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삼연 김창흡의 증별시 검토—『農淵挽別』수록작을 중심으로—

        장진엽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3 고전과 해석 Vol.40 No.-

        農淵挽別은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된 1책 51장의 필사본 자료로, 農巖 金昌協과 三淵 金昌翕의 挽詩와 贈別詩를 수록한 선집이다. 이 책은 농암과 삼연 작품의 후대 수용 양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자료이다. 이에 본고는 농연만별 수록작을 중심으로 김창흡의 증별시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먼저 농연만별에 수록된 삼연 증별시의 목록을 제시하고 작품 수록 양상 및 選詩 기준을 살펴보았다. 이 책에 수록된 삼연의 증별시는 39제 87수로서, 拾遺는 제외하고 三淵集 原集에서만 뽑은 것이다. 책의 편자는 使行과 赴任과 같은 公務 관련 送詩를 우선적으로 선발하고, 이어서 여타 사유의 증별시를 뽑았다. 사행과 부임 송시는 古詩를 제외한 近體詩는 모두 수록하였으며, 증별시임이 분명치 않지만 부임 송시와 비슷한 경개를 담은 작품(2편)을 함께 뽑았다. 공무상의 송시 위주로 선발한 점과 근체만을 수록한 점을 통해 ‘作詩 敎材’로서의 이 책의 용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삼연 증별시의 주된 정조와 그것의 형상화 방식을 세 측면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삼연의 燕行 送詩에는 오랑캐 청에게 예를 행해야 하는 것에 대한 비분의 정이 강하게 드러나며, 이에 따라 ‘수심에 가득 찬 절의의 인물’로서의 사신 형상이 나타난다. 이와 관련하여 ‘蘇武’와 ‘金尙憲’의 표상을 사신들에게 중첩시키는 방식이 주목된다. 둘째, 연행과 통신사행의 송시에서 삼연은 遠游에 대한 선망과 이로 인한 神遊의 체험을 표현하였다. 삼연은 연행 송시에서 역사적·문화적 실체로서의 ‘中國’을 체험하고자 하는 열망을 직접적으로 표출한다. 그리고 일본 사행의 송시에서는 광활하고 낯선 풍광에서 종횡무진 시를 쓰는 시인의 형상을 묘사하고, 그들의 떠남이 자신의 神遊를 촉발했음을 토로한다. 또, 이국 체험을 통해 ‘記實’의 시를 쓰고 ‘詩境’을 넓힐 것을 당부하기도 했다. 셋째, 삼연의 赴任 送詩에는 隱者의 풍모를 지닌 관리의 형상이 나타나며 神仙的 정취가 주된 정조를 이루고 있는 작품들이 있는데, 이러한 작품들 속 은자의 형상에는 삼연 자신의 삶의 방식과 시적 지향이 강하게 투영되어 있다. 이러한 지향은 은거에 대한 권유로 이어지기도 한다. 본고는 山水詩와 <葛驛雜詠> 등의 대표작 외에 김창흡 작품의 다양한 측면을 고찰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아울러 농연만별 에 수록된 삼연의 만시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정형화되기 쉬운 만시와 증별시의 창작에서 삼연이 어떤 방식으로 참신함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것이 삼연의 다른 작품들에 나타나는 시적 지향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삼연의 만시와 증별시에 나타나는 개성적 측면이 전대 및 후대의 창작 경향과 어떤 연관을 맺고 있는지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다. 이는 18세기 詩壇의 흐름과 관련하여 의미 있는 논의의 주제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삼연문화 연구의 현황과 과제

