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병원전 심정지 환자의 단계별 생존요인에 관한 연구

        박일수 ( Park Il Su ),김유미 ( Kim Yoo Mi ),강성홍 ( Kang Sung Ho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保健社會硏究 Vol.34 No.2

        본 연구는 병원전 심정지 환자의 결과를 단계별로 분석하여 생존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질병관리본부의 2010년 심정지 조사 자료 21,821건을 이용하여 병원전 자발적 순환회복 여부, 응급실 소생술 실시 후 생존여부, 응급실 진료결과 생존여부, 퇴원 시 생존여부 등 네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단계적 변수선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병원 도착전 자발적 순환회복률은 1.5%, 응급실 소생술 후 생존율은 14.4%, 응급실 진료결과 생존율은 9.8%, 퇴원시 생존율은 2.2%였다. 병원전 자발적 순환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목격자,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시행, 병원전 제세 동 시행, 현장도착시간이었고, 응급실 소생술 후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연령, 심정지 원인, 목격여부, 현장도착 및 병원도착 시간, 이송병원형태 등이었다. 응급실 진료 결과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심정지 원인, 병원전 제세동, 환자거주지 및 심정 지 발생지역 동일 여부 등이었고, 퇴원시 생존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연령, 병원전 제세동, 구급대원 응급처치, 병원도착 시간, 환자거주지 및 심정지 발생지역 동일 여부였다. 병원 전 심정지 환자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병원전 단계에서는 지역응급의료체계 요인이 중요하였고 병원 단계에서는 환자요인과 병원요인이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병원 단계의 결과에서도 지역응급의료체계 요인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의료기관을 포함한 지역 및 국가적 응급의료체계의 정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survival factors from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OHCA) with a step-by-step analysis. All of 21,821 patients experiencing OHCA in 2010 who were reported to the Korea OHCA Surveillance b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were included in the study. We identified factors on four levels using stepwise logistic regression. Return rate of spontaneous circulation before hospital arrival was 1.5%, survival rate in the ER resuscitation was 14.4%, survival rate at leaving ER was 9.8%, and survival rate at discharge was 2.2%. Factors affecting 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 were witnesses, bystander CPR, prehospital defibrillation, and on-site arrival time. Factors affecting outcome of ER resuscitation were sex, age, cause of arrest, whether or not witnessed, on-site and hospital arrival time, and hospital types. Factors affecting result of ER care were age, cause of cardiac arrest, prehospital defibrillation, residential area. And the impacters on survival at discharge were age, prehospital defibrillation, emergency crew rescue services, hospital arrival time, residential area. Of factors on affecting results of OHCA in prehospital level, emergency medical services (EMS) system is the most important. In-hospital level, patient and hospital factors are important. However local EMS factor is still influencing results on in-hospital level. National and local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including function of hospitals is needed to be systemized.

      • KCI등재

        공모형 제안방식에 나타난 일본 공립병원 설계에 관한 연구 -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시립병원을 중심으로 -

        박태성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5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7 No.2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이 운영을 하고 있는 일본의 공립병원들은 지역의 거점병원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공립병원들은 시설노후화, 인구감소, 낮은 수익성 때문에 경영상의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공립병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각 지자체들은 신규 병원을 조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공모형제안방식과 신규 공립병원의 공모 당선 안을 분석하여, 지역에서 거점적 역할을 하게 될 공립병원들의 건축적 특징을 파악하는 것에 있다. 연구결과, 공공성이 요구되는 신규 공립병원에서는 재해, 고도 급성기, 응급의료 등 정책의료와 관련된 공간과 기능의 표현이 강조되어 있었다. 특히, 응급과 재해의료에 대응하기 위한 기능적 공간 확보와 관련 연계부문의 확충이 강화되었다. 또한 공모형 제안방식은 설계자의 비용과 시간적 부담을 줄여주는 긍정적 효과가 있지만, 단순하지 않은 병원건축의 특성과 경쟁구도 속에서의 표현의 최소화는 한계가 있으므로, 주요 항목들은 설계자가 충분하게 의도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Mainly public hospital in Japan with the local authorities and the operation have plays a role as a base hospital in the area. However, outdated facilities Tuesday, declining population, is facing a crisis of management because of low profitability. And build a new hospital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ublic hospitals. This study analyzed proposal of won competition new public hospital and Public advertisement type proposal system in Japa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architectural features of the new public hospital. The results are as follows; Designs for new public hospital is a disaster, acute altitude, the representation of space and functionality of the Emergency had been strengthened. Especially, the expansion of the functional space available in conjunction with the relevant sector to cope with emergency and disaster care has been strengthened. Public advertisement type proposal system has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the cost and time burden on the designer. However, to minimize the expression of the complex characteristics of the hospital building and in the competition has a limit. Therefore major sectors of the hospital building should allow designers to express the intentions abundantly.

