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민(compassion)의 사회윤리에 관한 연구 : 마르타 누스바움과 마커스 보그를 중심으로

        김현수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2 기독교사회윤리 Vol.24 No.-

        본 논문은 예수가 보이신 사랑의 윤리는 연민의 윤리라는 가정에 근거하여, 연민의 사회윤리 가능성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은 여성철학자 누스바움(Martha C. Nussbaum)과 신약성서학자 보그(Marcus J. Borg)의 연민의 윤리를 분석하는 것을 일차적 목적으로 한다. 먼저 누스바움이 전개하는 연민의 윤리는 다음의 몇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1) 인간은 합리적인 존재인 동시에, 상처 받기 쉬운 본성을 가지고 있다. 이 상처 받기 쉬운 본성 때문에 인간은 연민의 감정을 요구한다. (2) 인간이 연민의 감정을 느끼려면, 인지적 판단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우리는 어떤 사람의 고통이 심각하다고 판단할 때, 그 사람에 대하여 쉽게 연민의 감정을 가질 수 있다. (3) 연민의 윤리는 “우리”와 “그들”의 경계를 넘어설 때에야 진정한 사회윤리로 기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신약성서에 나타나는 예수의 연민의 윤리에 대하여 보그가 논의하는 내용은 다음의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1) 예수의 연민의 윤리는 당시 유대인이 추구했던 순수 사회의 이상과 대립된다. 당시 유대인이 기초한 순수사회의 이상은 이방인과 병자를 더러운 존재로 치부하는 배제의 논리를 보여준다. 반면에 예수의 연민의 윤리는 오히려 사회적 약자에게로 다가간 포용의 논리를 실천한다. (2)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예수의 연민의 정치학은 사회 변혁적 이상을 내포한다. 왜냐하면 연민의 윤리는 사회에서 소외된 약자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대안적 사회비전을 제시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논의에 근거하여 본 논문은 세 가지 연민의 사회윤리 가능성을 제안한다. (1) 타자의 고통에 민감한 감정으로 연민의 윤리는 타자의 고통에 동참하는 참여적 지식을 추구한다. (2) 연민의 윤리는 고통당하는 타자를 향하기 때문에, 아래로부터의 관점, 다시 말하면 고통당하는 자로부터의 관점을 지향한다. (3) 아래로부터의 관점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연민의 윤리는 정의의 추구를 내포한다. 왜냐하면 연민의 윤리는 불의로 고통당하는 자의 고통을 해결하려는 실천적이고 변혁적인 실천을 함축하기 때문이다. This paper tries to suggest a social ethic based on compassion which means “suffering with.” To do this, this paper mainly deals with the social ethic of compassion that Martha C. Nussbaum and Marcus J. Borg develop. First, we can summarize Nussbaum’s social ethic of compassion as follows:(1) Human beings are vulnerable as well as rational. Because of their vulnerability,human beings need compassion. (2) For us to have compassion on someone, we need some rational and cognitive judgments. For example, when we judge that a person’s suffering is serious, we tends easily to have compassion on that person. (3) The ethic of compassion demands us to cross the sharp lines between us and them. Next, Borg makes two main points regarding Jesus’s ethic of compassion that the Bible witnesses: (1) Jesus’s ethic of compassion radically shows the logic of inclusiveness which goes toward the socially excluded persons such as tax-collectors,while the Jews of the times sharply excludes those persons. (2) In this regard, Jesus’s ethic of compassion becomes a radical social ethic transforming the society which unjustly excludes the poor, the weak, and so on. Finally,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paper suggest three insights for a social ethic of compassion: (1) The social ethic of compassion seeks for the participatory knowledge which makes us to enter into the sufferings of a person and share with them. (2) The social ethic of compassion includes view from below,i.e. view from sufferers. (3) The social ethic of compassion goes to transformative practices struggling against the unjust situations which cause the sufferings of the poor, the weak, and so on.

