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난상담에서 재난 심리활동가의 성장에 대한 질적 연구

        김은미(Kim Eun Mi)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2017 교정상담학연구 Vol.2 No.2

        본 논문은 국민안전처 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의 상담활동가의 재난에 대한 사회적 표상과 상담과정에서의 어려움에 대한 면담을 통해 재난심리상담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대전세종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에서 2개월에서 2년정도 재난상담활동을 하고 있는 13명의 활동가를 대상으로 하여 재난상담을 하게 된 계기와 재난에 대한 느낌과 생각과 행동에 대해 1차적으로 질문지를 통해 알아보고, 많은 사례를 경험한 활동가를 심층면담하였다. 아울러 재난상담에 참여하면서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다른 사람들의 어려움에 대한 공감으로 인해 봉사활동에 참여하게 되었다는 응답과 피해자들의 어려움을 자신의 일처럼 여긴다는 응답이 많았다. 또한 상담에 대한 인식이 아직 부족하여 피해자를 접근함에 있어 어려움을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이야기하였다. 많은 경우 주변의 권유로 재난활동가로 활동하게 되었으며, 지속적으로 타인을 돕는 것에 대해 심리적 만족과 스스로 부족한 것에 대한 아쉬움이 함께 존재하였다. 자연재해나 교통사고, 화재 등의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일차적으로 투입되어 심리적인 안정을 이루도록 돕고 있는 재난활동가들의 역할에 대해 논의 하였으며, 향후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적절하게 활동가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였다. This study is to find orientations of disasters psychological counseling through interviews about difficulty in psychological first aid situations and to search counseling activists’representations of disasters. The participants are 12 counseling activits were activing in psychological first aid, and they are volunteer counseling from 2 months to 2 years in Daejeon Red Cross. They were asked about emotion, thinking, behaviors during psychological first aid. Especially, they were fully experienced other’s empathy and heartness for difficulty and suffering in various disaster situations. Because lackness of awareness of victims’ counseling, many counseling activists are having difficulties a lot. Finally, we are discussed about roles of volunteer and psychological first aid.

      • KCI등재

        부산지역 반(反)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 - 여성주의 정체성 발달을 중심으로

