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리석 목신상』에 대한 생태여성주의적 고찰

        김정애(Kim, Jeongae) 문학과환경학회 2019 문학과 환경 Vol.18 No.2

        생태여성주의는 현재의 환경위기를 극복할 새로운 윤리학이 될 수 있다. 생태여성주의는 여성억압의 기제인 근대의 이분법적 지배원리가 남녀 간의 관계를 초월하여 모든 삶의 요소에 총체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인식하게 되었다. 생태여성주의자들은 지구의 대재앙이 되고 있는 환경오염의 원인에도 인간의 자연에 대한 지배원리가 동일하게 자리하고 있다는 이해에 도달한다. 그러므로 생태여성주의는 이러한 지배원리를 종식시킴으로써 타자로서의 여성과 자연을 동시에 해방시킬 수 있는 사실상, 평등하고 건강한 관계 맺기의 윤리학이다. 본고는 호손의 『대리석 목신상』에서 생태여성주의의 한 지류인 영적 생태여성주의의 관점으로 두 주인공인 미리엄과 도나텔로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영적 생태여성주의는 특히 여성성의 원리인 모성성에 기반 한 돌봄이 지배종속적 관계를 초월하여 상호 이해와 성장을 돕는 관계의 윤리학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살인사건이라는 모티프를 통해 미리엄은 자연성의 상징으로 알려진 도나텔로의 도덕적 각성과 성장의 과정에서 돌봄을 펼침으로써 그의 성장뿐 본인의 성장까지 이끌어내는 상호 발전의 관계 맺기를 보여준다. 본고를 통하여 고전에 대한 생태여성주의의 접근가능성과 그 관점의 보편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Ecofeminism might be a good choice for us to make for the new ethics in the face of the current environmental crisis. Beginning in the 1970’s, feminists reached the awareness that domination of women by men and the domination of nonhuman nature by human beings are closely related. They also recognized that repression is based on the dichotomous thinking of modern industrialized civilization. This paper focuses on Spiritual Ecofeminism which is one stem of various Ecofeminism theories and emphasizes the connectedness of women and nature. Spritual Ecofeminists assume that peaceful coexistence will come to the world when we adopt the principle of spirituality, that is to say, motherhood as a new leading principle instead of capitalism and patriarchy. This paper aims to seek practical ethics which is on the basis of Spiritual Ecofeminism in The Marble Faun . Through this romance, Miriam displays motherhood by educating and caring for Donatello and they all accomplish moral growth in a close relationship. While the modern dichotomous logic is destructive and violent to the weak, the Ecofeministic ethics pursues the relational equality. That’s because Ecofeminists present their caring esthetics to us in order to overcome the environmental crisis. 생태여성주의는 현재의 환경위기를 극복할 새로운 윤리학이 될 수 있다. 생태여성주의는 여성억압의 기제인 근대의 이분법적 지배원리가 남녀 간의 관계를 초월하여 모든 삶의 요소에 총체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인식하게 되었다. 생태여성주의자들은 지구의 대재앙이 되고 있는 환경오염의 원인에도 인간의 자연에 대한 지배원리가 동일하게 자리하고 있다는 이해에 도달한다. 그러므로 생태여성주의는 이러한 지배원리를 종식시킴으로써 타자로서의 여성과 자연을 동시에 해방시킬 수 있는 사실상, 평등하고 건강한 관계 맺기의 윤리학이다. 본고는 호손의 『대리석 목신상』에서 생태여성주의의 한 지류인 영적 생태여성주의의 관점으로 두 주인공인 미리엄과 도나텔로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영적 생태여성주의는 특히 여성성의 원리인 모성성에 기반 한 돌봄이 지배종속적 관계를 초월하여 상호 이해와 성장을 돕는 관계의 윤리학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살인사건이라는 모티프를 통해 미리엄은 자연성의 상징으로 알려진 도나텔로의 도덕적 각성과 성장의 과정에서 돌봄을 펼침으로써 그의 성장뿐 본인의 성장까지 이끌어내는 상호 발전의 관계 맺기를 보여준다. 본고를 통하여 고전에 대한 생태여성주의의 접근가능성과 그 관점의 보편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Ecofeminism might be a good choice for us to make for the new ethics in the face of the current environmental crisis. Beginning in the 1970’s, feminists reached the awareness that domination of women by men and the domination of nonhuman nature by human beings are closely related. They also recognized that repression is based on the dichotomous thinking of modern industrialized civilization. This paper focuses on Spiritual Ecofeminism which is one stem of various Ecofeminism theories and emphasizes the connectedness of women and nature. Spritual Ecofeminists assume that peaceful coexistence will come to the world when we adopt the principle of spirituality, that is to say, motherhood as a new leading principle instead of capitalism and patriarchy. This paper aims to seek practical ethics which is on the basis of Spiritual Ecofeminism in The Marble Faun . Through this romance, Miriam displays motherhood by educating and caring for Donatello and they all accomplish moral growth in a close relationship. While the modern dichotomous logic is destructive and violent to the weak, the Ecofeministic ethics pursues the relational equality. That’s because Ecofeminists present their caring esthetics to us in order to overcome the environmental crisis.