        오진석(?珍?) 고구려발해학회 2019 고구려발해연구 Vol.65 No.-

        ‘삼연문화’는 1990년대 초반 전립곤이 제기한 고고학문화의 한 개념으로 이와 관련된 연구가 지난 20여 년 동안 한 · 중 · 일의 몇 몇 학자들에 의해서 진행되었다. 한국에서는 고구려 · 백제 · 신라 · 가야 등 고대사를 연구하는 역사학자들에 의해 주로 다루어 졌으며, 삼연문화와 관련된 고고학연구의 방향은 삼연문화 자체 보다는 마구 등 일부 문물의 비교에 치중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성향은 단기적으로 일부 성과를 볼 수 있지만, 장기적 · 종합적으로 보면 한계를 보일 수밖에 없다. 본고에서는 삼연문화의 성립 배경과 현재까지 조사 · 연구된 내용을 종합하여, 이후 이어지는 삼국시대 관련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문에서는 먼저 문헌에서 보이는 삼연과 관련된 자료를 정리하고, 중국의 ‘삼연문화’란 고고학적 개념 성립 과정을 살폈다. 다음으로 현재까지 조사ㆍ연구된 삼연문화와 관련된 고분자료 및 출토 유물을 고찰하여 삼연문화 시기를 크게 4시기로 구분하였다. 제1기는 조위 초년시기에서 모용선비가 요서지역으로 진입한 3세기 초에서 3세기 말경이며 주변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지 않은 시기이다. 제2기는 모용외 시기인 3세기 말에서 4세기 초경이다. 모용선비 세력이 요서지역에서 확장되면서 한문화, 해당지역 토착문화, 기타선비문화, 부여문화 등 주변문화의 영향을 받기시작 하였다. 제3기는 전연시기인 4세기 초에서 4세기 후반경이다. 모용선비 본연의 문화요소가 급속히 감소하고 한문화의 흡수가 가속화 되어가는 시기이다. 제4기는 후연, 북연시기인 4세기 후반에서 5세기 전반경이다. 주변문화와 모용선비 문화가 심도 깊게 융합하여 나타난다.

      • KCI등재

        삼연·고구려 대장식구의 전개와 특질

        김도영(Kim Doyoung) 동북아역사재단 2021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3

        이 글에서는 삼연(三燕)과 고구려 고분에서 출토된 대장식구에 주목하였다. 기년명 자료를 참고로 삼연 대장식구의 제작 연대를, 기존의 고분 연대관을 참고로 고구려 대장식구의 존속 시기를 추정하고 각각의 특질에 대해 살펴보았다. 삼연의 대장식구는 현지로 이입된 중원식대장식구를 모델로 하여 모용선비가 자신들만의 독창적인 복식 세트를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창출된 정치색 짙은 기물이었다. 4세기 전엽~중엽, 전연(前燕)에서는 왕권의 의도 아래 장식마구와 함께 제작된 ‘모방 제1유형’과 모용선비 고유의 전통적 문양과 모티브가 강하게 반영된 ‘모방 제2유형’이 함께 제작되고 있었다. 삼연의 대장식구는 인접한 고구려에도 영향을 끼쳤다. 중원과 삼연에서 보이지 않는 다양한 형식의 고구려 대장식구는 현재까지 자료로 보아 대부분 고구려에서 창출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특히 요패를 사용하여 수하식을 아래로 길게 연결하는 방식은 중원과 삼연에서 확인되지 않고 신라에서 성행하였으므로 고구려 대장식구가 중원과 한반도를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였음을 엿볼 수 있다. 4세기 전엽, 양진(兩晉)에서 제작된 중원식대장식구는 동아시아 전역으로 확산된다. 이를 계기로 5세기가 되면 백제와 신라, 바다 건너 왜(倭)에서 독자적 양식의 대장식구가 제작된다. 동아시아의 동단까지 허리띠를 장식하는 대장식구 문화가 성행할 수 있었던 계기는 중원과 한반도 및 일본열도를 지리적으로 이어준 삼연과 고구려의 대장식구에서 찾을 수 있다. In this paper, we focused on the Belt Ornament of Samyeon(三燕) and Goguryeo, and examined the production date and characteristics. The Belt Ornament of Samyeon(三燕) was modeled after the Chinese-style Belt Ornament imported to the area, and was an item that appeared in the process of making their ancient costumes by MoYongSeonBi(慕容鮮卑). Various types of Goguryeo Belt Ornament are likely to have been produced in Goguryeo. Belt Ornament of Goguryeo was popular in Silla. It can be seen that Goguryeo Belt Ornament served as a bridge between China and the Korean Peninsula. In the 5century, Belt Ornament in its own style was produced in Baekje, Silla, and Yamato(倭). Belt Ornament was prevalent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because Samyeon (燕)), who connected China,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and Belt Ornament of Goguryeo.

