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교 경전 속 식물 연구 방법론

        민태영 한국불교학회 2015 韓國佛敎學 Vol.73 No.-

        The plant is a tool to heal the human mind, and is also inextricably linked to human life. Buddhism is a religion that values nature, including plants, so the plants are never away from the philosophy of Buddhism. Therefore, when we explore the plants which are listed in the Buddhist scriptures as botanical and show the meanings of plants as symbol, it is no longer botany but the religion and philosophy. On the other hand, it is enough to be called that the history of human culture is the history of symbol because human nature has been using symbol as an important factor of communication. The religion, for showing sacredness of God and the meaning of Bible clearly, has been using a variety of symbols such as pictures, patterns, and shapes and the Buddhism is not an exception. The plants are one of Buddhism symbols. It is important that the range setting of scriptures must take precedence in order for studying plants which are included in Buddhist scriptures properly because the range of scriptures is so vast and there are many other version of scriptures such as Treatise and commentary with another version. Furthermore, when the scripture was handed down to China, the translation process was not precise. The scripture was translated by confused way, for example, the criteria of translation are plural, transliteration and liberal translation. Even meaning was changed when the scripture was handed down into our country. So studying plants based on the comprehension of early scripture is very worthwhile as a new paradigm for understanding Buddhism precisely. If we recognize that the Buddhism has influenced our culture and lifestyle for a long time, it will be meaningful that this study can refocus and express its symbolis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rive the discussion about studying plants in Buddhist scriptures by cleaning up the meaning of study and suggesting a sample of the study. 식물은 정서적으로 인간의 마음을 치유하는 도구이며 인간의 생활과도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불교는 식물을 포함한 자연을 중시하는 종교이며 식물의 존재는 결코 불교적 철학의 범주에서 벗어나 있지 않다. 따라서 불교 경전에 수록된 식물들을 식물학적으로 탐구하여 식물들이 가진 상징성을 담아내면 그것은 식물학이 아닌 종교와 철학의 영역이 된다. 한편 인류문화의 역사는 상징의 역사라 할 만큼 의사 전달의 중요한 요소로서 다양한 것들을 상징으로 사용해 왔다. 종교에서도 성스러움을 드러내거나 의미를 명확히 전달하기 위해 그림과 형상물, 문양 등 다양한 상징물들을 이용해 왔으며 불교도 예외가 아니다. 불교 경전에서도 여러 가지 상징물을 사용해 왔는데 식물도 그 중 하나이다. 불교 경전 속의 식물 연구는 대상이 되는 경전이 방대하고, 논서와 주석서는 물론 이역본도 존재하므로 연구 경전의 범위 설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초기 경전이 중국으로 들어와 한역되는 과정은 음역과 의역이 모두 이루어졌고 심지어 한 단어 내에서도 음역과 의역이 동시에 이루어졌으며 우리나라에 들어오면서 의미까지 바뀌는 사례도 빈번하였다. 초기 경전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 경전 속 식물연구는 불교를 이해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가치가 있다. 불교가 오랜 역사와 전통 속에서 문화와 생활양식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쳐왔다는 점을 인식한다면 그 상징성을 재조명하고 발현시킨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고는 연구의 의미를 정리하고, 연구의 표본을 제시하여 경전 속 식물 연구에 관한 담론을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 KCI등재

