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산속(産俗)의 변화 과정 탐색을 통한 유아교육적 의미 고찰

        김은주(金銀柱),전정미(全貞美)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아시아교육연구 Vol.13 No.3

        산속은 잉태하기를 비는 것에서부터 아기가 태어나 만 일년이 되는 돌까지의 과정에 있는 기원, 금기행사, 의례, 주술 등을 포괄하는 민속을 말한다. 본 연구는 한국 전통사회의 산속이 과도기와 현대를 거치며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살펴봄으로써 산속의 의미를 유아교육적 관점에서 재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통사회, 과도기사회, 현대사회의 산속의 변화 과정을 기자속, 산전속, 산후속, 육아속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우리나라 전통사회 산속은 자연의 순리에 순응하면서 매 순간순간 마음을 다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왔다. 과도기사회에서는 혼란스러웠던 시대 상황을 반영하여 가정 형편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산속이 행해져왔으나, 전통사회의 산속 문화를 크게 거스르지 않고 있었다. 이에 비해 현대사회의 산속은 과학과 의학기술의 발달로 인한 합리성과 논리성에 대한 강조로 인해 전통사회의 산속은 미신으로 치부되거나 필수가 아닌 선택 사항으로 전락하였다. 이로 인해 산속을 통해 계승되어온 전통사회의 생명존중이나 자녀양육에 대한 정신적 가치마저 단절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를 통해 서양식 교육방법에 치중하고 있는 한국 유아교육에 우리나라 전통 산속의 육아 지혜가 스며들 수 있는 초석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Custom of childbirth is Korean traditional custom of childbirth ranging from praying for pregnancy, wishing for the health of a baby till the first birthday party of the baby, taboos, ceremonies, and a charm. This study aimed at finding out the meaning of Korean traditional custom of childbirth by investigating how custom of childbirth has been changed during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the traditional society, and making preliminary data to secure the continuity of educating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and families.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this study took consideration of the changing process of custom of childbirth in the modern society by classifying it into custom of pregnant praying, custom of prenatal caring, custom of puerperium caring, and custom of childcare. Korean traditional custom of childbirth had been practiced appropriately in line with the order of life, following the laws of nature.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custom of childbirth had been practiced in various forms reflecting the situation of each family and the chaotic period. However, the practices were not totally different with traditional custom of childbirth. While, traditional custom of childbirth is being discounted as an old wives’ tale or considered as an option rather than a mandate as rationality and logicality become more important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medical technology. This made people cut traditional spiritual values like respect for life and child bearing which had been inherited in custom of childbirth. This study would be a corner stone to learn the wisdom of child bearing in Korean traditional custom of childbirth in a situation where too much child-bearing information makes families confused and only the western educational methods are considered as important.

      • KCI등재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산속(産俗) 문화 비교 연구

        투라예바 딜푸자(Turaeva Dilfuza),이수진(Lee Suj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3

