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박지영,손영우 한국감성과학회 2018 감성과학 Vol.21 No.2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dividual's subjective social status on meaning of work. We hypothesized that individual's subjective social status, defined as the respect and influence an individual has at her/his workplace, would promote meaning of work. Further, we hypothesized that individual's subjective social status would be more highly associated with meaning of work based on her/his occupation's subjective social status. Using two experimental studies, we found that individual's subjective social status increased meaning of work in American (Experiment 1) and South Korean working adults (Experiment 2). Participant's meaning of work was more influenced by individual subjective social status than occupation subjective social status (Experiment 1). Also, the results from Experiment 2 indicated that objective social status within an organization (i.e., rank) moderated the effects of individual subjective social status on meaning of work, such that the beneficial effects of individual subjective social status on meaning of work were found only for participants with low objective social status. In contrast, meaning of work in participants with high objective social status did not vary depending on subjective social statu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study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주관적 사회적 지위를 한 개인이나 조직이 갖는 존경과 영향력으로 정의하고,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높을수록 일의 의미를 높게 지각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또,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는 개인이 속한 직종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보다 일의 의미 향상에 더 큰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측하였고 두 개의 실험을 통해서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 미국 직장인을 대상으로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와 직종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실험 2에서는 한국 직장인을 대상으로 해당 가설을 반복 검증하고, 조직 내 객관적 사회적 지위인 계급에 따라 조직 내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이라는 가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과 미국 직장인 모두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높을수록 일의 의미를 높게 인식했다. 또,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는 직종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보다 일의 의미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실험 1). 실험 2에서 객관적 사회적 지위인 계급에 따라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는데, 객관적 사회적 지위가 낮은 경우에는 개인이 조직 내에서 존경을 받고 영향력이 있다고 생각할수록 일의 의미가 향상되었지만, 객관적 사회적 지위가 높은 경우에는 조직 내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한계와 미래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지각된 사회적 지위와 상황의 상호작용이 웃음 이모티콘(^^) 의미 판단에 미치는 효과

        이국희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3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7 No.3

        본 연구는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웃음 이모티콘(^^)의 의미 판단에 있어 문자 수신자가 평소 지각하는 사 회적 지위와 문자 수신 상황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한 실험 1은 설문문항 을 통해 지각된 사회적 지위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을 구분한 후, 성취와 같은 긍정적 상황에서 웃음 이모티콘이 포함된 문자를 받았을 때 혹은 실패와 같은 부정적 상황에서 웃음 이모티콘이 포함된 문자를 받았을 때 문자에 포함된 웃음 이모티콘이 긍정적 의미인지(미소)아니면 부정적 의미인지(조소) 판단하게 하였다. 이어지는 실험 2는 실험 1에서 관찰한 결과의 인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이루어졌고, 이에 따라 사회적 지위가 낮은 집단(자신보다 사 회적 지위가 월등히 높은 사람 상상)과 높은 집단(자신보다 사회적 지위가 매우 낮은 사람 상상)을 실험실에서 조 작한 후, 실험 1과 동일하게 웃음 이모티콘 의미 판단 과제를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지각된 사회적 지위가 낮은 집단은 높은 집단에 비해 웃음 이모티콘의 의미를 부정적으로(조소와 조롱) 판단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 었다(실험 1과 실험 2). 또한 지각된 사회적 지위가 낮은 집단은 긍정적 상황(성취)에서 받은 웃음 이모티콘도 다 소 부정적으로 판단하는 반면, 지각된 사회적 지위가 높은 잡단은 부정적 상황(실패)에서 받은 웃음 이모티콘도 다소 긍정적으로 판단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실험 1과 실험 2). 본 연구는 불특정 다수에게 이모티콘이 포함된 온라인 메시지를 보내는 상황 및 낮은 사회적 지위의 사람을 상담하거나 지도하는 사람들에게 시사점을 줄 것으 로 보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how the social status that the instant message recipient usually perceives and the message reception situation affect the meaning of the smiley emoticon(^^) included in the instant message. Experiment 1 divided the participants into a group with a low perceived social status and a group with a high perceived social status through questionnaires. Then, the participants imagined when they were given an instant message with a smiley emoticon in a positive situation, such as achievement, or when they received the same message, in a negative situation, such as failure. Shortly thereafter,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judge whether the smiley emoticon included in the instant message had a positive meaning(smile) or a negative meaning(taunt). Accordingly, in Experiment 2, a group with low social status(imagine a person with a significantly higher social status than oneself) and a group with a high social status(imagine a person with a very low social status than oneself) were operated in the laboratory. Except for this, the rest of the procedure was the same as in Experiment 1. As a result,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group with low perceived social status tended to judge the meaning of smiley emoticon negatively (with ridicule and taunt) compared to the group with high perceived social status (Expt. 1 and Expt. 2). In addi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group with low perceived social status judged smiley emoticon received in positive situations somewhat negatively, while those with high perceived social status judged smiley emoticon received in negative situations somewhat positively(Expt. 1 and Expt. 2). This study is expected to have implications for situations in which online messages containing emoticons are sent to unspecified people and those who counsel or guide people of low social status.