        불교 경전 속 식물 연구의 의의와 활용 방안

        민태영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1

        In Buddhist scriptures, the plants appear a variety of ways that it related the Buddha’s life as well as representing the Buddhist doctrine and becoming an object of metaphor or symbol. So, I proposed that clarifying the plants in Buddhist scriptures and studying the plants Buddhist and botanically was new method for easy to understand Buddhist doctrine. Also, in a broad sense, Buddhism contains not only the Buddha’s word but culture, I emphasized that study plants in Buddhist scriptures should be used as a basis for development of Buddhist cultural products. Because still early stage, the research level is revealing name and properties of plants, arranging plants on the use of scriptures and doctrine and classifying resource plants of the Buddha’s birthplace-oriented plants. However, in the future, plants in Buddhist scriptures are made a judgment that it can be performing a role as enough materials of the Buddhist culture products as well as an axis of contents development. Especially if we have pay attention to aspect of resource plants through continuous research, besides a useful plant resources, we can provide Buddhist cultural things to see by utilization and plantation of plants based on Buddhist philosophy for landscaping around the temples. Also utilizing Buddhist theme park as the Buddhist culture space, expansion of the base of Buddhism and Buddhist culture can be expected. 불교 경전 속에는 붓다의 생애와 관련된 식물과 더불어 불교의 교리를 대변하거나 비유와 상징의 대상이 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식물이 등장한다. 따라서 불교 경전 속의 식물을 명확히 밝혀내어 불교적으로나 식물학적으로 규명하는 연구는 불교의 교리를 쉽게 이해하게 하는 새로운 방식이라는 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넓은 의미에서의 불교는 단순히 붓다의 말씀 뿐 아니라 문화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불교 경전 속 식물 연구를 불교 문화상품 개발의 기초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논지를 정리하였다. 아직은 관련 연구가 초기 단계여서 식물명과 특성을 밝혀내는 정도이고 교리와 경전에서의 활용 중심으로 식물들을 정리한다거나 붓다의 탄생지 식물들을 대상으로 자원식물학적으로 분류를 해놓은 정도에 머물고 있다. 그러나 향후 경전 속의 식물들은 불교 문화상품의 소재로서나 불교 콘텐츠 개발의 한 축으로서도 충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특히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자원식물학적인 측면으로도 관심을 기울인다면 유용한 자원식물로서 뿐 아니라 우리나라 사찰 주변의 조경에 있어서도 보다 불교 철학과 사상에 입각하여 식물을 활용하고 식재하여 불교적인 볼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불교문화 공간으로서의 불교 테마 공원 조성에 활용함으로써 불교와 불교문화의 저변 확대도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일반논문 : 불교 경전 속 식물 연구의 의의와 활용 방안

        민태영 ( Tae Young Mi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1

        불교 경전 속에는 붓다의 생애와 관련된 식물과 더불어 불교의 교리를 대변하거나 비유와 상징의 대상이 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식물이 등장한다. 따라서 불교 경전 속의 식물을 명확히 밝혀내어 불교적으로나 식물학적으로 규명하는 연구는 불교의 교리를 쉽게 이해하게 하는 새로운 방식이라는 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넓은 의미에서의 불교는 단순히 붓다의 말씀 뿐 아니라 문화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불교 경전 속 식물 연구를 불교 문화상품 개발의 기초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논지를 정리하였다. 아직은 관련 연구가 초기 단계여서 식물명과 특성을 밝혀내는 정도이고 교리와 경전에서의 활용 중심으로 식물들을 정리한다거나 붓다의 탄생지 식물들을 대상으로 자원식물학적으로 분류를 해놓은 정도에 머물고 있다. 그러나 향후 경전 속의 식물들은 불교 문화상품의 소재로서나 불교 콘텐츠 개발의 한 축으로서도 충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특히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자원식물학적인 측면으로도 관심을 기울인다면 유용한 자원식물로서 뿐 아니라 우리나라 사찰 주변의 조경에 있어서도 보다 불교 철학과 사상에 입각하여 식물을 활용하고 식재하여 불교적인 볼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불교문화 공간으로서의 불교 테마 공원 조성에 활용함으로써 불교와 불교문화의 저변 확대도 기대할 수 있다. In Buddhist scriptures, the plants appear a variety of ways that it related the Buddha`s life as well as representing the Buddhist doctrine and becoming an object of metaphor or symbol. So, I proposed that clarifying the plants in Buddhist scriptures and studying the plants Buddhist and botanically was new method for easy to understand Buddhist doctrine. Also, in a broad sense, Buddhism contains not only the Buddha`s word but culture, I emphasized that study plants in Buddhist scriptures should be used as a basis for development of Buddhist cultural products. Because still early stage, the research level is revealing name and properties of plants, arranging plants on the use of scriptures and doctrine and classifying resource plants of the Buddha`s birthplace-oriented plants. However, in the future, plants in Buddhist scriptures are made a judgment that it can be performing a role as enough materials of the Buddhist culture products as well as an axis of contents development. Especially if we have pay attention to aspect of resource plants through continuous research, besides a useful plant resources, we can provide Buddhist cultural things to see by utilization and plantation of plants based on Buddhist philosophy for landscaping around the temples. Also utilizing Buddhist theme park as the Buddhist culture space, expansion of the base of Buddhism and Buddhist culture can be expected.