      • KCI등재

        바울의 제자도에 나타난 사회적 영성-덕 윤리적 접근

        문시영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2 기독교사회윤리 Vol.52 No.-

        이 글은 시민사회의 제자윤리를 모색하기 위하여 바울의 제자도에 주목한다. 공감과 환대를 포괄하는 사회적 영성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맥락에서, 이 글은 사회적 영성에 관한 산발적 논의들을 기독교윤리학에 통합하여 시민사회에서의 제자됨의 윤리를 추구한다. 특별히, 이 글은 한국기독교를 주도해온 ‘번영의 복음’과 ‘잘되는 영성’에 나타난 신앙의 사사화를 극복하기 위하여, 사회적 영성을 사사화된 영성의 대안으로, 그리고 시민사회의 제자윤리로 읽어낸다. 공감, 환대, 책임, 소통은 시민사회에서 제자공동체로서의 교회가 함양하고 구현해야 할 제자윤리이다. 바울이 제자도의 지평을 공동체적 맥락으로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시민사회의 제자윤리에 대한 교회적 관심을 촉구하는 것으로 읽을 수 있다. 한국기독교는 바울의 공동체적 제자도에 나타난 사회적 영성에 관심함으로써 신앙의 사사화를 극복하고 시민사회의 제자윤리를 구현해야 한다. In the context of growing interest in social spirituality, such as concern on empathy and hospitality, this article pursues the ethics of disciple in civil society by focusing on Paul’s Christian ethics. This article reinterprets Pauline discipleship from the perspective of virtue ethics while riding on the ‘Paul Renaissance’, which is actively developing centering on the humanities and the New Testament studies. For Paul, discipleship is a community-based ethics which involves the social spirituality of public responsibility, communication, empathy, and hospitality. Korean Christianity should overcome the privatization of faith and realize the discipleship of civil society by paying attention to the social spirituality shown in Paul.

      • KCI등재

        한국사회복지사윤리강령의 개정 필요성과 방향에 관한 연구

        최명민,황보람,김기덕,김욱,유서구,이순민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19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21 No.2

        본 연구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한국사회복지사윤리강령의 개정 필요성을 점검하고 만약 개정되어야 한다면 어떠한 내용과 형식으로 개정되는 것이 바람직한지 그 방향을 모색해 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이론적 탐구로서 사회복지사윤리강령의 개념과 위상을 확인하고 관련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였으며 미국, 캐나타, 영국, 스웨덴, 호주 등 해외 사회복지사윤리강령 사례와 의사와 간호사 등 타 전문직군의 윤리강령 사례를 한국사회복지사윤리강령과 비교, 검토하였다. 그리고 경험적 탐구로서 사회복지 현장의 의견 수렴을 위해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리서치 패널단 429명을 대상으로 윤리강령 개정 필요성과 개정방향에 관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동시에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장실무자 4명씩 2개 집단으로 구성된 초점집단면접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에 있어서 윤리강령이 갖는 중요성이 상당함에도 불구하고 그 현장 활용성이 상당히 저조하다는 것과 그 원인이 현 사회복지사윤리강령의 내용적, 구조적 한계에서 기인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윤리강령의 주요 개정방안으로, 첫째. 한국사회복지가 지향해야 할 기본 가치와 지향점에 대한 합의 도출과 반영, 둘째, 시대적·문화적 상황을 고려할 때 현재 누락되거나 단편적으로 다뤄지고 다수의 내용들(예 : 다양성과 포용성, 첨단 과학과 의학 발달에 따른 새로운 이슈들, 사회적 갈등요인에 대한 경계문제, 생태환경적 인식, 협력자와의 관계, 공익제보, 비윤리적 행위에 대한 제재조치 등)의 보강, 셋째,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의무 뿐 아니라 사회복지사의 권리와 기관관리자의 경영 책임성 등에 관한 내용 포함, 넷째, 윤리강령이 갖는 보편성과 구체성 간의 균형을 고려하여 윤리강령 외에 윤리적 지침(guideline)을 마련하는 방안 검토, 다섯째, 보다 현장 친화적 용어선택과 서술방식 등의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한국사회복지사협회는 한국사회복지사윤리강령의 개정작업을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을 강력히 촉구하는 바이다.

