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경재난에 의한 어촌마을의 주민갈등과 사회자본

        김도균(Do-Kyun Kim) 한국환경사회학회 2010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4 No.1

        이 논문의 연구목적은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로 인해 발생한 어촌마을 주민갈등의 방어력 변수로서 사회자본의 역할을 밝혀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태안군 관내에 위치한 3개의 어촌마을을 비교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자본의 축적수준이 높은 도산도와 하전2리 마을이 사회자본의 축적수준이 낮은 월산1리에 비해 갈등의 강도도 약하고 회복의 속도 또한 빨랐다. 특히 사회자본은 사고초기 주민갈등의 도화선이 되었던 1차 생계안정자금의 분배과정에 영향을 미쳐 갈등을 축소시켰다. 도산도와 하전2리의 높은 사회자본은 주민들 사이의 이기적 행동을 억제시켜 생계비 분배가 원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고 촉진시켰다. 반면에 사회자본의 축적수준이 낮은 월산1리의 경우 주민들 사이에 격렬한 갈등이 발생하였으며, 1년 후에는 선주들이 새로운 조직을 결성하면서 갈등이 고착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사회자본이 주민갈등을 완화시키는 효과만을 불러온 것은 아니다. 오히려 하전2리에서는 주민들이 삼성중공업과의 자매결연을 결정하는데 있어, 높은 사회자본이 주민들 사이의 자율적 논의를 차단하고 마을공동체의 결정을 강요함으로써 갈등을 발생시킨 측면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자본을 높게 축적한 마을이 주민갈등을 효과적으로 조정하고 있었다. The ke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ole of social capital as a defensive power variable for conflicts with fishing village residents, which arose from the oil leakage incident of the HEBEI Spirit Vessel. With this aim, the study conducted comparative research into three fishing villages within the jurisdiction of Taean-gun. As a result, Dosan-do and Hajeon 2-ri village, of which the level of the accumulation of social capital was high, showed a lower intensity of conflicts and a faster recovery as compared to Wolsan 1-ri, of which the level of the accumulation of social capital was low. Specifically, social capital affected the distribution process of the first funds for a stable livelihood, which ignited conflicts among residents during the earlier period of the incident; thus, reducing those conflicts. The high social capital of Dosan-do and Hajeon 2-ri suppressed selfish behavior among residents, and attracted and promoted the smooth distribution of living costs. Meanwhile, there appeared to be severe conflicts among residents in Wolsan 1-ri where the level of the accumulation of social capital was low. In one year, such conflicts became set in as shippers formed a new organization. However, social capital did not merely mitigate conflicts among residents. Rather, in Hajeon 2-ri, the high social capital of the village was partly accountable for those conflicts by cutting off voluntary discussions among residents and forcing them to make a decision regarding the village community when residents had to determine a sisterhood relationship with Samsung Heavy Industries. In spite of such an aspect, the villages where social capital was greatly accumulated were controlling conflicts among residents effectively.

      • KCI등재

        사회적 지원이 일-가족 갈등 및 일-가족 촉진에 미치는 영향 : 남녀 간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원숙연,박지원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9 여성학논집 Vol.26 No.2

