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어 학습자의 빈도부사 사용양상 연구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를 중심으로-

        장서월 ( Zhang Shu Yue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3 한국어와 문화 Vol.33 No.-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빈도부사의 사용양상을 파악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빈도부사란 행동을 어느 정도 자주 하였는지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부사이다. 현재 사용되는 많은 한국어 교재에서는 빈도부사에 관한 내용이 부족하다. 이 때문에 많은 한국어 학습자들은 빈도부사를 사용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쉽게 오류를 범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빈도부사를 사용하는 양상을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를 한국어 학습자의 빈도부사 사용양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어 모어 화자가 사용하는 빈도부사와 ‘2017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에서 제시된 빈도부사 리스트와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가 사용하는 빈도부사가 무엇인지 초, 중, 고 등급별 한국어 학습자가 사용하는 빈도부사가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 그리고 한국어 학습자가 사용하는 빈도부사가 ‘2017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에서 제시된 빈도부사 리스트와 비교했을 때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한국어 모어 화자가 사용하는 빈도부사와 비교했을 때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학습자가 사용하는 빈도부사의 사용양상을 기반으로 한국어 교육에 있어 세 가지의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use of frequency adverb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Frequency adverbs are adverbs used to indicate how often an action has been performed. In Korean textbooks, there is a lack of content on frequency adverbs, and Korean learners have difficulty choosing and writing frequency adverbs, and errors often appear. In this study, it was judged that it was necessary to analyze the pattern of Korean learners using frequency adverbs, and the pattern of Korean learners' use of frequency adverbs was analyzed.In addition, it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frequency adverbs used by native Korean speakers and the frequency adverbs list presented in the 2017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Korean Standard Curriculum for International Use. Through this, we looked at the frequency adverbs used by Korean learners, the characteristics of frequency adverbs used by elementary, middle, and high grades, the differences between frequency adverbs used by Korean learners compared to the frequency adverbs presented in the 2017 International Standard Korean Curriculum Application Study. Finally, three suggestions were presented when teaching Korean based on the usage pattern of frequency adverbs used by Korean language learners.

      • KCI등재

        아동의 어휘발달 촉진을 위한 언어입력환경으로서의 동화책 어휘 연구: 용언을 중심으로

        한민경(MinKyung Han),성시연(SiYeon Seong),최서진(SouJin Choi)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동화책에 사용되는 어휘 중 용언의 유형과 사용빈도 등 그 형태적 특징을 알아보고 동화책에 등장하는 용언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0-2세, 3-4세, 5-7세용 동화책 각 연령대에서 선정한 26권씩 총 78권의 동화책에 등장하는 총 14,728어절 중 동사, 형용사, 보조동사, 보조형용사, 긍정지정사, 부정지정사 등 용언에 해당되는 5,388어절의 품사별 유형 수와 사용빈도를 계산하고, 연령별 유형 수와 사용빈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결과: 동화책에 등장하는 용언은 동화책에서 사용되는 어휘 전체 유형 수의 25.9%, 어휘 전체 사용빈도의 18.7%를 차지하였고, 동화책 대상 연령이 높을수록 유형 수와 사용빈도가 증가하였다. 품사별 유형 수는 동사>형용사>보조동사>보조형용사>긍정지정사=부정지정사의 순서로 많았고, 사용빈도는 동사>형용사>보조동사>긍정지정사>보조형용사>부정지정사의 순서로 높았다. 동화책 대상 연령이 높을수록 동사는 유형 수와 사용빈도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나, 형용사는 유형 수와 사용빈도가 모두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보조용언은 유형 수는 유의미하게 감소하나 사용빈도는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논의 및 결론: 동화책에서 사용되는 용언 품사 중 동사와 보조동사의 경우 동화책 대상 연령이 높아질수록 다양한 종류가 빈번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나 동화책은 아동의 구문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언어입력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s and tokens of predicates in storybooks and to provide suggestions on the use of storybook predicates in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Methods: Twenty-six books from each age group of 0-2, 3-4, and 5-7 years were selected, totaling 78 storybooks. Morpholog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5,388 utterances containing predicates including verbs (Verb), adjectives (Adj), auxiliary verbs (Aux Verb), auxiliary adjectives (Aux Adj), positive copular (P Copula), and negative copula (N Copula) in order to calculate the types and tokens of predicates across word classes an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the types and tokens of each word class across storybook age groups. Results: In the selected storybooks predicates repre¬sented 25.9% and 18.7% of the total types and tokens, respectively, with types and tokens increasing with age. The order of types from greatest to smallest across word classes was Verb>Adj>Aux Verb>Aux Adj>P Copula=N Copula and the frequency of tokens was Verb>Adj>Aux Verb>P Copula>Aux Adj >N Copula. Across storybook age groups both type and token frequency for verb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age and decreased signifi¬cantly for adjectives, and for auxiliary predicates the type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age whereas the token frequency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age. Conclusion: Results show that the type and token frequency of verbs and auxiliary verbs increases with age in these storybooks. Thus, storybooks provide a language input environment that may positively influence syntactic development in children.

