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들뢰즈의 베르그송 연구

        진기행 대동철학회 2008 大同哲學 Vol.45 No.-

        질 들뢰즈의 『시네마』는 방대한 양의 각종 영화와 수많은 영화이론을 한 축으로 하고, 베르그송과 칸트 그리고 퍼스와 스피노자 등 여러 철학자들의 사상을 다른 한 축으로 하여 구축된 난해한 영화철학서이다. 본 논문은 『시네마』의 중요한 바탕을 이루고 있는 베르그송에 대한 연구를 하기 위해, 들뢰즈의 초기 저작으로부터 시작하여 『시네마』에 이르기까지, 들뢰즈의 베르그송에 대한 연구의 내용과 그 변화의 과정을 추적한 것이다. 특히 『베르그송주의』와 『차이와 반복』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마지막에 『시네마』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언급하였다. 『베르그송주의』에서는 들뢰즈의 ‘차이의 존재론’에 끼친 베르그송의 영향을 살펴보았고, 『차이와 반복』에서는 들뢰즈가 베르그송의 사상을 계승하면서도 비판하는 지점을 ‘재인’과 ‘강도’라는 개념으로 파악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시네마』에서는 베르그송의 영향으로 형성된 개념인 ‘운동-이미지’와 ‘시간-이미지’가 영화의 쇼트와 관련하여 어떤 의미를 갖는지 규명해 보았다. 하지만 본 연구는 『시네마』에 대한 구체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를 하기 위한 준비 작업을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에, 『시네마』속에 드러난 들뢰즈의 베르그송에 대한 상세한 연구는 다음의 과제로 미루어 두었다. G. Deleuze's Cinema is a difficult book of cinema philosophy structured one by the thoughts of various philosophers such as Bergson, Kant. Peirce, and Spinoza; and another by tremendous volume of several movies and countless number of movie theories. Thus this paper is on the track of the transforming process of Delueze and Bergson's content and study to demonstrate Bergson's research from the beginning of Deleuze's early writings to Cinema, the critical foundation of its movie. Especially I focused on his writings like Bergsonism and Difference and Repetition; and lastly I commented shortly on Cinema. In Bergsonism, I investigated the effects of Bergson influenced on ontology of difference; and in Difference and Repetition, I mainly explicated the concept of intensity and recognition in which Deleuze took over as well as criticized Bergson's thoughts. And in Cinema, I demonstrated what significance of "Movement-Image and Time-Image" can hold which was formed by the effects of Bergson. This paper, however, takes on a different characteristics for the preparation of more specific and profound research. Because of that, somebody has to grab an opportunity for deeper study about Cinema.

      • 베르그송 철학에서 직관의 위치

        김윤제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문화연구소 2010 철학과 문화 Vol.20 No.-

