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임재환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9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56
The period classification and critique of the history of Korean Web-image is a fundamental issue o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nimation & webtoon. Such research projects have never been mentioned in organizations, including related academic associations. As a fusion science and composite art that applied the human-society, science-technology, culture-arts, the need and purpose of systematically exploring the study according to academic and artistic genres has emerged. First, the history of Korean Web-image was divided into the period circle, the king's control, and the historical and educational era, and applied with the criticism tasks. It was identified as an ancient, middle-aged, modern, and modern Web-image history by integrating it with world history in the long and close relationship of the times, the ruling system of the royal ruling forces, and the history course of the education ministry. Second, the history of Korean Web-image was divided into social and scientific stages, economic development stages, and subject categories to determine critical tasks. In terms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the history of the field was divided into ancient, traditional, and modern, with social, cultural, political, and economic history. Third, the history of Korean Web-image was scientifically researched into the classification of prehistoric archaeological, geology, and anthropological periods. Stoneware by archaeological remains → Bronze Age → Iron Age and Paleozoic Era → Mesozoic → Neoclassical Phase. We explored the period by dividing it into plants and animals in stratified fossils, modern humans and anthropological cultural phenomena. Fourth, the period classification and criticism tasks were applied to the history of Korean Web-image with cultural and artistic cultural contents and cultural and industrial convergence technology. We extracted content such as cultural garden-style storytelling traditional culture, historical events and mythological legends related to culture and art, reproductions of screenings, game character products, learning contents, Finally, Web-imagists sought period classification and criticism tasks in the humanities-society, science-technology, and cultural-artistic fields as a comprehensive art in all academic fields. However, the history of cartoons could not be developed in detail and analytically, so many logic was summarized by reference and diagram, but did not elaborate. It is hoped that cartoon research will be activated by presenting as a draft proposal of Korean Web-image chronology and critical research tasks. 만화영상이 인문사회, 과학기술, 문화예술 등을 응용한 융합과학과 복합예술로서 학문적 영역과 예술적 장르에 따라 세계사와 한국사와 연계하여 체계적인 시대구분의 탐구가 필요하다. 한국만화영상사의 시대구분과 비평과제는 만화영상의 연구개발에 관한 당면한 현안과제이다. 첫째, 한국만화영상사를 인문학적으로 시대원근, 왕조정권, 역사교육적 시대를 구분하고 비평과제를 준용하였다. 시대의 멀고 가까움과 왕권 지배세력의 통치체제와 교육부의 역사교과과정에 세계사와 통합하여 고대→중세→근대→현대의 일반적인 만화영상사를 규명하였다. 둘째, 한국만화영상사를 사회과학적으로 사회발전단계, 경제발전단계, 주제분류로 시대를 나누고 비평과제를 가름하였다. 사회경제 발전적 측면에서 고대적→봉건적→근대시민적 사회발전단계와 원시공산→고대노예→중세봉건→자본주의→사회주의의 경제발전단계 그리고 사회사·문화사·정치사·경제사의 특정분야적인 만화영상사를 고찰하였다. 셋째, 한국만화영상사를 과학기술적으로 선사 고고학ㆍ지질학ㆍ인류학적 시대구분을 모색하고 비평과제를 탐구하였다. 고고학적 잔존물에 의한 석기→청동기→철기의 선사시대로부터 유사시대까지와 지질학적 현생누대의 고생대→중생대→신생대 단계에 지층 화석에서의 동식물과 현생인류 그리고 인류학적 문화 현상의 만화영상사를 탐색하였다. 넷째, 한국만화영상사를 문화예술적으로 문화원형적 문화콘텐츠와 문화산업적 융합기술로 시대구분과 비평과제를 적용하였다. 문화예술과 관련한 문화원형의 스토리텔링적 전통문화, 역사사건, 신화전설 등의 콘텐츠와 상영공연물, 게임캐릭터 제품, 학습물 콘텐츠 등의 재현 그리고 문화산업적 기술을 융합한 만화영상사를 추출하였다. 끝으로, 만화영상이 모든 학문 영역의 융합과학과 다양한 예술 분야의 종합예술로서 인문사회, 과학기술, 문화예술적 영역으로 나누어 시대구분과 비평과제를 모색하였다. 그런데 만화영상사를 구체적이고 분석적으로 전개하지 못하여 많은 논리를 참고 도표로 집약하였으나, 엄밀하게 규명하지 못하였다. 앞으로 한국만화영상의 역사적 특수성과 세계만화영상사의 보편성과 통합한 만화영상사 연표와 비평적 연구과제를 시안으로 제시하여 만화영상사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민현주 ( Hyun Joo Min ),배수을 ( Su Eul Bae ) 대한무용학회 2012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비평에 관한 국내 연구의 흐름을 분석하고 무용비평의 학문적 발전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는데 있다. 분석대상 연구물은 1974년부터 2011년까지의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 한국연구재단 등재지·등재후보지 등급의 학회지 논문이다. 발표유형, 발표기관, 연구주제, 연구방법, 비평대상에 따른 무용비평에 관한 연구의 흐름에 대하여 빈도분석과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무용비평에 관한 연구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표유형에 따른 흐름은 무용학의 다른 하위 연구분야에 비해 양적 성과가 매우 저조하다. 