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형사소송법 교육의 현황과 향후 방향에 대한 검토 : 법학전문대학원 교육을 중심으로

        박정난(Park, Jung-Nan) 한국형사소송법학회 2021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Vol.13 No.4

        법학교육은 법조인 양성교육이라는 한 축과 순수한 학문으로서의 법학교육 및 학문후속세대의 양성이라는 또 다른 축으로 이루어져 있고 형사소송법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교육은 교육을 통한 법조인 양성이라는 제도 도입취지에 맞추어 수수한 학문으로서의 교육이 아닌 법조인 양성에 부합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렇다고 법조인 양성에 부합한 교육이 변호사시험에 합격시키기 위한 교육은 아니고 결국 국민들에게 양질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적인 법조인으로 교육시키는 것이라고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론교육에 있어서는 사례 중심으로 관련된 각종 법률서식을 강의자료로 활용하여 현실 속에 살아 숨쉬는 교육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특히 형사소송법은 다분히 실무적인 절차법이라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그리고 기본적이고 중요한 판례를 엄선하여 판결요지만을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사실관계부터 결론도출까지 철저히 분석하여 학생들에게 법리를 실제 사건에 적절히 적용하여 결론을 이끌어내는 법적 사고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형사수사 및 재판에서 매우 중요한 사실인정에 대한 교육이 실무교육의 핵심이 되어야 하고 이와 더불어 과거 사법연수원 체제에서의 전문과목을 참고하여 형사실무과목을 보다 다양하고 실효성 있게 개편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법학전문대학원 교육의 정상화를 위하여는 변호사시험의 출제경향을 개선하고, 변호사시험을 자격시험하는 것이 필요하며 더불어 학부 법학과를 부활시켰을 때 얻게 될 시너지 효과(synergy effect)가 더 크다고 생각된다. 학부 법학과의 부활은 법학전문대학원에서 좀 더 전문적인 법조인을 양성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기반인 동시에 보다 많은 법학자들이 법학을 연구할 수 있는 기반이 되어 줄 수 있다. 또한 학문후속세대에 진입할 인재들의 역량을 끌어올리고 추후 이들 중 우수연구인력이 꿈을 펼칠 수 있는 터전이 될 수 있다. 결국 법학교육의 정상화를 위하여는 학부 법학과, 법학전문대학원, 일반대학원의 각 시스템이 그 제도의 목적에 맞게 운영되어야 한다. Legal education consists of two axes as the Criminal Procedure Act does: one axis of legal profession s education training and another axis of training of legal education and academic futural generations. Legal education at the Law Schools should be conducted appropriate education to train legal professions with the purpose of legal professional training through the education, not as purely academic education. However, the appropriate legal professional education is not for the passing bar exam. It is for training legal profession to five food quality of legal service to the people. For this purpose, in the theory education, it is considered that giving the alive education which lives in our reality by using course materials related to case-based legal formulas. Specifically, it is true in the Criminal Procedure Act, because it is a highly practical procedural law. In addition, the education of the Law School not only selects basic and significant cases and memorizes summary of their judgment, but also analyzes from the fact to the conclusion thoroughly so that the student can develop their legal mind to conclude by applying legal principles to the cases. Moreover, the education of fact-finding, which is important in criminal investigation and trials, should be the core of practical education. Additionally, the Criminal Procedure subjects need to be reorganized more diverse and effective by referring to specialized subjects under the system of Law Institute. For the normalization of Law School education, we need to change the tendency of the bar examination and make the bar examination to the qualifying examination, moreover, I think there will be a great synergy effect when the “Department of Law” is revived. The revival of the Law Department can be the foundation of conducting various educations to train specialized legal professions and place for the many jurists to study law. And then, it can be the foundation for talented people to future academic generation and for some outstanding researchers to achieve their dream. Therefore, for the normalization of law education, each system of the Department of Law, Law School, and Graduate School of Law should be operated for the purpose of the system.