        이 논문은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산속 문화에 대한 비교 연구이다.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은 지리상으로 멀리 떨어져 있지만, 같은 아시아 문화권에 속해 있으면서 중국 문화권의 영향을 받아 문화적으로 유사한 점이 많다. 산속은 오래전부터 각 민족의 삶의 방식과 믿음을 통해서 조상들로부터 전해 내려온 습속이다.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산속은 사회적으로 남아를 선호하는 가부장제 가족 제도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산속 연구를 통해서 양국의 민족성이나 사회성을 고찰해 볼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먼저 한국과 우즈베키스탄 산속이 전해져 내려오는 문화적 배경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국은 유교주의 영향을 받아 특히 16세기 남아를 선호하는 사상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우즈베키스탄의 경우 실크로드 교차지점에 위치하여 오랜 시간 다양한 문화와 교류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침략으로 고난과 역경의 시간을 보내며 남아 선호 사상이 강해졌다. 양국 모두 전통적으로 가부장제 가족제도를 형성해 왔으며 남아선호사상을 중시하였고, 이러한 사회적 구조 안에서 남아의 잉태를 기원하는 산속이 형성된 것을 보인다. 양국의 산속을 ‘기자속’, ‘산전속’, ‘산후속’으로 나누어 비교 고찰해 보았다. 양국 모두 아이를 갖고자 희망하는 여인들은 일정한 대상물을 향해 기도 기자속이 있는데, 그 방식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국에서는 잉태를 위하여 수목, 산신, 부처, 암석 등에 기도를 하며, 아들을 이미 출산한 집안의 삼신상이나 속옷, 금줄에 끼인 고추 등을 훔쳐 잉태를 기원하는 습속이 있는데, 우즈베키스탄에서는 다산한 임산부의 다리 밑을 지나가면 아이를 가질 수 있다고 믿었다. 방식에 차이는 있으나, 이미 출산한 부녀자에게 의지하여 아이 낳기를 기원하는 행위는 양국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기자속의 형태로 볼 수 있다. 산전속에서도 한국은 오리고기ㆍ닭고기ㆍ자라고기ㆍ토끼고기ㆍ생강ㆍ마늘ㆍ문어 등의 섭취를 금지하고, 우즈베키스탄에서는 낙타고기ㆍ토끼고기 등을 금기시 하여 금기 음식의 종류에는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산모가 보고 듣고 먹고 느끼는 것이 태아에게 그대로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여 그에 따른 음식이나 행위에 금기를 가했다는 점은 동일하다. 산후속도 한국이나 우즈베키스탄 모두 출산 직후 산모를 외부의 침입이나 악의 기운으로부터 차단하고 보호해야 한다는 인식이 강하게 드러난다. 한국에서는 고추나 청솔가지, 숯 등을 달아 외부와 차단하는 금줄을 달았고, 우즈베키스탄에서는 대문 앞에 칼을 매단 금줄을 달아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산속 문화를 비교하여 양국의 산속에 내포되어 있는 전통문화를 점검해 보았다. 향후 양국의 문화이해 및 교류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childbirth customs in traditional Korean and Uzbekistan culture. Even though Korea and Uzbekistan are geographically far apart, they remain a part of Asian civilization. Having been influenced by Chinese culture, these two distinct cultures retain some cultural similarities, such as in childbirth. Childbirth customs are inherited from our ancestors via learned lifestyles and beliefs. Childbirth customs in Korea and Uzbekistan favor patriarchal family systems, displaying a typical preference for sons over daughters. By comparing the childbirth customs between Korea and Uzbekistan, we can appreciate the nation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countries.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s from which the childbirth customs of these two countries have emerged. In Korean culture, where Confucianism was highly influential, a preference for boys emerged conspicuously in the 16th century. Uzbekistan as well, because of its unique location at the crossroads of an ancient trade route, the Silk Road, coupled with an extensive history of invasion from foreign forces, developed a cultural preference for boys. Thus, both countries have formed patriarchal family structures with boy preference customs. Given this social structure, both societies have formed various traditions that emphasize a desire to bear sons.

      • KCI등재

        문화 : 한국과 베트남의 산속 비교 연구

        호티투흐엉 ( Ho Thi Thu Huong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5 동양문화연구 Vol.21 No.-

