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자동차 산업 내 공급사슬의 사회연결망적 분석

        김진백(Jin Baek Kim),신세은(Se un Shin) 한국생산관리학회 2015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26 No.4

        사회연결망(Social Network)은 다양한 행위자들이 자발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 관계망이라 정의할 수 있다. 사회연결망 분석(SNA: Social Network Analysis)은주로 사회 구성원들 간의 사회적 연결 유형과 형태를 분석함으로써 사회의 구조를 연구하는데 사용되었는데, 최근에는 고객관계관리(CRM) 등을 중심으로 경영학 분야에서도 활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회원으로 가입한 275개 자동차 부품 기업들의 고객 관계 정보를 바탕으로, 사회연결망으로 공급망을 모형화하고 사회연결망 분석 기법을 활용해 공급망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별 기업의 정보만 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전체 산업 내 공급망 구조를 개체 간의 관계에 초점을 두는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개인으로 구성된 사회연결망에 초점을 둔 기존 사회연결망 이론을 기업으로 구성된 공급망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음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공급망을 사회연결망 관점으로 분석한 소수의 연구 결과 중 하나로, 국내의 산업 내 전체 공급망에 대한 최초의 사회연결망적 분석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structure of the South Korean automobile parts industry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SNA) method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275 member companies of Korean Auto Industries Cooperative Association(KAICA), directed and undirected network models were constructed. Centrality measures proposed in the SNA field were used to identify key companies in the Korean automotive supply network. This paper is the first trial on applying SNA methods to large scale supply networks for an entire automotive industry of a country, and it shows that SNA metrics can be useful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a large supply network.

      • KCI등재

        사회 연결망 분석과 문학 연구 : 영미문학과 한국문학을 중심으로

        김용수(Yongsoo Kim) 한국비평이론학회 2021 비평과이론 Vol.26 No.2

        사회 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은 20세기 내내 사회과학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발전해온 사회구조 분석 이론이자 방법으로서 개체, 조직, 인간, 사물 사이의 복잡다기한 연결을 거시적, 미시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관계형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연결망으로 시각화하여 유동적이면서도 구조화된 전체 장을 파악하고자 하는 분야이다. 이러한 사회 연결망 분석은 최근 인문학 연구 분야에서, 특히 2000년대 이후 디지털인문학이 각광을 받기 시작하면서 그 방법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영미문학 연구 분야에서도 사회 연결망 분석의 이론과 기법을 영문학 자료에 적용하여 그 동안 전통적인 연구 방법으로 파악하기 어려웠던 특정 국면의 문학 관계망을 복원한 성과들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의 국문학 연구 분야 역시 사회 연결망 분석 기법을 적용한 사례가 드물지만 꾸준히 등장하고 있다. 본 논문은 사회 연결망 분석 이론 및 방법이 문학 연구에 지닌 함의와 가능성에 주목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소개하여 한국 학계의 디지털인문학적 문학 연구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먼저 사회 연결망 이론을 소개하며 그 의미와 역사를 되짚어 본다. 그리고 이것이 인문학, 그 중에서도 문학 연구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은 무엇인지 등을 점검하기 위해 영미문학 분야 연구 성과들을 비판적으로 점검한다. 나아가서 사회 연결망 분석이 국문학계에서는 어떤 성과들을 축적하고 있는지 검토하여 한국에서의 사회 연결망 분석 기법을 활용한 문학 연구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Social network analysis has been evolving as a social structure analysis theory and methodology in the social science discipline throughout the 20th century. It strives to understand the complex networked relationships among entities such as objects, individuals, social groups, organizations, etc. by preparing and visualizing their relational data so as to grasp the fluid dynamics of any given field. Many humanities scholars have also paid close attention to social network analysis as a new research method as digital humanities emerges as a formidable discourse in the new millennium. There are quite a few remarkable cases that apply social network analysis concepts and techniques to English literary data and thus manage to delineate literary networks at the particular junctures in literary history, which might have remained opaque otherwise. A similar trend can be observed in Korean literary studies though only a small number of researchers are interested in the method. This paper introduces social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its possibilities as a new literary research method and hence facilitating digital humanities approaches to literature in Korean academia. First, it briefly presents social network analysis theory, its history and concepts, and its methodological significance. And then, it goes on to critically review the actual research cases in the fields of English and Korean literature to examine how social network analysis can be employed in literary scholarship and what potentials it contains as a research method. Finally, this paper suggests that social network analysis helps deepen our knowledge and appreciation of literature by engaging literary history with a fresh look.