      • KCI등재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 소장 "신문절발(新聞切拔)"의 제작 주체와 특징

        정상우 ( Sang-woo Jeong ) 한국사회사학회 2015 사회와 역사 Vol.0 No.105

        현재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에는 1928년부터 1940년까지 제국일본의 판도에서 발간되었던 70여종의 신문에서 106,000여 건의 신문 기사를 발췌하여 정리한 ‘新聞切拔’이라는 자료가 소장되어 있다. 이는 경성제대의 연구 기관에서 연구를 위한 자료로서 수집·정리된 것이기 때문에 그 구성과 포함하고 있는 신문기사의 추이를 통해 학문적 관심의 변화와 연구 자료의 획득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자료는 제작 시기나 분량의 방대함에 비해 이에 관한 관련 기록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 논문은 이를 누가 정리했으며, 그 기본적인 특징이 무엇인가에 대한 것이다. 新聞切拔과 관련해서 현재 확인되는 것은 그것이 경성제대 부속도서관에 있었으며, ‘法文學部 法學科 附屬資料室’에서 관리하고 있었다는 것 정도이다. 新聞切拔은 ‘朝鮮關係’, ‘滿洲關係’, ‘國際關係’, ‘政治關係’, ‘支那關係’, ‘書評’, ‘學藝’라는 총 7개의 대주제 하위에 수많은 소주제로 분류되어 있다. 그런데 소주제 분류는 통일되지 않은 채 해마다 변동되며 분류 항목 간에 중복이 많다. 이는 新聞切拔이 어느 한 기관에서 제작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말해 준다. 단 제작 시점, 당시 附屬資料室의 자료 관리 실태, 경제·산업 관련 주제에 대한 집중, 신문을 정리할 수 있는 인력의 확보 등의 측면을 고려할 때 경성제대 법문학부 법학과에 속해 있던 朝鮮經濟硏究所(1928년 창립)가 그 제작에 깊게 관계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만주사변 이후 新聞切拔은 큰 변화를 보인다. ‘滿洲關係’, ‘國際關係’, ‘政治關係’라는 새로운 대주제 분류가 등장할 뿐만이 아니라 기존의 ‘朝鮮關係’ 역시 기사량이 폭증함은 물론 만주, 일본, 대만 등지에서 발간된 신문의 활용이 두드러진다. 즉 양적 증가와 더불어 당시 제국 일본의 판도를 라 할 수 있는 지역에서 발간된 신문들(주로 일본어 신문)을 포괄하게 된 것이다. 이는 만주사변이 불러일으킨 학문적 관심의 확대와 경성제대의 학문적 지향의 변화를 반영한 것이다. 이는 식민지기 일본인 연구자들이 말했던 ‘朝鮮學’의 의미 변화, 당시 경성제대를 둘러싼 학계의 분위기, 만주사변 이후 대만과 조선에 대한 제국의 시각 등을 파악·비교하는 데에 단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또 분량은 적지만 각각 1,000여 건이 넘는 기사가 정리된 ‘書評’과 ‘學藝’는 최근 피어오르는 식민지기 학술사 연구와 관련하여 기여하는바 다대한 것이라고 하겠다. 이처럼 新聞切拔은 식민지기 제국의 學知를 연구하는데 있어 단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자료의 보고이기도 하다. 특히 현재 소장 상황이 불분명하거나 한국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지방 신문들이나 만주 지역 발간 신문의 기사를 무수히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볼 때 新聞切拔은 기존의 연구를 수정·보완하는 근거이자 식민지기 지방사나 언론사 연구에도 많은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Library has a massive body of materials called ‘Newspaper Scraps(新聞切拔)’, roughly 106,000 articles, which were selected and arranged from approximately 70 newspapers published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from 1928 to 1940. Their organization and thematic trends can reveal the changes of scholarly interest and the sources of material since several research institutes of the Keijo Imperial University(KIU) were involved in collecting and editing them. At present, however, there remain scarcely any records relevant to them. The essay is about the editorship and basic features of these materials. What is now confirmed is that they had been in the KIU library and managed by the reference room attached to its department of law-literature. The scraps were then divided into seven major topics(‘Joseon Affairs’, ‘Manchurian Affairs’, ‘International Affairs’, ‘Political Affairs’, ‘China Affairs’, ‘Book Review’, and ‘Art and Science’) and lots of minor topics. The minor topics are not consistent, changing yearly, and there is much overlapping among them, suggesting that it was not the case that they were arranged by one specific institute. Considering various aspects like the time of their production, the reference room’s conditions of data-management, the emphasis on economic and industrial topics, and personnel problems, it is highly probable that Joseon Economic Research Institute(朝鮮經濟硏究所), which had been founded in 1928 and belonged to the department of law-literature, took a leading part in producing them. Meanwhile, the scraps underwent a large change after the Manchurian Incident. Not only categories like ‘Manchurian Affairs’, ‘International Affairs’, and ‘Political Affairs’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this period, but also the number of articles in the existing category ‘Joseon Affairs’ increased sharply, and the importance of the articles from the newspapers published in Manchuria, Japan, and Taiwan became remarkable. Along with an increase in quantity, the scraps came to cover the newspapers(mostly in Japanese language) published within the entire regional boundary of the Japanese imperialism. It reflected the expansion of scholarly interest and the change in the academic orientation of the KIU which the Manchurian Incident brought about. This circumstance can provide a significant clu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changes in meaning of ‘Joseon Studies’(朝鮮學) considered by Japanese scholars, the academic atmosphere of the KIU, and the Japanese imperialistic views on Taiwan and Joseon after the Manchurian Incident, and other issues. Comparatively small as they are in volume, the categories of ‘Book Review’ and ‘Art and Science’, over 1,000 articles respectively, can offer a promising opportunity to study a recently rising field, the academic history of the colonial period. It is clear that the scraps give us a valuable chance to investigate the learning of the colonial empire, and in itself are a rich repository of new data. Especially, they include a vast amount of articles from local and Manchurian newspapers that it is now hard to find in Korea or about whose possession our information is very uncertain. All things considered, the scraps will function both as a useful ground for correcting and complementing the existing research and as a helpful reference for the studies of local history and history of media.

