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두산 관광을 통해 본 식민지 ‘진정성’의 구성 방식

        신진숙(Shin, Jin Sook) 동악어문학회 2017 동악어문학 Vol.71 No.-

        백두산은 현대 동아시아 특히 환동해지역 중에서도 한반도 고유의 역사적 경험과 결합된 장소로 재현되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 기억의 출발점은 근대 백두산에 대한 재현체계에서 살펴볼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근대 텍스트로서 백두산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식민지 지식인의 백두산 탐험 관광에 주목하였다. 본고에서는 식민지 시대 백두산 관광은 근대적 관광의 하나로서 이해하고, 이러한 관광행위가 식민지 진정성의 생산과 소비에 관한 담론과 어떻게 연계되는지를 살펴보았다. 1920년대와 30년대에는 백두산을 탐험하고 기행문을 남기는 행위는 진정한 식민지 자연을 체험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진정한 자아를 만나는 진정성 추구의 과정으로 이해된다. 일본 제국이 억압한 민족의 역사문화와 결합하는 주요한 방식이었다. 백두산은 금강산과 같은 다른 대중화된 관광지와 차별화되는 진정한 자연의 숭고미가 존재하는 곳, 즉 산 중의 산으로 인식되었다. 그 구체적인 과정은 백두산이 『동아일보』와 『조선일보』 등 신문과 출판저작물의 생산을 통해 민족의 영지로 재현되는 과정으로서, 식민지 시대 백두산 관광은 단순히 관광상품으로 소비되는 인위적인 명승지와 구별되는 진정한 의미의 공간 체험으로 각광받는다. 상품화될 수 없는 신성한 장소로의 여행은 일본제국에 의해 박탈당한 실존적 진정성의 상상적 회복이라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식민지 억압이라는 환경 속에서 살아가야 했던 식민지인은 자신의 정신적 위기를 극복하고 자아를 회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자연관광을 선택하는데, 백두산 관광은 바로 이러한 문화적, 정치적 실천의 하나였다. 백두산 기행문에 나타난 신비화된 자연에 대한 재현이나 낭만주의적 미적 감수성들은, 바로 이러한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상실된 공적 진정성의 회복으로 해석될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d the discourse of colonial authenticity and perception of Beakdusan, analyzing the travelogues of Baekdusan(白頭山) written by the intellectuals of colonial Joseon during the 1920"s and 1930"s. This article have concentrated on Min Taewon"s Baekdusan haeng (白頭山行) compiled in 1921, Choe Namseon"s Baekdusan geunchamgi (白頭山覲參記) in 1926, to An Chaehong"s Baekdusan deungcheokgi (白頭山登陟記) in 1931. Although each author exhibited certain descriptive differences, all of these travelogues share the commonality of searching for the colonial authenticity of the Korea Culture and Nature. Paying attention to representing upon the sacred vestiges of Dangun, these works focused on pursuing and culminating the authentic landscape of Korea that came from being a real sublime nature of Korea, Baekdusan. This paper focuses at a conceptual clarification of the meanings of authenticity in Baekdusan tourist experiences. In this paper, three approaches are discussed, object-related Authenticity, constructive authenticity, and existential authenticity, which are suggested by Ning Wang. This structure of authenticity of the colony is an alternative source in understanding the colonial intellectuals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What is obvious is that the real nature and the imagined reality of the Korean nature found in the travelogues of Baekdusan not only helped construct the colonial authentic identity, but also simultaneously become a subversive discourse against the assimilationoriented policies of imperial Japan.

      • KCI등재

        산나물 채취에 관한 전승지식의 양상과 의미

        박선미(Park Sun-Mi) 한국민속학회 2010 韓國民俗學 Vol.52 No.-

        이 글은 한 산골마을 주민들을 세대에 따라 구분하여 산나물 채취에 관한 전승지식의 양상을 파악하고, 나아가 산나물 채취에 관한 전승지식의 문화적 의미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통사회에서 산나물은 흉년이 들거나 기근이 심할 때 구황식으로서 큰 역할을 했으며, 일상적으로 부식으로도 많이 먹었다. 특정 산나물에 한해서는 정월대보름ㆍ단오ㆍ제사 등 의례용으로 식용되기도 했으며, 감기ㆍ홍역 등의 약용으로도 쓰였다. 근래에 와서는 참살이(well-being) 음식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산나물에 대한 민속학적 관심은 적었기에 이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연구에 임했다. 조사지역으로 선정한 경북 안동시 풍산읍 서미1리는 야산과 깊은 산으로 둘러싸인 산골마을이다. 조사지 주민들의 산나물 채취활동은 사회ㆍ경제적으로 식량이 부족했던 1960~1980년대에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마을 주민들은 인근의 야산과 깊은 산의 식용식물을 채취해 먹음으로써 식량부족난을 해결하고자 했다. 산나물 채취활동은 산나물이 나는 시기, 나는 장소 등을 중요하게 고려하였는데, 산나물 채취시기, 채취장소 등은 산나물 채취에 관한 전승지식 체계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산나물 채취에 관한 전승지식은 지극히 환경 적응적 논리에 기초하고 있다. 결국 산골마을인 서미1리 주민들은 식량부족의 난제를 자연환경에 적응하여 산나물을 채취하여 식용하는 것으로 풀어나가고자 한 것이다. This study is to grasp the aspect of the lore on picking wild edible greens and to analyze the cultural meaning of the lore on picking wild edible greens by classifying the residents of a remote mountain village by generation. In traditional Korean society, wild edible greens have played a crucial role as a relief food source in years of famine, and they are also used a lot as side dishes in everyday life. Some particular wild edible greens were eaten and used as ceremonial food for Jeong-wol-dae-bo-rem (the day of the first full moon of the lunar year), Dano (the fifth day of the fifth month of the year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ar), Jaesah (commemorative rites for ancestors) and also, certain wild edible greens were used as medicine for flu, and measles; nowadays, wild edible greens are getting attention as a well-being food, Nevertheless, folkloric interests on wild edible greens until now has been slight so the research was done with a critical mind on this part. Seami 1-ri, Pungsan-eup, Andong city, Gyeongbuk, which was chosen as a survey subject area, is a remote mountain village surrounded by deep mountains and hills. The subject residents' wild edible green picking activity was brisk between the 1960s and 1980s when a food shortage occurred due to economic and social reasons. The residents tried to solve the food shortage problems by picking edible wild greens in near by hills and mountains and eating them. The time and place for wild edible greens were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in picking wild edible greens and these factors became the lore system in picking wild edible greens. Also, the lore aspect on picking wild edible greens is expressly based on the environmental adaptive logic. Eventually, the residents of Seomi 1 ri, the remote mountain village, tried to overcome the tough food shortage situation by adapting themselves to the natural environment such as picking wild edible greens and ingesting them.

