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射琴匣說話와 新羅의 王權儀禮

        나희라(Na, Hee-la)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0 역사문화연구 Vol.37 No.-

        본 논문은 신라시대에 시간적 기원을 두고 있는 ‘射琴匣’說話를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이다. 『삼국유사』의 사금갑설화는 왕의 목숨과 관련한 모종의 사건이 정월 여러 날에 삼가고 謹愼하다가 보름날에 쌀로 밥을 지어 까마귀를 제사하는 습속의 유래가 되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까마귀와 쥐, 돼지, 물속에서 나온 노인등이 등장하여 이야기를 구성하는 그 모종의 사건은 합리적으로 이해하여 재구성하기가 무척 힘들다. 그리고 그 사건이 왜 정월의 근신과 밥을 지어 까마귀를 제사하는 습속과 연관이 되는지도 이해하기 힘들다. 그런데 『삼국유사』와는 또 다른 조선시대의 사금갑설화 전승에 의하면 왕의 목숨과 관련된 사건에서 까마귀의 역할이 강조되고 그로 인해 근신하고 까마귀에게 밥을 먹이는 정월 습속이 생겼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정월의 근신과 ‘까마귀밥 먹이기’ 습속은 新年에 행해졌던 생명력의 갱신과 풍요를 기원하는 종교적 의례의 전통을 기반으로 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민간의 종교의례 전통을 바탕으로 해서 신라 왕실에서도 해마다 始祖王의 제사를 통해 왕의 생명력을 갱신하고 그럼으로써 국토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여 왕권의 정당성과 안정성을 종교신앙적으로 보장받으려는 여러 의례들을 거행하였다. 이러한 흔적이 『삼국유사』 사금갑설화에 나오는 까마귀와 쥐, 돼지의 싸움에 관한 이야기와 물속에서 나온 노인이 왕의 생명을 구해준다는 이야기가 합해져서 복잡한 구성을 가지는 설화로 전승되게 되었던 것이라 여겨진다. This study is to make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tale, ‘Shoot the Geomungo (a Korean musical instrument that is six-stringed) Case’, originated from the Silla dynasty. The tale written in 『Samgukyusa(Overlooked Historical Records of the Three Korean Kingdoms)』 deals with an assassination of a King, which has reportedly led to the custom of trying to behave themselves during New Year holidays and sacrificing rice to crows on January 15. Realistically,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story made up of a crow, a rat, a pig and an old man who lives in the water, by extension, to understand why the above-mentioned custom has been originated from the story. Meanwhile, in the story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crow took a more important role in connection with the King’s life ; the custom of trying to behave themselves and feeding crows has been passed down from it. The custom is presumed to be based on the religious rite to pray for the renewal and prosperity of life. Such a rite had been conducted even in the royal family during the Silla dynasty. They sacrificed to their founder every year and prayed for kings’ longevity, national peace and prosperity and stable and powerful royal authority. By the influence of the tradition, the story about the crow, the rat and the fight among the pig might be mixed with the story about an old man who appeared from the water and saved the king. In result, such stories were supposed to be passed down and to give rise to the complex tale.

