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약품 번역 정책에 대한 고찰: 의약품 회사를 중심으로

        김동미,김민경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2

        To mention today’s ‘translation’, it may be possible to discuss translation politics and policies in a macro manner, and micro manner it would be a general principle to study the style and phenomenon of translation patterns. As a macro part of the discussion, we will look at the government’s translation policies of medicines. As a specific and microcosm of this, I would like to look at the flow and results of transl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edical company. To carry out this study, we interviewed the employees of the medical companies that have imported and developed medicine to examine the specific government translation policy and the status of the translation that is being done by the medical company and to examine the translation result accordingly. This studies will be able to serve as a compass in presenting directions for medical translation policies in Korea and suggest what translation policies should be made in other area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governmen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translation and translation policies, including medicines. 오늘날의 ‘번역’(飜譯)에 대하여 언급을 하자면, 거시적으로는 번역 정치 및 정책에 대하여 논할 수 있겠으며, 미시적으로는 번역의 패턴에 대한 문체 및 현상을 연구하는 것이 일반적인 원리일 것이다. 본 논고는 거시적인 일환으로 의약품의 정부 번역 정책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이고 미시적인 사항으로 의약품 회사의 관점에서 보는 번역의 흐름과 결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의약품을 수입하거나 개발하는 회사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하여 구체적인 정부의 번역 정책과 의약품 회사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번역현황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번역 결과물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는 앞으로, 한국에서의 의약품 번역 정책에 대한 방향 제시에 나침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며, 타(他) 분야에서 어떠한 번역 정책이 이뤄져야 하는지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앞으로 정부가 의약품을 비롯한 전문번역 정책 수립에 방법을 제시하며 번역학계 연구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 논문의 의의와 목적을 둘 수 있다.

      • KCI등재

        지식 교류의 차원에서 본 근대 한국의 번역 문제 연구 ―번역 개념과 번역 정책을 중심으로―

        김경남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9 일본학연구 Vol.57 No.-

        This article aims at objectively describing the realities of translation problems and translation policies in modern Korea. Translation means translating articles from another language into another language and plays a key role in knowledge circulation and exchange. The use of this term is based on the JOSEONWANGJOSILROK(朝鮮王朝實錄), and it appears from before the 15th century, and it appears that the terms 飜譯, 翻譯, 繙繹 seem to have been mixed in Chinese characters. In addition to that, the modern translation scope included translating foreign language into Korean and translating into Korean-style Chinese text(漢文). Translation has an important function in communication and knowledge exchange. In this regard, various translation problems arise in the case of the modern age, where knowledge circulation has become active, and policy debates are emerging to solve them. However, the solution to this problem is different in modern China, Japan, and Korea. Nevertheless, it is noteworthy that this is a major phenomenon in relation to the policy and translation issues that emerged at this time, such as the compilation of Park Mun-guk’s(博文局) compilation the MANGUKJEONGPHYO(萬國政表).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translations in the textbooks of translated editions as well as the introduction of modern-style school system can be regarded as one of the national countermeasures. 이 글은 근대 한국의 번역 문제와 번역 정책의 실상을 객관적으로 기술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번역은 다른 언어의 글을 또 다른 언어로 옮기는 것을 말하며, 지식 유통과 교류의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 용어가 사용된 것은 조선왕조실록을 근거로 할 때, 15세기 이전부터로 보이며, 한자 표기로 볼 때 ‘飜譯, 翻譯, 繙繹’ 등의 용어가 혼재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뿐만 아니라 근대의 번역 범위에는 외국문을 국문(國文)으로 번역하는 것과 한문(漢文)으로 번역하는 것이 모두 포함되었다. 번역은 의사소통과 지식 유통 차원에서 중요한 기능을 갖는다. 이 점에서 지식 유통이 활발해진 근대의 경우 각종 번역 문제가 등장하며,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정책적인 논의가 등장한다. 다만 이에 대한 해결책은 근대 중국, 일본, 한국의 대응 방식이 다르다. 중국의 1868년 강남 제조총국 번역관 설립, 일본에서 번역과 관련된 문부성의 역할 등과 같이 근대 지식 유통 과정에서 정부의 역할이 강했던 데 비해, 한국의 경우 그러한 노력이 충분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1886년 박문국 편찬 『만국정표』, 1893년 오횡묵이 편찬한 『여재촬요』의 범례에 나타난 인지명 번역 원칙 등은 이 시기 등장한 대표적인 번역 문제이자 정책과 관련하여 주목할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근대식 학제 도입과 함께 학부 편찬 교과서 가운데 다수의 번역서가 존재하는 점도 국가 차원의 대응 방식 가운데 하나로 간주할 수 있다.