        이 글의 목적은 베르그송의 철학에서 직관이 갖고 있는 고유함을 드러내는 것이다. 잘 알려져 있듯, 베르그송의 철학은 이전의 철학이 시간을 공간화를 통해 파악한 것을 비판하며, 이에 대해, ‘지속’이라는 실재적 시간을 회복을 시도하는 철학이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르그송의 지속에 대해 숙고하고자 할 때, 지속에 어떻게 도달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물음이 제기된다. 베르그송에 따르자면, 지속은 그 자체가 순수한 운동이며 변화이고, 그렇기에 이질적인 것들 자체이다. 따라서 지속은 그것의 외부를 돌면서는 파악될 수 없으며, 이러한 접근은 오히려 실재적 시간으로서 지속을 다시금 공간화 시켜버릴 뿐이다. 베르그송의 직관이 갖는 독특성은 이러한 철학적 숙고에서 드러난다. 여기서 우리는 베르그송의 직관이 갖는 독특함을 철학사적 접근을 통해, 특히 세계의 인식에 집중했던 근대철학자들이 직관을 어떻게 파악해왔는지, 그리고 그들의 입장에 대한 베르그송의 전반적인 비판은 무엇인지를 검토하면서 그 독특함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러한 비판은 자연스럽게 지성과 직관의 관계로 이끌린다. 이전의 철학자들이 시간을 파악함에 있어서 비번하게 사요했던 방식은 모든 것을 공간화시키는 지성에 의한 것이기 때문이다. 베르그송에게 있어 지성은 제작인(homo faber)으로서 인간을 잘 드러내는 역능이다. 지성은 인간의 생존을 도우며, 도구의 제작을 통해 인간을 물질의 지배자로 만든다. 사실 지성은 유용성에 입각해 있으며, 베르그송은 이러한 지성은 지속을 파악하기 위해 그것을 자신에게 용이하게 바꾸고자 하며 이러한 결과가 지속의 공간화라 본다. 지성과 달리 직관은 무관심한 본능이며, 지속에 직접 침투하는 것이다. 직관은 항상 운동하여, 변화하는, 그리고 이질성인 지속에 직접 닿는 것이기에 섬세의 역능이다. 결국 지속에 침투하는 직관을 자신의 철학에 있어 주요한 위치에 정립하면서 베르그송의 철학은 총체적인 경험주의, 미래성을 향한 철학이라는 고유한 특징을 드러낸다. 그리고 이야말로 베르그송의 철학 내에서 직관이 갖는 함축이다. A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manifest a characteristic of the intuition in Bergson's philosophy. As well known, Bergson's philosophy criticizes a former philosophy that grasps the time by spatializing the time. On the contrary, it is a philosophy that attempts to restore the duration(la durée) as a real time. But when we try to consider the duration, it makes a problem. 'How can we reach to the duration?" According to Bergson, the duration is pure movement, pure variation, so that it is the heterogeneous itself. For tills reason, the duration is not grasped by going around the outside of it, and it just spatializes again the duration. A characteristic of the intuition in Bergson's philosophy appears this philosophical deliberation. In this article, this characteristic will be manifested by the historical access of philosophy. Especially we will see a notion of intuition of some modern philosophers who concentrate on the cognition of the world, and Berson's critique to them. This critique is leaded to the relation between the intelligence and the intuition. To cognize the time, former philosophers use the intelligence what spatializes everything. On Bergson's philosophy, the intelligence is capability that makes homo faber of human. It helps human to survive, it makes a dominator of human. The intelligence in fact, is based on the utility, Bergson understands this intelligence as a agency of the spatializing of time, because it easily modifies the duration for grasp of the duration. Unlike the intelligence, the intuition is an disinterested instinct, it permeates directly the duration. And it reaches the duration that always moves, changes, so that it is capability of fineness. After all, to posing the intuition what permeates the duration for a principal position, the philosophy of Bergson manifests the integral empiricism and the philosophy toward futurity as proper characters. And this is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 of the intuition in Bergson's philosophy.

      • KCI등재후보

        양자역학 태동기의 이원론에 관한 역사적 연구

        안호영(Ahn, Ho-young)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코기토 Vol.- No.70

        베르그송은 당대의 과학적 결과를 끊임없이 참조했으며, 뛰어난 분석력을 바탕으로 이를 자신의 사유 속에서 오랜 시간 응축시켜낸 놀라운 통찰력을 우리에게 제시했다. 물론 이것은 베르그송에게만 해당되는 사실은 아니다. 칸트의 비판철학은 뉴턴의 고전역학을 경이롭게 바라본 철학자가 제시하는 놀라운 사색의 결과물로서, 그의 철학은 과학적 결과를 어떻게 성공적으로 수용할 것인가를 보여준 좋은 선례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우리는 그 반대 방향에 대해서도 물을 수 있을 것이다. 즉, 과학이 철학적 결과를 수용한다면 어떤 모습일까? 본 논의는 이러한 질문을 베르그송의 사유에 대해 제기하고, 양자역학의 개념을 베르그송의 사유 속에서 이해하려는 시도를 담고 있다. 본 논의는 제기된 질문을 두 가지 방향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베르그송이 자신의 사유를 전개했을 당시의 시대상과 새로운 과학이 태동하여 전개되는 시기의 시대상을 역사적으로 조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베르그송은 자신이 직면한 시대적 한계와의 대결을 통해 새로운 형이상학을 전개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의 사유는 새로운 과학이 출현하는 시기와 맞물려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과학적 시도의 한계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로서, 양자역학에 등장한 이원론 문제를 살펴보려고 한다. 이원론은 양자역학의 형성과정에서 주조된 개념인 ‘입자-파동 이중성’ 문제 그리고 ‘불확정성의 원리’에서 정형화되었는데, 우리는 이러한 개념이 베르그송의 사유와 매우 유사하다는 것을 드러내고자 한다. Bergson had presented us the outstanding insights through the condensed thinking which is based on the remarkable analysis of the contemporary science. Definitely, this is not suitable only for Bergson" philosophy. Kant"s Critique Philosophy is good example for how philosophy which has received the result of science could give new perspective to our thoughts. Then we could ask on the contrary to this: when the science could absorb certain philosophical thoughts, what does it look like? In this paper, we would apply this question to Bergson"s philosophy, and then we would try to understand the concepts of quantum mechanics within Bergson"s thoughts. We have two directions to look into for above question. First, we would take historically a view of the circumstances in which both Bergson had lived and the new science, quantum mechanics, had evolved. Through this, we would identify that Bergson who had confronted the contemporary science has brought out novel metaphysics as well, and that the period of his thoughts progress coincided with that during the advent of quantum mechanics. Second, as a critical example of the limit of the scientific investigation, we would examine the dualism which is observed and formulated at quantum mechanics. We would reveal the resemblance between Bergson"s philosophy and the concepts of quantum mechanics which are known as "wave-particle duality" and "uncertainty principle".

