통성을 해명하는 가운데 미당 스스로를 그 계보의 적자로 세우고 있음을 규명하고자 했다. 서정주는『시창작법』(1947)에서 시를 감각, 정서, 예지의 단계로 설정했다. 이 글에서 김소월은 시의 최고 단계인 예지에 이르지 못하며 정서의 단계에 해당하는 시인으로 평가된다. 이후『시문학개론』(1959)에서 시의 단계는 주정시, 주지적인 시, 주의시, 지정의 제합의 시로 세분화되며, 김소월은 주정시의 최고 단계인 ‘정조’의 시인으로 자리한다. 이때, 서정주는 자신의 시를 서술화한 것을 정조의 예로 배치함으로써 김소월과 동등한 위치를 점한다 . 이는 김소월에 대한 비평가이자 계승자로서 자신의 위상을 뚜렷이 입안하려는 서정주의 기획임을 알 수 있다. 주지적인 시의 최고 단계인 예지는 서정주 시론에서 릴케와 니체를 통해 구체화되며, 정조와 예지의 종합은 서정주의 영원성 시학의 토대로 작용한다. 정조와 예지의 종합을 통해 서정주는 소월 시의 전통을 이어가며 자신의 시세계에서 유계를 확장시키려는 면모를 보여준다. 이처럼 서정주의 김소월론은 자기 이해의 방식이자 한국 시사에서 자신의 위치를 점하려는 전략적 글쓰기였다. The poetics of Seo Jeong-ju was not considered notable in the poetic world. Seo Jeong-ju adapted his poetics from the Liberation Period to embody logic in earnest. In the process, Jeong-ju writes about poetics of Kim So-wol. The introduction of So-wol by Seo Jeong-ju simply does not explain the meaning and value of So-wol’s poetry. The Siinburak(시인부락) coterie consisted of Kim Tong-ni and Oh Jang-hwan because So wol’s poetics was released around the same time. The current paper explains Jeong-ju’s and So-wol’s theory of consciousness to clarify and establish the poet, and Seo Jeong-ju explains the tradition and the legitimacy of the Sowol deficit during his lineage. Seo Jeong-ju set up steps of sensory, emotional and intellect in "Theory of Poetic Creation(시창작법)." Sowol reached the highest step as an intellect and a poet, corresponding to the stages of emotion. Since "Introduction to Poetry(시문학개론),” So-wol has become a poet of the highest level of "sentiment(情操)". Therefore, Seo Jeong-ju and So-wol are in the same position, placed on a screen that describes examples of sentiment. Seo Jeong-ju clearly plans to take his position as a critic and successor to So-wol. The highest step of intellect(叡智) in poetry does not embody Nietzsche and Rilke. Instead, overall intellect and sentiment serves as the basis for the eternity poetics of Seo Jeong-ju. The integration of sentiment and intellect shows that Seo Jeong-ju is the mentor of So-wol’s poetics. Thus, Seo Jeong-ju’s poetics, based on the poetry of So-wol, points to his position in Korea and suggests ways of self-understanding.

      • KCI등재

        서정주의 초기 기행시와 ‘신라-질마재’의 발견

        박옥순(Park, Ok-Soo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과학연구 Vol.0 No.52