      • KCI등재

        중국 내 한국어 통·번역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정책의 변화 -MTI와 CATTI를 중심으로-

        임형재(Hyung Jae Lim)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21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11 No.1

        본 연구는 한국어 통·번역 인재양성 정책을 중심으로 중국에서 실시되고 있는 ‘한국어전공 4급과 8급(TKM4/8) 시험’, ‘한국어 MTI 교육과정’ 그리고 ‘한국어 CATTI 시험’을 살펴보고자 한다. 중국의 외국어교육 정책의 변화 방향에서 한국어교육도 예외가 될 수 없다. 한국어교육은 20세기 소수민족 언어로서의 조선어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라는 모호함을 벗어나 외국어 정책에 맞춰 TKM 시험이 실시되고, MTI 교육과정에 포함되었다. 그리고 2020년에는 국가 통·번역사 자격증인 CATTI에 한국어 편입되었다. 이로써 한국어는 다른 주요 외국어와 동일한 정책적 범주에서 다루어질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된 것이다. 하지만 CATTI의 한국어 편입이 모두 긍정적일 수만은 없다. 이 시험은 중국 정부의 교육 국제화 정책과 국가 공인 자격이라는 강한 경쟁력이 더해져 국내 한국어교육 현장에 적지 않은 영향력을 미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 문제는 한국어교육에서 TOPIK 6급 이상의 한국어 학습자에 대한 평가와 인증에 대한 준비가 필요함을 이야기 하고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evel 4 and 8 Exams of Korean Language Major (TKM4/8)”, the Korean MTI curriculum, and the Korean CATTI exams, which are being conducted in China, focusing on the Korea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professionals nurturing policy. Korean language is no exception in the change of China’s foreign language education policy.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carried out by foreign language policies, freeing from the ambiguity of the Chinese Korean language as a minority language and Chinese Korean/Korean as foreign languages in the 20th century, and was included in the MTI curriculum. In 2020, Korean was incorporated into CATTI, a national interpreter and translator certification. This laid the foundation for Korean to be dealt with in the same policy categories as other major foreign languages. However, CATTI’s inclusion of Korean language cannot all be positive.

      • KCI등재

        지식 유통의 관점에서 본 근대 동아시아의 번역 학술어 생성 · 변화 및 그 영향

        허재영 ( Heo Jaeyoung ) 한국독서학회 2018 독서연구 Vol.0 No.49

        이 연구는 근대 한ㆍ중ㆍ일 지식 교류 과정에서 대두된 번역 문제와 번역 정책, 번역 학술어의 생성ㆍ변화 및 그 영향을 고찰하는 데 목표를 두고 출발하였다. 근대 동아시아에서는 서구의 새로운 지식을 수용하기 위해 활발한 번역 활동을 전개했는데, 이는 근대화 과정에서 자국의 혁신을 위해 새로운 지식과 정보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그 과정에서 중국과 일본은 동문(同文) 한자어를 중심으로 다양한 번역 학술어를 창출했으며, 이는 같은 한자를 사용하고 있던 한국에도 적지않은 영향을 미쳤다. 이 논문에서는 근대 동아시아 번역 문제와 번역 정책, 번역 학술어 생성 과정 및 영향 관계를 고찰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번역 문제는 번역의 필요성과 번역 능력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일본과 중국의 사례를 검토하고자 했으며, 번역 정책에서는 한ㆍ중ㆍ일 모두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국가 주도의 번역 정책이 등장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일본과 중국과는 달리 국가 차원의 번역 정책이 큰 효과를 거두지 못했음도 사실이다. 번역 학술어 생성 요인은 원의와 역어의 의미상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살피고자 했으며, 그 과정에서 등장한 ‘기기명명설’, ‘논역서지법’, ‘논역서’ 등의 논의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번역 학술어는 한국에도 적지않은 영향을 준 것으로 확인되는데, 이 논문에서는 1885년 중국에서 발행된 『성신지장』과 1908년 한국에서 번역된 『□리학 초권』을 비교하여, 번역 학술어의 차이를 기술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first, aims to explore the translation problems and policies in East Asian countries(Korea, China and Japan) during the early modern time period. I studied the need for translation and translation skill during the time. East Asian countries to pay it because the Western knowledge and information required attention to its own innovation. In this time, Japan and China are involved in the translation problem. It is the difference in degree, but Korea is no exception. However, Korea was in the audience’s position as the latest opening. The foundation of technical term professional translation was created. I noticed the process of generation of translated words and the effects. I compared the SEONGSHINJIJANG(省身指掌, the Elementary Physiology -A textbook for Schools, written by Henry D. Porter, M.D.(博恒理) in 1885. This book published in China in 1904) with the SAENGRIHAKCHOGWUEON(生理學初卷, The human body and its health translated by Annie Baird in 1908). These books are all there is an index. The technical terms translated in Korea were the technical terms China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This is the adoption process and knowledge age, a reflection of the situation.

