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과 개복 위절제술의 비교 분석

        임정택,김병식,정오,김지훈,육정환,오성태,박건춘,Lim, Jung Taek,Kim, Byung Sik,Jeong, Oh,Kim, Ji Hoon,Yook, Jeong Hwan,Oh, Sung Tae,Park, Kun Choon 대한위암학회 2007 대한위암학회지 Vol.7 No.1

        목적: 정기 검진을 통한 위암의 조기 발견으로 조기위암은 늘어나는 추세이며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맞춤 수술로서 국내에서도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본 교실에서도 2004년 4월부터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을 시작하였으며, 2005년 1년간 122예의 복강경보조 위절제술을 시행하여 임상병리적 특징과 수술결과에 대하여 개복술과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교실에서 조기위암으로 2005년도에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을 시행한 119예와 2005년도 1~3월까지 개복 위절제술을 받은 126예를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특징, 수술 후 경과, 합병증을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양 군 간에 환자들의 연령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복강경군에서 여성의 비율이 더 많았고 신체비만지수가 더 높았다. 수술에 소요된 평균시간은 복강경군이 더 오래 걸렸으며(239.2 vs 123.3분, P<0.001), 첫 번째 가스배출은 복강경군에서 빨랐고(3.05 vs 3.70일, P<0.001), 식이의 진행도 복강경군에서 빨랐다(물: 2.86 vs 3.22일, 미음: 3.87 vs 4.19일, 죽: 4.84 vs 5.26일, P<0.001). 합병증 발생은 복강경군에서 4.9%로 개복군의 9.5%보다 적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고(P=0.179), 퇴원도 복강경군에서 빨랐으나(7.73 vs 8.25일)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229). 절제된 림프절의 수는 복강경군에서 평균 23.9개, 개복군에서는 23.1개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63). 복강경 수술 중 개복술로 전환 한 예와 양 군 모두 합병증으로 재수술 한 경우와 사망한 경우는 없었다. 결론: 복강경보조 위절제술이 개복술에 비해 수술 시간이 길지만, 기타 식이의 진행이나 획득한 림프절의 수나 합병증의 발생 등에서 우세하거나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복강경보조 위절제술도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는 술식이며, 종양학적으로 용인될 수 있다고 생각되나, 표준수술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무작위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Purpose: There has been increased the number of early gastric cancer and laparoscopy-assisted gastrectomy (LAG), due to early detection through mass screening program. We started the LAG in April 2004 and performed 119 cases of gastric cancer in 2005, so we report a surgical outcome compared with that of open gastrectomy (OG). Materials and Methods: 119 patients underwent LAG in 2005, and for open group, 126 patiens of early gastric cancer were selected sequentially from January 2005 to March 2005. We compared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postoperative courses and complications between two groups.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ge, a length of hospital stay, distal resection margin and a number of retrived lymph nodes. The operation time was longer in LAG group (239.2 vs 123.3 mins, P<0.001) and a diet progression was faster in LAG group (first flatus: 3.05 vs 3.70 days, SOW: 2.86 vs 3.22 days, liquid diet: 3.87 vs 4.19 days, soft diet: 4.84 vs 5.26 days, P<0.001). But there was no difference statistically in postoperative discharge date (7.73 vs 8.25 days, P=0.229). The additional requirement of analgesic injection was less frequent in LAG group (2.97 vs 4.92 times, P<0.001). The harvested lymph nodes were similar in both groups (23.9 vs 23.1, P=0.563). A complication rate was lower in LAG group (4.9% vs 9.5%),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P=0.179). There was no mortality in both groups and no conversion to open gastrectomy in the LAG group. Conclusion: LAG can be performed safely and accepted in view of curative procedure in treatment of early gastric cancer. But we need the follow up of long-term period to evaluate the survival rate and recurrence, and a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study should be done to establish that LAG will be a standard operation for early gastric cancer.