      • KCI등재

        최시형 사상의 생태여성주의적 특징과 의의 - 자연과 여성의 연결 문제를 중심으로 -

        황종원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2 儒學硏究 Vol.60 No.-

        이 글은 자연과 여성의 연결 문제를 중심으로 최시형의 사상에 어떤 생태여성주의적 특징과 의의가 있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화적 혹은 영적인 생태여성주의는 자연과 여성을 연결하여, 이 둘의 가치를 함께 폄하해온 서구의 가부장제를전복시켜, 자연의 여성성과 여성적 가치의 우월함을 강조했다. 이와 유사하게 최시형도 어머니의 ‘젖’과 ‘포태’의 은유로 자연의 여성적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역사적으로 희생당해온 자연과 여성을 공경할 것을 요구했다. 그렇지만 자연과 여성의 연결에 관한 최시형의 생각은 유학의 생태적 윤리를 계승하면서도, 음양론에 근거하여 자연을 위계화해 여성을 은근히 억눌러온 유교적 가부장제를 비판하였다는 점에서 반(反) 생태적인 동시에 가부장적인 서구 전통에 저항한 서구의 생태여성주의와는 그 사상적 배경이 다르다. 바로 이 차이로 인해 문화적 생태여성주의에 대한 여러가지 비판은 최시형의 사상에는 대부분 적용되지 못한다. 우선 서구에서 급진적 여성주의자들은 자연과 여성의 연결이 여성에 대한 모욕이라고 극언했지만, 천지를부모처럼 공경하라는 유학의 관념을 계승한 최시형에게는 자연과 여성의 연결이 결코 여성에 대한 모욕이 아니다. 다음으로 사회적 생태여성주의자들은 문화적 혹은영적인 생태여성주의가 여성의 우월성을 강조하여 남성을 적으로 돌리고, 영적인것에 대한 관심으로 사치스러운 정신주의에 빠져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최시형의 경우는 남성이 앞장서서 여성을 하늘님처럼 공경하라고 당부했고, 종교적 영성을 중시했을 뿐 아니라, 민중, 여성, 어린이 등 사회적 약자를 존중하는 사회 개혁적지향을 강하게 띠고 있었다. 요컨대 최시형의 생태여성주의 사상은 영적인 생태여성주의와 사회적 생태여성주의를 아우른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의가 있다.

      • 자연과 어머니 혹은 여성의 연결 문제 - 서구 생태여성주의와 노자 사상을 중심으로 -

        황종원 ( Hwang Jong-won ),김윤빈 ( Kim Yun-bin ) 단국대학교 철학연구소 2023 哲學論考(철학논고) Vol.6 No.0