      • KCI등재후보

        사회 연결망 이론(Social Network Theory)을 이용한 시장중심 벤처육성시스템의 진화도 및 타당성 분석 -벤처자금순환 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

        양영석,황호영 한국응용경제학회 2005 응용경제 Vol.7 No.1

        본 논문은 정부가 2004년 12월 발표한 벤처캐피털 집중지원 골자의 시장중심 벤처육성정책에 대해 시스템적 관점에서 그 진화 정도와 실행 타당성을 분석하는데 목표가 있다. 정부가 발표한 이번 시장중심 벤처육성정책은 정부가 벤처기업에 대해 투자와 융자형태로 직접적으로 자금을 지원하던 종전의 정책기조에서 탈피하여 향후 자금지원을 벤처 자금시장의 핵심인 벤처캐피탈을 중심으로 가져가겠다는 것이 핵심이다. 특히, 정부는 이번 정책이 벤처육성지원 정책에 있어 시장 중심적으로 진화하는 기회가 될 것이며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Upgrade) 된 벤처기업 정책으로 지원효과가 제고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 은 크게 두 가지의 정책적 분석을 수행 하였다. 첫째 본 논문은 사회연결망 이론을 이용하여 정부가 마련한 벤처캐피탈 중심의 벤처육성정책이 벤처육성시스템의 진화에 있어 얼마나 큰 기여를 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분석은 이번 정부의 벤처활성화 대책이 자금부분에 집중하고 있는 만큼 다양한 벤처 자원순환연결망 중 자금순환연결망 분석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둘째 본 논문은 진화된 벤처육성환경과 자금순환연결망 구조 하에서 정부의 시장중심 벤처육성시스템이 어느 정도 실행타당성을 갖는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본 논문은 첫째 벤처캐피탈을 중심으로 한 정부의 벤처육성 정책은 과거 기업에 직접적인 자금지원을 하던 벤처지원정책에 비해 진화도가 높다는 분석결론을 도출하였다. 둘째 정부의 벤처캐피털 중심의 벤처육성정책은 회수시장 역할이 미흡하여 실행력이 종전보다 오히려 더 악화되어 정책의 타당성이 상당히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시장중심 벤처육성정책의 실행력을 제고하기 위해 벤처자금순환연결망 중 회수시장망의 애로해소에 초점을 두었고 이를 위해 제3시장을 활용하는 전략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This paper is targeting on analyzing the validity and degree of policy evolution for Korean new venture promotion policy, market- oriented venture promotion policy, released at the December of the year of 2004, in terms of system and network theories. In particular, the focus of paper falls on the efficiency and evolution of new government venture policy evaluated as a sweeping change from direct to indirect involvement regarding to government supporting method of venture business. In specific, this paper carries out two distinct analysis. First, by utilizing social network theory, this paper analyze how much evolution of new government venture policy has brought up. Second, this paper assess the validity of implementing new government venture policy subject to given venture business environment. As results, this paper find outstanding evolution of new government venture policy in comparing with the previous one. However, this paper research new government venture policy face the significant level of bottlenecks due to insufficient exit market in bringing successful implementation.

      • KCI등재

        사회과학 방법론으로서의 연결망 분석기법 적용의 의의와 연구과제 -의미의 연결망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중심으로-