둘째, 발표기관(학위논문/대학교)에 따른 흐름은 이화여대와 한양대, 경희대에서 무용비평 관련 논문에 대한 양적 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주제에 따른 흐름은 비평 스타일을 다룬 연구가 21편(32.8%)으로 가장 많았다. 넷째, 연구방법에 따른 흐름은 평문분석 방법이 31편(48.4%)으로 가장 많았다. 다섯째, 비평대상(국내)에 따른 흐름은 남성 비평가 중에서 김영태(10건)와 김태원(9건)의 평문이 많이 연구되었으며, 여성 비평가 중에서 문애령(8건), 김경애(7건)의 평문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비평대상(국외)에 따른 흐름은 프랑스의 비평가 테오필 고티에에 관한 연구가 4건으로 가장 많았다. 무용비평에 관한 연구의 발전을 위한 과제로는 첫째, 양적?질적 성과의 동반 성장 둘째, 학술대회 활성화를 통한 연구 분위기 조성 셋째, 연구 주제의 다면적 접근 넷째, 비평대상 선정의 명확한 근거 제시 등이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f dance criticism presented in master`s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and journals which are registered journals and registration nominees, from 1974 to the present in South Korea, and to suggest issues required for academic development of dance criticism. The research trends of dance criticism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quantitative performance is very insufficient in terms of publication, if compared to other sub-fields of dance studies. Second, in terms of researchers` associations, the total number of theses and dissertations were 42 and the total number of the associations were 16 universities. Among the universities, Ewha Womans University, Hanyang University, and Kyunghee University showed high quantitative performances. Third, criticism style were shown as the highest with 21 cases (32.8%), in terms of research subject. Fourth, text analysis was shown as the highest with 31 cases (48.4%) in terms of research method. Fifth, criticisms of Young-Tae Kim (10 cases) and Tae-Won Kim (9 cases) among male critics were analyzed frequently, in terms of (domestic) criticism targe, and there were many studies about criticisms of Ae-Ryoung Moon (8 cases) and Kyeong-Ae Kim (7 cases) among female critics. In terms of (overseas) criticism target, researches of a French critic, Theophile Gautier were the highest with 4 cases. Issues for academic development of dance criticism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accompany the growth of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erformances. Second, it is necessary to create academic atmosphere by invigorating a symposium. Third, it is necessary to conduct multifaceted approaches to research subject. Fourth, it is necessary to suggest clear bases in selecting criticism target.
염상섭 문명비평 사상의 기본 성격 — 1920년대 작품과 비평을 중심으로 —
강경석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24 개념과 소통 Vol.0 No.33
이 글은 제국주의가 운반해 온 자본주의 물질문명과 외래 사상에 순응하기를 거부하고 자신이 발 딛고 선 현실의 위기를 자신만의 눈으로 응시하며 대결하려 한 작가 염상섭의 일련의 창작과 비평적 실천을 문명비평으로 통칭하고, 그 배경에 놓인 사상적본질이 무엇이었는지를 규명해 보려는 시도이다. 우선 염상섭의 의식세계를 배태한그의 가계를 조선 후기 중인 계층에서 식민지 근대 부르주아 계급으로 이어지는 계선으로 파악한 통설을 재검토하고 그것이 실은 서구 계급 모델에 의해 상상된 허구일지도 모른다는 점을 실증 자료를 통해 밝히려고 했다. 이를 바탕으로 지난 20년간 염상섭 관련 연구를 주도해 온 아나키즘 관련 논의들의 성과와 한계를 점검하면서 1920 년대 염상섭의 사상적 입장이 실은 ‘근대 적응과 근대 극복’의 이중과제적 함의를 지닌 것임을 부각했다. 그러나 염상섭의 문명비평적 사유와 글쓰기가 궁극적으로 도달한 지점은 근대 이중과제론의 설명을 벗어나는 지점 즉, 자본주의 물질문명의 근본적전환이라는 차원에 이르고 있다. 그가 말한 ‘자연의 이법’으로의 회귀는 오늘날 우리가 목도하고 있는 자본주의 세계체제의 위기와 균열을 사유하는 데에도 풍부한 영감을 줄 수 있다는 것이 이 글의 잠정적 결론이다. This article attempts to clarify the underlying essence of thought in the work of Yeom Sang-seop during the 1920s. These works share a quality which can be described as a critique of civilization. By this, I mean the various ways in which he confronts and rejects capitalism, materialism, and other foreign ideologies introduced by Japanese imperialism. Understanding the context of Yeom Sang-seop’s thought requires reexamining the character of the late Joseon Jungin (i.e. the social class between the commoner and nobility classes), and com- paring it with the modern bourgeois class. Through this process, I establish that the arguments of previous studies are actually “imagined fictions,” since they derive from a Western perspective. Over the past 20 years, Yeom Sang-seop’s work has been primarily analyzed in terms of anarchism, but this approach has severe limitations. It is true that the ideological position of Yeom Sang-seop in the 1920s had implications for the double project of modernity, but this theory is unable to fully explain the ultimate destination of his civilization-critical writings. His multidimensional approach envisages a fundamental trans-formation of capitalist material civilization. Indeed, his argument for a return to the “providence of nature” offers rich inspiration for thinking about the crisis facing the capitalist world system today.