      • 복강경 보조 위 전절제술-연속된 77예의 경험

        이중호,송재원,오성진,김성수,최원혁,정재호,형우진,최승호,노성훈,Lee, Joong-Ho,Song, Jye-Won,Oh, Sung-Jin,Kim, Sung-Soo,Choi, Won-Hyuk,Cheong, Jae-Ho,Hyung, Woo-Jin,Choi, Seung-Ho,Noh, Sung-Hoon 대한위암학회 2007 대한위암학회지 Vol.7 No.4

        목적: 조기 위암 환자에 대한 복강경 보조 원위부 위절제술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치료의 하나로 점차 많이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복강경 보조 위 전절제술은 위아전절제술에 비해 술기상의 복잡성 등의 이유로 그 빈도가 높지 않다. 이에 저자 등은 본 교실에서 시행한 복강경 보조위 전절제술의 초기 경험을 분석하여 술기상의 가능성과 안정성 및 수술 결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에서 조기 위암으로 2003년 7월부터 2007년 6월까지 한 명의 술자에 의해 수술 전 조기위암으로 진단받고 복강경 보조 위 전절제술과 D1+$\beta$ 림프절 절제술 및 Roux-en-Y 재건술을 시행받은 7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특징, 수술 후 경과, 합병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61세였고 남자와 여자의 수는 각각 49명, 28명이었다. 평균 수술시간은 210분(범위 100-400)이었고 각 수술 시간은 수술 경험이 많아짐에 따라서 점 차 감소하였다. 수술 후 13예(16.9%)에서 합병증이 발생하였고 사망한 예는 없었다. 장관 운동은 평균 수술 후 3.2일에 회복되었고, 수술 후 연식을 시작한 시기는 4.4일, 수술 후 평균 재원일은 10일이었다. 위의 절제연은 근위부 원위부 각각 평균 3.1 cm, 10.7 cm로 충분한 절제연을 확보하였으나 한 예에서 원위부 절제연에 현미경적 암세포의 침윤이 있었다. 림프절 절제 범위는 D1+$\alpha$가 2예(2.6%), D1+$\beta$가 55예(71.4%), D2가 20예(26.0%)이었고 평균 절제된 림프절 수는 41.8개이었다. 결론: 복강경 보조 위 전절제술의 초기 경험을 분석하였을 때 조기위암의 치료에 있어 효과적이고 안전한 술식임을 확인하였다. 그 적용 범위의 확대를 위해서는 앞으로 복강경 보조 위 전절제술과 개복 수술의 전향적인 비교 연구와 장기 생존율 등 종양학적인 치료결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he number of laparoscopy assisted distal gastrectomies (LADG) is gradually increasing for the treatment of early gastric cancer (EGC) patients as a surgical modality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However, there are few reports on laparoscopy-assisted total gastrectomy (LATG), mainly because this procedure is performed relatively infrequently, and the procedure is more complicated than LADG.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technical feasibility, safety, and surgical results of LATG with lymphadenectomy through a review of our experienc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ly 2003 to June 2007, 77 LATG with Roux-en-Y esophagojejunostomy were performed for patients with a preoperative diagnosis of EGC. The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and surgical outcomes were analyzed. Results: There were 49 males and 28 females in the study with a mean age of 61 years (range $30{\sim}85$ years). The mean operation time was 210 minutes (range $100{\sim}400$ minutes) and the operation time was gradually decreased as the case numbers increased. There were 13 operative morbidities (16.9%) and no operative mortalities. The restoration of bowel motility was noted at 3.2 postoperative days; a soft diet was started at 4.4 postoperative days and the duration of hospital stay was 10 days. There were 20 mucosal lesions, 32 submucosal lesions, 15 proper muscle lesions, 7 subserosal lesions and 3 serosal lesions. A total of 20 patients were treated by D2 lymph node dissection, 55 patients were treated by D1+$\beta$ lymph node dissection, and two patients were treated by D1+$\alpha$ lymph node dissection. The mean number of retrieved lymph nodes was 42 (range $11{\sim}86$). Lymph node metastases were noted in 12 patients.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d LATG could be applied safely and effectively for patients with EGC. However, a prospective study comparing laparoscopy-assisted versus open gastrectomy for short-term and long-term surgical outcome is needed.

      • 개복 위절제술에 경험이 풍부한 술자에 의한 복강경 보조하 원위부 위절제술의 Learning Curve

        김지훈,정영수,정오,임정택,육정환,오성태,박건춘,김병식,Kim, Ji-Hoon,Jung, Young-Soo,Jung, Oh,Lim, Jeong-Taek,Yook, Jeong-Hwan,Oh, Sung-Tae,Park, Kun-Choon,Kim, Byung-Sik 대한위암학회 2006 대한위암학회지 Vol.6 No.3

