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생활한국춤 대중화를 위한 인식도 조사 및 활성화 방안

        백현순 한국무용연구회 2012 한국무용연구 Vol.30 No.3

        This study aims to survey the awareness of Korean dance being popular as life-dance, analyze it and then seek ways to vitalize Korean dance as life-da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most of the students involved in the survey regard all of the activities in relation to dance as life-dance. They think life-dance necessary in modern society but think little of life-dance teachers; rather highly of artists. Considering the awareness, the students of dance department seem to have difficulty in creating life dance-related jobs. Therefore, they need to change their perception of life-dance. The public show much interest in korean dance as life-dance. Based on the implications, I will seek six ways to vitalize korean dance as life-dance. First, life-dance should be put into korean dance category. Second, instrumental accompaniment of Korean dance is to be changed to the trend, for the public to have fun, by means of life-dance. Third, Korean dance should be developed to new form of life-dance. Fourth, the curricula of life dance are needed to be included in dance department programs. Fifth, for the frequency of life-dance performance, universities concerned are required to create joint performance, in the name of exchange program of life-dance. Last but not least, programs of life dance should be produced in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본 연구는 한국춤을 생활무용으로 대중화시키기 위한 인식도를 조사하여 분석한 후 생활무용으로서의 한국춤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결과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은 생활무용에 대해 춤과 관련된 모든 활동이 생활무용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생활무용이 현대사회에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인식은 높게 하였으나 생활무용지도자에 대해 크게 부러워하지는 않음으로써 무용학과 학생들은 예술가를 더 높이 평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으며 이는 무용학과 학생들이 향후 생활무용으로 직업을 창출할 때 문제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생활무용으로서 한국춤에 대한 관심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생활무용으로서 한국춤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연구방안을 제시해 보면 첫째, 한국춤 분류 속에 생활무용이라는 분류를 넣어 한국춤이 생활화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고 둘째, 한국춤의 반주 음악을 시대에 맞게 변화시켜 생활한국춤이 재미있고 신나는 춤이라는 인식을 시켜야 하며 셋째, 한국춤도 시대의 흐름에 맞는 새로운 형태의 생활한국춤으로 개발시켜야 하며 넷째, 무용학과의 교육 프로그램에 생활한국춤 분야를 개설하여야 하고 다섯째, 생활한국춤 공연이 빈번해질 수 있도록 대학에서 생활무용교류 프로그램으로 합동공연을 갖는 것과 여섯째, 사설 교육기관에 생활한국춤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 생활한국춤의 무용적 의미 정립과 직업적 전망

        김경숙,김기화 한국무용연구학회 2011 한국무용연구학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Vol.2011 No.-

        생활한국춤은 생활무용의 하위 범주에 속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생활한국춤은 생활무용에서 장르적 개념인 한국무용, 특히 한국전통무용으로 인식되어 왔을 뿐 이 용어에 대한 충분한 논의를 통한 정립이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연구를 통해 생활한국춤의 의미를 평생교육의 이념에 근거하여 논의 정립하였다. 세부적인 연구 논제는 용어 정립에 따른 생활한국춤의 범주와 가치, 새로운 학문분야로서의 전망, 그리고 무용계의 심각한 현안인 직업적 전망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한국춤의 학문으로서의 전망과 직업적 전망을 구체적으로 정립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개발, 지도자양성, 교육현장의 구축 등이 체계적으로 연구되고 실행되어 이를 임금구조로 연계하는 일련의 과정이 있어야 함을 제안 하였다. 아직까지 생활한국춤이 무용의 한 분야로서 정립되거나 이를 통한 새로운 취업을 모색하기에는 많은 부분 해결해야 할 것들이 있다. 그러나 생활한국춤을 조금 더 큰 사회 구조 안에서 바라본다면 우리 무용계가 취할 수 있는 많은 내용이 있을 것이다. 큰 틀 안에서 미래의 무용계를 위해 기성의 무용인들은 생활한국춤의 발전을 도울 수 있는 당면한 문제들을 심각하게 인식하고, 통일된 목소리로 합리적인 방안을 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21세기 한국춤의 재해석, 일상성