      • 국내 공공번역 정책에 대한 고찰 -공공 용어 번역을 중심으로-

        강미영 ( Kang Mi-young ),이은조 ( Lee Eun-jo ) 한국공공언어학회 2021 공공언어학 Vol.5 No.0

        이 글은 국내 공공번역 정책 현황을 공공 용어 번역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국내에 번역을 전담하는 기관이 없는 상황에서 한국어와 외국어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려면 관련 기관들이 공공번역의 기능을 체계적으로 분담하면서 분야별로 협업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이와 같은 공공번역과 관련한 국내 정책의 현황을 살펴보고 국립국어원의 공공번역 업무의 방향을 알아본다. 2014년 국립국어원은 공공번역 중에서 공공 용어 번역 업무를 담당하게 되었으며, 2020년 공공 용어의 외국어 번역 및 표기 지침 (문체부 훈령 제427호)을 제정함으로써 공공 용어 번역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였다. 따라서 이 글은 이 훈령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공공번역 개선 방안에 대해서 모색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translations of public terms and explores the policy status of the public sector translation in Korea.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communication between Korean and foreign languages in the absence of an institution monitoring the translation, it requires systematic collaboration among relevant institutions.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policy status of the translation in the public sector identifying the direction of the public sector translation work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Since 2014,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has been in charge of the public sector translation and the standard for translation of public terms has emerged with the enactment of the directive, Korean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Directive No. 427. The paper thus critically examines the enactment of the directive while seeking the measures to improve public sector translation.