        목적: 조기위암 치료에 있어서 복강경 위암 수술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정착하고 있다. 기존에 시행하고 있던 개복에 의한 위절제술에 익숙한 경험 많은 외과의사들은 복강경 위암 수술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기술적으로 습득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음을 느끼며 복강경 수술에 소극적 자세를 취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저자 등은 개복 위절제술에 경험이 풍부한 외과의사에 의한 복강경 위절제술의 learning curve를 결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4월부터 2006년 3월까지 한 명의 술자에 의하여 수술전 조기 위암(cT1N0)으로 진단 받고 복강경 보조하 원위부 위절제술(LADG) 및 $D1+{\beta}$ 림프절 곽청을 시행 받은 6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복강경 위절제술 시행을 위하여 전문팀을 구성하였다. 대상 환자를 6명씩 한 그룹으로 총 10그룹(마지막 그룹은 8명으로 구성함)으로 나누어 각 그룹의 평균 수술시간을 비교하여 learning curve 극복 전후의 나이, 성별, 수술 후 합병증, 절개창의 길이, 수혈유무, 적출된 림프절 개수, 수술 전 후 혈색소 변화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수술 시간을 분석한 결과 여섯 번째 그룹 (31st case)부터 수술 시간의 Plateau를 보였다. 이에 저자들은 learning curve 극복시점을 30th case (7개월)로 간주하였으며 극복 전후 집단 간의 평균 수술시간을 분석하였을 때 각각 $239.0{\pm}69.7$분과 $170.0{\pm}32.6$분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양 군 간 평균나이, 성별, BMI, 수술 전후의 혈색소 수치변화, 적출된 림프절 개수 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절개창의 길이, 수혈유무, 수술 후 합병증 유무도 양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저자들의 LADG learning curve 극복은 30예(7개월)로 다른 보고보다 일찍 도달할 수 있었다. 이는 개복 수술의 풍부한 경험, 전문 수술팀 구성, 그리고 단기간 집중적인 시술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laparoscopy assisted gastrectomy has been increasingly reported as the treatment of choice for early gastric cancer. However, expert surgeons, who have performed a conventional open gastrectomy for a long time, tend to have a negative attitude toward laparoscopic procedur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learning curve of a laparoscopy assisted distal gastrectomy (LADG) for a surgeon expert in performing an open gastrectomy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have an effect on a LADG.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April 2005 and March 2006, 62 patients underwent a LADG with D1+beta lymph-node dissection. The 62 patients were divided into 10 sequential groups with 6 cases in each group (the last group was 8 cases), and the time required to reach the plateau of the learning curve was determined by examining the average operative times of these 10 groups. Other factors, such as sex, BMI, complications, transfusion requirements, the number of retrieved lymph nodes, and change of postoperative hemoglobin level, were also analyzed. Results: With the $5^{th}$ group (after 30 cases), the operative time reached a plateau (average: 170 min/operation). The differences between before the $30^{th}$ case and after the $31^{st}$ case with respect to changes in the postoperative hemoglobin level, the number of retrieved lymph nodes, the transfusion requirements, and the complications rate were not significant. Conclusion: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operative time, experience with 30 LADGs in patients with early gastric cancer is the point at which the plateau of the learning curve (7 months) is reached. Abundant experience with a conventional open gastrectomy and a well-organized laparoscopic surgery team are important factors in overcoming the learning curie earlier.

      • 위암에서 복강경보조 원위부 위아전절제술 및 비장합병절제술 좌위동맥의 보존 증례 보고

        이상림,박종민,한상욱,조용관,Lee, Sang-Rim,Park, Jong-Min,Han, Sang-Uk,Cho, Young-Kwan 대한위암학회 2007 대한위암학회지 Vol.7 No.1