      • KCI등재

        『삼국유사(三國遺事)』소재(所載) 풍속(風俗) 기원담의 인식 지향 비교

        이주영 ( Joo Young Lee ) 민족어문학회 2010 어문논집 Vol.- No.62

        본고는 『三國遺事』소재의 설화 중 풍속의 기원과 관련된 것들의 인식 지향을 해석하고 비교하려는 목적에서 서술되었다. 풍속 기원담의 경우 서사가 제시된 이후 말미에 그로부터 기원된 풍속이 덧붙는 공통된 형식을 갖고 있는데, 이는 전설에서 서사와 그에 대한 증거가 추가되는 일반적인 양상과 유사하다 전설의 증 거가 서사 구도 외부에 존재하면서 서사에 관한 향유층의 인식을 직접적으로 드러낸다고 할 때, 이를 통해 서사로 접근하는 방식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 「紀異篇」 가운데 <桃花女 鼻刑郞>, <處容郞 望海寺> 3편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풍속과 관련된 소재들이 서사 내에서 다양한 양상으로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금갑>의 경우 원인과 결과로 구성된 서사에서 모두 원인에 나열되고 있었고 <도화녀 비형랑> <처용랑 망해사>에서는 주인공으로 등장하나 전자는 영웅의 일생의 전형적 구도에서 벗어난 모습으로, 후자는 문제 해결의 당사자로 나타났다. 문제가 되는 이들에 관한 서술 태도는 차례로 역할 중심 능력 중심, 인물 중심으로 서로 시점을 달리 했는데 이는 신의 세계, 신과 인간의 세계, 인간의 세계로 구분될 수 있었다. <사금갑>에 나타난 동물들은 신의 사자로 인간과 거리를 가진 초월적 세계의 존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만 나타난다. 또한 <도화녀 비형랑>에서는 초월적 세계로부터 선천적 능력을 부여받은 주인공의 능력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비해, <처용랑 망해사>에서는 비록 신인(神人)이지만 서사의 초점은 인간적 관용에 맞춰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향유층의 시점이 신의 세계에서 인간의 세계로 점차 옮겨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시에 향유층이 점차 신성보다 인간성을 더욱 밀접하게 여기는 거리감의 변화도 확인됐다 이것은 이 설화들이 성립했을 통일신라 이후에 이미 신화적 인식보다 인간적 관계를 통해 세계를 바라보는 인식의 변화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study is comparison of the recognition between stories for the origin of custom in 『Samguk-Yusa(三國遺事)』 by new approach. Stories for the origin of custom is similar to legend`s shape that attaches the evidence at the end of the story. Legend`s evidence that are the outside of narration reveals the direct recognition of traditional group, hence it is needed the way approaching the story by that. Therefore, this study is the analysis on three sides, <Sa-geum-gab(射琴匣)>, <Dohwanyeo and Bihyoungrang(桃花女 鼻刑郞)>, <Cheoyongrang Mhanghaesa(處容郞 望海寺)>. As a result, things are related to the custom existed by various aspects innarration. In <Sa-geum-gab(射琴匣)>, those were listed in the cause at the narration composed of cause and result. In <Dohwanyeo and Bihyoungrang((桃花女 鼻刑郞)> and <Cheoyongrang Mhanghaesa(處容郞 望海寺)>, although those are all the main character, the former was off the tradition of the hero, the latter was the problem solver. As the focus of the discussion, Narrative attitudes for these vary in focusing on the role, capability, humanity one after another. Each of these shows the recognition separated by Transcendent world, transcendence and human world, human world. Animals of <Sa-geum-gab(射琴匣)> are the God`s Messengers and take on a role as the being of Transcendent world. An while, the recognition of <Cheoyongrang Mhanghaesa(處容郞 望海寺)> is focused on the capability of the main character that empowered by transcendent world. That of <Cheoyongrang Mhanghaesa(處容郞 望海寺)> concentrates on the human forbearance, though the main character is the son of dragon. Consequently, the viewpoint of entertainers that is shown in Stories for the origin of Custom in Samguk-Yusa(三國遺事) was moved gradually from transcendent world to human world. With this point of view movement, it confirmed the sense of distance that entertainers think human nature like forbearance more nearly than divine nature. This means a change of recognition that it interprets the world by relationship of the human being than mythical recognition, after the Unified Silla when these narratives should are formed.

      • KCI등재

        5세기 신라의 對高句麗關係와 왕실의 불교 인식 변화

        박미선(Park, Mi-sun) 신라사학회 2020 新羅史學報 Vol.0 No.50

        5세기 訥祗王代 불교를 수용했던 신라 왕실은 炤知王 때 사금갑 사건을 계기로 불교를 배척하였다. 이로 인해 6세기 법흥왕대에 가서야 불교가 공인될 수 있었다. 5세기 상황을 보면 안으로 신라사회의 변화도 컸지만 밖으로 고구려의 영향에서 서서히 벗어나기 시작했고, 백제와의 동맹을 강화하며 고구려에 대항하였다. 사금갑 사건은 이렇게 대고구려관계가 변화하는 시점에 발발하였다. 그렇다면 눌지왕대 불교 수용이나 소지왕대 불교 배척 또한 고구려와의 관계가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이 크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5세기 신라의 대고구려정책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것이 왕실의 불교에 대한 인식 변화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고찰하였다. 눌지왕은 고구려의 도움으로 즉위하여 고구려의 간섭 하에 있었으며, 복속의례를 행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차등적 관계 속에서 고구려의 문물로 불교를 받아들였으며, 고구려 승려들은 국경지역인 일선군뿐 아니라 왕실로 활동 범위를 넓혔다. 이후 자비왕은 국경지대에 대대적인 축성을 단행하며 고구려의 남진에 대비하였고, 왕경에서 고구려 군사를 몰아내기도 했다. 이에 소지왕은 백제와의 동맹을 강화하면서 고구려에 맞서는 공세적 자세를 취하였다. 한편 안으로 소지왕은 乃宿을 국정에 참여시키며 정치적 쇄신을 단행하였고, 그 일환으로 신궁을 설치하여 국왕 중심의 지배체제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어 내전 분수승과 사통한 궁주를 주살함으로써 왕실에서 불교를 축출하였다. 이러한 신궁과 사금갑 사건을 통해 소지왕이 정치적 이념으로 삼은 것은 시조 숭배였음을 알 수 있다. 불교를 고구려와의 예속관계 속에서 받아들인 문물로 인식했기 때문에 고구려와 대립하는 상황에서 불교 또한 배척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는 5세기 신라 왕실의 불교에 대한 이해가 교리나 사상적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대외관계의 매개체 및 문물로 인식하는 단계에 머물렀음을 보여준다. This paper studied how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illa and Goguryeo in the 5th century influenced the Silla royal family’s perception of Buddhism. King Nulji was under the intervention of Goguryeo, as he ascended the throne with the help of Goguryeo, and he performed the ritual of subjugation. In this differential foreign relationship, King Nulji accepted Buddhism as a culture of Goguryeo, and Goguryeo monks expanded their activities to royal families as well as ilsen-gun(일선군), a border area. Later, King Jabi built many fortresses along the border to prepare for Goguryeo’s southward advancement and drove Goguryeo soldiers out of Gyeongju. In response, King Soji strengthened alliance with Baekje and took an offensive stance against Goguryeo. Meanwhile, King Soji carried out a political reform by getting Nasook (his father-in-law) involved in the government, and as part of it, he built the Singung(神宮) to establish a king-centered governance system. He then ousted Buddhism from the royal family by killing a monk who had been in the palace and a princess who had committed adultery with him. The Singung and Sageumgap(사금갑) cases show that King Soji’s political ideology was the worship of the founder of the dynasty. The Silla royal family recognized Buddhism as a culture that was accepted in the subjugation with Goguryeo, so Buddhism was also rejected in the face of conflict with Goguryeo. This shows that the 5th century Silla royal understanding of Buddhism was not based on doctrines or ideologies, but on the stage where it was recognized as a medium and a culture of foreign relations.