구자황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4
This paper was conceived by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that colleges and universities should take an active role in addressing changes to reading and writing surrounding human life today and establish a sophisticated theory for their writing education. Various criticism activities make one of major types in college writing education, and book reviews are the most representative criticism task in academic writing at college. The purposes of the paper were to examine the focus and efficacy of book review education in college writing education and search for ways to theorize book review education based on them. The present study put an emphasis on two focuses of book review education, which were utilizing the attributes of the book review genre and overcoming the analytical reading-centric frame of reading education. The understanding and sharing of “dialogical literacy” was the concept and perspective that was ultimately emphasized in the study. Based on them, the investigator made independent proposals for the minimum principles of book review texts or the types of text organization to be included in book review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book review theory can increase in its effects when it is combined with specific implementation plans to support and test it. Future tasks include presenting a clear “task representation,” which will help to supplement the insufficient genre perception of tasks and make maximum use of the multi-layered nature of genres and the versatility of topics, and preparing a “rhetoric strategy” essential to writing a book review as a meta-text. Students should be able to distinguish book reviews providing information from those which are accompanied by analysis and evaluation by learning the book review theories. A foundation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students to learn the types of book review text organization, develop an eye for good book reviews, and write a book review themselves. Book review writing education should pursue the ultimate goals of leading readers throughout their lives and helping them make writing a part of their life and internalize it. Book reviews should not be regarded as opinions about famous restaurants or experts’ brilliant and intellectual playgrounds since book reviews are the intensification of reading and further the completion of reading 이 글은 오늘날 우리 삶을 둘러싼 읽고 쓰기의 변화를 대학이 적극적으로 감당하고, 대학 글쓰기 교육이 정교한 이론을 갖춰 나가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되었다. 다양한 비평 활동이야말로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주된 유형이며, 이 가운데 서평은 대학의 학술적 글쓰기에서 가장 대표적인 비평 과제이다. 이 글은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서평 교육의 주안점과 효능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서평 교육의 이론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글이 강조한 서평 교육의 주안점은 서평 쓰기 범주의 중층성, 범용성 활용하기, 그리고 분석적 읽기 중심의 읽기 교육 프레임을 극복이다. ‘대화적 문식성(dialogical literacy)’에 대한 이해와 공유는 이 글이 궁극적으로 강조한 개념이자 관점이다. 이를 바탕으로 서평 텍스트의 최소 원칙, 즉 서평에 들어가야 할 텍스트 구성 유형을 제안하였다. 서평 이론의 정립 과정은 이를 뒷받침하고 검증하는 구체적 실행 방안과 병행할 때, 비로소 시너지 효과가 날 수 있다. 과제에 대한 미흡한 장르 인식을 보완하고 장르의 중층성(中層性), 주제의 범용성(汎用性)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명료한 ‘과제 표상’을 함께 제시하고, 메타 텍스트로서의 서평 쓰기에 필수적으로 활용되는 ‘수사적 전략’ 마련하는 일은 앞으로의 과제다. 서평 쓰기 교육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서평과 분석과 평가를 수반하는 서평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학생들이 서평 텍스트를 구성하는 유형을 알고, 좋은 서평에 대한 안목을 갖고, 실제 서평 쓰기를 할 수 있는 토대 마련해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서평 쓰기 교육은 궁극적으로 평생 독자를 견인하고, 글쓰기를 생활화·내면화하는 인간으로 이끌어야 한다. 서평을 맛집 후기처럼 생각하지 않지 않고, 서평을 전문가들의 현란한 지적 놀이터로 인식하지 않아야할 것이다. 서평이야말로 독서의 심화이고, 나아가 독서의 완성이기 때문이다.