        지영경 ( Ji Young-kyung ),공미혜 ( Kong Mee-hae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8 여성학연구 Vol.2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부산지역에서 반성폭력 운동을 수행해 온 상담활동가들의 성장 경험을 본질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상담활동가 개인들이 경험했던 다양한 주관적인 감정과 생각, 느낌 등에 대한 의미를 밝히고자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총 11명으로 부산지역에서 반성폭력 운동을 수행해 온 여성단체에서 3년 이상 활동한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연구자와 함께 일을 했거나 활동배경을 잘 알고 있는 사람들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했으며 부족하거나 의문이 있는 경우는 추가 면접 또는 전화, 메일 등을 통해서 보완하였다. 자료분석은 지오르지 방식을 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참여자들의 성장경험은 19의 하위 구성요소와 9개의 구성 요소로 범주화되었다. 참여자들의 성장경험 구성요소는 모순 인식, 나의 문제로 환원, 피해자에 대한 이해, 연대, 성찰, 새로운 정체성 확립, 합리적 판단, 변화참여, 자기 돌봄 등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구성요소를 통해 반성폭력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우선 참여자들은 구체적인 피해자지원 활동을 통하여 사회의 모순적 상황에 대한 각성을 경험하게 되고 눈뜸의 단계로 이행해나간다. 그러나 이들은 과중한 업무와 역량부족으로 인한 좌절감을 겪기도 하며 자신의 문제와 연결하는 경험을 한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참여자는 피해자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특히 참여자들의 대리외상 경험은 소진과 일의 단절을 야기하기도 하지만 비슷한 처지의 동료들 간의 유대감을 발달시키고 자매애와 연대감을 통해 극복해가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새김의 단계로 이행하는 토대가 되기도 한다. 이들은 피해자가 상처를 치유하도록 돕는 과정에 오히려 이들로부터 지지를 받으며 자신의 활동을 다진다. 또한 인간에 대한 고민을 통해 자신과 조직에 대한 성찰을 되새기며 여성주의자로서 또는 상담 전문가로서 새로운 정체성을 확립하기도 한다. 이러한 새김의 가치는 참여자로 하여금 구체적인 여성억압의 실상을 알리기 위한 성폭력 인식전환 활동을 열정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참여의 단계로 이행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참여자들은 상담활동을 통해 사람을 편견 없이 바라보고 개인의 다름을 인정하는 합리적인 판단을 할 만큼 성장의 모습을 보인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자신의 욕구를 이해하고 자신이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것도 중요한 가치임을 알고 실천하게 된다. 이 연구는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반성폭력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계기로 앞으로 반성폭력 상담활동가들의 지속적인 활동을 위한 다양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meaning of growth experiences of counseling activists who had carried out anti-sexual violence movement in Busan. In order to understand the specific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otal 11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counseling activists who had worked as members of anti-sexual violence movement organizations over three ear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using open-questionnaires, and were analyzed according to Giorgi’s research method. As a result, 82 semantic units were identified, and those units were divided into 16 sub-elements and finally 9 elements. Participants' growth experiences consisted of the perception of contradiction, return to my problem, understanding of the victim, solidarity, reflection, establishment of new identity, reasonable judgement, participation in social change, and self care. The growth experiences of counselling activists are ummarized as follows. Participants experience the awakening of the contradictory situation of society through concrete victim support activities and move on to the stage of Revelation. However, they are frustrated by their heavy workloads and lack of competence, and the experience connecting with their own problems. Through this process, the participant changes the perception about the victim. Particularly, the vicarious post-traumatic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may cause burnout and disconnection of the work, but they develop the bond between the peers in similar situations and overcome them through the sisterhood and solidarity. In addition, through the anxieties about human beings, they reflect on themselves and their organizations and establish new identities as feminists or counselors. The value of Embeddedness stage helps the participants to move to the stage of Participation, which enthusiastically engages in the conversion of sexual violence awareness to inform the reality of specific women's oppression. Participants experience their growth through the counseling activities to look at people without prejudice and to make a reasonable judg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which it dealt with the growth experiences of the counseling activists against sexual violence in Busan. It is expected that various follow-up studies will be conducted for the ongoing activities of the counselors.

      • KCI등재

        성폭력상담소 활동가의 좌절과 대처 과정에 관한 연구

        안은주(Eunju AH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5 아시아여성연구 Vol.5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성폭력상담소 활동가들이 경험한 좌절과 대처 과정을 탐색하여 체계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반성폭력운동의 정체성을 지닌 상담소에서 근무하고 있는 활동가 9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총 71개의 개념과 23개의 하위범주, 10개의 범주가 도출되었고, 범주들은 ‘활동의 의미를 잃어버림’이라는 중심현상에 체계적으로 연결되었다. ‘반성폭력운동을 선택하고 헌신함’과 ‘역부족을 느낌’이 인과적 조건으로, ‘변하지 않는 통념과 변하는 운동 지형’이 맥락적 조건으로 좌절 현상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좌절에 대처하는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상황 변화시키기’와 역량 키우기’였으며, 이러한 전략을 만들어 내는 중재적 조건은 ‘긍정적 피드백’과 ‘회복탄력성’이었고, 결과는 ‘새로운 길 찾기’와 ‘성장’이었다. 참여자들이 경험하는 좌절은 피해자 지원 활동과 반성폭력운동, 여성주의 가치 실천이 서로 맞물려가는 구조에서 각각의 연결이 단절되면서 나타나는 것이었다. 이어 좌절극복의 단계는 단절, 연결 짓기, 새롭게 하기의 순서를 거치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활동가의 좌절과 대처 과정이 미시적인 차원에서 반성폭력운동과 여성주의 가치 실천에 시사하는 바에 대해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안을 하였다. This article aimed to explore the process of frustration management of activists in counseling centers for victims of sexual violence. Interviews were implemented with 9 participants who were engaged in counseling centers which identified with anti-sexual violence movement. The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based on Strauss and Corbin’s(1998) grounded theory method. The findings in this article indicated that the processes were summarized as 71 concepts, 23 subcategories, and 10 categories. The author identified ‘Choosing and devoting to anti-sexual violence movement’, ‘perceiving themselves unequal to the activities’ as a causal conditioned, ‘the conventional notion that has not changed and the movement environment that have changed’ as a contextual condition, ‘missing the meaning of the activities’ as a main phenomenon, ‘turning the situation’ and ‘improving their capability’ as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positive feedback’ and ‘resilience’ as intervening conditions, ‘finding a new way’, ‘growth’ as results. Participants’ frustration arose from the disconnection in three interlinked parts(i.e., victim-support activities, anti-sexual violence movement and feminist values, practice) and it was experienced three stages(i.e., disconnection, connection, reformation). Finally,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are discussed in light of the results obtained.