      • KCI등재

        베르그송의 신체철학에 숨겨진 현상학적 신체론

        주성호(Seong-Ho Joo) 한국현상학회 2004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23 No.-

        베르그송은 외부 사물을 ‘이미지’라고 하고 신체를 ‘특별한 이미지’라고 한다. 베르그송은 이 말을 통해 신체는 이미지로서 외부 사물(이미지)처럼 물질의 일부이지만, 외부 사물과 다른 특별한 모습을 갖는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베르그송은 신체의 이런 특별한 모습을 대체로 외부 사물을 바라보듯 객관적 관점에서(삼인칭적) 관점에서 설명한다. 그러나 베르그송은 오늘날 현상학적 신체론에서 볼 수 있는 ‘현상적 신체’를 또한 묘사하기도 한다. 다시 말해 현상적 관점에서, 즉 나의 관점에서 체험된 신체를 묘사하기도 한다. 그런데 대다수 사람들은 베르그송의 현상적 신체에 그다지 주목하지 못하며, 그 때문에 다른 사물과 달리 신체가 갖는 특별한 모습을 현상적 관점에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이 글에서 나는 베르그송의 신체에서 현상적 모습을 이끌어내고, 또한 그가 언급한 ‘특별한 이미지’의 특별한 모습은 현상적 신체에서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이러한 현상적 모습 속에서 나타난 베르그송의 신체는 ‘나’의 관점을 갖으며 능동적으로 또는 ‘주체적으로’ 행동하는 것인데, 그러한 점을 보다 잘 드러내기 위해 나는 의도적으로 데카르트의 신체론을 베르그송의 신체론과 대변시킬 것이다.