      • KCI등재

        요양병원(療養病院)의 경영실적분석(經營實績分析)

        오영호 ( Youngho Oh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2 保健社會硏究 Vol.2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의 경영실적 분석을 통하여 의료공급자들에게 요양병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요양병원의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자료는 전국 8개 요양병원 중 6개 요양병원의 경영실적자료와 한국보건의료관리연구원에서 발간한 『`97년 병원경영분석』의 일반병원과 종합병원의 경영실적자료를 이용하였고, 요양병원과 비요양병원의 경영지표를 비교하여 비요양병원에 대한 요양병원의 상대적인 경영효율성을 판단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안정성에 있어 요양병원은 비요양병원에 비해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다만 고정자산에 대한 투자로 상환에 따른 자금부담이 예측된다. 둘째, 수익성에서는 요양병원이 비요양병원에 비해 수익률이 떨어지나 단위의료비용이 상대적으로 적게 드는 것으로 추정되어 수익 증가의 잠재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셋째, 활동성에서는 요양병원과 비요양병원간 큰 차이가 없었다. 넷째, 성장성에서 요양병원은 양호한 성장성을 보였으나, 자료 부족으로 단정할 수는 없었다. 다섯째, 생산성에서 요양병원은 비요양병원에 비해 낮은 수준을 보였으나, 입원환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생산성을 보였다. 여섯째, 환자진료실적에서는 요양병원은 전반적으로 비요양병원에 비해 낮은 실적을 보였으나, 입원환자에 대해서는 높은 진료실적을 보였다. 일곱째, 인력에서 요양병원은 비요양병원에 비해 낮은 인력수준을 보였다. 여덟 번째, 경영개선 방안에서 요양병원은 외부용역업체 활용을 가장 적극적으로 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살펴볼 때, 요양병원의 경영효율성은 비요양병원에 비해 떨어지지 않으며, 오히려 노인질환자, 만성질환자, 재활환자의 증가 등으로 요양병원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경영효율성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자료의 한계성으로 인해 비율분석에 그칠 수밖에 없으나 이후 병원수도 증가하고 자료의 제약이 완화되면 자료포락분석(DEA) 등 여러 가지 방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long-term care hospitals using financial ratios, provide the information about long-term care hospitals to health care providers, and promote the activation of long-term care hospitals. We selected and surveyed 8 long-term care hospitals as the case group and 149 hospitals as the control group. But most variables about financial data in the control group were missing so we used other data about the control group, `97 hospital management analysis data conducted b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management`. We assessed the relative efficiency by comparing financial indicators of long-term care hospitals with those of other control hospital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long-term care hospitals are assessed to be higher than other control hospitals in terms of liquidity, but it is expected that long-term care hospitals are a burden on repayment of a short-term loan payable because it is inferred that they invested a short-term loan payable on fixed assets. Second, long-term care hospitals are lower than other control hospitals in terms of profitability indicators. However, it is estimated that long-term care hospitals costs less than other control hospitals, so they have potential ability in improvement of profitability indicators. Third, there is no difference in turnover ratios between long-term care hospitals and other control group. Fourth, long-term care hospitals are higher than other control hospitals in terms of growth rate indicators, but it is not sure because of data insufficiency. Fifth, long-term care hospitals are lower than other control hospitals in terms of productivity indicators, but they have higher productivity indicators in terms of inpatient performance. Sixth, long-term care hospitals are generally lower than other control hospitals in terms of utilization indicators, but they have higher inpatient utilization indicators. Seventh, long-term care hospitals are lower than other control hospitals in terms of indicators concerning employees per 100 bed and per patient. From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long-term care hospitals are not lower than other control hospitals in terms of efficiency.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long-term care hospitals will increase due to an increase in the demand of long-term care hospital resulting from the rise in the old, chronic invalid, and rehabilitative patient.