        고경희,노현식 한국무용연구학회 2011 한국무용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먼저 춤의 근원적 탐색을 통해 한국춤의 일상성에 대한 고찰에 이어서 현대에 와서 일상적인 생활무용으로 재탄생한 한국춤의 의미에 대해서 논의하여 보고자 한다. 생활무용은 누구나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신체활동이며 여가문화로서 무용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무용을 예술뿐만 아니라 여가나 건강의 범위로까지 확대시켜주었다. 그리고 비일상적인 예술인 한국춤이 다시 일반인들에게 일상적인 춤으로 다가설 수 있는 장을 마련해주었다. 또한 한국춤이 일상의 단편으로 현대사회를 반영하고, 그 속에 자리하고 있는 자신의 삶을 인지하고 변화시켜줌으로 하여 사회화 과정에 도움을 준 것이다. 한국춤의 생활무용화는 한국춤이 대중과 함께 호흡할 수 있고 개인의 일상적인 신체활동으로 사회를 아우르는 소통의 장이 되었고, 모든 대중이 주체가 되는 생활무용으로 발전하였다. 이것은 곧 생활무용이 주장하는 ‘모두가 즐긴다(Universal Dance for All).’라는 목적을 실천하게 된 것이다. 예술에 대한 고정관념을 버리고 열린 개념으로 일상성을 포용한 한국춤은 다양하고 복잡한 현대사회 속에서 자신을 상실해가는 우리에게 삶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며 예술을 좀 더 대중과 친밀하게 만들어 주는 계기가 되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ordinariness of Korea traditional dance is to be studied through the investigating the meaning of dance and the meaning of Korea traditional dance for allin the present dayis also to b ediscussed. “Dance for All” provides opportunity for all people to enjoy and participate in dancing as one of a physical activity or leisure, and also expands boundary of dance. This means that the korea traditional dance as an art becomes a dance in ourdaily life for ordinary people. Korea traditional dance for all becomes a communication channel of our society for people to enjoy together, and grows for all people to participate. This is to achieve the Goal of “Dance for all”, that is: “Universal Dance for All.” The concept change of korea traditional dance from an art to dance for all provides a new view point of our daily life to us who has lost ourselves in this complicated modern times, and also opportunity to become familiar with an art than any before.

      • KCI등재후보

        생활한국춤의 무용적 의미 정립과 직업적 전망

        김경숙,김기화 한국무용연구학회 2012 한국무용연구 Vol.30 No.1

        Korean-Dance for life is a concept categorized under dance for life. Defining the meaning of this term has made little progress beyond a notion as a Korean dance, in particular, a traditional Korean dance based on its genre features. In this study, we researched and intended to define the meaning of Korean-Dance for life based on the principle idea of continuing education through analyzing existing literatures. The details of the subject of this study consist of the scope and values of Korean-Dance for life, prospect as a new academic theme and vocational prospect that is a pending issue in dance community in Korea.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systematic researches and operation of such activities as developing programs, training leaders and establishing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a series of processes that connect the results from such activities to wage systems in order to define more concretely the prospect of Korean-Dance for life in academic field as well as professional careers. There are still many things to be resolved for Korean-Dance for life to be accepted as a part of academic dance area, providing new vocational opportunities. Even so, a number of matters can be carried out by the dance community if the community can see it in the broader scope of society. For the sake of the future of dance community, it is necessary for the established dancers to fully realize the pending issues and present practical methods to ensure the development of Korean-Dance for life in a unified manner. 생활한국춤은 생활무용의 하위 범주에 속하는 개념으로 생활무용에서 장르적 개념인 한국무용, 특히 한국전통무용으로 인식되어 왔을 뿐 이 용어에 대한 충분한 논의를 통한 정립이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연구를 통해 생활한국춤의 의미를 평생교육의 이념에 근거하여 논의 정립하였다. 세부적인 연구 논제는 용어 정립에 따른 생활한국춤의 범주와 가치, 새로운 학문분야로서의 전망, 그리고 무용계의 심각한 현안인 직업적 전망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한국춤의 학문으로서의 전망과 직업적 전망을 구체적으로 정립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개발, 지도자양성, 교육현장의 구축 등이 체계적으로 연구되고 실행되어 이를 임금구조로 연계하는 일련의 과정이 있어야 함을 제안 하였다. 아직까지 생활한국춤이 무용의 한 분야로서 정립되거나 이를 통한 새로운 취업을 모색하기에는 많은 부분 해결해야 할 것들이 있다. 그러나 생활한국춤을 조금 더 큰 사회 구조 안에서 바라본다면 우리 무용계가 취할 수 있는 많은 내용이 있을 것이다. 큰 틀 안에서 미래의 무용계를 위해 기성의 무용인들은 생활한국춤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당면한 문제들을 심각하게 인식하고, 통일된 목소리로 합리적인 방안을 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생활 한국춤과 활인(活人)