      • KCI등재

        베르그송의 창조성 이론에서 본 예술적 창조의 의미

        민주식(Min, Joo Sik)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4 No.-

        본 연구는 앙리 베르그송의 ‘창조성’ 개념이 창작자의 심리에 바탕을 두며 개성을 중시하는 현대의 예술교육 이념에 미친 이론적 영향을 탐구함으로써, 베르그송 철학의 독자성을 다시금 이해하고 그 선구적인 미학사적 의미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기 위해 우선 그의 창조 개념이 갖는 ‘불가역성’과 ‘예견불 가능성’이라는 성격을 살펴볼 것이다. 이어 심리주의적인 철학에 바탕을 둔 창조적 행위의 의미를 고찰하는 가운데, 과학과 예술, 제작과 창조라고 하는 인간 활동이 갖는 각각의 특성을 비교 검토할 것이다. 나아가 그의 창조 이론이 예술교육의 장으로 연결되는 지점을 찾아봄으로써 자발적인 창작활동의 고유한 가치를 파악하게 될 것이다. 베르그송은 예견불가능하며 새로운 것의 부단한 창조를 화가나 조각가 같은 사람들의 솜씨가 발휘되는 예술 활동에서 찾는다. 나아가서는 인간 스스로가 삶을 만드는 직인 또는 예술가로서, ‘독창적인’(originale)형상을 창출하기 위해 계속해서 작용하는 존재라고 한다. 베르그송주의에서도 미적 직관과 예술적 창조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자발적 능동적 활동이 있음으로 인해 비로소 창조성이 발휘된다. 여기에서도 창조적 행위는 신적활동으로 이해되며, 그래서 창조에는 환희가 수반된다고 말하게 된다. 베르그송주의에서의 창조란 선재하지 않았던 무엇인가를 생겨나게 하는, 예견불가능하며 의외성으로 가득찬 행위이다. 베르그송은 제도적 수법을 극복한 라베송의 심리적이며 자유회화적인 데생교육사상을 높이 평가하였다. 그것은 기계적인 제작방법에 의존하지 않는 자유로운 정신활동이야말로 창조성을 계발할 수 있음을 인식시켜주었다. 우리는 이러한 창조적 예술교육 사상의 맹아가 이미 19세기 후반 데생교육론에서 싹트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그 이념이 베르그송의 사상으로서 이어지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베르그송의 창조성 이론은, 창작자의 심리를 중심에 두고 개성의 발로를 존중하는 예술교육 이념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수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Bergson"s philosophy of creation and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modern aesthetics, through examining his concept of creativity which has influenced on the idea of contemporary art education. Therefore, I will inspect the traits of the concept of creation, namely the irreversible and the unpredictable, and to make a comparison between science and art and between fabrication and creation from the viewpoint of psychological philosophy on the meaning of human creative activity. Further, I will grasp the valuable meaning peculiar to spontaneous creative activity which is connected with the realm of art education. According to Bergson, creation is an activity in the process of becoming, and both of becoming and evolving are the continuity of creation. The phenomena of becoming is unreversible and the same kind of creation cannot be repeatable. He seeks for the incessant creative power in the artistic activity of painter and sculptor. Further, he mention that human being should be an artist or artisan who makes one"s own life, and be an existence continuously operating in order to produce original figure. Aesthetic intuition and artistic creation are inseparably related to each other. Spontaneous active behaviour facilitates the manifestation of creativity. Creative activity accompanies the divine great joy. Therefore, the practical dessin education aiming at drawing a draft or map has not concerned with originality or creativity. Bergson highly appreciated Ravaisson"s idea of dessin education which advocate the unrestricted expression in free painting instead of mechanical technique useful for practise. We could confirm that this idea of free painting put forth buds of creative art education, and is linked together with Bergson"s thoughts. Bergson"s theory of creativity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to lay the foundation of art education that respects the expression of individuality and personal psychology.