        한관종 ( Han Kwanjong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3 사회과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유망한 방법론으로 대두하고 있는 연결망 분석 기법을 방법론의 시각을 중심으로 소개하되 사회문화 분야 연구에의 접목 가능성이 특히 높은 의미의 연결망 분석의 적용 의의와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결망 분석은 철학적으로 볼 때 실체론이나 환원론과 대비되는 관계론에 입각한 방법론으로, 속성변수가 아닌 관계적 자료를 그 분석의 대상으로 한다. 특히, 의미의 연결망 분석은 관계의 ‘형태’에 주목하는 기존의 연결망 분석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관계의 형태 속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내용’까지도 분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구조를 찾는 유력한 방법론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이런 의미의 연결망 분석은 특히 텍스트 분석의 한 방법으로서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사회문화 교과 연구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유용성을 갖는다. 첫째, 기존의 내용 분석에서 주로 행해졌던 개념 자체의 독립성에 근거한 분석을 넘어서 개념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도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둘째, 기존의 내용 분석이 갖는 주관적 해석의 한계를 극복하였다는 점이다. 셋째, 다양한 연결망 지표 분석은 물론 집락 분석, 판별 분석과 같은 다른 통계적 분석 방법과 결합해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분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앞으로 사회문화 연구 방법론으로서 의미의 연결망 분석이 가진 장점을 십분 활용하여 연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지만, 의미의 연결망 분석뿐만 아니라 연결망 분석 자체를 가지고 사회문화 교과와 연관되는 주제에 대한 연구를 할 필요성이 있으며, 나아가 연결망 분석 자체로 분석을 끝내기 보다는 다른 통계적 방법들과 같이 사용함으로써 보다 분석의 폭을 넓힐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의미의 연결망 분석 그 자체는 어떤 새로운 ‘숨은 구조’의 발견에 불과하고, 그 발견에서 시작하여 의미를 해석하는 것은 연구자 본인이라는 사실을 명확히 인식하여 연결망 분석 결과를 이론 틀에 맞춰 해석하려는 적극적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In this article, network analysis is introduced by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perspective. Theoretically it is under theory of relation and methodologically it deals with relational data. Especially, 'semantic network analysis' which deals with not only forms of relation but also contents of relation is deeply discussed with examples because it's more useful for socio-cultural text studies: 1) traditional content analysis can analyze only substantial and independent words, but semantic network analysis can deal relations of words, 2) semantic network analysis can overcome researcher's valuing problem because its data is gathered through mechanically, 3) semantic network analysis can analyze with other statistical method such as cluster analysis or discriminant analysis. For further studies and development, 1) area of research had better be enlarged, 2) usual network analysis is also a good methodology to study socio-cultural themes such as juvenile problem, 3) other statistical method can be used together, 4) semantic network needs more theoretical discussion.

      • KCI등재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자폐성장애 학생의 사회성 관계 국·내외 연구동향 분석

        문소영 ( Moon Soyoung ),최진혁 ( Choi Jinhyeok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8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4 No.3

        최근 사회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방법을 활용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교육학 분야에서 사회연결망 분석은 비장애 학생의 우정 관계, 또래관계, 학업성취, 상호작용 형태 등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연결망 분석 연구방법을 자폐성장애 학생의 사회성 중재에 있어 활용을 모색하고자 기초연구로써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사회성관계를 연구한 선행 논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사회연결망 분석이 자폐성장애 학생의 사회성 관계 연구에 활용되는 동향을 파악하고, 연구특성 및 내용을 살펴보았다. 체계적 문헌 선정과정을 통하여 18편의 관련 논문을 선정하였고, 자폐성장애 학생의 사회성 관계와 관련된 사회연결망 분석 연구의 연구방법(연도, 지역, 학교급, 연구 참여자, 측정방법, 분석종류 등)과 연구 결과의 내용적 특성(주제, 결과)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2007년도 이후 18편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최근 11년 동안 지속적으로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연구가 증가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미국에서 가장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법이 가장 높은 빈도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모든 학교급에 걸친 자폐성장애 학생의 사회적 관계를 분석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폐성장애 학생의 사회성 관계 연구를 위한 사회연결망 분석 방법의 잠재적 적절성과 활용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odology. In the education field, the social network analysis have been used to identify friendship, peer-interactions, peer relationships, academic achievement, etc. Thu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cent social network analysis research characteristics related to ASD students’ social relations, so that more researchers would be able to employ the social network analysis for autistic students’ improvement in their peer relations. We searched 18 related research literatures through the systematic process. The selected literatur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research methods (i.e., publication years, countries, grade levels, types of participants, measurement methods, etc.) and the research results (i.e., purposes, etc.).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demonstrated that 18 papers were published since 2007 and the number of the social network analysis research consistently increased in the last 11 years. The most research were conducted in the United States. Most of the social network analysis research used surveys on students. Social network analysis were implemented to analyze social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with ASD across all grade levels. We discussed that the effectiveness and usefulness of the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for the research the ASD students’ social relations.

