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방 후 지방에서의 법학교육 태동에 관한 연구 : 조선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Beginning of Legal Education in Provincial Areas: With Special Regard to Chosun Univers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86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조선대학을 중심으로 해방 후 지방에서의 태동기 법학교육의 실제를 드러내고, 그 특징 및 역할과 의의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우리 법학교육사가 시기적으로는 해...

      이 글의 목적은 조선대학을 중심으로 해방 후 지방에서의 태동기 법학교육의 실제를 드러내고, 그 특징 및 역할과 의의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우리 법학교육사가 시기적으로는 해방 이전의 근대에, 지역적으로는 서울 중심의 시각에 치우져 있는 점을 교정해 보고자 했다. 조선대학의 사례를 통해 알 수 있었던 점은 해방 후 지방에서도 일제강점기 이래 이어져 온 법학교육에 대한 수요와 선망이 매우 크게 존재했다는 사실이다. 그런 수요에 부응하고 나선 것이 지역의 법조실무가들이었다. 이 점은 비슷한 시기 법학교육을 시작한 영남의 동아대학의 경우에도 나타나지만, 특히 조선대학의 경우는 극적이었다. 실무가들이 주도한 법학교육은 교과과정이나 수업내용에도 반영되었다. 일제강점기 경성제국대학의 법문학부의 영향이 전반적으로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실천적 실용성을 가미한 교과과정을 운영하였다. 그러나 법학의 실천성에 밀착하려는 이런 초기 학풍은 전쟁으로 인한 교육 기반의 붕괴, 무엇보다도 겸임일 수밖에 없는 법률실무가 교수들의 불가피한 이탈로 의미 있는 학문적 숙성으로 이어지기 전에 중단되고 말았다. 그 외에도 지방에서의 법학교육은 해방 후 갈 곳을 잃은 젊은 법학 엘리트들에게 연구와 교육을 계속할 수 있는 자리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로써 그들이 향후 우리 법학계의 대표적인 법학자들로 자라는 데도 일조할 수 있었다. 나아가 사회 곳곳에서 법학적 지식으로 사회 발전에 기여한 수많은 졸업생들을 배출함으로써, 열악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지역대학으로서 주어진 시대적 소임을 담당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cover the reality of legal education in the beginning period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centered on Chosun University, and to illuminate its characteristics, roles, and significance. I tried to correct the tenden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cover the reality of legal education in the beginning period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centered on Chosun University, and to illuminate its characteristics, roles, and significance. I tried to correct the tendency in historical researches on legal education in Korea which had been tilted to pre-liberation period in time, and Seoul area in region. What I found was that in the provincial areas there was a very large demand and desire for legal education which had continued sinc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was the local law practitioners who responded to such demand. It l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ve practicality in the curriculum. And local law colleges provided the opportunity for research and education to young legal scholars, who could not have escaped stalling their careers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but would become prominent law scholars later. Besides, numerous graduates from law colleges in province contributed to the rebuilding of the nation with their legal knowledge in various fields of socie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Ⅱ. 조선대학의 설립과 초기 역사: 법학교육의 편제 변화를 중심으로 Ⅲ. 교과과정 Ⅳ. 교수진 및 수업내용 Ⅴ. 학생: 입학과 졸업 후 진로 Ⅵ. 맺음말
      • Ⅰ. 머리말 Ⅱ. 조선대학의 설립과 초기 역사: 법학교육의 편제 변화를 중심으로 Ⅲ. 교과과정 Ⅳ. 교수진 및 수업내용 Ⅴ. 학생: 입학과 졸업 후 진로 Ⅵ.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호남신문, 1948.7.6"

      2 이종길, "해방 후 부산지역의 대학설립과 동아대학 창학 및 법학교육의 전개" 법학연구소 (85) : 1-50, 2019

      3 임긍재, "한국교육사료집성 미군정기편 Ⅲ"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4 안호상, "한국교육사료집성 미군정기편 Ⅲ"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5 이정복, "한국 정치학의 변화와 발전방향" 9 : 1999

      6 이정희, "한국 정치학 60년: 회고와 전망" (5) : 2008

      7 정긍식, "한국 근현대 법학교과과정 변천사" 법학연구소 36 (36): 297-340, 2016

      8 조선대학교사 편찬위원회, "조선대학교오십년사" 조선대학교 1997

      9 송숙정, "일제강점기 조선과 대만의 중등교육 학제와 일본어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일본문화학회 (78) : 5-22, 2018

      10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창회,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백년사: 1895-1995" 2004

      1 "호남신문, 1948.7.6"

      2 이종길, "해방 후 부산지역의 대학설립과 동아대학 창학 및 법학교육의 전개" 법학연구소 (85) : 1-50, 2019

      3 임긍재, "한국교육사료집성 미군정기편 Ⅲ"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4 안호상, "한국교육사료집성 미군정기편 Ⅲ"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5 이정복, "한국 정치학의 변화와 발전방향" 9 : 1999

      6 이정희, "한국 정치학 60년: 회고와 전망" (5) : 2008

      7 정긍식, "한국 근현대 법학교과과정 변천사" 법학연구소 36 (36): 297-340, 2016

      8 조선대학교사 편찬위원회, "조선대학교오십년사" 조선대학교 1997

      9 송숙정, "일제강점기 조선과 대만의 중등교육 학제와 일본어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일본문화학회 (78) : 5-22, 2018

      10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창회,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백년사: 1895-1995" 2004

      11 강명숙, "미군정기 고등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12 "동아일보, 1946.6.8"

      13 동아대학교50년사 편찬위원회, "동아대학교 50년사" 동아대학교 1998

      14 "동광신문, 1947.6.7"

      15 강금희, "돈명이 할아버지" 공동선 2004

      16 정긍식, "근대 한국 법학교육 제도사" 한국법교육학회 10 (10): 97-140, 2015

      17 정준영, "경성제국대학의 유산 -일본의 식민교육체제와 한국의 고등교육-" 현대일본학회 (34) : 157-186, 2011

      18 "https://namu.wiki/w/%EB%B0%95%EC%B2%A0%EC%9B%85"

      19 "https://ko.wikipedia.org/wiki/%EC%9E%84%EA%B8%B0%ED%98%B8"

      20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76099&cid=46625&categoryId=4662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6-1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법학연구원 ->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영문명 : 미등록 -> The Legal Studies Institute of Chosun Universiry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55 0.63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