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구성주의와 자연

        장신옥(Shin-Ock Chang) 한국환경사회학회 2016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20 No.2

        사회구성주의는 사회학 이론의 한 차원으로 사회실재론에 대별되는 패러다임으로서 사회학에 오랫동안 자리를 잡고 있었다. 그러나 사회구성주의가 환경사회학 이론으로서 등장한 것은 1990년대이다. 존 해니건과 스티브 이얼리 등 환경사회학자들은 환경지식과 환경문제의 사회구성적 속성을 지적하며 그 당시 환경사회학의 지배적인 패러다임이었던 환경문제 실재론에 반기를 들었다. 사회구성주의자들이 주장하는 것은, 자연환경문제가 형성되는 데에는 과학자들의 지식이 절대적이나 과학자들의 지식은 그 자체로 불확정적인 한편 과학자 공동체 안의 합의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환경사회학자가 해야 할 일도 객관적 실체로서 환경문제의 존재를 전제로 환경문제와 사회와의 인과적 연결고리를 만들 것이 아니라, 특정한 환경적 사안/문제가 어떻게 관심을 끌게 되는 지 그 과정을 탐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글은 맥락적 사회구성주의 관점에 근거해 한국사회에서 그동안 제주의 자연과 한라산 야생노루에 대해서 말하는 방식이 크게 달라진 점을 분석했다. 제주의 자연과 한라산 야생노루의 의미를 규정하는 데에 관여한 핵심 행위자와 그들의 진술을 분석했다. This paper studies social constructionist views on environmental problems. The social constructionist perspective emerged in the 1990s in environmental sociology as a competing paradigm against the social realist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environmental problems. This paper clarifies the contours of social constructionist views to environmental issues by locating it within the broader theoretical terrains of environmental sociology. This paper further examines the two cases of Jeju Island’s nature and Halla mountain’s wildlife deer drawing upon the contextual approach of social constructionist perspective. The two cases present interesting points for social constructionist analysis in that the two issues have seen significant transformations in meaning makings. For Jeju Island’s nature, the discourse transformation indicates Jeju Island from the land in poverty with infertile natural conditions to the land in purity blessed with natural attractions; and for wildlife deer, it involves discourse change from beloved animal creatures that should be preserved to the animals exerting damage to the island’s agricultural households, accordingly to be caught (and put down) until the number of species are stabilized. Key players and their statements that are involved in defining the meanings of Jeju Island’s nature and the wildlife deer as such are examined.

      • KCI등재

        생태여성론으로 분석한 한국 여성환경운동 - 동기화 구조, 사회공간 내 운동유형, 그리고 지향

        문순홍(Moon Soonhong) 한국환경사회학회 2002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2 No.-

        한국의 여성환경운동이 본격적으로 등장한 것은 1980년대 중반 경이다. 이후 몇 단계를 거쳐 확장·변화해왔다. 본 논문의 목적은 생태여성론의 시각에서 이 한국여성환경운동을 동기화구조, 운동의 사회공간 및 유형 그리고 지향점의 측면에서 분석·평가하는 것이다.<br/>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우선 1장에선 여성과 환경을 엮는 여러 이론들, 즉 여성과 환경주의, 젠더와 환경, 생태여성주의 그리고 페미니스트 정치생태학을 동기, 운동영역 및 유형 그리고 그 지향점이란 측면에서 재조합하여 분석틀로서의 생태여성론이 제시되었다. 2장에선 즉자적 존재로서의 여성이 참여한 환경운동, 대자적 존재로서의 여성들이 남성과 동등한 주제로 참여한 환경운동, 여성들만의 환경운동 그리고 여성적 관점에서의 환경운동에 따라 한국 여성환경운동의 확산과정을 세 단계로 구분 기술하였다. 3장에선 여성환경운동의 동기들이 변화하는 과정을 동기화 구조로 보고 한국 여성환경운동에 참여하는 여성들의 동기화 구조를 분석·평가하였으며 4장에선 한국 여성환경운동의 유형 및 그 확산과정을 가정, 지역사회 그리고 제도접면이란 사회공간별로 분석 평가하였고, 5장에선 지향점이란 측면에서 분석 평가하였다.<br/> 전반적으로 한국 여성환경운동은 현재 동기 및 운동유형 및 지향점에서 질적 전환기에 도달해 있다. 우선 동기 측면에서 환경운동 내 남녀차별에 대한문제의식과 여성성의 사회원리화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운동유형에서 새로운 대안에 대한 실험들이 진행되고 있고 동시에 제도 및 정책에 대한 성평등성 및 성형평성 분석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br/> This article aims to analyse and evaluate the evolutionary process of Korean women's environmental movements, which began around the mid-1980s, according to their motivation structure, movement types m social space and goal The paper first reviews various theories combining woman and ecology-such as woman and environmentalism, gender and environment, ecofeminism and feminist political ecology-and reconsiders them focusing on the three aspects mentioned above to build an analytic framework, namely ecofeminology. The next part differentiates Korean women's movements into three categories environmental movements participated by women as an sich being, environmental movement of women as fuer sich being equal to men, and environmental movements organized by only women (and environmental movement based on the feminine viewpoint), Part Ⅲ examines motivation structure, analyzing why Korean women are involved m environmental movements and how their motives have changed The types in social spaces where Korean women's environmental movements have been developing are discussed m Part Ⅳ, followed by their goal m Part Ⅴ<br/> In terms of their motive, type and goal, Korean women's environmental movements have now arrived at a turning point As regards the motive, they are concerned with the Issue of gender equality m the environmental movement They also realize that the Issue IS also central to institutional and policy analyses<br/>

