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호칭의 역사에 관한 연구 - 청소년 호칭 유형과 의미 변화를 중심으로 -

        최윤진 한국청소년학회 2008 청소년학연구 Vol.15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 proper term for young people in this post modern period by reviewing different approaches of scholarly works and changing historical perspectives on youth. Historically, there has been many terms for young people such as adolescence, youth, puberty, teenager and etc. Biological- psychologists, taking developmental perspective, regard 'adolescence' and 'puberty' as a stage in development unique to humans, the function of which is the preparation for adulthood. However, advocates who takes new socio-cultural perspectives of young people came to strongly question the developmental model of adolescence, and suggested that there is no single and universal experience or understanding of young people. The terms 'youth' and 'teenager' are more closely related to this socio-cultural perspectives. The largely agrarian world of pre-industrial society kept young people in a condition of semi-dependence. In this period, the term youth was more pervasively applied to people in this semi-dependent condition. The semidependence that previously had characterized 'youth' in the pre-industrial society gave away to even more depencence that characterized 'adolescence' in industrial society. In conclus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developmental models of 'adolescence' which have viewed as a stage of life characterized by dependency bring into question whether or not the historical concept has as much as uniformity as some experts implied it had in the twentieth century. Therefore, we need a new conceptual model for young people, which illustrates changing attitudes toward young people.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호칭의 유형과 의미 변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청소년 및 청소년기에 대한 관점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해왔는지 알아보고, 현 시대 청소년 호칭의 적합성을 진단해 보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학문적 접근 방식 및 시대변화에 따른 청소년 호칭의 변화와 차이를 문헌 분석을 통해서 알아보았다.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년을 지칭하는 여러 호칭 중에서 현시대까지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대표적인 호칭들은 청소년(adolscence, youth), 사춘기(puberty), 십대(teenager)등을 들 수 있는데, 학문적 접근 방식과 관련해서는 청소년(adolescence)과 사춘기(puberty)의 개념이 주로 심리, 생리, 발달론의 학문 영역에서 창출되고 통용된 개념인데 반해서, 청소년(youth), 십대(teenager)의 개념은 사회문화론 등 사회적으로 규정되어지는 역할, 지위, 문화양상의 특징과 연계되어 출현하고 발전되어온 호칭들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시대별 청소년 호칭 변화와 관련해서는 전산업사회에는 반자립적 시기의 의미를 지닌 youth의 개념이 근대산업사회에 들어와 완전 의존적 시기로 변하면서 adolescence의 개념으로 변해왔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주요결과에 근거해서 청소년 호칭은 시대상황에 따라 변해왔으며 오늘날 통용되는 청소년(adolescence)의 개념은 사회적 의존성 및 발달론 적 관점에 근거한 근대산업사회의 산물이며, 현시대 후기 산업사회에서의 청소년의 삶과 사회적 역할 등에 비추어 볼 때, 청소년을 지칭하는 호칭으로서의 한계를 보여주고 있으며, 따라서 현시대에 걸 맞는 새로운 호칭의 정립이 필요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 KCI등재