      • KCI등재

        조선조 계룡산 중악단의 문화사적 의미

        이해준(Lee Hae Jun) 한국역사민속학회 2013 역사민속학 Vol.41 No.-

        계룡산이 갖는 문화사적 성격은 국가적 제사처로서의 계룡산, 불교문화 성지로서의 계룡산, 그리고 풍수도참 신앙과 관련한 계룡산 등의 세 가지로 크게 요약될 수 있다. 이중 계룡산이 역사상에서 크게 부각된 시기는 조선시대이며, 본고는 이를 대변하는 계룡산신사와 중악단의 문화사적 의미를 조명해 본 것이다. 본고에서 필자는 중악단과 관련하여 원래의 계룡단 위치, 그리고 현재의 신원사, 중악단 자리로 옮겨온 시기, 한말 중악단의 성격이 왕실과 관련되면서 성격이 변천되는 문제, 그리고 여기에 더하여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계룡산 산신제의례 복원의 역사성과 현재성 등을 살펴보았다. 계룡산신사의 성격은 삼국-고려시대의 산천신제의를 이어 조선시대에도 국가제사처로 선정되어 태조 2년에 智異山, 無等山, 錦城山, 鷄龍山, 紺嶽山, 三角山, 白嶽의 여러 산과 함께 「護國伯」으로 작호를 받았고, 세종대에 명산이라 하여 小祀로 정하여 매년 봄, 가을에 香과 祝文을 내려 제사하였다. 조선초기의 계룡산신사는 기록상 神祠가 있었던 것으로도 기록되고 壇으로도 기록되어 정확하지 않으며, 위치도 계룡산 남쪽으로만 표기하여 현재의 중악단 [신원사]이었다는 확증이 없다. 따라서 자료의 소개와 이를 통한 추정을 하였고, 한말 중악단의 성격변천과 재해석 문제(왕실관련 성격)은 그간 착종과 혼돈이 있는 부분을 재정리하여 밝혔다. 중악단의 건립시기와 명성황후로 상징되는 왕실의 지원 배경과 과정은 일반 산신제나 국가제사[소사]와는 다른 형태로 특별한 의미를 지니게 하여 건물의 격이나 건축 구조도 내외삼문을 갖춘 祠廟 형태이며, 건물의 잡상, 화담 등 궁실건축의 특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1876년과 1891년의 계룡산에 대한 왕실의 관심으로 현재의 중악단이 중건되었으나, 1903년 대한제국의 5악제도가 다시 마련되면서 중악의 대상이 달라졌다. 이로써 중악단의 국가제의는 사실상 1903년 이후는 중단되었을 것이고, 이후 일시 지방관의 치제나 아니면 민간화가 진전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계룡산 산신제의는 역사와 전통의 계승, 복원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너무나도 박편화되고 굴절된 것이 많다. 그리하여 복원보다는 다소 굴절되었을지라도 현전하는, 복구가 가능한 자료들을 기록화 하는 작업이 더욱 필요한 시기라고 생각한다. Mt. Gyeryong has its features in the cultural history, and they can be summarized in three categories including Mt. Gyeryong as the place for national religious services, Mt. Gyeryong as the sacred ground of Buddhist culture, and Mt. Gyeryong as the place with connections to the faith of Feng-shui Docham. The mountain received plenty of limelight in history during Jose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anings of its Shinsa and Jungakdan representing the mountain in that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history. In the study, the investigator delved into the original location of Gyeryongdan in relation to Jungakdan, the time when they were moved to the current locations of Shinwonsa and Jungakdan, the issue of the changing nature of Jungakdan with regard to the royal court at the end of Joseon, and the historicity and presentness of the restoration of the religious service for the god of Mt. Gyeryong currently in progress.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historical changes of Jungakdan at Mt. Gyeryong based on the various records of Shinwonsa and Jungakdan and looked into several questions raised by him in the process. Even though no clear answers were obtained due to data limitations, the investigator was able to trace the tradition and changing process of the Shinsa of Mt. Gyeryong, the predecessor of Jungakdan, and rediscuss the debate points that had not been figured out so far in the process.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as too much fragmentation and refraction in the current religious service for the god of Mt. Gyeryong in terms of the succession and restoration of history and tradition. Th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to fully record the nature, meanings, and processes of the current religious service for the god of Mt. Gyeryong that has been changed since the end of Joseon.

