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혈종으로 오인된 경막외 림프종 - 증례 보고 -

        이동영,김동희,정순택,김근태,양정욱 대한척추외과학회 2017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4 No.1

        Study Design: Case report. Objectives: To present a rare case of a spinal epidural lymphoma mimicking a hematoma.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incidence of extranodal invasion of lymphoma is very low, and spinal compression as a clinical symptom rarely occurs in extranodal lymphoma. Materials and Methods: A 37-year-old woman who complained of neck pain that had lasted for the past 3 months with no underlying disease visited the hospital and was treated conservatively with medication and physical therapy. Even though the patient was given an epidural injection 1 month prior to visiting our hospital, the pain lingered and the cervical myelopathy became aggravated, so the patient was initially diagnosed with epidural hematoma. This predisposed the patient to treatment strategies such as laminectomy and fusion, but the patient was ultimately diagnosed with non-Hodgkin lymphoma. Results: The patient underwent a laminectomy with excision of the lesion and fusion.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non-Hodgkin lymphoma as a result of this, and the patient’s radicular pain and numbness improved immediately following surgery, except for mild weakness in both hands. Conclusions: Although spinal epidural lymphoma is similar to hematoma, and is a very rare disease, surgeons should take it into consideration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patients with a spinal epidural lesion. Key words: Myelopathy, Epidural, Lymphoma, Non-Hodgkin lymphoma, Hematoma 연구 계획: 증례 보고목적: 혈종과 유사한 경막외 림프종으로 진단된 드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림프종이 임파선 외에서 발생하는 빈도는 매우 낮으며, 척수 압박으로 인한 임상 양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매우 드물다. 대상 및 방법: 특이 기저질환이 없던 37세 여자 환자에서 3개월 전부터 지속되는 목 통증으로 약물 치료 및 물리 치료의 보존적 치료 시행하였으며, 내원1개월 전 경추 경막외 주사 요법 시행 후에도 지속되는 목 통증 및 진행하는 경추 척수증 증상으로 내원한 환자에서 경막외 혈종으로 의증하여 후궁 절제술 및 유합술 시행 후 비호지킨 림프종으로 진단된 증례이다. 결과: 후궁절제술 및 병변 절제술 후 유합술을 시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비호지킨 림프종으로 진단되었다. 수술 후 방사통과 무딘감은 즉시 호전되었으며, 경도의 양손 위약감은 수술 후 3개월까지도 지속되었다. 결론: 비록 척추 경막외 림프종은 혈종과 유사하며 매우 드문 질환이나, 척추 경막외 종양 수술시 반드시 감별 질환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색인 단어: 척수증, 경막외, 림프종, 비호지킨 림프종, 혈종약칭 제목: 혈종으로 오인된 경막외 림프종

      • KCI등재

        비부비동에 발생한 NK/T세포 림프종 1예

        안중호,김향초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04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Vol.47 No.5

        Primary sinonasal NK/T cell lymphoma is relatively comon in Asia than in Western countries, comprising up to 7% of al Non-Hodgkins lymphoma with a marked preponderance demonstrating a NK/T-cel phenotype. Sinonasal NK/T cell lymphoma is cell lymphoma is characterized by a progressive clinical course and poor prognosis, and histologicaly, it shows angioinvasion and necrosis. It is refered to by such terms as non-healing granuloma, lethal granuloma or midline granuloma. Treatment of NK/T cell lymphoma consists of radiotherapy, chemotherapy, or both. We experienced a case of sinonasal NK/T cell lymphoma in a 65 year old man who complained of periorbital swelling.

      • 비호지킨림프종에서 골수흡인 검사 결과에 따른 전체 생존율의 분석

        최정윤 ( Jung Yoon Choi ),강가원 ( Ka-won Kang ),이병현 ( Byung-hyun Lee ),유은상 ( Eun Sang Yu ),김대식 ( Dae Sik Kim ),이세련 ( Se Ryeon Lee ),성화정 ( Hwa Jung Sung ),김석진 ( Seok Jin Kim ),최철원 ( Chul Won Choi ),김병수 ( By 대한내과학회 2019 대한내과학회지 Vol.94 No.2

