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범주의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을 통한 생애주기별 소비생활 개선 방안

        김영두 ( Kim Young Doo ) 한국소비자학회 2018 소비자학연구 Vol.29 No.5

        본 연구는 소비자의 소비생활을 생애주기에 따라 맞춤식으로 개선을 함으로써 소비생활을 전 생애에 걸쳐서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소비생활과 관련된 기존 연구들은 특정 소비범주, 특정 연령대 혹은 특정 직업군 등의 소비생활을 고찰하여 전체적인 소비생활을 파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전 생애주기에 걸쳐서 소비생활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①소비활동이 발생하는 11가지 소비범주를 분석의 대상에 포함하여 다차원의 소비범주를 고려하였고, ②한 개인은 전 생애주기에 걸쳐서 특정 가족생애주기(family life cycle)에 지속적으로 소속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가족생애주기를 활용하여 개인의 전 생애주기에 걸쳐서 소비생활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③소비자는 한정된 자원을 가지고 소비의 최적화를 도모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여 자원 활용의 효과성을 높이는데 유용한 방법론인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방법론을 활용하여 각 가족생애주기 단계별로 소비생활을 효율적으로 개선하는 대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소비범주는 의생활, 식생활, 주생활, 의료서비스, 교육서비스, 금융서비스, 정보통신서비스, 교통·자동차서비스, 경조사지원서비스, 뷰티·헬스서비스, 문화·여가서비스로 구분하였고, 가족생애주기는 독신기, 부부가족기, 자녀학령전기, 자녀학령기, 자녀독립전기, 자녀독립기, 은퇴기로 구분하였고 IPA는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소비범주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의하면 식생활과 주생활 범주는 소비자들의 가족생애주기 전 단계에서 중요한 소비범주로 인식되었으며, 의료서비스, 의생활 그리고 문화·여가서비스 범주가 그 다음으로 중요한 소비범주로서 인식되었다. 각 소비범주의 중요도를 가족생애주기에 따라 분석해 본 결과 의생활, 식생활, 주생활, 의료서비스, 교육서비스, 정보통신서비스, 경조사지원서비스, 뷰티·헬스서비스, 교통·자동차서비스 범주가 가족생애주기 간에 중요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만족도를 가족생애주기에 따라 분석해 본 결과 의생활, 주생활, 의료서비스, 교육서비스, 교통·자동차서비스, 금융서비스, 경조사지원서비스, 식생활 범주가 가족생애주기 간에 만족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소비생활을 개선하기 위해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을 함께 실시한 결과 독신기와 부부가족기의 경우 주생활과 금융서비스 범주, 자녀학령전기의 경우 주생활, 금융서비스와 의생활 범주, 자녀학령기의 경우 주생활과 교육서비스 범주, 자녀독립전기의 경우 주생활 범주, 자녀독립기의 경우 주생활과 금융서비스 범주, 은퇴기의 경우 주생활 범주가 가족생애주기 단계별로 집중적으로 개선해야 할 소비범주로 파악되었다. 이상의 발견사항을 바탕으로 가족생애주기에 기초한 소비생활 개선하기 위한 맞춤식 정책, 정보제공 및 교육 방안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ways to effectively improve the consumers' consumption life throughout the entire life cycle (family life cycle) based o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methodology. In this study,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methodology is used to derive a priority for efficient improvement of the consumption life based on the family life cycle stages. Consumption life was composed of consumer's consumption category.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ived importance (important consumption categories which were chosen by consumers using partial ranking method) and satisfaction of consumers in each consumption category. In addition,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methodology, priorities for improving the consumption life based on each family life cycle stage were derive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based on the theories about consumption life, family life cycle,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methodology. This study conducted chi-square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ANOVA) using data from the Korea Consumer Agency's “2015 Consumption Life Indicators in Korea”. The IPA methodology was used to derive priorities for improving the consumption life based on the stages of the family life cycle. According to the family life cycl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he consumption categories. The following consumption categories should be first concentrated in order to improve consumers' consumption life: housing and financial services in single people and married couples with no children; housing, financial services and clothing in married couples with children below elementary school age; housing and educational services in married couples with children below high-school age; housing in married couples with dependent children; housing and financial services in married couples with independent children; and housing in the retired. In this study, consumption categories were classified as clothing, food, housing, medical services, educational services, financial services, telecommunication services, transportation· vehicle services, congratulatory·condolence support services, beauty·health services, and culture·leisure services. Family life cycle stages were classified as single people, married couples with no children, married couples with children below elementary school age, married couples with children below high-school age, married couples with dependent children, married couples with independent children, and the retired. Perceived importance based on family life cycle stages significantly differ in consumption categories such as clothing, food, housing, medical services, educational services, telecommunication services, congratulatory·condolence support services, beauty·health services, and transportation· vehicle services. Perceived satisfaction based on family life cycle stages significantly differ in consumption categories such as clothing, housing, medical services, educational services, transportation·vehicle services, financial services, congratulatory·condolence support services, and food. Food and housing were found to be important in all stages of family life cycle, and the following consumption categories have salient meaning for specific family life cycle stage: clothing and culture·leisure service in the single people, medical service and financial service in the married couples with no children; educational service and clothing in the married couples with under elementary school children; educational services and medical service in the married couples with below high-school children; medical service and culture·leisure service in the married couples with dependent children; medical service, transportation·vehicle service, and congratulation·condole support service in the married couples with independent children; medical service, health service, telecommunication service in the retired. In order to improve the consumers’ consumption life efficiently, it is necessary for marketers and policy-makers to provide customized strategies or implementation of policies, informational services, and educational support.