      • KCI등재

        중국 근대불교에 미친 베르그송 철학의 영향

        김제란 한국불교학회 2021 韓國佛敎學 Vol.98 No.-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Bergson's philosophy on Modern Chinese Buddhism, focusing on modern Consciousness-Only theory and Neo Consciousness-Only theory. Bergson's philosophy was accepted as anti-feudalist in the early thoughts of Lee Dae-jo and Jin Dok-soo during the May Fourth Movement. It is presumed that this acted as a positive factor for Bergson’s philosophy and helped it to be actively accepted. In the study of Consciousness-Only theory that took place along with the revival of Modern Chinese Buddhism, it was judged that Bergson's philosophy and Consciousness-Only theory helped to clarify each other's ideas. However, in new Consciousness-Only theory, there are aspects of Bergson's philosophy which are both accepted and criticized. New Consciousness-Only theory and Bergson's philosophy have many similarities regarding substance-function theory and methodology. They both consider the universe as a dynamic force of life and the mechanism of non-stop creation. They classify the universe into two types of forces: life energy and material energy. The two theories also utilize a similar philosophical methodology. However, there is one great difference between the two ideas. According to the main theory of new Consciousness-Only theory Bergson’s theory of substance is instantaneously both alive and extinct. Life is also different from blind impulses and congruent impulses. Furthermore, moral cosmology raises questions against Bergson’s immoral universe. This paper maintains that these differences are more important than the similarities. This is because the decisive difference between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y depends on whether the universe is viewed as moral or non-moral. Xiong Xhi-li proclaimed that modern Confucianism and modern Buddhism are superior to Western philosophy. 이 글은 중국 근대불교에 미친 앙리 베르그송(Henri Bergsong, 1859-1941)의 철학을 웅십력(熊十力, 1885-1968)의 신유식학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베르그송 철학은 5.4 신문화운동 시기에 이대조, 진독수의 초기 사상에서 반(反)봉건주의 역할을 하며 받아들여졌다. 이는 베르그송 철학에 대한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여 이후 적극적인 수용에 도움이 되었으리라 짐작된다. 중국 근대불교의 부흥과 함께 일어난 유식학 연구에서는 베르그송 철학과 유식학이 서로의 사상을 분명히 밝히는 데 도움이 된다고 판단하여 함께 연구가 진행되었고, 웅십력 신유식학에서도 베르그송 철학이 새로운 철학의 완성에 활용되었다. 신유식학에서는 베르그송 철학에 대한 적극적인 수용의 측면과 비판의 측면이 동시에 존재하였다. 신유식학과 베르그송 철학은 본체론과 방법론에서 유사한 점이 많다. 우선 두 사상은 우주를 생명의 약동, 쉬지 않고 생성하는[生生不息] 메카니즘으로 동일하게 파악하고, 우주를 생명 에너지와 물질 에너지, 또는 흡벽(翕闢)이라는 두 가지 힘으로 분류하며, 직관과 성지(性智)라는 유사한 철학적 방법론을 가진다. 동시에 두 사상은 차이점도 크다. 본체론에서 베르그송의 지속에 대하여 신유식학에서는 찰나에 생멸하는 것으로 보고, 생명 역시 맹목적 충동과 합목적적 충동으로 차이가 나며, 베르그송의 무도덕적 우주에 대해 신유식학은 도덕적 우주론을 제기하였다. 논자는 이러한 차이점이 유사점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동서양 철학의 결정적 차이가 우주를 도덕적인 것으로 보는가, 도덕과 관련없는 무도덕적인 것으로 파악하는가에 달려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베르그송 철학의 수용과 비판을 통해 웅십력은 결국 서양철학보다 현대신유학, 또는 현대신불교가 보다 뛰어난 사상임을 천명하였다.

      • KCI등재

        베르그송의 웃음 이론의 재조명- 신경생리학적 접근과의 비교를 통해

        김효(Hyo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6 외국문학연구 Vol.- No.61

        베르그송의 저서, 『웃음, 희극의 의미에 관한 시론』은 지금까지 생산된 웃음의담론 중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이론서 중의 하나이다. 웃음에 대한 단편적인분석은 고대 그리스 시대 이후 다양한 논자들에 의해 이루어졌지만, 베르그송은웃음의 구체적인 메커니즘을 일관된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에 따라 웃음의 다양한양상을 분류하고 설명함으로써 그가 선보인 담론은 웃음 현상의 분석도구로서 유용한 측면을 많이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르그송이 개진한 웃음의 이론은 그의 철학을 너무 대칭적으로 투사시킴으로써 보편적인 타당성을 획득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하지만 본 논문은 베르그송의 웃음이론에서 그의 철학적인 용어 아래 놓여 있는의미의 본질을 파악한다면 베르그송의 웃음이론이 보다 보편 타탕한 웃음의 분석도구가 될 수 있으리라는 가설적 판단으로부터 출발한다. 말하자면 본 논문은‘베르그송의 웃음담론 다시 읽기’를 하고자 하는 것인데, 신경생리학적인 웃음담론과 비교하는 방식을 취했다. 신경생리학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웃음 담론은신경에너지의 발생과 소모라는 측면에서 웃음에 접근하기 때문에 여타의 웃음 담론에 비해 관념성이 축소되고 물질적인 데 근거하여 원초적 타당성을 확보하는이점이 있다.베르그송의 웃음 담론의 핵심 명제는 “생명에 부여된 기계적인 것이 웃음의 동인”이라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 명제가 의미하는 바를 신경에너지의 관점에서 재해석 한 결과, ‘생명이 기계적인 것으로 전락한다’는 것은, ‘복잡성이 단순한 것으로’, ‘강한 것이 약한 것으로’, ‘어려운 것이 쉬운 것으로’ 변모하는 것을 의미하는 일종의 개념적 은유라는 것을 밝혀냈다. Laughter: an Essay on the Meaning of the Comic by Bergson is one ofthe most frequently quoted discourses related to the phenomena oflaughter. However, it has been exposed to strong criticism because histheory is too inextricably mingled with his philosophy and has limitationsin acquiring objective validity.This article starts with a hypothesis: If the essential significance inBergson’s laughter theory that his philosophical terminology contains iscompletely understood, Bergson’s theory will become an objective tool to analyze laughter phenomena.In brief,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re-read the theory oflaughter by Bergson in comparison with the neurophysiological approach.A theory of laughter approached from the point of neurophysiology hasan advantage in acquiring validity through its argument based onmaterialism, because it diminishes ideality compared to other theories oflaughter by focusing on generation and consumption of nerve energy.The key proposition in the theory on laughter by Bergson is thatlaughter is caused by “something mechanical in something living”. Thisarticle interprets this proposition from the neurophysiological viewpointto reveal that it is a conceptual metaphor implicating three aspects:simplicity in complicity, fragility in strength, and easiness in difficulty.