        Usually in the subtotal gastrectomy, the left and the right gastric arteries, as well as the left and the right gastroepiploic arteries are ligated. Thus, to avoid a blue stomach surgeons preserve the spleen and the short gastric arteries. When a radical subtotal gastrectomy with splenectomy is performed, meticulous caution is necessary; otherwise, the subtotal gastrectomy might have to be changed to a total gastrectomy to prevent a blue stomach. We report the case of a 67-year-old woman who had distal stomach cancer with a splenic solitary mass, for which splenic meatastasis could be excluded. We planned and performed a laparoscopy-assisted radical subtotal gastrectomy with splenectomy as the diagnostic and therapeutic option. In this case, to avoid a remnant stomach infarction or total gastrectomy we saved the left gastric artery and vein with clearing perivascular soft tissue, lymphatics, and lymph nodes. Thus the radical therapeutic goal was reached, and serious complications were avoided. 원위부 위암으로 위아전절제술을 시행할 때는 잔위의 경색을 방지하기 위해 비장을 보존하여 단위동맥으로 하여금 잔위의 혈액공급을 할 수 있게 한다. 위아전절제술을 하던 중 비장손상을 받아 지혈을 위해 계획에 없던 비장절제술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blue stomach을 방지하기 위해 종종 위전절제술로 전환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본원에서는 2개월간의 소화불량을 주소로 내원한 67세 여자환자가, 내시경상 원위부 위암의 소견과 함께 술 전 복부 CT에서 비장의 전이를 확실하게 배제할 수 없는 1.5 cm 크기의 혈관종 의증 소견이 보여 확진을 위한 검사 및 치료의 목적으로 원위부 위아전절제술 및 비장절제술을 계획하였으며 복강경보조로 좌위동맥과 정맥을 보존하면서 림프절 곽청을 포함한 근치적 위아전절제 및 비장 절제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다. 수술 후 잔위 경색을 비롯한 합병증 없이 만족스러운 경과를 보였으며 최종적으로 비장의 종양은 림프관종이었다. 병기는 T1 (sm1) N0 (0/26) M0으로 1aI기로, 현재 외래 추적 관찰 중이다.

      • 복강경 보조 유문부보존 위절제술의 초기 경험: 복강경 보조 원위부 위절제술 후 Billroth-I 재건술과의 비교

        박종익,진성호,방호윤,채기봉,백남선,문난모,이종인 대한위암학회 2008 Journal of gastric cancer Vol.8 No.1

        목적: 유문부보존 위절제술(pylorus-preserving gastrectomy, PPG) 은 유문륜을 보존하여 잔위의 배출기능을 보존하고 담즙 역 류를 방지할 수 있는 기능 보존 수술법으로 조기위암 치료 에 적용되고 있다. 저자들은 복강경 보조 유문부보존 위절제 술(laparoscopy-assisted pylorus-preserving gastrectomy, LAPPG)의 초기 경험을 LADG 후 Billroth-I 재건술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1월부터 2007년 9월까지 원자력병 원 외과에서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을 시행 받은 39명의 조기위암 환자 중 LAPPG (n=9)와 LADG 후 Billroth-I 재건술 (n=18)을 시행 받은 2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양 군 간의 임상병리학적 변수를 비교하였다. 저자들은 LAPPG 시행 중 유문하동맥, 우위동맥, 미주신경 간지, 유문지 및 복강지를 보존하였으며, 림프절 절제술은 우위동맥 림프절 (No. 5)을 제외한 D1+β술식을 시행하였고, 유문륜 상방 3 ∼4 cm에서 원위부 위절제를 시행하였다. 결과: LAPPG을 시행 받은 환자 9명의 평균 연령은 59.9±9.4 세였으며 남녀 성비는 1.3:1.0 (남자 5명, 여자 4명)이었고, LADG 후 Billroth-I 재건술을 시행 받은 환자 18명의 평균 연령 은 64.1±10.0세였으며 남녀 성비는 2.6:1.0 (남자 13명, 여자 5명)이었다. LAPPG 군과 LADG 후 Billroth-I 재건술을 시행받은 군에서 절제된 림프절의 개수는 각각 28.3±11.9개, 28.1±8.9개, 수술 시간은 각각 269.0±34.4분, 236.3±39.6분, 술 중 출혈량은 각각 191.1±85.7 ml, 218.3±150.6 ml, 술 후 첫 가스 배출은 각 각 3.6±0.9일, 3.5±0.8일에 있었고 술 후 첫 유동식은 각각 5.1±0.9일, 5.1±1.7일에 섭취하였고 술 후 재원 기간은 각각 10.1±4.0일, 9.2±3.0일로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 었다(P>0.05). 술 후 합병증은 LAPPG 군에서 위저류증 1예와 창상 장액종 1예가 발생하였고, LADG 후 Billroth-I 재건술을 시행 받은 군에서는 좌외측간엽경색 1예가 발생하였다. 결론: 조기위암의 치료에 있어서 LAPPG는 기능 보존 수술 법으로 적용 가능하며, 적절한 적응증을 사용하면 임상종 양학적 측면에서도 LADG 후 Billroth-I 재건술과 동등한 결과 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 복강경 보조 유문부보존 위절제술의 초기 경험: 복강경 보조 원위부 위절제술 후 Billroth-I 재건술과의 비교

