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비(非)하버마스적 비판이론: 현대사회연구에서 분석적 장점과 연구전략

        권오용(Ohyong Kwon) 한국사회학회 2020 韓國社會學 Vol.54 No.1

        이 연구는 비판이론을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이론과는 다른 독립적인 이론으로 규정한 바탕위에서 비판이론의 핵심특성이 현대사회를 분석하는 데 있어 갖는 강점을 탐색하고, 비판이론의 실제 사회연구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오늘날에도 유의미한 구체적인 연구전략을 도출해보고자 했다. 비판이론은 유럽 시민사회의 자기파괴와 사회주의적 대안의 실패를 경험하면서도 과거와 단절된 새로운 인식을 추구하거나, 과거에 매달려 현실의 변화를 등한시하지 않았다. 대신 인간의 해방이라는 목표를 견지하면서, 현실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통해 철학과 구체적 사회연구의 결합을 지향했다. 그 결과 비판이론은 주체/대상 변증법 속에서 구체적 시간개념에 의해 제한된 비초월적 진실개념을 갖게 되었으며, 특수 속에 보편이 재인식 가능하게 등장한다는 원칙을 세우게 되었다. 이러한 원칙은 현재의 사회 분석에서 여러 장점이 있다. 첫째, 비판이론은 시대적 전환기에 확립된 것으로서 급격한 변화 속에 놓인 현대사회 연구에서 분석적 장점을 갖는다. 둘째, 이론과 실천의 전통적인 결합방식에 얽매이지 않고 유연한 방식으로 더 나은 사회를 고민할 수 있게 한다. 셋째, 주체-대상에 대한 변증법적 인식은 기존의 서구식 이분법에 대한 훌륭한 대안을 제시해준다. 넷째, 보편이 특수한 대상 속에서 재인식 가능하다는 관점은 다양한 개별 사회연구들이 전체에 대한 인식을 놓치지 않도록 해준다. 독일 하노버에서 최근 행해진 일련의 비판이론적 사회연구는 비판이론이 갖는 이러한 장점들을 잘 보여주는 구체적인 사례로 주목할 만하다. 그곳에 모인 일군의 지식인들은 비판이론의 정체성에 대해 탐구하는 동시에 당대의 구체적인 현실분석을 통해 노동, 반유대주의, 민족주의, 정체성, 반미주의 등 새로운 비판이론의 연구영역을 개척하였다. 비판이론의 주요 가치를 계승하고 문제의식을 공유하면서 비판이론적 사회연구의 외연을 넓히려는 이 ‘핵심의 보존과 영역의 확장’이라는 이중의 연구전략은 우리가 비판이론의 현재적 적용을 고민할 때 진지하게 고려할 가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strength of Critical Theory’s core features in analyzing modern society and its concrete research strategies that still resonate with us even to this day by examining the actual cases of social studies based on Critical Theory. Although Critical Theory had seen the self-destruction of European bourgeois civil society and the failure of the socialist alternative, it has not pursued a new perception that was severed from the past, nor has it ignored the change of present reality of “bourgeois civil society” lingering in the past. Instead, without compromising the objective of human emancipation, it has sought the combination of philosophy and concrete social research by attempts to develop new approaches towards reality. As a result, Critical Theory has got the concept of non-transcendental truth limited by the concept of concrete time within the subject-object-dialectics and, and has established the principle that the universal can be found in the specific. These characteristics have several advantages in the analysis of our current society. First, since Critical Theory has been established at the turn of an era, it has analytical merits in modern social studies, which is undergoing rapid changes. Second, we can think of a better society in a more flexible way, away from the traditional relation of theory and practice. Third, its dialectical perception of the subject and the object can be a good alternative to the existing dichotomic view of them. Finally, its perception that the universal should be recognized in the specific object makes the social research in various fields, without missing the recognition of the social entity.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a trend of social studies from Critical Theory in Hannover, Germany. A group of scholars there tried to scratch out the misunderstandings of Critical Theory, while continued Specific reality analysis and pioneered new research fields of Critical Theory such as nationalism, labor, identity and anti-Americanism. Their dual research strategy, so-called, ‘preserving the core and expanding the realm’ as an effort to broaden the scope of concrete research while inheriting the main values of Critical Theory will be helpful to make a current application of Critical Theory possible.

