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구배 기반 가중 접근성을 이용한 역세권 보행 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연구

        하은지,전철민,Ha, Eun Ji,Jun, Chul Min 한국공간정보학회 2012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0 No.5

        최근보행은 교통의 가장 기본 이동수단으로 대중교통 중심개발, 지속가능한 개발, 녹색교통 활성화 등 새로운 패러다임의 부각으로 그 중요성과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기존의 보행 네트워크 분석 연구에서는 보행자의 목적지까지 이동거리와 공간구문론의 통합도를 대표적인 접근성 요소로 사용하고 있지만 단순한 평면상의 네트워크 이동거리는 지형적인 특성이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비슷한 네트워크 구조를 가진 분석 지역들의 경우 비슷한 결과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분석 지역의 특성에 따라 보행자들의 이동규모와 이동거리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이를 반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배를 고려하고 보행자의 이동규모를 고려한 이동거리 분석을 통해 새로운 보행 네트워크 접근성 분석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강남구에 위치한 논현역, 역삼역, 학동역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고, 미국 스포츠의학협회에서 제시하는 대사량 공식을 통해 구배 가중거리 공식을 유도하고 보행자의 이동규모를 추정하기 위해 건물 면적 비율에 따라 역 이용객 수 데이터를 활용해 건물 이용자 수를 추정한 뒤 연구 지역의 1인당 평균 이동거리를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더 나아가 역세권 200m와 500m에 위치한 건물에 대한 보행자의 이동거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는 보다 연구지역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순 보행 네트워크 이동거리 분석에서 구배를 고려한 보행 네트워크 이동거리 분석, 더 나아가 보행자의 이동규모를 고려한 보행 네트워크 이동거리 분석을 실시하였고 보다 실질적인 보행자의 특성을 고려한 보행 네트워크 접근성 분석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는 앞으로 보행 네트워크 분석에서 지형적 특성을 반영하고 보다 실질적인 보행자의 움직임을 고려한 보행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Walking is the most basic personal mobility and its importance and concern is ever increasing with the highlighting of a new paradigm, such as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sustainable development and revitalization of green transport. The existing analytical research on pedestrian network is using a pedestrian's moving distance to a destination and integration in space syntax theory as its representative accessibility factors. However, the uniplanar network moving distance fails to reflect topographic characteristics, so the moving distance could show a similar result value in case of the regions for analysis that have a similar network structure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new analytical methodology on pedestrian network accessibility in consideration of the grade in pedestrian sections and a pedestrian's size. this study, in its analysis of a uniplanar pedestrian network moving distance, analyzed the pedestrian network moving distance in consideration of the grade in pedestrian sections, and even the pedestrian network moving distance in consideration of a pedestrian's size, and suggested the methodology on pedestrian network accessibility analysis in consideration of a more substantive pedestrian's characteristics. It is hoped that the methodology used by this study will be used as the methodology on pedestrian network analysis which can reflect top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e pedestrian network analysis, and take a more substantive pedestrian's movement into account.