        이 글은 자연을 어머니 혹은 여성적 특성에 비유하는 것이 여러 비판에도 불구하고 생태철학적으로 여전히 중요한 의미가 있음을 생태여성주의와 노자의 사상을 중심으로 논증함을 목적으로 한다. 문화적 생태여성주의와 영적 생태여성주의는 이른바 여성성이 여성의 본래적인 특징은 아니라는 점에서 본질주의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 그러나 이들 분파는 여성과 자연의 가치를 재발견함으로써 여성에 대한 남성의, 자연에 대한 문화의 억압을 비판하고 제거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사회적 생태여성주의와 사회주의적 생태여성주의는 생태 위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 전체적인 각성과 사회 구조의 변화를 주장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렇지만 사회적 생태여성주의는 단순히 남성과 여성, 인간과 자연의 이분법에서 벗어날 것을 주장한다는 점에서 대안 제시에는 취약하고, 사회주의적 생태여성주의는 자본주의적 가부장제를 문제 삼기는 하지만 생태적 위기의 문제를 푸는 핵심 고리가 노동양식의 생태적 전환에 있음을 명확히 보지 못하였다. 한편 노자는 도를 어머니와 몇 가지 여성적인 특성들에 비유했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근거에서 타당성이 있다. 첫째로 도는 무규정적이지만, 그것이 만물을 생육하는 은혜로운 존재라는 점에서 임시방편적으로 어머니에 비유할 수 있다. 둘째로 ‘도’는 유구한 세월 동안 약자의 위치에 있으면서도 강자를 포용하는 부드러운 특성을 보여 왔는데, 이는 현존 여성의 여러 특성이기도 한바, 자연의 도를 부드러운 것들로 비유하는 것 역시 자연의 포용성과 희생을 일깨운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셋째로 도를 어머니나 현존 여성의 여러 특성들에 비유하는 것이 여성주의의 틀 속에서는 비판적으로 생각될 수도 있으나, 노자 사상은 기본적으로 도의 모성 내지 여성성을 강조한 것일 뿐이라는 점에서 서구 여성주의의 사유 틀을 그대로 들이댈 수는 없다. 결론적으로 생태여성주의는 여성주의적 입장에 대한 고려가 강함으로 인해 생태주의적 색채가 약한 데 반해, 노자 사상은 생태주의적 색채는 짙게 배어 있으나 여성주의적 입장에 대한 고려는 그리 세심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seeks to underscore the continued relevance of likening nature to motherly or feminine attributes within the realm of ecological philosophy. Despite enduring criticisms surrounding about such issue,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at the significance can be proved as comparing between Western ecological feminism and Laozi’s ideas. Being criticized is inevitable for cultural ecological feminism and spiritual ecological feminism because essentialism strongly disapproves the definition of femininity can’t be defined as the original nature of women. However, both cultural and ecological feminism remain noteworthy for their effort to challenge the subjugation of women and nature, and to contribute meaningfully by reevaluating the worth of women and nature, thereby combating the dominance of male-centric culture over both. On the other hands, they can be very weak because they fall short in proposing comprehensive alternatives, focusing primarily on dismantling gender and nature divides. The latter, while critiquing capitalist patriarchy, neglects to emphasize the critical role of ecological labor transformation in resolving the ecological crisis. In the meantime, Laozi’s comparison of Tao to maternal and feminine attributes holds validity for several reasons. First, Tao’s indefinite nature aligns with motherhood, as it gives rise to and nurtures all things. Secondly, Tao’s tendency to embrace the strong while sheltering the weak mirrors the nurturing aspects found in women. This analogy enhances our understanding of nature’s inclusivity and selflessness. Third, Laozi’s comparison of Tao to maternal and feminine traits should be interpreted within the context of his unique ideology, which emphasizes these attributes without strictly adhering to Western feminist frameworks. In conclusion, ecological feminism, while colored by feminist perspectives, draws attention to the feminist position within the ecological discourse. Laozi’s philosophy, on the other hand, carries a deeper ecological hue but may require further exploration of its feminist implications.

      • KCI등재

        생태 여성주의 시각에서 본 초등여교장의 역할과 진출

        이성은,권리라,윤연희 한국교원교육학회 200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생태여성주의 관점에서 여교장의 진출 활성화를 위해 여성주의의 흐름을 고찰해 보고, 여교장의 역할과 진출 방안에 대해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통적 여성주의 교육 이론부터 포스트모던 여성주의 교육 이론, 생태 여성주의 교육 이론에 이르기까지의 여성주의 동향을 살펴보고 생태 여성주의 시각에서 초등 여교장의 역할 수행을 위한 지도성을 고찰한 후, 초등 여교장의 진출 활성화 방안을 탐색해보았다. 특히 생태 지향적 여교장의 역할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조사하기 위해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생태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심층면담을 분석한 결과, 교육 현장에서 초등 여교장의 지도성은 맥락 지향적, 교육 지향적, 상징 지향적 지도성으로 크게 집약되었다. 생태 여성주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바람직한 학교를 만들기 위해서는 여성 소외 현상이나 환경 위기 상황의 극복을 위한 지원 체제가 정비되어야 할 것이며, 여성의 전문성과 경험을 반영할 수 있는 정책이나 여교장 진출을 위한 제도 등 적극적인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생태주의 사상의 연대적 관점