      • KCI등재

        생애주기비용 분석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냉·난방 시스템의 경제성 평가

        송창영,강현욱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3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5 No.2

        본 연구는 냉·난방 시스템의 생애주기비용 분석을 통한 경제성 평가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가스 에너지를 사용하는 가스방식 냉·난방 시스템과 가스 에너지와 지열 에너지를 사용하는 병용방식 냉·난방 시스템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가스방식, 병용방식-1, 병용방식-2 냉·난방 시스템의 경제성 평가를 위해 선정된 사례대상 시설물에 적용하여 생애주기비용을 분석하였다. 이렇게 분석된 생애주기비용 결과를 바탕으로 증감율과 연도별 누적 운영비를 비교하여 경제성을 평가 하였다. 상기와 같은 목적과 방법에 따라 도출된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스방식 냉․난방 시스템을 기준으로 병용방식-1 냉·난방 시스템의 생애주기비용 증감율은 약 -7.7%(초기공사비 29.1% 증액, 유지보수비 55.1% 증액, 에너지비 -70.6% 절감, 해체비 24.0% 증액, 잔존비 29.1% 증액) 절감되었다. 병용방식-2 냉·난방 시스템의 생애주기비용 증감율은 약 -23.8%(초기공사비 36.1% 증액, 유지보수비 70.8% 증액, 에너지비 -206.4% 절감, 해체비 40.1% 증액, 잔존비 45.3% 증액) 절감되었다.

      • KCI등재후보

        스포츠 종목들의 연관성 및 영향력에 대한 연구

        박성용(Park, Seong Yong),전명규(Jeon, Myung-Gyu),권순천(Kweon, Soon-Cheo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4 문화산업연구 Vol.14 No.3