      • KCI등재

        사회비판의 두 유형과 공조 방안 : 한국사회를 위한 종합적 사회비판 전략의 모색

        김원식(Kim Woen-Sick)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11 사회와 철학 Vol.0 No.21

        오늘날 우리 사회는 가속적 지구화 과정 속에서 발생하는 복합적 사회갈등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우리 사회의 복합적인 사회적 모순들을 정확히 진단하기 위해서는 사회비판이론의 전략 역시 보다 다층화 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 글은 상호 대립하고 있는 규범적 사회비판과 현시적 사회비판에 대해서 살펴보고 양자가 협력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규범적 사회비판과 현시적 사회비판 양식을 구별하고 양자의 핵심적 차이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2). 다음으로 이들이 전제하고 있는 언어의 기능에 대한 반성을 매개로 하여 이러한 두 가지 사회비판 유형들 사이의 근본적 차이를 해명하고 나아가서 양자의 원칙적 공조 가능성을 모색해 볼 것이다(3). 마지막으로 이러한 반성에 기초하여 오늘날 우리의 현실 속에서 두 유형의 사회비판이 실천적으로 공조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다(4). 이러한 작업은 대립하고 있는 두 가지 대표적인 사회비판 전략 사이의 실천적 협력 방안을 제시하고 나아가서 우리 사회에 대한 종합적 사회비판 전략을 모색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oday our society is faced with multi-dimensional social conflicts. The strategy of critical social theory needs to be multi-dimensional to diagnose these complex social conflicts exactly.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wo types of social critique, normative social critique and disclosing social critique, and to seek for the strategy for cooperation between them. For this aim, firstly, I distinguished the two types of social critiques and explained the essential differences of them. Secondly, I looked for the theoretical possibility of cooperation between them through the reflection of the two functions of language. Finally, I examined the way of practical cooperation between two types of social critique in the context of our society. This work can contribute to showing the way of practical cooperation between opposing social critiques and to searching for the synthetical strategy for diagnosing our society.

      • KCI등재

        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과 황장엽의 인간중심철학 : 일원론적 역사유물론의 극복 시도로서의 두 ‘다원론적 실천철학 체계’에 대한 비교 검토

        선우현(Sunwoo Hyun)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10 사회와 철학 Vol.0 No.19