        서정주의 초기 기행시를 주목한 이 글의 목적은 두 가지다. 첫째, 1930년대 경주 기행시를 통해 서정주가 어떻게 ‘신라’를 처음 발견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둘째, 경주 여행에서 발견된 ‘신라’가 이후 서정주의 만주 체험을 거치면서 어떻게 ‘질마재’라는 장소성과 만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서정주는 시 창작 초기부터 기행시라는 형식과 경주로 상징되는 ‘신라적 공간’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초기 기행시 「경주시」는 신라정신의 기원에 대한 서정주의 모색이 신라 천 년의 고도 경주에 대한 장소정체성과 함께 뚜렷하게 드러나 있는 중요한 작품이다. 무엇보다 「경주시」의 존재론적 가치와 위상은 서정주의 신라정신 탐구의 기원을 1930년대 후반으로까지 앞당기게 하는 결정적 증거로 작용한다는 데 있다. 경주 여행 이후 1940년 9월부터 1941년 2월까지 이어진 만주 체류는 서정주에게 헤테로토피아로서의 ‘신라-질마재’를 구상하게 한 계기로 작용했다. 이른바 ‘만주 드림’으로 이상화된 당대의 만주담론과 달리 서정주에게 만주는 ‘무간지옥’이자 ‘외국인의 외국인’이라는 주변인의 실존적 위치를 실감케하는 세계상실의 공간이었다. 이렇듯 절망적인 현실인식은 서정주에게 모든 장소의 바깥에 있는 또 다른 장소이자 대안적 공간인 헤테로토피아를 상상하게 했다. 실질적인 장소이면서 일종의 반(反)배치이자 실제로 현실화된 유토피아적 장소인 ‘신라-질마재’를 구상하게 한 것이다. 이처럼 경주와 만주 체험은 서정주 시세계의 중요한 변곡점으로 작용했다. 서정주는 경주 체험을 통해 ‘신라’에 대한 정신적 지향성을 모색하고, 이후 만주 체험을 통해 자신의 고향 ‘질마재’를 새롭게 발견했다. 그리고 이 둘을 포괄하는 개념으로서 ‘신라-질마재’를 이후 자신의 시세계를 지탱할 상상력과 시학의 내핵으로 자리매김시켰다. This paper, which may be the initial step to a study on Seo Joeng-ju’s travel poetry, has two purposes. First it attempts to identify how Seo Jeong-ju discovered ‘Silla’ through his poems about Gyeongju travel in 1930s. Second, it explores how this ‘Silla’ that was discovered through travelling Gyeonju, meets the placeness of ‘Gilmajae’ through Seo Jeong-ju’s Manju experiences. Since his early stage of poetry writing, Seo Jeong-ju has had a deep interest in the poetic form of travel poetry and the ‘Silla-ic space’ which can be represented by Gyeongju. Gyeongjusi (Gyeongju poem), the early travel poetry is an important work revealing Seo Jeong-ju’s exploration of the origin of the Silla spirit and the place identity of Gyeongju as the ancient capital of the thousand year Silla. Most of all, the existential value and status of Gyeongjusi acts as a critical evidence transferring the origin of Seo Jeong-ju’s exploration of Silla spirit to late 1930s. His stay in Manju from September 1940 to February 1941 after his Gyeonju travel acted as the opportunity for Seo Jeong-ju to conceptualize ‘Silla-Gilmajae’ as the heterotopia. Unlike the Manju discourse of the time, which was idealized as the so-called ‘Manju Dream’, Manju was a ‘Naraka (hell)’ and the space of world loss making him to experience the existential status of a marginal man as a ‘foreigner of foreigners’ for him. As such, the hopeless perception about the reality made Seo Jeong-ju to imagine heterotopia, an alternative space and the other place outside of all the places. This let him to conceive ‘Silla-Gilmajae’, an actual place and a sort of anti-placement as well as the actual realistic utopian place. The experiences of Gyeongju and Manju acted as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Seo Jeong-ju’s poetic world. Through experiences of Gyeongju, Seo Jeong-ju explored spiritual directions of ‘Silla’ and through experiences of Manju, he newly discovered his hometown, ‘Gilmajae’. As a concept embracing the two worlds, he positioned ‘Silla-Gilmajae’ as the inner core of his poetics and imaginations supporting his poetic world.