      • KCI등재

        법과대학 폐지 이후 학부에서의 법학교육

        김정현 한국법교육학회 2018 법교육연구 Vol.13 No.3

        Beginning in 2018, fostering legal professionals has become fully integrated with the bar exam, where only graduates of law schools can apply, and existing law schools have disappeared from the school in which law schools are installed. This has led to a significant change in law education in the undergraduate department, which has been in charge of law schools. The abolition of law departments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law school system has led to a contraction in the law education system in universities. This has caused problems that run counter to the lack of law education, poor education in specialized law schools, and the trend of convergence of academic fields. But at this point, it is a matter of careful approach as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law school system will be abolished and returned to the past. It is time for the current system to consider ways to revitalize undergraduate law education. Although law schools have been tasked with fostering professional law schools, there is a clear social demand for undergraduate law education as there are areas requiring talented people with legal knowledge. It is necessary to set goals and prepare education courses to satisfy this. The importance of living law education for democratic citizens as well as professional law education and research should not be overlooked. We need to diversify and strengthen the liberal arts department, and develop new law classes in line with the changing times. Reform of education courses and improvement of institutions are required. 2018년부터 법조인 양성은 법학전문대학원 졸업생들만 응시할 수 있는 변호사시험으로 완전한 일원화가 되었고, 기존의 법과대학은 법학전문대학원을 설치한 학교에서는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이로써 법학전문대학원 도입 이후에도 법과대학이 그동안 담당했던 학부에서의 법학교육에 크나큰 변화가 있게 되었다. 법학전문대학원 제도의 도입으로 인한 법학과 폐지는 학부에서의 법학교육 위축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는 법학소양교육의 부재, 전문법학교육의 부실화, 학문의 융합화 추세에 역행하는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그렇다고 현 시점에서 법학전문대학원제도를 폐지하고, 과거로 회귀하자는 것은 상당한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사안이다. 현 체제에서 학부 법학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법학전문대학원이 전문법조인 양성을 전담하게 됐지만, 법학적 소양을 갖춘 인재를 요구하는 분야가 있기 때문에 학부 법학교육에 대한 사회적 수요는 분명히 존재한다.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목표 설정과 교육과정의 마련이 필요하다. 전문적인 법학교육과 연구 못지않게 민주시민을 위한 살아있는 법교육의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교양법학과목을 다양화하고, 강화해야 하는 한편, 시대변화에 발맞춰 새로운 법학 교과목을 개발해 가야 한다. 교육과정의 개편과 제도개선이 요구된다.