        스포츠 종목들에 대한 연관성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많지 않고, 스포츠 종목들 간의 영향력을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여러 가지 다른 스포츠들을 고려하여 어떤 스포츠가 어떤 스포츠에 영향력을 미치는 가는 조사하는 것은, 생애주기를 고려한 스포츠 교육 및 각 스포츠 종목에서의 전략적 방향 및 개선점들을 이해하는 데 커다란 도움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두 가지 연구문제를 제시하고 조사·분석한다. 첫째, 스포츠 종목들 간의 관련성과 영향력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둘째 생애주기별로 어떤 스포츠에 대한 강습이나 교육을 받기를 원하는지와 남녀간에 차이를 조사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270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일반인들이 주로 참여하는 15개의 스포츠를 선택하여 그들의 연관성, 영향력, 생애주기별 교육받고 싶어 하는 종목들, 남녀 간의 차이들에 대한 것에 대한 질문들을 포함하였다. 연관성 분석 결과는 조깅, 등산, 헬스, 수영 등이 유사한 종목으로 인식되고, 태권도와 검도, 탁구와 테니스, 스케이트와 스키, 구기종목인 야구, 축구, 농구 등이 비슷한 것으로, 골프는 약간 틀린 형태로 나타났다. 영향력 분석결과는 연관성 분석결과와는 다르게 유사한 종목들을 벗어나 상이하게 인식되는 종목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연관성과 영향력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함을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스포츠 교육과 관련하여서는 생애주기별로 스포츠 종목들에 대한 교육선호도가 틀렸고,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조깅, 헬스, 등산, 자전거와 같은 기본적인 종목 늘은 반면에 다른 종목들은 감소하는 경향이 보였고, 남녀 간에선 선호하는 종목 수 들에서도 차이가 존재하였고, 선호 종목들도 차이가 났다. Research studies on the associative relationships among sports are very few. Furthermore, there are no research studies on the interrelationships or influential impacts across sports. Among different sports, understanding the beneficial impacts of one sport to other sports will be helpful for developing strategies and improving the perceptions of one sport and for leading into efficient education of one sport during lifespan. For these reasons, we propose and investigate two research questions. One question is related to the perceptual associative relationship and influential relationship among sports for general public. The other question is related to which sports are preferred to learn or be educated across different phases of lifespan and to the identification of differences betweenmale and female in terms of numbers and types of sports participation. 15 sports that general public usually participate in are selected and 270 samples are used for analysis, Empirical results showthat there are some similarities among jogging, climbing, health, and swimming. Also, taekwondo and kendo, ping-pong and tennis, skate and skiing, golf itself, and baseball, basketball, soccer are perceived similar respectively. However, these patterns are not the same for influential relationship that has direction. Sport that belongs to one similar group extend the influence to other sports that belongs to one dissimilar groups. This indicate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between associative relationships and influential relationships. Educational preferences for different sports are not the same across different stage of lifespan and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in terms of the numbers and types of sports to learn exist. 스포츠 종목들에 대한 연관성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많지 않고, 스포츠 종목들 간의 영향력을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여러 가지 다른 스포츠들을 고려하여 어떤 스포츠가 어떤 스포츠에 영향력을 미치는 가는 조사하는 것은, 생애주기를 고려한 스포츠 교육 및 각 스포츠 종목에서의 전략적 방향 및 개선점들을 이해하는 데 커다란 도움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두 가지 연구문제를 제시하고 조사·분석한다. 첫째, 스포츠 종목들 간의 관련성과 영향력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둘째 생애주기별로 어떤 스포츠에 대한 강습이나 교육을 받기를 원하는지와 남녀간에 차이를 조사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270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일반인들이 주로 참여하는 15개의 스포츠를 선택하여 그들의 연관성, 영향력, 생애주기별 교육받고 싶어 하는 종목들, 남녀 간의 차이들에 대한 것에 대한 질문들을 포함하였다. 연관성 분석 결과는 조깅, 등산, 헬스, 수영 등이 유사한 종목으로 인식되고, 태권도와 검도, 탁구와 테니스, 스케이트와 스키, 구기종목인 야구, 축구, 농구 등이 비슷한 것으로, 골프는 약간 틀린 형태로 나타났다. 영향력 분석결과는 연관성 분석결과와는 다르게 유사한 종목들을 벗어나 상이하게 인식되는 종목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연관성과 영향력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함을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스포츠 교육과 관련하여서는 생애주기별로 스포츠 종목들에 대한 교육선호도가 틀렸고,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조깅, 헬스, 등산, 자전거와 같은 기본적인 종목 늘은 반면에 다른 종목들은 감소하는 경향이 보였고, 남녀 간에선 선호하는 종목 수 들에서도 차이가 존재하였고, 선호 종목들도 차이가 났다. Research studies on the associative relationships among sports are very few. Furthermore, there are no research studies on the interrelationships or influential impacts across sports. Among different sports, understanding the beneficial impacts of one sport to other sports will be helpful for developing strategies and improving the perceptions of one sport and for leading into efficient education of one sport during lifespan. For these reasons, we propose and investigate two research questions. One question is related to the perceptual associative relationship and influential relationship among sports for general public. The other question is related to which sports are preferred to learn or be educated across different phases of lifespan and to the identification of differences betweenmale and female in terms of numbers and types of sports participation. 15 sports that general public usually participate in are selected and 270 samples are used for analysis, Empirical results showthat there are some similarities among jogging, climbing, health, and swimming. Also, taekwondo and kendo, ping-pong and tennis, skate and skiing, golf itself, and baseball, basketball, soccer are perceived similar respectively. However, these patterns are not the same for influential relationship that has direction. Sport that belongs to one similar group extend the influence to other sports that belongs to one dissimilar groups. This indicate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between associative relationships and influential relationships. Educational preferences for different sports are not the same across different stage of lifespan and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in terms of the numbers and types of sports to learn exist.