      • KCI등재

        한국 환경사회학의 지적 구조

        김선회(Sun-Hoi Kim),윤순진(Sun-Jin Yun) 한국환경사회학회 2015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9 No.2

        어떤 학문 분야의 특성을 이해하는 좋은 방법 가운데 하나는 그 학문 분야의 지적 구조가 어떠하며, 어떠한 변화 과정을 거쳐 왔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 연구는 한국 환경사회학의 지적 구조를 분석하고 이를 시각화하여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 환경사회학의 공식적인 학술지인 《ECO》의 창간호부터 2015년 6월까지 실린 논문들의 제목에 나온 단어들에 대해 동시출현단어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의 환경사회학에서 가장 빈번하게 출현하는 단어는 <환경>, <사회>, <생태>, <한국>임을 발견하였다.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환경과 사회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관심을 기초로 한 환경문제의 사회학이라는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한국적 상황과 맥락에 대한 연구가 중심을 이루고 있었다. 다만 최근 들어 한국 환경사회학의 연구관심이 보다 확장되어 <에너지>, <기후>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One of the best way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n academic field i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structure of the academic field and the aspect of its change. This paper aims to analyze and visualize the knowledge structure of environmental sociology in Korea. In this paper, it is shown that the words environment, society, ecology, and Korea are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ones in the titles of articles published from the first issue of 《ECO》 till its 15(2) issue of June, 2015. The results of analysis show that environmental sociology in Korea has been interested in the interaction between environment and sociology, focusing on the context of Korea, and is characterized as a ‘sociology of environmental problem’. It is also shown that the research interest has recently extended to the issues of energy and climate.

      • KCI등재

        [특집/사회영향평가 연구] 환경영향평가제도와 사회영향평가 - 제도도입과 발전 방안

        구도완(Ku Do-Wan) 한국환경사회학회 2002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3 No.-

        이 글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사전예방적인 정책수단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사회영향평가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제도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우리나라 환경영향평가제도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경제환경분야의 평가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한다. 1998년 2월부터 10월까지 한국환경정잭·평가연구원에서 검토된 환경영향평가서를 분석한 결과, 사회 경제환경분야의 평가는 대제로 형식적이거나 부실하게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고 전문가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별도로 시화 간척사업, 영월댐 건설사업, 동강 생태계보전지역 지정에 대한 사회영향평가 사례를 검토해보았다. 이 연구들은 나름대로 그 사례에 맞는 방법론을 사용하여 사회적 영향을 평가했지만, 이후의 평가를 위해서는 보다 체계적인 분석틀과 개념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사회적 영항의 정도, 특성, 양적 질적 변화를 명확히 규명하는 데 미흡했고, 지가변화, 고용의 변화 등 주민에게 결정적인 영항을 주는 경제적 변화에 대한 예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아울러 사업취소 이외의 저감방안에 대한 대안분석 검토도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 글에서는 사회영향평가를 제도화 하는 방안과 환경영향평가제도, 사전환경성 검토제도 등에 사회영향평가 부분을 도입하거나 강화하는 방안을 비교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개발사업이나 정책이 환경에 미치는 사회적, 자연적 영향을 줄이기 위한 환경영향평가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Social impact assessment is essential for evaluation and mitigation of social impact from environmental projects, policies, and programs. This paper reviews the problems of social impact assessment in Korea and suggests policy tools for institutional reform. The paper first examines the problem facing the socio-economic impact assessment in the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EIS) and finds that it has been poorly organized and improperly evaluated. Also examined are researches on the social impact of such projects as the Sihwa reclamation project, Yongwol Donggang Dam project, and designation program of Donggang ecosystem conservation area. While these studies are successful in assessing the socio-cultural impacts of the given projects and policies, there is still a need to develop a more systematic framework of research for identifying the intensity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economic and other impacts. Finally, this paper suggests policy tools for introducing a new institutional framework for social impact assessment and making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more effective.