      • KCI등재

        번역과 독창적 사유

        조성택(Cho, Sung-Taek ) 한국불교연구원 2009 불교연구 Vol.31 No.-

        Produced within the framework of a systematic state enterprise with its own translation theories and manuals, Buddhist texts in Classical Chinese have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odel cases of translation in terms of readability and accuracy. Concomitantly, it is generally assumed that the successful indigenization of the Indian tradition in East Asia was possible primarily through the readable and accurate translations of Indic texts into Classical Chines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st Asian Buddhism was, therefore, a result of a series of a long process including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wing to accurate translation, ‘assimilation into local tradition,’ and finally, ‘forming their own unique identity.’ However, upon careful examination of the Buddhist terms in Classical Chinese, we find that this was not always the case. From the lens of modern Buddhist scholarship, where research is often carried out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Buddhist texts such as Sanskrit, Pali, Classical Chinese, and Tibetan texts, we find that some of the Indic Buddhist terms are inadequately and erroneously translated into Classical Chinese. This paper argues that accurate translations were not essential nor a prerequisite condition for the successful formation of an East Asian Buddhist tradition. Rather East Asian Buddhism, in a sense, began from misunderstanding generated by inaccurate translation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for making East Asian Buddhism unique, as we will see, was due to the continuing circulation of texts in translation, accurate or not, without referring to the original Indic texts. Moreover, this is a remarkable inspiration to Humanities in Korea, where scholars tend to refer to original texts--not to Korean translations--in scholarly discussions and for teaching at the undergraduate and graduate levels. 일반적으로 동아시아불교의 형성에 관하여 역사학자들은 일련의 과정을 암묵적으로 전제하고 있다. 이질적 문화인 인도불교에 대한 이해와 수용으로부터 시작하여, 동화와 융합의 과정을 거쳐 철저한 ‘자기화’의 완성이라는 문명교류의 일반적 과정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동아시아불교의 정체성에 관해 일반적으로 동의하고 있는 ‘일련의 과정’을 좀 더 비판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번역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동아시아 불교는 이해가 아닌 ‘오해’에서 출발한다. 한역 경전은 정확한 의미의 전달이라고 하는 번역의 일차적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동아시아불교란 단순히 인도불교에 대한 ‘동아시아적 이해와 변용’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곧 한문불교이며 전적으로 번역경전에만 의존하여 형성된 불교이다. 동아시아불교의 특징을 담고 있는 천태, 화엄 그리고 그 정점에 있는 선불교 등은 철저하게 한역경전만을 통해 형성되고, 한문불교 체계 내에서만 그 의미구조가 이해되는 불교인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 KCI등재