        박종익,진성호,방호윤,채기봉,백남선,문난모,이종인,Park, Jong-Ik,Jin, Sung-Ho,Bang, Ho-Yoon,Chae, Gi-Bong,Paik, Nam-Sun,Moon, Nan-Mo,Lee, Jong-Inn 대한위암학회 2008 대한위암학회지 Vol.8 No.1

        목적: 유문부보존 위절제술(pylorus-preserving gastrectomy, PPG)은 유문륜을 보존하여 잔위의 배출기능을 보존하고 담즙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기능 보존 수술법으로 조기위암 치료에 적용되고 있다. 저자들은 복강경 보조 유문부보존 위절제술(laparoscopy-assisted pylorus-preserving gastrectomy, LAPPG)의 초기 경험을 LADG 후 Billroth-I 재건술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1월부터 2007년 9월까지 원자력병원 외과에서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을 시행 받은 39명의 조기위암 환자 중 LAPPG (n=9)와 LADG 후 Billroth-I 재건술(n=18)을 시행 받은 2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양 군간의 임상병리학적 변수를 비교하였다. 저자들은 LAPPG 시행 중 유문하동맥, 우위동맥, 미주신경 간지, 유문지 및 복강지를 보존하였으며, 림프절 절제술은 우위동맥 림프절(No. 5)을 제외한 D1+$\beta$술식을 시행하였고, 유문륜 상방 $3{\sim}4\;cm$에서 원위부 위절제를 시행하였다. 결과: LAPPG을 시행 받은 환자 9명의 평균 연령은 $59.9{\pm}9.4$세였으며 남녀 성비는 1.3 : 1.0 (남자 5명, 여자 4명)이었고, LADG 후 Billroth-I 재건술을 시행 받은 환자 18명의 평균 연령은 $64.1{\pm}10.0$세였으며 남녀 성비는 2.6 : 1.0 (남자 13명, 여자 5명)이었다. LAPPG 군과 LADG 후 Biliroth-I 재건술을 시행받은 군에서 절제된 림프절의 개수는 각각 $28.3{\pm}11.9$개 $28.1{\pm}8.9$개, 수술 시간은 각각 $269.0{\pm}34.4$분, $236.3{\pm}39.6$분, 술 중 출혈량은 각각 $191.1{\pm}85.7\;ml$, $218.3{\pm}156.6\;ml$, 술 후 첫 가스 배출은 각각 $3.6{\pm}0.9$일, $3.5{\pm}0.8$일에 있었고 술 후 첫 유동식은 각각 $5.1{\pm}0.9$일, $5.1{\pm}1.7$일에 섭취하였고 술 후 재원 기간은 각각 $10.1{\pm}4.0$일, $9.2{\pm}3.0$일로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술 후 합병증은 LAPPG 군에서 위저류증 1예와 창상 장액종 1예가 발생하였고, LADG 후 Biliroth-I 재건술을 시행 받은 군에서는 좌외측간엽경색 1예가 발생하였다. 결론: 조기위암의 치료에 있어서 LAPPG는 기능 보존 수술 법으로 적용 가능하며, 적절한 적응증을 사용하면 임상종양학적 측면에서도 LADG 후 Billroth-I 재건술과 동등한 결과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Pylorus-preserving gastrectomy (PPG), which retains pyloric ring and gastric function, has been accepted as a function-preserving procedure for early gastric cancer for the prevention of postgastrectomy syndrome. This study was compared laparoscopy-assisted pylorus-preerving gastrectomy (LAPPG) with laparoscopy-assisted distal gastrectomy with Billroth-I reconstruction (LADGB I).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November 2006 and September 2007, 39 patients with early gastric cancer underwent laparoscopy-assisted gastrectomy in the Department of Surgery at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9 of these patients underwent LAPPG and 18 underwent LADGBI. When LAPPG was underwent, we preserved the pyloric branch, hepatic branch, and celiac branch of the vagus nerve, the infrapyloric artery, and the right gastric artery and performed D1+$\beta$ lymphadenectomy to the exclusion of suprapyloric lymph node dissection. The distal stomach was resected while retaining a $2.5{\sim}3.0\;cm$ pyloric cuff and maintaining a $3.0{\sim}4.0\;cm$ distal margin for the resection. Results: The mean age for patients who underwent LAPPG and LADGBI were $59.9{\pm}9.4$ year-old and $64.1{\pm}10.0$ year-old, respectively. The sex ratio was 1.3 : 1.0 (male 5, female 4) in the LAPPG group and 2.6 : 1.0 (male 13, female 5) in the LADGBI group. Mean total number of dissected lymph nodes ($28.3{\pm}11.9$ versus $28.1{\pm}8.9$), operation time ($269.0{\pm}34.4$ versus $236.3{\pm}39.6$ minutes), estimated blood loss ($191.1{\pm}85.7$ versus $218.3{\pm}150.6\;ml$), time to first flatus ($3.6{\pm}0.9$ versus $3.5{\pm}0.8$ days), time to start of diet ($5.1{\pm}0.9$ versus $5.1{\pm}1.7$ days), and postoperative hospital stay ($10.1{\pm}4.0$ versus $9.2{\pm}3.0$ days) were not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1 patient with gastric stasis and 1 patient with wound seroma in LAPPG group and 1 patient with left lateral segment infarct of liver in the LADGB I group. Conclusion: Patients treated by LAPPG showed a comparable quality of surgical operation compared with those treated by LADGBI. LAPPG has an important role in the surgical management of early gastric cancer in terms of quality of postoperative life. Randomized controlled studies should be undertaken to analyze the optimal survival and long-term outcomes of this operative procedure.