      • KCI등재

        서정주의 체험시와 ‘하우스만-릴케·니체-릴케’의 재구성 - 서정주 시학을 구축하기 위한 예비적 고찰

        김익균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4 한국문학연구 Vol.0 No.46

        The poetry and prose of Seo Jeong-ju during the late 1930s and 1940s openly reflect Rilkean influence. It is not that what can be construed as Rilkean is a sole inspiration in Seo's poetic world, but that it is integrated in the reconstructing process of the latter, which occurs amidst a variety of elements. Seo had accepted the experimental poetics of Housman, when his embrace of Rilke in an integrating manner came about in the context of a search for experimental poetry. The prose Shijakgwajeong (with the example of my humble work, Gukhwayeopeseo, states that a poem is written, in a macro view, as the result of a lifelong perseverance and the infinite number of accumulated images, while in a micro view a stanza is created at a specific moment to be followed by other two stanzas, with the last one produced and the whole polished and comple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is essay on the theme of his creative process suggests an articulation of Rilke and Housman. It is necessary to comprehend, first, the main element of the poetic world as constructed by Seo himself and the way it interacted with Rilkean poetics, resulting in its own reconstruction. It could be argued that the core of Hwasajib was complete by 1938, and previous studies on the subject have often defined Seo's poetic world as Baudelairean, assumingthe Nietzschean corporeality contained within it to be compatiblet with the Baudelairean evil. Seo, however, had removed himself from his poetic world he had persisted in, with the Baudelairean “mask,” until 1935; by the following year, soon after his debut, his pursuit of Nietzsche's corporeality had begun. Seo's well-known account of failure at courtshipis the process of his carrying out his poetics, recast into symbolic narrative. In Gukhwayeoeseo, the world of Hwasajib, with its rejection of Baudelaire's “intellect” and pursuit of Nietzschean corporeality, continued to dominate. Looked at more closely, however, it reveals a switch from the Dionysian corporeality into the Apollonian. Gukhwayeopeseo can be said to be an image of the birth of Olympian fantasy, a beautification of the will to live through pain and ordeal, through the mirror that is Pure Poetry. Nietzsche's praise of the rarity of the state of immersion in illusory beauty becomes a relevant parameter for the evaluation of Gukhwayeopeseo. Through his articulation of Housman and Rilke, Seo attempted to integrate the macro and micro aspects of experimental poetry. The world of Gukhwayeopeseo, reached through the Housman-Rilke, reflects Nietzsche, not as Hwasajib did but as Nietzsche “infrontofthemirror.” 서정주의 시와 산문은 1930년대 중후반부터 1940년대까지 릴케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하지만 릴케적인 것은, 서정주의 시세계와 독립적으로 수용되었다기보다는 여러 가지 요소들의 배치 속에서 재구성되는 서정주의 시세계 속으로 통합된 것이라는 관점이 요구된다. 서정주의 릴케 수용은 하우스만의 체험시론을 수용하는 도중에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릴케의 수용은 체험시의 모색이라는 좀 더 큰 맥락 속에서 해석될 필요가 있다. 산문 「시작과정(졸작 국화옆에서를 하나의 예로)」은 한 편의 시가, 거시적으로는 릴케적인 의미에서 일생에 걸친 인내와 무수히 많은 이미지의 축적에 의해 쓰여진다고 하고 미시적으로는 하우스만적인 의미에서 구체적인 한 순간에 3연이 떠오르고, 조금 쉬었다가 1, 2연이 떠오르고, 다시 마지막 4연은 오랜 시간 어렵게 제작하고 퇴고하면서 완성되는 전체로서 쓰여진다고 서술한다. 서정주의 「시작과정(졸작 국화옆에서를 하나의 예로)」은 하우스만-릴케의 절합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릴케의 영향을 수용할 무렵 서정주가 구축해 놓은 시세계의 주조가 무엇인지 그 주조가 릴케와 상호작용하면서 시 안에서 어떻게 재구성되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서정주의『화사집』의 핵심은 1938년에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는데 이 세계를 많은 선행연구는 보들레르적인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보들레르적인 악마성과 니체의 육체성은 이 안에서 구분되지 않고 이해되는데 이는 섬세한 접근을 필요로 한다. 당대에 쓰여진 서정주 자신의 보고에 따르면 서정주는 보들레르적인 ‘가면’을 쓰던 1935년까지의 시세계로부터 벗어나서 등단 직후인 1936년에 니체의 디오니소스적인 육체성을 탐구하기 시작한다. 서정주의 유명한 연애실패담은 시세계의 이행 과정을 상징적 서사로 주조한 것이다. 「국화옆에서」에는 보들레르의 ‘지성’(가면쓰기)을 거부하고 니체의 육체성을 탐구하던 『화사집』의 세계가 지속되고 있었는데, 그 세부를 들여다보면 『화사집』이 디오니소스적인 육체성을 탐구한 세계였는데 비해서 「국화옆에서」는 아폴론적 육체성을 탐구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보인다. 「국화옆에서」는 고통과 고뇌 속에서 살아내고자 하는 누님의 의지가 순수시라는 거울을 통해서 자기 자신을 아름답게 변용시킴으로써 올림포스적인 환상을 탄생시키는 이미지라고 할 수 있다. “그 소박함, 즉 가상의 아름다움 속에 완전히 몰입되어 있는 상태에 도달한다는 것은 얼마나 드문 일인가!”라는 니체의 찬탄은 「국화옆에서」를 평가하는 데도 유의미한 척도가 된다. 서정주는 하우스만-릴케의 절합을 통해서 체험시의 거시적인 측면과 미시적인 측면을 종합하려 했다. 또한 하우스만-릴케의 체험시론적 사유를 거쳐서 도달한 「국화옆에서」의 세계는 『화사집』의 니체가 아닌, ‘거울앞에 선 니체’를 보여주었다.