      • KCI등재

        신라 소지왕대의 정치적 변동 : 사금갑설화를 중심으로

        조한정 ( Cho Han-jun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0 No.27

        『삼국유사』 기이편에는 신라 소지왕대 기록으로 사금갑설화가 전한다. 말하는 쥐, 연못 속에서 나온 노인 등 등장인물이 예사롭지 않고 이야기의 전개도 난해하다. 이러한 사금갑설화의 배경에는 소지왕대 왕실에서 벌어진 ‘모종의 사건’이 담겨 있다. 이글에서는 이 모종의 사건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먼저 소지왕대 중앙정치를 주도한 세력을 검토하여 보았다. 실성왕을 제거하고 즉위한 눌지왕은 중앙정치의 인적 기반이 부족하였다. 눌지왕은 외국에 인질로 갔던 복호와 미사흔을 불러들여 자신을 보좌하도록 하였다. 눌지왕대에 복호가 파호갈문왕에 책봉되었고, 기보(습보)는 지도로갈문왕의 아버지였다. 자비왕이 파호갈문왕녀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은 일찍 사망하였고, 미사흔녀를 다음 왕비로 맞아 소지왕을 얻었다. 이어서 즉위한 소지왕은 미사흔계로 보이는 내숙의 딸 선혜부인을 왕비로 맞아들였으나 후사를 얻지 못하였다. 다음으로 사금갑설화를 정치적인 측면에서 해석하여 보았다. 소지왕 10년 정월에 궁주와 내전분수승이 처형당하였다. 내전분수승은 소지왕대 왕실의 복을 빌어주던 승려였고, 궁주는 국왕에 의해 책봉된 ○○궁의 안주인으로 기보갈문왕의 딸이었다. 소지왕이 천천정에 행차하던 길에 얻은 글은 일관에 의해 역모 사건으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사건을 일으킨 일관의 배후세력으로 미사흔계를 지목하였다. 선혜부인에게서 왕자가 태어나지 않아 눌지왕 직계의 단절이 점차 현실적인 문제로 다가왔다. 다음 왕위를 다툴 유력한 세력은 눌지왕 방계인 지도로갈문왕과 미사흔계였다. 당시 지도로는 갈문왕으로서 소지왕대 전반부의 정치를 주도하였고, 누이동생이 소지왕과 혼인하였으므로 그 정치적 위상이 대단하였다. 미사흔계가 지도로갈문왕을 견제하려고 일으킨 사건이 바로 ‘모종의 사건’이었다. 이 사건으로 지도로는 소지왕과 정치적으로 결별하였다. 소지왕은 왕22년 날이군 순수 도중에 만난 벽화를 몰래 불러들여 궁중 별실에 두고 아들을 얻었다. 하지만 이러한 소지왕의 행위는 오히려 소지왕 축출의 명분을 제공하고 말았다. Sageumgab Tale was recorded in one part, named Kiyi, in 『SamKukYusa』 in the reign of King Soji of Shilla. This tale has not only very special characters, such as a talking mouse and an old man from a pond but also difficult storylines. It seems to have had certain affairs in the background in the reign of King Soji. This article will show deep inside the tale. Firstly, let's look into the people who had tremendous political power in the central government of King Soji's day. King Nulji, King Soji's grandfather, didn't have enough human resources when he ascended the throne after killing King Silsung. So he called his two brothers, Bokho and Misaheun, in order to assist him. In his time, Bokho was invested as Paho Galmunwang and Gibo (also called Seupbo), Bokho's son, was the father of Jidoro Galmunwang. King Jabi and princess of Paho Galmunwang had no grown sons, so King Jabi married a daughter of Misaheun and had a son, who became King Soji. King Soji likewise had no sons after marrying Queen Sunhye, daughter of Naesuk. Secondly, let's see the political aspects. Two people were executed during the reign of King Soji at his 10th New Year. One was Kungju, King Soji's concubine, installed as the lady of the palace by the king, as well as a daughter of Kibo Galmunwang, and the other was Naejeonbunsuseung, a monk in the palace who prayed to Buddha for the royal family. At that time, a letter King Soji received while visiting Cheonchungjung was interpreted to imply treason by Il-kwan, King's astrologer. The people in Misaheun's party were arrested on suspicion of this conspiracy. In addition, the royal family faced to the termination of King Nulji's lineage, as King Soji had no sons. Thus only Misaheun and Jidoro Galmunwang's parties were left to inherit the throne as the court of King Nulji. At that time Jidoro led all the national politics as Galmunwang in the reign of King Soji, and his political power and stature were raised very high, as his sister had married King Soji. Thus Misaheun's party made 'a certain affair' so as to prevent Jidoro's people from abusing power. As a result, Jidoro broke off all political connection with King Soji. In the meantime, however, King Soji secretly arranged a special place inside the palace for a girl, named Byeokhwa, whom he met during his inspection of Nal-yi Province in his 22nd year and finally had a son. However, this caused him got driven out.

