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이버네틱 아트의 비가역성 연구

        유소영,김현주 한국영상학회 2021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9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네틱 아트 작품 제작에 있어서 비가역성을 연결시키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사이버네 틱스는 노버트 위너가 1948년사이버네틱스, 또는 동물과 기계의 제어와 커뮤니케이션에서 제시한 개념으로 현재까지 여러 학문에서 응용되고 있는 개념이다. 생물과 기계 사이의 커뮤니케이션과 제어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이를 기본으로 항상 성, 피드백 루프, 자기 조절성, 가상성 등의 발전된 논의들을 이어 왔다. 사이버네틱 아트는 이러한 사이버네틱스 개념이 적용 된 예술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넓은 의미에서 사이버네틱 아트의 다양한 관점과 해석을 살펴봄으로써 작품 제작에 유용한 의미를 찾아보고자 한다. 또한 사이버네틱스 개념에서 읽어낼 수 있는 비가역성을 재조명하고 이런 지점이 사이버네 틱 아트에 적용될 가능성을 열고자 한다. 이론적 배경을 통해 사이버네틱스의 기저에 포함된 베르그송의 지속적 시간과 깁스, 섀넌의 이론들을 짚어보고 사이버네틱스에서 비가역성이 어떻게 도출되는지 설명한다. 이어 사이버네틱 아트가 현대 미술에 미친 영향과, 비가역성과 사이버네틱 아트의 접점에 있는 작품 사례를 살펴본다. 이어 예술가로서 사이버네틱 아트에서의 비 가역성에 대한 표현 연구의 결과로 제작된 작품 <Wiederkehren>, <Vibration>, <Sweet and sweet>의 사례를 소개한다. 이는 해당 작품을 구상하고 제작하는 연구를 통해 사이버네틱적 요소와 비가역성이 어떻게 작품으로 구현될지에 대해 고찰하는 과 정을 포함한다. 본 연구는 사이버네틱 아트와 비가역성에 대한 해석과 표현의 새로운 사례를 만들어냄으로써 미디어 아트 연 구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리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point of view that conveys irreversibility in cybernetic art production. Cybernetics is a concept that Norbert Wiener presented in 1948 in his book ‘Cybernetics, or the control and communication of animals and machines’, and it has been applied in various disciplines thus far. It has suggested possibilities for communication and control between organisms and machines and accompanied advanced discussions on topics such as homeostasis, feedback loops, self-control, and virtualization. Cybernetic art refers to art with this cybernetics concept. This study explores the perspective and interpretation of cybernetic art in conjunction with the notion of irreversibility. As a theoretical background, inversibility in cybernetics is discussed based on the concepts and theories of duration by Bergson, statistical mechanics by Gibbs, and information theory by Shannon. The study then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cybernetics on contemporary art and introduces art works which convey irreversibility as a main concept. Finally, as a case study of cybernetic art with irreversibility, the works Wiederkehren, Vibration, and Sweet and Sweet are described. This includes the design and production processes of the works, including the thinking process in each case over how cybernetic elements and irreversibility can be realized as art work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positively to the study of media art by proposing new cases of interpretations and representations of cybernetic art and irreversibility.

      • KCI등재

        불확실성과 투자의 비가역성에 관한 연구

        김천구,박정수 한국응용경제학회 2020 응용경제 Vol.22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들이 직면한 불확실성에 대해서 보유한 기업자산의 비가역성에 따라 투자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증 분석 결과 첫째, 기업의 투자는 기업이 직면한 불확실성을 포괄하는 금융불확실 성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자산 비가역성이 그 효과를 증폭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불확실성의 부정적 효과는 대기업에서 더 크게 나타났 다. 셋째, 규모에 따른 부정적 효과의 차이는 규모에 따른 투자 비가역성의 차 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불확실성 확대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기업투자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불확실성의 전달경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함의를 가진다. 특히 대기업이 거시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우리나라는 투 자 비가역성이 높아 불확실성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어 금융불확실성에 기여하는 정책 추진에 신중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effect of uncertainty on firm investments depends on the degree of asset irreversibility. We find that firm investment is negatively influenced by the uncertainty and the effect is amplified by the asset irreversibility. The negative uncertainty effect is stronger for the larger firms. The differential effect due to size may be explained by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asset irreversibility according to firm size. This study implies that policies need to take into account of firm’s characteristics in responding to uncertainty issue. Reducing policy uncertainty may be needed to revitalized the investment behavior.