      • KCI등재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한 사회와 헌법: 환경국가 원리 선언

        박태현 한국환경사회학회 2018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22 No.1

        Modern environmental problem that caused by the structure and system of human civil society threaten the ecological sustainability of the entire earth. Therefore it is an ecological crisis as a structural crisis. This ecological crisis is also a social crisis because it makes the survival of society difficult. Our society should aim and pursue an ecologically sustainable society because our response to this structural ecological-social crisis must be social-structured. Efforts to achieve an ecologically sustainable society call for fundamental and far-reaching changes in lifestyle, production and consumption patterns, and changes in the already established power structure that govern society today.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new formulation of the constitutional law which is the legal basic order of the national community in the point that this fundamental and broad change must start from establishing the right relationship with nature. In this article, we present the principle of environmental state as a framework of constitutional norms for an ecologically sustainable society. According to M. Kloepfer, who in the late 1980s used the concept of an environmental state in Germany for the first time, the "state of the environment" refers to a "state (institution)" in which the inviolability of the environment is a measure and process goal of the state tasks and decisions. I would like to establish the environmental state as "a state that guarantees a balance between the social demands for nature and the maintenance of the natural living foundations and forms it together. In this context, I intend to establish the components of environmental state principles as follows. First,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the environmental state is to respect the life community on earth, which consists of human beings and non-human beings, and to intrinsic value of nature, and to harmony with nature. In addition, the key tasks of environmental states are to secure environmental rights, responsibility for the global ecosystem and future generations, and recognition of the interests of animals. As a core social system for realizing this environmental state principle I would like to present (ⅰ) the economic order, (ⅱ) the sustainabl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the land and natural resources, and (ⅲ) the agricultural and fishery industries and local communities. 인간 문명 사회의 구조와 체계에 기인하는 현대의 환경문제는 이제 지구 전체의 생태적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생태위기로 변모하였다. 이러한 생태위기는 인간 사회의 존속 자체를 어렵게 한다는 점에서 또한 사회위기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체계적인 생태-사회 위기에 대한 우리의 대응은 사회 구조·체계적인 것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우리 사회는 생태적으로 지속 가능한 사회를 지향, 추구해야 한다. 생태적으로 지속 가능한 사회를 달성하려는 노력은 생산·소비 양식을 포함한 생활 전반의 양식과 사회의 확립된 권력 구조의 변화라는 근본적이고 광범위한 변화를 요청하고 있다. 우리 사회에 요청되는 이러한 변화는 자연과 올바른 관계 정립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점에서 우리는 가치구속적이고 가치지향적인 이념질서로 국가 공동체의 법적 기본질서인 헌법의 새로운 정립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종래 필자는 생태적으로 지속 가능한 사회의 규범질서로 헌법의 생태화 곧 생태 헌법(ecological constitution)이 필요함을 주장하며, 생태 헌법의 핵심 가치로 ① 자연환경과 생명(동물등) 가치, ② 생태적 지속 가능성, ③ 환경국가 원리, ④ 참여를 제시하였다. 이 글에서 기존의 주장 내용을 더 발전시켜 생태적으로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한 헌법 규범의 틀로 환경국가 원리를 제시하고자 한다. 1980년 후반 독일에서 환경국가(Umweltstaat) 개념을 처음으로 사용한 미하엘 클로푀(M. Kloepfer)에 따르면 “환경국가”는 “환경의 불가침성을 국가의 과제 및 결정의 척도와 절차 목표로 하는 국가(제도)”를 말한다. 여기서는 환경의 불가침성을 보다 적극적으로 형성적 측면에서 규정함으로써 환경국가를 “한편으로 자연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다른 한편으로 자연적 생활기반의 유지 간의 균형을 보증하고 그것을 함께 형성하는 국가” 곧 “환경형성국가”로 정립하고자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환경국가 원리의 구성 요소를 다음과 같이 정립하고자 한다. 먼저 환경국가의 이념 토대는 ① 인간 존재와 비 인간 존재로 구성되는 지구 위 생명공동체의 존중, ② 자연의 내재 가치 인정, ③ 자연과 공존·조화로 한다. 환경국가의 핵심 과제로 ① 환경권 보장, ② 지구 생태계와 미래 세대에 대한 책임 그리고 ③ 동물의 이익주체성의 인정으로 본다. 환경국가 원리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사회체계로 ① 경제질서와 ② 국토 및 자연자원의 지속가능한 보전·관리 및 ③ 농어업 및 지역 공동체를 제시한다.