        백현순 한국무용연구회 2009 한국무용연구 Vol.27 No.2

        본 논문은 퇴계의 활인심방에 들어있는 `소리에 신비한 힘이 있다`는 `거병연수육자결(去病延壽六字訣)`을 바탕으로 생활 한국춤을 만들고자 한 것이다. 거병연수육자결은 병을 없애고 수명을 연장하는 6가지 소리를 말하는데 이 소리와 함께 한국춤 동작을 만들어 일반인들이 누구나 쉽게 생활무용으로서 한국춤을 출 수 있게 하고자 한 것이다. 즉, 여섯가지 소리와 한국춤이 어울려 사람의 오장육부를 운동시킴으로써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는 생활 한국춤을 개발하고자 한 것이다. 거병연수육자결의 6가지 소리는 휴, 훠, 후, 쓰, 취, 히 로 낸다. <휴>는 간의 기능을 좋게 하고 <훠>는 심장의 기능을 좋게 한다. <후>는 비장의 기능을 좋게 하고 <쓰>는 허파의 기능을 좋게 한다. <취>는 신장의 기능을 좋게 하며 <히>는 삼초를 좋게 한다. 그리고 <하하 호호>등의 소리는 마무리 동작과 함께 즐겁게 활짝 웃음으로서 생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이다. 이상의 퇴계의 건강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춤 동작을 만들어 소리를 내면서 춤을 추는 소리비법춤을 만들어 보았는데 춤동작의 특징은 호흡과 몸의 굴신운동을 통해 천지의 기운이 온 몸에 골고루 퍼지도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it possible for the public to have an access to the movement of korean daily dance, based on Kyoebungyounsuyukjakyeol that has the idea that the sound in Toegye`s Hwalinshimbang has a mysterious power. In other words, this paper aims to develop Korean daily dance which helps one`s longevity, by making the five viscera and the six entrails activate, by a mixture of six sounds and Korean dance. Kyoebungyounsuyukjakyeol says that six sounds which cure the illness and extend one`s lives are the secret way to make the five viscera and the six entrails function well; they as Whu(휴), Huhoe(훠), Hoo(후), Thu(쓰), Chui(취), and Hee(히); Whu makes the liver function well, Huhoe does the heart, Hoo does the visceral, Thu does the lungs, Chui does the kidney, and Hee does the chest, the abdomen and abdominal region; The sound such as Haha Hoho is made to lead to happy life with bright smile when the final movement is progressing. Finally, I have created the dance of sound, using the action of Korean dance; it features the universal spirit`s spread over the whole body, by dint of the motion of bending legs.

      • KCI등재

        생활한국춤 참여가 치매의심 노인여성의 인지기능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

        유지영,신원태,권오석 한국무용연구학회 2018 한국무용연구 Vol.3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Korean Life-dance on cognitive function and physical fitness in aged women suspected to have dementia. To address the goal, this researcher selected aged women residing in A and suspected to have mild dementia for receiving points lower than 23 in th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By observing the effects of eight-week participation in Korean Life-dance on cognitive function and physical fitness, conclusions have been drawn as follows. Regarding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Korean Life-dance on cognitive function and physical fitness (static balance, & complex movement capability) in aged women suspected to have dementia,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have been found between the measuring time and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indicated positive improvement in cognitive function and physical fitness after participation in Korean Life-dance. To sum up the results, participation in Korean Life-dance enhances cognitive function and physical fitness in aged women suspected to have dementia; therefore, it can be utilized as a method to prevent and manage dementia. 본 연구는 생활한국춤 참여가 치매의심 노인여성의 인지기능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A 지역에 거주하며 한국형 간이정신상태검사 검수가 23점 이하로 경증치매가 의심되는 노인여성을 대상으로 8주간 생활한국춤 참여가 인지기능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생활한국춤 참여에 따른 치매의심 노인여성의 인지기능과 체력(정적 평형성, 복합적 이동능력)은 측정시기와 집단 간의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으며, 실험집단에서 생활한국춤 참여 후 인지기능과 체력이 긍정적으로 개선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생활한국춤 참여는 치매의심 노인여성의 인지기능과 체력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기에 치매의 예방 및 관리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생활한국춤 수업사례 및 교수법 제안 -스팟기법을 중심으로-

        유지영 ( Ji Young Yoo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6 한국무용연구 Vol.34 No.1