      • KCI등재

        테크놀로지의 비가역성과 문화산업 비판의 한계, 지향 방향

        문병호(Mun Byeong-Ho) 인문콘텐츠학회 2009 인문콘텐츠 Vol.0 No.14

        문화산업에는 양면성이 내재한다. 문화향유를 대중화시키고 문화와 산업을 연계시켜 인간의 창조적 행위가 경제적 부가가치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은 문화산업의 긍정적 측면이다. 반면에 문화산업은 문화를 상업성과 오락성에 종속시킨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프랑크푸르트학파는 1947년 『계몽의 변증법』에서 문화산업을 대중기만의 수단이라고 낙인을 찍었다. 이후에도 문화산업에 대한 비판과 문화산업의 부정적 이미지를 줄이려는 노력은 다양하게 시도되었다. 그럼에도 문화산업은 특히 1980년대 이래 급속하게 부상ㆍ성장ㆍ팽창하여 신자유주의가 구축한 자본권력 절대주의시대의 중심축을 형성하기에 이르렀다. 문화산업의 부정성을 극복하려는 노력들은 실패로 귀결된 것이다. 하버마스에 의하면 20세기 서구의 4대 사상의 하나인 ‘비판 이론’은 1960년대 미국의 학생운동과 유럽의 68학생운동에 결정적 영향을 미쳐 서구사회의 정치ㆍ사회ㆍ경제 질서의 변화를 유발함으로써 이론의 사회적 작용력을 실증하였다. 비판이론은 그러나 문화산업 비판에서는 실재적 영향력을 거의 획득하지 못하였다. 이 논문은 그 원인을 찾는 것을 중심 목표로 설정한다. 비판 이론은 테크놀로지의 핵심적 본질인 비가역성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론의 실재적 작용력에서 무력할 수밖에 없었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테크놀로지의 비가역성을 고려하여 문화산업비판이 나아갈 방향들을 간략하게 제시한다.

      • 시간과 영원의 관계에 대한 소고

        신익상 ( Ick Sang Shin )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12 화이트헤드 연구 Vol.24 No.-

        본 논문은 일관되게 하나의 목표를 향해 간다. 시간과 영원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먼저, 시간과 영원이라는 이분법적 사유 속에서 시간은 대개 영원에 의해 구원받아야 할 대상이 되어왔다는 점을 지적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이어 화이트헤드의 시간 이해와 프리고진의 시간 이해를 경유해서 시간의 존재론적인 위치를 찾아본다. 프리고진으로부터는 비평형 열역학이 보여주는 ``혼돈으로부터의 질서``를 통해 비가역성이 모든 수준의 질서에 대해 근원이 되고 있다는 점을 끌어낸다. 화이트헤드로부터는 합생의 첫 번째 위상을 검토함으로써 시간의 비가역성을 끌어낸다. 이들로부터 우리는 시간이 비가역성을 가지는 개념적 추상이라는 생각에 이르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 비가역성의 토대는 영원이나 불멸이 아니라 생멸과 변화의 운동성이라는 점을 지적하게 될 것이다. 영원이나 불멸은 오직 생성과 소멸을 통해서 일별될 수 있는 것으로 변화와 운동의 형식으로 실현되는 것이다.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clear the relation of time and eternity. First, it will start with pointing out that, in ``the midst of dualistic thought of time versus eternity``, time has been object of redemption by eternity in general. And find ontological proper place by ``Whitehead``s comprehension of time`` and ``Prigogine`s comprehension of time``. With ``the order out of chaos`` shown in Prigogine`s non-equilibrium thermodynamics it could be clarified that the irreversibility is the basis for all levels of orders. Irreversibility of time is derived from Whitehead`s process philosophy by studying of ``the first phase in the process of concrescence``. As a result, we will become to reach the thought that time is a conceptual abstraction including the concept of irreversibility. And the base of this irreversibility is not eternity and immortality. but it is the mobility of becoming-perishing and changing. Eternity and immortality are realized exclusively by becoming-perishing and actualize themselves in the form of changing and moving.