      • KCI등재

        방위도형의 사용빈도와 인지용이성에 관한 연구

        김민주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8 No.-

        방위도형은 안내표지판과 지도에서 길을 안내하거나 유도하는 전형적인 위치안내 기능을 가진 기호로 방위와 방향안내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지도제작시 사용목적에 따라 분류하여 방위도형을 표시한다면 한층 더 알기 쉬운 안내표지를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질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지도와 안내표지판의 안내정보 유형에 따른 방위도형 사용빈도를 검증한다. 또한 방위도형의 사용빈도에 따른 인지용이성에 대해 검증한다. 연구방법은 간략지도, 관광안내지도, 종합안내표지, 노면방위에 따른 방위도형 사용빈도를 분석 후, 알기 쉬운 방위도형과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위도형은 관광안내지도에서 사용률이 가장 높았으며, 그룹별 방위도형의 사용빈도는 그룹b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간략지도와 관광안내지도, 종합안내표지, 노면방위의 안내정보 유형에 따라 방위도형을 사용하는 형태가 상이하였다. 셋째, 방위도형의 사용빈도에 따라 알기 쉬운 방위도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대니얼 카너먼의 관련경험과 인지용이성에는 양의 관계가 있음을 증명할 수 있었다. 즉, 지도와 안내표지판에서 어떠한 방위도형에 대해 사용빈도를 높이면 그 방위도형에 대한 인지용이성은 높아지며 방위정보 습득이 용이하게 된다. 본 연구를 통해 지도제작과 방위도형 설계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Cardinal direct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bearing and direc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frequency of cardinal directions usage according to the type of guidance information. In addition, we will verify whether the usage frequency of the cardinal directions affects the easy to understand orientation figure. The research method analyzes simple map, tourist information map, general information sign, frequency of defense figure use by road surface defense. After that, we analyzed correlation with easy to understand directional figure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ardinal directions has the highest usage rate on the tourist information map. Second, depending on the types of simple maps, tourist information maps, general information signs, and guidance information for road surface orientations, the form of using cardinal directions was different. Thirdly, it was found that it affects easy to understand cardinal direction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cardinal directions. In addition, in this study we were able to prove tha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ated experience of Daniel Carneman and the ease of recognition.

      • KCI등재

        교과서에 실린 예시 단어의 사용 빈도와 전형성 분석

        정지현 ( Jihyeon Jeong ),김승정 ( Seungjeong Kim ),신희성 ( Heeseong Shin ) 국어교육학회 2015 國語敎育學硏究 Vol.50 No.3