        The rapid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families and the workforce have made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 and family increasingly important. In response to these changes, many organizations, especially in the Korean public sector, have implemented programs or policies to accommodate conflicting needs from work and family. However, it is doubtful if the various policy measures for work-family reconciliation fulfill the needs in reality, in terms of policy formalism. In order to identify the gaps between policy rhetoric and reality, social and informal supports for work-family reconciliation need to be given attent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plores the substantial effects of informal social supports on the work-family interface, paying special attention to gender differences and marital status. The work-family interface consists of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enhancement. Additionally, social and informal supports for the work-family interface have three sources; that is, from supervisors, co-workers, and organizational climate. In particular,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civil serva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s and the work-family interface. The level of social supports for men was higher than women. Moreover, women reported a higher level of work-family conflict. Second, in every facet, married women experienced in the hardest conditions. They reported the highest level of work-family conflict and a lower level of social supports. Third, organizational support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work-family conflict. Likewise, supports from co-worker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work-family facilitation(->enhancement). These findings have certain implications. First, different strategies should be applied. That is, in planning policy measures, gender differences should be considered. Especially the differentiated conditions faced by married women need to be seriously taken into account. In additi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r climate can either advance or thwart the fectiveness of work-family programs. Family-friendly policy or programs should be directed towards changes in organizational culture or climate. 현실적으로 일-가족은 분리될 수 없는 상호의존적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노동시장의 구조와 관행은 이들이 분리 가능하다는 전제에 입각해 있다. 이러한 현실과 관행사이의 간극으로 인해 조직 구성원은 갈등 상황에 노출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조직의 일-가족 양립을 돕기 위한 사회적 지원(social support)이 일-가족 갈등(work-family conflict) 및 일-가족 촉진(work-family enhancement)에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일-가족 양립을 위한 사회적 지원과 일-가족 갈등, 일-가족 촉진의 관계에 관한 기존의 이론적 논의를 정리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동료지원, 상사지원, 조직지원으로 구성되는 사회적 지원이 갈등과 촉진에 미치는 영향력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남성과 여성 모두의 경험을 반영하는 성별차이에 특히 주목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하여 서울시 25개 구청에 소속되어 있는 750명의 남녀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경험적 연구결과, 사회적 지원과 일-가족 갈등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현격한 성별차이가 존재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사회적 지원을 구성하는 동료, 상사, 조직 등 모든 차원에서 여성은 남성에 비해 낮은 수준의 지원을 받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일-가족 갈등은 남성에 비해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일-가족 양립을 위한 사회적 지원에 있어서 결혼이나 자녀유무가 갖는 의미가 성별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음도 확인하였다. 즉 남성은 혼인상태나 자녀유무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크지 않은데 반해 여성에게 있어서 결혼은 집단 간 차이를 발생시키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사회적 지원을 포함한 다양한 요소가 일-가족 갈등과 촉진에 미치는 작용경로를 살펴본 결과, 일-가족 갈등에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은 조직지원임이 나타났다. 무엇보다 여성의 경우, 결혼유무가 일-가족 갈등에 중요한 영향요인이지만 남성에게는 그렇지 않았다. 일-가족 촉진의 경우, 남녀 모두 동료지원이 강한 영향을 미치는데 남성의 경우는 상사의 지원도 한정적이나마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가 여성인력의 효과적인 활용 및 양성평등에 갖는 의미를 젠더관점을 통해 논의하였다. 이를 기초로 향후 연구 방향도 함께 제시하였다.

      • KCI등재

        사회갈등 관련 인식이 민주주의 수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경제상황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민윤,권기헌 한국국정관리학회 2023 현대사회와 행정 Vol.33 No.2