        이 글은 황장엽의 인간중심철학을 ‘우회적인 방식’으로 소개해 보려는 의도에서 기획된 것이다. 여기서 우회적인 방식이란, 인간중심철학의 내용을 직접 소개하기 보다는, 오늘날 서구 사회철학계 뿐만 아니라 한국의 실천철학계에서도 가장 영향력 있는 사회철학 체계로 ‘잠정’ 평가 받고 있는 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과 상호 비교 고찰하는 방법을 통해 ‘비판적으로’ 소개해 보고자 하는 철학적 방식을 가리킨다. 이처럼 이 글이 황장엽의 인간중심철학을, 현재도 여전히 실천철학적 의미가 있다고 보이는 ‘마르크스(주의) 실천철학의 한계 극복 및 대안 제시’라는 사회철학적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비판적 사회이론과의 비교 검토 작업을 통해 성찰해보고자 하는 주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 곧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한계에 대한 치열한 비판적 문제의식에 입각하여 새롭게 정립된 인간중심철학이 거둔 철학적 성과와 기여, 의의와 의미 등이 비판적 사회이론에 견주어 그리 작다고만은 할 수 없다는 점을 드러내 보여주고, 그에 대한 한국 사회철학계의 관심을 불러 일으켜 봄으로써 여전히 학문적 무관심과 경시, 저평가의 대상에 머물러 있는 인간중심철학의 현 상황이 조금이라도 개선되도록 하는데 일조하기 위해서이다. 동시에 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과의 비교 속에서, 인간중심철학의 학문적 · 철학적 수준을 실제로 가늠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보려는 데에도, 이 글의 집필 의도가 또한 자리하고 있다. 이 글에서 특히 인간중심철학과의 비교대상으로 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을 설정한 이유로는, 인간중심철학과 비판적 사회이론은 둘 다 실천철학사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쳤던 마르크스(주의) 역사유물론의 시대적 한계와 이론적 · 실천적 난점을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그것을 넘어서고자 기획 · 정립된 대표적인 실천철학 유형이라는 점을 꼽을 수 있다. 게다가 두 사회철학 체계는, 노동(생산)이라는 협소한 ‘일원론적(一元論的) 패러다임’에 전적으로 의존하여 인류의 역사 및 사회의 발전적 전개과정을 분석 · 해명하고 새로운 사회상을 제시하는 도정에서 마르크스(주의) 실천철학이 드러낸 결정적인 한계와 난점들을 통찰하고 그에 대한 대안적(代案的) 방안으로서, ‘다원론적 패러다임’의 구도, 즉 ‘이원론적(二元論的) 패러다임’ 혹은 ‘삼원론적(三元論的) 패러다임’을 새로운 사회철학 체계의 근본 토대로 각각 설정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호 ‘이론 구성적 공분모’를 형성하고 있다는 사실 또한 적극 고려되었다. In this paper, I intend to introduce Hwang's Inganjoongshim(Human-centered) Philosophy critically in the indirect method. At this place, the indirect method designates the philosophical way which goes in for the critical introduction of Hwang's practical philosophy by carrying out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Inganjoongshim Philosophy and Critical Theory of Society that is estimated temporarily today as the most influential social philosophy in the community of Korean practical philosophy as well as in the world of Western social philosophy, rather than introducing directly the contents of Inganjoongshim Philosophy. This paper thus is intended to accomplish the mutual comparisonexamination work between Hwang's social philosophy and Habermas's practical philosophy, focused on the social philosophical subject of 'the overcome of limits of Marxist practical philosophy and the presentation of alternative to that philosophy', which is still regarded as significant today. The main reason to carry out such a social philosophical work is as follows: In the first place, I reveal that the philosophical outcomes, contributions and consequences of Inganjoongshim Philosophy which is critically constructed newly on the basis of the intensive critical consciousness on the limits and problems of Marxist practical philosophy, are not so slight as compared with those of Habermas's Critical Theory of Society. Secondly, I am helpful toward improving the current unfavorable circumstances in which Inganjoongshim Philosophy is placed owing to the academic indifference to itself, by arousing the philosophical interests in Hwang's practical philosophy in the community of Korean social philosophy. Thirdly, I provide the opportunity to judge really the academic and philosophical level and degree of Inganjoongshim Philosophy, in the comparison with Habermas's Critical Theory of Society.

      • KCI등재

        사회비판이론(critical social theory)으로서의 하버마스의 비판이론(critical theory)

        조영아(Jo, Youngah)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4 철학탐구 Vol.36 No.-

