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 사회적응의 철학 치료적 접근

        김선희(Sun-Hye Kim)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0 다문화콘텐츠연구 Vol.8 No.-

        현재 우리 사회의 현안 중의 하나인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 문제는 경제적 차원의 지원과 심리적 차원의 상담 서비스의 역할을 넘어서 있다. 이들에게 긴급하게 필요한 것은 경제적 토대이자 고통스런 심리적 상흔의 치료이지만 열심히 일만 한다고 급변하는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마음의 상흔이 치료되었다고 그럴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장기적이고 일상적인 차원에서의 사회적응을 위해 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열심히 일하는 것과 더불어 냉혹한 현실에 대면할 수 있는 문제 해결능력이다. 또한 사회 적응의 차원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자립과 자활을 통한 행복한 삶이 본질적인 과제일 것이다. 적극적이고 장기적 형태의 적응은 경제적인 부의 획득과 정신적, 심리적 질환을 치료하는 소극적 형태의 접근에서 자신의 존재 의미와 사회와 개인의 긍정적 관계 그리고 함께 하는 삶의 연대적 기쁨을 향유할 수 있는 인간적 감성과 지성의 활성화로의 확장에 의해서 가능하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 속에서 논자는 우선 사회적응의 화두를 실현하기 위한 기초 개념으로서 상호 통섭적 소통을 살펴볼 것이다. 둘째, 이를 구체적으로 논의하기 위하여 사회 적응의 주체와 영역의 관점에서 상호 통섭적 소통을 살펴볼 것이다. 셋째, 구체적으로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 문제를 철학적 관점에서 접근해 보고자 한다. 넷째, 이들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할 경우 기본적인 조건에 대해서 논의해 볼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사회적응이라는 문제를 풀기 위한 철학 치료적 방법으로서 관점치료와의 연관성을 살펴볼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논자는 한편으로는 북한이탈주민 사회적응문제라고 하는 사회적 현안 문제의 해결을 모색해보고자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철학이 사회의 구체적인 문제 상황과 관련하여 기여할 수 있는 치료적 논거를 마련해 보고자 한다. ??Currently the problem of North Korean Defectors' Social Adaptation which is one of pending issues in our society goes beyond the role of the support in the economic dimension and the counseling service in the psychological level. What is urgently needed for them is the economic foundation and the therapy a painful psychological scar, but a diligent work cannot guarantee a good adaptation to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nor cure the psychological scar. What is needed for them for a social adaptation in the long-term and routinely dimension must be the problem-solving ability to confront a heartless reality along with the diligent work. And it is the pursuit of a happy life in the dimension of social adaptation and further through self-reliance and self-support. The adaptation in the positive and long-term phase can be made not just by the acquisition or a passive form of approach to treat the mental and psychological disorder but by the meaning of one's own being, a positive relation between an individual and the society and the extension into human sensitivity and intelligence to enjoy a joint pleasure in the common life.<br/> ??In this problem awareness, first, this writer will survey a mutual consilient communication as a basic concept to realize the topic of social adaptation. Second, in order to discuss it concretely, we will examine a mutual consilient communication in the perspective of the subject and realm of social adaptation. Third, we'll approach concretely the problem in the philosophical viewpoint. Fourth, we'll also argue the basic conditions in case of constructing a program based on these. And finally we'll examine the relation with the therapeutic point of view as a philosophical therapy to solve the social adaptation. Through this study, this writer is going to cope with the social pending issue of North Korean Defectors' Social Adaptation, on the one hand, and prepare the therapeutic argumentation for which philosophy can contribute in relation with the concrete problem situations in the society.

      • KCI등재

        다문화사회 상호문화적응과 스포츠: 이론의 재구성

        강재원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4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7 No.1