      • 진행위암의 복강경 보조 위 전절제술 -개복 위 전절제술과의 후향적 비교-

        이준현,남유희,허훈,전해명,김욱 대한위암학회 2008 Journal of gastric cancer Vol.8 No.3

        목적: 상부 진행위암 환자에서 시행된 복강경 보조 위 전 절제술의 초기 경험을 개복 위 전 절제술과 비교 분석하 여 수술결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4월부터 2008년 3월까지 복강경 보 조 위 전 절제술과 D1+β 이상의 림프절 절제술이 시행 된 47명의 환자 중, 수술 후 진행위암으로 확진된 29명의 환자(LATG군)를 같은 시기에 개복 위 전 절제술을 시행한 35명의 환자(OTG군)와 임상병리학적 특징, 수술 후 결과, 재발 및 생존기간 등을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두 군의 성비, 나이, 체질량 지수 및 병기 등에서 차이는 없었으나, 암종의 크기는 LATG군이 평균 6.1 cm로 OTG군의 9.2 cm에 비해 유의하게 작았으며, 근위부 절제연 은 평균 3.6 cm로 OTG의 2.1 cm에 비해 유의하게 길었다. 수술시간은 LATG군이 평균 361.3분으로 OTG군의 289.0분보 다 유의하게 길었으나, 출혈량, 합병증, 장 운동 회복일, 음 식 섭취 시작일과 재원일에는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추 적기간은 18.8개월(범위 3∼46개월)이었으며 평균 생존기간 은 LATG군 31개월과 OTG군 32개월, 무병 생존기간은 평균 28개월과 24개월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재발률은 LATG 군이 30.8%, OTG군은 34.3%였으며 재발부위는 두 군 모두 복막과 림프절이 가장 많았다. 결론: 대상 환자가 적은 후향적 연구지만 복강경 보조 위 전 절제술은 진행위암의 치료에서 개복 위 전 절제술과 비교 시 수술과 연관된 합병증이나 생존기간, 재발율 등에 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환자의 예 후에 대한 장기 추적 관찰과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 로 생각된다.

      • 진행위암의 복강경 보조 위 전절제술 - 개복 위 전절제술과의 후향적 비교 -

        이준현,남유희,허훈,전해명,김욱,Lee, Jun Hyun,Nam, Yoo Hee,Hur, Hoon,Jeon, Hae Myung,Kim, Wook 대한위암학회 2008 대한위암학회지 Vol.8 No.3