        사회비판이론(critical social theory)이 사회의 병리현상을 경험적으로 해명하는 것에만 치중한다면 극단적인 상대주의에 빠지게 될 것이다. 반면에 사회비판이론이 사회의 병리를 극복하기 위한 보편적인 규범 제시에만 치중한다면 역사와 무관한 보편주의 이론으로 전락할 것이다. 따라서 사회비판이론은 상대주의의 극단과 초역사적인 보편주의를 피하기 위해서 경험적 해명의 성격과 규범적 성격을 동시에 지녀야 한다. 이러한 사회비판이론의 성격을 염두에 두고, 본 논문에서는 하버마스(Jurgen Habermas)의 비판이론(critical theory)이 사회비판이론의 자격을 가질 수 있는지를 고려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캘훈(Craig Calhoun)이 제안한 사회비판이론의 조건을 설명하고, 이어서 하버마스의 비판이론이 무엇인지를 다룰 것이다. 그런 다음 하버마스의 비판이론에 대한 캘훈의 비판을 검토하고, 그런 비판에 관해 하버마스 비판이론의 관점에서 어떤 식으로 대응할 수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근거로 하버마스의 비판이론이 사회비판이론일 수 있음을 주장할 것이다. If critical social theory gives impotance to the empirical explications of pathological phenomena of societies, it will become the radical relativism. On the other hand, if the theory gives weight to the alternative of the universal norms, it will degenerate into an ahistoric universalism. Thus, in order to avoid the radical relativism and ahistoric universalism, critical social theory should have the momentum both of empirical explication and normative alternative. Having this requirement for the critical social theory in mind, this paper will discuss whether Habermas’ critical theory can be critical social theory. For this purpose, first, the condition of critical social theory by Calhoun will be suggested. Next, I will provide an explanation of what is Habermas’ critical theory. And then, I will argue that Calhoun’s criticism of Habermas’ critical theory can be responded from Habermas’ point of view. On the basis of these arguments, I will conclude that Habermas’ critical theory can be critical social theory.

      • KCI등재

        사법판결비판은 사회이론에서 어떠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는가?