      • KCI우수등재

        우리는 무엇을 통해 사회적 지위를 결정하는가? 지위의 인식에 있어서 사회 계층 간 차이

        홍승범,김보경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7 No.1

        An emerging literature suggests that people have basic needs for social status which is defined as one’s comparative social ranking in terms of social esteem an respect. Building on the literature, the present research examined social class differences in the relative importance of internal vs. external attributes of social status. The results from two studies showed that external attributes such as income and economic conditions are relatively more important for lower-class individuals, whereas internal attributes such as attitudes and elegance are relatively more important for higher-class individuals. Specifically, in Study 1, social clas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perceived importance of external attributes in determining social status and yet,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lative importance of internal attributes over external attributes. In Study 2, lower-class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ir social status was higher when they believed that external criteria of social status were met than when they believed that internal criteria of social status were met. In both studies, subjective social class showed stronger effects than objective social class.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one’s perception of social status systematically varies as a function of social class. 사회적 지위란 조직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부여하는 사회적 가치에서의 위상으로 정의되며, 사람들은 이러한 사회적 지위를 추구하려는 기본적 욕구를 지니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사람들이 사회적 지위를 추구할 때, 경제적 여건 같은 외적 조건과 품위 같은 내적 조건 중에서 어떤 것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지에 대한 사회 계층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소득이나 경제적 여건 같은 사회적 지위의 외적 조건은 상대적으로 하위 계층의 사람들에게 중요하게 여겨지는 반면, 품위와 교양 같은 사회적 지위의 내적 조건은 상위 계층의 사람들에게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연구 1(N = 204)에서 외적 조건의 중요성은 사회 계층과 부적 관계를 보였으나 내적 조건에 대한 상대적 선호는 사회 계층이 올라갈수록 증가하였다. 연구 2(N = 160)에서 하위 계층의 참여자들은 내적 조건이 점화되었을 때보다 외적 조건이 점화되었을 때 본인의 사회적 지위를 더 높게 평가하였다. 또한 이런 결과들은 사회 계층에 관한 객관적 지표보다는 주관적 지표를 분석에 사용했을 때 더욱 명확히 관찰되었다. 종합하면,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사회적 지위에 대한 인식이 사회 계층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 KCI등재

        일반논문 : 법학교육기관 조직지위와 법률직역에서 사회적 자본의 역할

        김영규 ( Young Kyu Kim ),김화리 ( Fary Kim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6 法學硏究 Vol.26 No.1