        이 연구에서는 2011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교과서 14종을 대상으로 하여서 단어 형성법 단원 파생어 내용을 설명하면서 실린 예시 단어의 빈도와 전형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범위를 교과서 개념 이해 영역에서 다루어진 예시 단어로 국한하였다. 파생어 사용 빈도 분석 결과, 접두 파생어 중 사용 빈도가 높은 5개는 차례로 ‘치솟다(323), 맨발(221), 짓밟다(201), 한여름(195), 참기름(170)’이었고 사용 빈도가 0-2인 파생형이 ‘덧버선, 풋김치, 개철쭉’ 등 24개가 있었다.접미 파생어 중 사용 빈도가 높은 5개는 차례로 ‘손님(2500), 놀이(1613), 길이(1156), 높이(920), 날개(876)’이었고 사용 빈도가 0-2인 파생형이 ‘구두장이(2), 먹보(1), 잠보(1), 침질(1), 꾀보(0)’의 5개가 있었다. 전형성 분석 결과, 접사에서는 다른 범주와의 경계가 모호한 접두사로 ‘늦-’, ‘참-’이 있었고 다른 범주와의 경계가 모호한 접미사로 ‘-님’, ‘-기’가 있었다. 파생어에서는 공시적으로 ‘어근+접사’ 구성이 아닌 파생어 ‘풋내기’가 교과서에서 사용되었음이 밝혀졌다. 빈도와 전형성 분석 결과 빈도에 따라 예시 단어가 재검토되어야 하고 이때 접사 빈도와 파생어 빈도뿐만 아니라 어근 빈도 또한 복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함이 논의되었고 빈도와 전형성에 있어 그 정도가 불일치하는 단어의 경우 개념 이해 단계가 아닌 탐구 단계에서 다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frequency and typicality of example words used in textbooks. We use 14 textbooks corresponding 2011 educational curriculum for analysis and the unit we examined was about word formations, especially derived words. the scope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areas of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The result of analysis of derived words is summarized as follows. Top5 derived words by prefix on frequency were ‘치솟다(323), 맨발(221), 짓 밟다(201), 한여름(195), 참기름(170)’, and ‘0-2’ frequency were 24 words included ‘덧버선, 풋김치, 개철쭉’ etc. Top 5 derived words by suffix on frequency ‘손님(2500), 놀이(1613), 길이(1156), 높이(920), 날개(876)’, and ‘0-2’ frequency were ‘구두장이(2), 먹보(1), 잠보(1), 침질(1), 꾀보(0)’. The resultof analysis of typicality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prefixes which blur the boundaries were ‘늦-’, ‘참-’, and the suffixes were ‘-님’, ‘-기’. Also, There is a ‘풋내기’ which was not composed of ‘root+affix’ synchronically. We discussed about result of analysis of frequency and typicality. 1) Example words used textbook must be reexamined on results of analysis of frequency. 2) The root frequency is also concerned. 3) Words which have the discrepancy between frequency and typicality are included in areas of inquiry learning not understanding of concepts.

      • KCI등재

        高校の日本語教科書で扱われている一人称代名詞の分析

        元智恩(원지은) 동아시아일본학회 2010 일본문화연구 Vol.33 No.-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교과서에 사용된 1인칭대명사의 기능별 사용빈도와 교과서별 사용빈도를 조사하고, 오용례를 분석하였다. 1인칭대명사는 생략이 의무적인 경우, 생략이 불가능한 경우,생략이 임의적인 경우로 나누고 생략이 불가능한 경우에 사용되는 기능은 ‘대비’, ‘명시’, ‘화제도입’이며, 생략이 임의적인 경우에 사용되는 기능은 ‘강조’, ‘화제도입’으로 분류하였다. 1인칭대명사의 사용빈도를 분석한 결과 과잉 사용된 것이 약 40%에 달한다는 것을 밝혔다. 1인칭대명사의 4가지 기능 중에서는 ‘대비’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그 다음이 ‘명시’가 많이 사용되었다. 교과서별 사용빈도를 살펴보면, 12종류의 교과서에서 평균 41.8개의 1인칭대명사가 사용되었다. 1인칭대명사의 오용례가 가장 많은 교과서는 E이지만, I는 오용례가 가장 적었다.E에서 1인칭대명사가 가장 부적절하게 사용되었지만, I에서는 가장 적절하게 사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1인칭대명사의 오용례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었다. 이름을 말하는 경우, 무엇인가를 제공하는 경우, 희망을 나타내는 경우, 화자의 가족이나 집에 관해서 언급하는 경우, 감정을 나타내는 형용사나 형용동사가 술어로 사용된 경우, 하나의 화제속에서 1인칭대명사를 연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질문에 대해서 대답하는 경우인 것을 들 수 있다.

      • KCI등재

        2-5세 일반 아동의 어휘 발달

        차재은(Jae Eun Cha),김정미(Jung Mee Kim),김수진(Soo Jin Kim),윤미선(Mi Sun Yoon),장문수(Moon Soo Ch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4