        최신임상강좌 : 한국 청소년 여성에서의 비정상 사춘기 발달

        이미화 ( Mee Hwa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12

        사춘기는 생식 능력을 처음으로 획득하는 시기로 이차성징의 완성과 함께 여성에서는 초경을 경험하게 되는 시기이다. 사춘기의 시기와 속도는 주로 유전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영양상태, 생활환경, 지리적 특성 등 다양한 환경적 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인종, 성별 및 개체 간에 차이가 나타난다. 비정상 사춘기 질환인 성조숙증과 사춘기 지연은 이차 성징발현의 평균 연령을 기준으로 2 표준편차를 벗어나는 경우로 정의되기 때문에 한 국가의 비정상 사춘기 질환의 추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정상 사춘기의 특성을 이해하여야 한다. 서구 여러 나라의 사춘기 연구에서 첫 이차 성징 발현 시기가 대부분 8세에서 13세 사이인 것과 유사하게 한국 여성 청소년의 이차 성징 발현의 2 표준편차 연령도 8.7세와 13.9세로 보고되었다. 본 종설에서는 한국 여성 청소년의 정상 및 비정상 사춘기 발달에 관한 최근의 문헌을 고찰하여 우리나라 여성에서의 사춘기 질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Puberty is the period of first attaining capability of reproduction, and is signed by the appearance of secondary sex characteristics and the occurrence of menarche in females. The timing of puberty is ethnically, sexually and individually variable and is influenced by both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 diagnosis of precocious or delayed puberty is considered when signs of puberty develop before or after 2 standard deviation of the mean age for the onset of puberty. Consequently,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normal progression of puberty is vital in the evaluation of abnormal pubertal development. In most western countries, the first signs of puberty occur between 8 and 13 years of age. Correspondingly, the recent Korean data have shown that puberty begins in most Korean girls with breast development at the age between 8.7 and 13.9 years. This article reviewed lately published literatures on normal and abnormal pubertal development in Korean adolescent females to delineate features of pubertal disorders in this population.

      • KCI등재

        청소년발달에 관한 연구 방향 탐색 : G. Stanley Hall의 storm and stress를 중심으로

        오석창(Oh Seok Chang),안병환(Ahn Byung Hw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약 100여 년 동안 오늘날 우리의 청소년 발달관에 영향을 미친 Hall의 스톰과 스트레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G. Stanley Hall의 스톰과 스트레스의 특징을 간단히 고찰하고, 오늘날의 연구와의 유사점 및 차이점을 비교한다. 이를 통하여 청소년발달에 대한 사회문화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시함으로써 청소년발달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 먼저 Hall의 입장에서, 청소년은 호르몬 영향으로 인한 급격한 심리적 동요를 겪게 되는데 이는 이 단계에서 피할 수 없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사회문화적 관점에서는 청소년들의 스톰과 스트레스는 산업화된 서구문화에서 일부 나타나는 현상이지 모든 문화권에서 청소년들이 거치는 필연적인 과정은 아니라는 것이다. 즉, 스톰과 스트레스에도 개인차가 있으며 전통적 문화에서 생활하는 청소년들은 비교적 스톰과 스트레스에서 자유로웠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Hall의 연구는 오늘날 청소년연구에 대한 많은 시사점도 제공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reconsider the storm and stress of G. Stanley Hall that have affected our adolescence view for about 100 years. To do this, I first briefly examine Hall s characteristics of storm and stress, and comp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th today s research. Through this, by presenting the necessity of a cultural approach to adolescence development, it is intended to obtain implications to broaden the breadth of understanding about adolescence development. First of all, adolescents experience the rapid psychological fluctuations due to hormonal effects, which is an unavoidable process at this stage. However, from a cultural point of view, the storm and stress of adolescents are some of the phenomena in industrialized western culture, and not all adolescents go through it. In other words, there are individual differences in storm and stress, and adolescents living in traditional cultures were relatively free from storm and stress. Nevertheless, Hall s research also provided many implications for today s adolescence research. The research on adolescent development requires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Adolescents can become healthy adults with the encouragement to develop gradually by providing visions of the future and opportunity they can experience.

      • KCI등재후보

        사춘기청소년 비행 및 건강예방을 위한 경찰의 역할

        장병연(Jang, Beong-Yeon) 한국민간경비학회 2016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5 No.2

        본 연구는 사춘기청소년의 건강위험행동 관련 요인들을 확인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사춘기청소년들의 극단적인 문제행동으로 진행되기 전인 건강위험행동은 일반적으로 흔히 건강에 위험하다는 인식에 기반한 하나의 신체적 현상으로서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사춘기청소년들의 비행 및 건강에 대한 사전예방을 위해 경찰의 역할을 보다 면밀히 분석하여, 사춘기청소년들의 건강위험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경찰지원에 대한 기능과 역할에 최선의 노력을 다 하면서 비행예방에 있어서 경찰이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역할을 다 할 수 있는 보다 효율적인 정책적인 제언하고자 하였다. 결국 경찰의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대국민 홍보와 유해환경 감시활동에 시민들의 자율적 참여 독려가 필요하다. 그리고 사춘기청소년들의 건강행동에 대한 적극적인 전환을 유인하는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of the study to determine the health risk factors related to behavior of adolescents. Health risk behaviors, before proceeding with extreme behavioral problems of adolescents generally can often access as a physical phenomenon based on the perception of health risks. In this respect, by careful analysis than the role of the police to proactively about the flight and the health of adolescents, flight, while every effort on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 police assistance to reduce the health risk behavior of adolescents in the police tried to prevent more aggressive and effective policy proposals that can actively the role. What eventually in order to perform the role of police dutifully than is necessary to encourage voluntary participation of citizens in hazardous environment monitoring and promoting general public. And policies that attract the active switch on the health behavior of adolescents will be provided.