      • KCI등재

        三淵 詩經說에 대한 湛軒의 評價와 그 意味-湛軒 洪大容의 「詩傳辨疑」를 중심으로-

        홍유빈(Hong You bin) 대동한문학회 2019 大東漢文學 Vol.58 No.-

        본고는 노론 낙론계에 속하는 삼연 김창흡의 시경설에 대해 같은 계열의 후학인 담헌 홍대용이 평한 「시전변의」를 대상으로, 담헌이 삼연의 시경설을 평가한 특징과 의미를 서술한 논문이다. 결과적으로 볼 때 삼연의 시경설에는 부분적이긴 하지만 탈주자적인 면모가 엿보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담헌의 경우 개별 시편의 이해나 시경학 총론의 입장에서 삼연의 설을 일부 수용하지만 상당수의 시편의 경우 주자의 시경설 안에서 해석하려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각자의 성격적인 측면에서 삼연의 경우 학술이나 사고방식 면에서 보다 개방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음에 비해, 상대적이긴 하지만 담헌은 보다 온건하고 보수적인 측면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세부적으로는 담헌이 평한 부분은 총 서른네 편인데, 이 중에서 타당하다고 본 것은 열 한 편이고 일부만 타당하다고 본 것이 열 편이며, 삼연의 설이 잘못되었다고 본 것이 열세 편이다. 이를 볼 때 삼십 퍼센트 정도는 삼연의 설이 옳다고 보았으나, 나머지 칠십 퍼센트 정도에는 보완과 수정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놓고 볼 때, 담헌의 비평은 기본적으로 주자와 삼연 사이에서 나름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보다 타당한 견해를 선택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졌다고 총평할 수 있다. 다만 담헌이 삼연의설에 부분 부정하거나 전면 부정을 한 경우 주자의 설을 따르는 경향이 많다는 것인데, 이런 경우에는 삼연보다는 주자의 설을 옹호하는 입장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focused on Hong Daeyong(洪大容, 1731~1783; penname: Dam-heon)’s 詩傳辨疑 which Hong Daeyong who belonged to Nakschool of Noron evaluated Kim Chang-Hup(金昌翕, 1653~1722; penname: Samyeon)’ s study of the Book of Odes(Shih-ching, one of the Confucian classics), and was written with the purpose of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and meaning about Sam-yeon’s study of the Book of Odes. As a result, there was partially new aspect from Chu Hsi(1130~1200) in Sam-yeon’s study of the Book of Odes. However, in case of Hong Daeyong, he had a tendency to translate within the view of Chu Hsi in terms of Micro and Macro aspect. Then, although Kim Chang-Hup had more open minded attitude in terms of academic tradition and thought patterns, Hong Daeyong seemed to have more modest and conservative. In detail, Hong Daeyong evaluated all 34 works, however, he viewed reasonable as 11 works, partial reasonable as 10, and not correct as 13 works. It can be seen 30 percents as reasonable, but 70 percents as needed of supplementation and correction. With given results, Hong Daeyong had a balance between Chu Hsi and Kim Chang-Hup, and he chose more reasonable view. However, Hong Daeyong had a tendency to follow Chu Hsi’s point of view about the study of the Book of Odes, when Hong Daeyong tried to partial deny or total deny of Kim Chang-Hup’s opinions. In the comparison with the study about the Book of Odes, Hong Daeyong’s point of view about the Book of Odes was more lean on Chu Hsi’s opinion rather than Kim Chang-Hup’s.