        배경 및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학령 전기 일반 아동의 자발화에 나타난 체언의 유형 수와 빈도 수를 살펴보고 품사별로 고빈도 어휘목록을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나사렛 말뭉치 2, 3, 4, 5세 아동 각각 20명씩 총 80명의 발화에서 아동별로 300-400 발화를 선정하여 65,783 어절에 대해 체언의 유형 수와 사용 빈도를 계량화하고 고빈도 어휘를 제시하였다. 결과: 체언의 총 유형 수는 2,050개로 전체 품사의 유형 수 중 43.8%, 사용 빈도는 26,932회로 전체 사용 빈도 중 25.6%를 차지하였다. 체언 내 품사별 유형 수 비율은 '보통 명사>고유 명사>의존 명사>대명사>수사'의 순서이고 사용 빈도 비율은 '보통 명사>대명사>의존 명사>고유 명사>수사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체언 발달에서 2세는 보통 명사, 의존 명사, 대명사, 수사의 유형 수 및 사용 빈도에서 다른 연령 집단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고빈도 보통 명사 60개가 누적 빈도 50.5%, 고빈도 의존 명사 10개가 누적 빈도 92.0%, 고빈도 대명사 10개가 누적 빈도 91.6%, 17개의 수사가 누적 빈도 90.4%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체언의 유형 수와 사용 빈도의 증가에서 2-3세가 중요한 시기였고 고빈도 어휘 분석 결과 이 시기의 아동은 대명사, 의존 명사, 수사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s: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ypes and tokens of substantives and provide high frequency substantive word list derived from the spontaneous language of Korean young children. Substantives include common nouns (NN), proper nouns (NR), dependent nouns (NX), pronouns (NP), and numeral nouns (NU). Methods: The subjects were 80 children from age 2;0 to 5;11, selected from the Nazarene Spoken Language Corpus. Types and tokens of substantives were analyzed from a total of 27,485 utterances. Each word class of substantives was analyzed according to age group, and high frequency word lists for each word class were made. Results: First, the ratio of types and tokens of substantives within the total vocabulary was 43.8% and 25.6%, respectively. The frequency (descending order) of substance types was NN>NR>NX>NP>NU, and the frequency of substance tokens NN>NP>NX>NR>NU. Second, the 2-year-old group's use of substantives for most word classes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e older children. Third, the word lists showed that a limited number of NN, NX, and NP types were used recursively. Conclusion: An increase in the types and tokens of substantives was salient between the 2- and 3-year-old groups. The most frequent words used at any age were for human beings or objects. Among NNs, the older the children became, the more time category nouns they used. These results are discussed from a language development and Korean linguistics point of view.

      • KCI등재

        자막번역에 나타난 우리말 피동 번역의 사용실태 고찰 - 일본 드라마 수동표현 회화문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정의상,정일영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6 비교일본학 Vol.38 No.-

        본 논문은 일본 드라마 회화문에 사용된 수동표현 중 우리말 자막에서 피동으로 번역된 다양한 사례를 분석해 실제 언어생활에 사용되는 광의적 의미에서의 우리말 피동의 사용실태 및 특징에 대한 고찰을 목표로 하였다. 948개의 우리말 자막 피동 번역의 사례에 사용된 피동표현을 유형별 빈도순으로 나열하면, ‘어휘적 피동’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다음으로는 ‘접미 피동’, ‘구문적 피동’, ‘피동관련 술어에 의한 피동’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4가지 피동표현 각각의 세부 유형별 사용빈도를 나타내면, ‘접미 피동’의 경우는 ‘리’에 의한 피동이, ‘어휘적 피동’의 경우는 ‘되다’에 의한 피동이, ‘구문적 피동’의 경우는 ‘어 지다’에 의한 피동이 각각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우리말 피동표현의 사용빈도에 대한 본 논문의 분석한 결과와 기존의 이론적인 면에서의 논의가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본어 수동의 하위 유형별 피동 번역의 사용실태를 보면 ‘직접수동’은 전체 수동의 90% 이상을 차지하므로, 수동 전체를 대상으로 할 때와 피동 유형별 사용빈도가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으나, ‘소유자수동’의 경우는 자막 번역의 피동 유형별 사용빈도가 동일하지 않았고, ‘사역수동’의자막 번역에서는 ‘직접수동’의 피동 번역에서 사용 빈도수가 낮았던 ‘게 되다’나 ‘당하다’가 가장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논문의 피동사례 분석 결과를 토대로, 기존의 피동관련 논의에서 나타난 몇 가지 문제점, 즉 ‘소유자피동’ 형성의 제약에 관한 문제, 우리말 ‘자동사’와 ‘피동사’의 구분처리 문제, ‘피동관련 술어에 의한 피동’의 우리말 피동의 하위범주 인정여부 문제 등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reality of usage and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assive in broad sense meaning to be used in real language life as analysis of the passive translation’s various cases from Korean subtitles in the passive expressions used in the Japanese drama’s colloquial expression. To list the 948 passive expressions used the Korean subtitle translation in the order of frequency of type, there are a lot of ‘lexical passivity’ overwhelmingly, followed by ‘suffix passivity’, ‘syntactical passivity’ and ‘passivity of the predicate related passive’. It indicated that these 4 passive expressions’ each frequency in use of a type, each passive expressions has been used most often them in the case of ‘suffix passivity’ is the passive of ‘Lee’, for ‘lexical passivity’ is by ‘duida’ and the case of ‘passivity of the predicate related passive’ is ‘uh jida’. This study can identify the similarity between the analysis result of passive expressions’ frequency of their use and an existing theory. To identify the subordinate type’s passive translation usage of Japanese passivity, ‘directly passivity’ accounts for more than 90 percent of all passive expressions so its almost the same when it targets the entire passive and subordinate type’s passive translation usage. However in the case of the ‘owner passivity’ its does not same as the translation subtitle’s passive expressions’ frequency of usage and in ‘causative passivity’ translation subtitle, it is used the most ‘ge duida’ or ‘danghada’ even of its have low percent in directly passive’s passive translation.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의문사 발달 연구