      • KCI등재

        구배 기반 가중 접근성을 이용한 역세권 보행 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연구

        하은지,전철민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0 No.5

        Walking is the most basic personal mobility and its importance and concern is ever increasing with the highlighting of a new paradigm, such as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sustainable development and revitalization of green transport. The existing analytical research on pedestrian network is using a pedestrian's moving distance to a destination and integration in space syntax theory as its representative accessibility factors. However, the uniplanar network moving distance fails to reflect topographic characteristics, so the moving distance could show a similar result value in case of the regions for analysis that have a similar network structure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new analytical methodology on pedestrian network accessibility in consideration of the grade in pedestrian sections and a pedestrian's size. this study, in its analysis of a uniplanar pedestrian network moving distance, analyzed the pedestrian network moving distance in consideration of the grade in pedestrian sections, and even the pedestrian network moving distance in consideration of a pedestrian's size, and suggested the methodology on pedestrian network accessibility analysis in consideration of a more substantive pedestrian's characteristics. It is hoped that the methodology used by this study will be used as the methodology on pedestrian network analysis which can reflect top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e pedestrian network analysis, and take a more substantive pedestrian's movement into account. 최근보행은 교통의 가장 기본 이동수단으로 대중교통 중심개발, 지속가능한 개발, 녹색교통 활성화 등 새로운 패러다임의 부각으로 그 중요성과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기존의 보행 네트워크 분석 연구에서는 보행자의 목적지까지 이동거리와 공간구문론의 통합도를 대표적인 접근성 요소로 사용하고 있지만 단순한 평면상의 네트워크 이동거리는 지형적인 특성이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비슷한 네트워크 구조를 가진 분석 지역들의 경우 비슷한 결과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분석 지역의 특성에 따라 보행자들의 이동규모와 이동거리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이를 반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배를 고려하고 보행자의 이동규모를 고려한 이동거리 분석을 통해 새로운 보행 네트워크 접근성 분석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강남구에 위치한 논현역, 역삼역, 학동역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고, 미국스포츠의학협회에서 제시하는 대사량 공식을 통해 구배 가중거리 공식을 유도하고 보행자의 이동규모를 추정하기 위해 건물 면적 비율에 따라 역 이용객 수 데이터를 활용해 건물 이용자 수를 추정한 뒤 연구지역의 1인당 평균 이동거리를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더 나아가 역세권 200m와 500m에 위치한 건물에 대한 보행자의 이동거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는 보다 연구지역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순 보행 네트워크 이동거리 분석에서 구배를 고려한 보행 네트워크 이동거리 분석, 더 나아가 보행자의 이동규모를 고려한 보행 네트워크 이동거리 분석을 실시하였고 보다 실질적인 보행자의 특성을 고려한 보행 네트워크 접근성 분석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는 앞으로 보행 네트워크 분석에서 지형적 특성을 반영하고 보다 실질적인 보행자의 움직임을 고려한 보행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기계학습을 이용한 스마트폰 이용이 보행속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진혜련,도명식 한국ITS학회 2019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 내의 보행로 2개소를 대상으로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이 보행속 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스마트폰 사용실태에 대한 영상자료를 취득하고 도로용량편람에서 제시한 보행자 서비스수준의 보행밀도를 기준으로 보행속도를 산정하였다. 보행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기계학습을 통한 다중회귀분석과 의사 결정나무(Decision tree)를 활용하였으며, 설명변수로는 성별, 스마트폰 미사용, 청각을 이용한 스마트폰 사용, 시각을 이용한 스마트폰 사용, 서비스수준A, 서비스수준B, 서비스수준C가 선 정되었다. 분석결과 서비스수준C가 보행속도 변화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수준C에서 시각을 활용해 스마트폰을 이용한 여성그룹이 가장 낮은 속도로 보행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음악 감상이나 통화와 같은 청각을 이용한 유형보다 시각을 이용 하는 경우 대부분의 경우에서 보행속도가 크게 저하되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smartphone usage on walking speed during walking on two pedestrian walkway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For the analysis, the video data about the actual use of smartphone was acquired and the walking speed was calculated based on the walking density of the pedestrian Level Of Service(LOS) presented in the Road Capacity Manu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decision tree using machine learning were used to analyze the impact of smartphone usage on walking speed, and as the explanatory variables, gender, disable smartphone, use of smartphone using auditory function, use of smartphone using visual function, LOS A, LOS B, LOS C were adopted. The result showed that LOS C had the highest impact on walking speed change and the women’s group using their visual function was founded to have the slowest walking speed in LOS C. In particular, the author found that walking speed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ase of use of visual function rather than listening to music or the hearing on the phone.