      • KCI등재

        기독교 사회윤리학에서 바라 본 한국 개신교의 경제운동에 대한 평가

        최경석 ( Choi Kyung Suk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8 기독교사회윤리 Vol.42 No.-

        모든 인간은 사회제도 속에서 존재하며 심지어지는 “나”란 주체도 “나 자신”과의 관계 속에서 존재한다. 인간은 사회관계 속에서 일어나는 모든 상호작용에 책임을 짊어져야할 윤리적 존재다. 그러기에 모든 윤리는 사회윤리라는 말은 유용하다. 여기에 기독교라는 특수한 시각으로 조망되는 것이 기독교 사회윤리인 셈이다. 경제윤리는 사회윤리의 특수한 한 사례다. 한국 개신교는 역사 속에서 일어난 사회문제들에 직간접으로 참여함으로써 해결책에 대한 대안과 방향성을 나름대로 제안했다. 여기에서 주목할 것은 경제문제들에 어떻게 참여했는지이다. 개신교의 수용부터 현재까지 역사적 추적을 통해서 그것을 기독교 사회윤리적 측면에서 평가하는 것과 앞으로의 방안을 제시하는 일은 오늘의 한국 개신교에게 일부 필요한 작업이다. 기독교 사회윤리가 지향하는 바가 그리고 그리스도의 왕권통치의 영역에서 교회가 해야 할 일이 공공신학임을 주지할 때, 한국 개신교의 경제운동은 교회의 역량을 강화시켜 시민사회와 연대하는 사업일 것이다. Since humanity lives in a social system, human beings are ethical beings that should bear responsibility for all the interactions that take place in social relationships. It is useful that all ethics are social ethics. If you attach Christianity to it, it will become Christian social ethics.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directly or indirectly participated in social problems in history. By doing so, this research proposes alternatives and directions for solutions. What is noteworthy here is how Christians have participated in the economic issue. This study evaluates this issue based on the Christian social and ethical aspects from the acceptance of Protestantism to the present till now. Finally, it would be a necessary task for Korean Protestant church today to suggest future plans.

      • 사회복지사윤리와 반 부패 거버넌스 : 이성적 논변과 탐색

        최용호 전남도립대학교 2009 전남도립대학교 논문집 Vol.11 No.-

        This study derived ethical, utilitarian, and social contract issues on social workers' ethics and analyzed and discussed questions for each issue to investigate alternatives of social workers' anti-corruption governance. In ethical discussion, there were different views of teleological theories and deontological theories. Finally it was agreed that if an individual social worker was ethical, the organization or society would become ethical. Based on this, a key of enhancing ethical humanity education of social workers' view was examined. In the utilitarian discussion, a lesson was learned that an individual social worker should become ethical him/herself for his/her greatest happiness focused on his/her rational egoistic mind. In the social contract discussion, a problem of confronting a conflicting dilemma between social workers' interest as a selfish private man and social justice and a key that social workers' ethics should be observed because it was agreed that public mission and ethical norm of behavior was justice. 윤리는 어디에서 비롯되었고,누구를 위해, 무엇을, 어떻게 개인화•사회화하고 있는가? 이 질문의 이면에는 매우 중요한 실천적 당위 가 내포되어 있다. 윤리의 기원에 관한 역사적 사실을 해독하여 보면, 가치영역의 명법인 윤리는 그 사회에서 규범적 권위를 갖고 反부패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열쇠가 되어 달라는 화두를 매번 그 시대에 던져 왔다. 결국 이 사회에서 우리가 마땅히 해야 할 바 를 실천하는 바람직한 행위규범이 윤리인 것이다. 그래서 윤리는 여러개의 도덕률로 구성되어 각 개인, 특정 조직과 단체의 행위 규범을 형성한다. 이 행위규범은 ‘부패 하지 말라’‘거짓말하지 말라’‘도적질하지 말라’‘약속올 지켜라’‘정의로운 사회복지사가 되라 ’등의 도덕률과 결합하여 사회규범을 형성한다.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윤리의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박종두,신영일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The Effect of Social Worker’s Ethical Consciousnesson Job Stress: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Jongdu Park & Youngil Shi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as the influence of social workers’ ethical consciousness on job stres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512 social workers, and data analysis using the SPSS 25.0 program was conducted. As for the mediating effect,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test by Baron and Kenny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main analysis, first, basic ethics, client ethics, and institutional ethics of social workers increased self-efficacy. Second, the basic ethics and client ethics of social workers lowered job stress. Third, the basic ethics and client ethics of social workers lowered job stress through self-efficacy. As a result of the study, it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practice to improve ethical consciousness and self-efficacy to prevent job stress of social workers. Key Words: Social Workers, Ethical Awareness, Self-efficacy, Job Stress, Social Welfare Facility 사회복지사의 윤리의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박 종 두*ㆍ신 영 일**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윤리의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으로 자기효능감의 매개역할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사회복지사 5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한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는 바론과 케니의 위계적 회귀분석과 sobel-test를 진행하였다. 연구 내용: 분석된 내용은 첫째, 사회복지사의 기본적 윤리, 클라이언트 윤리, 기관 윤리가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기본적 윤리, 클라이언트 윤리가 직무스트레스를 낮추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기본적 윤리, 클라이언트 윤리는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직무스트레스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연구결과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 예방을 위하여 사회복지사의 윤리의식을 함양하고 자기효능감을 증진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핵심어: 사회복지사, 윤리의식, 자기효능감, 직무스트레스, 사회복지시설 □ 접수일: 2022년 9월 16일, 수정일: 2022년 9월 26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주저자, 마들종합사회복지관 부장(First Author, Manager, Madeul Community Welfare Center, Email: pjd7777@hanmail.net)** 교신저자, 한국보건복지인재원 교수(Professor, KOHI for Health and Welfare, Email: mylife1317@daum.net)