        이유경,정미경,박아름,김지예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2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7 No.-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의문사 습득과 발달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어 학습자의 종적 구어 말뭉치를 구축하여 의문사 12개에 대한 용례 1,394개를 확보하고 의문사별로 사용 빈도, 출현 시기, 오류 양상,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문사 사용 빈도는 ‘무엇(뭐)’, ‘어떻게’, ‘왜’, ‘무슨’, ‘어디’, ‘어떤’, ‘언제’, ‘몇’, ‘어떻-’, ‘얼마’, ‘누구’, ‘어느’ 순이었으며, 이 중에서 ‘무엇’은 학습과 동시에 자주, 정확하게 사용되었다. ‘어떻게’ 역시 학습 초기부터 높은 사용 빈도, 정확도를 보였으나 한국어 표현에 대한 정형화된 의문문이 많았다. ‘어떻-’, ‘얼마’, ‘누구’, ‘어느’는 사용 빈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정확도 역시 상대적으로 낮아 의문사들 간의 학습과 사용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의문사의 출현 시기와 교재 제시 시기의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 초기부터 교재에서 명시적으로 제시된 의문사는 학습과 동시에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명시적으로 제시되지 않은 의문사의 경우 낮은 출현 빈도, 낮은 정확도를 보이다가 고급에서 사용 빈도와 정확도가 높아졌다. 셋째, 학습자의 대치 오류 중에서는 ‘무엇’, ‘무슨’, ‘어디’가 많았으며, 누락 및 형태 오류로는 ‘어떻게’, ‘왜’, ‘어떤’의 사용 오류가 많이 발생하였다. ‘어떻게’, ‘왜’의 경우 절을 구성하는 ‘-지’의 결합 오류가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는 의문사 중에서도 특히 ‘어느’, ‘어떤’, ‘무슨’의 의미를 정확하게 변별하여 사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교재의 의문사 제시 상황으로 유추해 볼 때 의문사를 목표 어휘로서 명시적인 제시설명이나 비교 설명의 기회가 부족하여 의문사 간의 의미 차이나 사용 방법에 대해 충분히 인식할 수 없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학습자의 의문사 사용에서 정확도의 변화 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일반적인 언어 습득은 U자형 패턴으로 발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의문사에 따라 U자형 패턴뿐만 아니라 습득 유지, 지속적 상승, 습득 후퇴의 여러 패턴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의문사 습득과 발달의 양상을 학습자의 종적 구어 말뭉치를 통해 면밀하게 살펴본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구매빈도에 따른 모바일 패션제품 구매에 대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의 차이

        채진미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6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6 No.3