      • KCI등재

        삼연(三淵) 김창흡(金昌翕) 시에 드러난 실경(實境)의 일 양상– 『이십사시품(二十四詩品)』의 실경 품격을 기반으로 –

        김묘정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20 동양문화연구 Vol.3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pect of real landscape presented in the Samyeon(三淵) Kim Chang-hyeob(金昌翕)'s poetry through the process of specifically examining the dignity of real landscape(實境) from 『Twenty-four Shi Pin』. Accordingly, at the chapter Ⅱ, this study was to read out the specific meaning contexts of 48 words - 12 phrases in order to comprehend the concept of real landscape by dividing Twenty-four Shi Pin of Sikong Tu(司空圖) into three parts by 4 phrases each. The explanation method of 『Twenty-four Shi Pin』, rather than logical analysis, was suggested in an abstract way, so this researcher passed judgment on that it must take precedence to deduct the characteristic process of Shi Pin(詩品) through reading process. In terms of method, this study was to deduct the multidimensional analysis by confirming the real landscape dignity of 『Twenty-four Shi Pin』, beginning with the reading the critical comments(評語) with the real landscape and similar concept or with the analysis of dictionary definition. In turn, at the chapter Ⅲ, this study was to check the embodiment aspect of real landscape dignity by Samyeon's substantial works at the forefront of clarifying the interaction between Samyeon's poetic boundary and the real landscape dignity of 『Twenty-four Shi Pin』. Accordingly, this study was to comprehend that Samyeon's works had the aspects of Wujing(物境), Qingjing(情境) and Yijing(意境) as he implemented the real landscape dignity in a variety of ways. To conclude, this researcher has partially resolved the ambiguity that the embodiment methods of 『Twenty-four Shi Pin』 had by verifying that Samyeon(三淵)'s poetic boundary was partially consistent with the real landscape of 『Twenty-four Shi Pin』 and by checking out the substantial works which could check the evaluation of real landscape dignity at the same time. 이 글은 『이십사시품(二十四詩品)』의 실경(實境) 품격을 구체적으로 살피는 과정을 거쳐 삼연(三淵) 김창흡(金昌翕) 시에 드러난 실경의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이에 먼저 2장에서는 실경(實境)의 개념을 파악하기 위해 사공도의 『이십사시품』을 4구씩 세 부분으로 나누어 12구 48자의 구체적인 의미 맥락을 읽어내고자 하였다. 이십사시품의 설명 방식이 논리적인 분석보다는 추상적인 방법으로 제시되었기에, 독해 과정을 통해 시품의 특징을 도출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방법적 측면에서 실경과 유사한 개념을 지닌 평어(評語)를 독해하거나 사전적 의미를 분석하는 것을 시작으로 『이십사시품』의 실경 품격을 확인함으로써 다각적인 분석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삼연(三淵) 김창흡(金昌翕)의 시적 경계와 『이십사시품』 실경 품격의 연관성을 밝히는 것을 필두로, 삼연의 실질적인 작품을 통해 실경(實境) 품격의 구현 양상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삼연의 작품은 실경 품격을 다채롭게 구현함에 따라 물경(物境), 정경(情境), 의경(意境)의 면모를 지니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결과적으로 필자는 삼연의 시적 경계가 『이십사시품』의 실경과 일부 일치함을 증명하는 동시에 실경 품격으로 품평할 수 있는 실제 작품을 확인함으로써 『이십사시품』의 형상화 방법이 지닌 모호함을 일정 부분 해결하였다.

      • KCI등재

        고구려(高句麗)와 모용선비(慕容鮮卑) 삼연(三燕)의 고분문화

        전호태(Jeon Hotae) 동북아역사재단 2017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7