      • KCI등재

        정준상관 기반의 수량화분석에 의한 산사태 취약성 평가기법 제안

        채병곤,서용석,Chae, Byung-Gon,Seo, Yong-Seok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0 자원환경지질 Vol.43 No.4

        최근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 확률론적 방법에 의한 산사태 예측기법의 경우 전문적 지식을 기반으로 조사 및 분석이 이루어질 경우에만 분석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재해 발생상황에서는 통계분석을 통한 산사태 예측의 전문가뿐만 아니라 공무원, 지질공학자 등 통계적 전문지식을 갖지 않은 재해분야 담당자도 신뢰성 있고 간편한 방법으로 산사태 취약성을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전문가는 물론 비전문가도 쉽게 의미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정확한 분석을 통한 통계적 접근으로 신뢰성 높은 산사태 취약성 평가표를 개발하여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에 국내에서 산사태가 집중적으로 발생한 지역의 지질, 지형, 토질자료를 토대로 산사태 정준상관분석을 통한 수량화 기법을 이용하여 산사태 취약성 평가표를 개발하였다. 산사태의 현장자료와 실내시험자료를 바탕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영향인자 선정 및 인자별 급간 값을 설정한 것이다. 수량화 분석결과 산사태를 발생시키는 여러 인자 중 사면경사가 가장 큰 중요도를 가지며, 고도, 투수계수, 간극율, 암질, 건조밀도의 순서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평가항목별로 결정된 점수를 기준으로 평가항목 각각의 세부등급에 대한 점수를 할당하여 산사태재해 취약성 평가표를 개발하였다. 산사태재해 취약성 평가표를 이용하여 평가자는 평가대상 지점에 대해 각 평가항목별 해당 속성, 즉 세부등급을 선택하고, 선택된 각 속성별 평가점수를 더하면 산사태 취약성을 점수로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 결과를 토대로 GIS 기법을 이용한 산사태 예측지도 또는 취약성지도 등을 작성하여 활용할 수 있다. Probabilistic prediction methods of landslides which have been developed in recent can be reliable with premise of detailed survey and analysis based on deep and special knowledge. However, landslide susceptibility should also be analyzed with some reliable and simple methods by various people such as government officials and engineering geologists who do not have deep statistical knowledge at the moment of hazard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n evaluation chart of landslide susceptibility with high reliability drawn by accurate statistical approaches, which the chart can be understood easily and utilized for both specialists and non-specialists. The evaluation chart was developed by a quantification method based on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using the data of geology, topography, and soil property of landslides in Korea. This study analyzed field data and laboratory test results and determined influential factors and rating values of each factor. The quantification analysis result shows that slope angle has the highest significance among the factors and elevation, permeability coefficient, porosity, lithology, and dry density are important in descending order. Based on the score assigned to each evaluation factor, an evaluation chart of landslide susceptibility was developed with rating values in each class of a factor. It is possible for an analyst to identify susceptibility degree of a landslide by checking each property of an evaluation factor and calculating sum of the rating values. This result can also be used to draw landslide susceptibility maps based on GIS techniques.

      • KCI등재

        한ㆍ중 禪僧의 山居詩 비교

        김상일(Kim, Sang-il)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1 No.-

        이 논문은 전근대 한국과 중국의 禪僧들이 지은 山居詩의 유래와 양식성을 살펴 본 글이다. 산거시는 전근대 漢文문화권인 동아시아의 한 시양식이었다. 그것은 중국 康代에 출현하였고 宋-元-明代에 이르기까지 계속 창작되었다. 한국에서도 고려후기이래로 조선 말기까지 지속적으로 창작되었다. 산거시는 시대를 내려오면서 주로 禪僧들에 의해 창작된 禪詩의 하위 양식이 되었다. 특히 그것은 중국과 한국을 막론하고 주로 臨濟宗계의 선승들에 의해 창작되었다. 산은 선승들에게 세속과는 격절된 공간이고 修禪의 공간이었다. 산거시는 선승들이 이러한 산중 생활의 질박하고 탈속적인 감정과 禪的 체험에서 느끼는 禪悅을 읊은 시이다. 대부분의 산거시는 시비를 가리고 명리를 추구하는 세속 생활의 번잡함과 구속성은 산중 생활의 한가함과 해방성만 못하다는 방식으로 시상을 대조시키고 있다. 때문에 질박한 생활과 열악한 자연 환경 속에서도 선승들의 無碍ㆍ自在한 삶이 드러나 보이게 한다. 산거시의 이러한 양식성은 明의 憨山선사나 조선의 普雨선사의 산거시에서도 일반적인 원리로 작용한다. 다만 그들의 산거시는 주제나 제재면에서 서로 미묘한 차이를 드러낼 뿐인데 그것은 그들이 처했던 사회적 현실과 산중 생활 조건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산거시의 범 동아시아적 보편성과 특수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선불교가 전해졌던 일본이나 월남의 산거시문학에 대한 고찰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This paper will discuss the origin of Sangeoshi (山居詩) written by Seonseung (禪僧: a monk of Zen Buddhism) in the premodern era of Korea and China. It also talks about the form of Sangeoshi. Sangeoshi is one of the forms of poetry in the classical Chinese cultural area (漢文文化圈) during the premodern era. Sangeoshi has continued to appear in the whole history of Chinese since the Dang era (唐代). It was written by Korean from the latter part of Korea (高麗: It does not mean the republic of Korea) to the latter part of the Chosun (朝鮮). It was the subordinate form of Seonshi (禪詩: the written by Seonseung). Especially, it was written by Seonjoung of Limjaejong (臨濟宗: one of the factions of Seonjong 〈禪宗〉: Zen Buddhism). Sangeoshi is comprised of the story of Seonseung’s unworldly emotion and happiness in experience of Buddhist Zen. So, it tries to tell that fame and worth is more worthless than the sense of freedom and peace of mind in an unworldly lifestyle. This form generally appears in Gamsan (憨山)’s poem in Myung (明) and Bow (普雨)’s in Chosun. However, their poems appear a little different in the aspects of topic and of material in their different social situations and lifestyles.