      • 시간과 영원의 관계에 대한 소고

        신익상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12 화이트헤드 연구 Vol.0 No.24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clear the relation of time and eternity. First, it will start with pointing out that, in 'the midst of dualistic thought of time versus eternity', time has been object of redemption by eternity in general. And find ontological proper place by 'Whitehead’s comprehension of time' and 'Prigogine’s comprehension of time'. With 'the order out of chaos' shown in Prigogine’s non-equilibrium thermodynamics it could be clarified that the irreversibility is the basis for all levels of orders. Irreversibility of time is derived from Whitehead’s process philosophy by studying of 'the first phase in the process of concrescence'. As a result, we will become to reach the thought that time is a conceptual abstraction including the concept of irreversibility. And the base of this irreversibility is not eternity and immortality. but it is the mobility of becoming-perishing and changing. Eternity and immortality are realized exclusively by becoming-perishing and actualize themselves in the form of changing and moving. 본 논문은 일관되게 하나의 목표를 향해 간다. 시간과 영원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먼저, 시간과 영원이라는 이분법적 사유 속에서 시간은 대개 영원에 의해 구원받아야 할 대상이 되어왔다는 점을 지적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이어 화이트헤드의 시간 이해와 프리고진의 시간 이해를 경유해서 시간의 존재론적인 위치를 찾아본다. 프리고진으로부터는 비평형 열역학이 보여주는 ‘혼돈으로부터의 질서’를 통해 비가역성이 모든 수준의 질서에 대해 근원이 되고 있다는 점을 끌어낸다. 화이트헤드로부터는 합생의 첫 번째 위상을 검토함으로써 시간의 비가역성을 끌어낸다. 이들로부터 우리는 시간이 비가역성을 가지는 개념적 추상이라는 생각에 이르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 비가역성의 토대는 영원이나 불멸이 아니라 생멸과 변화의 운동성이라는 점을 지적하게 될 것이다. 영원이나 불멸은 오직 생성과 소멸을 통해서 일별될 수 있는 것으로 변화와 운동의 형식으로 실현되는 것이다.

      • KCI등재

        박태원과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소외의 의미

        신용성(Shin, Yong-Seo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과학연구 Vol.0 No.56

        본고는 1930년대와 1960년대 모더니즘 소설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과 김승옥의 「서울 1964년 겨울」에 나타나는 소외의 의미를 고찰한다. 소외는 근대화와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비판이라는 인간 정신의 표출로서 등장한 개념이다. 산업화에 따른 개인의 문제를 단절, 소외 등이 주제가 되는 모더니즘으로 읽을 경우 모더니즘과 도시문학에서 소외는 핵심 키워드로 작동한다. 모더니즘 소설에서 개인의 이상 실현을 위한 현실 재현의 갈망이 소외의 형태로 나타나는데, 시간의 흐름은 대상의 재현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이때 재현의 비가역성이 개인을 세계와 분리시키고 대상의 본질을 은폐시킨다. 소외라는 주제는 개인의 물화와 파편화된 의식의 상징으로 작용하고, 의식체계 관계망의 해체와 함께 메타픽션 소설의 특질을 보여준다. 개인의 존재와 세계의 당위가 균열되는 지점에서 질서는 파괴되고, 소외의 결과로 나타난 개인주의적 사고가 의식 체계를 규정하는 세계와의 경계를 해체시킨다. 박태원과 김승옥의 소설에서 소외의 의미는 삶의 본질과 세계 인식 측면에서 공통적인 면을 보인다. 이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를 통해 모더니즘의 제한된 틀에서 소설의 의미를 추출하려는 연구시각 확장의 계기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alienation appearing in the 1930’s and 1960’s modernist novels. Park Tae-Won‘s 「One Day of Novelist Gu Bo」 and Kim Seong-Ok’s 「1964 Winter in Seoul」. Alienation is a concept that emerged as a manifestation of the human spirit of criticism of modernization and capitalistic societies. When reading individual problems due to industrialization as modernism with the themes of breakages, alienation, they function as key words. Alienation is not a concept that applies exclusively to modernism novels, and it can not be the epitome of urban novel subjects. This paper interest is in modernism and how the novel’s problem descriptions reveal the Alienation concepts. In a modernism novel, the desire to reproduce reality in the form of alienation appears, making it impossible to reproduce an object in time. At this time, the irreversibility of the reproduction separates the individual from the world and covers up the essence of the subject. The subject of alienation acts as a symbol of an individual’s reification and fragmented consciousness, and together with the deconstruction of network of the consciousness system, shows the hallmarks of a metafiction novel. Where the presence of individuals and the sollen of the world are torn apart, order is destroyed and individualism thought as a result of alienation disarms the world from defining the consciousness. The meaning of alienation from the novels of Park Tae-won and Kim Seong-ok shows a common aspect in the context of the essence of life and world recognition. Through the study of this paper confirmed that it could be a trigger for the study’s visual expansion to extract the meaning of the novel from its limited framework.