        The COVID-19 pandemic has intensified social conflicts in Korean society. Scholars saw that the increase in social conflict could be a hindrance to national economic growth and a barrier to democracy. However, in previous studies,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various aspects of social conflict in modern society have not been contained by connecting citizens' satisfaction with the level of democracy and economic situ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ocial conflict-related perceptions on democratic level satisfaction was examined, focusing on the effect of economic situation satisfaction. The study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2021 Social Integration Survey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conflict-related perception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mocratic level satisfaction, but their influence differed depending on the pattern of conflict. From this, it has the following research and policy implications. First, the conflict of material needs is found to be caused by conflicts involving economic interests, requiring fairness-oriented policies such as guaranteeing equality of opportunity. Second, the value conflict resulted from cultural differences, and policies to prevent cultural polariz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that if cultural and value conflicts are alleviated, democratic satisfaction can also be increased. Third, in the case of ideological conflict, ideological conflict can be seen as an opportunity to lead to participatory democracy in that stakeholders of ideological conflict show efforts to resolve the conflict. However, ideological conflicts appear to have more political factors than economic interests than other conflicts, so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play the role of coordinating and resolving ideological conflicts. Fourth, the government's efforts to resolve conflicts can lead to a positive evaluation of democrac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social conflict in capitalist society, it should act as an active conflict resolution role of the government. Overall, the influence of social conflict on democratic satisfaction was reveal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nflict. In addition, along with the economic situation satisfaction variable, it has a statistically greater influence. This proves that social conflict is strongly related to economic interests rather than simply independently caused. Therefore, rather than resolving each social conflict individually, efforts should be made to approach it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nflict. 코로나19 팬데믹은 이전부터 한국 사회가 가진 사회갈등을 더욱 격화시켰다. 학자들은 사회갈등 증가가 국가경제 성장 방해와 민주주의 질적 장애요인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선행된 연구에서는 다양한 현대사회 사회갈등 양상을 시민의 민주주의 수준 만족과 경제적 상황을 연결하여 담아내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갈등 관련 인식이 민주주의 수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경제상황 만족도의 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는 한국행정연구원의 ‘2021 사회통합실태조사’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한 통계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갈등 관련 인식이 민주주의 수준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하였으나, 갈등 양상에 따라 그 영향력은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로부터 다음과 같은 연구 및 정책적 함의를 가진다. 첫째, 물질적 욕구 갈등은 경제적 이해관계가 얽힌 갈등으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드러나 기회의 평등성을 보장하는 등과 같은 공정성 중심의 정책이 필요하다. 둘째, 가치갈등은 문화적 차이로 비롯되었으며, 문화・가치 갈등이 완화한다면 민주주의 만족도 또한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문화적 양극화를 막는 정책을 고려해야 한다. 셋째, 이념갈등의 경우, 이념갈등의 이해관계자들은 갈등 해소를 위한 노력을 보인다는 점에서 이념갈등을 참여민주주의 등으로 이어질 수 있는 기회로 볼 수 있다. 다만 이념갈등은 여타 갈등에 비하여 경제적 이권보다 정치적 요소가 다분히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념갈등에 대하여 정부의 조정・해결자 역할 수행이 필요하다. 넷째, 정부의 갈등해소 노력은 민주주의의 긍정적인 평가로 이어질 수 있다. 자본주의 사회의 사회갈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갈등해소 역할로서 작용해야 할 것이다. 종합적으로, 민주주의 만족에 미치는 사회갈등의 영향력은 갈등의 유형 및 특성에 따라 제각각 드러났다. 또한 경제상황 만족 변인과 함께 통계적으로 더 큰 영향력을 보인다. 이는 사회갈등이 단순 독자적으로 유발되기보다 경제적 이해관계와 강력한 연관성을 갖는다는 것을 방증한다. 따라서 각 사회갈등을 개별적으로 해결하기보다 각 갈등의 특성에 맞게 종합적인 관점으로 접근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 KCI등재