        Acculturation explains the process of cultural transition from culture of origin to host society that results following meeting at multiple levels in both interacting cultures. As sport is a microcosm of society, it has gained significant attention as a multicultural adjustment policy of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interactive acculturation theories and the application of theories of development which challenges inter-ethnic issues in contemporary research on sport among immigrant and host group members. The study also purported to provide a theoretical reformulation of acculturation and sports related with establishing the feasible research hypotheses by further study. For accomplishing this purpose of the study, the theory-based view focused on the concepts of interactive-acculturation and interpreted the understanding their relationships between acculturation strategies and sport participation patterns and constraints. Based on the reformulation of the theory-based view, cross-cultural sport researchers are allowed to construct theories by applying concepts in identifying ①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of individual/social levels and interactive acculturation strategies and processes; ②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interactive acculturation strategies and levels of sport participation on the inter-ethnic relations; ③the influence of sport participation constraints on interactive acculturation strategies and levels of sport participation. 다문화사회 이주민들의 고유문화에서 주류사회 문화에로의 이동은 새로운 사회에 적응이라는 환경적 변화과정을 경험하게 되면서 개인 또는 집단 간 즉각적 또는 오랜 기간에 거쳐 일어나는 다양한 결과를 문화적응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오늘날 소(小)세계적 척도(Microcosm)로 외부사회 전체를 반영하는데 무리가 없어 보이는 스포츠를 통한 다문화사회 적응정책이 주목을 받고 있는 가운데, 본고에서는 이주민 집단과 주류사회 집단 간 상호문화적응 분야의 이론적 발전과정과 최근의 연구현황을 살펴보고, 스포츠를 통한 다문화사회 적응 문제를 규명함으로써 상호문화적응과 스포츠와 관련한 예측 가능한 연구가설 확립을 위한 이론적 모형을 재구성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문화적응 관련 개념을 파악하고, 이론적 발달과정과 문화적응 단계에 미치는 개인과 사회적 수준으로 요인들을 심도 있게 고찰 하였다. 또한 상호문화적응과 스포츠 연구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주민 집단 구성원의 스포츠 참여 제약요인을 파악한 후 후속연구에 적용 가능한 상호문화적응과 스포츠의 이론적 모형을 재구성하여 예측 가능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후속연구에서는 ①스포츠에 참가하는 이주민과 주류사회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상호문화적응과 이주민과 주류사회 구성원들의 개인적ㆍ사회적 수준의 요인의 연관성 및 문화적응 과정에 따른 문화적응 유형의 정도, ②상호문화적응 유형의 정도와 스포츠 참여율에 대한 상호작용과 이러한 연관성이 상호문화 집단 간 관계유지에 미치는 중재역할, ③스포츠 참여 제약요인에 따른 상호문화적응 유형의 정도와 스포츠 참여 정도에 대한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김지영(Kim Ji Young),김우리(Kim Woo Ri),손윤실(Son Yun Sil),김정섭(Kim Jung Sub)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대학생활적응, 교수-학생 상호작용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에 소재한 전문대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중 370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을 통해 학업스트레스는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과 부적 상관이 있고,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대학생활적응은 정적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Bootstrapping을 통해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교수-학생상호작용을 통해 대학생활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전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개인 차원에서 학생의 학업스트레스를 낮추는 것과 더불어 학교차원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활발히 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academic stress,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adjustment to college of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set up th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first, are there any relations among academic stress,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adjustment to college of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Second, are there mediated effects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relations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djustment to college? Data was collected from 370 students sampled from 3 colleges in South Korea. Three measurement instruments were employed: Academic Stress Scale,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Scale, and Adjustment to College Scale. The statistical method employed for the data analyses were correlation analysis, mediation analysis of Baron and Kenny(1986), and Bootstrapping by using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show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ollege adjustment and between academic stress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Bu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adjustment to college. Second, the through mediation analysis, there was partial mediated effects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relations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ollege adjustment. Therefore to maximize of college adjustment, it is needed to decrease academic stress and to promote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f college students.

      • KCI등재

        무용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도정님 한국무용과학회 2017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4 No.4