      • KCI등재

        新羅 炤知麻立干의 神宮 설치와 親祀

        백동인(Baek, Dong-in) 신라사학회 2018 新羅史學報 Vol.0 No.42

        新羅神宮의 설치 시기에 대해서는 ≪三國史記≫ 新羅本紀에는 炤智麻立干代(479~500)로, 祭祀志에는 智證王代(500~514)로 다르게 서술된 탓에 무성한 논의가 있었다. 현재로서는 신궁의 최초 설치는 소지마립간 대에, 제도적 정착은 지증왕 대에 이루어졌다는 것이 우세한 견해이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견해를 수용하여, 신궁의 설치부터 첫 親祀까지 과정을 검토하였다. 신궁은 기존의 최고 祭場이었던 始祖廟와 비교했을 때, 시조 赫居世가 갖는 天神의 면모를 강조하고, 왕을 비롯한 소수의 역할과 주도권을 강화하는데 최적화된 형태였다. 또한 제장과 제사를 설계하는 데 있어서 외래의 선진적인 문물과 기술을 활용하였다. 즉 신궁은 전반적으로 시조묘보다 발전한 형태의 제장이었지만, 이국적인 성격이 강하고, 왕 중심으로 설계되었다. 따라서 시조묘에 익숙한 신라인들의 반발을 살 소지가 적지 않았다. 射琴匣설화를 통해 실제로 신궁의 첫 친사가 반대에 부딪쳐 좌절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기존에는 사금갑 설화가 토착신앙과 불교의 대립이 정치적 갈등과 중첩된 사건을 바탕으로 한다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신궁 설치가 야기한 갈등은 토착신앙과 불교 사이의 문제가 아니라 토착신앙을 기반으로 한 국가제사 내에서 전통적인 시조묘와 외래 요소를 가미한 신궁을 둘러싼 갈등이었다. 전통적인 시조묘 제사를 지지하던 세력이 신궁친사에 반발하였고, 그 결과 親王세력인 善兮夫人과 內殿焚修僧이 희생된 것이다. 소지마립간이 신궁 친사에 성공한 때는 설치 8년 후인 소지마립간 17년이었다. 소지마립간은 사금갑 사건이 발생한 후 불교·지방 세력과 거리를 두었다. 또한 반대 세력에 강경한 대응을 하지 않고, 타협적인 태도를 취했다. 대신 소지마립간은 자연재해에 대한 대응으로 救恤과 같은 현실적인 사후처리가 아니라, 재해 발생의 원인과 왕의 역할을 강조하며 천신 제사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우회적인 방법으로 신궁 친사를 추진하였다. 그 결과, 소지마립간은 8년 만에 신궁 친사를 실행하였다. 소지마립간이 반대 세력과 타협한 결과, 지증왕 대에는 왕실 세력이 확장되었고, 국가 제도의 정비가 더욱 활발해졌다. 이와 같은 변화를 바탕으로 지증왕 대에 신궁의 ‘創立’, 즉 제도적 정착을 이룬 것이다. There has been an endless discussion of when the Singung(神宮, palace of god) of Silla was established because Samguksagi suggests two points; Sillabongi of Samguksagi points King Soji’s reign(479~500) while Rituals of the same book points King Jijeung’s reign(500~514). At the moment the prevailing view seems to that the Singung was established during King Soji’s reign at first and institutionalized during King Jijeung’s reign. This article embraced that view and studied changes of the Singung from the establishment to the first ancestral ritual. The Singung highlighted the progenitor Hyeokgeose’s divine character and was optimized for an improvement on king’s role and leadership in rituals in comparison with the Sijomyo(始祖廟, royal tomb of the progenitor). In addition, exotic and advanced culture and technique was utilized to design the Singung and its rituals. Thus the Singung was more sophisticated than the Sijomyo, but exotic and King-centric. Therefore, there was high probability that those who was used to Sijomyo resist. The tale of ‘shoot the geomungo case’ implies that the first ancestral ritual at the Singung was cancelled because of strong opposition. The prevailing view is that this tale was based on an incident entangled with political and religious conflicts: among political groups and between indigenous religion and Buddhism. However, the conflict surrounding the Singung was not between indigenous religion and Buddhism, but between the orthodox Sijomyo and the unorthodox Singung within indigenous religion. Those who backed the Sijomyo opposed Singung rituals, and madam Seonhye(善兮夫人) and a royal bhikkhu(內殿焚修僧), King Soji’s supporters, became victims of this conflict. The first time King Soji succeeded in Singung ritual was the 17th year of his reign after eight years from the establishment. King Soji put distance from Buddhistic and local groups after the incident in the tale of ‘shoot the geomungo case’ Furthermore, he took a conciliatory attitude toward the counterforce, not a strong measure. Instead, he pushed forward the Singung ritual in a roundabout way; he stressed the importance of heaven rituals(祭天) and his role in it to prevent natural disaster. Consequently, he accomplished the Singung ritual. As a result of his compromise with counterforce, the royal family expanded and reorganization of national system got more activated. The institutional ‘Foundation’ of the Singung was completed during King Jijeung’s reign based on such changes.