      • KCI등재

        한국인의 환경문제에 관한 인식수준의 비교분석 - 2007년과 2010년도 환경갈등의식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사회학회 2011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5 No.2

        <P>&nbsp;&nbsp;본 연구는 한국 환경갈등의 역사적 특수성을 한국식 개발주의 궤적에서 찾은 2007년 1차 환경갈등의식조사 분석결과를 근거로 2010년 현 정부의 녹색성장 및 4대강 사업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개발주의에 따른 정부와 시민사회 간 환경갈등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인의 환경갈등에 대한 인식 및 환경관련 주체들에 대한 신뢰도를 측정, 1차 조사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변화추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응답자들은 환경주의적 가치를 여전히 가지고 있으며 환경단체에 대한 신뢰도 또한 높았다. 그러나 현 정부의 녹색성장과 4대강 사업에 대한 의식수준 평가에서는 문제점을 인식함과 동시에 개발에 대한 열망을 표출하는 복합적인 의식체계를 보였다. 한국사회에서 발생할 미래 환경갈등에 대한 시민사회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한 시점이다.</P>

      • KCI등재

        한국과 일본 원자력 사회기술체계 발전 경로의 유사성과 상이성

        윤순진(Sun-Jin Yun),김소연(So-Yeon Kim),정민지(Min-Ji Jeong) 한국환경사회학회 2011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5 No.2

        고유가와 화석연료 고갈 가능성, 에너지 안보, 기후변화 대응을 이유로 한ㆍ일 양국 정부는 원자력 확대를 주요 에너지 대안으로 추진해왔다.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계기로 일본의 원자력 발전 정책은 변화의 기로에 서 있으나 한국에서는 별다른 정책변화가 진행되고 있지 않다. 한국과 일본 두 국가 모두 세계 주요 원전 대국으로 정부의 강력한 원전 추진 의지에 따라 꾸준히 원전을 건설해 왔기에 표면적으로 유사한 발전 경로를 보이고 있지만 신규 원전 증설 규모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이 글에서는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전에도 두 국가의 원자력 사회기술체계의 경로는 유사하면서도 달랐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서로 다른 발전 경로를 밟게 된 원인을 분석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차이를 야기한 원인을 원자력 사회기술체계의 관성에 문제를 야기하는 역돌출부의 등장과 이에 대한 다른 사회적 대응의 결과로 이해하고 이러한 역돌출부에 대한 서로 다른 사회적 맥락과 반응이 어떻게 원자력 사회기술체계의 관성을 강화하거나 약화시키게 되었는지를 검토ㆍ분석하였다. 그 결과 원전사고와 사용후 핵연료정책, 사회적 저항이 원자력 사회기술체계의 주요 역돌출부로 작용하였지만 일본에서는 이러한 역돌출부가 더욱 심각하게 야기되어 원자력 사회기술체계의 관성에 제동을 걸 가능성이 높아져 가고 있는 반면, 한국에서는 원자력 사회기술체계의 관성을 방해하지 않고 지속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일정 부분 관리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역돌출부는 향후 한국에서도 다시 원자력 사회기술체계의 관성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부상할 잠재력을 내재하고 있다. Japan and South Korea share similarities in nuclear power development. South Korea and Japan rank global top 3rd and 6th, respectively, in terms of installed facility of nuclear power and both governments have showed strong willingness to expand nuclear power and pursued aggressive nuclear export policies. South Korea has succeeded in constructing nuclear power plants, while Japan has nearly succeeded new power plant constructions even before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This paper aims to identify factors which make differences in nuclear power development paths between Japan and South Korea. Differences in nuclear policy paths of two countries were caused by the different social contexts and responses to reverse salients. Three major reverse salients?nuclear accidents, spent fuel policies, and public opposition?were hardly corrected within the context of the nuclear socio-technical system in Japan, while these were managed and did not become critical problems in South Korea.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would bring changes in the existing socio-technical system in Japan, but this depends on the power of public opposition to overcome the political and economic interests of nuclear power stakeholders. In South Korea, even though reverse salients have been managed successfully until now, it is possible that potential reverse salients threaten the momentum of the nuclear socio-technical system in the future: public opinion on nuclear safety caused by the Fukushima accident, government’s plans to introduce spent-fuel reprocessing and public responses, local opposition to aging nuclear power plant life extension and new plant construction.