        본 연구는 무용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 수도권지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자 345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지를 회수하여 연구에 적합하지 않거나 응답이 불성실하다 판단되는 27부를 제외한 318부가 자료 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전공만족도, 교수-학생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의 3가지 변인으로 전공만족도는 일반만족, 인식만족, 교과만족, 관계만족을 하위요인으로, 교수-학생상호작용은 신뢰도와 친밀감을 하위요인으로, 대학생활적응은 개인·정서적 적응,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학교환경적 적응을 하위요인으로 총 40문항의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IBM SPSS Statistics 2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공만족도, 교수-학생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간의 관계를 위한 상관분석,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상호작용의 하위요인별 대학생활에 미치는 영향력과 전공만족도, 교수-학생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첫째,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간의 상관관계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전공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관계만족과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학업적 적응은 낮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만족도의 네 하위요인과 대학생활적응간에는 교과만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만족도의 네 하위요인과 대학생활적응 하위요인별 간에는 사회적 적응과 대학환경적 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활적응에 대해 대학환경적 적응과 교과만족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셋째, 교수-학생상호작용의 두 하위요인과 대학생활적응간에는 신뢰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생상호작용의 두 하위요인과 대학생활적응 하위요인별 간에는 대학환경적 적응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활적응에 대해 대학환경적 적응과 신뢰감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넷째, 전공만족의 총점은 대학생활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수-학생상호작용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은 무용학과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상호작용의 하위 요인별에 따라 부분적으로 대학생활적응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무용학과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공에 대한 만족스러운 교과과정이 제공되어야 하며 교수는 학생들이 신뢰할 수 있는 인격과 자질, 실력을 겸비해야한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ance major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faculty-student interaction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345 students major in Dance in universities located at capital area selected. 27 unreliable responses were excluded and 318 remained were collected for the analysis.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have forty questions regarding three variables such as satisfaction with major, Faculty-student interaction,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Sub-factors of satisfaction with major are General satisfaction, recognition satisfaction, Curriculum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are reliability and intimacy. Sub-factors of adjustment of school life are affective reaction, major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and adjustment to school environment. Correlation analysis with IBM SPSS Statistics 24.0 was conducted to find an association among satisfaction with major, Faculty-student interaction,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satisfaction with major and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with its sub-factors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Detailed results are presented below. 1. The results showed that satisfaction with major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djustment to school life. relationship satisfaction, a sub-factor of satisfaction with major had a low positive correlation with major adjustment, a sub-factor of adjustment to school life, but it was shown that there was no statistic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m. 2. Among four sub-factors of satisfaction with major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only Curriculum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statistically. social adjustment and adjustment to school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statistically when comparing four sub-factors of satisfaction with major and four sub-factors of adjustment to school life. 3.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statistically with adjustment to school life.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statistically with adjustment to school environment. 4. Overall score of satisfaction with major had a significant influence statistically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but Faculty-student interaction has no significant influence. In conclusion, major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influence on the adjustment to school life partially but strongly depending on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In order to enhance the adaptability of school life, appropriate and satisfactory curriculum should be provided and the faculties should be personable, well qualified and competent to build trust with students.

      • KCI등재

        무용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도정임 ( Do Jung-nim ) 한국무용과학회 2017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4 No.4

        본 연구는 무용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 수도권지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자 345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지를 회수하여 연구에 적합하지 않거나 응답이 불성실하다 판단되는 27부를 제외한 318부가 자료 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전공만족도, 교수-학생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의 3가지 변인으로 전공만족도는 일반만족, 인식만족, 교과만족, 관계만족을 하위요인으로, 교수-학생상호작용은 신뢰도와 친밀감을 하위요인으로, 대학생활적응은 개인·정서적 적응,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학교환경적 적응을 하위요인으로 총 40문항의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IBM SPSS Statistics 2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공만족도, 교수-학생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간의 관계를 위한 상관분석,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상호작용의 하위요인별 대학생활에 미치는 영향력과 전공만족도, 교수-학생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간의 상관관계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전공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관계만족과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학업적 적응은 낮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만족도의 네 하위요인과 대학생활적응간에는 교과만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만족도의 네 하위요인과 대학생활적응 하위요인별 간에는 사회적 적응과 대학환경적 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활적응에 대해 대학환경적 적응과 교과만족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셋째, 교수-학생상호작용의 두 하위요인과 대학생활적응간에는 신뢰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생상호작용의 두 하위요인과 대학생활적응 하위요인별 간에는 대학환경적 적응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활적응에 대해 대학환경적 적응과 신뢰감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넷째, 전공만족의 총점은 대학생활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수-학생상호작용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은 무용학과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상호작용의 하위 요인별에 따라 부분적으로 대학생활적응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무용학과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공에 대한 만족스러운 교과과정이 제공되어야 하며 교수는 학생들이 신뢰할 수 있는 인격과 자질, 실력을 겸비해야한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ance major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faculty-student interaction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345 students major in Dance in universities located at capital area selected. 27 unreliable responses were excluded and 318 remained were collected for the analysis.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have forty questions regarding three variables such as satisfaction with major, Faculty-student interaction,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Sub-factors of satisfaction with major are General satisfaction, recognition satisfaction, Curriculum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are reliability and intimacy. Sub-factors of adjustment of school life are affective reaction, major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and adjustment to school environment. Correlation analysis with IBM SPSS Statistics 24.0 was conducted to find an association among satisfaction with major, Faculty-student interaction,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satisfaction with major and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with its sub-factors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Detailed results are presented below. 1. The results showed that satisfaction with major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djustment to school life. relationship satisfaction, a sub-factor of satisfaction with major had a low positive correlation with major adjustment, a sub-factor of adjustment to school life, but it was shown that there was no statistic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m. 2. Among four sub-factors of satisfaction with major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only Curriculum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statistically. social adjustment and adjustment to school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statistically when comparing four sub-factors of satisfaction with major and four sub-factors of adjustment to school life. 3.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statistically with adjustment to school life.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statistically with adjustment to school environment. 4. Overall score of satisfaction with major had a significant influence statistically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but Faculty-student interaction has no significant influence. In conclusion, major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influence on the adjustment to school life partially but strongly depending on sub-factor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In order to enhance the adaptability of school life, appropriate and satisfactory curriculum should be provided and the faculties should be personable, well qualified and competent to build trust with students.