      • 『삼국유사』 「射琴匣」 條의 이해

        주보돈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9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Vol.40 No.-

        『삼국유사』는 『삼국사기』와 함께 한국고대사 관련 기본 사서임은 다 아는 사실이다. 그러나 양자는 근본적 성격에서 크게 차이가 난다. 후자가 유학적 인식에 입각해 정치사 분야를 다루었다면 전자는 불교적 입장에서 종교 설화를 기본적으로 다루고 있다. 따라서 신라사의 근본 뼈대를 세우는 데는 『삼국사기』가 유용하다면 그 내용을 채우는 역할을 하는 것은 『삼국유사』라 할 수가 있다. 그런 의미에서 두 사서는 相補的 관계라 할 수 잇다. 그러나 『삼국유사』는 설화성 짙은 형식으로 기술되어 있으므로 그 속에서 역사성을 추출해 내기는 쉽지가 않다. 철저한 사료 비판을 매개로 할 때만 사료로서 활용 가능해지는 것이라 하겠다. 여기서는 그런 측면을 깊이 인식하면서 널리 알려진 紀異篇의 「射琴匣」조를 분석하여 소지마립간대의 역사 복원을 위한 사료로서 활용할 수 있는 요지는 타진해 보았다. Everyone knows that 『SamgukYusa』 is a basic book about Korean ancient history together with 『Samguksagi』. But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the fundamental character. 『Samguksagi』 dealt with the political history field based on a Confucian perception, 『SamgukYusa』 basically deals with religious stories from a Buddhist point of view. Therefore, the Three Kingdoms is useful in establishing the fundamental framework of Silla's history, and it is the Three Kingdoms that compose the contents. So, the two books can be regarded as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However, 『SamgukYusa』 is described in the form of folk tale, so it is not easy to extract the historical features in it. It is only possible to use it as a historical record if it is used as a mediation of criticism. In this text, analyzed the widely known Sagumgap(射琴匣) of the volume of Guiy(紀異篇) while deeply recognizing such aspects, and looked for points that could be used as documents for the restoration of the history of the Soji malibgan.

      • KCI등재

        신라 소지왕대(炤知王代)의 목민관(牧民官) 천거와 정치 세력의 변화

        김수미 ( Su Mi Kim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1 역사학연구 Vol.41 No.-

        신라 소지왕 19년에 실시된 목민관 천거는 소지왕 8년 이후 정계에 등장했던 내숙 세력의 정국 장악과 동향, 그리고 소지왕 말년 새롭게 중앙 정계에 등장했을 파로 세력과 관련이 있다. 먼저 소지왕대의 목민관 천거는 단순히 자연 재해로 동요하는 민심을 수습할 목적에서 실시되었다기보다는 정치 세력의 동향 및 변화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그리하여 소지왕 초반에는 기보 갈문왕 세력이 정국을 주도했으나, 소지왕 10년에 발생한 사금갑 사건을 계기로 정국 운영에 변동이 생겼을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내숙 세력은 같은 세력인 실죽의 군사권 장악, 그리고 소지왕대 상서 기록의 배치 등을 통해 소지왕 10년~18년까지 정국의 주도 세력으로 파악하였다. 한편 소지왕의 친왕 세력은 중앙의 내숙 세력, 지방의 파로 세력으로 구성되었다. 이들 세력은 소지왕 19년에 있었던 목민관 천거의 실시로 변동이 생겼음을 알 수 있다. 소지왕은 경북 북부 일대, 즉 날이군 일대에 목민관을 파견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소지왕은 날이군의 재지 세력가인 파로와 혼인 관계를 형성하여 파로 세력을 중앙 정계로 끌어들였을 것이다. 이와 같은 조치로 소지왕은 내숙 세력에 대한 견제, 왕위 계승권 등 정치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목민관 천거로 인한 정국은 오히려 소지왕의 친왕 세력인 내숙 세력과 파로 세력의 분열을 가져왔으며, 이 와중에 소지왕은 사망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결국 소지왕 19년의 목민관 천거로 소지왕의 친왕 세력은 분열하였으며, 왕의 사망으로 소지왕계는 단절되었다. The recommending for a county magistrate carried out in the reign of King Soji had something to do with the way Naesuk group came into power and ruled the nation in the eighth year of King Soji`s reign and the way Paro group newly appeared and exercised its strong power in the political arena in the late years of King Soji`s reign. Gibo King Galmun group dominated political power in the early years of King Soji`s reign until an event named “Sageumgap” brought about some significant changes in the political arena in the 10th year of King Soji. Political groups favorable to King Soji included Naesuk group in the central government and Paro group in the country. The recommendation for a county magistrate carried out in the 19th year of King Soji`s reign created some changes in the powers of the two political groups. It is assumed that King Soji dispatched a country magistrate to Nalyi-gun, the northern part of Gyeongsangbuk-do, to reinforce the bond with Paro who exercised a substantial power in Nalyi-gun through marriage and bring him to the central government. Through this, he tried to keep Naesuk group in check and resolve political problems including the matter involving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The recommendation for the country magistrate, however, caused conflicts between Naesuk group and Paro group, and he passed away amid the conflicts going on between the two groups. Ultimately, the recommendation performed in the 19th year of King Soji`s reign caused severe conflicts between political groups favorable to the king and, in the wake of King Soji`s death, the king`s group lost power.