      • KCI등재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사회복지조직 연결망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박현주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사회복지조직 연결망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박 현 주* 요약: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사회복지조직의 연결망의 구조적 특성과 중심성 지표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및 내용으로 D광역시의 사회복지조직들과 각 조직들간의 연결의 정도와 중심성을 준연결망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사회복지조직 즉 참여 노드는 총 869개이며, 디그리의 총합은 2,844개이며, 평균디그리는 3.273이다. 전체 연결망의 특성을 나타내는 중심성지표로 연결정도중심성, 매개중심성, 근접중심성을 분석하였다. 연결정도중심성과 매개중심성에는 복지행정조직이 상위였고, 근접중심성에는 민간지원조직들이 상위였다. 결론 및 시사점으로 사회복지조직의 사회연결망 분석은 각 사회복지조직들이 어떻게 연결되고 기능하는지는 보여주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핵심어: 사회연결망 분석, 사회복지조직, 연결망의 구조적 특성, 노드와 디그리, 중심성값 □ 접수일: 2022년 1월 18일, 수정일: 2022년 2월 6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충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수료(Completion of Doctoral Course, Chungnam National Univ., Email: joopark@cnu.ac.kr) A Study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Organization Networks Using SNAHyunjoo Park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centrality indicators of the network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by using the social network analysis technique. As a research method and content, the degree and centrality of connection betwee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D metropolitan city and each organization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quasi-network techniqu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are a total of 869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hat is, participating nodes, and the total number of degrees is 2,844, and the average degree is 3.273. As the centrality index indic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tire network, the degree centrality, the betweenness centrality, and the closeness centrality were analyzed. Welfare administration organizations ranked higher in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and private support organizations ranked higher in closeness centrality. As a conclusion and implications, the SNA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can be used as an indicator to show how each social welfare organization is connected and functions. Key Words: Social Network Analysis, Social Welfare Organization,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Network, Node and Degree, Centrality Value

      • 커뮤니케이션 연결망 분석의 이론적 기초에 관한 탐색적 접근

        김경모(Kyungmo Kim) 한국언론학회 2005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 No.2

        이 글은 커뮤니케이션 연결망 분석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연결망 분석이 기초하고 있는 이론적 사유와 방법적 특성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연결망 연구의 기본 내용을 방법론적 관점에서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 연결망 분석의 기저에 담긴 관계적 관점과 구조적 분석의 특성을 살펴보고 연결망 관점이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어떻게 개념화할 수 있는지 알아본다. 이를 위해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모형이 지닌 한계를 연결망 관점에서 비판한다. 커뮤니케이션 연결망 분석의 방법적 특성을 고찰한 뒤 연결망 분석의 방법적 특성을 토대로 커뮤니케이션 연결망 분석 연구를 개관할 수 있는 메타 이론적 분석틀을 제시해 본다. This article introduces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communication network analysis with a special focus on theoretical thinking and methodological principles guiding social network analysis. Based on the network perspective, the communication process has been re-conceptualized in terms of combining the relational perspective and structural analysis. A body of existing models of communication(e.g., linear mood, interactional model) also has been criticized in comparison with the network mcx:lel of communication as a social expansion of transactional model. Finally, a meta-theoretical framework is suggested for the overview of research using communication network analysis.

      • KCI등재

        삶의 질과 사회적 연결망 : 사회적 연결망에 대한 공공정책부문 효과분석

        김상민 ( Kim Sangmin ),김현호 ( Kim Hyeonho ),이성원 ( Lee Sungwon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20 地方行政硏究 Vol.34 No.1