        김정오 한국법철학회 2023 법철학연구 Vol.26 No.1

        Legal realists who emerged in the American legal academia in the early 20th century discovered that legal norms were not logically and deductively applied to a particular case, and through this exploration, they began to present the issue of indeterminacy in law. They began to use social scientific approaches to clarify the gap between the law in books and the law in action, going beyond Oliver W. Holmes’ claim that law is not logic but experience. If in a particular case, judges cannot make a decision based on pre-existing rights through deductive reasoning from the legal rules, what determines the case? With respect to this question, legal realists analyzed the reasons on which judicial adjudications were derived and through their detailed examination, the indeterminate character of legal rules began to be unveiled. As an alternative, they have paid attention to the factors outside the law that led to the vitalization of sociological research of law. Critical legal studies that emerged in the late of the 20th century focused on the analysis of judicial adjudication and began to radicalize the indeterminacy of law. Unlike legal realists, critical legal scholars slanted to the leftist theories that have been formed in American society at the time, and had negative attitude toward capitalist society in general. Critical legal scholars have heatedly debated about what significance the critique of judicial judgments, which the US appellate courts have been constantly producing, has in the social system that supports American society. In the mid-1980s, Susan Silbey, a legal sociologist, suggested the direction for the sociological research in her essay, and at the same time pointed out the problematics of the critical legal studies.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the critical legal studies’ dilemma raised by Silbey from her perspective of sociological study of law, and then Duncan Kennedy’s counterargument against Silbey’s critique. In particular, through the position of Duncan Kennedy, who was the founder and pioneer of critical legal studies, this paper aims to clarify what position the analysis and critiques of judicial adjudication occupy in the tradition of social theory, in other words, how they relate to the themes raised in social theory. In Chapter 2, I deal with the dilemma of sociology of law and critical legal studies that Susan Silbey raised in her essay. She argues that while legal sociology and critical legal studies, which claim to be descendants of legal realism, have the purpose of analyzing legal phenomena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and overcoming inequality and injustice prevalent in society, they are still stuck in the dilemma of idealism. This chapter deals with Silbey’s argument pointing out the problematics of critical legal studies while suggesting the direction that the approach of sociology of law follow in its research. Chapter 3 deals with Duncan Kennedy’s response to Silbey’s critique to critical legal studies. Kennedy is trying to figure out how critical legal studies, which has been devoted to the critique of adjudication, has a relationship with the grand tradition of social theory. He examin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spective of American sociology of law and that of critical legal studies, even if they claim to be the descendants of legal realism. Kennedy responses to the issues that Silbey raised about the critical legal studies. In this chapter, I examine how the sociology of law and critical legal studies have different perspectives and what results the difference in perspective brings. Chapter 4 deals with Kennedy’s argument, which focuses on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Marxism and critical legal studies on the law in capitalist society. In particular, irrationalists within cls reject Marxist theoretical premises and perspectives regarding the base/superstructure distinction, economic determinism of the superstructure and the ideological notions. It is ve... 20세기 초 미국의 법학계에 등장한 법현실주의자들은 법규범이 구체적인 사안에서 논리적, 연역적으로 적용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밝혀내었으며, 이러한탐구를 통해서 그들은 법에 있어서 비결정성의 문제를 중시하기 시작하였다. 법현실주의자들은 “법은 논리가 아니라 경험”이라는 홈즈의 주장을 넘어서 법전의 법(law in books)과 실제의 법(law in action) 간의 괴리에 주목하면서 이를 밝히기 위해서 사회과학적 접근법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만일 개별적인 사안에서 법관이 법규범으로부터의 연역적인 추론이나 기존의 권리에 근거해서 판결을 내릴 수 없다면, 그 판결을 결정하는 것은 과연 무엇인가? 이 물음에 대해서 법현실주의자들은 사법판결이 이끌어내어진 근거들을 분석하기 시작하였으며, 그들의 세밀한 탐구를 통해서 법규범의 비결정적 속성이 드러나기시작했다. 그 대안으로서 이들이 제시한 것은 법 외부에 있는 요소들에 주목하기 시작하였으며, 이것이 법사회학적 탐구의 활성화로 이어졌다. 20세기 후반에 나타난 비판법학은 사법판결의 분석에 집중하였으며, 법의비결정성 문제를 전면에 내세우기 시작하였다. 법현실주의자들과 달리 비판법학자들은 당시 미국 사회에서 형성되었던 좌파 이론이나 사상에 전도되어 있었으며, 자본주의 사회 전반에 대해서 부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었다. 비판법학자들은 미국의 법원이 끊임없이 생산해내고 있는 사법판결에 대한 비판이 미국사회를 지탱하고 있는 사회구조 속에서 어떠한 의의를 갖고 있는가에 대해서열띤 논쟁을 펼쳤다. 1980년대 중반 법사회학자인 수잔 실베이는 자신의 논문에서 법사회학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고, 동시에 비판법학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실베이가 법사회학 관점에서 제기한 비판법학의 딜레마를 살펴보고, 실베이의 지적에 대해서 반론을 펼치고 있는 던컨 케네디의주장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비판법학의 창시자이자 선봉에 섰던 던컨 케네디의 입장을 통해서 사법판결의 분석 및 비판이 사회이론에서 어떠한 위상을점하고 있는지, 다시 말해서 사회이론에서 제기되었던 주제들과 어떠한 연관성을 갖고 있는지를 밝혀보고자 한다. 제2장에서는 수잔 실베이가 제기하고 있는 기존의 법사회학과 비판법학의딜레마에 대해서 다루고자 한다. 실베이는 법현실주의의 후예라고 자처하는법사회학과 비판법학이 비판적 관점에서 법현상을 분석하고 사회에 팽배한 불평등과 부정의를 타파한다는 목적을 갖고 있지만, 여전히 이상주의의 딜레마에빠져 있다고 지적한다. 이러한 지적을 통해서 실베이는 법사회학이 새롭게 추구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비판법학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제3장에서는 사법판결비판에 전념해온 비판법학이 사회이론의 거대 전통과어떠한 관계를 맺는가를 밝혀보려는 던컨 케네디의 입장과 주장을 다룰 예정이다. 특히 케네디는 미국 사회에 대해서 비판적 입장을 취하고 있는 법사회학과비판법학이 법에 대해서 어떠한 관점을 갖고 있는지를 설명하고, 특히 실베이가 지적하고 있는 비판법학의 문제점에 대해서 반론을 펼치고 있다. 이 장에서는 법사회학과 비판법학이 어떻게 다른 관점을 갖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관점의 차이가 어떠한 결과를 가져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제4장에서는 사회이론의 거대 전통에 속하는 마르크 ...