      • KCI등재

        트럭의 속도 및 범퍼높이가 보행자 전도거리에 미치는 영향 분석

        심재귀,이상수,백세룡,최정우 한국ITS학회 2017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6 No.5

        본 논문의 목적은 트럭과 보행자의 충돌사고에서 트럭의 중량, 속도와 범퍼 높이가 보행 자 전도거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나아가 이를 이용한 보행자 전도거리에 대한 모형 식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교통사고 재현 프로그램인 PC-crash를 이용하여 트럭의 중 량을 5t, 15t, 25t으로 적용하고, 각 트럭의 앞 범퍼 하단 높이를 0.3m부터 0.6m까지 0.1m씩 높여감과 동시에 트럭의 속도를 10km/h부터 100km/h까지 10km/h씩 높여가며 실험하였다. 트 럭의 속도와 범퍼 높이는 보행자 전도거리에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었고, 트럭 중량은 보행자 전도거리에 유의하지 않은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제시한 모형식 은 조정된 R2 값이 93.3%로 매우 우수한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throw distance in terms of truck weight, bumper height, and speed in a truck and pedestrian collision, and to propose a model for throw distance estimates. For this purpose, a simulation analysis is performed using the PC-crash program with the following experiment conditions: Truck weight of 5t, 15t, and 25t, Bumper height from 0.3m to 0.6m by 0.1m, and speed from 10km/h to 100km/h by 10 km/h.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truck speed and bumper height are found to be significant factors for pedestrian throw distance, but truck weight is not a significant factor. Also, a regression model is developed for pedestrian throw distance estimate from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adjusted R2 value of the model is 93.3%, which is very good explanatory power.

      • 군집분석을 통한 노인 보행자 사고 취역지역 선정방법에 관한 연구

        고은혁,윤병조,박형근,양승룡 한국재난정보학회 2015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11

        본 연구는 요인분석을 통해 노인 보행자 사고 유형을 대표할 수 있는 성분 값을 계산하고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노인 보행자 사고 취약 지역을 선정하는 모델을 확인하였다. 기존 노인보행자 사고에 관한 연구 는 보행 환경 분석 및 노인보행자 사고 특성을 확인한 뒤, 제도적, 물리적 환경 개선 등에 대한 정책 제언 의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실질적으로 노인 보행자 특성을 분석하여 사고를 감소시키는 연구 가 아닌,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실이나 해외 사례를 들어 노인 보행자 사고의 현 실태에 대해 어느 정도 환 기만 시켜주는 역할로 그쳤다. 이러한 점에서 군집분석을 통한 노인 보행자 사고 취약지역 선정은 노인 보 행자 사고 특성의 비교를 명확하게 할 수 있도록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에 기존의 방법론에서 벗어 나 실질적으로 노인 보행자 사고 방지 대책이 시급한 지역을 선정하였고, 노인 보행자 사고에 관해 활발히 연구 시킬 것이라 예상한다. 군집분석을 사용하는 핵심은 사망자 수와 사망률이 상대적으로 동시에 높은 군집을 선정할 수 있고 지역 특성 비교를 통해 향후 노인 보행자 사고에 관한 추가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보행환경요인이 보행안전에 미치는 영향분석

        이수민,황기연 대한교통학회 2009 대한교통학회지 Vol.27 No.1

        Human walking is essential and important mean of transportation. Pedestrian safety is recently important because accidents often happen while walking. This research is showing that Walking-environmental factors have effect on safety while walking. At first, exact 15 factors and conduct survey in the preceding research. After that, exact 4 important factors through factor analysis. At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null hypothesis has proved to be true by satisfying therms which is F-value 9.211 and P-value 0.000. and come to the conclusion that walking-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e pedestrian safety. 4 important factors can be listed by below. Pedestrian-road characteristic, landscape characteristic, commercial characteristic, walking characteristics by following influence. Especially, landscape characteristic and pedestrian-road characteristic can be vital factors. 보행은 인간의 기본적이면서 중요한 교통수단이다. 최근들어 보행자 사고와 관련하여 보행안전이 중요시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행환경요소가 보행안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선행연구에서 15개의 보행환경요소를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요인분석을 통해 4개의 요인을 추출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F-value는 9.211, P-value는 0.000으로 귀무가설이 기각되어 보행환경요인은 보행안전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은 보도특성, 경관성, 상업성, 보행특성의 순으로, 특히 경관성과 보도특성은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M-IPA분석을 활용한 전문가와 이용자 간 보행 환경 계획요소의 인지 차이 분석