        목적: 비호지킨림프종 환자를 위한 병기 설정 검사는 골수흡인 검사와 골수 조직 검사의 방법으로 시행하게 된다. 두 가지 검사 결과가 일치하면 골수 침범 여부가 명백하나골수흡인 검사에서만 양성이 나온 경우는 가이드라인이 없으며 임상적으로 논란의 여지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환자군에 대하여 임상 적용에 필요한 생존율을 형태학적인 방법으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임상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고려대학교의료원의 림프종 레지스트리에 1991년부터 2016년까지 등록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대상군은 골수비침습군(BMA-/BMBx-), 흡인 검사에서만 양성이고 조직 검사에서는 음성이 나온 군(BMA+/BMBx-), 조직검사에서 골수 침범이 확인된 군(BMBx+)으로 구분하였으며 카플란-마이어 생존분석과 다변량 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환자군은 총 1,735명 중에서 불충분한 결과를 가진 409명을 제외하고 1,3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카플란-마이어 생존분석에서 BMBx+군은 BMA-/BMBx-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좋지 않은 생존율을 보였으나(p < 0.001) BMA+/BMBx-와 다른 군 간의 전체 생존율에 대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vs. BMA-/BMBx-, p = 0.163; BMBx+, p = 0.292). 그러나 다른 생존율과 관련된 인자들을 보정한 다변량 분석에서 BMA+/BMBx-는 BMA-/BMBx-에 비하여 경계선 상의 유의성을 보여주었으며(p = 0.081) 이는 특히 지연성 비호지킨림프종 환자의 서브그룹 분석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p = 0.003). 결론: 비호지킨림프종 환자에서 골수흡인 검사에서만 양성이 나오더라도 불량한 예후를 시사하고 있음을 인지하고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다 하겠다. Background/Aims: The staging work-up for patients with non-Hodgkin’s lymphoma includes bone marrow aspiration and biopsy. Consistent results of both procedures can clarify the diagnosis. However, no clear guidelines have been established regarding positive results for bone marrow aspiration alone. The aim of this study was, therefore, to analyze the overall survival (OS) for the clinical diagnoses of these patients using morphological methods.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patients who were consecutively enrolled in the Korea University Lymphoma Registry from 1991 to 2016. OS was compared according to the bone marrow group: without bone marrow involvement (BMA-/BMBx-), with positive results for aspiration and negative results for biopsy (BMA+/BMBx-), and with bone marrow involvement in biopsy (BMBx+). OS was assessed using the Kaplan-Meier method and multivariate analysis. Results: Of 1,735 patients, 1,326 were analyzed and 409 were excluded. In the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OS was significantly worse for patients in the BMBx+ group compared with those in the BMA-/BMBx- group (p < 0.00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S between patients in the BMA+/BMBx- group and those in other groups (vs. BMA-/BMBx-, p = 0.163; BMBx+, p = 0.292). In multivariate analysis, by adjusting survival-related variables, the BMA+/BMBx- group showed marginal significance compared to the BMA-/BMBx- group (p = 0.081), and showed significance in the subgroup of indolent non-Hodgkin’s lymphoma patients (p = 0.003).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that even if there are positive results in bone marrow aspiration alone in patients with non-Hodgkin lymphoma, attention to patient characteristics, involving significance as a poor prognosis for OS, is required. (Korean J Med 2019;94:182-190)

      • 고용량 글루코코르티코이드로 치료 받은 비호지킨 림프종 환자에서 골밀도의 변화와 이차성 골다공증과 골 관련 질환의 발생

        김양수 대한골다공증학회 2008 Osteoporosis and Sarcopenia Vol.6 No.2

        목적: 비호지킨 림프종은 완치 가능한 악성 질환으로 평균연령이 60세 전후에서 호발하는 질환이다. 주 치료제로 고용량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며 치료 후 골다공증이 발생이 증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골 관련 질환이 발생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호지킨 림프종으로 고용량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환자에서 골밀도의 변화와 골다공증의 발생을 알아보고 골 관련 질환의 위험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도 3월부터 2008년도 3월까지 고신 대학교 복음병원 혈액종양내과에 내원하여 비호지킨 림프종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항암 화학 치료 전 골밀도와 치료 후 추적 골밀도 검사를 받았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는 고용량 스테로이드로 적어도 3회 이상 치료를 받았으며 요추와 대퇴골의 골밀도를 측정하고 치료 후 골 관련 질환의 발생을 알아보았다. 결과: 60세 이상의 환자가 57%로 가장 많았으며 치료 전 대퇴골 골밀도의 중앙값은 -1.9였고 요추의 중앙값은 -2.0였고 치료 전-2.5 이하를 보인 경우는 대퇴골에서 13.2%, 요추에서는 24.5%였다. 60세 이후의 환자에서 치료 전과 치료 후 골밀도 값이 낮았다. 골 관련 질환의 발생은 골밀도의 감소만 보인 경우는 32%였으며 골밀도 감소와 압박골절이 있는 경우는 37%, 장골 골절이 있는 경우는 1.7%였다. 전체 대상 환자 약 70%에서 골 관련 질환이 발생하였다. 골 관련 질환의 발생과 관련된 인자로는 60세 이상의 연령, 치료 전후 골밀도 감소와 치료 후 대퇴골 및 요추의 골밀도 감소가 0.5 이상이었으며 특히 다변량 분석에서 60세 이상의 연령과 요추의 골밀도가 0.5 이상 감소하는 경우 골 관련 질환의 발생과 의미 있게 나타났다. 결론: 비호지킨 림프종으로 고용량 스테로이드로 치료받는 환자 중에서 60세 이상의 고령인 환자와 요추의 골밀도가 감소하는 경우 골 관련 질환의 발생 위험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비호지킨 림프종을 치료할 때 60세 이상의 환자에서 골밀도 검사를 시행하여 골절의 위험이 있는 경우 적극적인 예방이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증례 : 비호지킨 림프종에서 리툭시맙 투여에 의한 간질성 폐질환 1예