      • KCI등재

        사춘기 및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 대상 심리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현황 및 요구도 분석 연구

        윤성민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1

        This study was purposed to an explorato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web-based fathering education program for the fathers of adolescent children. Interviews were taken to figure out current condition of Korean fathering education.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adolescents, fathers, mothers, and counseling practitioners toward needs for a web-based fathering education program. Results showed that all of the institutions interviewed had parent education programs and most of the participants were mothers rather than fathers. Most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s were run during day time. Parent education programs only for fathers were scarce. However, needs for those programs were very high. Needs survey showed that all groups of respondents displayed needs for fathering education, especially customized program only for fathers, and web-based fathering education.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current findings for related field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한국에서 현대사회의 급속한 변화로 인해 아버지의 적극적인 자녀양육 참여에의 기대 증가, 이에 따른 자녀의 연령대별, 부모의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사춘기·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들만을 대상으로 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가 전무하다는 점을 인식하여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가 될 수 있는 예비적 연구 수행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사춘기·청소년기 자녀의 부모교육의 현황조사를 실시하였고, 사춘기·청소년기 학생들, 사춘기·청소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과 아버지들, 청소년 대상 상담 실무기관 상담원들을 대상으로 이러한 프로그램의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자료는 각 문항별로 평균과 순위 또는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현황조사 결과, 조사 대상이었던 모든 기관들에서 부모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지만, 참석자들은 주로 어머니들이었다. 교육진행 시간대는 항상 낮에 이루어지고 있었고 해당 기관에 아버지만을 대상으로 한 교육은 실시되는 게 없는 경우(83.3%)가 다수였다. 아버지만을 대상으로 하는 차별화된 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요구조사 결과, 아버지 심리교육의 필요성, 아버지만을 대상으로 한 차별적 부모교육의 필요성, 웹기반 아버지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와 함께 관련 학문분야에 주는 시사점,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 및 본 연구의 제한점들을 논의하였다.

      • 사춘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공감능력과 적응유연성간의 관계에서 마인풀니스의 매개효과

        나미현(Na, Mi-hyeon),조정인(Cho, Jung-in)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18 한국청소년상담학회지 Vol.3 No.1