      • KCI등재

        생애주기 분석을 통한 전기택시 도입에 대한 사업성 분석 연구

        한대희,안용준,여화수 한국ITS학회 2015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4 No.2

        전기택시는 일반 시민들이 탑승을 하면서 쉽게 체험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전기자동차 초기 보급 모델로 매 우 유용하다. 전기택시는 택시회사의 경영 개선에 도움이 되어야 택시회사에 도입될 수 있다. 그러므로 택시 사업자의 입장에서 비용이나 편익을 분석하여 도입에 대한 사업성이 검토되어야 한다. 그러나 LPG택시와 전기택시의 실제 운행 자료에 기반하여 두 대안을 비교할 수 있는 사업성 연구는 아직 없다.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의 LPG택시 및 전기택 시의 실제 운행 자료를 토대로 생애주기비용을 산정하고 사업성을 분석하는 방법론과 분석 결과, 민감도 분석을 통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평가 결과 현재의 배터리 기술, 차량 가격에서는 정부 보조금이 지급된 상태에서 충전시 간을 택시기사의 식사, 휴식 시간 등으로 활용해서 손실비용으로 계상하지 않을 경우에 LPG택시보다 총비용이 낮고 사 업성이 있다. 향후 연구로는 차량운행 후 수년이 지난 전기택시의 연비, 유지비 등 실적 자료에 기반 한 사업성 검증 연 구와 하이브리드 택시 등 다른 방식 친환경차량과의 사업성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The advantage of electric taxies is that people who are not familiar with electric vehicle(EV) can have easily experience to ride EV. So, EV taxi would be a reasonable strategy for triggering EV market expansion. However, the EV taxi can be adopted by taxi companies with financial benefits. Therefore the feasibility study should be required by analyzing the cost with the points of view of the taxi company. In this study we suggested the methodology for feasibility study of the EV taxi based on the real taxi data and presented political implication.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EV taxies could have economic value under the specific conditions such that the government subsidy is added to the purchase price of the vehicle. Also, the charging time should be used as drivers’ rest time or mealtime in order not to consider the loss cost. We suggest that the new feasibility study which compares an EV taxi with other alternative vehicles such as PHEV or with an old EV taxi is needed as the future works.

      • KCI등재

        생애주기별 평생교육 프로그램 요구분석 및 시사점

        심미자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Analysis of Needs and Implications for Lifelong EducationPrograms by Life CycleMija Shi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learning motivation of citizens and strengthen their learning capabilities by providing a customized progra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needs for lifelong education by life cycle. Data were collected from 1,522 adults residi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expert FGI was conducted to suggest a customized program. Then, T-test and AVOVA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1. It explores developmental tasks by life cycle and the necessity of lifelong education, and proposes customized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implications suitable for each life cycle through analysis of citizens' demands for lifelong education and verification of differences between groups. Since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required for each life cycl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learning competency by providing customized programs that actively reflect citizens' demands for lifelong learning. Key Words: Life Cycle, Lifelong Education, Needs Analysis, Customized Program, Learning Competency 생애주기별 평생교육 프로그램 요구분석 및 시사점심 미 자**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생애주기별 평생교육에 대한 요구분석을 통해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시민들의 학습 선택권과 학습동기를 촉진하여 평생학습사회에 요구되는 학습역량을 강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성인 1,522명을 대상으로 요구조사와 생애주기별 맞춤형 프로그램 제안을 위해 전문가 FGI를 실시하였으며, SPSS 21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집단 간 차이분석을 위해 독립 표본 T검정과 AV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생애주기별 발달과업과 평생교육의 필요성을 탐색하고, 시민들의 평생교육에 대한 요구분석과 집단 간 차이검증을 통해 생애주기별에 적합한 맞춤형 평생교육 프로그램과 시사점을 제안한다. 결론 및 제언: 생애주기별에 따라 요구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차이가 있으므로 시민들의 평생학습에 대한 요구를 적극 반영한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을 통해 학습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핵심어: 생애주기별, 평생교육, 요구분석, 맞춤형 프로그램, 학습역량 □ 접수일: 2022년 9월 29일, 수정일: 2022년 10월 18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이 연구는 2021년 부산인재평생교육진흥원 지원사업의 연구결과를 수정 요약한 것임. ** 부산디지털대학교 평생교육학과 교수(Professor, Busan Digital Univ., Email: mjshim@bdu.ac.kr)