      • KCI등재

        문화적 역량 비판 담론에 관한 사회철학적 분석

        김기덕(Kim Gi-Duk) 한국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사회복지학 Vol.6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비판적 사회복지 이론을 이론적 도구로 하여 문화적 역량 개념에 대한 비판담론을 분석하는 것이다. 부연하자면 다문화사회의 사회복지사라면 당연히 갖추어야 할 것으로 간주되어 왔던 다문화 역량 개념에 대한 비판담론들이 주장하는 내용을 명확히 하고 그 타당성을 체계적으로 평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역량에 대한 비판담론들이 급진적 비판 사회복지이론, 특히 푸코와 데리다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은 포스트모던 계열의 비판사회복지이론에 지적 기초를 두고 있음을 밝힌다. 비판담론들은 인식론적 측면에서 문화적 역량의 지식적 토대의 근거와 정당성을 문제시하는 동시에, 윤리적 측면에서는 문화적 사회복지실천이 가진 억압과 통제를 지적한다. 그 결과 문화적 역량이 별도의 실체로서 간주될 수 있는 것으로 보기 보다는 일반사회복지의 한 가지 태도로 간주하려 한다. 그러나 문화적 역량에 대한 비판담론들이 포스트모더니즘에 근거하고 있는 이상 이들이 가진 사회철학적 한계 역시 분명하다. 이들 담론들은 사실과 규범에 대한 인식적 구별을 하지 않으며, 전문직 관계의 억압을 과도하게 철폐하는 과정에서 도덕적 상대주의나 급진적 자유주의로 흐를 수 있고,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와의 권력적 제휴나 연합의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등의 실천적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It is very interesting phenomenon that despite a broad consensus on the need for social worker to take cultural aspects into professional practice, thus to be a culturally competent, a number of materials criticising the concept of cultural competence have emerged in these days simultaneously.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clarify such phenomenon, which means that this article is trying to analyze the contents of such critical discourse on cultural competence and the validity of those contents. The result of the study finds out that most of the argument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aspects: epistemological, ethical, ontological, and that most of the main ideas of the critical discourses have been borrowed from a branch of critical social work theories, especially highly influenced from Foucault and Derrida. This article argues that critical discourses have some significant problems which make a conflict with traditional values and tenets in social work as a human service profession. First, epistemologically, the critical discourse fails to differentiate the matter of discovery from that of justification, which brings the cultural competence to the brink of agnosticism. Second, ethically, insisting that there should be no foundational criteria for cultural hierarchy in term of rightness or goodness, the critical discourses reveal their intrinsic limitations in solving ethical dilemmas and conflict in real world, which can be considered as a kind of evasion of responsibility in disguise of cultural relativism. Third, in practical vein, critical discourses are largely in effective in specifying the concrete model to realize their own ideas, and furthermore they unintentionally promote context-blind perspectives that eclipses the significance of structural and systematical impacts on the cultural identity.

      • KCI등재

        아도르노: 사회비판으로서 음악비판

        이종하(Lee Jong-Ha) 새한철학회 2011 哲學論叢 Vol.66 No.4

        아도르노에게 음악은 곧 인식이며 음악비판은 사회비판을 의미한다. 사회비판으로서 음악비판은 내재적 비판과 음악의 사회적 기능비판으로 구분된다. 내재적 비판은 매개의 문제가 그 중심에 있고 음악의 사회적 기능비판은 물화비판과 이데올로기 비판을 축으로 한다. 사회비판으로서 음악비판은 사회적 부정성의 인식과 함께 다른 사회의 가능성을 보여 주는데 있다. 아도르노의 사회비판으로서 음악비판은 생산미학, 내용미학, 규범적 원리, 광범위하게 확장된 이데올로기 개념, 음악청중의 자율성에 관한 소극적 인식, 작곡주체에 대한 과도한 의미부여, 물화테제의 지나친 강조에 기초하고 있다. 이론적 난점에도 불구하고 부정의 정신으로서 아도르노의 음악비판은 상업주의의 딜레마 속에 빠져있는 진정한 음악과 상품화를 내세우는 음악에 대한 비판을 수행하며 음악 속에 내재한 사회적인 것을 의식화하는 데 여전히 유효한 주장이다. 다른 음악의 가능성에 대한 아도르노의 요구는 다른 사회에 대한 요구이며 음악은 유희와 기분전환, 가상을 넘어서 그것을 보여주어야 한다.