        제주지역의 갈등극복과 지역공동체의 회복

        고승한(Seung Hahn Koh) 제주학회 2013 濟州島硏究 Vol.39 No.-

        현대사회는 다양하고 복잡한 분화형태를 보이고 있고, 이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사회갈등이 잠재 혹은 표출되고 있다. 제주사회도 예외 없이 다양한 사회갈등이 존재해 왔고, 현재 혹은 미래에도 그럴 것이다. 제주사회의 사회갈등은 다양한 차원에서 발생하고 그런 갈등상황들이 일시적으로 발생하여 사라지는가 하면 혹은 구조화된 양상으로 고착화되기도 한다. 갈등의 구조화는 제주사회의 사회통합과 사회안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제주사회에서 갈등의 구조와 과정을 보인 행정구조 개편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공공갈등의 사회적 의미와 특성을 천착하는데 주목하였다. 제주지역에서 행정구조 개편 문제가 갈등 형성기, 심화기, 조정지, 그리고 완화기 단계를 거치면서 공공갈등의 구조화 현상을 관찰할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제주지역에서 행정구조 개편과 관련하여 발생한 공공갈등은 제주사회의 행정부문, 지역, 도민 그리고 시민사회 부문 간의 갈등을 야기시켜 제주지역사회 공동체의 파괴, 도민에게 상처와 고통, 그리고 지역발전과 사회통합의 저해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구조화된 갈등은 어떤 방식으로든 해소하여 지역사회의 사회갈등에 대한 발생 원인을 보다 객관적이고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갈등의 구조화는 지속화되는 양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대신에 이를 적극적으로 해체하는 전략과 방법을 적극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그래서 공공갈등의 부정적 폐해에 대한 반성과 성찰을 통해서만 새로운 상생의 지평을 열 수 있을 것이다. The modern society as a whole is likely to be diverse and complex, thus generating a varirty of social conflict in either potentifal or visual form. There have existed various types of social conflict in Jeju history, which would be emerged endlessly in the future. On the way to this process, some conflicts will be structured and have affected both social integration and social stability in a negative way. Thus, a structured conflict explicitly seens to cause social unstability and underdevelopment, even going ahead a social crisis. By alalyzing thecase of administrative system reform, this study figures out social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 conflict. Jeju society, the reshaping problem of administrative system had displayed the whole process of the conflict structrualization. The public conflict coupled with administrative structure remodeling had implicitly caused somewhat negative impacts on community solidarity, social cohesion, and local development across the Jeju society as whole It is widely recognized in Juju society that such a structured conflict in Jeju should be resolved so as reach out its commonality and prosperity Considering the advent possibility if much mor diverse and complex conflicts in Jeju locality, it is needed to lay iut fundamental reasons for them with on-depth and objective way. This scientific efforts and concerns in the academic community, as well as the public arena will be in the way to dismantle the rooted conflict. Further, when social reconsideration and political efforts to minimize conflicts negative outcomes as possible is sustained in Jeju s overall social sectors, we may be expected to look at the new horizon socioeconomic development and common prosperity among Jeju people.

      • KCI등재

        위험의 주관화와 신사회갈등 - 위기 대응을 위한 사회복지 방향성에 관한 고민 -

        박은하 아시아교정포럼 2016 교정담론 Vol.10 No.1

        본 논문은 현대사회의 위험으로 인해 발생한 한국사회의 새로운 갈등 현상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정책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위험은 부정적인 영향, 발생 가능성, 위험 주체의 현실 상황 인식이라는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는데, 특히 현대사회에서 위험은 개인의 심리 및 사회·문화적 재구성을 통해 주관적으로 인식된다. 이와 같은 위험의 주관화가 한국 사회에 새로운 갈등 구조를 생산하고 있다. 즉 근대화 이후 한국사회의 주요 갈등으로 다루어졌던 빈부갈등, 세대갈등, 성갈등, 지역갈등 등이 사회 불평등을 구성하는 객관적 조건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주관적 인식으로 인해 새로운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에 본고는 객관적 조건뿐만 아니라 동시에 주관적 조건을 고려하여 사회복지정책의 방향을 설계할 것을 제안한다. 이것이 신사회갈등 해결을 위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study has been conducted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risks in modern society, to analyze new social conflicts, and to suggest a new direction of social welfare policy for social conflict resolutions. A risk has three factors: undesirable outcomes, possibility of occurrence, and state of reality. Risks in modern society have been determined by individual cognition of reality. The change of characteristic of risks has caused new social conflicts in Korea: class conflict, generation conflict, gender conflict, regional conflict, and etc.. This study suggests to design Korean social welfare policy considering subjective welfare perception of the individual.