        본 연구는 실제 스팟기법을 활용하고 있는 생활한국춤 수업사례를 소개하고, 한국춤을 익히기에 유용한 스팟기법 제안에 목적이 있다. 수업사례 소개에서는 본 연구자가 직접 수업에 참여하여 관찰한 내용을 서술하는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에 따라 첫째, 생활한국춤 수업에서는 간단한 규칙을 수반한 게임 혹은 유희를 통해 한국춤의 미적특성 체득하기, 다른 소도구 춤 교육으로 전환하기, 수업에 대한 몰입도 유지하기와 같은 수업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적극적인 움직임을 유도하게 하거나 신체, 인지적 기능 회복과 같은 기대효과가 관찰되었다. 둘째, 한국춤 익히기를 위한 스팟기법 제안에서는 한국춤의 즉흥성과 정중동(靜中動)의 춤기교 체득을 위해 ``그대로 멈춰라`` 놀이를, 보법과 춤호흡 일치성 습득을 위해 ``우리집에 왜 왔니`` 놀이를 응용하였다. 마지막으로 한삼춤의 팔사위 활용을 위해 ``청기 백기`` 놀이를 응용함으로써 한국춤을 보다 쉽고 재미있게 익힐 수 있는 교수법을 고안하였다. This study aims at introducing Korean life-dance class cases which utilize actual spot teaching techniques and proposing spot teaching techniques which are useful in learning Korean dance. In the introduction of class cases,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applied an ethnographic case study method in which the researcher personally participated in classes and described their observations. According to this, first, Korean life-dance classes created an atmosphere in which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could be learned, in which conversions could be made to prop dance education, and engagement in class could be maintained through amusement or games which involve simple rules. Also, expected effects such as the inducement of active movement and the restoration of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s were observed. Second, in the proposal for spot teaching techniques used for the learning of Korean dance, the ``stop right there`` game was applied for the learning of the spontaneity of Korean dance and the learning of the aesthetic dance forms of movement-in-stillness and the ``why did you come to my house?`` game were applied to train stepping movements and conformity between dancing and breathing. Lastly, a teaching method through which Korean dance could be learned in a more fun and easy way was designed by applying the ``blue flag, white flag`` game to use the arm movements of the Hansam dance.

      • KCI등재

        만성요통 노인여성의 생활한국춤 참여가 요부 근 기능과 유연성 및 VAS에 미치는 영향

        이향범 ( Lee Hyang-beum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8 한국무용연구 Vol.36 No.3

        본 연구는 만성요통 노인여성의 건강 증진을 위한 운동 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S시에 거주하는 만성요통 노인여성을 대상으로 생활한국춤 참여에 따른 요부 근 기능과 유연성 및 VAS의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생활한국춤 참여에 따른 만성요통 노인여성의 요부 근 기능(근력, 근지구력)과 유연성 그리고 VAS는 측정시기와 집단 간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으며, 실험집단에서 생활한국춤 참여 후 긍정적으로 개선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생활한국춤은 다양한 관절과 근육의 움직임을 통해서 만성요통 노인여성의 요부의 근 기능과 유연성 그리고 VAS를 개선시켰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만성요통 노인여성에게 생활한국춤 참여는 요통의 예방 및 관리를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운동 프로그램으로 적용가능하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 for improving health in aged women with chronic backache. To address the goal, this author selected aged women with chronic backache residing in S City and observed how their lumbar muscle function, flexibility, and VAS had changed according to their participation in Korean d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fter participating in Korean life-dance, in aged women with chronic backache, lumbar muscle function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flexibility, and VAS indicated interactive effects between measuring times and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positive improvement after participating in Korean life-dance. To sum up the above results, Korean life-dance enhances lumbar muscle function, flexibility, and VAS in aged women with chronic backache through a variety of joint and muscle movements.

      • KCI등재

        댄스스포츠의 가치와 활성화 방안

        신현군(Shin, Hyun Kun),김문석(Kim, Mun Suk),이소영(Lee, So Young),김경래(Kim, Kyoung Nae) 한국체육철학회 2003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values of Dancesport and search for the ways to popularize it, contributing to its popularization and growth. The values of dancesport were examined in the physiological, leisure-cultural, sociological and educational aspects. In the physiological aspects, dancesport is one of the best aerobics which has a strong effect on cadio-vascular such as cycling and so on. In the leisure-cultural aspects, leisure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Dancesport is defined on this aspects level as activity chosen in relation for qualities of satisfaction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 In the social aspects, the social expectation of male initiative is of course also the reason that conventionally in dancesport the man leads, and the lady follows, the man is basically responsible for the choreography and directions of travel. It requires understanding manner and morals which make good relationship between people. In the educational aspects, dancesport introduced to people as a life sports that people can enjoy themselves. This study is suggested how world dancesport association trying dancesport to be chosen as a of ficial sport in Olympic games. We should carefully check current problems of dancesport association in Korea and suggest an appropriate mesaure to be tak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