      • ‘산해경’ 지리범주와 ‘조선’ 지리위치에 대한 연구 - 『神州的發現 山海經地理考』를 中心으로

        吳正敎 간도학회 2022 간도학보 Vol.5 No.1

        오늘날『산해경』에 나타난 지리 위치는 “우임금”이 황하 유역을 치수한 “구주(九州)”로 보았다. 하지만 “우임금”이 실제로 치산치수하여 정한 “구주” 지역은, 운남성(雲南省) 금사강(金沙江) 호도협(虎跳峽)과 장강제일만(長江第一灣 ) 유역의 강변 농토이다. 이 지역은 잦은 지진 때문에 호도협 입구에 돌무더기가 무너져 금사강 상류가 두절(杜絶)되어 범람하였다. “우임금”이 강으로 무너진 돌무더기를 다시 강변로 쌓아 올려(禹所導積石山), 끊어진 강줄기를 소통시키고, 호도협 입구와 장강제일만 사이의 금사강 구간을 “구주(九州)”로 정했다. 또한『산해경』에 기록한 여러 특이한 자연현상은 모두 운남성 서부지역에 집강시(麗江市) 옥룡설산(玉龍雪山)이며, “유연사방(有淵四方, 사각형의 호수)”은 대리시(大理市) 이해(洱海)이며, “투물첩연(投物輒然, 물건을 던지면 불이 솟아나는 화산)”은 등충현(騰冲縣) 등충화산군이며, “정립무경(正立無景, 정오에 태양 아래 똑바로 서면 그림자가 사라지는 현상)”은 경마현(耿馬縣) 맹정진(孟定鎭)이다. 만약 지금까지『산해경』에 대한 선행연구에 의거, 『산해경』이 황하 중심지역과 만주지역 및 한반도 북부를 기록한 신화서라고 인식하면, 위 4가지 자연현상은 이해할 수 없다. 하지만 위 4가지 자연현상은 운남 서부지역에서는 오히려 항상 일어난다. 거시적으로 운남성 서부지역이『산해경』지리범주인 것을 알 수 있다. “곤륜산”의 여러 산은 강줄기를 만들고, 사람들은 그 강줄기에 의지하며 나라를 세웠다. 그 나라는 오늘날과 같이 큰 규모의 나라가 아니라, 운남성 산간마을 단위이다.『산해경』에는 한국인이 선조국이라고 인식한 “조선(朝鮮)”이 려강시 옥룡설산 남쪽 속하촌(束河村)에 나라를 세웠다. 이밖에 “숙신국(肅愼國)”, “청구국(靑丘國)”, “군자국(君子國)”, “맥국(貊國)” 등이 운남성 서부지역에 나라를 세웠다고『神州的發現山海經地理考』에서 제기하였다. 즉 운남성 서부지역이『山海經』에 서술한 지명의 지리적 유사성에 주목하고 있다는 점이다. 『산해경』은 동양의 산천지리를 기록한 가장 오래된 역사지리서이다. 먼 시간의 흐름 속에서 옛 임금들의 치적의 역사는 신화와 전설이 되어 이어졌다. “곤륜산(崑崙山)”은 모든 산의 아버지이며, “곤륜연(崑崙淵)”은 모든 강의 어머니이다. 이 산과 강에 의지하며 살아간 사람들의 삶과 산천초목이 자라는 곳을 기록하였다. 따라서 진실한『산해경』지리범주를 밝혀 동양문화의 역사원형을 되찾아야 할 것이다. In contemporary interpretations, the geographical references in Shanhaijing (Classic of Mountains and Sea) are often associated with the “Jiuzhou (Nine Provinces)” that “King Yu” was believed to have governed in the Yellow River basin. However, the “Jiuzhou” area that “King Yu” actually did soil conservation and flood control was the riverside farmland between the Hutiao Xia of the Jinsha River and Changjiang Diyiwan (the First Bay of the Yangtze River) in Yunnan Province. Due to frequent earthquakes in the area, the upper reaches of the Jinsha River were cut off and flooded when a boulder collapsed at the mouth of the Hutiao Xia. “King Yu” piled the rubble that had fallen into the river back into the riverbank, reconnecting the disconnected rivers, and named the section of the Jinsha River between the mouth of the Hutiao Xia and Changjiang Diyiwan “Jiuzhou.” In addition, many of the unusual natural phenomena recorded in Shanhaijing are concentrated in western Yunnan. “Dongxiayouxue (Snow in Winter and Summer)” is Yulongxueshan in Lijiang City; “Yuexiangsabang (Jade Dragon Snow Mountain)” is Erhai in Dali City; “Tumulongnian (The volcanoes where fire erupts when objects are thrown)” are the Dengchong Volcanic Group in Dengchong County; and “Zhengliwujing (The phenomenon where shadows disappear when standing directly under the sun at noon, with no discernible outline or form)” is Mengzheng Township in Jingma County. If we recognize that Shanhaijing is a mythological book that records the central Yellow River region, Manchuria, and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previous research on Shanhaijing, the above four natural phenomena are incomprehensible. However, the above four natural phenomena rather occur all the time in western Yunnan. Macroscopically, we can see that western Yunnan belongs to the geographical category of Shanhaijing. The various mountains of the “Kunlun Mountains” form rivers, and people relied on those rivers to build a country. The country was not a large country as it is today, but a mountain village in Yunnan Province. The “Joseon Dynasty,” which Koreans recognize as their ancestral country, established a country in Sokha Village, south of Yulongxueshan in Lijiang City. In addition, “Suksinguk,” “Cheongguguk,” “Gunjaguk,” and “Maekguk” founded their countries in the western part of Yunnan, according to Shenzhoudefaxian: Shanhaijing Dilikao (The Discovery of Divine Land: A Geographic Study of Shanhaijing). In other words, the western part of Yunnan province is paying attention to the geographical similarity of the place names described in Shanhaijing. Shanhaijing stands as the oldest historical geography book, documenting the mountain and river geography of the East. Over the course of time, the histories of former kings’ achievements have become myths and legends. “Mount Kunlun” is the father of all mountains, and “Kunlun Yan” is the mother of all rivers. It recorded the lives of the people who depended on these mountains and rivers and the places where mountains and streams, plants and grass grew.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eal the true geographical categories of Shanhaijing to recover the original form of the history of Eastern culture.