      • KCI등재후보

        주택모기지론 거래은행 선택요인 분석

        이호병(Lee, Hobyung) 한국부동산학회 2015 不動産學報 Vol.62 No.-

        본 연구는 주택모기지론을 이용하는 고객의 생애주기를 토대로 거래은행 선택요인을 살펴보고, 이와 관련한 중요도와 만족도 간의 차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고객의 생애주기 여건에 적합한 주택모기지론 관리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세분화되고 있는 소비자 중심의 시장에서 소비자와 공급자 간의 간극을 좁히는데 일조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애주기별로 만족도-중요도 간 선택요인의 갭이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생애주기 중 미혼·독신시기의 경우만 제외하고 1% 유의수준에서 4개의 요인에 대해 모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값이 음수(-)로 나타나 중요도 수준에 비해 만족도 수준이 이를 충족시키지 못함을 나타냈다. 둘째, 생애주기와 관련 없이 주택모기지론에 따른 비용 부담에 가장 직접적인 요인이라 할 수 있는 대출상품구조 요인, 대출업무 부가사항 요인에 대한 고객의 기대치가 상대적으로 높으나, 고객들의 만족도는 그것에 못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생애주기 중 초·중·고 자녀를 둔 시기의 경우 대출상품구조 요인(-1.031)과 대출업무 부가사항 요인(-1.031)에 대해 상대적으로 그 갭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lection factors for the main bank of housing mortgage loan in Pyeongtak region on the basis of life cycle. (2) RESEARCH METHOD This study was focused on survey analysis. The data for the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the questionnaire. This study used IP analysis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such as basic statistics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test. (3)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showed that the ranking order of the importance-satisfaction gap value for the 4 selection factors is financial product/traffic environment, financial institution's reliability, loan work optional service, loan product structure regardless of life cycle steps. 2.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produced the following two primary findings. First, all the gap values are negative(-) except for the first life cycle step(unmarried/single household) among the 4 life cycle steps. Second, the importance-satisfaction gap value for loan product structure(-1.031) and loan work optional service(-1.031) factors in the second life cycle step(household with primary school student(s) or middle school student(s) or high school student(s)) are lower than in any other life cycle step.

      • KCI등재후보

        단지내 도로포장별 생애주기 비용 분석(LCCA) 사례 연구

        정종석,박용부,손정락,Jung, Jong-Suk,Park, Yong-Boo,Sohn, Jeong-Rak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4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5 No.4

        최근, 공동주택 단지내 투수성 포장 및 블록포장 등과 같은 포장이 많이 시공되고 있으나 품질관리와 공용성 평가에 관한 기준이 미비하여 하자 교체 및 교체주기 시기 결정 등에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에 많이 적용되고 있는 투수성포장 및 블록 포장의 합리적 선정기준을 제안하기 위해 교체주기, 초기 공사비, 유지교체비용 등을 고려한 포장공법별 생애주기 비용 분석(LCCA)을 실시하였다. 생애주기비용 분석결과는 교체주기 20년이상인 인터록킹 콘크리트 블록포장이 최적의 대안이지만, 보도 포장의 교체기준 10년을 기준으로 하였을 경우 최적의 대안은 일반적인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임을 알 수가 있다. 따라서, 교체주기가 대안의 선정 및 생애주기비용 분석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향후, 교체주기의 객관적인 정량화에 필수적인 공용성 지수 개발이 필요하다. Recently, block and permeable pavements have been placed in apartment complex. However. it is hard to decide the cycle of maintenance and repair due to lack of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for these pavements. This study carried out life cycle cost analysis(LCCA) to present resonable alternatives of the pavements by considering initial construction cost, maintenance and repair cost along with the cycle of repair. According to results of LCCA, the interlocking concrete block pavement is the best alternative when the repair cycle of 20years is assumed, while asphalt concrete pavement is the best alterative when the repair cycle of 10years is assumed. Therefore, the repair cycle is most important factor to select alternative. Al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resonable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to quantify the cycle of maintenance and repair in the future.

      • KCI등재

        논의의 초점: 정책분석평가와 성과관리

        오철호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1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21 No.3

        정부개혁의 중요한 수단으로 실행되고 있는 성과관리와 정책연구의 핵심분야 중 하나인 정책분석 및 평가는 목적, 문제의식 또는 방법 등 여러 차원에서 상호간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염려스런 현상은 성과관리가 정책분석 및 평가와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학자에 따라 성과관리를 이해할 때 성과를 관리하는 측면을 강조할 수는 있겠으나, 성과관리설계, 성과지표의 설정, 성과의 평가 등 대부분의 활동은 정책분석평가의 논리 및 분석활동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정부사업의 효과적인 성과관리 체계의 구축을 위해서는 사업의 계획 및 집행과정 등 단계별 분석과 개선방안 도출이 필요하며 각 단계별로 정책분석 또는 평가가 어떤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지를 고려하는 사업의 생애주기별 성과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이번 논단은 바로 이런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즉 성과관리와 정책분석평가의 유기적 연계를 통하여 양자의 학문적 토대를 더욱 공고히 하고, 특히 현실문제해결의 효과성과 적실성을 제고해보자는 것이다. 이런 문제의식하에서 정책분석 및 평가활동이 성과관리와 어떻게 연계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일반적인 논의와 보다 구체적으로 이론기반정책평가가 성과관리에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고자 한다.