비디오 교재 "redaktion-D"를 이용한 독일어 수업 - 한국의 실정에 맞는 교수방법론적인 구상 -
최영진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06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18 No.-
비디오 교재 “redaktion-D”를 이용한 독일어 수업한국의 실정에 맞는 교수방법론적인 구상 독일어 수업에서 비디오는 인터넷과 같은 멀티미디어에 비해 고전적인 매체라고 할 수 있지만 그 효과에 있어서는 누구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외국어 수업에서 비디오는 보고 듣기 훈련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해당 외국어권의 문화에 대한 생생한 지식을 전달해 주며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는 장점들 때문에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학습자의 외국어 지식이 적을 경우 비디오 시청이 외국어 학습과 직접적으로 결합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예를 들면 독일어로 제작된 비디오 대부분이 초급 수준의 학습자가 이해하기에는 상당히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심지어 교육용으로 제작된 비디오 조차도 학습자가 어려워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본 논문에서는 독일의 괴테 인스트투트와 볼터스 클루버 출판사의 협약으로 제작된 비디오 독일어 교재 redaktion-D를 한국에서의 독일어 교육이라는 맥락에서 간략히 분석해 보고자 한다. redaktion-D는 총 13과로 구성되어 있으며 13과를 제외한 각 과가 영화(Spielfilm), 독일어강좌(Deutschkurs), 르포(Reportage)로 나뉘어져 있다. 이 중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부분은 영화인데, 본 논문에서는 주로 이 부분에 대한 비평을 하고자 한다. 이어서 redaktion-D를 실제 독일어 수업시간에 활용했던 경험을 발표함으로써 비디오 수업을 위한 교수방법론적인 단초를 구상해 보고자 한다. 비디오를 외국어 수업에 활용할 경우 중요한 것은, 학습자들의 수준에 맞추어서 학습 목표를 정하고 그 목표에 타당한 과제들을 부여하는 일이다. 예를 들면, 세부적인 사항들의 이해보다 포괄적인 내용 파악이 목표라고 한다면 학습자들이 굳이 모든 대화내용을 이해할 필요는 없다. 비디오 수업에서 자칫 학습자가 수동적인 수용자의 태도를 취함으로써 학습보다는 영화감상의 차원에 머무르게 될 위험이 항상 있다. 그러나 의사소통 중심의 외국어 수업에서는 비디오 시청이 말하기 및 쓰기 연습을 위한 좋은 계기가 될 수 있다.
영문학교육에서 비평과제물의 효율성 연구 : 사범대학 영어과 예비교사를 중심으로
이문우 한국영미어문학회 2012 영미어문학 Vol.- No.104
This study aims to show how response papers can influence English literature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English Education. There are two research questions in the present study: 1.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English literature classes in the Department of English Education? 2. What is the effect of response papers on English literature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English Education? To figure out these research questions, student questionnaires (with 206 and 64 student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two professor interviews, classroom observations (two times respectively based upon the professor), and students’ actual response paper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the method of simple reading is still employed in many English literature courses, whereas pre-service teachers want them to offer more detailed explanation of the text, the author, and the socio-cultural context. When response papers were implemented in the actual classroom, both pre-service teachers and professors were satisfied with them especially in terms of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 and deepening the understanding toward the culture as well as the text itself.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English literature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English Education in more practical way.
전공 수업 비평 과제 수행에 나타난 인지 과정 분석 연구 -외국인 유학생과 한국인 대학생의 작문 분석을 중심으로-
이인혜,임형옥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9 한국어 교육 Vol.30 No.2
The present study aims to study the cognitive process of critical reaction papers and to suggest pedagogical implications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at universities in Korea. The reaction papers submitted by 60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major undergrad stud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gnitive hierarchy of the revised Bloom’s taxonomy. The analysis indicates the followings: (1) the papers of international students were mostly at the low scored level, and a few papers were at the mid scored level; (2) the low-level papers of the international students were mainly at the understand level showing the ability to summarize main points of the source article and to express impressions on the source article. However, it shows frequent spelling errors, word choice errors, and misunderstandings of source article; (3) the mid-level scored papers of the international students were mainly at the apply level showing the ability to make explicit links between the source article and their paper; (4) the high scored papers were mainly at the analyze level and some papers were at the evaluate level showing the ability. However, none of the papers of the international students were at those levels of a cognitive process. The results show that researchers and educators in college need to develop the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to improve the critical writings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