        이 연구는 사춘기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공감능력 간에 차이를 살펴보고 부모의 공감능력과 적응유연성의 관계에서 마인풀니스가 매개하는지 알아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사춘기 자녀를 둔 부모에게 연구에 대한 목적을 설명하고 설문작성방법에 대한 안내를 실시하여 자녀들에게 설문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총 321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과, Baron과 Kenny의 단계별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춘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공감 능력간의 차이에서 정서지각과 정서반응은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높은 반면 냉담한 정서반응은 아버지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과민한 정서반응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공감능력과 모-공감능력의 상관관계에서 정서지각, 관점수용, 공감적 정서는 서로 정적 상관이 있으며, 냉담한 정서와는 부적상관이 있으며, 과민한 정서반응은 관점수용, 공감정서와 낮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공감능력과 적응유연성의 관계에서 마인풀니스의 융통성, 독창성은 매개효과가 성립되지 못하였으나 몰입성은 부분 매개하였다. 탐구성은 부-공감능력에서는 매개하지 못하였으나 모-공감에서는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공감능력은 사춘기 청소년의 몰입성, 탐구성을 발달시키고, 냉담한 정서 반응은 몰입성, 탐구성, 독창성의 발달을 저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추수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tends to look in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rents empathy skills perceived by adolescent and to know if mindfulness mediates between the parents adolescent empathy skills and resilience. For this purpose, the parents of adolescents were informed about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nd the method of preparing the questionnaire was provided so that the questionnaire could be received by their children. A total of 321 data were collected with using SPSS 18.0, matched pair sample.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of Baron and Kenny and Sobel test were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difference of empathy skills of fathers and mothers by adolescent, stigmatism perception and empathic emotional reaction of mother is higher than those of father. In contrast, concerning cold emotional reaction, father is higher. And there is no meaning about hypersensitive emotional reaction. With regard to the correlation of parents empathy skills, there s static correlation in the awareness of emotion, acceptance of viewpoints and empathic emotion, fathers corelation in cold emotion. As for hypersensitive emotional reaction, there s low correlation between acceptance of viewpoints and empathic emotion. In the relationship of parents empathy skills and adjustment resilience, flexibility of mindfulness and creativity don t establish mediator effects, while immersion is partly mediated. Creativity isn t mediated by fathers empathy skills, but partly mediated by mothers’ empathy. In other words, the parents empathy skills can develop the immersion and investigation, but cold emotional reactions hinder the development of immersion, investigation and creativity. Lastly,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further research projects were suggested.

      • KCI등재

        사춘기청소년의 건강위험행동에 대한 요인분석: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금창애,서경도,한상철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cale of health risk behaviors among adolescents in Daegu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ealth risk behavior measurement item for the adolescent adolescents in Korea and to analyze the validity (CVR) of the existing THI measurement items and then to quantify the health risk behavior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liability of the health risk behavior scale of adolescents developed through the factor analysis was verified to derive measurement items such as general condition, respiratory, circulatory, digestive, mental health and other item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veloped health risk behavior scale were found to be fairly good. Through these studies, it will be possible to develop a preventive program that can reduce the risk of health related adolescents' youth, and to devise a strategy that can provide basic data for policy formulation. 본 연구에서는 대구지역의 사춘기청소년을 대상으로 건강위험행동에 대한 척도기준을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방범은 우리나라 사춘기청소년의 건강특성에 맞는 건강위험행동 측정항목을 개발하고자, 기존 THI의 측정항목에 대한 내용 타당성(CVR)분석을 하고, 이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구체화 한 건강위험행동의 척도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요인분석을 통해 개발된 사춘기청소년들의 건강위험행동 척도에 대한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여 전신상태, 호흡기, 순환기, 소화기, 정신건강 기타항목 등의 측정항목을 도출하였다. 개발된 건강위험행동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상당히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사춘기청소년들의 건강과 관련된 위험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정책수립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전략을 고안해 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사춘기 초기 적응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고영희,홍후조 안암교육학회 2012 한국교육학연구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사춘기 초기 적응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하여 요구를 파악하고, 향후 초등학교 고학년 사춘기 초기 적응을 위한 교육과정 기준을 마련하 기 위함에 있다. 이를 위해 사춘기의 개념과 선행연구를 간략히 개관하고, 초등학교 6학년 (276명), 고등학교 1-2학년(271명), 초등학교 5-6학년 담임교사(196명), 초등학교 6학년 학 부모(150명)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사춘기 초기 적응을 위한 교육 과정 내용으로 건강관리, 마음 다스리기, 정서.심리 변화, 사춘기의 자기 관리와 장래 설 계가 중요하다고 파악되었다. 사춘기 초기 적응을 위한 교육과정 내용의 가르칠 비중에서 는 친구 관계 향상 방법과 사춘기의 자기 관리와 장래 설계가 높게 수용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eeds for development of early adolescence adaptation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higher grades, and to suggest criteria of early adolescence adaptation curriculum for school teachers and parents. This study reviewed the concepts of puberty and prior studies about adolescent. Survey was carried out by asking a series of questions in the form of a questionnaire distributed to a group of the sixth grade students(276 persons), the eleventh-twelfth grade students(271 persons), the fifth-sixth grade teachers(196 persons) and parents of the sixth grade students(150 person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t is concluded that early adolescence adaptation curriculum needs to be focused on health management, mind control, emotional and psychological change, self-management, and planning for the future. And proportion of teaching time is to be taken more for friend relationship, self-management, and planning for the future.