      • 법과학대학원 도입에 관한 연구

        유제설 ( Je Seol Yu ) 순천향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사회과학연구 Vol.16 No.2

        과학수사는 현대 사회에서 일어나는 복잡한 양상의 범죄를 해결하는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법과학은 과학수사에 적용되는 모든 학문분야를 의미하는 용어이다. 공판중심주의의 강화와 국민참여재판의 시행으로 과학적 수사기법을 통한 법의 집행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수사전문가들의 법과학적 지식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법과학을 체계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환경이 만들어져 있지 않다. 미국의 경우 AAFS 에서 법과학 교육의 기준을 제시하고 관리하는 등 국가가 법과학 교육의 수준을 직접 통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찰 교육기관에서 벗어나 대학 차원에서의 법과학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서 법과학 교육의 기준을 만들고 스스로 인증기관이 되는 것, 국제 기준에 맞는 법과학 프로그램 구성, 연구소 및 학회의 운영 등을 제안하였다. Recently, Korean society needs more scientific methods in a crime scene investigation, because serious crimes such as serial homicide and rape increase. Furthermore, court-oriented trials are consolidated and jury system begins in a part of cases. Forensic science means scientific knowledge applied to uncover factual truth in the criminal procedure. It is involved with a lot of field such as social science, natural science, law and so on. However, we don`t have any multidisciplinary course of forensic science. Universities have an ideal condition to run this specialized course because they have infrastructure such as experts and facilities of every field. In this connection, we have to establish the standard of forensic science education like AAFS of U.S. and run a private forensic science laboratory and institute.

      • 美國에 있어서 行政國家와 市民共和主義

        이동수 효성여자대학교 법정연구소 1997 법정연구 Vol.4 No.-

        Civic republicanism has evolved as a concurrence of liberal and republican theory that simultaneouly seeks to foster individual freedom from government-imposed values andfreedom collectively to define the values of the relevant political community. According to civic republicanism, the state acts legitimately only if it furthers the"common good" of the political community. Throughout this century, scholars have proposed various justifications for reliance on anadministrative bureaucracy to set basic government policy. Recently proposed constitutional models based on a revival of select aspects of republican political theory, however, mayprovide better justification for broad administrative policymaking authority. This thesis is controversial. Most proponents of civic republicanism have called forgreater legislative responsibility over government policy-setting ; others have advocated greater judicial control over political processes. Congressional procedures today, however, areunduly influenced by power political factions and are not capable of providing sufficient policy coordination to satisfy civic republicanism's mandate of deliberate decisionmaking. Administrative agencies, however, fall between the extremes of the politically over-responsive legislature and the under-responsive courts. With proper constraints on bureaucratic decisionmaking, the agencies' place in government the professional nature of the agencies's staff, and the procedures agencies have traditionally used to set policy suggest that the administrative state holds the best promise for achieving the civic republican ideal of inclusive and deliberative lawmaking.