        강수택(Kang, Sootaek) 한국이론사회학회 2021 사회와 이론 Vol.39 No.-

        이 논문은 현대 생태주의 사상의 연대적 관점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대적 관점은 연대적 인식을 바탕으로 연대 정신 혹은 연대 가치를 중시하는 관점이다. 연대적 인식은 인간 사이의 관계 혹은 인간과 자연 사이의 관계를 협력, 지원, 결속, 공생, 상호의존 등의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다. 생태주의 사상의 연대적 관점을 고찰하는 것은 생태적 관점과 연대적 관점이 함께 매우 중요할 뿐 아니라 서로 밀접히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이 논문은 현대 생태주의를 대표하는 심층생태주의, 사회생태주의, 생태사회주의, 생태여성주의를 중심으로 이들의 연대적 관점을 고찰한다. 그 결과 심층생태주의는 생태적 연대 인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비해 사회생태주의와 생태여성주의는 생태연대적 인식과 사회연대적 인식에 함께 기초해 있다. 그러면서 사회적 생태주의는 생태사회주의와 함께 사회적 연대론을 적극 전개한다. 한편 생태여성주의는 남성 중심의 근대 이원론적 세계관을 남성의 여성 지배와 인간의 자연 지배의 공통 원인으로 간주하여 이를 극복하기 위해 비인간 자연과 인간 사이의 생태적 연대 인식의 회복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이처럼 생태주의 입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연대 인식을 드러내지만 공통적으로 연대적 관점을 매우 중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at exploring the solidarity perspectives in contemporary ecological thoughts. The solidarity perspective means the perspective stressing the value of solidarity, based on the solidarity awareness. Exploring the solidarity perspectives in ecological thoughts is to show that the solidarity perspective and the ecological perspective are interdependent as well as that both perspectives are fundamentally important. According to the exploration, deep ecology focuses on the eco-solidarity, while social ecology as well as eco-feminism are commonly based on both the eco-solidarity awareness and the social solidarity awareness. The social ecology as well as the eco-socialism presents the theories on social solidarity very actively. The eco-feminism regards the androcentric modern dualism as the cause of both male dominance over female and human dominance over nature, and stresses that it is necessary to recover the awareness of eco-solidarity between non-human nature and human being, in order to overcome the dualistic world view. However, ecological thoughts commonly regard the solidarity perspective as very important, though they show different awareness of solidarity, depending on the viewpoint of ecological thoughts.

      • KCI등재

        한강과 페퇴츠 언드라쉬의 소설에 나타나는 생태비평 비교 연구:

        유진일(Jinil Yoo)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6 동유럽발칸연구 Vol.40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헝가리의 대표적인 생태비평 작가라 할 수 있는 한강과 페퇴츠 언드라쉬(Petőcz András)의 작품을 생태여성주의 관점에서 상호 비교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양국의 전반적인 생태비평의 경향을 살펴보고 동시 에 동시대 문학 속에서 한국과 헝가리를 대표하는 두 생태여성주의 작가의 문학기법적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본다. 한강과 페퇴츠 언드라쉬 작품의 사상적 기반이 되는 생태여성주의는 현대사회에서 인류에게 가장 큰 위협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문제의 원인과 해법을 인간과 자연, 그리고 남성과 여성의 관계에서 찾고 또 해결하려는 생태비평 중 하나이다. 이들은 환경오염 문제를 여성주의 관점에서 바라보면서 산업화이후 진행된 인간들의 자연 개발과 환경 파괴 문제를 수렵문화 이후에 진행된 남성의 여성 지배와 동일한 관점에서 바라본다. 그러나 이들은 인간과 자연, 그리고 남성과 여성을 서로 대립적 관계에서 바라보고 않고 오히려 서로 상생할 수 있는 동반자로 바라보고 있다는 점에서 미래지향적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 서 분석한 작품 <채식주의자>와 Sárga virág a feleségem의 작가가 각각여성과 남성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관점에서 작품을 창작할 수 있었던 것도생태여성주의의 이러한 동반자 의식에서 기인한다. 인간과 자연, 그리고 남성과 여성의 관계를 동일한 인식 속에서 바라보는 한강과 페퇴츠 언드라쉬의 유사한 관점에도 불구하고 작품 속에 드러나 있는 문학적 기법들은 서로 독창적임을 볼 수 있다. 먼저 가부장적 사회로 인한 여성의 파멸을 한강은 육식주의자 아버지와 채식주의자 딸의 대립을 통해 보여주고 있는데 비해 페퇴츠 언드라쉬는 자연과 대도시의 대립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또생태여성주의자들은 가부장적 사회는 반드시 가시적, 혹은 비가시적 폭력을 동반한다고 보고 있는데 이 폭력과 관련하여 <채식주의자>에는 남성의 가시적이고 직접적인 폭력이 드러나 있는 반면 Sárga virág a feleségem에는 남성 과 유사한 의미망에 속하는 도시의 비가시적이고 간접적인 폭력이 드러나 있다. 다음으로 두 작품에 공히 등장하는 여성의 식물로의 변신 모티프는 <채식주의자>에서는 꿈의 형식을 통해 나타나지만 Sárga virág a feleségem에서는 실재 현실 속에서 일어난다는 차이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생태여성주의의 핵심 사상 중의 하나인 ‘타자에 대한 사랑’이 채식주의자에서는 유방으로 상징화되는 둥근 것에 대한 갈구의 형식으로 표출되고 있는 반면 Sárga virág a feleségem에서는 날카로운 것으로 인한 고통을 강조하는 형식으로 나타나고있다. 그런데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한강과 페퇴츠 언드라쉬가 둘 다 1998년에 미국 아이오와 대학에서 주최한 국제창작 프로그램에 참가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사실과 한강의 채식주의자가 2007년에 발표되었고 페퇴츠 언드라쉬의 Sárga virág a feleségem이 2005년에 발표되는 등 두 작품의 발표시기가 비슷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작가가 국제창작 프로그램에서 생태비평 혹은생태여성주의에 관한 의견 교환이 있었거나 한 작가가 다른 작가에게 혹은 상호간에 영향을 주고받았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생태여성주의와 도교

        안동준(Ahn, Dong-zoon) 한국도교문화학회 2011 道敎文化硏究 Vol.35 No.-

        이 논문에서는 환경윤리 문제를 도교와 관련지어 논의할 때, ‘여성적’ 사유의 이론과 경험에 대한 이해가 우주적 조화와 생태계 복원에 과연 바람직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는가에 대해 이론적 검토와 아울러, 이를 위해 인문학 고전을 재해석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여성스러움’은 생태담론뿐만 아니라 도교에서도 중요한 쟁점으로 다루어진다. 생태여성주의에서 여성적 사유와 여성 특유의 감성을 기반으로 유기론적인 환경윤리를 정립하고 있듯이, 도교문화의 전통에서도 여성적 사유는 도교사상의 핵심 요소로서 인식된다. 그러나 생태여성주의가 ‘나와 그것’이란 이원론적 사유를 철저히 부정하는 데서 출발한 것에 비해, 도교의 유기적 세계관은 인간과 자연과의 연속성을 강조하는 한편, 음양이원론의 사유체계를 드러내고 있다. 다시 말해 도교에서는 음양이원론은 상보성에 근거해서 내단수련과 양생란 생명현상을 미시적 관점에 다루고 나아가 우주적 생명현상까지 고려한다는 특징이 있다. 전통적인 도교의 해석에 따르면, ‘여성스러움’의 근원인 ‘어머니’는 생명의 근원으로서 존재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자연이며, 지배와 종속의 객체이면서 화해와 구원의 주체이다. 이러한 사상적 배경을 가진 도교의 여성담론은 생명공동체로서 자연 생태계까지 포괄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인간 중심적 사유체계에서 탈피하지 못한 생태여성주의의 한계를 보완할 것으로 여긴다. This thesis points out we need to theoretically study if an understanding of feminine thoughts for theories and experiences suggests advisable solutions to cosmic harmony and ecosystem restoration, discussing environmental ethics in relationship to Daoism. To achieve this, it is also necessary for us to reinterpret humanistic classic books. ‘Femininity’ is treated as important issues not only in ecological discourses but in Daoism. Feminine thoughts are now recognized as a key part of the Daoism in culture and tradition of it, as many people found organic environmental ethics which stand on the basis of the feminine thoughts and female sensitivity in the eco-feminism. The organic view of the world emphasizes the principles of continuity between human-being and nature, and also displays the cogitation system of ’Yin and Yang’ dualism as compared to the eco-feminism which strongly denies dualistic rational faculty of the mind, ‘I and It’. In other words, Yin and Yang dualism in Daoism treats vital phenomenon like interior vision and health preservation of Tao with microscopic point of view on basis of the complementarity principle and also features considering vital phenomenon cosmically. According to the construe of traditional Daoism, ‘Mother’, the source of femininity has its being as “the root of life and nature” in itself, “the object of domination and subordination” and “the reconciliation and salvation”. Female discussion in Daoism which has a kind of philosophical backgrounds treats that might compensate the limit of the eco-feminism which breaks from the human-being centered cogitation system because it has features that cover up to eco-system as biotic community.