        중장기병술(重裝騎兵術)은 북중국에서 5호16국시대가 개막되기 이전 이미 중국에서 도입, 활용되던 무장기법이자 전투방식이다. 고구려와 모용선비 전연(前燕)은 북중국이 혼란기에 접어들자 적극적으로 기존의 중장기병을 받아들여 전장에 투입하였다. 고분에서 출토되는 고구려와 전연의 중장기병 관련 유물이 세부 기법 등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도 두 나라가 큰 시차 없이 독자적으로 중장기병술을 도입, 발전시켰기 때문이다. 고구려와 모용선비의 삼연(三燕, 전연·후연·북연)은 100여 년에 걸친 접촉을 통해 인력과 기술, 물자를 교환했다. 특히 전쟁에 수반되는 인적 약탈은 상호문물의 교류에 큰 역할을 하였다. 436년 북연의 멸망과 함께 이루어진 용성(龍城) 사족(士族)과 민호(民戶)의 고구려 유입은 5호16국시대 후기 북중국의 지식과 기술이 고구려에 집중적으로 전해지는 주요한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고구려와 모용선비 삼연의 벽화고분은 중국 한, 위·진 벽화고분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아 출현하였다. 고구려는 4세기 중엽부터 생활풍속계 고분벽화를 다수 제작하고 5세기 중엽에는 장식무늬계 고분벽화라는 독자 유형을 출현시킨다. 반면 모용선비 삼연 사회에서 고분벽화는 일시적인 문화 현상에 그친다. 북연의 권력자 풍소불(馮素弗)의 무덤 형식과 출토 유물은 5세기 전반 모용 선비 문화의 성격을 잘 알려준다. 풍소불 무덤은 묘제에서는 선비적 정체성이 강하게 드러나고 껴묻거리 구성에서는 한문화의 영향이 뚜렷하다. 풍소불 무덤은 북연(北燕) 시기에도 모용선비가 호족과 한족 연합국가에 걸맞은 새로운 문화를 정립시키는 데에는 이르지 못하였음을 알게 한다. 주류 묘제가 없던 삼연과 달리 고구려는 5세기에 이르러 한(漢) 문화에서 기원한 석실분을 고구려식 묘제로 소화하여 재정립시킨다. 외래의 불교신앙을 고구려 문화의 한 요소로 자리 잡게 했음도 연꽃장식무늬 주제 고분벽화를 통해 확인된다. 5세기 고구려에서 성립하여 내외에 각인시킨 고구려 중심의 천하관(天下觀)도 동북아시아 패권국가로서의 정치적·문화적 자신감에서 비롯된 현상이자 결과라고 할 수 있다. The armed cavalry was adopted and utilized by China before the Sixteen Kingdoms Period. Goguryeo and Former Yan (前燕) of Murong-Xianbei (慕容鮮卑) actively adopted armed cavalry and deployed it in wars when Northern China fell into turmoil. The differences in details and techniques shown in cavalry-related artifacts from Goguryeo and Former Yan tombs are due to the fact that these two kindgoms independently adopted and developed cavalry at about the same period. The tomb murals of Goguryeo and the Three Yan kingdoms (三燕) of Murong-Xianbei developed with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f the Chinese Han, Wei, and Qin. From the mid-fourth century, Goguryeo created many tomb murals with life and customs motifs and produced a unique genre of decorative patterned murals in the mid-fifth century. On the other hand, tomb murals in the Three Yan kingdoms of Murong-Xianbei never advanced beyond a temporary cultural phenomenon. Goguryeo and Three Yan kingdoms of Murong-Xianbei exchanged human resources, technology, and materials over a hundred years of interactions. The looting and abductions that occurred from wars contributed to the exchange of materials between the two. With the fall of Northern Yan (北燕), the elites and peasants of Longcheng (龍城) entered Goguryeo, passing important knowledge and technology of the late Sixteen Kingdoms Period in Northern China. The tomb structure and the materials excavated from the tomb of the Northern Yan authority Feng Sufu (馮素弗) show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fifth century Murong-Xianbei culture. The tomb shows a strong Xianbei identification in its form and an influence of Han culture in the composition of burial accessories. The tomb shows that, even by the Northern Yan period, Murong-Xianbei was yet to establish a new culture to represent the kingdom of unified nomadic and Han people. Unlike the Three Yan Kingdoms, Goguryeo established the stone chamber tomb from the Han culture in its own style in the fifth century. The lotus decoration motifs show that Goguryeo had also adopted the foreign religion of Buddhism as an element of its own culture. The Goguryeo -centered cosmic view established in the fifth century is also the result of political and cultural confidence as a formidable power in the Northeast Asia.