      • KCI등재

        서정주 시의 ‘신라’ 표상과 불교적 상상력

        문태준(Moon Tae-Ju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 Vol.0 No.28

        서정주가 『신라초』를 통해 발견해낸 ‘영생 실감’이라는 신개지는 이미 『귀촉도』와 『서정주시선』 등에서 이미 그 출현의 전조를 내보인 것으로서 돌발적이거나 의도적인 미적 기획이 아니라고 사료된다. 서정주는 『신라초』를 통해 사적(史的) 계승자가 되어 보다 광활하고 비정형적이며 균질하지 않은 화려장엄한 영혼과 시간으로의 활공을 선보인다. 영원주의로 일컬어지는 신라정신은 ‘세대계승’의 차원에서 시작된 미학적 기획이라고 볼 수 있다. 그것은 한국전쟁을 전후한 시기에 서정주가 겪었던 내적인 갈등을 극복하고 치유하는 과정에서 만난 정신적 원형이었으며, 또한 이러한 지향에는 서정주의 인생의 원숙함이 또 하나의 원인이 되었다. 서정주의 시편들은 과거의 역사를 현재적 시간으로 치환하며, 그의 시편들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영원의 삶을 사는 인물들로서 호명되는 특징을 드러낸다. 서정주는 ‘신라’ 표상의 작품들을 통해 혼교(魂交), 혹은 영통(靈通)으로서의 영원성의 시학을 펼쳐 보인다. 이와 같은 시학은 영원성이 우주 세계에 편재하는 질서임을 체감하게 해준다. 서정주의 시편들은 유기적인 생명관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서 인간과 자연의 조화와 통합을 지향한다. 이러한 지향은 그의 시에서 상승의 상상력으로 나타나며, 나아가 원환적인 변신을 보여주는 대상들을 등장시키기도 한다. 서정주의 시세계는 불교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다. ‘신라’ 표상의 작품들이 보여주는 상관성으로서의 세계 인식, 인간과 자연의 융화, 윤회하는 주체 등은 불교적 세계관에서 잉태된 것이다. 서정주의 시는 불교적 상상력을 채용함으로써 한국의 시사(詩史)에서 돌올하고도 유현한 형이상학적 깊이를 획득하고 있다. The new cultivated land called ‘realization of eternal life’ that Seo Jeong-ju discovered through 『Sillacho』 has already showed a sign of its appearance in 『Gwichokdo』 and 『Collection of Seo Jeong-ju’s Poems』, etc. Thus, it is thought that it is not accidental or intentional aesthetic planning. Seo Jeong-ju becomes a historical heir through 『Sillacho』 and exhibits gliding; more spacious, atypical, unhomogeneous, splendid and magnificent spirit and time. The Silla spirit called eternalism can be seen as planning started in a dimension of ‘succession of generations’. It was a good and beautiful order met in a process overcoming and curing internal conflict that Seo Jeong-ju experienced in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Seo Jeong-ju’s maturity of age became another reason in self-government of this order and harmony. Seo Jeong-ju’s poem pieces replace the past history with contemporary time, and characters appearing in his poem pieces show characteristics called as characters living eternal life. Seo Jeong-ju spreads poetics of eternity as exchange of souls or communication with the spirit through works of a symbol of ‘Silla’. Poetics like this make us experience that eternity is an order omnipresent in the universe. Poem pieces of Seo Jeong-ju are based on organic views on life and aim at harmony and integration of human being and the Nature. The aim like this appears as rising imagination in his poems, and also makes targets showing circular transformation appear. The poetic world of Seo Jeong-ju is based on Buddhist imagination. The world recognition, harmony between human beings and the Nature, the transmigrating subject, etc. as a correlation showing works of a symbol of ‘Silla’ are conceived from Buddhist world views. Poems of Seo Jeong-ju are acquiring the excellent, profound and metaphysical depth in the Korean poem history by adopting Buddhist imagination.