        2011년부터 OECD는 국가별 삶의 질 수준을 측정하고 비교할 수 있는 통합지수인 ‘더 나은 삶 지수(Better Life Index, BLI)’를 발표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공동체 영역, 즉 사회적 연결망의 질(quality of support network)이 최하위에 랭크되어, 그 대응전략 마련이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론적으로 사회적 연결망은 사회적 자본 논의와 그 맥을 같이 한다고 할 수 있는데, 사회적 자본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사회적 자본 자체가 다차원적 특성을 갖고 있어 다양한 정책 부문을 통해 종합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사회적 연결망의 구체적 현황은 무엇이며, 다양한 공공정책 부문이 사회적 연결망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할까? 본 연구는 사회적 연결망의 현황을 간략히 검토하고, 사회적 연결망에 영향을 미치는 공공정책 부문의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삶의 질, 사회적 자본, 그리고 사회적 연결망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통해 사회적 연결망 증진을 위한 공공정책의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또한 서울서베이(2017)를 활용하여, 사회적 연결망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개인적 차원, 공공정책 부문, 지역사회 경제적 수준)의 영향효과를 로짓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 참여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 정책 부문에 있어서는 문화 및 복지환경, 보행 및 지역 생활환경, 체감 안전의 순으로 영향을 크게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요컨대 참여적 지역 주민의 참여에 기반한 지역단위 사업과 같이 주민 참여를 촉진하는 정책 추진이 사회적 연결망 지표 향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 가능하며, 이와 함께 지역의 문화 및 복지환경, 그리고 보행 및 주거환경에 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이 연결망지표 개선에 효과적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BLI의 공동체 부문을 구성하는 사회적 연결망의 활성화는 다양한 공공정책 부문이 포괄적이고 협력적으로 결합될 때 이루어질 수 있는 종합적 성과로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국가차원의 마스터플랜 수립 등의 종합적·장기적 전략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Since 2011, OECD has released the Better Life Index (BLI) as an integrated framework for measuring and comparing the quality of life in different countries. In the case of Korea, the community index, which is identified as the quality of support network, is ranked at the bottom. Theoretically, social support network can be discussed in line with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Several studies on social capital emphasize that social capital itself has a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 and needs to be comprehensively approached through various policy areas in a collaborative manner. Then, what is the current status of social support networks in Korea and what are the effects of various public policy sectors o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social support networks? This study aims to briefly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social support networks and to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of several public policy areas that affect social support networks. First of all, the paper overviews theoretical discussions about the quality of life, soci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network, by which it draws some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public policy. Using the Seoul Survey Data (2017), then, the effects of various factors (individual level, public policy areas, and local socio-economic level) are analyzed through logit analysis. From the results, the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is found to have the largest effect on social support network. The other policy areas are also confirmed to have the positively significant influences to social support network in the order of cultural and welfare policy, walking and local living environment, and local safety. In short, local projects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such as community-building, can be considered to have the greatest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the social support network indicator. At the same time, public policies that focus on the local cultural and welfare environments, as well as pedestri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s can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social support network indicator. Finally, this study argues that the activation of social support network should be understood as a comprehensive outcome that can be achieved when various public policy areas collaborate together under the long-term strategies at the national level.

      • 17대 국회의원들간 공동발의 연결망 형성의 매커니즘 분석

        이병규,염유식 한국사회학회 2009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Vol.2009 No.2

        지금까지의 사회 연결망 연구는 대부분 연결망을 주어진 것으로 보고, 연결망 내에서 행위자의 위치를 살펴보거나 연결망 자체의 특성에 대해서 탐구해왔다. 다시 말해, 연결망에서 관계에 해당하는 연결(tie) 그 자체 보다는 그러한 연결이 행위자(actor)의 특성으로 요약되어 변수로 사용되거나 연결이 결합되어 나타나는 연결망의 패턴을 관찰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연결망을 종속변수로 취급한 뒤 통계적으로 모형화하여 추정하는 모형(Exponential Random Graph Model)을 이용하여 연결망이 어떻게 형성되는 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17대 국회의원들 사이의 4년간 공동발의 자료로서 완전 연결망(Complete Network) 자료로서 17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의 공동발의 연결망을 대상으로 한다. 연구 결과 보건복지위원회 내의 법안발의 과정에서 비례대표의 영향은 없었으며, 정당의 효과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국회 법안발의 연결망의 경우에도 기존 사회연결망 연구에서 중요한 연결망 형성원칙으로 지목되는 상호호혜성의 원칙(“reciprocity” “내가 친구로 지목하는 이는 나를 친구로 생각한다”)과 이행성(“transitivity” : “친구의 친구는 곧 나의 친구가 된다”)의 원칙이 법안 공동발의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정당의 역할에 있어서 여당이 법안 자체를 야당에 비해 더 발의하거나 더 제안받지는 않지만 집중도의 측면에서 여당이 야당에 비해 집중적으로 법안을 제기하고 법안을 제안받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본 연구는 사회 연결망 형성의 매커니즘을 밝히는 시도라는 데 가장 큰 의의가 있으며, 특히 연결망 내에서 연결(tie)들 간에 독립성에 대한 비현실적인 가정이 아니라 복잡한 사회 시스템의 상호의존성에 대한 가정을 차용함으로써 보다 실제에 가까운 모델링을 할 수 있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기존의 국회의원들의 행태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정당이 중요한 변수라는 것을 통계적 검증을 통해 재확인할 수 있었으며, 국회의원들이 누구와 어떻게 법안을 주고 받게 되는지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사회연결망 형성의 매커니즘을 밝혀내는 큰 첫걸음이 되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 17대 국회의원들간 공동발의 연결망 형성의 메커니즘 분석