      • KCI등재

        비행행동에 있어서 학교적응과 자아존중감의 상호작용효과와 성별 차이

        전신현(ShinHyun Jun),이성식(Seong-Sik Lee) 한국범죄심리학회 2021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7 No.2

        이 연구는 청소년들의 학교적응이 비행에 미치는 주요 요인이 되는지를 살펴보려고 했고, 그 영향력에 있어 자아존중감의 조절작용에 관심을 가져 학교적응과 자아존중감의 상호작용효과를 다루었다. 무엇보다 이 연구는 그와 같은 작용이 남녀별로 적용할 때 성별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적응의 비행에의 영향은 여성보다 남성에게서 더 클 것이라고 예측했고, 자아존중감의 조절작용은 남성보다는 여성에게서 더 클 것이라고 예측했다. 전국 7,052명의 청소년을 조사한 자료의 분석결과 본 연구결과는 남녀 모두에서 학교적응은 청소년비행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져 학교적응이 낮을수록 비행의 가능성이 높은 것을 제시했다. 이는 남녀 청소년 모두에게 학교생활이 중요하며 학교에서 얼마나 잘 적응하는가가 비행에 있어 주요 요인이 된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자아존중감의 조절작용을 알기 위해 학교적응과 자아존중감과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남녀간에 차이를 보였는데 본 연구의 예측대로 남성에서는 그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여성의 경우에서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남성의 경우 자아존중감과 상관없이 학교적응이 낮을 때 비행 가능성이 높지만, 여성의 경우 학교적응이 낮을수록 비행을 저지르지만 자아존중감이 높을 때는 비행을 저지르지 않게 되고 학교적응이 낮고 자아존중감이 낮을 때 비행을 저지르게 된다는 것을 제시했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 예측한대로 학교적응과 비행의 관계에서 학교적응과 자아존중감의 상호작용효과는 여성에서만 제시되었다.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chool adjustment on juvenile delinquency and tes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self-esteem on delinquency. In addition, this study tests that those effects are different across male and female groups. This study predicts that the effect of school adjustment on delinquency is larger in male than in femal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is larger in female than in male. Using data from 7,052 students in national survey, results show that the effect of school adjustment on juvenile delinquency is significant in both male and female, in which indicates that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who have low school adjustment are more likely to commit delinquent behavior. In addition, this study test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self-esteem on delinquency in both male and female for investigating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It is shown that interaction effect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self-esteem on delinquency is significant in female, not in male. Results show that female who have both lower school adjustment and self-esteem are more likely to commit delinquency, while female who have lower school adjustment but high self-esteem are less likely to commit delinquency. However, it is found that male who have low school adjustment are more likely to commit delinquency regardless of their self-esteem.