        법학전문대학원을 도입한 주요 목적 중 하나는 법조계의 인적 구성을 다양화하는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목적이 잘 달성되었는지를 검토하고 법학전문대학원도입이 법률서비스의 경쟁력 강화 및 사회 후생 증대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사회적 자본 축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학교 간 학생교환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법학전문대학원의 위계화에 관해 살펴보았다. 지위가 높은 학교의 학부를 졸업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지위의 법학전문대학원으로 진학하는 경우가 그 반대의 경우보다 많았으며, 지위가 높은 학교일수록 본교 출신 학부생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지위는 기존 사법고시 합격생 배출 성과와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형성된 법학전문대학원의 조직지위가 실제로 졸업생들의 취업 탐색 및 선택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부분 법조인들이 출신 법학전문대학원의 명성이나 순위와 같은 조직지위는 취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데 동의하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낮은 조직지위의 법학전문대학원을 졸업한 법조인들은 네트워킹을 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학교 외 모임 참여 등을 통해 사회적 자본을 개발하려고 노력함을 알수 있었다. 한편, 대형로펌에 취업한 변호사들을 대상으로 전공 및 출신학교의 다양성을 분석해 본 결과, 동일한 시기에 입사한 사법연수원 출신 변호사들과 비교해 법학전문대학원 출신 변호사들의 전공이 더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인 및 커뮤니티 차원의 사회적 자본 형성에 긍정적인 평가를 할 수 있었다. 출신학교 다양성 측면에서는 조직지위가 높은 법학전문대학원 출신 변호사들이 대형로펌에서 일하는 비율은 이전 사법시험시대에 비해 큰 변화가 없었지만, 법학전문대학원 체제를 통해 상대적으로 지위가 낮은 법학전문대학원도 대형로펌에 취업한 동문의 수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었다. 법조인들이 출신 법학전문대학원 동료들에게 긍정적 평가를 한 것을 고려하면 이러한 동문 증가가 해당 법학전문대학원의 사회적 자본으로 기능할 것을 예상해 볼 수 있다. 다만 사회적 이동 측면에서 여전히 한계는 존재하는것으로 보이는 증거도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향후 법률직역의 발전을 위한 사회적 자본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책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In Korea, one of the main purposes of introducing the law school system was to increase diversity in the legal profession.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law school system has actually increased the diversity in majors as well as alma mater, and has positively affected accumulation of social capital, which promotes service competitiveness as well as social welfare. This study first analyzes inflows and outflows of students among schools and finds evidence of stratification among law schools. As expected, high-status schools have more outflows to than inflows from low-status schools and prefer to select their own undergraduate students. The organizational status appeared in this student exchange network is overall consistent with prior performance under the pre-law school system. Then, this study investigates how law school status affects job search and selection behavior of law school graduates. While most law school graduate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aw school status in their job search performance, graduates from lower-status law schools are more active in building social capital outside of their law schools to make up their potential disadvantages due to their law school status. Then, this study analyzes lawyers’ educational background such as majors and alma mater working in the 10 most largest law firms. The finding suggests that law-school graduates are more diverse in their undergraduate majors than non law-school graduates who passed the traditional bar exam. The increased diversity is expected to positively affect social capital accumulation not only at the individual level but also at the community level. In terms of alma mater, the proportion of high-status school graduates stays at the similar level as before, due to the system, low status schools can have more alumni in the large law firms. Given that most law school graduates positively evaluate peers in their law school years, these graduates may function as an important social capital for those law schools. However, it seems that social mobility is still limited in that the return to status is still inevitable. This study is believed to provide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that can help build social capital for the benefit of Korean legal profession in the future.

      • KCI등재

        역할부여와 또래지원이 발달장애 대학생의 사회적 지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Role-Making and Peer Supports on the Social Status of Colleg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김대룡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5 특수교육 Vol.14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ole-making and peer supports through group activity on rejected social status of 3 colleg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 This study was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19 college student participa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 non-inclusive environment, vocational training class Ⅱ, 2nd year at N university.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ole-making and peer supports through group activity made social status of 2 subjects improved from “rejected” status to more than an “average sociometry status”. Second, a subject had no change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because of the individual disabled characters as in humans. Conclusion: These findings further suggest that for the effective secondary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re is a need for the continuous monitoring of the social status of colleg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educational activity for compensating rejected students, and the screening criteria for college entrance exam. 연구목적: 본 연구는 ‘또래지명법 및 사회연결망을 활용한 발달장애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위 분석(김대룡, 유장순, 2012)’의 후속연구로써, 연구목적은 집단 내 사회적 지위가 ‘배척’인 발달장애 대학생을 대상으로 모둠활동에서 ‘역할부여와 또래지원’을 적용했을 때 사회적 지위에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 진행방법은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설계이고, 연구 참여자는 4년제 대학에 다니고 있는 발달장애 대학생 2학년 19명으로 그중에서 사회적 지위가 ‘배척’인 3명의 학생이 연구대상이다. 분석방법은 또래지명법과 사회연결망 분석방법, 개방형 설문지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중재는 ‘직업훈련Ⅱ’ 교과목 수업시간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역할부여와 또래지원’은 발달장애 대학생의 또래 간 사회적 지위를 ‘배척’에서 ‘보통’이상의 긍정적 수준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달장애 대학생의 개별적 장애 특성에 따라 중재 후 사회적 지위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또래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부정적으로 악화되는 경우가 있음이 밝혀졌다. 결론: 본 연구는 교육 효율성 제고를 위해 집단 내 장애학생의 사회적 지위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사회적 지위 개선을 위한 적극적인 방법이 모색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초․중․고등학교의 학령기에 발달장애 학생들의 또래 간 사회적 지위를 확보하고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회성 프로그램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사회경제적 지위가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 이타적 행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수빈,최성언 한국사회복지학회 2024 한국사회복지학 Vol.76 No.1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 형성에 있어 사회경제적 지위의 역할을 살펴보고 상이한 사회경제적 계층 간의 사회적 자본 보유 격차를 이타적 행동에의 참여를 통해 완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에 조절 효과 분석을 통해 이타적 행동 참여가 사회경제적 지위와 전반적 사회적 자본 형성 및 사회적 자본 하위요소 각각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한국행 정연구원에서 실시한 2021년 사회통합실태조사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는 사회적 자본에 정(+)적인 방향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타적 행동은 주관적 사회적 자본 형성에 있어서 사회경제적 지위의 영향을 완화하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사회적 자본의 하위요소 분석을 통해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가 모든 하위요소에 통계적으로 정(+)적인 방향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타적 행동의 조절효과는 신뢰와 네트워크에서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이타적 행동 참여가 한국 사회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사회적 자본 보유 격차를 감소시켜 사회통합을 촉진시킨다는 점에서 시민 개개인의 이타적 행동 참여를 촉구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는 사회적 자본 형성에 대한 학술적 이해의 확장에 기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socioeconomic status in the social capital formation and proposes that the disparity in social capital possession among diverse socioeconomic strata can be moderated by active engagement in altruistic behavior. Employing a meticulous moderation effect analysis, we scrutinized the influence of socioeconomic status on overall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nd its subcomponents, with a specific focus on individual engagement in altruistic behavior. The analysis employed data sourced from the 2021 Korea Social Integration Survey. The findings indicate that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significantly influences social capital in a positive direction, with altruistic behavior mitigating the effects of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In analyzing the subcomponents of social capital, we found that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positively influenced all subcomponents, with the moderating effect of altruistic behavior evident only in trust and network mode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ncouraging citizens’ engagement in altruistic behavior can promote social integration by alleviating the social capital gap associated with socioeconomic status in our society. This study contributes substantively to the ongoing scholarly discourse surrounding the comprehension of social capital formation.