        초기 대승불교 교단의 성립과 조직에 대한 一考 - 諸異說을 중심으로 -

        홍순우(신해) 한국정토학회 2013 정토학연구 Vol.20 No.-

        새로운 불교운동이라고 할 수 있는 대승불교의 출발이 기존 불교내의 주류였던 소승에 대한 비 판과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운동이었다는 것에 대해서는 별다른 이견이 없지만, 대승불교의 성 립과 배경 등에 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한 정설로 내려진 것은 없는 상태이다. 종교사를 고찰하기 위한 방법에는 대략 두 가지의 기법을 들 수 있을 것이다. 하나는 역사적인 변천사로서의 사실에 근거한 조사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종교사 변천동력인 사상사적 측면이 된다. 그러므로 불교사 자체의 전개과정 못지않게 불교교단사의 성립과 조직에 관한 연구는 과 거사의 규명과 함께 미래불교의 방향모색에도 유의미하기에 매우 중요시 여겨지고 있다. 특히 현재 공부하고 있는 대승경전, 그리고 초기의 대승불교라고 하는 것의 근원이 어디서부터 출발 하였는지에 대한 고찰 또한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주지하듯 대승불교의 시발점은 언제 어디서 누구로부터 시작되었는지에 대한 확실한 근거를 찾 을 수 없고, 다만 경전의 번역시점으로부터 거슬러 올라가는 방법 외에는 별다른 도리가 없다. 이것은 우리가 대승이라고 굳건히 믿고 있는 경전들이 부처님의 말씀이 아니라고 하는 ‘대승 비 불설’을 계기로 하여 대승불교의 성립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에 대한 활발한 연구로 대승 의 성립에 관한 여러 가지 설이 발표되어져 왔지만 현재까지는 히라가와 아키라의 견해로 가장 유력하게 좁혀진 상태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히라가와의 이러한 견해에 대하여 우에다와 사사키, 그리고 서양의 쇼펜과 폴 해리슨등에 의하여 비판이 되어지고, 그들은 새로운 학설을 피력하며 히라가와의 주장을 정면으 로 반박하였다. 대승불교에 있어서의 성립과정, 그리고 대숭의 ‘불설’과 ‘비불설’은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는 상 태이고, 앞으로도 계속 연구되어져야할 과제로 남아있다. 본 논문에서는 초기 대승불교의 성립과 조직에 관하여, 히라가와의 설을 비롯한 그 외 다른 여러 가지의 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There are not many objections that the start of Mahayana Buddhism, which can be called a new movement of Buddhism, was to criticize Hinayana as the major stream of the existing Buddhism as well as a movement to overcome Hinayana, but there is not yet an established theory on the establishment and the background of Mahayana Buddhism. There are about two possible ways to explore history of a religion. One is an investigation method based on the facts as a historical transition and the other is the historical aspect as the force behind of changes in the religion. Therefore, likewise to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history of Buddhism, the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the organization of the history of Buddhist divisions is seen as very important as it investigates the past history as well as meaningful in groping for the directions of future Buddhism. Especially, studying the Mahayana Buddhist Scriptures as the current subject of the author or the exploration on the early Mahayana Buddhism for its origin will be very meaningful. As widely shared, it is not possible to find a definite evidence as to the time and the place of the origin of Mahayana Buddhism, but to trace back from the time of scripture translation. In this sense, the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Mahayana Buddhism was started based on the theory of ‘Mahayana Buddhism as Heterodoxy’, which argues that the scriptures that we firmly believe in as Mahayana are not the words of Buddha. As active researches are carried out on this topic, there have been various theories published on the establishment of Mahayana, where the currently most influential theory is narrowed down to the views presented by Hiragawa Akira. However recently, with regards to such opinion of Hiragawa, Uedawa Sasaki as well as Chopen and Paul Harrison from the West have raised critiques and objections to the theory of Hiragawa by brining up new theories. In Mahayana Buddhism, 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the issue of whether Mahayana is the ‘original words’ of Budda or not is still in dispute, and they still remain as objects to be studied continuously in the future. This paper explored the establishment and the organization of earlier Mahayana Buddhism, covering the findings of Hiragawa and other various theories.

      • KCI등재

        새로운 경전의 출현: 샨(Shan) 불교의 lik long을 중심으로

        한재희(Han, Jae-Hee)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1 佛敎學報 Vol.- No.97