        이 논문은 한국과 베트남의 산속 문화에 대한 비교 연구이다. 한국과베트남은 지리적으로 같은 동아시아지역에 위치해 있고 역사적으로 유교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산속은 인간의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가장 중요한 출생 의례 중의 하나이다. 한국과 베트남의 산속은 사회적으로 남아를 선하는 가부장제 제도가 뚜렷이 반영되고 있었다. 때문에 한국과 베트남의 전통 사회에서 산속이 가지고 있는 양국의 민족성, 사회구조 등을 좀더 자세히 탐구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먼저 한국과 베트남의 산속이 가지고 있는 민족적 특질, 민족성, 사회구조 등을 살펴보았다. 이를 ‘기자속(祈子俗)’, ‘산전속(産前俗)’, ‘산후속(産後俗)’, ‘육아속(育兒俗)’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기자속은 아들을 낳기 위해 효과가 있는 의례나 행동을 말하고, 산전속은 산모가 잉태해서 출산할 때까지의 임신기간 동안 지켜야 하는습속들이다. 산후속은 출산시와 출산후에 산모 및 신생아를 위해 지켜야할 습속이다. 육아속은 아이가 출생한 후 아이의 양육과 관련된 여러 가지 행사를 말한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양국 산속을 비교 고찰하며 양국의 산속에 내포되어 있는 사상이 현재의 정신문화뿐만 아니라 실생활 문화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양국의 산속에 나타난 남아선호사상, 신성수, 주술-종교적 이름 짓기, 아들의 사징, 아이의 행사 등의 공통점과 여러 특성의 차이에서 그 근원을 찾아 볼 수 있다. 기자속은 선행으로 아들을 얻으려고 하는 순수한 마음은 동일하지만 여기에 나타난신앙으로 보아서는 한국에서는 실질적으로 부처, 삼신에게 선행을 베푼데 비해서 베트남에서는 조상에게 선행을 베풀었다. 산전속은 양국에서 자연적, 공간적 금기를 두어 자연과 공간이 정상적이지 못할 때를 피했는데 한국의 산전속에서 샤머니즘인 요소가 나타나는 반면에 베트남의 산전속이 없었다. 산후속은 한국에서 아들과 딸의 상징을 구별하고 고추, 숯, 청솔가지를 표시법으로 사용하는데 베트남에서 아들과 딸을 구별하지 않고 파인애플이나 숯덩이로 표시했다는 점이 있다. 육아속은 양국에서 아이를 위해 여러 행사를 중심으로 하는데 행사를 치를 때 각국의 특별한 예물이 다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그 비교 결과를 통해 양국의 산속에 내포되어 있는 남아선호사상과 가족 공동체 인식, 아이의 출생 기쁨 표시, 통합의례, 민족의식 등의 문화적 의의를 제시하였다. This thesis does research on the comparison between childbearing customs in South Korea and Vietnam. Both South Korea and Vietnam are in Asia and greatly affected by Confucianism for a very long time. Childbearing custom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rituals in human life from being born to passing away. In South Korea and Vietnam, childbearing customs are clearly reflecting patriarchy, which appreciates the giving birth to a boy. Therefore, this research can help us understand more about ethnicity, social structure in traditional societies in both countries through childbearing customs. This research firstly learns about ethnic features, ethnicity, social structure... which are reflected in childbearing custom in South Korea and Vietnam. This thesis categorizes and researches in the order from the custom of praying for bearing a boy, before the childbearing, after the childbearing and during child raising process. The custom of praying for bearing a boy is any ritual oractions that can help bear a boy. The custom before the childbearing is any custom that pregnant women have to keep until the childbearing moment. The custom after the childbearing is any custom that the mother and the child have to keep during the childbearing moment and later. The custom during child raising process includes special occasions related to raising a child after his/her birthday.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about the comparison of childbearing customs in both countrie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onception included in these can affect not only temporary cultural and spiritual life but also daily cultural life. There are such several similarities as the mindset of giving birth to boys, mystery of religious naming, object symbols for the boy, special occasions... and the roots of differences in many characteristics... Regarding customs of praying for bearing a boy, both countries reflects the similarity in the pure heart with good actions for boybearing, but from a religious perspective, Korean people celebrate and do good things towards the Budda as well as Trikaya, while Vietnamese ones do towards their ancestors. In terms of the custom before the childbearing, two countries share natural and dimensional prohibitions, which means people stay away from bad natural or dimensional places .Moreover, the factor of shamanism model of primitive religion exists in the custom before the childbearing in South Korea, but not in Vietnam. With regards to the custom after the childbearing, there is a distinction in symbols of girls and boys with chilies, coal or cheongsolgaji in South Korea, whilst Vietnam witnesses few sexual distinctions, which are commonly symbolized by pineapples or coal. In the custom during child raising process, there are several special occasions for children in both countries, but with different typical offerings in each. In this research, its result reveals the cultural meaning, including the mindset of giving birth to boys, community awareness in the family, happiness expression of childbearing, general rituals, ethnicity... in the childbearing custom in both South Korea and Vietnam.