      • KCI등재

        신라 오기일(烏忌日) 축국의 양상과 성격

        김영준 ( Kim Yong-joo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연구 Vol.0 No.55

        『삼국유사』 기이 제1 태종춘추공을 보면 김춘추와 김유신이 오기일(烏忌日)에 축국을 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내용은 그냥 오기일이라는 명절에 김춘추와 김유신이 단순한 놀이로서 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삼국유사』에 나오는 축국은 중국에서 전래된 것으로 본래 군사훈련의 성격을 가진 놀이였다가 남북조시대 이후 세시풍속으로 변화한 놀이였다. 이러한 축국은 중국에서는 남북조시대에는 입춘에 하는 놀이였지만 당나라 때에는 한식이나 청명에 하는 놀이로 바뀌게 된다. 그런데 입춘, 한식, 청명에 벌어지는 풍속들을 보면 모두 한 해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금기나 풍속을 가지고 있었다. 이런 점은 신라의 오기일도 마찬가지였다. 오기일이 언제부터 기원했는지는 정확히 모르지만 『삼국유사』 사금갑조에 보이는 것처럼 소지왕 때 시작된 것은 아니며 그 이전부터 내려오던 전통적인 절일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신라는 오기일에 까마귀에게 제사를 지내는 풍속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한 해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의식이었다. 또한 이렇게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는 유럽의 축구와 같은 공놀이에서도 보이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중국에서 벌어지던 세시풍속으로서의 축국도 이와 같이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의 놀이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를 신라에서도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 과정에서 날짜가 입춘, 혹은 한식이나 청명이 아닌 정월 보름 즉 오기일에 하는 것으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당시 신라에서 받아들인 축국의 형태는 매우 다양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대체로 ‘농주(弄珠)’라는 표현을 보면 신라인들이 주로 즐기던 축국은 서로 공을 주고 받는 백타(白打)였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김유신이 축국을 하다가 김춘추의 옷을 밟아 옷 끝을 떨어뜨렸다는 기록을 보면 골대를 만들어 경기장에서 1대1로 하는 축국도 있었던 것으로도 추정된다. Looking at the 『Samguk-Yusa』, Kim Chun-chu and Kim Yu-Sin play to football on Silla’s fifteenth day. These contents are Just then, to Kim Chunchu and Kim Yu-Sin to the holiday can see that as a simple play. But football is imported from China to the original play who withdrew with the nature of military training into New Year’s holiday subsequently, after the Northern and Southern Courts period play. It is these Northern and Southern Courts period in China in the day of Ipchun of football play, but in Qing Dynasties, Hansik or Cheongmyeong, be turned into play. But first, Cheongmyeong and Hansik the custom in which a good harvest of farming, a year all the taboos or had wind speeds. In this regard of a Silla’s fifteenth day, too. When it comes from King Soji but we don’t really know what time is not begun even before the traditional appears to be posting of, that went down. Hold a memorial service for crow and Silla at Silla’s fifteenth day had the custom in which it is a good harvest of farming with the meaning of ritual. In addition, European soccer ball, such as is the significance of such a good harvest is being seen in. This is why football as a New Year’s holiday, which had been in China in such a good harvest that was amusement of acceptance in Silla, believed to be. But in the process, date is not the fifteenth of lunar January or Ipchun, or Hansik or Cheongmyeong, ogiil been replaced by what appears to have. Form of football is accepted by the Silla and many are thought to have been. The football that was usually the expression ‘nongju (弄珠)’, Silla people are usually enjoy a ball with each other and baekta (白打) are assumed to have open for Kim Yu-shin, football. And Kim Chun-chu of clothes to that the records, see the end through the net creates a 1 to 1 on the field as football had thought.