      • KCI등재

        인적자원 관련 지출이 병원의료수익에 미치는 영향

        조덕영 한국산업경제학회 2011 산업경제연구 Vol.24 No.6

        본 연구는 국립대학교병원을 중심으로 조직의 인적자원 관련 지출이 병원의 의료수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병원경영자와 관리자가 병원경영을 하는데 있어서 보다 근거 있는 증거를 제시하여 효율적인 병원경영에 일조를 하는데 있다. 분석결과, 첫째 병원의 인적자원 관련 지출은 병원의 의료수익에 긍정적인 결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인적자원에 대한 투입이 증가할수록 병원의 경영성과인 매출액(병원의료수익)도 증가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둘째 〈인건비집약도가 높을수록 병원의 의료수익은 높아질 것이다〉는 통계적 수준 1%에서 유의적인 양(+)의 값을 보여 인건비집약도가 병원의 의료수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육복리집약도가 높을수록 병원의 의료수익은 높아질 것이다〉는 전체 분석기간에서는 통계적 수준 1%에서 유의적인 양(+)의 값을 보여 병원의 의료수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도별 분석에서는 2009년과 2010년의 2개 연도가 통계적 수준에서 비유의적인 양(+)의 결과를 보여 일관되게 병원의 의료수익에 영향을 미친다고 제시하기에는 약간 미흡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설문지가 아닌 병원의 재무제표를 이용하여 병원의 인적자원 관련 지출이 병원의 의료수익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 논문이라는 점과 분석결과 기존의 비용으로 인식되어온 인건비, 교육연구비, 복리후생비 등의 인적관련 지출이 병원의 의료수익에 긍정적인 결과를 미친다는 것을 제시함으로써 병원의 경영자와 관리자로 하여금 동 분야에 대한 지출이 인적자원의 역량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를 마련하였다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analyzes that the expenditure related to human resources, have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in hospital organization and purpose to help the effective management for hospital manager. The meaningful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 First of all, It presents that have the positive results between human resources expenditure and hospital medical profit in hospital organization. Secondly, the variable on personnel expenditure shows to have positive influence in hospital medical profit. and in case of the variable on education and benefits It indicates the positive results of management performance. but is not a consistent pattern. This study makes contribution in that respect analysis to try using financial statements in the relation of the between human resources and management performance in hospital organization and to provide reasonable evidence that human expenditures have positive results in hospital management performance.

      • KCI등재

        의료영상전달시스템과 전자의무기록시스템 도입이 병원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창태 한국자료분석학회 2015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used by hospitals on their management performance. The service culture of hospitals is different from that of enterprises, and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make it easier to provide prompt services and to impro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s and medical personnel. In this study, usefulness, ease of use, services used and user satisfaction level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hospital performance was selected as a dependent variable. In addition, two different hospital information services were selected: PACS and EMR system. And then a research model was designed to look for connection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and hospital management performan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employees of the hospitals in the region of Youngnam, which were equipped with the two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o gather data, a statistical package SPSS 20.0 was employed to make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user satisfaction with PACS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hospital management performance. As for the EMR system, ease of use, services used and use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hospital management performance. 본 연구는 병원에서 도입하고 있는 병원정보시스템 이용이 병원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는 독립변수로 병원정보시스템 특성인 유용성, 이용편리성, 이용서비스, 이용만족도로 분류하였다. 종속변수는 병원경영성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병원정보시스템 특성과 병원경영성과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PACS와 EMR시스템을 도입한 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영남지역 소재 병원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통계처리는 SPSS 20.0을 사용하여 요인분석을 하였으며 신뢰도 및 변수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PACS는 이용만족도가 병원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EMR시스템은 이용편리성, 이용서비스, 이용만족도가 병원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환경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병원정보시스템 특성의 하부요인인 이용편리성과 서비스, 이용만족도를 지속적으로 관리함으로서 병원경영성과의 향상이라는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본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영남지역의 지역적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병원정보시스템과 병원경영성과 측정 도구가 표준화되거나 일반화된 정의가 없어 객관적인 도구를 사용하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향후 연구에는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동물병원 이용자의 병원 선택과 만족에 대한 탐색적 연구