      • KCI등재

        해방 후 지방에서의 법학교육 태동에 관한 연구 : 조선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영록(Lee, Young-lok)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 法學論叢 Vol.28 No.2

        이 글의 목적은 조선대학을 중심으로 해방 후 지방에서의 태동기 법학교육의 실제를 드러내고, 그 특징 및 역할과 의의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우리 법학교육사가 시기적으로는 해방 이전의 근대에, 지역적으로는 서울 중심의 시각에 치우져 있는 점을 교정해 보고자 했다. 조선대학의 사례를 통해 알 수 있었던 점은 해방 후 지방에서도 일제강점기 이래 이어져 온 법학교육에 대한 수요와 선망이 매우 크게 존재했다는 사실이다. 그런 수요에 부응하고 나선 것이 지역의 법조실무가들이었다. 이 점은 비슷한 시기 법학교육을 시작한 영남의 동아대학의 경우에도 나타나지만, 특히 조선대학의 경우는 극적이었다. 실무가들이 주도한 법학교육은 교과과정이나 수업내용에도 반영되었다. 일제강점기 경성제국대학의 법문학부의 영향이 전반적으로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실천적 실용성을 가미한 교과과정을 운영하였다. 그러나 법학의 실천성에 밀착하려는 이런 초기 학풍은 전쟁으로 인한 교육 기반의 붕괴, 무엇보다도 겸임일 수밖에 없는 법률실무가 교수들의 불가피한 이탈로 의미 있는 학문적 숙성으로 이어지기 전에 중단되고 말았다. 그 외에도 지방에서의 법학교육은 해방 후 갈 곳을 잃은 젊은 법학 엘리트들에게 연구와 교육을 계속할 수 있는 자리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로써 그들이 향후 우리 법학계의 대표적인 법학자들로 자라는 데도 일조할 수 있었다. 나아가 사회 곳곳에서 법학적 지식으로 사회 발전에 기여한 수많은 졸업생들을 배출함으로써, 열악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지역대학으로서 주어진 시대적 소임을 담당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cover the reality of legal education in the beginning period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centered on Chosun University, and to illuminate its characteristics, roles, and significance. I tried to correct the tendency in historical researches on legal education in Korea which had been tilted to pre-liberation period in time, and Seoul area in region. What I found was that in the provincial areas there was a very large demand and desire for legal education which had continued sinc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was the local law practitioners who responded to such demand. It l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ve practicality in the curriculum. And local law colleges provided the opportunity for research and education to young legal scholars, who could not have escaped stalling their careers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but would become prominent law scholars later. Besides, numerous graduates from law colleges in province contributed to the rebuilding of the nation with their legal knowledge in various fields of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