      • KCI등재

        한국(韓國) 고대(古代) 의료산속(醫療産俗)의 민간전승(民間傳承)과 사용양태(使用樣態) -단군신화(檀君神話)를 중심(中心)으로-

        김영완 ( Young Wan Kim ),문수정 ( Su Jeong Moon ),이상훈 ( Sang Hun Lee ),최선미 ( Sun Mi Choi ) 택민국학연구원 2012 국학연구론총 Vol.0 No.10

        단군신화에 관해서는 역사학·민속학·인류학·종교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음에도 고대 사회의 민중의 삶이 고스란히 반영된 일상생활 속 산속(産俗)에 관해서는 그 연구가 전혀 없는 실정이다. 산속을 통한 고대사회의 연구는 그 시대의 성격과 사상(思想)을 구명(究明)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가 될 수 있다. 산속은 여성이 임신해서 아기를 낳은 후 산모의 몸이 회복하는 단계까지를 가리키는 의례(儀禮)로써 크게 산전(産前)과 산후(産後)의례의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단군신화 속에는 이러한 산속의 방법으로 ‘쑥(艾)’이 상징적으로 표현되어 있어, 고대 사회에서 산모에 대한 의료법으로 쑥이 사용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고대 사회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여성의 출산에 따른 의료행위를 하나의 큰 틀에서 이해하는 것이 단군신화를 좀 더 전체적으로 파악하는데 의미가 있다. 고대 사회의 산속 의례는 오랜 경험을 토대로 축적된 지식을 바탕으로 한 산모의 치료법이었으며, 그 치료법은 여성들 사이에서만 가정 내에서 은밀하게 세대 간(世代間) 경험 및 구전(口傳)을 통해서 지금까지도 민간요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고대에서 지금까지 오랜 기간에 걸쳐 이어져 왔음에도 여성만의 은밀한 간호라는 점에서 구체성과 행위 자체가 드러나지 못했다. 신화는 우리에게 표면적으로 보여주는 것을 넘어 신화가 가지고 있는 그 이면에 숨겨진 것을 파악하고자 함에 그 의미가 있다. 신화가 가지고 있는 매력은 겉으로 드러난 것보다, 그 내용 속의 내재하여 있는 그 당시 사회문화의 일반적 양상을 파악하는 것이 좀 더 다양한 신화해석의 방법이 될 것이다. In spite of the fact that numerous researches on Dangun mythology have been carried out in diverse areas including history, folklore, anthropology and religion, there has not been any study on the childbirth folklore(産俗) in daily life that thoroughly reflects the lives of people in the ancient society as they are. Study of ancient society through childbirth folklore can be one of the methods of in-depth researching and disclosing the essence of matters and reasons for the characteristics and ideologies of the given era. Childbirth folklore refers to the rituals from the time of pregnancy to recovery of the birth-giving women following childbirth, and is divided largely into 2 rituals, namely, rituals prior to and following childbirth. ‘Mugwort(艾)’ has been symbolically expressed in the Dangun mythology as a method of such childbirth folklore, enabling us to presume that mugwort has been used in the medical treatment of birth-giving mothers in the ancient society. Therefore, understanding the medical practices for childbirth of women in a larger framework in understanding of the ancient society would be meaningful in overall assessment of the Dangun mythology. Childbirth folklore rituals in the ancient society were a treatment method for birth-giving mothers on the basis of the knowledge accumulated on the foundation of prolonged period of experiences, and these treatment methods are being used as folk remedy until now through passing down of experiences privately between the generations orally within the households among the women. However, in spite of the fact that such rituals have been continuing for long time from the ancient to current era, the substantiality and the behavior of these rituals have not been highlighted since it is a covertly practiced care only of women. Mythology has significance when what is hidden on the other side of the myth is assessed by transcending what is apparent on the surface of the myth. The appeal of mythology is the general aspects of the social cultures of the time that are inherent in its contents more so that what is apparent on its surface. Accordingly, assessment of such general aspects would be a method of more diversified interpretation of mythology.