      • KCI등재

        여성주의와 채식주의

        최훈 한국여성철학회 2011 한국여성철학 Vol.15 No.-

        이 논문은 채식주의적 생태 여성주의의 주장을 살펴보고 그 의의와 한계점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2절에서는 여성주의가 지배의 논리를 철폐한다는 원래의 정신을 구현하려면 생태 여성주의를 넘어 채식주의적 생태 여성주의가 되어야 일관적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3절에서는 이성과 감정을 구분하여 채식주의적 생태 여성주의의 감정에 토대를 둔 접근법이 리건과 싱어의 동물권 이론의 이성 접근법을 대체할 수 있다는 주장을 검토한다. 그러고 나서 감정적 접근법의 한계와 문제점을 4절에서 지적하겠다.

      • KCI등재

        루이스 어드릭의 『사랑의 묘약』에 나타난 현대 미국 원주민의 생태윤리 - 생태여성주의 관점으로

        박경숙(Park, Kyung-Sook) 문학과환경학회 2019 문학과 환경 Vol.18 No.2

        이 논문은 루이스 어드릭의 첫 번째 소설 『사랑의 묘약』을 생태여성주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현대 서구 문명의 생태적 위기를 초래한 인간 중심 사상이 아닌 생태 중심 사상에 토대한 미국 원주민의 전통적인 생활 방식에 초점을 두며 어드릭이 이 작품을 통해 재현하고자 하는 생태윤리 개념을 탐구한다. 이 소설은 반세기 동안 노스 다코타 보호구역 내 치페와족의 뒤얽힌 역사와 혼혈 문화를 연대순으로 기록한다. 현대 미국 원주민이 마주하는 고난의 삶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며 그들의 삶이 그들의 삶의 터전인 ‘땅’과 자연에 밀접하게 연결되어있음을 주지시켜준다. 룰루, 마리, 모지스, 일라이는 돌봄, 양육, 연민 등의 여성적 원리와 ‘생존의 관점’에 입각한 생태윤리를 실천하는 생태여성주의적인 삶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러한 생태여성주의 비전은 위기에 처한 미국 원주민과 그 부족 공동체를 회복시켜주는 출발점이 되어 준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is to study Louise Erdrich’s Love Medicine from an ecofeminist perspective. Also it is done by focusing on Native American’s traditional ways of life based on eco-centric idea instead of anthropocentric one in the ecological crises of Western civilization and exploring a concept of ecological ethics which Louise Erdrich tries to represent through her novel. This novel chronicles the intertwined histories of Chippewa and mixed-blood families in North Dakota over half a century, laying bare the hardships and joys of twentieth-century Native American life and evoking the continued relevance to the land and nature. The characters of Lulu, Marie, Moses and Eli show the female principle of caring, nurture and pity, and the subsistence perspective, and it means that they live an ecofeminist life putting their ecological ethics into practice. In addition, their ecofeminist vision provides a starting point to recover Native Americans and their community in a crisis. 이 논문은 루이스 어드릭의 첫 번째 소설 『사랑의 묘약』을 생태여성주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현대 서구 문명의 생태적 위기를 초래한 인간 중심 사상이 아닌 생태 중심 사상에 토대한 미국 원주민의 전통적인 생활 방식에 초점을 두며 어드릭이 이 작품을 통해 재현하고자 하는 생태윤리 개념을 탐구한다. 이 소설은 반세기 동안 노스 다코타 보호구역 내 치페와족의 뒤얽힌 역사와 혼혈 문화를 연대순으로 기록한다. 현대 미국 원주민이 마주하는 고난의 삶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며 그들의 삶이 그들의 삶의 터전인 ‘땅’과 자연에 밀접하게 연결되어있음을 주지시켜준다. 룰루, 마리, 모지스, 일라이는 돌봄, 양육, 연민 등의 여성적 원리와 ‘생존의 관점’에 입각한 생태윤리를 실천하는 생태여성주의적인 삶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러한 생태여성주의 비전은 위기에 처한 미국 원주민과 그 부족 공동체를 회복시켜주는 출발점이 되어 준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is to study Louise Erdrich’s Love Medicine from an ecofeminist perspective. Also it is done by focusing on Native American’s traditional ways of life based on eco-centric idea instead of anthropocentric one in the ecological crises of Western civilization and exploring a concept of ecological ethics which Louise Erdrich tries to represent through her novel. This novel chronicles the intertwined histories of Chippewa and mixed-blood families in North Dakota over half a century, laying bare the hardships and joys of twentieth-century Native American life and evoking the continued relevance to the land and nature. The characters of Lulu, Marie, Moses and Eli show the female principle of caring, nurture and pity, and the subsistence perspective, and it means that they live an ecofeminist life putting their ecological ethics into practice. In addition, their ecofeminist vision provides a starting point to recover Native Americans and their community in a crisis.