        김태호(Taeho Kim),이창수(Changsoo Lee),박철홍(Cheolhong Park),장명준(Myungjun Jang) 한국도시행정학회 2013 도시 행정 학보 Vol.26 No.1

        정책결정자와 이용자가 인지하는 정책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정책 성공에 많은 영향을 가져온다. 특히 최근 도시설계의 주요한 요소로 나타나고 있는 보행중심의 도시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계획가와 보행자의 인지차이 이해는 성공적인 정책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보행자를 위한 도시공간의 조성에 있어서 보행정책 결정자와 보행자의 인지차이를 이해하는 것을 주 목표로 삼는다. 이 연구는 연구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과 M-IPA 분석을 채택하여 계획가와 보행자의 보행에 대한 인지차이를 분석하였다. 먼저 구조방적식의 분석결과 계획가와 보행자사이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인지 차이는 보행환경에서 관찰되었다. 또한 계획가는 안전성과 연속성을 가장 주요한 보행환경 요소로 인지한 반면에 보행자의 경우는 편리성과 쾌적성을 가장 주요한 보행환경 요소로 인지하였다. 이용자와 계획가의 관점 차이를 종합한 우선순위 높은 계획요소를 판단하기 위하여 변형된 중요도-만족도(M-IPA)분석을 수행하였으며, (1) 중점개선사항은 안전성(보도/차도높이), 쾌적성(보도소음, 가로수구비, 1층 출입개방), 편리/시인성(판매시설, 보도경가 완만), 생동성(문화공간 충분) (2) 이용자가 개선을 요구하는 계획요소는 안전성(야간조명, 도로 길이 충분, 차 량 진출입 적당), 쾌적성(보도 방해요소), 연속성(보로 건물 진출, 이면도로 연결), 생동성(지역 이미지) (3) 계획가가 개선 의지를 가지고 있는 계획요소는 안전성(차량경계시설 구비성), 연속성(횡단보도 개수), 생동성(건축디자인, 공원 충분)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활용하여 이용자와 계획가간의 인식차이를 줄이는 방향으로 보행환경을 계획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이용자와 전문가의 보행환경 계획요소 인식차이 규명에 관한 연구를 기초로 하여 앞서 언급하였던 향후 연구 과제를 보완한다면 향후 도시의 보행자 서비스 질은 더욱 향상 될 것이다. The recognition of the different notion between decision makers and users could raise the possibility for success of public policie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ifferent notion of walking environment between planning experts and users. The need of a pedestrian-oriented society is obvious because of energy saving,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ect.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contribute to the better walking urban structure, which is the fundamental of many alternative urban forms such as Urban Village and New Urbanism. This study adopt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d Modifi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o understand different notion of walking environment elements between experts and users. The result of analysis depicts that the primary difference between experts and users is the priority of walking environment. Whilst experts more emphasize safety and connectivity, users accentuate convenience and comfort of walking environment. The M-IPA shows the overall priorities of walking environment. Regardless of point of view, safety is the most important issue for the walking environment. Then, comfort, convenience and conviviality are considered as important planning elements, respectively. This study provides statistical analysis of different views on walking environment between policy makers and users. Recognition of the different notion would provide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policy for building pedestrian-oriented urban structure.