      • KCI등재

        白頭山(長白山)和中,韓(朝鮮) 國境線 問題

        량대언 택민국학연구원 2011 국학연구론총 Vol.0 No.8

        白頭山은 우리 韓民族에게는 영원한 고향과 같은 민족의 發祥地이며 국가의 始原으로, 생명력을 지닌 민족의 聖山으로 崇仰되어 왔다. 역사적으로 보면 고조선 이후 夫餘, 高句麗, 渤海등의 나라들이 백두산을 근거로 하여 발전의 동력을 삼았고 민족 기상의 發揚의 근본으로 여겨왔던 것이다. 한편 이 백두산 주변 을 생활 근거지로 삼았던 肅愼,靺鞨, 女眞, 滿洲族등도 그네들의 發祥地내지 根據地라 여겨왔고, 심지어 신격화 전설화 등 그들의 나름대로 崇仰해 왔던 것도 사실이다. 이런 백두산은 풍수지리상 지세를 사람 몸에 비유하여 이해하기도 하는데, 백두산을 氣가 뭉쳐진 머리로 하여 韓半島가 형성되고 그 氣의 흐름이 낭림산맥-태백산맥-소백산맥- 노령산맥으로 이어져 백두산의 기가 전달되는 등뼈 의 역할을 하는 “白頭大幹” 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백두산은 기원926년에 契丹族에 의하여 발해가 멸망됨으로서 우리민족의 영역에서 벗어나 우리로부터 멀어져 갔다. 그 후로 부터는 故土回復의 전진 기지, 혹은 최전방 에 보이는 탈환의 고지 진지로 되어, 오랜 세월 우리민족의 마음속에만 간직된 잃어버린 터전에서, 되찾아야 될 옛 고향 땅이 되고 말았다. 한편 만주족의 淸도 이곳을 민족의 發祥地로 , 국가번영의 터전으로 하여 벼슬을 내리고 이름 마져 泰山,長白山이라 하면서 이 산의 정기를 받아 영원토록 번영의 길로 갈수 있다고 여겨 왔던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백두산은 우리 민족뿐 만 아니라 북방에서 明滅하던 東夷諸國의 정신적 고향 땅으로 활동의 주 무대가 되어, 이곳에 대한 국경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17세기 중엽 청나라가 수도를 북경으로 옮긴 이후 이 지역을 자신들의 근거지라 하여 타 민족의 접근조차 금하는 封禁政策을 실시하여 200여 년 간 어느 누구도 출입을 하지 못 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17세기후반 18세기 초 조선 사람들이 압록강, 두만강 을 넘어와 백두산인근 지역과 두만강 북안 지역을 개척하기 시작 하자 청은 그 당시국경도 확정 되지 못했던 백두산을 그들의 영역으로 귀속 시키려 했다. 1712년 白頭山定界碑를 세워 백두산에 관한 언급 없이 천지를 포함하는 넓은 산지를 자기들의 영토로 삼았고, 심지어 土門江에 대한 해석의 차이로 국경분쟁의 산물인 間島問題가 야기되었다. 그 이후日帝의 强占으로 우리의 국권이 상실된 시기에 독립운동의 據點으로 이용되기도 했고, 제2차 세계 대전의 종전으로 국권이 회복된 후에도 우리민족의 분단과 조선(북한)과 중국이 1962년에 조,중 변계조약에 의하여 백두산이 반분 오늘에 이르고 있다. 백두산의 역사와 명칭문제를 보면 처음 문헌에 등장한 것이 중국의 전국시대인 BC475년~AD 221년 사이에 쓰여진 지리지(山海經) 이다. 여기에 不咸山으로 등장한 이래 漢代單單大嶺으로, 남북조 시대 北魏에서는 개마대산, 당의 시대는 太白山이라 불렸고 , 고구려 시대 白山여진족의 금나라 시대인 1115년경부터 장백산이라 불렸다. 우리나라 문헌에서는 <삼국유사>에 처음 그 기록이 나오는데 신라31대왕인 신문왕(681-692)시기에 白頭山이란 기록이 처음등장 했고 , 그 후 고려시대와 조선조 4대왕 세종시기에 압록강 두만강을 회복 하면서 백두산을 다시 거론 했다. 근세에 와서는 중국의 청조 시기인 1712년 백두산 정계비와 관련된 문서와 중화민국, 만주국, 중화인민공화국초창기부터 1980년대 초까지 白頭山으로 표기되었고, 특히 1962년 조, 중 변계조약 및 1964년의 조,중변계조약 의정서에서도 백두산으로 표기되었다. 현재 중국에서는 1983년8월 덩샤오핑(鄧小平) 최고 지도자가 백두산을 등정 하고난 후 長白山이란 명칭과 天池라는 휘호를 쓰고 찬사를 남긴 이후 장백산으로 호칭 하게 되었고 공식문서에서도 장백산으로 표기되면서 실질적으로 백두산을 각각 반분하기에 이르렀다. 그리하여 우리와 중국에서는 각각 다른 이름으로 부르게 되고, 심지어 중국은 이 백두산을 세계의 명산으로 유네스코 자연 문화유산으로 등재를 서둘고 있다. 이 백두산의 관할문제를 보면 백두산의 주봉을 우리는 병사봉 이라 하고 그 높이를 2,744m 로 알고 있으며 조선(북한) 에서는 주봉을 將軍峰이라하고 높이를 2,750m, 심지어 중국에서는 주봉을 白頭峰, 그높이를 2,749.6m 이라고 파악하고 있으며 이웃일본은 우리와 같은 견해를 갖고 있다. 이산은 해발 2,155m 에는 9.15평방키로 미터에 이르는 天池가 있다. 