      • KCI등재

        고구려 고분에서 보이는 중국 삼연 요소의 전개과정에 대하여

        강현숙(Kang Hyunsook) 한국상고사학회 2006 한국상고사학보 Vol.51 No.-

        고구려 고분은 4세기를 경과하면서 구조와 부장품에서 변화가 일어난다. 합장이 가능한 석실로의 변화와 함께 삼연을 대표하는 문물인 마구와 보요 장식 장신구의 부장이 변화의 하나이다. 본 글에서는 시간적으로 평행관계에 있는 삼연분묘와 고구려의 4, 5세기 고분의 전개과정을 단계별로 비교함으로써 고구려에서 삼연의 보요 장식 장신구와 마구가 전개되어 가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삼연의 무덤의 전개과정은 부장품을 기준으로 4단계로 나눌 수 있다. Ⅰ단계는 목곽묘와 석곽묘가 중심이 되며, 금제 보요관 및 장신구가 중심이 되며, 동부선비계 토기가 부장되는 3세기말부터 4세기초까지의 시기이다. Ⅱ단계는 횡혈식의 석실과 전축분이 등장하는 한편, 중국 중원계 문물이 유입되기 시작하는 4세기초부터 중엽까지 시기이다. 금제 보요관과 동부선비계 토기의 부장이 지속되며, 마구의 부장이 시작된다. Ⅲ단계는 동부선비계 토기 요소가 소멸되기 시작하며, 마구의 종류가 증가하는 한편, 중원계 문물의 부장 비중이 커진다. 4세기 중엽에서부터 후엽까지의 시기이다. Ⅳ단계는 후연, 북연 두 시기이다. 동부선비계 토기는 부장되지 않고, 마구의 부장 비중이 줄어드는 한편 무덤 구조와 부장품에서 중원의 요소가 증가된다. 따라서 Ⅰ단계는 전연 성립 이전, Ⅱ, Ⅲ단계는 전연, Ⅳ단계는 후연, 북연에 해당된다. 고구려 4, 5세기대 고분은 크게 세단계의 변화를 겪는데, 첫 단계는 삼연의 Ⅰ단계, 둘째 단계는 삼연의 Ⅱ, Ⅳ단계에 해당된다. 고구려 고분에서 보이는 삼연 요소는 삼연의 Ⅲ단계의 특징을 가진 것으로, 마구의 부장과 보요 장식 장신구 및 모티브 등으로, 주민의 이주에 의한 것이라기보다는 고구려가 4세기 중엽경 전연으로부터 장식마구와 보요장식 장신구를 취사 선택적으로 받아들인 결과라 할 수 있다. 한편, 기능과 장식성을 부가됨으로써 삼연과는 형태와 장식성에서 차이를 보이는 마구와 보요 장신구가 고구려의 셋째 단계인 4세기말부터 5세기에 걸쳐 지속적으로 관찰된다. 결국 고구려 4, 5세기 부장품에서 보이는 문물들은 주로 4세기 중엽 전연 전성기의 문물로, 전연과 고구려의 인적, 물적 교류 속에서 전연의 문물이 커다란 시차 없이 취사선택적으로 고구려로 유입되었고, 고구려에 유입된 마구와 보요 장신구는 고구려에서 변용, 발전과정을 겪어 삼연과는 세부적 차이를 띠게 되었다. Examinations in structure and burial goods during the 4th century AD in Koguryo tombs suggest that horse equipments and moving-shining decorated ornaments, representative burial goods of Three Yans, were included in Koguryo tombs. The present paper attempts to explore this change in terms of Koguryo's relationship between Three Yans during the 4th and 5th centuries. The trapezoidal plan of Three Yans tombs continued in the period, while there were changes in burial goods. Four successive phases of Three Yans tombs can be recognized based on the analysis of burial goods. The first phase is characterized by the golden crown with moving-shining decorations, personal ornament and earthenware with Eastern Xianbei tradition, and can be dated to the late 3rd and early 4th centuries. The second phase, from the early (AD324) to middle 4th century, is marked by the Chinese goods included in the burial. The third phase, from the middle to late 4th century, are characterized by diverse burial goods, including decorated horse equipments, personal ornaments and metal wares originated from central China. During the third phase, the frequency of moving-shining decorated crown and personal ornaments and earthenwares with the Eastern Xianbei tradition diminished. The last and fourth phase witnessed increase in burial goods originated from central China. The phases for the Three Yans tombs can be compared with three phases for the Koguryo tombs. The first phase of the Koguryo tomb chronology, from the late 3rd early 4th centuries, shows a closer relationship with Puyo rather than Three Yans. Three Yans burial goods found in Goguryo tombs include horse equipments and ornaments with moving-shining decoration and three leaf decorated goods. While differences can be recognized between Qien Yan and 4-5th Koguryo toms, similar characters are also found between the 3rd phase Three-Yans tombs and Koguryo tombs. Burial goods originated from Qien Yan in the Koguryo tombs suggest little tome lag between the two ancient states during the middle 4th century when Koguryo made tributary relationship with Qien Yan. (This work was supported by Korea Research Foundation Grant (KRF-2004-003-A00025))