      • KCI등재

        보행자-차량 충돌사고 특성분석 방법론 비교 연구

        최새로나,정은비,오철 대한교통학회 2013 대한교통학회지 Vol.31 No.6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methodologies to predict the injury severity of pedestrian-vehicle collisions. Methodologies to be evaluated and compared in this study include Binary Logistic Regression(BLR), Ordered Probit Model(OPM), Support Vector Machine(SVM) and Decision Tree(DT) method. Valuable insights into applying methodologie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edestrian injury severity are derived.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causal factors affecting the injury severity, statistical approaches such as BLR and OPM are recommended. On the other hand, to achieve better prediction performance, heuristic approaches such as SVM and DT are recommended. It is expected that the outcome of this study would be useful in developing various countermeasures for enhancing pedestrian safety. 최근 운전자의 보행자-차량 충돌사고 감소를 목적으로 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보행자- 차량 사고 발생 특성 및 심각도 영향요인 분석을 위하여 다양한 분석방법론을 활용한 보행자 교통사고 분석을 수행 하였다. 통계모형과 휴리스틱모형 적용시 각 기법에 따른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보행자 사고분석시 분석목적에 적합 한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최근 3년간 발생한 경기도 교통사고자료(2008-2010년)를 활용하여 보행자 교통사고의 발생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통계모형인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순서형 프로빗 모형 을 이용하여 보행자 교통사고 심각도 증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도출하였으며, 휴리스틱모형 인 서포트 벡터 머신, 의사결정나무를 적용하여 교통사고 심각도 분류를 위한 모형을 개발하고 그 결과를 비교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보행자 교통안전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향후 국내 보행자-차량 충돌사 고 분석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보행상충을 고려한 보행사고 노출 추정 모형 개발

        장일준,권남주,안세영 한국ITS학회 2023 한국ITS학회논문지 Vol.22 No.2

        보행 교통사고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보행 및 차량 통행량을 정확히 반영해야 한다. 그러나 보행량은 차량 통행량에 비해 측정에 어려움이 있다. 기존 연구는 직접 조사, 가구통행실태조 사 등을 통해 추정하였지만 이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며 정확도가 떨어진다. 이에 본 연구는 적은 시간과 비용으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활용 한 모바일 cctv를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사고로 발전할 수 있는 보행자-차량간 상충 을 보행사고 노출로 정의하였다. 대구 동성로 일대의 40개 구간에 모바일 cctv를 설치한 후,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음이항 회귀분석을 통해 보행사고 노출을 추정한다. 분석 결과 보 행사고 노출 변수들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인다. 분석 결과를 통해 보행사고 노출 추 정 모형을 개발하였고, 이를 통해 잠재적으로 보행사고 발생할 수 있는 구간을 도출하는 것에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Pedestrian traffic needs to be accurately quantified to predict effectively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however, pedestrian traffic is more difficult to measure than vehicle traffic. In this study, we suggest the time-and cost-effective application of mobile 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using a smartphone as an alternative that can collect and analyze real-time data with little. In the present investigation, the pedestrian-vehicle conflict that can develop into an accident was defined as the pedestrian accident exposure. After installing mobile CCTV in 40 sections of Dongseong-ro, Daegu, the pedestrian accident exposure was estimated through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the pedestrian accident exposure variables. Based on the present results, a pedestrian accident exposure estimation model was developed which can be used in sections where pedestrian accidents may occur.

      • KCI등재

        생활도로 보행환경 개선사업의 효과 연구

        Samjin Lim 한국재난정보학회 2012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8 No.4

        이 연구에서는 보행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기 위하여 시민 28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보행환경개선사업이 시행된 서울의 6개 지역을 선정하여 생활도로 보행 시 보행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리커트 5점 척도를 이용한 조사 결과 보행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2.88 표준편차 1.12인 것으로 조사되어 만족도가 낮은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보행환경 만족도와 세부항목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보행환경 만족도와 상관계수가 높은 세부항목은 보행시 안전성(0.640), 걷고 싶은 느낌(0.603), 보행시 쾌적성(0.601), 산책하거나 대화를 나누기에 적당함(0.586) 등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생활도로 보행환경 개선사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안전을 중시하면서도 시설물을 설치하는 데 머물기보다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개념의 생활도로 환경정비 기법을 적용해야 할 것이며 주민참여가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