이 천지는 조선(북한) 이 51%인 4.67평방키로 미터를, 중국이 49%인 4.48평키로 미터를 각각 소유하고 있다. 이 천지 주변에는 천지를 둘려 싸고 있는 해발 2,500m 이상 봉우리가 22개가 파악되고 있는데 그중 최고봉 병사봉(백두봉)을 비릇한 6개 가 조선(북한) 영역이고 중국측 최고봉인 백운봉을 비릇한 11개 가 중국의 영역이며 나머지 5개의 봉우리가 국경선 상에 있어 공동 영역으로 파악되고 있다. 현재 중국은 이 백두산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장백산이란 명칭으로 대대적인 개발과 아울러 많은 투자를 아끼지 않으면서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한 동안 우리가 거론한 “소위 백두산 공정” 등의 시비를 비껴 가기위한 대응책으로 장백산의 최고봉을 백운봉(중국영역11개중 최고 봉)(2,691m)이라고 하면서 백두산과 마치 별개의 산인양 명칭에 거리를 두고 있다. 특히 요즘에 와서 백두산 대폭발의 임박설 등으로 인하여 더욱 관심이 고조 되고 있는 백두산 문제는 우리 의 관심이 아닐 수 없고 영토문제 등 어려운 난제들이 복잡하게 얽혀있다. 白頭山於我等韓民族而言猶如永遠的故鄕,以其民族之發祥地、國家之起源、富於生命力的民族之聖山而備受崇拜與景仰。從歷史的觀點來看,古朝鮮以後,先後有扶余、高句麗、渤海等國將白頭山視作發展的原動力與發揚民族氣節的根本源泉。曾以白頭山周邊地區爲生存根據地的肅愼、靺鞨、女眞、滿族等也將其視爲他們的發祥地乃至根據地,甚至將白頭山進行神化,抑或傳說化。由此可見,他們也曾崇拜與景仰過白頭山亦是無可爭辯的事實。白頭山因其風水地理上的地勢獨特,常被比作人體來理解。白頭山是凝聚氣場的頭部,由此而延伸形成了韓半島。其氣場的流動走向爲狼林山脈→太白山脈→小白山脈→蘆嶺山脈相連,傳承著白頭山的氣場。因此被稱爲具有脊梁作用的“白頭大幹”。然而,白頭山於公元926年,隨著被契丹族所滅的渤海國的消失,白頭山從此脫離我們的民族所轄領域而漸行漸遠。正因如此,白頭山成爲了我們韓半島民族心中的隱痛。然而,這也只是在悠久的歷史長河中作爲曾經的故土留在了我們的民族心裏。曾幾何時,滿淸政府也曾將白頭山視作滿族的發祥地,國家繁榮的根基而派遣過戍邊大吏。甚至還稱其爲泰山、長白山。認爲擁有長白山的精、氣、神就能永遠繁榮而不衰。這樣的歷史也是曾經的事實。白頭山,不僅是我們的民族,在北方,時値明朝滅亡時,作爲東夷諸國精神上的故鄕,成了東夷諸國活動的主要舞臺。於是便産生了這壹地區的國界問題。十七世紀,淸政府把首都移至北京以後,認爲這壹地區是他們的根據地,實施了不許其□民族接近的“封禁政策”。200多年來,不許任何人進入白頭山。但是,到了十七世紀後期至十八世紀初,隨著朝鮮人跨過鴨綠江和圖們江,移居白頭山附近區域,開墾了圖們江北岸。於是,淸政府欲將還未確定國界的白頭山劃歸自己的領地,1712年立了白頭山定界碑。還未言及白頭山,就把白頭山包括天池在內的大片山地劃歸自己的領土。以至於因針對圖們江的解釋存有異議,造成了國境爭議,産生了間島問題。後來,由於日本帝國主義的强行占領,我國喪失國家主權時期,以白頭山爲獨立運動的據點。隨著第二次世界大戰的結束,卽使我國的主權得到了恢復,但是由於韓半島民族的分裂狀態,朝鮮(北韓)和中國於1962年簽訂了朝、中邊界條約,致使白頭山被劃爲如今的壹分爲二。從白頭山的歷史以及名稱演變上來看,最初記載的文獻是中國的戰國時期,卽BC475年~AD221年間撰寫的地理誌《山海經》。《山海經》裏把白頭山記載爲“不鹹山”、漢代爲“單單大嶺”、南北朝時期的北魏爲“蓋馬大山”、唐代爲“太白山”、高句麗時代爲“白山”、女眞族的金國時代,卽1115年前後才開始稱爲“長白山”。在我國文獻《三國遺事》中首次出現了相關記載。新羅第三十壹代王,卽神文王(681~692)時期,第壹次以“白頭山”名稱記載下來。此後,歷經高麗王朝和朝鮮四代王世宗時期恢復鴨綠江及豆滿江以來,又提到了白頭山。到了近代,自中國的淸朝時期1712年立下“白頭山定界碑”以來,中華民國、滿洲國、中華人民共和國初期直至1980年代初,在有關文書上依然記載爲“白頭山”。尤其是在1962年,朝中邊界條約以及1964年的《朝中邊界議定書》上也都以“白頭山”記載。1983年8月鄧小平攀登長白山以後,題寫“長白山、天池”以來,中國才開始使用“長白山”名稱,公文也正式采用了該名稱。由此白頭山實質上被各分壹半了。關於白頭山的主峰,我們稱之爲兵士峰,其高度爲2,744米;朝鮮稱其爲將軍峰,其高度爲2,750米。然而在中國則稱其爲白頭峰,其高度爲2749.6米。而日本則對此持有與我國相似的見解。白頭山頂上存在著海拔爲2,155米,面積爲9.15平方公裏的天池。該天池,朝鮮占51%,達4.67平方公裏;中國占49%,達4.48平方公裏。圍繞天池周圍聳立著海拔2,500米以上的22座山峰。其中,最高峰兵士峰(白頭峰)爲代表的6座山峰屬於朝鮮領土;中國壹側的最高峰白雲峰爲主的11座山峰爲中國領土。其余5座山峰處於國界上,屬於共同管轄。眼下,中國人對白頭山□關心,□以長白山的名義進行大量開發,也不惜大筆投資熱衷於對外廣告。中國方面爲了應對我們曾經關註過的所謂“白頭山工程”,將白頭山的最高峰稱爲白雲峰(屬於中國領土的11座山峰中的最高峰,2,691米),似乎與白頭山毫無關系似的,名稱上保持了壹定的距離。特別是到了最近,隨著白頭山火山大爆發的臨近說,對白頭山問題的關註達到了高潮。這無疑也是我們的重大關切。有關領土方面的問題更顯錯綜復雜.