        건축법상 건축허가에 관한 건축위원회의 역할에 관한 법적 연구

        한상훈(Han, Sang-Hoon) 한국토지공법학회 2020 土地公法硏究 Vol.89 No.-

        건축은 국민들이 안전하고 쾌적하며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 데에 필수적인 생활환경을 형성하는 활동이다. 건축은 시간과 장소와 무관하게 사회의 공간적 체계를 형성한다. 공간은 본질적으로 사회적이며, 사회 역시 공간적이다. 따라서 건축의 공공적인 가치를 보호하고 장려하기 위한 건축 관련 법제도의 구성과 운영이 필요하다. 그런데 기존 건축규제는 획일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특히 건축허가를 위한 건축위원회의 심의 시 건축위원들의 주관적인 설계변경 요구로 허가과정이 불투명하고, 그 과정이 지연됨으로써 이와 관련된 민원이 최근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정부는 건축허가와 관련한 민원해소를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오고 있다. 기존 건축허가와 관련한 문제개선을 위한 정부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 문제에 관하여 건축실무자들은 현행 건축 인허가제도를 주관적 판단에 따라 자의적으로 이루어지는 심의제도라고 평가하면서, 건축허가 관련 심의제도를 전면 폐지하고 건축신고제도의 확대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건축심의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건축위원회의 역할을 건축법상 건축허가와 건축신고의 관점에서 검토해 보고, 검토 결과에 기초하여 최근 제기되고 있는 건축허가와 관련된 문제의 해결에 대한 법적 연구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현재의 건축위원회는 건축활동을 추구하는 민간영역과 이러한 건축활동에 대한 질서유지 및 관리·감독의 역할을 담당하는 행정영역의 중간지대에서 준사법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나 건축위원회와 관련한 법제적 기반은 그리 안정적이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현재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건축허가제 개선을 위한 가장 현실적인 대안은 기존 건축위원회의 기능과 역할을 사회변화의 흐름에 맞게 개선해 주는 일이 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법학 분야와 건축 분야의 공동연구 등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Architecture is an activity for constructing living environment essential for enjoying people’s healthy and pleasant life. Architecture forms spatial system for the society regardless of time and places. Space is naturally social and society is based on spatial system. Therefore, we need a legal system for encouraging and protecting public value of architectural activity in our society. But current building code runs under unitary condition and building permission process is unclear due to the frequent requests from architectural committee members. Because of these problems civil complaints for building permission increase dramatically recent days. To cope with these problems government implements various administrative efforts especially for the building permission affairs. However, despite of the government’s efforts field architecture considers the current architecture approving process as a rating system determined by committee members’ arbitrary decision. And they insist that it is necessary to abolish the current architecture approving process and to import architectural report system in order to encourage and protect public value of architectural activity in our society. Based on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examines roles of architectural committee in terms of the architecture approving and architectural reporting from architectural law’s perspective and provides future research direction for compromising issues related architecture approving and architectural reporting process. This study finds that architectural committee members exercise a quasi-judicial role in maintenance of order for architectural activities both in private and public sectors despite its weak legal stability. Finally, this study concludes that it is necessary to conduct co-work with architectural fields to solve current problems related to architecture approving process and enhance the positive role and function of architectural committee.