      • KCI등재

        의료시장개방과 언론의 사회갈등관리 기능

        남인용(Nam In-Yo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press was fulfilling the function of social conflict management on the case such as opening medical market in FTA between Korea and USA. To accomplish this purpose, content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the data gathered from the articles on opening medical market from march 1 to may 31, 2006. Analysis showed the press didn"t carry out the function of social conflict management even on the very important case like opening medical market. Ultimately the press is likely to amplify social conflict by taking no measure. From now on the press in Korea should take a key role in preventing and curing the social conflict by actively lead for the collection of public opinion and conflict resolution.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서의 의료시장 개방과 같이 사회갈등을 유발하고 촉진할 가능성이 높은 사안에 대해 언론이 사회갈등관리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었다. 이를 위해 2006년 3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3개월간에 걸쳐 언론에 보도된 의료시장 개방관련 기사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우리 언론은 의료시장 개방과 같은 중요한 사안에 대해 어떠한 사회갈등 관리 기능도 하지 못하고 있었다. 우리 언론은 사회갈등 관련 사안에 대해 무대책으로 일관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사회갈등을 더욱 촉진할 가능성이 크디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우리 언론의 사회갈등 관리기능의 부재는 새로운 사회갈등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사회갈등을 더욱 증폭시킬 수도 있다. 앞으로 우리 언론은 사회갈풍 관련 사안에 대해 보다 적극적으로 여론수렴 및 갈등 해소를 주도하여 사회갈등을 예방하고 치유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 KCI등재

        정치사회제도에 대한 신뢰와 사회갈등

        조원빈(Cho, Wonbin) 한국정치정보학회 2016 정치정보연구 Vol.19 No.1

        현재 한국사회의 갈등은 심각한 수준에 있다. 사회갈등의 기원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사회갈등 해소에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본 논문은 여론조사 데이터를 이용해 정치사회제도에 대한 국민의 신뢰도가 높으면 그들이 느끼는 사회갈등의 심각성이 완화될 수 있다는 것을 경험적 분석을 통해 보여준다. 정치사회제도에 대한 국민의 높은 신뢰도는 그들의 민주적 정당성을 향상시켜줘 해당 제도가 직접 사회갈등을 중재하거나 관리할 수 있는 역량을 확대시켜줄 수 있다. 본 논문은 정치사회제도 중 국회와 시민단체에 대한 국민의 높은 신뢰도가 그들이 느끼는 사회갈등의 심각성을 완화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 반면, 대통령에게 높은 신뢰를 보이는 국민일수록 한국사회의 갈등상황이 매우 심각하다고 느낀다는 것을 발견했다. 사회갈등에 대한 기존 연구와 달리, 본 논문은 한국사회 갈등의 기원을 경험적 수준에서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갈등 극복을 통한 사회통합 방안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심각한 갈등상황을 완화하거나 관리하기 위해 국회의 대표성과 책임성을 강화해 제도화 수준을 높여야 하며 시민단체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도적으로 갖춰 그들의 갈등해결에 직접 참여하고 감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The levels of social conflict are seriously high in South Korea. Looking for the origins of social conflict is critical for resolving the conflict. Using individual-level survey data, this study attempts to argue that people who show high levels of trust in their political- and social- institutions are more likely to perceive that the levels of social conflict are not severe than those expressing low levels of trust. Public trust in those institutions can boost their democratic legitimacy and increase their capacity to suggest resolutions for conflict management.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public trust in both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and civil society has a positive impact on lowering the conflict level perception. However, the trust in Korean president leads people to perceive that the levels of social conflict are severe. Unlink existing studies on social conflic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ource of social conflict based on micro-level perspectives and suggests what we should do for social conflict management. We should institutionalize for the National Assembly how to mediate various social conflicts and encourage civil society to directly participate in the negotiation process.