      • KCI등재

        三淵 詩經說에 대한 湛軒의 評價와 그 意味 -湛軒 洪大容의 「詩傳辨疑」를 중심으로-

        홍유빈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19 大東漢文學 Vol.58 No.-

        This research focused on Hong Daeyong(洪大容, 1731~1783; penname: Dam-heon)’s 『詩傳辨疑』 which Hong Daeyong who belonged to Nakschool of Noron evaluated Kim Chang-Hup(金昌翕, 1653~1722; penname: Sam- yeon)’s study of the Book of Odes(Shih-ching, one of the Confucian classics), and was written with the purpose of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and meaning about Sam-yeon’s study of the Book of Odes. As a result, there was partially new aspect from Chu Hsi(1130~1200) in Sam-yeon’s study of the Book of Odes. However, in case of Hong Daeyong, he had a tendency to translate within the view of Chu Hsi in terms of Micro and Macro aspect. Then, although Kim Chang-Hup had more open minded attitude in terms of academic tradition and thought patterns, Hong Daeyong seemed to have more modest and conservative. In detail, Hong Daeyong evaluated all 34 works, however, he viewed reasonable as 11 works, partial reasonable as 10, and not correct as 13 works. It can be seen 30 percents as reasonable, but 70 percents as needed of supplementation and correction. With given results, Hong Daeyong had a balance between Chu Hsi and Kim Chang-Hup, and he chose more reasonable view. However, Hong Daeyong had a tendency to follow Chu Hsi’s point of view about the study of the Book of Odes, when Hong Daeyong tried to partial deny or total deny of Kim Chang-Hup’s opinions. In the comparison with the study about the Book of Odes, Hong Daeyong’s point of view about the Book of Odes was more lean on Chu Hsi’s opinion rather than Kim Chang-Hup’s. 본고는 노론 낙론계에 속하는 삼연 김창흡의 시경설에 대해 같은 계열의 후학인 담헌 홍대용이 평한 「시전변의」를 대상으로, 담헌이 삼연의 시경설을 평가한 특징과 의미를 서술한 논문이다. 결과적으로 볼 때 삼연의 시경설에는 부분적이긴 하지만 탈주자적인 면모가 엿보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담헌의 경우 개별 시편의 이해나 시경학 총론의 입장에서 삼연의 설을 일부 수용하지만 상당수의 시편의 경우 주자의 시경설 안에서 해석하려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각자의 성격적인 측면에서 삼연의 경우 학술이나 사고방식 면에서 보다 개방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음에 비해, 상대적이긴 하지만 담헌은 보다 온건하고 보수적인 측면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세부적으로는 담헌이 평한 부분은 총 서른네 편인데, 이 중에서 타당하다고 본 것은 열 한 편이고 일부만 타당하다고 본 것이 열 편이며, 삼연의 설이 잘못되었다고 본 것이 열세 편이다. 이를 볼 때 삼십 퍼센트 정도는 삼연의 설이 옳다고 보았으나, 나머지 칠십 퍼센트 정도에는 보완과 수정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놓고 볼 때, 담헌의 비평은 기본적으로 주자와 삼연 사이에서 나름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보다 타당한 견해를 선택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졌다고 총평할 수 있다. 다만 담헌이 삼연의 설에 부분 부정하거나 전면 부정을 한 경우 주자의 설을 따르는 경향이 많다는 것인데, 이런 경우에는 삼연보다는 주자의 설을 옹호하는 입장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삼연(三淵) 김창흡(金昌翕) 누정시(樓亭詩)에 나타난 역사인식(歷史認識)과 비애감(悲哀感)