      • KCI등재

        행정법 판례형성에 있어서의 행정법학의 기여

        김남철 한국공법학회 2016 공법연구 Vol.44 No.4

        Im Gesichtspunkt von Gewaltenteilung steht die Verwaltungswissenschaft zur Gesetzgebung, Justiz und Verwaltung in engen Beziehungen und alle Hadeln haben gegensitig entwickelt, als sie miteinander beeinflußt haben. Allerdinggs hat die Verwaltungswissenschaft durch die Forschungen über die Verwaltungspolitiken und die inländischen und ausländischen Rechtsinstrumente und die Beteiligung der Rechts- wissenschaftler an der Verwaltung der Gesetzgebung und der Verwaltungs- praxis viele Einflüsse gegeben. Aber mit der Verwaltungsrechtsprechung sthet die Ver- waltungswissenschaft insbesondere im ziemlich engen Zusammengang. Alle Rechts- dogmatik und -theorien der Verwaltungswissenschaft sind in den Rechtß sprechung widerspiegelt. Umgekehrt gibt die Verwaltungsrechtsprechung der Verwaltungswissen- schaft die ausfährlicheren Entscheidungsmaßstäbe in den konkreten Fällen und diese können u.U. nachher als Theorien festgelegt werden. Davon hat diese Abhandlung liegt den Schwerpunkt im Beitrag der Verwaltungsrechtswissenschaft zu den Verwaltungs- rechtsprechungen. Es ist unsicher aber man kann sagen, daß im Allgemeinen die Rechtslehren im Bereich des allgemeinen Verwaltungsrechts inbs. über Gesezmäßigkeitsprinzip der Verwaltung, allgemeine Grundsätze der Verwaltungsrechts, Lehre des subjektiven, öffentlichen Rechts, Schutznormtheorie, Lehre der Verwlatungsakt, Überkommen der Defekte der Verwaltungsakten, Grenzen der Gesetzgebungsermächtigungen, Verwal- tungsplanung usw. auf die Ausbildung der Verwaltungsrechtsprechungen bedeutsame Wirkungen ausgeübt haben. Aber, im Bereich des Verwaltungsrechts, wie z.B. Zurückführung der Gesetzeswirkungen, öffentlch-rechtliche Verträge, Verwaltungs- verfahren, Öffentlichkeit der Verwaltungsinformationen, Verwlatungsentschädigung usw. sind die Einflüße der Rechtsprechung relativ groß. Um die Verwaltungswissenschaft in der Zukunft zu den Verwaltungsrechtspre- chungen etwas mehr beizutragen, sind die Vertiefung der Forschung, die Diversifikation der Forschungsmethode und die Ausdehnung des Ausmasses der Verwaltungs- wissenschaft und ferner die Erweiterung der Austauschmöglichkeiten zwischen Wissenschaft und Prozeß und die Spezialisierung der Verwaltungsrechtsprechung durch die Spezialisierung der Verwaltungsgerichten zu verwirklichen. 행정법학은 삼권분립의 측면에서 입법ㆍ사법ㆍ행정의 모든 작용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면서 각 작용과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발전하여 왔다. 먼저 행정법학은 행정정책이나 외국의 법제도 등에 대한 활발한 연구와 학자들의 행정참여를 통하여 우리나라 입법이나 행정실무의 발전에도 매우 큰 영향을 주었지만, 아울러 행정법학은 -다른 법학분야와 마찬가지로- 사법작용과도 떼려야 뗄 수 없는 밀접한 관계 속에 모든 행정법 분야에서 행정판례와 상당한 정도의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상호 동반 발전하여 왔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 가운데에서도 특히 ‘행정법학이 행정판례에 미친 영향’이라는 관점에 초점을 두어 행정법의 분야별로 몇 가지의 판례들을 검토하면서 이론과 판례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행정법의 전 분야에서 법학이 재판에 영향을 미친 경우를 명확히 가려내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대체로 법치행정의 원리ㆍ행정법의 일반원칙, 공권론, 보호규범이론, 행정행위론, 하자의 승계, 위임입법의 한계, 행정계획 등의 행정법총론의 이론들은 행정판례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소급입법, 인가, 위헌․위법인 법령에 근거한 행정처분의 효력, 공법상 계약, 행정절차, 행정정보공개, 행정상 손실보상, 처분개념 등의 경우에는 판례도 학문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경우라고 생각된다. 한편 사인의 공법행위로서의 신고, 판단여지, 부관, 행정입법의 형식과 내용의 불일치, 이행소송의 허용성 등의 문제는 향후 이론과 판례 공히 논의의 여지가 여전한 분야라고 생각된다. 행정법각론 분야에서도, 예컨대 지방자치법 분야는 상당한 정도의 연구가 축적되어 있어 판례에도 큰 도움이 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행정법각론분야에 대해서도 그 동안 연구가 확대되고 있음에도 행정법의 총론분야에 비하면 각론분야는 판례의 영향을 받은 부분이 여전히 많다고 판단된다. 향후에도 행정법학이 판례형성에 더 많이 기여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이론과 실무 모두 상호 발전적인 관계를 모색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특히 행정법학의 입장에서는 주로 총론중심, 이론중심, 법제나 정책중심의 연구에서 더 나아가 그 동안 소홀히 다루어왔던 실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사건에 대한 유형적인 분석과 이를 통한 구체적인 해결기준이나 방안 탐구, 더 나아가 근본적인 해결방안으로서 사법제도의 개선방안 등에 대해서도 연구를 심화하거나 연구방법을 다양화하는 것이 필요하고, 또한 그 동안 현실적으로는 행정사건으로 자주 발생하는 중요한 사회적 문제이지만 이에 대한 관심 소홀로 연구대상에서 소외되어 왔던 고용노동ㆍ조세ㆍ군사ㆍ사회복지ㆍ도로교통 분야에 대한 행정사건들도 행정법의 연구범위에 포함시킴으로써 행정법학의 연구범위를 확장시켜야 한다. 그리고 행정재판의 입장에서는 법학자들에게 재판실무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이론ㆍ실무의 상호 교류라는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재판과정에 대한 이해는 곧 관심으로 이어지고 이에 대한 연구로 이어지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나아가 현재 서울에만 있는 행정법원을 전국화하고 이와 더불어 고등법원ㆍ대법원에도 행정전문법원을 설치하는 등 행정재판을 전문화하는 것도 행정법학과 행정재판의 동반발전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