      • KCI등재

        지위의 역설 - 지위는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가?: 사회적 관계의 양면적 효과

        유나리,김도윤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18 GRI 연구논총 Vol. No.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status level on quality of life. The effects of individual status on the quality of life as a result of position competition and the influence of social networks on relationships were identified. In order to obtain a more specific analysis, the group with high status and the group with low status were analyzed separately. For thi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first survey of the quality of life in 2016 conducted by the Gyeonggi Research Institute (GRI), where 20,000 households participated as survey panels. The results were that the socio-economic status of the individual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and social networks play a role to moderate such influences.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network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low-status group; however, in a group with high status, this was not the case. The main poin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a society, it is salient to find values aside from status; second, it is necessary to make a policy effort to form a social network of socially and economically vulnerable classes. 이 연구는 지위수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위경쟁의 결과물로서 개인의 지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사회적관계망이 그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보다구체적인 분석을 위해 지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만 가구가 조사 패널로 참여하는 경기연구원(GRI)에서 2016년 실시한 ‘제1차 경기도민 삶의 질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삶의 질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관계망은 그 영향을 완화하는 역할을 하였다. 다만, 사회적관계망의 조절효과는 지위가 낮은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나, 지위가 높은 집단에서는 그렇지 못했다. 분석을 통한 주요 함의점은 첫째, 한 사회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위가 아닌 다른가치를 발견해야한다는 점, 둘째,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의 사회적관계망 형성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 KCI등재

        초등학교 통합학급 장애아동의 사회적 지위와 이에 영향 미치는 요인 연구

        길명옥,안성우,신영주,김유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2 No.4

        This study examined social statu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 in elementary school and factors that influence on social status using teacher nomination for social statu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sessed by teacher and checklist for factors that influence on social status. A sample of 22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592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came from Busan city areas. Participants were 3rd and 4th grade students. The results are followed ; 1. 77.3% of students were viewed as lower in social standing among their classmates as a whole. 2. 4 factors were identified as influential factors on social statu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y are [I] 'well adopted school activity', [II] 'social skills', [III] 'characteristics of impressions', and [IV] 'negative interactions'. The analysis of the variation on those factors show tha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those three groups in statistical terms. 3. The factor that discriminate the social statu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inclusive education class was [II] 'social skills'. Therefore, social skill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students have in order to be classified as being popular among peer group in the inclusive classroom. 통합교육으로부터 가장 큰 혜택은 장애학생의 지역사회 통합에 기여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통합교육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간의 원활한 상호작용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또래에게 수용되는 장애학생의 사회적 위치도 살펴보고자 했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공립초등학교 10개교 3-4학년에 재학 중인 통합학급 장애아동 22명의 사회적 지위를 조사하고, 이에 따른 장애아동의 수용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통합학급 비장애아동 616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포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 사용한 연구도구는 원적학급 담임교사가 응답한 『통합학급 장애아동의 사회성 측정 검사지』와 장애학생이 속한 통합학급 비장애아동들이 응답한 『수용에 영향 미치는 요인 질문지』이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통합학급 장애아동의 사회적 지위 유형을 인기/수용형, 거부형/ 무시형으로 구분하면, 인기/수용형은 22.7%, 거부형은 36.4%, 무시형은 40.9%로 부정적인 사회적 지위에 있는 아동은 77.3%에 이른다. 둘째, 장애아동의 수용에 영향 미치는 요인으로 추출된 Ⅰ요인‘원만한 학교생활’과 Ⅱ요인‘사회적 기술’, Ⅲ요인‘호감적 특성’, 그리고 Ⅳ요인‘부정적 상호작용’중 사회적 지위별로 수용의 영향 요인 평균을 살펴보면 인기아동은 4개의 요인 모두에서 1순위로 점수가 높았으며, 무시아동은 Ⅰ, Ⅱ, Ⅲ요인에서 2순위, Ⅳ요인에서 3순위의 점수를 차지했다. 거부아동은 Ⅰ, Ⅱ, Ⅲ요인에서 3순위를 차지하고 Ⅳ요인에서 2순위를 차지했다. 그리고 각 요인에 따라 집단간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요인별로 세 집단간 응답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가지 요인 중 사회적 지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변인은 Ⅱ요인‘사회적 기술’로 나타났다.