      • 한국의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 교과서 분석

        김기덕(Kim Gi-duk)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04 비판사회정책 Vol.- No.17

        이 글의 목적은 현재 한국 사회복지학 관련 대학에서 사회복지윤리와 철학 (Social Work Practice Ethics) 과목의 교과서 로 사용될 목적으로 출간된 저서 및 번역서의 검토를 통하여 한국 사회복지윤리학의 연구경향을 평가해 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당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분석대상이 되는저서들 을크게 교과목의 개념정의, 포괄하는 윤리학 이론의 범위, 철학적 지향의 3가지 기준을가지고 분석하여 보았다. 분석의 결과 이 글에서 검토된 2권의 번역서와 5권의 국내학자들의 저서들은 약간의 편차를 보이기는 하지만, 대부분 미국식 임상사회사업중심(social work-oriented). 응용윤리성격의 규범윤리학 중심 (normative ethics-oriented). 근대적-전통적 윤리지향(modernist ethics-oriented)이라는 특정을 공유하고 있었다. 따라서 개별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실천과는 구별되는 국가 및 지방정부의 사회정책 및 사회복지 서비스와 관련된 윤리적 쟁점과 논의들은 다소 소홀하게 다루어 질 수밖에 없었다. 또한 응용윤리 중심의 규범윤리학에 상대적으로 많은 논의가 할당되어, 한국 사회복지 실천과 관련된 윤리적 실태에 대한 기술윤리학적 논의 및 사회복지 윤리학자체에 대한 의미와 그 정당성에 대한 논의를 제공할 수 있는 메타 윤리학은 거의 다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교과서들이 칸트식 의무론과 공리주의 중심의 목적론으로 대별되는 근대 윤리학에만 한정되어 논의를 소개하고 있어 최근 사회복지에 대한 대안윤리로 제시되고 있는 페미니즘 윤리학(feminist ethics), 포스트모던 윤리학(postmodern ethics). 다양한 비판 윤리이론(radical-critical ethics) 등은 거의 소개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한국적 사회복지의 실정에 부합하는 사회복지윤리 및 철학의 모색은 이와 같은 현행 교과서들의 한계를 적극적으로 극복하는 방향과 내용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ext books for course work of social work ethics and philosophy in Korean universities. After identifying the evidence of their common inclinations toward social work practice ethics developed along with American social work, the potential problems and limitation of this American social work-oriented ethics are explored. First, because most of text book are focusing on the ethical issues derived from the direct professional practice between individual social workers and clients, they are not offering necessary informations and guidelines for practice which are compatible with another ethical values and principles such as social justice, oppression, discrimination and social exclusion, which are more relevant to social policy and social service within European welfare state paradigm than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in America. Second, ethical theories considered as a theoretical resources for social work practice by text books are mainly normative or substantive ethical theories, which examines real practical ethical choices and reasoning that lie behind them. Such exclusive concerns about applied ethics make unable them to cover sufficiently both descriptive ethics and meta ethics, both of which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Korean social work practice ethics, and deepen the understanding of ethical decision-making models designed to solve ethical dilemmas and deadlock. Third, the text books has focused on only modernist professional ethics which is characterised in terms of a debate between Kantian and Utilitarian approaches. Thus, the alternative approaches recently developed in social work ethics such as feminist ethics, poststructural ethics, postmodern and critical ethics are totally neglected.