        그간 학계에서는 내용과 형식면에서 기존의 경전들과 상당 부분 결을 달리하는 대승경전의 정체성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어 왔다. 특히, 후대에 대승경전으로 분류되는 새로운 문헌들의 출현이 대승불교의 성립과 발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1) 하나의 로컬 텍스트가 그 지역의 문화와 기후, 언어 체계가 가진 특수성 등의 외부 요인들에 의해 변화해가며 경전으로서의 권위를 획득해가는 과정을 살펴보고, (2) 그것이 초기 대승경전 연구에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지 검토해 보았다. 샨(Shan) 불교의 릭 롱(lik long)은 테라와다 전통 내에서 자생적으로 발생한 불교 문헌군이다. 전문적인 훈련을 받은 재가자 그룹, 자레(zare)를 중심으로 전승되는 lik long 전통은, 필사본의 적극적인 제작이 요구되는 고온 다습한 기후환경과 샨족의 문자체계가 가진 한계를 보완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경전의 토착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이는 그동안 보수적인 불교로 여겨졌던 테라와다 전통이 가진 개방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보여주는 하나의 구체적인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더 나아가 우리가 어떻게 초기 대승경전의 등장을 이해할 것인가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how the texts classified as Mahāyāna sūtras acquired their position as canonical scriptures through an example of traditional poetic writings of Shan Buddhism, lik long (Great Manuscripts). The lik long manuscripts, written in the Shan language and script, are indigenous local texts in Shan Buddhism, which have been performed and transmitted mainly by a group of zares. The zare is a lay intellectual, who received professional training for copying, reading, and reciting the lik long manuscripts on various religious occasions in Shan Buddhist temples, including the practice of temple-sleeping, and as such, plays a pivotal role in the reservation and continuation of this religious-literary tradition. In this paper, I first briefly introduce the Shan Buddhism, its ethnical, cultural,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then investigate the lik long tradi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how the lik long manuscripts function as canonical scriptures in religious and cultural contexts. I also examine the possible background out of which this lik long tradition emerged and gradually developed.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it is argued that Shan Buddhists had to develop their own indigenous Buddhist literary tradition because their traditional writing system was incompatible between written and verbal language. It is also suggestted that the lik long tradition in Shan Buddhism is a concrete example that allows us to see the flexibility and openness to change in Theravāda tradition, which has often been regarded as conservative and therefore not likely to be changed.

      • KCI등재

        동남아시아 불교의 전통윤리와 그 근대적 적응 - 캄보디아 불교를 중심으로 -

        배상환 대각사상연구원 2011 大覺思想 Vol.15 No.-

        이 글은 동남아불교의 전통적 윤리관과 이에 대한 근대적 적응을 살 펴보았다. 동남아시아의 전통적 윤리체계는 일반적으로 불교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이로 인하여 대륙권의 동남아시아 대부분의 국가는 계율과 업설이라는 윤리전통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들 국가는 불교의 영향뿐만 아니라 힌두교의 영향으로 인하여 정령신앙 및 다양한 민간신앙이 존재 한다. 근대시기에 들어오면서 서구적 사상에 영향을 받은 동남아시아 국 가는 그들이 가지고 있던 전통적 윤리체계의 비합리성을 시인하고 이성 주의에 입각한 서구적 윤리체계를 수용하게 된다. 이들 국가 중에 대표 적인 국가가 바로 캄보디아이다. 이에 필자는 캄보디아 불교에 주목하여 전근대시기부터 근대시기까지 캄보디아의 전통적 윤리관이 되는 츠밥과 속담을 알아보았다. 또한 근대시기에 이르러 캄보디아는 천년왕국운동과 같은 사회 ․ 종교적 불안이 가중되면서 승가를 중심으로 경전근본주의의 윤리체계를 추구하게 되는데, 여기에는 태국 불교의 탐마윳 운동이 지대 한 영향을 주었음을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캄보디아 불교의 근대화와 윤리체계의 변형을 야기하는 근대적 불교교육기관과 출판물을 역할을 조망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필자는 캄보디아 승가 내에 존재하는 전통을 고수하는 머하니까이 종파와 근대주의를 지향하는 텀마윳 종파를 근대 주의에 입각하여 이들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특히 근대주의를 지향하였 던 승려 중에 쭈언 낫을 집중적으로 조망하여 캄보디아 불교의 근대화 를 탐구하였다. 쭈언 낫을 통한 캄보디아 불교의 근대화는 일반적으로 여러 방향에서 진행되었는데, 이 중에 윤리체계와 긴밀한 관련이 있는 근대불교운동을 알아보았다. 이에 더하여 전통적 윤리체계를 근대적으로 수용하고자 하였던 모습을 가띠로께의 출판을 통하여 논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raditional moral viewpoint of Southeast Asian Buddhism and modern adaptation for it. Traditional moral system of Southeast Asia was generally affected by Buddhist concept of karma and nirvana. Because those countries were affected by Buddhist thought as well as Hinduism, even the various animism and shamanism also existed. In modern age, Southeast Asian countries that were affected by western thought admitted the irrationality of traditional moral system and adopted western moral system based on rationalism. One of the representative countries is Cambodia. Therefore, I researched chbap and proverb that become the popular moral viewpoint of Cambodia in order to reconsider social morality by the pre-modern age by focusing on Cambodian Buddhism. As social and religious instability were accelerated by millennium movement, etc. in modern age, Cambodia searched for the moral system of sutra fundamentalism around sangha. Thammayut Movement of Thailand's Buddhism gave a significant effect to the system. Furthermore, I researched the roles of Buddhist educational institute and publication to cause modernization of Cambodian Buddhism based on modern age. I examined the role of Mohanikay School adhering to tradition and Thammayut School searching for modernism in the sangha of Cambodia on the basis of modernism. Especially, I scrutinized the modernization of Cambodian Buddhism by focusing on Chuon Nath, who was one of the priests searching for modernism. The modernization of Cambodian Buddhism was unfolded in various directions through Chuon Nath. Among them, I inspected the modern dharma movement, which is closely related with moral system. In addition, I demonstrated the figure to adopt traditional moral system in modern way through the publication of Gatiloke.