      • KCI등재

        조직지위(Organizational Status) 이론의 발전과 전망

        김지은(Jieun Kim),김영규(Young-Kyu Kim) 한국인사조직학회 2017 인사조직연구 Vol.25 No.3

        Podolny(1993)가 사회적 지위의 개념을 조직 수준에서 이론화한 이후, 조직지위 이론은 조직이론 및 경영전략 분야에서 그 영향력을 확대해 왔다. 조직지위의 이론적 함의를 평가하기 위한 리뷰들이 2010년 이후 발표되면서 이론의 체계화에 도움을 주었는데, 본 논문은 조직지위 이론의 주요 연구들을 시대에 따라 검토하여 이론의 발전과정을 조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는 점에서 기존 리뷰와 차별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이론사적 연구를 통해 향후 미래 연구 발전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더 잘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시대별 주요연구를 고찰한 결과, 첫째, 조직지위 이론의 태동기인 1990년대 에는 주로 Podolny와 동료학자들을 중심으로 조직지위의 긍정적 효과와 조직지위가 조직간 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주로 연구되었던 반면, 조직지위 이론의 성장기로 볼 수 있는 2000년대에는 다양한 소속과 학파의 연구자로 저변이 확대되면서 조직지위의 변화, 의사결정 및 행위의 제약으로서 조직지위의 역할 등으로 연구주제가 다양화되었고, 다른 사회적 평가 메커니즘과 명확하게 구분하려는 시도 등으로 이론적 정교화가 이루어졌다. 조직지위 이론의 성숙기로 볼 수 있는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조직지위는 조직정체성 및 범주 이론과 통합적으로 고찰되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기존 사회학 및 사회심리학에서 발전된 사회적 지위이론이 조직 수준에서 적용되면서 개인 수준과 조직 수준의 이론의 통합에 대한 요구가 자연스럽게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 시기부터 국내에도 조직지위 관련 연구가 활발해지게 되었으나, 우리나라 현실과 상황에 조직지위 이론이 적용된 연구는 아주 최근에서야 나타나고 있음도 발견되었다. 따라서 향후 조직지위 이론에 대한 보다 체계적 연구에 더해 한국형 경영학 발전에 조직지위 이론이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Since Podolny (1993), who applied the concept of social status to the organiza-tional context, the concept and theory of organizational status have been widely accepted in the field of organization theory and strategic management. As theory has become more elaborated, the needs for evaluating theory development and finding theoretical gaps have increased. As a response, leading scholars have tried to help future scholars by reviewing prior literature on organizational status and related topics and making suggestions about future directions. This paper, in line with these attempts yet differentiated in the review approach, examines theory development by period. By undertaking this historical study, this paper is expected to offer better insights about future theory development. In the 1990s, when organizational status had been introduced in organization theory, theoretical emphasis was put on status as an asset and on the reproducing mechanism of status hierarchies. In the 2000s, as more and various scholars started to employ the concept, various topics have been explored, such as the negative impact of status, status dynamics, and status as a constraint on decisions and behaviors. In the 2010s, more eclectic studies considering both organizational status and identity have been published, along with theoret-ical attempts to integrate organizational status theory and individual-level status theory. In this period, Korean theorists also more actively examined organizational status; however, only recently have Korean scholars employed status concepts to explain business phenomena in Korea. Thus, the need for considering the possible contribution of organizational status theory to K-Management theory development, in addition to the need for future theoretical development of organizational status, has been rai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