      • KCI등재후보

        한국 사회보장제도와 사회적 갈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용재,김성욱,이연정 중앙사회복지연구회 2023 사회와복지 Vol.5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exploratory identification of the cause and specificity of the conflict surrounding the social security system in Korea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mai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conflicts related to the Korean social security system continue to occur, and conflict structures that cause conflicts exist visibly and inherently within the system. In particular, conflicts over the social security system have arisen as pressure for system reform has appeared before the system matures. Second, conflicts related to Korea's social security system include generational conflict issues due to rapid population aging, lack of basic philosophy and perspectives related to social security, politicization and limitations of social consensus because of electoral mobilization of social security issues, and a unique structure of interests between the government and private providers surrounding the system Third, in order to manage conflicts in the Korean social security system, a democratic and participatory social security conflict management and mediation system must be established, and structural problems that trigger social conflicts must be resolv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ublic's perception of social security based on citizenship and to improve factors that trigger conflicts such as the press and media. In the future, it is critical to address social security conflicts by developing a social security conflict scale which can evaluate as well as manage the level of conflict in the Korean social security system and continuously monitoring them.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한국 사회보장제도를 둘러싼 갈등의 발생원인과 한국적 특수성을 탐색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사회보장제도와 관련된 사회갈등은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갈등을 유발하는 갈등구조가 사회보장제도내에 가시적, 내재적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특히, 사회보장제도와 관련된 갈등은 제도가 성숙하기 이전에 제도 개편에 대한 압박이 가해짐으로써 발생하고 있었다. 둘째, 한국 사회보장제도 관련 갈등은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급격한 고령화로 인한 세대갈등 이슈 심화, 사회보장 관련 기본철학과 관점의 부재, 사회보장 이슈의 선거동원으로 인한 정치화로 사회적 합의 어려움, 제도를 둘러싼 재정당국과 민간공급자 등 특수한 이해관계 구조를 특징으로 하고 있었다. 셋째, 한국 사회보장제도 갈등관리를 위해서는 민주적이고 참여적인 사회보장 갈등관리와 중재 시스템을 구축하고 사회갈등을 촉발하는 구조적 문제를 해결해 나아가야 한다. 또한 시민권에 근거한 사회보장 관련 국민 인식전환과 언론, 미디어와 같은 갈등촉발 요인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향후 한국 사회보장제도의 갈등수준을 평가하고 관리할 수 있는 사회보장갈등 척도를 개발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사회보장 관련 갈등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사회적 집단갈등의 사례분석을 위한 모형구축 연구

        윤종설 한국정책개발학회 2013 정책개발연구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nalysis model of social group conflicts cases. This model is expected to analyze, evaluate, and flexibly manage the problems of social group conflicts, providing the guidelines of basic strategies for the problem solving. This research is important since it opens up a new paradigm by providing the new theoretical perspectives, analysis criteria, and strategies through shedding new lights on the previous public conflicts management paradigm. In addition, the case studies in this research suggest the actual model for social group conflicts and even provides precautionary measures for the future social group conflicts.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improve the social group conflict management by providing alternative ways of conflict management such as revitalization of coordinating mechanism, securement of the representative local residents, expansion of systematic and adaptive responsiveness to similar cases, and contributions to making road maps to conflict process and establishing the related laws and institutions. Academically,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building a new theoretical perspective for the social group conflicts, finding important factors, and investigating the expansion of group conflicts to social group conflicts. 본 연구는 공공갈등이 사회적 집단갈등으로 확대·발전될 때 미칠 수 있는 사회적 파장을 고려하여 공공갈등을 유형화하고, 그에 따른 사회적 집단갈등의 영향요인과 문제를 분석·평가하며, 갈등문제를 보다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한 분석모형을 제시한다. 또한 모형적용을 통해 사회적 집단갈등 발생 원인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고, 공익을 바탕으로 한 가치판단을 통해 사회적 집단갈등의 문제해결을 위한 접근전략과 모형의 기본방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정책적 기대효과는 조정 메커니즘 활성화, 주민의 대표성 확보 방안, 사회적 집단갈등 사례의 유형화와 체계적 분석을 통한 유사사례에 대한 유기적·적응적 대응성 확대 등을 통해 사회적 집단갈등의 관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학문적 기대효과는 사회적 집단갈등의 새로운 이론체계 정립, 사회적 집단갈등의 사례분석 모형 구축과 모형에의 적용을 통해 집단갈등이 사회적 집단갈등으로 확산되는 것을 학문적으로 규명할 수 있다.