      • KCI등재

        조선 후기 문인들의 『山海經』 認識과 受容

        김광년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7 일본학연구 Vol.52 No.-

        중국의 오래된 지리지이자 신화집인『山海經』은 오랜 기간 동아시아 사상, 문학, 풍속 등에 많은 영향을 미친 고전 작품이다. 『산해경』은 비교적 이른 시기에 우리나라에 전래되어 1700여 년 가까이 우리 문인들에게 읽히고 해석되면서 다양한 양상으로 수용되어 왔다. 본 논문은 특히 『산해경』이 다방면으로 활용되었던 것으로 생각되는 조선 후기에 초점을 맞추어, 조선 후기 문인들이 『산해경』을 어떻게 인식하고 수용하였는가를 검토하였다. 『산해경』은 이미 삼국시대에 우리나라에 전해져 영향력을 행사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삼국시대 인물들의 작품에서 『산해경』에 등장하는 인물이나 신, 괴수 등이 종종 등장하는 것을 그 증거로 들 수 있다. 조선 시대에 접어들게 되면 문인들은 이전 시대에 비해 더 적극적으로 『산해경』을 읽고 이에 대한 논의를 펼치며 관련 작품을 창작하는 등 활발하게 『산해경』을 수용하였다. 조선 후기 문인들은 『산해경』의 존재 의의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그 가치를 적극적으로 인식하는 한편으로, 『산해경』을 문헌 고증을 위한 참고 자료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성해응, 정약용, 홍양호 등 조선 후기에 훈고학과 고증학을 연구 방법으로 삼은 학자들에게서 『산해경』의 인용은 두드러지는 현상이었다. 한편, 문학적 측면에서 『산해경』은 ‘奇’와 ‘古’의 문체의 한 전범으로 인식되어 조선 후기 한문산문의 ‘기’와 ‘고’ 취향에 일조한 측면이 인정된다. Shanhaijing is an ancient classic with much influence on East Asia. It was introduced in the early stages of Korea, and accepted in various aspects as it has been read and interpreted over 1,700 years. This paper examined how the late Joseon Dynasty recognized and accepted Shanhaijing. Shanhaijing was introduced to Korea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It is evidence that the characters, gods and monsters appearing in the Shanhaijing appeared in the writing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During the Joseon Dynasty, writers actively read and discussed Shanhaijing and created works related to it.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people used to use Shanhaijing as references for historical research. In particular, scholars who studied bibliography and philology, such as Seong Hae-eung(成海應), Jeong Yak-yong(丁若鏞), Hong Yang-ho(洪良浩), cited it as a favorite quote. On the other hand, it was recognized as a model in the literary style of Qi(奇, strange) and Gu(古, Archaic), and thus contributed to the style of wri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후보

        내과계 중환자의 산 염기 장애 분석

        이승근 ( Seong Geun Lee ),정재훈 ( Jae Hoon Cheong ),김지은 ( Ji Eun Kim ),송상헌 ( Sang Heon Song ),안승재 ( Seoung Jae An ),이동원 ( Dong Won Lee ),이수봉 ( Soo Bong Lee ),곽임수 ( Ihm Soo Kwak )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3 No.4