      • KCI등재

        서정주의 생명파 논의와 시간성의 의미 고찰

        허요한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6 한국문학연구 Vol.0 No.52

        The discussion of ‘Saengmyungpa(生命派)’ by Seo Jeong-ju was a discourse in the process to constitute his position in literature at the time of Korean Independence. ‘Saengmyungpa’ was explained in the perspective of Greek corporality. With concern for the ancient time, modern youth's wandering, represented by Baudelaire has been flawlessly connected to the name of ‘Saengmyungpa’. However, the discussion of ‘Saengmyungpa’ seemed to fix ‘Shiinburak(詩人部落)’ as a trend in a specific time in the history of poetry. This article has a perspective that Seo Jung-ju’s Vitality is an important word to understand eternity, a critical concept in his poetics. Seo Jung-ju's Vitality seems to be affected by the Japanese ‘Taisho Life-ism(大正生命主義)’. It was possible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Kim Dongri as well as his ability as an intellectual who could read Japanese books. However, while Kim Dongri's ‘vitality’ was a concept that the East against the Western modernity was extended to religious level, Seo Jeong-ju set a ‘poet’, aesthetical agent in its center. The space of Jilmaje created by Seo Jung-ju was not limited in the actual hometown but can be considered as an aesthetic location to reveal the poet's ‘inside’. Therefore, the signal of ‘Shiinburak’ explained as the concept of life by Seo Jeong-ju, points out the discovery of modern ‘person’, rising suddenly in the ‘Taisho democracy era’. The inside of the poet explained as ‘Pachok’, ‘Flower Shadow’, and ‘Shiinburak’, is extended with its concept through ‘Jilmajae’. However, ‘Jilmajae’ was a moment to limit extension of poem, separating ‘poetry’ and ‘life’. The separation of ‘poem’ and ‘life’ was a sense from priority of ‘life’ from Seo Jeong-ju's own experiences in Manchuria. Korea in the 1960's and the 1970’s was in the era to follow exactly problems due to industrial development led by the government of the Country of Manchuria. In the ‘Jilmajae’ Narrative in the 1970's, an aesthetic space where communities co-exist in peace was a structure to hide extortion against each person. His aesthetic space losing black images was where power of pathos by despair disappeared. 서정주의 생명파 논의는 해방기에 자신의 문학사적 위치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나온 담론이었다. 그러나 서정주의 ‘생명’은 그의 시학의 중요한 개념인 ‘영원성’을 이해하는 중요한 개념이기도하다. 서정주 문학은 근대라는 공간 속에서 실존의 문제를 끊임없이 다루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 바탕에는 시간의식이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시인부락 당시 서정주의 ‘생명’은 시기적으로는 일본 다이쇼시기에 발생한 ‘다이쇼 생명주의’의 영향권 내에 있었다. 이후 해방기 김동리와의 관계를 통해서 ‘생명’의 시간성과 실존의식은 구체화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김동리의 생명은 서구적인 모더니티에 대항한 동양을 종교적 차원으로까지 확장시킨 개념인 반면, 같은 시기 서정주는 그 중심에 미학적 주체인 ‘시인’를 설정했다. 서정주가 생명의 개념으로 설명한 「시인부락」이라는 기표는 다이쇼 데모크라시 시기에 발흥한 근대적 ‘개인’에 대한 발견을 가리키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940년대 이후 시인의 내면은 ‘질마재’를 통해 그 영원성을 드러낸다. 서정주가 만들어낸 ‘질마재’라는 공간은 실제 고향을 지칭하는데 그치지 않고, 시인의 ‘내면’을 드러낸 미적 공간으로 볼 수 있다. 1970년대까지 이어지는 일련의 작업에서 서정주의 시간의식은 영원성과 개인의 내면이라는 ‘시간-존재’를 드러내 보임으로써 근대적 시간의 극복을 시도했다. 그러나 이러한 시간관에는 미래가 부재한 것처럼 보인다. 영원의 시간은 ‘역사주의’의 부재보다도, 죽음이라는 절대적 타자를 적극적으로 대면하지 않은 결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받아들인 타자로서의 ‘타인’의 형상이 ‘질마재’의 공간에서 보이지 않는 사실은 서정주의 시간관의 문제를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1960, 70년대의 한국은 만주국의 국가주도형 산업개발로 인한 문제들을 그대로 답습하는 시대였다. 1970년대의 「질마재 신화」에서 공동체가 평화롭게 공존하는 미적 공간은, 실제로는 각 개인에 대한 착취가 은폐되는 구조이기도 했다. 검은색의 이미지가 사라진 그의 미적 공간은 절망이 갖는 파토스적 힘이 사라진 공간이었다. 그리고 그 절망은 타자를 마주할 때 가능한 것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