        목적: 상부 진행위암 환자에서 시행된 복강경 보조 위 전절제술의 초기 경험을 개복 위 전 절제술과 비교 분석하여 수술결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4월부터 2008년 3월까지 복강경 보조 위 전 절제술과 $D1+{\beta}$ 이상의 림프절 절제술이 시행된 47명의 환자 중, 수술 후 진행위암으로 확진된 29명의 환자(LATG군)를 같은 시기에 개복 위 전 절제술을 시행한 35명의 환자(OTG군)와 임상병리학적 특징, 수술 후 결과, 재발 및 생존기간 등을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두 군의 성비, 나이, 체질량 지수 및 병기 등에서 차이는 없었으나, 암종의 크기는 LATG군이 평균 6.1 cm로 OTG군의 9.2 cm에 비해 유의하게 작았으며, 근위부 절제연은 평균 3.6 cm로 OTG의 2.1 cm에 비해 유의하게 길었다. 수술시간은 LATG군이 평균 361.3분으로 OTG군의 289.0분보다 유의하게 길었으나, 출혈량, 합병증, 장 운동 회복일, 음식 섭취 시작일과 재원일에는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추적기간은 18.8개월(범위 3~46개월)이었으며 평균 생존기간은 LATG군 31개월과 OTG군 32개월, 무병 생존기간은 평균 28개월과 24개월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재발률은 LATG 군이 30.8%, OTG군은 34.3%였으며 재발부위는 두 군 모두 복막과 림프절이 가장 많았다. 결론: 대상 환자가 적은 후향적 연구지만 복강경 보조 위전 절제술은 진행위암의 치료에서 개복 위 전 절제술과 비교 시 수술과 연관된 합병증이나 생존기간, 재발율 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환자의 예후에 대한 장기 추적 관찰과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hort-term operative outcomes of laparoscopy-assisted total gastrectomy (LATG) with those of open total gastrectomy (OTG) for patients suffering with advanced upper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Of the 47 patients who underwent LATG with $D1+{\beta}$ or D2 lymphadenectomy from July 2004 to March 2008, 29 patients with pathologically proven advanced gastric cancer were compared with 35 patients who underwent conventional OTG during the same time period. The comparison was based on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surgical outcome, the follow-up survival and tumor recurrence. Results: The patients' age, gender and body mass index were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here were statistically differences in tumor size ($9.2{\pm}3.9$ vs $6.1{\pm}3.6cm$, P=0.002) and the proximal resected margin ($2.1{\pm}2.0$ vs $3.6{\pm}2.1cm$ P=0.00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ost of the peri- and post-operative courses such as the time to first flatus, the time to starting a solid diet and the length of the hospital stay, except for a longer operating time (289.0 vs. 361.3 minutes, P<0.001) in the LATG group. The complication rate was higher in the LATG group (13.8%) than that in the OTG group (5.7%). The mean overall survival and disease free survival times were 32 and 31 months, and 24 and 28 months, respectively, with an average 18.8 months follow-up duration. The main recurrent sites were peritoneum and lymph node in both groups. Conclusion: The early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LATG for AGC is technically feasible and it does not show any inferiorities of the postoperative outcomes as compared to those of conventional open total gastrectomy.

      • 학습곡선을 기준으로 한 복강경 보조 원위절제술에 대한 결과

        김갑중,육정환,최지은,정오,임정택,오성태,김병식 대한위암학회 2008 Journal of gastric cancer Vol.8 No.4

        목적: 최근 조기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복강경 보조 위절 제술이 널리 시행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최선의 표 준화된 수술방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조기 위암으로 진단된 32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복강경 보 조 원위절제술의 결과를 보고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4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서울아산 병원에서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을 받은 374예 중 원위절제 술을 받은 329예를 학습곡선을 극복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나누어 임상병리적 특성, 수술 소견, 수술 후 경과 및 합 병증을 분석하였다. 결과: 329명의 환자 중 남자가 196명, 여자가 133명이었다. 평균 BMI는 23.6이고, 평균 수술 시간은 180.9분이며, 30예 이전은 287.9분이었고, 30예 이후는 170.2분으로, 30예 이후 에 평균 수술 시간이 감소하였다(P<0.01). 림프절 절제는 30예 이전에는 D1절제가 5예(16.7%), D1+β이상이 25예 (83.3%)였고, 30예 이후에는 D1절제가 16예(5.4%), D1+α가 4예(1.3%), D1+β이상이 279예(93.3%)였다. 절제된 림프절의 개수는 22.7개, 30예 이전에는 18.6개, 30예 이후에는 23.1개 로 30예 이후에 절제된 림프절의 개수가 많았다(P=0.02). 수 술 후 평균 재원 기간은 7.6±4.8일이었으며, 30예 이전에는 9.3일, 30예 이후에는 7.4일로 30예 이후에 재원 기간이 줄 어 들었다(P=0.04). 수술 전과 수술 후의 혈색소 차이는 평 균 1.6 g/dl였고, 30예 이전에는 2.3 g/dl, 30예 이후에는 1.6 g/dl로 30예 이후 수술 중 출혈 양이 의미 있는 감소를 보 였다(P=0.02). 합병증은 출혈, 복강 내 농양, 문합부 누출, 문합부 협착, 수술 상처 감염, 폐렴 등 24예에서 나타났으 며 30예 이전에는 3예, 30예 이후에는 21예에서 나타났다 (P=0.45). 결론: 학습곡선의 극복 이후 수술시간이 단축되었고, 수술 중 출혈양이 감소하였으며, 더 작은 절개창을 이용한 수술이 가능하게 되었다. 복강경 보조 원위절제술은 조기 위암 환자 의 치료로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한다.