      • KCI등재

        생애주기 단계에 있어서 가구 구성별 증권점포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심재우(Shim Chae u),이호병(Lee Ho Byung) 한국부동산학회 2017 不動産學報 Vol.70 No.-

        본 연구는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증권점포를 이용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가구 구성별 증권점포 선택요인을 살펴보고 IP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증권 점포선택 선택요인의 중요도-만족도간 갭을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전문성, 접근성, 시설환경성, 거래용이성의 4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가구 구성별 만족도-중요도간 선택요인의 갭이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모든 가구 구성 주기에서 5%의 유의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구 구성별 IP분석결과 1인가구와 무자녀가구의 젊은 세대의 경우는 거래의 용이성이 집중영역에 위치하여 개선을 위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했고, 독립전유자녀가구의 경우 전문성은 유지영역이고 거래의 용이성은 집중영역이며 접근성은 저 순위영역이었다. 이는 양육이나 교육으로 가계지출이 많은 시기에는 비용이나 수익이 접근성에 비해 민감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독립 후유자녀시기의 경우는 접근성이 집중영역에 위치하여 노년층으로 갈수록 접근성이 다른 가구 구성에 비해 민감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lection factors for the main security branch on the basis of family life cycle in seoul area. (2) RESEARCH METHOD This study is focused on survey analysis. The data for the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the questionnaire. This study used IP analysis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such as basis statistics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test. (3)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showed that the importance-satisfaction gap value for the 4 selection factor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family life cycle. The branch facilities factor ranked first and the ease of trading factor ranked the last regardless of life cycle steps. 2.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produced the following primary findings. First, all the importance-satisfaction gap values are negative(-) for the branch facilities factor among the 4 selection factors regardless of life cycle steps. Second, IP analysis showed that household with marred sons and daughters were more sensitive than in any other family life cycle step.

      • KCI등재

        생애주기별 가구의 주거비 부담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권건우(Geon Woo Kwon),진창하(Chang Ha Jin) 한국주택학회 2016 주택연구 Vol.24 No.3

        우리나라의 높은 주택 가격과 임대료의 증가로 인한 주거비 부담은 한정적인 가구의 소득에서 다른 부문의 지출을 감소시킴으로써 삶의 질에 영향을 주고 있다. 생애주기가설에 따르면 개인은 효용이 극대화되는 방향으로 소비와 저축을 합리적으로 행하고자하며 이는 주택의 수요와 소비에도 영향을 미친다. 한편, 주거비는 가계의 주거와 주택시장의 안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에도 우리나라는 주거비 부담에 관한 평가방식의 산정이나 연구가 미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지출 대비 주거비 비율인 슈바베지수(Schwabe Index)와 소득 대비 주거비 비율인 RIR(Rent to Income Ratio)를 종속변수로 하여 생애주기별 가구의 주거비 부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분석 방법으로 한국복지패널 7개년 자료(2008년~2014년)를 활용한 패널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가구의 생애주기별로 주거비 부담을 결정하는 요인이 상이하고 한 요인에 특정 세대가 더 민감하게 반응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주거정책 마련에 있어서 생애주기별 특성에 맞는 정책의 도입이 실효성 있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Housing expenditure burden which comes from high prices of housing and increase of rents are may affect to the quality of life by reducing expenditure in the other sectors within limited income. According to the life-cylce hypothesis, all individuals wish to consuming and saving rationally for the utility maximization and it is also affect the demand and consumption of housing. On the other hand, although housing expenditure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housing condition of the residents and the housing market, the calculation method of evaluation and research on housing burden is insufficient in Korea. Hence,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affecting the housing burden classified by the family life cycle by using the Schwabe Index and Rent to Income Ratio. This study used the Korean Welfare Panel Data for seven years and enforced the Panel Data Analysis. It was analyzed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housing expenditure burden classified by the family life cyde were different and particular family cycle was more sensitive to one factor.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introduction of specific policies of family life cyde characteristics could lead to the realistic and effective results of poli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