      • KCI우수등재

        한완상과 비판사회학의 형성

        정수복(Soo-Bok Cheong) 한국사회학회 2017 韓國社會學 Vol.51 No.1

        냉전분단체제하에서 시작된 한국의 사회학은 비판적 성격을 갖기 어려웠다. 이상백에서 이만갑을 거쳐 김경동으로 이어진 주류사회학의 흐름과 달리 비판사회학의 줄기는 분명하지 않다. 최문환, 이효재, 황성모의 사회학에도 비판사회학의 요소가 들어 있지만 이 글은 한완상의 사회학을 한국 비판사회학의 출발점으로 본다. 한완상은 1970년대 유신체제에 저항하여 민주화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민중사회학’이라는 이름으로 한국 비판사회학의 지평을 열었다. 이 글은 먼저 한완상의 비판적 문제의식의 형성과정을 살펴본 다음 그의 비판사회학을 사회학적 인간관 비판, 연구방법, 현대사 인식, 민중과 지식인의 사회학, 시민사회론으로 나누어 정리한다. 이어서 ‘사회의사’로서 그가 행한 사회적 실천을 살펴본 다음 끝으로 그의 비판사회학을 비판적으로 계승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In the history of Korean Sociology, Han Wan-Sang opened the intellectual horizon of critical sociology by his sociological research and political engagement. The situation of cold war and division of Korean peninsula inhibited the formation of critical sociology after national liberation from Japan in 1945. It was in the 1970s that Han Wan-Sang attempted to form a stem of critical sociology against the political oppression of authoritarian regime in the context of rapid industrialization. This article aims to accomplish four tasks. First, it traces the process of intellectual development and formation of Han Wan-Sang’s critical mind. Secondly, it analyzes the main contents of his critical sociology focussing on main themes such as sociological theory, methodology, Minjung sociology, Korean contemporary history, intellectual and critique of dominant ideology, civil society, etc. Thirdly, it illuminates the social practice of Han Wan-Sang as statesman, Christian and "social doctor". Finally, this article suggests some perspectives for the creative inheritance of Han"s critical sociology.

      • KCI등재후보

        비판적 사고와 사회과 탐구방법

        황갑진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9 사회과교육연구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rograms?contents in the research of critical thinking education for improving the methods in social studies inquiry. The data for this research are collected and compiled from the published research papers concerning the critical thinking and the social studies inquiry in the field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n South Korea. Most pieces of the critical thinking research are found to have been done not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but for the primary/middle school students. Only a few factors of critical thinking have been used in the education programs for the students in primary schools, where the teaching methods are usually the forms of explaining the issues, solving the problems, and playing the games. But many factors of critical thinking have been used in the education programs for the students in middle schools, where small groups are often organized in the class for the controversial debate. Critical thinking can occur whenever one judges, decides, or solves a problem; in general, whenever one must figure out what to believe or what to do in a reasonable and reflective way. Because critical thinking employs not only logic but broad intellectual criteria such as clarity, credibility, accuracy, precision, relevance, significance and fairness, the critical thinking methods are found to be most widely used in the field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n this research, it is suggested that the ability to think critically can be improved with the controversial debate in the class and that social science research methods can be well applied in the social inquiry method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본 연구는 사회과 탐구방법의 개선을 위해 비판적 사고의 구성요소와 사회과학방법들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사회과 비판적 사고 교육연구들을 내용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방법은 내용분석이며, 내용분석 자료들은 도서관 논문검색기와 RISS의 검색기를 통해 수집된 인문사회계 비판적 사고 교육 관련 20편의 논문들 중 사회과의 프로그램개발 연구와 실험설계의 연구들이다. 기존 연구들의 분석 결과를 보면, 사회과 교육 관련 비판적 사고 교육은 초등학교에서 많이 이루어졌고 프로그램 개발도 많았으며, 다음으로 중학교에서 많이 이루어졌다. 비판적 사고 구성요소의 적용을 보면, 초등학교에서 저학년은 비판적 사고 구성요소의 일부를 사용하여 단순한 개념학습을 하거나, 철학놀이게임이나 문답식 수업을 행하였다. 그리고 비판적 사고 구성요소들을 사용한 소 모둠의 논쟁수업은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에서 행해졌다. 이는 학생의 인지발달과 학생의 지적 수준에 따라 비판적 사고요소의 적용과 수업방식이 달라져야함을 의미한다. 비판적 사고연구는 사회와 도덕과목에서 많이 행하여졌다. 이는 사회와 도덕이 사실과 가치를 교육대상으로 함은 물론 사회현상에 대한 철학이나 과학적 연구방법을 강조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비판적 사고의 구성요소와 사회과학방법들과의 관련성과 비판적 사고 교육프로그램의 내용분석에 의하면, 사회과학방법들에 기초한 논쟁수업 형태의 사회과 탐구방법에 의한 교육은 비판적 사고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사회과 가치탐구방법은 현상학적 접근과 비판이론적 접근의 영역으로 구분하되, 비판이론에 입각한 사회과 탐구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 KCI등재