      • KCI등재후보

        성폭력상담소 상담활동가의 여성주의상담 실천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정종숙,성승연 한국여성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systematize the process of practicing feminist counseling by counseling activists in sexual violence counseling center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counseling activists working with feminist counseling identity at the sexual violence counseling center,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methodology among qualitative studies. As a result of the study, 80 concepts, 24 subcategories, and 13 upper categories were derived through open cod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ategories was analyzed based on a paradigm model through axial coding. Through selective coding, the core category ‘feels of pride and a sense of vocation while seeing individual and social changes despite skepticism due to difficulties in practicing the principles of feminist counseling, strengthening feminist counseling capabilities, and responding to sexual violence issues’ was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ocess of practicing feminist counseling by counseling activists at sexual violence counseling centers was discussed, an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made.

      • KCI등재

        정서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시민단체 활동가의 정서조절,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손혜선(Son Hyeseon),고서영(Ko Seoyou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시민단체 활동가의 정서 조절, 스트레스 대처 전략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은 시민단체 활동가 18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9명씩 구성하여 총 10회기를 주 2회 100분씩 5주 동안 실시되었다.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해 실험-통제집단 사전 동질성 검증 및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정서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프로그램 참여 후 정서조절이 증가되었다. 둘째, 정서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프로그램 참여 후 대처 전략을 향상시켰다. 셋째, 정서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프로그램 참여 후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켰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시민단체 활동가의 정서적 조절 능력을 향상시키고 효과적인 스트레스 대처 전략을 활용하여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밝혀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Emotional focused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emotion regulation,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ith NGO activists. To this end,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18 NGO activists, 9 people each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a total of 10 sessions were conducted twice a week for 100 minutes for 5 week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experiment-control group pre-identity verification and covariance analysis (ANCOVA)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Emotional focused group counseling program showed increased emotional regulation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Emotional focused group counseling program improved coping strategies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a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Emotional focused group counseling program improved psychological well-being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a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Based on these studies, it is meaningful that it is an effective program to improve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f NGO activists and to improve psychological well-being by utilizing effec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미국과 한국의 여성주의상담 역사 비교 분석

        김예숙 한국여성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6 No.2

        This study searches what is needed for feminist counseling which is introduced to our country 30 years ago. As a way of exploring, the history of feminist counseling of the USA and that of Korea were analyzed comparatively. Feminist counseling of the USA has fourty years of history and that of Korea has thirty years of history. There is a commonality that feminist counseling started in the context of feminist movement. There are some differences: Professional counselors in the USA and activist counselors in Korea have led feminist counseling; In the USA professional counselors have done professional achievements but reaches the point where they ask themselves whether they keep the spirit of feminist movement which is the root of feminist counseling, but in Korea the spirit of feminist movement has kept but the need for professional counselors is not met because of the lack of them; There are curriculum on feminist counseling on the graduate level in the USA, but there is none in Korea.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establishing the educational institute for feminist counseling, developing the model for feminist counseling, insisting the feminist value , and preparing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counselors become the tasks of Korean feminist counsel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