      • KCI등재

        마지막 기차가 떠나기 전 해야 할 일 -기업의 윤리경영 준칙 제정의 필요성에 관한 독일의 경험 고찰-

        김종호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7 법학논고 Vol.0 No.60

        사회에서는 다양한 사람들이 다양한 가치관을 가지고 생활하고 있으며 각각의이해가 엇갈리고 있다. 그런 사회에서 기업이 기업윤리를 실천한다고 하는 경우기업이 독자적으로 정한 윤리적인 규칙에 따라서 행동만 하면 그것만으로 충분하다고 하는 일은 결코 있을 수 없을 것이다. 그런 기업행동은 독선적인 기업윤리의실천에 지나지 않고 그것이 사회에서 수용된다고 보기는 어렵다. 과연 회사는 어떤 기업윤리를 실천해야 할 것인가? 필자는 기업윤리를 실천하는 데 불가결한 것은 기업과 사회가 합리적인 방식으로 소통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본고에서는 독일의 다양한 기업윤리론에 대해서 고찰하기로 하였다. 기업윤리를연구하는 독일의 많은 학자들은 자기의 기업윤리론을 기업과 사회와의 대화(소통) 에 주목하고 있다. 슈타인만(Steinmann, H.)은 독일의 기업윤리 연구자 중에서 매우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를 중심으로 이미 학파까지 형성되었다. 슈타인만의 기업윤리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기업들의 대화는 ‘이성적 대화(vernunftiger dialog)’라고 불리지만, 본고에서는 기업윤리강령이 어떤 것이고 어떻게 발전 형성되었는지를 검토하였다. 우선, 필자는 타인들에게 커다란 영향을미친 구성주의를 검토한다. 이 작업은 기업이 사회와의 대화를 중시한 슈타인만의사고를 깊이 고찰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된다. 기업윤리학의 연구를 비교경영경제학(Vergleichende Betriebswirtschaftslehre)의방법에 근거하여 수행한 노이게바우어(Neugebauer, U.)의 경영경제학 개념은 윤리적인 경영경제학을 대표하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슈타인만은 울리히(Ulrich, P.) 나 호만(Homann, K.) 등과 함께 현대의 독일 기업윤리학 연구 중 중요한 지위를차지하는데 그의 기업윤리론에서 ‘이성적 대화’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우리나라에서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성적 대화는 일상적인 기업경영 과정에서 윤리강령의 실천에서 생기는 갈등을 극복하고 공통적, 양해적, 조정적, 조화적 규범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이 방법은 도덕행위 준칙이나규범을 근거 지우고, 공통의 가치와 규범을 논증하는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업윤리는 마땅히 이성적 대화를 전제로 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독일의 기업윤리론에 관한 전개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기업이 기업윤리를 실천할 때 사회와의 대화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점에 대해서 고찰한다. 독일의 기업윤리론이 1970년대의 ‘경영자의 사회적 책임론’에 대립하는 것이라는 점에 주목하고 슈타인만의 ‘경영자의 사회적 책임론’ 비판 내용 중에서, 사원이기업윤리를 실천할 때 대화가 중요하다고 생각하게 되는 것에 큰 영향을 준 것이무엇인지 즉, ‘경영자의 사회적 책임론’이 ‘민주주의라는 상위규범과 양립할 수 없는 경우’ 이를 해결하는 방식에 대해서 정리를 했다. 향후 기업윤리의 필요성에대한 사회의 관심이 더 높아지면 점점 ‘사회와의 대화’를 그 명분으로 삼는 기업이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기업의 일방적인 보고나 설명, 지역사회와의 단순한 교류, 지원활동, 공장견학 기회의 제공 등은 본고에서 다룬 기업과 사회의대화의 내용과 거리가 멀다. 우리는 기업에게 이해관계자들과의 갈등의 해결을 위해서 기업윤리 강령의 실천에 지속적으로 참가하고 있다는 점 ... In society, diverse people live with diverse values, and their understanding is diverging. In such a society, if a company implements business ethics, it will never be enough if the company acts in accordance with its own ethical rules. It is difficult to see that such corporate behavior is accepted only in the practice of self-righteous business ethics. What business ethics will the company practice? I believe that business and society must communicate in a rational way that is essential for practicing business ethics. In this article, I will consider various German business ethics. Scholars studying many business ethics in Germany