      • KCI등재

        고전문헌에 나타난 거문고의 명칭에 대한 연구

        정하운 ( Ha Un Jung )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0 No.-

        Geomungo, a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was called baekakjijang (meaning the best musical instrument of all) or as the collective name for string instruments. It was produced in Goguryeo, and Geumdo, the theory and techniques of geomungo, was accomplished in Unified Silla. Classical scholars of Goryeo and Joseon praised its unique aspects as an essential instrument to cultivate their mind. It played various roles for a long time. However, due to its impracticality and difficult playing techniques, its status is falling. The record of geomungo is in Chapter Hyeongeum, ``Akji`` of Samguksagii, and volume 7 of Akhaguebeom has it recorded as Hyeongeumi. Chinese musical ideas about geum in classical literatures represent the musical ideas of geomungo. It tells that Chinese ideas influenced the musical ideas of geomungo players. Considering that the word geum include traditional string instruments and gayageum and that another name for geum was geumungo, it was deducted that significant parts of intangible values of geomungo were introduced from China. In Samguksagi, it was explained to have been created by remodeling chilhyeongeum, but Japanese scholars argue that it originated from wagonghu. Also, scholars of Korea, China and Japan are discussing that wagonghu of Wei and Qin era found in Chinese musical academic circles is the origin of geomungo. Korean scholars consider geum in ancient tomb murals which is assumed to be a similar instrument before the introduction of chilhyeongeum as hyeongeum, but Jananese scholars are disagreeing because they consider it as wagonghu. Even some Korean scholars believe that is is geomungo. Beside geomungo, geum and goto, the Bible has a record of a western string instrument that is interpreted as geomungo. It tells that similar looking string instruments were interpreted or translated as geomungo from the ancient times until the latter era of the Joseon Dynasty, the Japanese Rule Era. Another name for geum or names of musical instruments related with certain players were introdueced with the ideas of geum to replace geomungo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s. Aesthetic elements and ideas of playing geum were succeeded by geomungo players. It seems that Korean classical scholars selected ``geomungo`` as a collective name for geum, seul, geomungo and other similar instruments and adopted the concept with Chinese musical ideas. Geum was introduced in the 11th year of King Yejong, Goryeo (1116) and was used with seul in music for Confucian ceremonies, and its techniques were stopped at the end of Korean Empire Period. Gayageum and seul are similar in that the right hand and the both hands fingers except that they have different numbers and sizes of strings. However, geum and geomungo have different structures and techniques. Literatures include sentences explaining that materials and parts of geum, seul, geomungo and such are royal foxglove tree and silk strings, of geum are hui and jul and of seul are juhyeon and ju. However, it is hard to find uses of anjok, gwae and suldae which are names of parts of geomungo. Famous geums have contexts of history. Along with dignity and talents of producers and backgrounds and ideas of the period, they symbolizes or metaphorizes contexts of classical literatures to be involved with the ideas of geomungo. Traces of famous geum players left in classical literatures were reborn as geomungo ideas of Korean classical scholars. Musical and literary ideas from surfaces or belows of masters and famous songs of famous geums and words and phrases showing other aesthetic senses were used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physically or chemically. Joseon scholars considered geomungo as the tool of manners and cultures. Therefore, it can be deducted that they would have possessed one essentially and that there would have been many players. The instruments played by Mulgyeja and Master Baekgyeol seemed to be a traditional string instrument not geomungo or gayageum considering their living periods. Also, geum in the story about Sameumgap recoreded in Samgukyusa is sure a traditional string instrument not geomungo considering the times of introductions of geomungo and gayageum. Because musical ideas of geum, seul and geomungo were mixedly used in such literatures, accurate names of geum, seul and geomungo became confused. Also, because geomungo was used as the collective name for string instruments, western string instruments were interpreted as geomungo, and even traditional string instruments before introductions of geomungo and gayageum are all interpreted as geomungo.