      • 젠더와 로컬리티

        장세룡(Jang Se-Yo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9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1

        이 연구는 먼저 맑스주의/사회주의 여성주의가 가정과 직장에서 여성 노동의 역할을 주변적인 요소로 평가하는데 주목하고, ‘가정’과 ‘직장’을 로컬 단위로 규정가능성 문제를 제기한다. 이어서 탈근대여성주의 전망이 형이상학적 이분법을 해제하고, 평등이 아닌 차이에 주목한 것과 로컬리티 연구와 연관성을 검토한다. 필자는 탈근대 전망에 내포된 타자성과 소수성, 차이성과 이종성에 주목하지만, 로컬리티 연구에서 중심의 해체가 심화되면 중심과 로컬의 관계 자체도 해체시킬 가능성도 검토하였다. 탈식민여성주의는 선진자본주의가 제3세계의 ‘불평등한 성별, 인종, 여성 성의 축’에서 진행되는 재생산의 기제를 전면 가동시키며 여성노동을 착취하고 이주현상을 강화하여 여성을 재식민화하고 재타자화하는 과정에 주목한다. 이것은 전지구화가 국민국가의 로컬을 끌어내어 신자유주의 경제논리의 질서에 직접 포섭하고 타자화하여, 결국 초국적 자본의 투기장으로 만들어 식민화하는 것과 유사하다. 끝으로 생태여성주의가 인간과 자연의 동시 해방을 모색하는데 공감하고 세계 각지에서 반전, 반핵 및 평화운동에 참여하는 생명과 생태 운동의 투쟁의 주체인데 감명 받는다. In this article, I attempt to research and discover interrelations of feminism and locality as a method to accomplish one of our agenda 'locality and humanity' supported by Korean Research Foundation. At first Marxist/Socialist feminism has achieved the most important role in liberation movement of women, especially female labourers traditionally considered as periphery element in workplace. In that argument, my focus is whether we can recognize the home and workplace as a local. Through the perspective of postmodern feminism, we can dissolve the modernity composed by metaphysical duality. In the result we can understand such a term as otherness, minority, difference, heterogenuity in the relation of gender and locality. But we must remember that if the dissolution is too far, the relation of the center and the local which is realized as difference and hierarchy, would be dissolved and banished. By postcolonial feminism, in globalization era, gender, race and sexuality are recolonialized by the exploitation of women's labour as a means of irregular and immigration from at the Third World. I think that this is compared to the position of local which has been dragged from the boundaries of nation state to space of neoliberalism that is battlefield of financial capitalism. So we can construct coalitions against this aggressive powerful transnational capital by solidarity of gender and locality in danger at the edge of recolonialization. By this solidarity we can introspect on our fault made of inner-colonial as such patriarchy, provincialism, violence of capitalism and political order within a nation-state. Finally I sympathize with and agree on Ecofeminism which attempts to achieve the liberation of nature and human by the overall revolution. And deeply impressed by their on going struggle in anti-nuclear, anti-war and peace movement. So Ecofeminism has much material to locality studies, by this reason we also have some limitations to approach this subject mat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