      • KCI등재후보

        韓國 古代 醫療産俗의 民間傳承과 使用樣態 - 檀君神話를 中心으로 -

        김영완,문수정,이상훈,최선미 택민국학연구원 2012 국학연구론총 Vol.0 No.10

        In spite of the fact that numerous researches on Dangun mythology have been carried out in diverse areas including history, folklore, anthropology and religion, there has not been any study on the childbirth folklore(産俗) in daily life that thoroughly reflects the lives of people in the ancient society as they are. Study of ancient society through childbirth folklore can be one of the methods of in-depth researching and disclosing the essence of matters and reasons for the characteristics and ideologies of the given era. Childbirth folklore refers to the rituals from the time of pregnancy to recovery of the birth-giving women following childbirth, and is divided largely into 2 rituals, namely, rituals prior to and following childbirth. ‘Mugwort(艾)’ has been symbolically expressed in the Dangun mythology as a method of such childbirth folklore,enabling us to presume that mugwort has been used in the medical treatment of birth-giving mothers in the ancient society. Therefore, understanding the medical practices for childbirth of women in a larger framework in understanding of the ancient society would be meaningful in overall assessment of the Dangun mythology. Childbirth folklore rituals in the ancient society were a treatment method for birth-giving mothers on the basis of the knowledge accumulated on the foundation of prolonged period of experiences, and these treatment methods are being used as folk remedy until now through passing down of experiences privately between the generations orally within the households among the women. However, in spite of the fact that such rituals have been continuing for long time from the ancient to current era, the substantiality and the behavior of these rituals have not been highlighted since it is a covertly practiced care only of women. Mythology has significance when what is hidden on the other side of the myth is assessed by transcending what is apparent on the surface of the myth. The appeal of mythology is the general aspects of the social cultures of the time that are inherent in its contents more so that what is apparent on its surface. Accordingly, assessment of such general aspects would be a method of more diversified interpretation of mythology. 단군신화에 관해서는 역사학·민속학·인류학·종교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음에도 고대 사회의 민중의 삶이 고스란히 반영된 일상생활 속 산속(産俗)에 관해서는 그 연구가 전혀 없는 실정이다. 산속을 통한 고대사회의 연구는 그 시대의 성격과 사상(思想)을 구명(究明)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가 될 수 있다. 산속은 여성이 임신해서 아기를 낳은 후 산모의 몸이 회복하는 단계까지를 가리키는 의례(儀禮)로써 크게 산전(産前)과 산후(産後) 의례의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단군신화 속에는 이러한 산속의 방법으로 ‘쑥(艾)’이 상징적으로 표현되어 있어, 고대 사회에서 산모에 대한 의료법으로 쑥이 사용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고대 사회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여성의 출산에 따른 의료행위를 하나의 큰 틀에서 이해하는 것이 단군신화를 좀 더 전체적으로 파악하는데 의미가 있다. 고대 사회의 산속 의례는 오랜 경험을 토대로 축적된 지식을 바탕으로 한 산모의 치료법이었으며, 그 치료법은 여성들 사이에서만 가정 내에서 은밀하게 세대 간(世代間) 경험 및 구전(口傳)을 통해서 지금까지도 민간요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고대에서 지금까지 오랜 기간에 걸쳐 이어져 왔음에도 여성만의 은밀한 간호라는 점에서 구체성과 행위 자체가 드러나지 못했다. 신화는 우리에게 표면적으로 보여주는 것을 넘어 신화가 가지고 있는 그 이면에 숨겨진 것을 파악하고자 함에 그 의미가 있다. 신화가 가지고 있는 매력은 겉으로 드러난 것보다, 그 내용 속의 내재하여 있는 그 당시 사회문화의 일반적 양상을 파악하는 것이 좀 더 다양한 신화해석의 방법이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과 몽골의 산속 비교 연구

        떠르지 재벤(Dorj, tse-veen),구사회(Koo, sa-whae)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6