      • KCI등재

        사회갈등시설의 설치상의 문제점과 갈등완화방안

        김재광 한국공법학회 2010 공법연구 Vol.38 No.3

        Recently, the conflict has been bursting and spreading from all corners of our society as we call it ‘golden era of conflict’. 4 major rivers business and Sejong City could be representative issues. Strong argument for or against social issues is making our society a huge ‘blast furnace’. The facilities of social conflicts should be installed by the thorough project. Planning process for facilities of social conflict in current laws is extremely insufficient and lack of consistency and has some problems in terms of protecting the rights of the people. Therefore, they need to introduce confirmation process for plan to facilitate installing the facilities and to protect the rights of the people. Installing the facilities has faced strong resistance by the people and local government who concern about va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from them, because the facilities could affect environment badly. Pollution reduction or prevention is the key to install the facilities, and effective control to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hould be taken because the residents' opposition is primarily focused on environmental pollution. Finally, people participation is principle of the adjective law to guarantee adjusting the interest in the administrative process on installing social conflict facilities, making the decision sensible, and maintaining the validity and to promote democracy. Procedure of people participation needs fundamental improvement to adjust complicated interest and to satisfy objective private interest. And for ensuring effectiveness of people participation, they should make people participation practical by using the various information actively includ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related to social conflict facilities. When we think of it, social conflict facilities has own installation procedure in individual law to install the each facilities but, it is placed in difficult environment to be installed against residents' opposition without proper system, procedural transparency and legitimacy. Facilities of social conflict is very important part of the state and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to improve the overall quality of people's life. Therefore, to maintain laws relevant to it comes first and should support that its installation could be easily and rapidly at a proper time and place. 최근 우리 사회는 ‘갈등의 전성시대’라 할 정도로 사회 곳곳에서 갈등이 터져나오고 심화․확산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4대강 사업’이나 ‘세종시문제’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은 사회갈등시설이 함축하고 있는 헌법적 및 행정법적 의미에 대한 심층적인 인식의 부족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 종래의 원자력발전소나 방사성폐기물관리시설의 설치와 관련한 갈등사례를 반면교사 삼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회갈등시설의 본질에 다가서지 못하고 있다. 앞으로는 국정관리의 최우선과제가 ‘갈등관리’인 점을 감안하여 사회갈등을 완화할 수 있는 기본법의 제정이 절실하다고 본다. 그리고 사회갈등을 완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회갈등시설의 설치는 현행법처럼 이해관계인의 집중적인 참여가 미흡한 인․허가절차가 아닌 철저한 계획사업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따라서 행정절차법에 계획확정절차를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사회갈등시설의 설치는 4대강사업에서 보았듯이 환경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사회갈등시설의 설치에 따른 각종 환경오염을 우려한 주민 및 지방자치단체에 의해 시설설치가 강력한 저항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환경오염의 저감 또는 방지문제는 시설설치에 있어 사활의 문제가 되어 있으므로 환경영향평가에 대한 실효적인 통제가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주민참여는 사회갈등시설의 설치를 위한 행정결정과정상 이해조정을 도모하기 위한 절차법리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기 때문에 복잡한 이해관계를 적절히 조정하고 객관적 사익의 충족을 통해 공익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주민참여절차의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그리고 주민참여의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정보공개법을 최대한 활용하여 사회갈등시설과 관련한 환경정보 등을 비롯한 각종 정보를 주민들이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주민참여가 실질화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