        최영준 ( Young Jun Choi ),정우진 ( Woo Jin Jung ),오세일 ( Se Il Oh ),전민혁 ( Min Hoyk Jeon ),손희정 ( Hee Jung Sohn ),한은미 ( Eun Mee Han ),서철원 ( Cheol Won Suh ) 대한내과학회 2006 대한내과학회지 Vol.71 No.4

        리툭시맙은 CD20항원에 대한 단클론 항체로서 CD20을 발현하는 B세포계열의 비호지킨 림프종의 치료에 사용되어지고 있다. 리툭시맙 치료에 대한 부작용은 경증의 주입관련 이상 반응 외에 유의한 부작용은 없는 안전한 약으로 증명되었으나 최근들어 몇몇 환자에서 간질성 폐질환이 관찰되었다는 국외보고가 있었다. 저자들은 비호지킨 림프종 환자에서 리툭시맙에 의한 간질성 폐질환 1예를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Rituximab targets CD20+ B cells and has been used increasingly for the treatment of B-cell Non-Hodgkin Lymphoma,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cytotoxic agents. Rituximab can kill CD20+cells by multiple mechanisms. Rituximab therapy has often been associated with an infusion-related symptom complex consisting of fever, chills, and rigors that is usually self-limited. These complications are transient without long-term effects. Several delayed pulmonary events involving interstitial reactions and bronchiolitis obliterans with organizing pneumonia have recently been described in conjunction with the use of Rituximab. In the lymphoma patient presented here there was no respiratory symptoms; however, respiratory difficulty developed after the third round of Rituximab plus CHOP chemotherapy. High resolution computed tomography (HRCT) and positive emission tomography (PET) were performed and revealed diffuse ground glass opacities. We report a patient with Non-Hodgkin Lymphoma in whom interstitial lung disease developed after Rituximab therapy.(Korean J Med 71:449-455, 2006)

      • KCI등재

        원발성 골반 비호지킨 림프종 3예

        황현주 ( Hyun Ju Hwang ),강호영 ( Ho Young Kang ),한유정 ( Yu Jung Han ),조현철 ( Hyun Cheol Jo ),박지권 ( Ji Kwon Park ),신정규 ( Jeong Kyu Shin ),이순애 ( Soon Ae Lee ),이종학 ( Jong Hak Lee ),백원영 ( Won Young Pai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2

        Primary pelvic non-Hodgkin`s lymphoma is a rare malignancy that has been reported in the retroperitoneum, ovary, uterine corpus, uterine cervix, vagina and vulva. Although primary pelvic lymphoma is rare, this may be encountered more frequently as the incidence of extranodal non-Hodgkin`s lymphoma increases. We experienced three cases of primary non-Hodgkin`s lymphoma of the pelvis. Two cases are primary non-Hodgkin`s lymphoma of the ovary and one is primary non-Hodgkin`s lymphoma of the retroperitoneum. We report these cases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 KCI등재

        자궁내막에 발생한 원발성 비성 NK/T세포 림프종

        이성학 ( Sung Hak Lee ),이희중 ( Hee Joong Lee ),장하균 ( Ha Kyun Chang ),박태철 ( Tae Chul Park ),신옥란 ( Ok Ran Shin ),이교영 ( Kyo Young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9

        Non-Hodgkin lymphoma can involve the female genital tract usually as a manifestation of systemic disease, the vast majority of cases being B cell lineage. We report here one case of nasal type NK/T cell lymphoma arising in the uterus, of a 45-year-old Korean woman. The endometrium and myometrium showed diffuse infiltrative mass with hemorrhage and necrosis. Microscopic examination of the tumor revealed medium-sized atypical lymphoid cells. The tumor cells were positive for cytoplasmic CD3 and CD56, and were negative for vimentin, CD10, smooth muscle actin and desmin. Furthermore, In situ hybridization analysis for Epstein-Barr virus (EBV) RNA was positive. The histopathologic and immunohistochemical findings were consistent with extranodal nasal type NK/T cell lymphoma. We report this case to illustrate that NK/T cell lymphomas can involve, and rarely arise in, the gynecologic tract.

      • KCI등재

        대요근을 침범한 악성림프종

        김진환(Jin Hwan Kim),송재광(Jae Gwang Song),김정훈(Jung Hoo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6

        비호지킨성 림프종의 1/4은 림프절 외 조직에서 발생한다고 보고되어 있고, 그 중 근골격계에 원발성으로 발생하거나 주변 림프절에서의 근골격계로의 전이는 매우 드물다. 또한 척추성 하지 동통과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는 대요근의 종괴는 비감염성 종괴보다 농양과 같은 감염성 원인에 의한 종괴가 흔하게 보고되고 있다. 본 저자들은 척추성 하지 동통과 유사한 증상을 주소로 내원하여 농양과 감별을 요하였던 환자를 대요근을 침범한 비호지킨성 림프종으로 진단하고 치료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One fourth of cases of non-Hodgkin lymphoma were reported as extranodal type and skeletal muscle involvement rarely seen as a primary event and local dissemination. The psoas involved lesion with spine mimicking pain is caused mainly by infection rather than non-infected conditions such as tumor. We report on a rare case of non-Hodgkin lymphoma occurring in psoas muscle, which required differentiation from a psoas abs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