      • KCI등재

        고전문헌에 나타난 거문고의 명칭에 대한 연구

        정하운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0 No.-

        우리의 전통악기 중 하나인 <거문고>는 <백악지장(百樂之丈)>으로, 또는 현악기의 통칭으로 불리면서 고구려에서 제작, 통일신라의 <금도(琴道)>를 이루었고, 고려와 조선 선비들의 수양을 위한 필수품으로서 독창적인 이면(裏面)에 대해 찬사를 받아가며 오랜 세월 광범위한 영역에서 다양한 역할을 해왔으나, 실용성의 여부와 연주방식의 어려움으로 그 위상이 점점 낮아지고 있다. <거문고(玄琴)>에 대한 기록은 『삼국사기』 「악지」의 <현금(玄琴)>조에 있고, 『악학궤범』의 권지 칠에도 <현금(玄琴)>이라고 기록되어져 있다. 고전문헌 안에서 중국의 <금(琴)>에 대한 음악사상이 <거문고>의 음악사상을 대신하고 있는 걸로 보아 <거문고연주자>의 음악정신에도 영향을 끼쳤다는 점이 확인된다. <금>의 표기가 <재래현악기>와 <가야금>을 포함하고 있는 점과 <금>의 이칭이 <거문고>의 이름으로 사용된 점에서 <거문고>의 무형적 가치 중 상당한 부분이 중국으로부터 유입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삼국사기』에서는 <칠현금>을 개조하여 만들었다고 했으나, 일본학자들은 <와공후>임을 주장하고 있으며, 중국 음악학계에서 밝혀진 <위진시대 와공후>가 <거문고>의 전신(前身)이라는 해석이 한·중·일 학자들 간에 논의되고 있다. <칠현금>의 전래 전에 유사한 악기로 추정되는 고분벽화의 <금>을 <현금>으로 보는 국내학자와 <와공후>로 보는 일본학자의 의견대립이 있고, <거문고>로 주장하는 국내학자들도 견해의 일치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거문고(玄琴)>·<금(琴)>·<고토(こと: 琴)> 외에 성경(Bible)에서도<거문고>로 해석된 서양 현악기의 기록이 발견되고 있어, 이미 고대에서부터 구한말 일제강점기에 이르기까지 체형이 비슷한 현악기는 <거문고>로 해석 또는 번역되어진 것으로 보인다. <금>의 이칭이나 특정 연주가와 관련되어있는 악기이름이 <금>의 사상과 함께 수입되어져 우리 고전문헌 안에서 <거문고>를 대신했으며, <금>의 연주에서 비롯된 미학적 요소와 사상들을 <거문고연주가>들은 답습하게 되었고, 우리의 선비들은 <금>·<슬(瑟)>·<거문고> 등을 통칭하는 의미로 <거문고>를 설정하여 중국의 음악사상과 함께 수용한 것으로 판단이 된다. <금>은 고려 예종 11년(1116)때 들어와 <문묘제례악>에 <슬>과 함께 쓰이다가 한말(韓末)에 주법(奏法)이 끊어졌다. <가야금>과 <슬>은 각각 오른손과 양손 손가락으로 뜯는 점, 줄(絃)의 수와 크기만 다를 뿐, 별 차이가 없는데, <금>과 <거문고>는 구조와 <탄주(彈奏)>형태에서 차이가 있다. 문헌의 내용에 <금>·<슬>·<거문고> 등의 재료나 부품은 오동나무·명주실과 <금>의 <휘(徽)>·<줄(絃)>, <슬>의 <주현(朱絃)>·<주(柱)> 등이 있으며, <거문고>의 부품명인 <안족(雁足)>·<괘(棵)>·<술대(匙)>에 대한 표기는 찾아보기가 어렵다. 명금(名琴)들은 고사(故事)의 내용을 갖추고 있어, 제작자의 품격·재능, 당시대의 배경·사상 등을 이면(裏面)에 동반하여 고전문헌상의 내용을 상징과 은유로 견인하면서 <거문고>의 사상에 관여하고 있다. <금>의 명인들이 고전문헌에 남긴 체취는 우리 선비들의 <거문고사상>으로 재탄생하였다. 명금, 금의 명인, 명곡 등의 표면 또는 이면(裏面)으로부터 취한 음악적·문학적 사상과 그 외의 미의식을 내재한 어휘나 문구들은 우리의 고전문헌에 유입되어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투영되어졌다. <거문고>를 예악과 수양의 도구로 생각했던 ... “Geomungo”, a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was called baekakjijang (meaning the best musical instrument of all) or as the collective name for string instruments. It was produced in Goguryeo, and Geumdo, the theory and techniques of geomungo, was accomplished in Unified Silla. Classical scholars of Goryeo and Joseon praised its unique aspects as an essential instrument to cultivate their mind. It played various roles for a long time. However, due to its impracticality and difficult playing techniques, its status is falling. The record of geomungo is in Chapter Hyeongeum, ‘Akji’ of Samguksagii, and volume 7 of Akhaguebeom has it recorded as Hyeongeumi. Chinese musical ideas about geum in classical literatures represent the musical ideas of geomungo. It tells that Chinese ideas influenced the musical ideas of geomungo players. Considering that the word geum include traditional string instruments and gayageum and that another name for geum was geumungo, it was deducted that significant parts of intangible values of geomungo were introduced from China. In Samguksagi, it was explained to have been created by remodeling chilhyeongeum, but Japanese scholars argue that it originated from wagonghu. Also, scholars of Korea, China and Japan are discussing that wagonghu of Wei and Qin era found in Chinese musical academic circles is the origin of geomungo. Korean scholars consider geum in ancient tomb murals which is assumed to be a similar instrument before the introduction of chilhyeongeum as hyeongeum, but Jananese scholars are disagreeing because they consider it as wagonghu. Even some Korean scholars believe that is is geomungo. Beside geomungo, geum and goto, the Bible has a record of a western string instrument that is interpreted as geomungo. It tells that similar looking string instruments were interpreted or translated as geomungo from the ancient times until the latter era of the Joseon Dynasty, the Japanese Rule Era. Another name for geum or names of musical instruments related with certain players were introdueced with the ideas of geum to replace geomungo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s. Aesthetic elements and ideas of playing geum were succeeded by geomungo players. It seems that Korean classical scholars selected ‘geomungo’ as a collective name for geum, seul, geomungo and other similar instruments and adopted the concept with Chinese musical ideas. Geum was introduced in the 11th year of King Yejong, Goryeo (1116) and was used with seul in music for Confucian ceremonies, and its techniques were stopped at the end of Korean Empire Period. Gayageum and seul are similar in that the right hand and the both hands fingers except that they have different numbers and sizes of strings. However, geum and geomungo have different structures and techniques. Literatures include sentences explaining that materials and parts of geum, seul, geomungo and such are royal foxglove tree and silk strings, of geum are hui and jul and of seul are juhyeon and ju. However, it is hard to find uses of anjok, gwae and suldae which are names of parts of geomungo. Famous geums have contexts of history. Along with dignity and talents of producers and backgrounds and ideas of the period, they symbolizes or metaphorizes contexts of classical literatures to be involved with the ideas of geomungo. Traces of famous geum players left in classical literatures were reborn as geomungo ideas of Korean classical scholars. Musical and literary ideas from surfaces or belows of masters and famous songs of famous geums and words and phrases showing other aesthetic senses were used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physically or chemically. Joseon scholars considered geomungo as the tool of manners and cultures. Therefore, it can be deducted that they would have possessed one essentially and that there would have been many players. The instruments played by Mulgyeja and Master Baekgyeol seemed to be a traditional string instrument not geomungo or 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