      • KCI등재

        베르그송의 ‘지속’과 세잔의 ‘시간 이미지’: 큐비즘에의 영향을 중심으로

        전영백(Chun, Young Paik) 서양미술사학회 2021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54 No.-

        폴 세잔은 미술사에서 “시간의 이미지를 나타내려 한 최초의 모던 화가”라는 평가를 받는다. 회화에서 시간의 지속성을 표현할 수 없다는 관습적 사고를 깨고 대부분의 모던 아티스트들이 달성하지 못한 미술의 과업을 이루었다고 인식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의 회화를 시간성을 이론화시킨 대표적 철학자 앙리 베르그송과 연결시킨 연구들이 진행되어왔다. 그러한 연구들은 베르그송의 이론은 특히 시간의 ‘지속’ 안에서, 지속을 통해서만 리얼리티에 가장 확실한 접근을 할 수 있다고 논증한다. 그리고 세잔의 회화는 ‘순간의 연속’이 아닌 “지속으로서의 시간”을 회화적으로 구현하는 데에 성공했다고 본다. 베르그송이 강조한 유동적 리얼리티에 대한 시각적 비전은 특히 세잔의 말기 풍경화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세잔의 말기와 베르그송의 전성기가 겹쳤던 20세기 초에 집중하여 세잔과 큐비즘, 그리고 베르그송의 연관을 다룬다. 다시 말해, 큐비즘과 베르그송의 연관을 세잔으로부터 영향 받은 구체적 표현방식을 통해 논의하는데, 특히 세잔 회화에서 표현된 시간의 이미지가 어떻게 큐비즘 작가들에게 수용되었는가에 주목한다. 세잔은 자신의 회화에서 견고한 구조와 입체성을 포기하지 않고 유동적 흐름과 시간의 지속성을 표현하는 데 성공했는데, 알프레드 바아가 칭송한 ‘세잔적인 진행’은 구체적으로 브라크와 피카소의 작업에 영향을 주었다. 이는 형태들 사이의 경계를 흐리고 인접한 면들끼리 서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오브제들이 서로 분리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살롱 큐비스트가 수용한 베르그송의 미학은 ‘역동적 형태’였는데, 이들이 그 표현적 지침으로 삼았던 세잔의 회화는 분리되지 않은 의식으로 자연에 접근하여, 시·공간에서의 물질이 지닌 이질적 변형에 주목하여 이를 표상하였다. For Bergson reality itself was conceived as a changing process, having an essentially temporal character. Reality as duration is continuous becoming in time. Cézanne in his late period since 1890’s had been developing more loose and flexible in the painted texture. His work represented itself as the pictorial equivalent of the Bergsonian concept of space taken in the mode of time. In his late landscape paintings, Cézanne achieved the pictorial realization of time as duration rather than as instantaneous succession such as Impressionist’s serial paintings. With Cézanne, space is gradually discovered in a process of becoming which involves the memory of successive experiences of space. Cézanne’s work as such was adapted by the Cubists who are the early cubists such as Braque and Picasso on the one hand, and the Salon Cubists including Gleizes, Metzinger, and Severini on the other. For the former, they were influenced by ‘Cézanne’s passages,’ that is, the breaking of a contour so that the forms appear to merge with space. For the latter, they learned dynamism of form from Cézanne with which they tried to constitute his type of spatial extensity, amorphous space. In doing so they attempted to get access to Bergsonian reality through visual representation.