        목적: 중환자에서 산 염기 장애는 매우 흔하며, 특히 대사성 산증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실제 중환자에서 대사성 산증 이외의 다른 산 염기 장애 및 둘 이상의 일차성 산 염기 장애가 존재하는 혼합형 산 염기 장애의 빈도도 높지만 이에 대한 평가는 아직 부족하다. 저자들은 내과계 중환자들을 대상으로 산 염기 장애의 유형 및 예후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내과계 중환자 중 후향적으로 분석이 가능했던 187명을 대상으로 산 염기 장애의 유형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비생존군과 생존군으로 나누어 양 군에서 산 염기 장애에 관련된 지표의 차이를 비교하였고, 예후와 관련된 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의 나이는 평균 61.7세였으며 사망률은 56.7%였다. 일차성 산 염기 장애만 존재하는 single disorders의 빈도는 25.1%, 두 개의 일차성 산 염기 장애가 존재하는 double disorders는 48.7%, triple disorders는 13.4%, 정상은 12.8%였으며, 대사성 산증의 빈도는 57.8%였다. 하지만 산 염기 장애의 종류에 따른 사망률의 차이는 없었다. 비생존군과 생존군을 비교하였을 때 pH (7.34 vs 7.41), 혈장 중탄산염(20.68 mmol/L vs 25.90 mmol/L), 세포외액 염기과잉(-5.19 vs 1.19), 음이온차이(18.57 mmol/L vs 13.77 mmol/L), 교정 음이온차이(23.63 mmol/L vs 17.96 mmol/L), 알부민(2.37 g/dL vs 2.73 g/dL), APACHE II score (20.7 vs 17.2)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으나(p<0.05),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analysis에서 APACHE II scores만이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내과계 중환자에서 다양한 산 염기 장애가 존재하며, 비생존군과 생존군 사이에 산 염기 장애와 관련된 지표들의 차이가 존재하지만 APACHE II scores를 제외하고는 통계적으로 예후에 영향을 주지는 못하였다. Background: Acid-base imbalances are common in critically ill patients; however, the incidence of acid-base imbalances in the medical intensive care units has not been fully determin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cidence and the type of acid-base imbalances in critically ill patients and we assessed which variables were associated with the patients` outcome. Methods: One hundred eighty-seven patients (122 men, age: 61.2±12.8 years) were enrolled. All the patients were admitted to the medical intensive care unit between January 2005 and December 2005. All the data sets included simultaneous measurements of an arterial blood gas with base excess, the serum electrolytes, the anion gap and the APACHE II scores. Results: The mortality rate was 56.7%. The incidence of acid-base imbalances was as follows: 25.1% were single disorders that existed with only a single primary acid-base imbalance, 48.7% were double disorders, 13.4% were triple disorders and 12.8% were normal (no disorders). The incidence of metabolic acidosis was 57.8% and the mortality rate was not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acid-base imbalanc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nonsurvivors and survivors according to the pH (7.34 vs. 7.41, respectively), HCO-3 (20.68 mmol/L vs. 25.90 mmol/L, respectively), ECF base excess (-5.19 vs. 1.19, respectively), the anion gap (18.57 mmol/L vs. 13.77 mmol/L, respectively), the corrected anion gap (23.63 mmol/L vs. 17.96 mmol/L, respectively), the serum albumin (2.37 g/dL vs. 2.74 g/dL, respectively), and the APACHE II scores (20.7 vs 17.2, respectively). However, on the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analysis, only the APAHCE II scores affected the patients` outcome. Conclusions: There were diverse acid-base imbalances in the critically ill patients and the incidence of metabolic acidosis was highest among the acid-base imbalances. The best predictor of the patients` outcome was the APACHE II scores.(Korean J Med 73:399-406, 2007)

      • KCI등재

        신자료를 통해 본 18세기 백두산(白頭山) 여행과 그 의미 ― 신광하(申光河)를 중심으로

        정우봉 ( Chung Woo-bo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7 大東文化硏究 Vol.100 No.-

        조선시대 백두산 산수유기 작품은 지금까지 대략 10여 편 정도 알려졌다. 이 논문에서는 그동안 학계에 알려지지 않았던 신자료 세 편을 새로이 발굴하였다. 우선 주목해야 할 작품은 震澤 申光河(1729~1796)의 『遊白頭山記』이다. 이 작품은 奇人型 인물로 전국의 산천을 여행하였던 震澤 申光河가 1783년에 쓴 것이다. 『震澤文集』 내 「北遊錄」과 「白頭錄」에 실린 한시를 위주로 연구가 진행되어 오던 것에서 벗어나 산문 형식으로 쓰여진 백두산 산수유기를 통해 보다 더 다양한 논의가 펼쳐 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논문에서는 신광하 관련 신자료를 소개하고 새로 발굴한 『유백두산기』를 중심으로 작품에 투영된 백두산의 표상과 그 의미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앞으로 백두산 산수유기 신자료 발굴을 계기로 백두산 및 북방 지역에 관한 다각적인 연구, 백두산을 포함하여 조선시대 산수유기에 관한 연구 등이 보다 더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신광하의 작품 이외에 또 하나 주목할 자료가 洪重一(1700~?)의 『白頭山日記』이다. 현재 독립기념관에 소장되어 있는 洪重一의 『白頭山日記』는 1712년 백두산 정계비 설치 이후 백두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1740년에 창작된 것이다. 백두산 정계비 사건 이후 쓰여진 백두산 산수유기 중에서 가장 이른 시기의 작품이라는 점에서 백두산 정계비를 둘러싼 논란에 대해 작가가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에 관한 인식의 추이를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한편 金肇彦이 쓴 『白頭山記』 또한 학계에 많이 알려져 있지 않은데, 이 자료는 李圭景의 『五洲衍文長箋散稿』에 일부 인용되어 전한다. In this paper, I explored and showcased travel journals covering Mt. Baekdu in the 18th century. So far, about 10 types of travel journals covering Mt. Baekduhave been reported. The paper uncovered three new documents that were unknown to the academic world. It is written by three people, Namely Sin Gwang-ha, Hong Jung-il, Kim Jo-won. Among them, the paper intensively analyzed the travel journals of Shin Kwang-ha. Before analyzing the travel journal to Mt. Baekdu, I introduced new materials related to Shin Gwang-ha. These new materials will greatly benefit from Sin Gwang-ha’s research in the future. I analyzed the symbols of Mt. Baekdu, which appeared in the travel journal of Mt. Baekdu. For Sin Gwang-ha, the shape of Mt. Baekdu is the extensiveness and the origin. I believe that analyzing prototypes of wrting style in landscape essays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literature history of landscape essays in the late Choson dynasty. Also, I expect that this kind of approaching could play a role in creating another methodology to analyze landscape ess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