      • KCI등재

        제조업의 수출과 생산성 간 관계 분석: 사업체 단위 자료를 이용하여

        김원혁,이윤수,박진호 한국계량경제학회 2021 계량경제학보 Vol.32 No.3

        The Korean economy experienced a slowdown in both productivity growth and exports in the 2010s. Here we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exports and in the growth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Our empirical analysis of data from the Mine and Manufacturing Survey (2000 ∼ 2017) shows tha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xports and productivity. We find that the positive relationship was stronger during periods in which exports decreased. We find that while the decrease in exports may have slowed or reduced the growth in productivity, the increase in exports did not necessarily increase productivity since 2000. We focus on the irreversibility of inputs as a possible explanation of the asymmetric relationship between exports and productivity growth. Our results show that in the input-inelastic sectors in which inputs are not flexibly adjusted, productivity declined further as export growth decreased. 본 연구는 2000 ∼ 2017년 중 통계청 광업제조업조사의 사업체 자료를 이용하여 제조업의 수출과 총요소생산성 간 관계를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수출과 생산성이 양의 관계를 보이는 가운데, 수출 감소시 생산성 하락 효과가 수출 증가시 생산성 증대 효과보다 더 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살펴본 규모의 경제 및 학습효과 경로 외에 수출이 감소하는 경우에 생산성이 둔화될 수 있는 경로로서 요소투입의 비가역성에 주목하였다. 산출량이 감소할 때 생산에 투입되는 요소가 유연하게 조정되지 않아 요소투입의 비탄력성이 나타나는 업종에서는 수출 감소시 생산성이 둔화되는 정도가 더 크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2010년대에 나타난 수출 부진과 생산성 둔화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실증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스마트 팜 투자 사업의 실물옵션 분석: - 딸기・토마토 농가를 중심으로 -

        이동훈 국회입법조사처 2018 입법과 정책 Vol.10 No.2

        This study used a Real Option model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 of the net present value method and reflects uncertainty of market price and irreversibility of investment for economic evaluation of Smart Farm Investment Project. As a result, the minimum prices of strawberries and tomatoes were 2,888 won/100g and 5,263 won/kg, respectively, in order to secure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Smart Farm Investment Project. The effect of the major Agricultural products on the optimal investment critical value varied depending on the rate of price increase, price change rate, and discount rate. Both the investment cost and the production cost of Smart Farms have increased the optimal investment critical value. As the benefits of the project increase, the optimal investment critical value is reduced and investment in Smart Farms can be increased. This study will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to decision making about Smart Farm adoption, and it will be useful reference material for Government Policy Planning. 본 연구는 스마트 팜 투자 사업의 경제성 평가를 위해 순현재가치법(NPV)의 한계점을극복하고, 시장 가격의 불확실성과 투자의 비가역성을 반영한 실물옵션 모형을 이용했다. 분석 결과, 스마트 팜 사업의 경제성 확보를 위한 딸기, 토마토 최소 가격 기준은2,888원(100g)과 5,263원(1kg)이다. 주요 농산물의 최적투자임계점(p*)에 미치는 영향은 가격 증가율과 가격 변동률, 할인율 등에 따라 달라졌다. 스마트 팜 투자비용과 생산비용 모두 최적투자임계점(p*)을 상승시켰다. 사업의 편익이 증가함에 따라 최적투자임계점(p*)은 감소하여 적극적인 스마트 팜에 대한 투자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 팜 도입 여부를 판단하는 의사결정에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고 정부의 농정 지원 정책 수립에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유교문화 연구를 위한 프리고진 이론의 적용 가능성과 그 한계

        전종윤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1 철학·사상·문화 Vol.- No.35

        인류의 오랜 역사와 함께 발전한 과학은 우리 생활 속에 들어왔고, 우리의 문화로 스며들었다. 뉴턴의 중력 이론 역시 우리에게 기계론적 세계관을 제공하였고, 17세기부터 현재까지 문명사적·문화사적인 측면에서 그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양자이론과 상대성이론, 그리고 열역학 등은 뉴턴이 세운 자연법칙의 견고성을 흔들고 있다. 특히 프리고진은 비평형 열역학 이론으로 뉴턴의 고전 동력학을 비판할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새로운 진화론적 과학 패러다임을 주장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교문화를 연구하는 데 프리고진의 이론이 적용 가능한지를 철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프리고진의 산일구조와 자기조직화, 시간의 비가역성의 개념을 집중 조명했고, 이 개념들과 유교문화의 연계성을 살폈고 프리고진의 시간 이론의 한계성을 밝혔다. Science, which has developed along with the long history of mankind, has entered our lives and has permeated our culture. Newton’s theory of gravity also provided us with a mechanistic worldview, and has had its influence from the 17th century to the present in terms of civilization and cultural history. However, quantum theory, relativity, and thermodynamics shake the solidity of Newton’s laws of nature. In particular, Prigogine not only criticized Newton’s classical dynamics with the theory of non-equilibrium thermodynamics, but ultimately insisted on a new evolutionary science paradig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hilosophically analyze whether Prigogine’s theory is applicable to the study of Confucian culture. To this end, I focused on the concepts of the dissipative structures, self-organization, and irreversibility of time, and examined the connection between these concepts and the Confucian culture, and revealed the limitations of Prigogine’s theory of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