      • KCI등재

        1950년대 번역가의 의식과 문화정치적 위치

        박지영 상허학회 2010 상허학보 Vol.30 No.-

        This study examined the consciousness of translators, the main entities in the domain of translation, and their cultural and political positions through inquiring into discussions about translations in the 1950s. Translations in the 1950s, the post-war national rehabilitation period, were media necessary to adopt modern knowledge of the West under the banner of Europeanism, liberal democracy, and anti-Communism. The translation policy raised urgently in the fervent hope of escaping from the status of a backward country brought about massive production of translated books and translation texts under the supports from the cultural policy of the United States which tried to mould the cultural consciousness system of Korea. As many intellectuals were mobilized to implement this policy, translators in the new intellectual profession began their activities. In the early stages, literary persons who belonged to the highest intellectual class were active as translators, and then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university system, the number of those who majored in foreign literature increased, and the group of translators was divided into writer translators and professor translators. Within this framework, diverse discussions such as literal translation/retranslation /translation from original text or formation of translation language were made and gradually translation theories and the consciousness of translators began to be established. In this process, the translators tried to escape from the stigma of ‘technician’ and obtained the pride of avant-garde unit to accommodate the new modern civilization. It was in this context that they were called ‘translation writers’ instead of ‘literature translators.’ As consciousness about translation grew and translators began to agonize over their identity, the translation criticism was made possible, and in this process discussions on translation were also being specialized. And the translators agonized over translation attitude in consideration of the circumstances of Korea at that time, and they came to present the importance of translation projects necessary from the viewpoint of ‘national situation.’ As a result, the contact point of cosmopolitanism, the most important keyword in the 1950s and the nationalistic recognition was formed by the translators. Such circumstances of the translators are scenes that show how the postwar anti-Communism and the nationalistic consciousness encounter the cosmopolitanism, i.e. Europeanism. It is because the phenomenon in which they struggle for their self- recognition on the basis of contribution to national culture and the properties of translators who can hardly become nationalists, based on what goes in and out of languages and essentially on cosmopolitanism, is generated, based on the special cultural and political basis in the 1950s. In other words, it shows the fact that the cosmopolitanism was not spiritual pursuit in the genuine sense that recognizes and accommodates others, but a mere Europeanism and that severe obsession with anti-Communism and nationalistic consciousness existed at that time. 본 연구는 1950년대 번역 논의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이 공간의 주체 즉, 번역을 수행하는 번역가들의 의식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 그 목적이다. 전후 국가 복구 건설 시기인 1950년대 번역은 서구중심주의, 자유민주주의, 반공주의라는 기치 아래, 서구의 근대 지식을 받아들이는 데 필요한 매개체였다. 특히 후진국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열망에 긴급하게 제기된 번역 정책은 한국의 문화적 의식 체계를 주조하려 했던 미국의 문화 정책의 지원을 받아, 많은 번역서와 텍스트를 양산하게 된다. 이 정책에 많은 지식인들이 참여하면서 새로운 지식인 직업군인 번역가들이 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초기에는 일제시대 최고의 인텔리 계층이었던 문인들이 번역가로 활동하다가, 이후 대학제도의 형성으로 많은 외국문학 전공자들이 등장하면서 이들과 교수번역가로 이원화된 번역가군이 형성된다. 그 안에서 직역/중역/원어역의 문제나 번역어의 생성 문제 등 여러 가지 논의들이 이루어지면서 서서히 번역론과 번역가 의식이 자리잡아 간다. ‘문학번역가’ 대신 ‘번역문학가’라는 호칭으로 스스로를 호명한 것은 이러한 맥락에서 일어난 일이다. 이렇게 번역에 대한 의식이 성장하고 번역가들이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하면서, 번역비평이 가능하게 되고, 그 안에서 번역 논의 역시 점차 전문화되어간다. 또한 번역가들은 당대 한국적 상황을 고려하여, 번역 태도를 고민하는 자세를 보이기도 하는데, 그들은 번역사업을 ‘민족적인 입장’에서 필요한 사업으로 그 중요성을 제시하게 된다. 이러한 입장은 번역가에게 민족적 과업을 수행하는 자라는 영광스러운 후광을 전해주며, 당대로서는 절대적인 자기 긍정의 근거를 제공해 준다. 그 결과 번역가들에 의해서 1950년대 가장 중요한 키워드인 세계주의(서구중심주의)와 민족주의적 인식의 접점이 형성되기도 한다. 언어의 경계를 넘나드는 존재로서 본질적으로는 세계주의를 토대로, 민족주의자가 되기 어려운 번역가란 존재성이, 민족문화에 대한 공헌을 근거로 자기 인정 투쟁을 벌이는 현상은 1950년대의 특수한 문화정치적 토대에서 발생하는 것이다. 당대의 세계주의가 타자를 인정하고 수용하는, 진정한 의미의 정신적 지향이 아니라, 단지 서구중심주의였다는 것과 그만큼 당대에 반공주의와 민족주의적 의식의 강박이 심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 KCI등재

        일제 강점기 학술 번역에 대한 인식과 번역 경향

        허재영,김경남 우리말학회 2016 우리말연구 Vol.46 No.-

        이 글은 일제 강점기 학술 번역의 경향과 의의를 규명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일제 강점기는 근대 계몽기와는 달리 여러 가지 제약 조건 속에서 학 술 번역이 이루어졌다. 근대 계몽기의 경우 지식 보급의 필요에 따라 역술 활 동이 강조되었지만, 일제 강점기에는 일본어 보급 정책이나 식민 통치에 따른 사상ㆍ학술 통제가 강화됨에 따라 학술 번역에도 적지 않은 어려움이 따랐던 것으로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일제 강점기의 번역물은 문예물과 종교물이 많 았다. 그럼에도 1920년대 전반기 이른바 문화통치하에서 ?동아일보?를 비롯 한 신문ㆍ잡지에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와 관련된 다수의 번역물이 등장하기도 한다. 주로 일본인 저술을 대상으로 한 것이지만, 이러한 번역물이 급증한 것 은 이 시기 사회주의 사상이 광범위하게 번졌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번역물은 1925년 치안유지법 실시 이후에는 거의 사라진다. 이러한 흐름에서 1920년대 중반 이후 본격화된 번역 논쟁도 ‘번역 문학론’, ‘이식 문학론’ 등의 명칭 아래 전개되었다. 번역 논쟁은 번역을 창작으로 볼 것인가를 주제로 하 였지만, 그 과정에서 등장한 오역 문제, 문장 사용이나 외래어에 대한 태도 등 은 국어 문제와 직접적인 관련을 맺는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일제 강점기의 시대적 조건 속에서 이루어진 학술 번역에 대해 거의 주목하지 않았지만, 번역학이 정립되어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 이 시기의 학술 번역 실태와 문제점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다언어주의와 언어교육정책