      • KCI등재후보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과 유아의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

        최선희(Choi, Sun-Hee),황혜정(Hwang, Hye-J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1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유아 간 바람직한 상호작용의 질과 유아의 부적응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교사-유아 간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은 여아가 남아보다 높았으며, 연령이 적은 유아일수록 연령이 높은 유아보다 교사와의 전반적인 상호작용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유아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부적응 행동에 대해 살펴본 결과, 불안행동과 위축행동, 의존행동은 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산만행동과 공격행동, 충동행동은 남아가 여아보다 높았다. 유아의 연령에 따른 부적응 행동에 대해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만 5세 유아가 다른 연령의 유아들보다 불안 행동, 위축행동, 의존행동, 산만행동, 공격행동, 충동행동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사와 유아 간의 상호작용과 유아의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에 대해 살펴본 결과, 교사-유아 간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은 유아의 부적응 행동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교사-유아 간의 상호작용이 높을수록 불안과 위축, 의존, 산만, 공격, 충동 및 전체적인 부적응 행동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quality of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to preschooler maladjust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relationship of the gender and age of the preschoolers to emotional, verbal and behavioral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the preschool girls were more interactive than the preschool boys, and there were significant gaps according to gender. And the younger preschoolers interacted more with the teachers than the older ones overall. Second, regarding the relationship of the gender and age of the preschoolers to their maladjusted behavior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gender gaps in anxiety behavior, withdrawal behavior and dependent behavior. Distractive, aggressive and impulsive behaviors were more prevailing among the preschool boys than among their counterparts, and the gender gaps were significant. Concerning the maladjusted behaviors of the preschoolers by age, anxiety behavior, withdrawal behavior, dependent behavior, distractive behavior, aggressive behavior and impulsive behavior were more common among the preschoolers who were 5 years old than the other age groups. Third, a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and the maladjusted behaviors of the preschoolers, emotional, verbal and behavioral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to the maladjusted behaviors of the preschoolers. More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led to less anxiety, withdrawal, dependent, distractive, aggressive, impulsive and overall maladjusted behaviors.

      • KCI등재

        취학 전 타인과 상호작용이 초등학생의 학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학교적응의 매개효과와 가족 상호작용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지윤,이은진,하승혁,홍세희 육아정책연구소 2021 육아정책연구 Vol.15 No.3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chool adaptation process in the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on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performance and interaction with others. The study also proposes to evaluate whether these mediating effects differ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family interaction. The analysis for the mediating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was conducted with 1,203 children from the 7th and 11th years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peer interaction and school adaptation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academic performance. Second, the effect of interaction with others on academic performance through school adaptation was significant. Third, the effect of teacher interaction on school adaptation differed according to the level of family interaction. Fourth, in the relationship that only teacher interaction affects academic performance through school adaptation level,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dentified and controlled by family interaction. 본 연구는 아동의 취학 전 가족 외 타인과의 상호작용과 초등학교 4학년 시기의 학업수행능력간의 관계에서 취학 전 가족-아동 상호작용의 조절된 매개효과와 초등학교 4학년 시기 학교적응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7차, 11차 자료 중 결측치를 제외한 총 1,20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또래 상호작용과 학교적응은 학업수행능력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둘째, 아동의 또래 상호작용이 학교적응을 거쳐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였다. 셋째, 아동이 경험한 교사 상호작용은 아동과 가족의 상호작용 수준에 따라 학교적응 차이가 존재하였다. 넷째, 아동과 교사 상호작용만이 학교적응을 매개로 학업수행능력에 영향이 미치는 관계에서 가족-아동 상호작용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어 조절된 매개효과가 존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 대한 의의 및 후속 연구, 정책적 제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내재적 전공선택동기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송윤정(Yun Jeong Song),조규판(Gyu Pan Cho)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6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내재적 전공선택동기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매개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김해시 소재 2개의 대학교 대학생 346명을 대상으로 2015년 10월 26일부터 11월 6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으로는 내재적 전공선택동기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분석단계에 따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재적 전공선택 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 간에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내재적 전공선택동기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는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내재적 전공선택동기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대학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위해서 전공을 선택하는 동기의 소재가 중요하며,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역할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and school life adjustment. For the study, 346 university students in kimhae were selected to conduct a survey from Oct. 26th 2015 to Nov. 6th, then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figure out correlation among the factors . According to the procedures Baron and Kenny suggested in 1986,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is employed to measure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school life adjustment. The conclusions from results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among intrinsic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major satisfac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school life adjustment Second, major satisfaction exert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and school life adjustment. Thir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excercis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and school life adjustmen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know interactive role of major satisfaction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to improve school life adjustment and the source of motivation to successfully adapt school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