        이 논문은 한국과 몽골의 산속을 ‘기자속’, ‘산전속’, ‘산후속’으로 구분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본 것이다. 출산의례라고도 하는 산속은 오래 전부터 민족마다 자신들의 선조로부터 전해 내려온 출산과 관련된 의례를 담고 있는 습속이다. 각 나라 전통 사회는 그 사회의 민족적 특질, 민족성, 사회 구조, 사상 등을 반영하게 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국과 몽골의 산속에 나타나는 특징은 차이를 통해 찾아 볼 수 있다. 한국의 출생의례는 절 ,지성과 같은 기자속은 물론이고, 산전속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태몽에 대한 내용이 많다. 반면에 몽골의 출생의례는 산전속에서는 임산부들이 가지는 음식과 행위와 관련된 금기어가 많으며 태어난 아이에게 이름을 지어주는 내용이 많은 편이다. 한국과 몽골은 아들을 얻으려고 하는 순수한 마음은 비슷하다. 산후속은 한국에서 아들과 딸의 상징을 구별하여 표시했는데 몽골에서 아들과 딸을 구별하지 않고 표시했다는 점이다. 육아속은 양국에서 아이를 위해 여러 행사를 중심으로 하는데 행사를 치를 때 가국의 특별한 예물이 다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한국의 경우 육아속은 백일날 배냇머리를 자르는 의식과 출생 후 일주년을 기념하는 돌날 까지를 말한다. 이에 비해 몽골의 육아속은 출생 후 3년 후에 비로소 배냇머리를 자르는 의례를 행하기 때문에 한국에 비해 길다. 한국의 출생의례를 보면 역신을 속이기 위하여 천한 이름으로 아명을 지어주는데, 몽골의 경우도 이와 유사하게 역신을 기만하고 속여서 역신으로부터 어린 아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동식물의 이름이나 혐오스럽고 이상한 이름을 지어주기도 한다. 이러한 행위는 어린 아이가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통합하기 위하여 거쳐야만 하는 통과의례의 전이 단계인데 한국과 몽골의 출생의례에서 공통적인 민속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을 통해 한국과 몽골의 산속을 비교하면서 양국의 전통문화를 점검하고 한국과 몽골의 민속 문화만이 지닐 수 있는 상호간의 문화적 친영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study analyzes common and different points of Sansok in Korea and Mongolia by classifying it into Gijasok, Sanjeonsok and Sanhusok. From the past, Sansok is a tradition that contains ancestral ritual on the lifestyle and belief of each nation. It is confirmed that Sansok in Korea and Mongolia reflected national characteristics, national identity, social structure and idea. The birth ritual in Korea has many contents on dream of the forthcoming conception of a baby as a key of Sanjeonsok as well as Gijasok like Chiseong. To the contrary, it was Sanjeonsok in Mongolia that has many taboos related to foods and behaviors of pregnant women. Both Korea and Mongolia are Gijasok having a notion of preferring a son to a daughter. As Sanhusok, in Korea the symbols of boy and girl were separated, but in Mongolia, it was not identified. Yukasok focuses on various events for children in both countries and the presents for event were different. In the birth ritual in Korea, child name was used to be devised in a humble name to protect child from Yeoksin. It was similar at Mongolia and they used to name the child in the name of animal or plant in a bizarre or horrible term. This study could find the affinity of both cultures by comparing culture of Sansok in Korea and Mongolia.

      • KCI등재

        젠더적 시각에서 본 산속(産俗)과 산모(産母)