      • KCI등재

        불교경전에 나타난 신심과 수행

        강기선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2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take a look at 「Faith and Asceticism Displayed in the Buddhist Scriptures」. Buddhism is religion that values the enlightening from faith and asceticism. While other religions value the salvation by the absolute power, Buddhism does not depend on other beings but has its religious characteristics in pursuing the enlightening in Buddhism by directly disclosing one’s own mind with the pristine faith and asceticism with its own volition. This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e pristine faith would be an important driving force for working toward the next phase in all process of the asceticism, and the faith would be the commencement to accomplish the state of enlightenment simultaneously with reaching to the attainment of Buddhahood with the spiritual awakening for its ultimate finale. For the methods that could most easily practice for such faith and asceticism in real life, there are prayer and Doksong (reading or memorizing Scriptures), Gangyeong (silent reading of a sutra), Sagyeong (copying of Scriptures), Juryeok (the power of the earnest chanting of mantra or dharani.) and others, and the one that has to be the prerequisite for this asceticism method would be the pristine faith and correct asceticism. All Buddhist Scriptures are well qualified as the treasures that contain the magnificent Jaryang (food; meaning to contain great deed and benevolence) for connotation and description to edify other people and Doksong (reading or memorizing Scriptures) with the correct asceticism and self-discipline. And through the Doksong (reading or memorizing Scriptures) of various Scriptures and the asceticism of connotated and described asceticism, it would be the fundamental basis of the 5 types of paramitas when blending in the practices of Jari (seeking for individual profit) in seeking for enlightenment on the top and altruism with edifying all living creatures on the bottom. And this 5 paramitas is completed as the last wisdom paramitas asceticism, and this would be constituted as the 6 paramitas. Therefore, various faith and asceticism appearing in the Buddhist Scriptures as shown in this article would have its important value in the aspect that it would have the role as the guideline for us to break away from the Samdok (origin of all agonies and sufferings in life; greed, rage and foolishness) to enter into the pristine state of enlightenment. 본 논문은 「불교경전에 나타난 신심과 수행」에 대하여 살펴본 글이다. 불교는 신심과 수행으로 깨침을 중시하는 종교이다. 다른 종교에서 절대자의 구제를 중시함에 비해 불교는 다른 사람을 의지하지 않고, 자력(自力)의 청정한 신심(信心)과 수행(修行)으로 자신의 마음을 직접 밝혀 깨침을 추구한다는 것이 불교의 종교적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모든 수행의 과정에서 깨끗한 신심은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위한 중요한 원동력이 되고, 또 신심은 깨달음의 경지(佛果)를 이루기 위한 시작임과 동시에 궁극이므로 발심해서 성불까지 이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신심과 수행을 생활 속에서 가장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수행방법은 기도와 독송, 간경, 사경, 주력 등이 있는데, 반드시 이들 수행법의 전제가 되어야 하는 것이 바로 깨끗한 믿음(淨信)과 바른 수행(正行)이다. 불교의 모든 경전은 자력(自力)과 올바른 수행으로 하는 수지 독송과 다른 사람을 교화하기 위한 해설․서사를 위한 훌륭한 자량(資糧 양식)이 들어있는 보고(寶庫)로서 손색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경전을 수지 독송하고, 해설서사하는 수행을 통해 위로는 깨달음을 구하는(上求菩提) 자리(自利)와 아래로는 중생을 교화하는(下化衆生) 이타(利他)를 합일시켜 나갈 때, 5가지 문인 5바라밀이 기본적인 토대가 된다. 그리고 이 5바라밀은 마지막 지혜바라밀 수행으로써 완성되는데, 이것이 바로 6바라밀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 살펴본 불교경전에 나타난 다양한 신심과 수행은 결국 우리가 삼독으로부터 벗어나 깨끗한 깨달음의 경지에 들어갈 수 있게 해주는 지침서로써의 역할을 해준다는 측면에서 중요하다고 하겠다.