        이병규 ( Byung Kyu Lee ),염유식 ( Yoo Sik Youm )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09 현대사회와 문화 Vol.29 No.-

        지금까지의 사회 연결망 연구는 대부분 연결망을 주어진 것으로 보고, 연결망 내에서 행위자의 위치를 살펴보거나 연결망 자체의 특성에 대해서 탐구해왔다. 다시 말해, 연결망에서 관계에 해당하는 연결(tie) 그 자체보다는 그러한 연결이 행위자(actor)의 특성으로 요약되어 변수로 사용되거나 연결이 결합되어 나타나는 연결망의 패턴을 관찰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연결망을 종속변수로 취급한 뒤 통계적으로 모형화하여 추정하는 모형(Exponential Random Graph Model)을 이용하여 연결망이 어떻게 형성되는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17대 국회의원들 사이의 4년간 공동발의 자료이며 완전 연결망(Complete Network) 자료로서 17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의 공동발의 연결망을 대상으로 한다. 연구 결과 보건복지위원회 내의 법안발의 과정에서 비례대표의 영향은 없었으며, 정당의 효과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국회 법안발의 연결망의 경우에도 기존 사회연결망 연구에서 중요한 연결망 형성원칙으로 지목되는 상호호혜성의 원칙("reciprocity": "내가 친구로 지목하는 이는 나를 친구로 생각한다")과 이행성("transitivity": "친구의 친구는 곧 나의 친구가 된다")의 원칙이 법안 공동발의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정당의 역할에 있어서 여당이 법안 자체를 야당에 비해 더 발의하거나 더 제안받지는 않지만 집중도의 측면에서 여당이 야당에 비해 집중적으로 법안을 제기하고 법안을 제안받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본 연구는 사회 연결망 형성의 메커니즘을 밝히는 시도라는 데 가장 큰 의의가 있으며, 특히 연결망 내에서 연결(tie)들 간에 독립성에 대한 비현실적인 가정이 아니라 복잡한 사회 시스템의 상호의존성에 대한 가정을 차용함으로써 보다 실제에 가까운 모델링을 할 수 있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기존의 국회의원들의 행태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정당이 중요한 변수라는 것을 통계적 검증을 통해 재확인할 수 있었으며, 국회의원들이 누구와 어떻게 법안을 주고 받게 되는지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사회연결망 형성의 메커니즘을 밝혀내는 큰 첫걸음이 되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Most network studies in social science treated social networks as given and focused on the diverse effects of social networks. This study tried to examine how co-signing networks in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had formed and evolved, instead. This type of studies that model social ties as dependent variables had one serious methodological problem: social ties are supposed to be dependent unlike the traditional statistical model that assumes independent and identical distribution of observations. In other words, ties from A to B are usually dependent on the ties from B to A (or they are also dependent on ties from A to C) and this kind of dependency makes traditional statistical analyses impossible to apply. This paper utilized P-net model (or Exponential Random Graph Model) that allows dependency between ties to examine how co-signing networks have formed and evolved. By using the co-sponsoring network data of 17th Korean National Assembly, this study revealed the three interesting characteristics on the formation of co-signing networks among 17th Korean Congressmen in the Standing Committee of Health and Welfare. First, with compared to opposition-party congressmen, congressmen of ruling party were less likely to propose or be proposed for bills. Also they showed higher concentration among very active congressmen with regard to proposing or being proposed. Thus, bill proposals are more concentrated on a few congressmen and also less active in general among ruling-party congressmen. Second, both the existence of reciprocity and transitivity were confirmed. Congressmen were more likely to propose each other (reciprocity). Also if congressman A proposes a bill to B and B proposes another bill to C, then A is more likely to propose a bill to C (transitivity). This transitivity implies some hierarchical structure in co-singing networks. Finally, the activity of congressmen assigned by proportional representation did not show any difference from the activity of congressmen for specific district. This finding suggests that proportional representation congressmen who were expected to behave in a freer way based on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or career actually proposed and cosigned in the same way congressmen for specific district di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