        본 연구는 모바일 환경에서 패션제품을 구매할 때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 구성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모바일을 통해 최근 1년 동안패션제품을 구매한 빈도에 따라 구매빈도 고집단과 저집단으로 분류하여 확장된 TAM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스마트 폰을 사용하여 패션 브랜드나 쇼핑몰 앱, 유통업체 앱을 통해 패션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20∼30 대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430부의 유효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t-test, Amos 19.0을 이용한 다중집단 요인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확장된 TAM을 구성하는 변수들인 모바일 상거래 특성 요인들(보안성, 유희성, 개인화), 지각된 사용용이성(PEOU), 지각된 유용성(PU)에 있어서 구매빈도 고집단과 저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확장된 TAM은 구매빈도 고집단/저집단의 구매의도를 설명하는데 적합한 모델로 확인되었다. 구매빈도 고집단에서는 개인화가 지각된 유용성에 주는 영향을제외한 모든 경로에서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으며, 저집단에서는 지각된 사용용이성이 구매의도에 주는 영향을 제외한 모든 경로에서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매빈도 고집단과 저집단 간에확장된 TAM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8개의 경로 중 4개의 경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입증되었다. 지각된 사용용이성이 지각된 유용성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구매빈도 고집단이 저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개인화가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과 지각된 유용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구매빈도 저집단이 고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통해 소비자의 구매경험정도에 따라 구매행동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 마케터들은 소비자의 구매경험 수준에따른 차별화된 고객 관리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dentified differences of the extended TAM(Technology Acceptance Model) explaining variables which affected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in mobile fashion shopping according to classified consumers depending on the level of purchase frequency. The TAM was extended by constructing factors of mobile commerce characteristics including security, enjoyment, and personalization. The survey was limited to adults in their 20's∼30's who had purchased fashion products in a mobile shopping mall. 430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high purchasers/low purchasers) based on the purchase frequency of fashion produ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bile commerce characteristic variables, perceived ease of use(PEOU), and perceived usefulness(PU) between high purchaser and low purchaser. Second, The extended TAM was proved to be an acceptable model to explain the influencing factors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in two classified groups. Third, personalization did not influence on PU in high purchaser, while PEOU did not influence on PI in low purchaser. Other paths were significant in each group.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ur paths among eight paths between high purchasers and low purchasers. PEOU of high purchasers showed a higher impact on PU and PI than that of low purchasers. Personalization of low purchases had a higher impact on PU, and PU had a higher impact on PI than that of high purchas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bile marketers need to manage customer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levels of purchase experiences.

      • KCI등재

        파생접사의 사용 양상과 생산성

        김민국(Kim, Mingook)(金玟局) 형태론 2011 형태론 Vol.13 No.1

        본고에서는 문어를 중심으로 ‘소설’, ‘신문’, ‘학술산문’이라는 세 사용역으로 나누어 파생접사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격식성, 정보전달성, 학술성’에 따라 파생접사의 사용 양상이 크게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격식성’과 ‘정보전달성’의 차이에 따라 ‘고유어’ 접사와 ‘한자어’ 접사의 사용 양상의 차이가 난다. 일부 접사는‘학술성’ 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또한 동일하게 ‘정보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사용역일지라도 ‘정보의 밀집성’과 ‘전달되는 정보의 성격’에 따라 접사의 사용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접사의 사용 양상에 미치는 사용역별 요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격식성, 2. 정보전달성(a. 정보의 밀집성, b 정보의 주/객관성), 3. 학술성 (a. 학술 용어상의 특성 b. 학술적 문체상의 특성). 또한 파생접사의 사용 양상의 차이가 생산성의 차이로 이어지는지 살펴보았는데 파생접사의 생산성은 그 접사의 사용 양상과는 무관할 수도 있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용역간의 생산성의 차이가 있다고 결론을 내린 플래그 외(1999)와는 상반되는 것인데 본고의 결과는 생산성이 접사가 가진 내재적 속성이라는 가설에 부합한 결과가 나왔다는 점에서 생산성과 관련된 연구에 또 하나의 논의를 보탤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shows that the usage pattern of derivational affixes appears differently across the written registers by several factors. Primarily the usage pattern of derivational affixes varies with ‘formality’, ‘information delivery’, and ‘academic subject’. The usage pattern of native Korean affixes and Sino-Korean affixes varies with ‘formality’ and ‘information delivery’. Though the purpose of two resisters is identically ‘information delivery’, the usage pattern of affixes varies with ‘density of information’ and ‘characteristic of information’. In addition,several affixes appear frequently in academic pros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usage pattern of affixes are as follows. 1. Formality 2. Information delivery (a. density of information b.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of information) 3. Academic subject (a. characteristic of academic writing b. characteristic of the formation of technical terms). Meanwhile, this article examines th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and morphological productivity of affixes. We conclude that the frequency and morphologicalproductivity of affixes is not relevant. This result conflicts with Plag et al. (1999) that shows that morphological productivity is affected by register. However, it seems to be that this conclusion is meaningful because our result accords with the hypothesis that morphological productivity is language internal proper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