      • KCI등재

        초기경전과 대승경전의 和諍論 『불교해석학 연구』의 自註, 혹은 補論

        김호성(Ho Sung, Kim) 보조사상연구원 2010 보조사상 Vol.34 No.-

        초기불교와 대승불교의 관계를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이 문제를 나는 초기경전과 대승경전을 바라보는 관점의 관계로 치환해서 논술하였다. 근래 우리 학계에서 행해진 ‘불설과 비불설’ 논쟁 역시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의 불일치에서 초래한 것으로 본다. 이 논문 역시 그러한 문제에 대한 나름의 해답을 제공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종래의 ‘불설과 비불설’ 논쟁 등은 초기경전과 대승경전의 성립을 둘러싼 역사적 측면의 접근이라 한다면, 이 글은 역사적 입장에 서지 않는다. 오히려 역사적 측면의 논의는 가능한 배제하고, 철학적 내지 해석학적 입장에서 이 문제를 다루어 보고자 하였다. 기실 이러한 언급은 이미 나의 『불교해석학 연구』를 통하여 표명한 바 있으나, 그 책의 주된 초점이 초기경전과 대승경전을 바라보는 관점에 있는 것이 아니었으므로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이에 이 글을 통하여 바로 그러한 점을 집중적으로 부각하여 재조명코자 하였다. 미처 『불교해석학 연구』에서는 활용하지 못하였던 다양한 방법론을 활용하여 보았다. 예를 들어서 자크 데리다의 해체철학, 보르헤스의 단편소설에서 다루어진 상호텍스트성, 롤랑 바르트의 ‘저자의 죽음’, 義相의 ‘저자의 부재’, 이케미 쵸류(池見澄隆)의 심성사적 방법론,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의 민예미학 등의 입장을 원용하여 아함/니카야와 대승경전은 공히 불설이라 볼 수도 있고, 공히 비불설이라 볼 수도 있음을 논하였다. 결국은 초기경전과 대승경전 사이에는 어떠한 가치의 우열도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전개해 감에 있어서, 나는 인도철학사의 저술전통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前主張을 먼저 내세운 뒤에 그에 대하여 비판 하면서 자신의 正義를 제기하는 글쓰기 방식을 채택하였다. How should we understand the Mahāyāna sūtras? The focus of the problem with the Mahāyāna sūtras is placed on the absence of the authors. while, the sutras of Early Buddhism are believed to have the 'original' words of the Buddha himself and, therefore, have an author. For this reason, the sutras of early Buddhism are considered to be more trustworthy and authoritative than the Mahāyāna sūtras which is regarded as relatively unreliable. I criticized this claim(pūrvapakṣa) by presenting my own philosophy(siddhānta) and tried to suggest possible solutions to the six important points at issue I'm going to bring up. The first point is over the assertion that the Mahāyāna sūtras have no actual authors while the sutras of Early Buddhism do. According to J. Derrida, neither of them none the more has authors although the names have been written on the covers. He believes that creating a proper noun is the same as its elimination or obliteration. If anyone assumes that the author exists just by looking at the marking of an author, it would just be an illusion of looking at a proper noun as an exposure of a substance. From the standpoint of causality(paṭiccasamuppāda) explained in the sūtras of Early Buddhism, a proper noun do not exist at all. The second point I'm trying to mention is that, in matter of the claim that the authors of the Māhāyana sūtras have brought down an unnecessary disturbance by creating them, it was inevitable. Because time and historicity have to intervene as shown in the philosophical hermeneutics of Heidegger and Gadamer. Looking further at Jorge Luis Borges' novel, "Pierre Menard, Author of the Quixote", people claim that, no matter how well we copy Āgama or Nikāya, it should be understood accordingly in the context of space and time. They could, therefore, become very different texts from the originals. The Mahāyāna sūtras are the literation of the new understanding. With the third claim which argues that it is wrong to call the Mahāyāna sūtras the original teaching of the Buddha, I mean to prove otherwise with the example of Borges' another novel "Tl†n, Uqbar, Orbis Tertius" that "all books are anonymous and written by only one person." Here, we can neither assume that "one person" as God nor as an actual being. In fact, no books have authors. The names of the authors are only needed as an expedient or a hypothesis. This is how only one name is put up as an author. In the same context, 'the Buddha' is called upon to be the author in both the sutras of Early Buddhism and the Mahāyāna Buddhism. They become to be called Buddha's Āgama and Buddha's Mahāyāna. In the fourth, I criticized from four different perspectives the on-going argument that the sūtras of Early Buddhism are indeed the Buddha's original words and have higher values over those of the Mahāyāna Buddhism. 1) Āgama or Nikāya does not explain the original words of Buddha, but 'the original words X' which originally existed regardless of the fact that the Buddha renounces the world. The Mahāyāna sūtras are also an interpretation of this original words X. 2) It's a well known fact appeared in both Āgama and Nikāya that the founder of the original words X is not the Buddha. There were 6 Buddhas of the past including Vipaśyin Buddha of 91 eons ago. Assuming that the theory of 6 Buddhas of the past has been added later, it proves that the founder of the original words X existed even before the Buddha. 3) The Buddha and Mahākāśyapa are equal as founders of the original words X. From that fact, it could be said that the Buddha not only approved Mahākāśyapa's enlightenment of the original words X, but he, at the same time, was approved by Mahākāśyapa as well. Be