        권숙영,조수영 한국광고PR실학회 2016 광고PR실학연구 Vol.9 No.4

        반려동물 의료 시장의 규모가 커지고 있지만 관련 연구는 아직 활발하지 않다. 본 연구는반려동물 보호자들이 동물병원 선택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과, 환자(동물)나 병원의특성을 감안했을 때 일반 의료기관과 비교하여 차별화할 요소는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더불어, 동물병원 선택요인들이 의료 서비스에 대한 만족감, 병원 재방문 의도 등에 미치는 영향도 살펴보았다. 심층 인터뷰를 통한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반려동물 의료 서비스에 대한 필요성 인식과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가 동물병원 이용 여부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의사나 간호사의 친절, 공감 및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보호자들의 동물병원 선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의료진의 진료 및 치료에 대한 상세하고 명쾌한 설명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의료 정보에 취약하거나불안감을 갖고 있는 의료소비자들이 매우 중요하게 고려하는 덕목이었다. 특히 반려동물은 의사소통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의료인들의 정확하고 이해 가능한 수준의 설명은 가장기본적이고도 필수적인 자질로 언급되었다. 한편, 반려동물에게 심각한 질병 증상이 없는 경우, 최신 시설의 큰 병원보다는 동네의 작은 병원을 이용·선호하고 있었다. 병원에서 제공하는 편의시설과 부가서비스(호텔링, 미용)의 유무는 병원 선택에 있어 의외로 그다지 고려되지 않는 요인이었다. 구전 의도에있어서는 의료진의 친절도는 필수 요인이지만, 응답자들이 추천을 고려할 때는 병원의현대적인 시설 요인도 고려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현대적인 시설을 갖추고 있는 병원이라면, 기존 고객들의 충성도를 강화하여 구전의도(추천의향)를 끌어내고, 궁극적으로 새로운 의료 소비자를 창출하는 마케팅 전략을 공고히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동물병원 홍보/마케팅 연구들이 매우 드문 현 시점에서 동물병원 이용자들을 대상으로그들이 원하는 점을 탐색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동물병원이 환자 혹은 보호자를 대할 때간과하고 있는 부분이나 홍보/마케팅에 있어 고려할 부분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 While the market for pet medical services is increasing,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in this area. This research examined factors that pet owners take into consideration when selecting a veterinary clinic and their satisfaction.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need for pet medical services and the health state of the pet were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s determining veterinary service use. Second, the study indicated that expressing empathy, showing kindness and communication proficiency of the medical staff were the important factors of veterinary choice. In other words, since pet patients are unable to express symptoms, it is important for vet staff to provide a clear and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diagnosis and treatment. Thirdly, the study found that pet owners prefer smaller, closer veterinary clinic to larger, modern veterinary clinic when their pets have a minor symptoms. Pet owners do not care much about vet’s additional services such as kennel services or beauty services when choosing the clinic. Meanwhile, modern hospital facilities were a positive factor influencing word of mouth intention.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basic PR or marketing strategies for veterinary clinic services. By interviewing pet owners, this research provides some insights to improve the pet medical service industry.

      • KCI등재

        병원학교 파견 특수교사의 병원학교 운영 경험

        이미숙 ( Mi Suk Lee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5 교육인류학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병원학교에 파견된 특수교사들이 병원학교의 운영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병원학교 파견 특수교사 4명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연구는 “병원학교를 운영하는 파견 특수교사의 경험은 무엇인가?”를 연구질문으로 구성하였으며, 본 연구에 참여한 병원학교 특수교사들은 모두 중부지역에 위치한 대형병원에서 건강장애학생의 교육을 위해 파견된 특수교사들이었다. 연구 결과, 병원학교 특수교사들은 자신들이 병원학교라는 외로운 섬에 홀로 던져진 것이라 생각하고 있었으며, 병원학교 특수교사로 역할하기 위해 만능 해결사가 되어야 했고, 치료로 힘들어하는 아이들의 표정도 항상 살펴야 했다. 또한 이들은 업무를 수행하면서 병원과 학교의 눈치를 함께 보아야 하는 상황에 종종 처하기도 하였다. 병원학교 특수교사는 병원학교 학생 수 감소에 대해 교사 스스로 부담을 느끼고 있었으며, 일반학교 담임교사와의 소통의 중요성과 학생들의 학교 복귀의 문제를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었다. 병원학교 특수교사들은 병원학교에 파견된 특수교사를 위한 지원과 병원학교 운영을 위한 지침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perceptions on hospital schools through interviews with four hospital school teachers. Research questions in the study included the following: “What were the experiences of the hospital school teachers who were managing the hospital schools?” and “Based on their experiences as teachers, what did they think of the management of the hospital school?” The study included the hospital school teachers whose hospital schools were located in central Korea.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teachers felt neglected and forced to become an all-purpose fixers. The hospital school teachers had to show concern to the children`s physical conditions, and they had to maintain the relationships with medical doctors and hospital staffs. They also felt the burden of following the directions from the school and the hospital. They worried about the decrease in number of students at the hospital and placed importance on communication with general school teachers and the children`s return to their schools. The hospital school teachers thought that it was important to communicate with other hospital school teachers, needing their support and support for the operation guidelines.