      • 학습곡선을 기준으로 한 복강경 보조 원위절제술에 대한 결과

        김갑중,육정환,최지은,정오,임정택,오성태,김병식,Kim, Kab-Choong,Yook, Jeong-Hwan,Choi, Ji-Eun,Cheong, Oh,Lim, Jeong-Taek,Oh, Sung-Tae,Kim, Byung-Sik 대한위암학회 2008 대한위암학회지 Vol.8 No.4

        목적: 최근 조기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이 널리 시행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최선의 표준화된 수술방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조기 위암으로 진단된 32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복강경 보조 원위절제술의 결과를 보고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4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을 받은 374예 중 원위절제술을 받은 329예를 학습곡선을 극복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나누어 임상병리적 특성, 수술 소견, 수술 후 경과 및 합병증을 분석하였다. 결과: 329명의 환자 중 남자가 196명, 여자가 133명이었다. 평균 BMI는 23.6이고, 평균 수술 시간은 180.9분이며, 30예 이전은 287.9분이었고, 30예 이후는 170.2분으로, 30예 이후에 평균 수술 시간이 감소하였다(p<0.01). 림프절 절제는 30예 이전에는 D1절제가 5예(16.7%), D1+$\beta$이상이 25예(83.3%)였고, 30예 이후에는 D1절제가 16예(5.4%), D1+$\alpha$가 4예(1.3%), D1+$\beta$이상이 279예(93.3%)였다. 절제된 림프절의 개수는 22.7개, 30예 이전에는 18.6개, 30예 이후에는 23.1개로 30예 이후에 절제된 림프절의 개수가 많았다(P=0.02). 수술 후 평균 재원 기간은 $7.6\pm4.8$일이었으며, 30예 이전에는 9.3일, 30예 이후에는 7.4일로 30예 이후에 재원 기간이 줄어 들었다(P=0.04). 수술 전과 수술 후의 혈색소 차이는 평균 1.6 g/dl였고, 30예 이전에는 2.3 g/dl, 30예 이후에는 1.6 g/dl로 30예 이후 수술 중 출혈 양이 의미있는 감소를 보였다(P=0.02). 합병증은 출혈, 복강 내 농양, 문합부 누출, 문합부 협착, 수술 상처 감염, 폐렴 등 24예에서 나타났으며 30예 이전에는 3예, 30예 이후에는 21예에서 나타났다(P=0.45). 결론: 학습곡선의 극복 이후 수술시간이 단축되었고, 수술중 출혈양이 감소하였으며, 더 작은 절개창을 이용한 수술이 가능하게 되었다. 복강경 보조 원위절제술은 조기 위암 환자의 치료로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한다. Purpose: Laparoscopic surgery for gastric cancer was introduced in the past decade because it was considered less invasive than open surgery, and this results in less postoperative pain, faster recovery and an improved quality of life. Several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safety and feasibility of this procedure. We examined the outcome of performing laparoscopic surgery for gastric cancer over the last two year. Materials and Methods: From April 2004 to December 2006, 329 patients with gastric adenocarcinoma underwent a laparoscopy-assisted distal gastrectomy with lymph node dissection. The data was retrospectively reviewed in terms of the clinicopathologic findings, the perioperative outcomes and the complications. Results: The total patient group was comprised 196 men (59.6%) and 133 women (40.4%). The mean BMI was 23.6 and the mean tumor size was 2.7 cm. The mean number of harvested lymph node was 22.7, and this was 18.6 before 30 cases and 23.1 after 30 cases,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P=0.02). The mean operation time was 180.9 min, and this was than 287.9 min before 30 cases and 170.2 min after 30 cases. After 30 cases,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the operation time (P<0.01). The mean incision length after 30 cases was shorter than that before 30 cases (P<0.01).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ccurred in 24 (7.3%) of 329 patients and there was no conversion to open surgery. Conclusion: Even though the LADG was accompanied by a difficult learning curve, we successfully performed 329 LADG procedures over the past 2 years and we believe that LADG is a safe, feasible operation for treating most early gastric cancers (EG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