      • KCI등재후보

        한국 환경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김도균(Do-Kyun Kim) 한국환경사회학회 2008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진행된 한국 환경사 연구의 동향을 설명하고 향후과제를 제시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술지에 발표된 환경사 논문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주제 및 연구대상(소재)별 분석과 내용분석을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국내 환경사 연구는 ‘인간에 의한 환경변화’를 중심 주제로 하여, ‘개간과 간척, 기후’ 등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둘째, 90년대 이후 환경주의와 환경운동의 확산이 환경사 연구의 양적증가와 내용변화(환경옹호)에 일정하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셋째, 연구대상 시기는 조선시대 임진왜란 이후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연구시기와 무관하게 연구대상들이 대부분이 농업활동과 연관되어 있어 산업화로 인해 등장한 환경문제가 연구대상에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과제를 제시해 보는 것으로 글을 마무리 하였다. This article aims at studying trends in research of Korean Environmental History and suggesting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The study reviewed articles on Korean Environmental History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focusing on their themes and subjects. A series of interesting conclusions were reached. first of all, studies of traditional Korean Environmental History primarily conducted research on environmental changes caused by human factors whereas studying the reclamation and climate, Next, it also appeared that the spread of environmentalism and environmental movement might influence the increase in quantity of the environmental research as well as the environmental advocacy after 1990. Finally, the studies were concentrated in the period after Imjin War in Chosun Dynasty. Regardless of their study period, most of research studies were linked to the agricultural activities. Unfortunately, environmental problems resulting from industrialization could not become main subjects of studies. In conclusion, based on its major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future direction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research.

      • KCI등재

        [연구논문] 환경 갈등 조정자로서의 전문가의 역할

        김민정(Kim Minjung) 한국환경사회학회 2005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8 No.-