      • KCI등재

        건강보험 이용의 공간적 특성 : 병원서비스 이용지역 및 이송권역을 중심으로

        이광수 ( Soo Kwang Lee ),황성완 ( Wan Sung Hwang ),이기효 ( Key Hyo Lee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구 한국보건경제학회) 2013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1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병원서비스 이용을 반영한 진료권역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병원서비스지역(Hospital Service Area)과 병원이송권역(Hospital Referral Region)을 구분 하였고, 그리고 병원서비스지역과 병원이송권역은 외래와 입원서비스 이용 각각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진료의뢰서가 필요 없는 병원과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병원서비스지역을 정의하고, 의뢰서가 필요한 상급종합병원을 대상으로 병원이송권역을 정의하였다. 진료권은 환자의 거주지 및 환자가 방문한 병원의 소재지 정보를 이용하여 정의하였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보유 하는 환자의 병원이용정보와 의료기관정보, 그리고 환자의 거주지 정보를 이용하였으며, 환자 와 병원의 주소정보는 행정구역의 최소단위인 읍·면·동까지 파악하였다. 이를 통하여 환자가 방문한 병원의 공간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병원의 진료 권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병원서비스 지역과 병원이송권역은 기존 행정구역(도·시·군)의 형태와는 차이가 있었으며, 지역에 따라 진료 권의 형태에 차이를 발견하였다. 입원과 외래환자는 유사한 진료 권의 형태를 보였으며, 외래 환자의 진료 권이 입원에 비교하여 좀 더 세분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Hospital Service Area (HSA) and Hospital Referral Region (HRR) in Korea. HSA and HRR for inpatient and outpatient were developed based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patients ``visits to hospitals.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NHIC) provide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hospitals and patients such as address and hospital type. Claims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program was used to define the hospital visits in 2010. HSA and HRR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smallest administrative districts which is similar to Zip codes. Results showed that the boundary of HSA and HRR were not similar to the boundary of administrative districts such as city, county, and province. HSA and HRR of outpatients were similar to those of inpatients. However, some regions were different in shape and size. This finding confirmed that people visited hospitals beyond the boundary of administrative district. Administrative districts were not well matched to the service areas for hospital uses.

      • KCI등재

        풀무치에 대하여 살충활성을 보유한 곤충병원성 진균의 생리활성 평가

        이미롱,김종철,이세진,김시현,이석주,박소은,이왕휴,김재수,Lee, Mi Rong,Kim, Jong Cheol,Lee, Se Jin,Kim, Sihyeon,Lee, Seok Ju,Park, So Eun,Lee, Wang Hyu,Kim, Jae Su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6 No.3