        염희재 비교민속학회 2023 비교민속학 Vol.- No.77

        This study tried to shed new light on childbirth custom from childbearing to post-partum, focusing on mother who was involved in childbirth through a gendered approach. To this end, based on cases collected nationwide through field research, this study focuses on women’s independent behavior and femininity included in each stage dividing into prayer rite for having a baby and pregnancy, the birth room as a space for childbirth, the god of childbirth, and prenatal care.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research significance of the gendered approach to childbirth custom. Observing taboos given to mother was her independent effort to conceive and give birth to a healthy child. The prayer rite for having a baby was an act of faith derived from the mother’s belief that new life comes from a supernatural being, not from a sexual union between a man and a woman. In addition, the mother’s attempt to follow the taboo given to her was an act to accept the rules handed down within the community and be accepted as a member of a new family. The birth room where delivering takes place was a space where femininity was maximized. The birth room was a boundary space between life and death, and in this space, with the help of the birth god and other midwives, mother endured pain and anxiety of childbirth. The fact that midwives were predominantly female stemmed from women’s ability to purify. In addition, women who gave birth in this boundary area felt pleasure and confirmed their femininity themselves. This vitality of women maximized in the birth room led to women’s spiritual power. Hanging up the straw rope after childbirth was to give the mother a period of recovery to return to a housewife. A woman who was in postpartum care in a sanctuary space through hanging the straw rope complied with various taboos so that her body could be completely restored. It was her duty as a woman to restore a healthy body through postpartum care and return to the family and community. Pregnancy and childbirth were women’s unique domain, and in that they were acts for the continuance of society, it was also a part connected to the status of women in the community. Numerous taboos and religious acts accompanying this process were, in the end, women’s independent acts to deliver healthy babies and return to the community, as well as to confirm their femininity. In the end, women’s spiritual power was recognized in that only women could have and deliver babies, which led to the right of housewives. 본 연구는 산속(産俗)에 대한 젠더적 접근을 통해 출산의 당사자였던 산모에 초점을 맞추어 임신부터 출산 후까지의 산속을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지조사를 통해 전국적으로 수집된 사례를 바탕으로 기자와 임신, 출산공간으로서의 산실(産室)과 산신(産神) 그리고 산후의례로 나누어 각 단계에 내포된 여성의 주체적 행위 및 여성성을 살펴보고, 산속에 대한 젠더적 접근의 연구 의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자 행위와 산모에게 주어진 금기를 따르는 것은 건강한 아이를 임신하고 출산하기 위한 산모의 주체적인 노력이었다. 기자 행위는 새로운 생명이 남녀의 성적결합이 아닌 초자연적 존재에게서 온다는 산모의 믿음에서 비롯된 신앙 행위였다. 산모가 본인에게 주어졌던 금기를 따르고자 한 것은 공동체 내에 전해 내려오는 규칙을 수용하고 새 가족의 구성원으로 거듭나기 위함이었다. 분만이 이루어졌던 산실은 여성성이 극대화된 공간이었다. 산실은 삶과 죽음의 경계공간이었으며 이 공간에서 산신 및 다른 산파의 도움을 받아 분만의 고통과 불안을 감내했다. 산파가 주로 여성이었던 것은 여성이 지닌 정화능력에서 비롯되었다. 또한, 이 경계영역에서 출산해낸 여성은 쾌감을 느끼며 스스로 여성성을 확인하였다. 산실에서 극대화되는 이러한 여성의 생명력은 곧 여성의 영력으로 이어졌다. 출산 후에 금줄을 치는 것은 산모가 여성 혹은 주부로 돌아가기 위한 회복의 시간을 보내게 하는 것이었다. 금줄을 통해 성역화된 산실에서 산후조리를 하는 여성은 신체를 완전히 회복할 수 있게 다양한 금기를 준수하였다. 산모에게는 산후조리를 통해 건강한 몸을 회복하여 가정 혹은 공동체로 복귀하는 것이 여성으로서의 본분을 다하는 일이었다. 임신과 출산은 여성의 고유한 영역이었으며 좁게는 가족, 넓게는 사회의 존속을 위한 행위였다는 점에서 여성의 공동체 내 지위와도 연결되는 부분이었다. 이 과정에서 동반되는 수많은 금기 및 신앙적 행위들은 결국 건강한 아이를 출산하고 공동체로 복귀하기 위한 여성의 주체적 행위이자 여성이 본인의 여성성을 확인하는 일이었다. 결국, 임신과 출산을 오로지 여성만이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성의 영력이 인정되며 이는 곧 주부권으로 이어지기도 하였다.

      • KCI등재

        제주도 전통 산속(産俗)의 의미 이해

        이경화(Lee Kyeong-Hwa)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9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18

        This study interprets the meaning of traditional childbirth of Jeju in the context of its traditional cultural value. The data in the study contain traditional customs childbirth in Jeju through interviews with elder women. Interviewees in the study are 134 elder women over 60 who were born, and had the experiences of parturition and nurturing. Semi-standardized individual interviews were made to these women asking their experiences of childbirth. These interview materials were, first demographically quantified, and analyzed in the seven areas of views of child-care, prenatal caring, methods of parturition, incantatory prescription of parturition, management of a woman in childbed, management of new-born baby, and childbirth anniversary ceremony. The study reveal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ultural childbirth in Jeju: First, traditional customs of childbirth in Jeju are labor-oriented self-reliance culture. Second, traditional customs of childbirth in Jeju are community-oriented culture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whole family and local people. Third, traditional customs of childbirth in Jeju are psycho-therapeutic culture utilizing Simbang and incantation.