      • KCI등재

        앙리 베르그송의 ‘생명’ 개념에 대한 소은 박홍규의 분석

        이정우(Lee, Jeong-Woo)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4 철학사상 Vol.54 No.-

        한국에서 앙리 베르그송의 생명철학은 신남철 등이 활동하던 20세기 전반에 이미 꾸준한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그리고 ‘생명의 약동’ 개념으로 대변되는 그의 생명 개념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이해가 확보되어 있다. 그러나 소은 박홍규는 서구 존재론사를 바라보는 넓은 시야와 특유의 존재론적 분석력으로 베르그송 생명 개념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 주었다. 소은은 서구 존재론사를 플라톤과 베르그송을 두 축으로 놓고서 해명해 나갔으며, 특히 플라톤과 베르그송의 존재론/우주론을 심층적으로 비교하는 안목을 제시했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소은이 분석한 베르그송 사유에서 특히 생명개념을 둘러싼 플라톤과 베르그송의 차이를 음미해 보고, 베르그송이 어떤 의미에서 현대 생명철학의 수립자인가를 생각해 본다. 그리고 이런 논의의 토대 위에서 베르그송이 생각한 자유의 개념은 무엇인가를 살펴본다. In Korea the bio?philosophy of Henri Bergson has been an object of continual interest of scholars, including Nam?Chul Shin, since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And his conception of life, represented by the concept of “elan vital,” is generally understood generally on some level. However, So Woon Park Hong?Gyu has made us grasp Bergson’s conception of life more deeply through his broad vision into the history of occidental ontology and his outstanding power of ontological analysis. So Woon explicated this history by focusing on two axes and the two figures of Plato and Bergson. He also provided us a profound perspective to compare the ontology and cosmology of Plato and Bergson. This article scrutinizes the differences between Plato and Bergson regarding their conceptions of life, and appreciates the position of Henri Bergson in the contemporary problematics of bio?philosophy; and upon this base, this article investigates what the concept of freedom is in Bergson.

      • 베르그송의 `직관` 개념과 화이트헤드의 철학

        장효진 ( Jang Hyo Jin )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17 화이트헤드 연구 Vol.34 No.-

        본 논문은 베르그송의 직관 개념을 화이트헤드가 자신의 철학 내에서 물리적 목적의 개념과 동일시한 것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베르그송의 직관 개념은 유동성-존재 자체를 그 대상으로 하며, 기능적으로는 형이상학을 유동적 존재 위에 정초한다. 하지만 화이트헤드는 여전히 개념적 내용을 대상으로 하는 물리적 목적이라는 개념을 베르그송의 직관과 동일시하는 오류를 범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화이트헤드 철학의 개념 중 베르그송의 직관개념과 유사한 것이 있는지 찾아본다. 이 글은 인과적 효과성의 지각 양태 베르그송의 직관 개념과 유사할 소지가 있다는 전제 하에 그 개념을 추적해 보지만 이 개념에게서 베르그송의 직관 개념과 유사한 그 어떠한 흔적도 발견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철학적 방법론으로서 직관의 유무에 따라 철학을 두 갈래로 정리하고 화이트헤드의 철학 체계는 철학적 방법론이 부재한 철학의 유에 속한다는 사실을 보임으로써 베르그송의 직관 개념이 화이트헤드의 철학 내에 부재한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입증한다. This paper begins with a critical view of that A. N. Whitehead identified the concept of physical purpose in his own philosophy with the concept of intuition of H. Bergson. The concept of intuition of Bergson has fluidity-Being itself as it`s object, so that founds metaphysic functionally on the fluid Being. However, Whitehead made a mistake to identify physical purpose which still has conceptual contents as objects with Bergson`s intuition. Therefore, this thesis tried to find out some concepts in the Whitehead`s philosophy which is similar with the concept of intuition of Bergson. This paper has traced causal efficacy based on a premise of that it could be similar with Bergson`s intuition, but this paper failed to find out any similarity between them. Thus, this paper has defined the boundary of two types of philosophy based on whether it has the concept of intuition or not, and Whitehead`s philosophy belonged to the type of philosophy lacked intuition. As a result, this paper could demonstrate indirectly, there is not any concept in the whitehead`s philosophy which is similar with Bergson`s intu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