focus their business ethics on dialogue between business and society. Steinmann occupies a very important position among the German business ethics researchers, and the schools have already been formed around them. Although the dialogue between companie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Steinman’s business ethics is called “vernunftiger dialogue,” this article will examine what the code of business ethics is and how it has been developed. First, I review Constructivism, which has had a major impact on others. I think this work helps us to think deeply about Steinmann’s thinking which emphasizes dialogue with corporate and society. Steinmann, along with Ulrich and Homann, have an important place in contemporary German business ethics research. Neugebauer’s concept of business economics, which is based on the methodology of business ethics (Vergleichende Betriebswirtschaftslehre), is considered to represent ethical business economic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rational dialogue’ occupies an important place in Steinman’s corporate ethics. Rational dialogue is the only way to overcome the conflicts arising from the practice of the Code of Ethics in everyday business management and to create common, consensual, coordinated, and harmonious norms. This method is based on the moral code of conduct or norms and performs the task of demonstrating common values and norms. Therefore, business ethics must be premised on rational dialogue. In this article, I tried to focus on the development of German business ethics. When a company practices business ethics, it considers the important role of dialogue with society.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German business ethics is against the “social responsibility theory” of management in the 1970s, and among the criticisms of Steinmann’s “manager’s social responsibility theory” I have summarized what it has had a great impact on, that is, the way in which “management’s social responsibility theory” can not be compatible with the “higher norm of democracy.” As society becomes more interested in the necessity of corporate ethic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more and more companies will take “dialogue with society” as their cause. However, unilateral reports and explanations of companies, simple exchanges with local communities, support activities, and provision of factory tour opportunities are far from the contents of dialogue between companies and society. We believe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ystem that can realize that companies are constantly participating in the practice of the Code of Business Ethics for resolving conflicts with stakeholders or that such opportunities are always guaranteed. I considers that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structure in which interactive dialogue for conflict resolution can be achieved.