      • KCI등재

        A Study of adolescent peer relationship associated with parents divorce

        김은주,Kim, Eun-Joo Convergence Society for SMB 2018 융합정보논문지 Vol.8 No.3

        Objective: To review the literature on development in the peer relationships of the adolescents within the context of their parents' divorce. Method: The cognitive and sociocultural literature was searched to analyze the social interactions of the adolescents of divorced parents. Results: The evidence supports the variations in adolescents' peer relations based on their family structure. Comparisons with the adolescents of the nuclear families and the step-families suggest certain types of interactions the adolescents of divorced parents experience. Conclusions: Divorce of the parents is associated with the difficulties their children at adolescent experience, such as the higher level of social isolation among their peers or their incompetence in social skills. For there is not much known about the integration into the world of peers of the adolescents from the divorced families, while their general psychological and cognitive development after the separation is often studied, future study will need to focus on their peer interactions at their school environment and the social treatment for the possible hardships in their peer relations. 부모의 이혼이 청소년의 또래 관계 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목적을 두었으며, 이혼한 부모를 가진 청소년들의 사회적 상호 작용을 분석한 기존문헌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들의 가족 구조에 기초한 또래 관계의 다양성을 뒷받침하는 연구가 되었으며 핵가족의 청소년들과 비교해 보면, 이혼한 부모를 가진 의붓 가족의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특정한 형태의 상호 작용을 가지고 있었다. 즉 부모들의 이혼은 그들의 아이들이 사춘기 때 겪는 어려움과 관련이 있는데, 예를 들어 또래들 사이에서 고립형태의 모습을 보이거나 낮은 자존감, 소통기술의 부재 등을 나타내었다. 이혼가정의 청소년 또래집단의 일반적인 심리적, 인지적 발달은 종종 연구되나 향후 미래 연구는 그들의 학교에서의 또래 상호 작용과 사회적인 상호 작용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Teachers` Emotional Support Affects Friend Influence on Early Adolescents` Aggressive Behavior

        신희영(Huiyoung Shi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5 敎育心理硏究 Vol.29 No.2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공격 행동과 관련하여, 친구가 청소년의 공격 행동에 미치는 영향 과정이 교사의 정서적 지원의 정도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종단적 소셜 네트워크 분석 방법(A longitudinal social network modeling; SIENA)을 이용하여, 청소년이 공격 행동을 보이는 또래를 친구로 선택을 하는지 그리고 친구의 공격 행동은 청소년 개인의 공격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친구 선택 및 친구 사회화 과정이 교사의 정서적 지원 정도에 따라 차이를 보이 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5학년 23개 학급을 대상으로 1학기 동안 학급의 친구관계도와 공격 행동 변화를 분석한 결과, 교사가 충분히 정서적으로 지원을 할 경우, 청소년들은 공격 행동을 보이는 또래를 친구로 선택하지 않고, 친구의 공격행동에도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가 정서적 지원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친구의 공격 행동이 청소년의 공격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교사의 정서적 지원이 청소년의 또래 관계와 친구를 통한 사회화 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how peer influence process around aggressive behavior varies across classrooms in relation to teachers’ emotional support,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importance of teachers’ emotional support for minimizing the appeal of aggressive students as friends and ameliorating peer influence on aggressive behavior, Participants were fifth graders from 23 classrooms (N=478, 51% girls at wave1, N=458, 51% girls at wave 2) followed from fall to spring within one academic year, Social network analyses, conducted with stochastic actor-based models, indicated that aggressive adolescents were less attractive as friends in classes high in teacher emotional support compared to classes low in teacher emotional support, Further,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adopt their friends’ aggressive behavior in classes low in teacher emotional support compared to classes high in teacher emotional support, Thus, the appeal of aggressive students and students’ susceptibility to friend influence on aggressive behavior depends on the nature of the classroom context, This study contributes to a growing body of research showing that teachers play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the nature of peer interactions in the classro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