        비판적 체계이론의 두 방향으로서 사회 내재적 비판과 이론 내재적 비판

        정성훈(Jung, Sung Hoo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8 철학사상 Vol.70 No.-

        이 논문은 2013년 이후 체계이론과 비판이론을 하나의 이론 프로그램으로 묶어내려는 ‘비판적 체계이론’의 성과와 한계를 짚어보고자 한다. 비판적 체계이론은 체계이론의 비판 잠재력이라는 문제의식을 넘어서 체계이론적 사회비판 혹은 체계이론을 참조한 규범 이론의 정립으로 나아가고자 한다. 하지만 논문집들에 실린 대부분의 글들은 이러한 목표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체계이론적 사회비판의 불가능성을 설득력 있게 논증하는 글도 있다. 나는 이 논문집들에 실린 글들 중 주목할만한 두 편을 기준으로 비판적 체계이론의 두 방향을 ‘사회 내재적 비판’과 ‘이론 내재적 비판’으로 구별하였다. 사회내재적 비판의 방향에서는 기능적으로 분화된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이중적 비판을 다룬 글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보다 더 풍부한 성과를 보이고 있는 토이브너의 사회 헌법 구상과 기능체계 내 조직된/자생적 영역 구별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론 내재적 비판의 방향에서는 루만의 이론의 ‘시작’이 체계뿐 아니라 의미, 소통, 관찰자 등일 수도 있다고 주장하는 흥미로운 글을 소개하고 이러한 비판의 급진화는 더 이상 체계이론이 아닐 수도 있음을 밝혔다. 두 방향으로 나누어 검토한 작업의 잠정적 결과는 비판적 체계이론이 아직 하나의 이론 프로그램으로 불리기 어렵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런 표제에 따른 작업보다는 두 방향에서의 내재적 비판을 위한 후속 연구의 과제들을 도출하면서 이 논문을 마무리한다. Since the consequential debate between Habermas and Luhmann, Critical theory and Systems theory have long been understood as opposing positions. ‘Critical Systems Theory’ is a new theoretical program that integrates the two sides. However, search results for articles related this theory have not produced titles relevant to its name. Some articles even show the impossibility of a system-theoretical critique of society. The remarkable articles in critical systems theory can be differentiated into two directions. The first group of critical systems theory argues ‘immanent critique in society’, which is well-presented by Uwe Shimank’s article. He attempts a “double talk” critique of a functional differentiated capitalistic society. Another case of immanent critique in society can be found in Gunther Teubner’s idea of transnational societal constitution. The second group within critical systems is ‘immanent critique in theory’, which is well-presented in Moritz Klenks’s article. He argues that the ‘beginning’(Anfang) of Luhmann’s theory may be moved or changed, the four candidates of beginning being system, meaning, communication, and observer. The provisional conclusion of my research on critical systems theory is that it is not yet a theoretical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