      • KCI등재

        종교 경전의 성상적 차원과 수행적 차원

        유요한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4 문학과종교 Vol.19 No.3

        많은 학문적인 경전 연구들은 경전의 내용과 의미를 중심으로 하는 의미론적 차원에만 초점을 맞추어온 반면, 경전 자체의 성스러운 지위를 강조하는 성상적 차원이나 의례를 통해 신자에게 의미 있는 결과를 유발하는 경전의 수행적 차원은 간과해왔다. 그러나 경전을 읽고 쓸 능력이 없는 신자들이 다수였던 근대이전 종교들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정작 많은 종교인들의 삶에 경전의 내용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경전 본문에만 집중하는 연구만 수행한다면, 윌프레드 캔트웰 스미스가 지적한 대로 경전이 종교인들에게 어떤 의미가 있고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보지 못하게 된다. 이 논문은 종교인들이 경전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방식, 나아가 경전을 이용하는 방식들을 밝힘으로써 경전의 성상적 차원과 수행적 차원을 설명한다. 많은 불교인들은 읽거나 쓰지 않고도 단지 불경을 소유하는 것만으로 경전의 성스러운 지위를 인식했으며, 한국 개신교 신자들은 성경을 읽는 의례를 통해 읽은 내용과 관련 없는 종교적인 체험을 했다. 경전의 성상적 차원과 수행적 차원은 종교인들이 경전을 인식하고 수용하는 다양한 방식들을 밝힘으로써 분명히 드러난다. Most scholarly works on religious scriptures have paid attention to their semantic dimension, overlooking the iconic dimension which stands for the sacred status of the physical text and the performative dimension which is ritualized by performing the text. However, most of adherents of pre-modern religions could not read or write scriptures, for they did not mind the text’s contents which play a critical role in the lives of many religious people. Rather than focusing on the semantic meaning of the text, this article thus examines the iconic and performative dimensions of scriptures by articulating how religious people recognize, accept, and appropriate scriptures. Innumerable lay Buddhists have recognized the sacred status of Buddhist sutras by possessing scriptures without reading or writing them. Bible reading rituals of Korean Protestantism have stimulated religious experiences not directly linked to the meaning of what is re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