        풀무치 (Locusta migratoria) (Orthoptrea: Acridiade)는 전 세계적으로 작물 생산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는 돌발 해충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풀무치를 방제하기 위한 방제제 및 적용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풀무치에 병원성을 갖는 풀무치병원성 진균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으며, 풀무치 방제에 이용 가능한 생물학적 방제제로서의 가능성을 평가 하였다. 먼저 갈색거저리 유충-baiting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한 지역에서 채집된 토양에서 곤충병원성 진균을 발굴 하였다. 풀무치 병원성 검정을 진행하기 위하여 국립 농업 과학원에서 풀무치를 분양 받았으며, 고체 배양된 곤충병원성 진균을 곤충 사육 상자에 처리하여 (2 g/box), 풀무치 약충 (3-4령충)에 대한 곤충병원성 진균의 병원성을 평가 하였다. 그 결과 곤충병원성 진균 처리 3-7일차에 풀무치의 머리, 복부, 다리 표면에서 진균이 증식하는 mycosis를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Metarhizium anisopliae, M. lepidiotae, Clonostachys rogersoniana에서 높은 병원성이 나타나는 것이 확인 되었다. 확보된 34개의 풀무치병원성균주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열안정성 및 포자생산성을 확인 한 결과, Paecilomyces, Purpureocillium 균주가 다른 균주에 비해 열에 대한 높은 안정성안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대부분의 균주에서 $1{\times}10^8conidia/gram$ 이상의 포자수를 생산 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또한 온실 조건에서 비교적 병원성이 높았던 M. anisopliae 고체 배양된 균주를 토양에 처리하여 병원성을 확인한 결과, 85.7%의 높은 방제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실험을 통하여 풀무치가 이동하면서 토양에 정착된 곤충병원성 진균에 접촉되어 치사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효과적인 풀무치 방제가 가능 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Locusts, Locusta migratoria (Orthoptera: Acrididae) are periodical unpredictable agricultural pests worldwide and cause serious damage to crop production; however, little consideration has been given to the management of this pest. Herein, we constructed a locust-pathogenic fungal library and confirmed that some fungi could be used as resources for locust management. First, the entomopathogenic fungi were collected from sampled soils using a Tenebrio molitor-based baiting system. For the locust assay, a locust colony was obtained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A total of 34 entomopathogenic fungal granules, which were produced by solid cultures, were placed in the plastic insect-rearing boxes (2 g/box) and nymphs of locust were contained in the box. In 3-7 days, mycosis was observed on the membranous cuticles of the head, abdomen, and legs of locusts. In particular, Metarhizium anisopliae, M. lepidiotae, and Clonostachys rogersoniana exhibited high virulence against the locust. Given that the 34 isolates could be used in field applications, their conidial production and stability (thermotolerance) were further characterized. In the thermotolerance assay, Paecilomyces and Purpureocillium isolates had higher thermotolerance than the other isolates. Most of the fungal isolates produced ca. >$1{\times}10^8conidia/g$ on millet grain medium. In a greenhouse trial, the granular application of M. anisopliae isolate on the soil surface resulted in 85.7% control efficacy. This work suggests that entomopathogenic fungi in a granular form can be effectively used to control the migratory locust.

      • 병원역량이 고객지향성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윤종록,장재식,손성곤 한국창업학회 2011 한국창업학회 Conferences Vol.2011 No.-

        21세기 의료 환경은 급변하고 있다. 병원경영환경변화에 효율적으로 적응하기 위한 병원경영전략은 병원 내부역량을 높이고 조직구조를 고객지향성에 초점을 맞추고 경영성과를 달성하는데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따라서 병원역량과 경영성과와의 관계에서 조직구조를 고객지향성에 바탕을 두고 병원에 적합한 고객지향적인 조직으로 전환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병원 경영전략을 수립하는데 병원의 내부역량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변수가 의료기관의 경영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는데 주목적 있다. 본 연구의 모형은 병원역량(물적자원, 재무자원, 인적자원, 무형자원, 정보화 능력)과 고객지향성 그리고 경영성과(의료수익)로 구성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고찰하여 병원역량, 경영성과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매개변수로서 고객지향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의료기관의 종사자 중에서대리급이상 임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병원역량과 경영성과의 관계에서 병원역량은 무형자원 역량, 재무자원 역량 순으로 경영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병원역량과 고객지향성과의 관계에서 병원역량은 무형자원 역량, 인적자원 역량 순으로 고객지향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지향성과 경영성과의 관계에서 고객지향성은 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지속가능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병원 경영전략은 지식경영이나 학습조직의 관점에서 환경변화를 중심으로 역동적인 역량이 강조되고 있다. 향후에는 병원역량 및 고객지향성의 효과가 어떻게 병원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소비자입장에서 살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며, 병원역량과 적용 가능한 더 많은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확장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특히, 병원역량 요인에 대한 직원의반응과 고객의 반응을 동시에 파악하고, 서로 다른 결과변수들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 또한 그결과변수를 좀 더 깊이 있게 파악하여 현장에 적용 가능한 결과나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