      • KCI등재

        코로나 19시대 종교현상학의 이슈와 기독교사회윤리학의 테제들

        이상철 ( Lee¸ Sang Cheol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1 기독교사회윤리 Vol.49 No.-

        코로나 19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 영역에서 일어나는 있는 충격과 파장의 근원이 되었다. 종교분야도 예외는 아니다. 본 논문은 “코로나 19시대 종교현상학의 이슈와 기독교사회윤리의 테제들”이라는 제목아래, 전반부에서는 코로나 19에 대한 종교현상학적인 접근, 후반부는 기독교사회윤리의 이슈들을 파헤친다. 종교현상학적인 접근은 코로나 19 시대 한국 개신교인의 인식조사를 토대로 한다. 개신교인의 신앙패턴이 코로나 19를 계기로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살피면서 나는 코로나 19 이후 종교현상학의 특징을 1) 비종교사회의 도래, 2) 종교적 아우라의 파괴, 3) 예배의 재구성이라 요약하였다. 코로나 19로 인한 예배의 중단과 파행은 한국사회가 비종교사회 문턱으로 진입한 사건으로 읽힌다. 본회퍼의 “하느님 없이, 하느님 앞에서, 하느님과 더불어” (Before God, with God, without God)발언은 코로나 19 이후 비종교사회를 해석하는 중요한 단서가 되리라 본다. Covid-19로 인해 촉발된 비대면 온라인 예배의 증가는 기존 예배가 지녔던 아우라를 붕괴시켰고, 기존의 일방향으로 이루어지던 예배는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상호소통과 그에 따른 예배 형식의 전환을 요청받고 있다. 종교현상학적인 분석을 마친 후 나는 기독교사회윤리차원에서 Covid-19 시대를 향한 대안을 아래와 같이 3가지로 제안할 것이다: (1) 세속화시대에 걸맞는 기독교사회윤리, (2) 반지성주의(anti- intellectualism)를 극복하는 기독교사회윤리, (3) 타자를 향한 환대의 윤리. This paper explores the problem of religious phenomenological approaches to COVID-19 in the first half and Christian social ethics in the second half. The religious phenomenological approach is based on a survey of Korean Protestants’ perceptions during the COVID-19 era. Looking at how Protestant faith patterns changed in the wake of COVID-19, I summarized the characteristics of religious phenomenology after COVID-19 as 1) the arrival of non-religious societies, 2) the destruction of religious aura, and 3) the reconstruction of worship. The suspension and disruption of worship due to COVID-19 is read as an incident that Korean society has entered the threshold of non-religious society. Bonhoeffer’s “Before God, with God, without God” statement is expected to be an important clue to interpreting non-religious society after COVID-19. The increase in non-face-to-face online worship triggered by COVID-19 has collapsed the aura of existing worship, and existing one-way worship services are being ask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o change the form of worship. After the religious phenomenological analysis, I will propose three alternatives to the COVID-19 era: (1) Christian social ethics suitable for the secular age, (2) Christian social ethics overcoming anti-intellectualism, and (3) the ethics of hospitality toward others.

      • KCI등재

        현대사회와 윤리개념의 분화

        정원규(Won Gyu Jeong) 철학연구회 2002 哲學硏究 Vol.59 No.-

        최근에 자주 등장하고 있는 `사회윤리`라는 용어는 개인에게 책임을 물을 수 없는 사회구조적 문제들을 해명하기 위한 개념으로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필자는 `사회윤리`가 이러한 의미만을 갖는 것이 아니라 각개인의 인생관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들을 검토하는 `개인윤리`에 대비되는 포괄적 의미를 가진 용어로 재해석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개념적 대비가 필요한 이유는 다원주의로 상징되는 현대 사회가 사회 전체적으로 통용되어야 하는 윤리적 기준과 개인이나 특정 집단에만 유효한 윤리적 태도를 구분할 것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부연하면 현대 사회는 과거 그 어떤 사회보다도 다양한 개성을 가진 사람들이 공존하는 장소이므로 사회성원 모두가 과거와 같이 삶의 전영역에서 통용되는 단일한 윤리규범을 수용할 것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상황에서도 사회가 하나의 통합체로서 기능할 수 있으려면 다양한 성원들을 묶어 줄 수 있는 느슨한 규범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런데 이러한 규범은 과거의 규범과 달리 개인의 행위를 낱낱이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성원 모두(적어도 성원 대다수)에게 공통적인 규정만을 함축하게 되고, 이러한 규정 밖의 영역은 전적으로 개인들의 선택에 맡겨지는 것이다. 유감스럽게도 현재 통용되고 있는 `윤리`에 대한 규정들은 이러한 윤리 개념의 현대적 분화를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인지주의와 비인지주의, 목적론과 의무론의 대립으로 특징지워지는 현대의 윤리학적 쟁점들은 궁극적으로 이러한 개념적 공백의 결과이며, 따라서 사회윤리와 개인윤리라는 개념틀을 통해 이러한 쟁점들을 검토할 경우, 사회윤리의 인지주의적, 의무론적 성격과 개인윤리의 비인지주의적, 목적론적 성격이 해명됨으로써 메타, 규범윤리학적 차원에서의 이론적 갈등이 상당부분 해소될 수 있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