        이심권 ( Lee Sim-kwon ) 택민국학연구원 2021 국학연구론총 Vol.- No.27

        三淵 金昌翕(1653~1722)은 17~18세기 시단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했던 시인이며, 학자이다. 그는 조선후기 대표적 경화거족인 壯洞金氏 출신이었으나 벼슬에 나가지 않고, 각지의 명승을 유람하며 200여 수에 달하는 누정시를 창작했다. 그의 누정시에는 그가 가진 사상이나 역사관, 그리고 경관에 대한 시각, 내면의 심사들이 잘 녹아있다. 본고는 삼연이 지은 누정시에 나타난 역사인식과 비애감을 살펴 그 의미를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삼연은 역사, 가문과 관련된 누정시에서 비애감을 표출했다. ‘彈琴臺’와 ‘矗石樓’는 역사적인 전투의 현장이었으며, ‘泠泠亭’과 ‘塗磻溪亭舍仍宿’은 아버지인 김수항과 관련된 장소였으며, ‘南門樓’는 선조의 비석이 세워진 곳이었다. 이들 장소는 모두 삼연에게 비애감을 불러일으키는 장소였다. 둘째, 삼연은 역사, 가문과 관련된 누정시에서 또한 역사 인식인식을 드러낸다. 비극적인 역사 현장에서 그 비극을 잊어버리고 유유자적한 사람들을 비난하기도 했으며, 아버지를 죽음으로 내 몬 당시 정국을 풍성검의 고사와 오나라 부차의 고사를 인용하여 비판하고 있다. 셋째, 삼연은 누정시를 통해 비극적인 역사를 회고하며 희생된 이들을 애도하고, 당대의 세태를 비판하기도 한다. 이는 삼연의 가치관이 드러난 부분이다. 삼연은 비판적 시각으로 역사를 바라보았다고 하겠다. Samyeon Kim Chang-heup(1653~1722) was a poet and scholar that held an important place in the poetry circles of the 17th~18th century. Although he was from the Kim family of Jangdong, which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families, that had enjoyed prosperity for generations during the latter part of Joseon while living in the bustling districts of Seoul, he did not hold government office. He did create approximately 200 landscape poems in the course of his excursions to scenic spots all over the country. His ideas, viewpoints of history, perspectives on landscapes, and inner thoughts were well incorporated in his landscape poems. This study examined his historical awareness and the sense of sorrow in his landscape poems, finding the following meanings in them: First, Samyeon expressed his sense of sorrow in his landscape poems about history and family. "Tangeumdae" and "Chokseokru" were historic battlefields, "Yeongryeongjeong" and "Dobangyejeongsaingsuk" were places related to his father Kim Su-hang, and "Nammunru" included the tombstone of King Seonjo. All of these places caused a sense of sorrow in him. Secondly, his historical awareness was also found in his landscape poems about history and family. He condemned those who were free and easy at places of historic tragedy by forgetting the tragedy and criticized the political situation that drove his father to death by citing ancient events, such as those involving the Pungseon Sword and Fuchai of Wu. Finally, Samyeon reflected on tragic history, mourned the victims, and criticized the social conditions of his time in his landscape poems, revealing his values. He looked at history with a critical viewpoint.

      • KCI등재후보

        中國 三燕 墳墓와 慶州 皇南大塚 南墳의 比較 考察

        姜賢淑(Kang Hyunsook) 한국상고사학회 2003 한국상고사학보 Vol.41 No.-

        3세기말부터 5세기초에 걸쳐 조성된 삼연 분묘에는 漢代 중국 중원의 요소도 반영되어 있으나, 영락(보요) 장식의 장신구와 마구의 부장은 鮮卑族의 특징이 반영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영락 장식 장신구와 마구의 부장은 한반도 삼국시대 고분에서도 공통되며, 특히 황남대총 남분 부장품 중 장신구와 마구, 그리고 훼기나 장식마구의 매납 등은 삼연 분묘의 葬俗에서도 관찰되는 특징으로 황남대총 남분의 축조에 삼연의 영향이 미쳤음을 시사한다. 삼연 분묘의 영향은 무덤의 계보를 판단하는데 유의한 구조에서는 관찰되지 않고, 마구나 장신구 등의 부장품에서 관찰된다. 황남대총 남분의 삼연 문물과 관련을 보여주는 부장품들은 5세기 고구려와 신라의 우호관계를 고려해 볼 때 고구려를 통해 유입된 삼연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때문에 신라가 거대한 무덤을 축조하고, 다종, 다양의 문물을 부장할 수 있었던 것은 북방기만민족의 이주에 의해서라기보다는 고구려와의 우호관계 속에서 다양한 문화를 접촉하였던 신라의 내적 성장의 결과라고 하겠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o the comparison of mortuary practices with Three Yans Period of norte-eastern China and Silla of Korea. Three Yans are the Kingdom of Former Yan, Later Yan and Northern Yan from late 3th century A.D. to early 5th century A.D. which were erected by Xianbi of North-eastern China. The Three Yan's Burials included the material tradition of Han dynasty of center China and Xianbi's tradition. The burial tradition of Xianbi was the golden ornament and the decorated harness which were common with Goguryo, Paekje, Silla and Gaya. Especially some of burial materials of the huge mounded Tomb called Hwangnamdaechongnambun of Silla were resemble with the ones of Three Yans and Goguryo, Therefore it was inferred that the Hwangnamdaechongnambun was effected by Xianbi of Three Yans Period through Gogury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