      • KCI등재
      • KCI등재

        산속 헬스장에서 운동하는 노인의 경험 탐구

        양가현(Yang, Ka-Hyun),정경환(Jung, Kyunghwan),원영신(Won, Young-Shin)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21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34 No.2

        연구의 목적은 산속 헬스장에서 운동하는 노인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구하여 노인의 체육활동에 대한 학술적 인식을 확장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질적연구의 한 전통인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자는 예비조사를 통해 산속 헬스장 현황을 파악하였고 실제 현장조사를 통해 S구에 위치한 산속 헬스장 두 곳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두 곳의 산속 헬스장에서 2020년 4월부터 11월까지 참여관찰을 진행하고 산속 헬스장을 이용하고 있는 8명의 노인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노인이 그들의 생활세계에서 경험한 산속 헬스장에서 운동 체험의 의미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산속 헬스장의 형성과 유지는 ‘자율적 동기’에 의해 이루어졌다. 산속 헬스장은 생활체육 공간의 부족이라는 제약 속에서 운동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개척한 공동의 운동장소이다. 산속 헬스장 이용은 중년기 이후 찾아온 신체적 노화를 극복하기 위해 자율적으로 이루어졌고 야외 운동이 가진 매력과 다른 장소에서 운동했을 때의 불편한 경험이 산속 헬스장을 지속적으로 이용하게 된 중요한 동기로 작용하였다. 둘째, 산속 헬스장은 ‘주체적 참여의 장’으로 연구참여자들은 자발적으로 산속 헬스장의 시설을 함께 관리하며, 운동 효과에 대한 지식과 운동 목적에 대한 이해를 가지고 웨이트트레이닝을 비롯한 다양한 운동 종목에 참여하고 있었다. 또한 꾸준히 운동에 참여해야 한다는 신념과 강한 의지로 운동 참여를 지속하고 있었다. 셋째, 체육 참여 공간으로서 산속 헬스장은 ‘상호 교류의 장’으로서 역할을 하였다. 산속 헬스장의 회원들은 운동이라는 공통의 목적과 관심사를 토대로 형성된 연대감으로 친목을 도모하며, 정보교류의 장으로써 활발한 운동 지식공유를 통해 서로의 발전을 도모하였다. 또한 외부인에게도 친절한 분위기를 형성하여 신규 회원을 유입하는 개방적 소통 문화를 가지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산속 헬스장은 자율과 주체의 장이자 상호 교류가 이루어지는 공간으로서 노인체육 문화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노인체육의 질적 성장을 위한 정부정책 방향성 마련에 있어서 중요한 함의를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academic awareness of sports for old adults by exploring their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exercise at the outdoor fitness club in a mountain. This study was applying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fter conducting the first preliminary on-site survey, two mountain fitness clubs actively used by the elderly were selected, and field note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wer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selecting eight elderly who are using the outdoor fitness club in a mountain actively and steadily as the study participants. The research period is from April to November 2020.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research and exploration are as follows. Firstly, the outdoor fitness club in a mountain was formed and maintained by ‘autonomous motivation’. The outdoor fitness club in a mountain is a joint sports place that people who like sports gathered and pioneered under the constraints of lack of space for living and sports. The use of the outdoor fitness club in a mountain was made autonomously in to overcome the physical aging that came after middle age, and the attractiveness of outdoor exercise and the uncomfortable experience of exercising in other places served as an important motive for continuing to use the outdoor fitness club in a mountain. Secondly, the outdoor fitness club in a mountain acts as a "place for independent participation". The elderly participants voluntarily manage together the facilities of the place, and participate in various sports events including weight training, with knowledge of exercise effects and an understanding of their own exercise purposes. In addition, they continued to participate in the movement with a strong will and the belief that he should continue to participate. Thirdly, as a space for participation in sports, the outdoor fitness club in a mountain served as a ‘place for mutual exchange". Members of the outdoor fitness club in a mountain promote friendship with a sense of solidarity based on the common purpose and interests of exercise and form an atmosphere of kindness to outsiders, which leads to the influx of new members. In addition, the outdoor fitness club in a mountain promotes the development of each other through active exercise knowledge sharing as a venue for information exchange. In conclusion, the outdoor fitness club in a mountain, as a place for autonomy and independence as well as space for mutual exchange,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e elderly sports culture and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in preparing the government direction for qualitative growth of the sports policy for older ad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