        1990년 이후로 한국 정치 환경의 변화라는 큰 줄기와 더불어 전 세계적으로 현대 사회에서 증가되고 있는 위험의 강도와 폭 그러고 위험에 대한 사회 인식의 증대 등으로 환경 갈등이 증가하고 있다. 그동안 환경 갈등 해결 방식은 과학의 논리에 기대거나 혹은 벗어나 전문가간의 대립 양상으로 나타났다. 환경 갈등의 해결 과정에서 구성되는 전문위원회나 공동조사단의 경우 대부분 합의를 전제로 하지만 매번 결론은 정부 측 혹은 권력이 우세한 쪽의 의건으로 수렴된다. 이 연구에서는 현실을 전혀 반영하지 못하는 전문가의 위상인 사회적으로 보편화되어 있는 중립적인 조정자로서의 전문가 역할에 대해 비판하고 대안적인 전문가의 상을 제시하고자 한다. 환경 위험이 다양하게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모든 환경 위험이 환경 갈등으로 표출되지는 않는다. 위험에 대한 과학적 지식과 사회적 인식의 측면에서 환경 위험을 알고 있는 위험, 위험의 정치, 의혹적 혹은 가설적인 위험, 위험평가의 논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위험 구분에서 위험에 대한 과학 지식이 불확실하고 사회 인식이 이해당사자 집단마다 차이를 보일 때, 환경 갈등으로 나타난다. 또한 위험에 대한 전문가의 과학 지식과 피해당사자간의 비(非)과학적 지식이 일치하지 않을 때, 환경 갈등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다른 갈등보다 전문가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점은 환경 갈등 조정자로서 전문가의 사회적 책임이 그 만큼 커지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준활동가적 전문가는 의혹적 혹은 가설적인 환경 위험에 대해 과학적 타당성 확보를 위해 노력해야 되지만 이에 못지않게 중요한 점은 사회적 역할로서 사회적 약자 입장에 서서 그들의 고통을 충분하게 반영해내는 것이다. 따라서 지역주민의 피해를 사회적으로 알려내기 위한 역할을 담당하는 준활동가적 전문가는 불평등한 사회에서 올바른 전문가의 상이 될 수 있다. Since 1990, environmental conflicts have increased in this modern society due to not only the main change in political environment but also growing recognition for the environmental risk and its increasing intensity and influence. For the most pan, recent studies about the solution of environmental conflicts tend to center around the question of a professional' s neutral attitude. However, in reality it appears to be common that his or her neutral attitude is influenced by the ruling power and governmental position. In this vein, the present paper examines the problem on the neutral attitude of a professional as mediator of environmental conflict and also attempts to outline his or her alternative role. In a nutshell, all the environmental risks do not cause environmental conflicts triggered by the fact that it appears ta disagree in risks between the expert' s scientific knowledge and a sufferer's native information, and to differ among the interested parties. Therefore,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hat the role of a professional as mediator of environmental conflict have grave consequences in a sense of social responsibility to decide for one-side party. All professionals can not ignore a question regarding which side you are. To decide a right pan, a professional should place oneself in a social weak person, Dr a sufferer' s shoes in case of suspected or hypothetical risk. It is to be pointed out that the quasi -activistic professional inquires a rigid research, but above all, should receive much attention in understanding a victim's pain. Thus, this professional's role is directly linked to an unequal society in a consistent way.

      • KCI등재

        환경행동 결정요인으로서의 지역사회의 집합적 효능

        박진홍(Jin Hong Park),박희제(Hee-Je Bak) 한국환경사회학회 2012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6 No.2

        이 연구는 한국의 일반사회조사(KGSS) 자료를 사용해 환경행동의 결정요인을 살펴본다. 이 연구의 초점은 공동선(the common good)을 위해 개입하려는 지역사회 주민들의 의지와 이에 대한 상호적인 신뢰의 결합물로 정의되는 지역사회의 집합적 효능이라는 개념을 동원해 거주지의 환경문제가 심각할수록 환경의식이나 환경행동에 참여하는 정도가 커진다는 반영이론을 재검토하고, 이를 통해 환경행동 연구에서 이 개념의 유용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집합적 효용 이론에서 추론하듯 지역사회의 집합적 효용은 주민들의 친환경행동을 증가시키고 있었고, 거주 지역의 환경오염 정도가 환경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고 있었다. 즉 집합적 효능이 높은 거주지에 사는 사람들은 환경오염의 정도에 상관없이 환경 행동에 참여하는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집합적 효능이 낮은 거주지의 경우 사람들은 반영이론의 예측대로 거주지역 환경오염정도에 영향을 받아 환경행동에 참여하고 있었다. 이러한 발견은 그동안 경험적 연구에서 반영이론이 기각된 중요한 이유들 중 하나가 억제변수로 작용하고 있는 지역사회의 집합적 효능을 고려하지 못했기 때문임을 시사한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발견들이 환경행동 연구와 집합적효능 개념에 주는 함의가 논의된다. Analyzing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this study examines determinants of environment behavior. In particular, using the concept of collective efficacy defined as social cohesion among neighbors combined by their willingness to intervene on behalf of the common good, this study attempts to re-evaluate the reflection theory that people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environmental behavior as a response to the deterioration of environmental quality of their residential area. In so doing, this study also evaluates the utility of the concept in studies of environmental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ollective efficacy of neighborhood promotes environmental behavior and mediates the effect of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problem in local communities on environmental behavior, as the theory of collective efficacy expects. That is, those who live in the community with high collective efficacy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environmental behavior, regardless of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e community, while those who live in the community with low collective efficacy tend to participate in environmental behavior in proportion to the level of environmental pollu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reflection theory could not obtain empirical evidence partly because it failed to consider the effect of collective efficacy, which functions as a suppressor variable.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ill be discussed in concl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