        김양순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0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6 No.1

        우리는 이 연구에서 다언어주의 맥락에서의 지속가능한 언어교육정책을 고찰하고자 한다. 인구의 다수가 다언 어적이므로 다언어구사자들이 기준이 되는 다언어정책이 교육에서 우리가 채택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다. 전통적으 로 다언어사회였던 미국의 언어교육정책을 분석하여 한국사회의 언어교육정책에 관한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다 언어교육정책의 채택 동기와 정당성을 지속가능성, 정체성, 공정성, 세계영어, 기계번역, 그리고 보편문법이라는 6 가 지 다른 관점에서 분석한다. 언어정책의 모델로 미국에서는 영어플러스(영어+n) 정책을 제안하며, 유사하게 한국에서 는 한국어플러스(한국어+n) 정책을 언어교육현장에서의 최선의 언어정책모델로 제안한다. 이러한 플러스(+n)정책은 모국어와 해당국가의 다언어주의를 형성하는 다른 외래어 둘 다의 유창성을 목표로 하며 이때 다언어정책은 이중언 어정책도 포함한다. 특히 4차 산업혁명시대의 맥락인 다양성과 융합의 시대에 언어다양성과 다언어정책은 해결해야할 문제가 아니라 보호되고 유지되어야할 권리이며 자산으로 간주되어야하고 언어교육정책 또한 다언어주의의 관점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language education policy in the context of multilingualism. As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are multilingual, language policy should be centered on the multilingual speakers as the norm, and multilingual language policy is the best route which we can follow as a language policy in education. The motivation and legitimacy of the multilingual policies are suggested in terms of 6 different perspectives: identity, sustainability, equity, World Englishes, machine translation, and Universal Grammar (UG). As a model of language policy, the English-Plus (i.e., English+n) policy and similarly the Korean-Plus (i.e., Korean+n) policy are suggest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language policies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America and Korea respectively. These plus policies aim at bilingual fluency in both the native language and other foreign languages that are constitutive of the multilingualism of the country in which the bilingualism is treated as a variant of multilingualism. In a period of convergence and diversity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language diversity and multilingual policy should be considered as a right to be protected or as a resource to be conserved rather than as a problem to be solved.

      • KCI등재

        국외 번역학 연구 동향에 관한 계층적 클러스터링 분석-라우트리지 학술지를 중심으로

        정나영,이지환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Hierarchical Clustering on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ofTranslation Studies -Focusing on Routledge PublicationsNayoung Jeong & Jihwan Lee Abstract: This study addresse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of translation studies focusing on five major journals published by Routledge, one of the leading publishers in arts and human. This research adopted the methodology of text mining, to be more specific, hierarchical clustering of the words used in English abstracts. The data showed that five major research topics in Routledge were literature translation, news translation, translator studies or institutional translation, media translation, and interpreting. The major language combination were English - Chinese, followed by English - Spanish and English - Arabic. The research topics in South Korea and overseas were somewhat similar. However, the discussions on the translation policy and voice and implicitness in literature translation lacked. Key Words: Routledge, Hierarchical Clustering, Text Mining, Translation Studies, Translation Policy 국외 번역학 연구 동향에 관한 계층적 클러스터링 분석-라우트리지 학술지를 중심으로정 나 영**ㆍ이 지 환***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인문학의 주요 학술지인 라우트리지에서 발행하는 번역학 학술지 5곳에 나타난 해외 번역학 연구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 주요 연구 방법은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영문 초록 단어의 계층적 클러스터링 분석이다. 연구 내용: 라우트리지 번역학 학술지에 실린 연구 논문의 주제는 문학 번역, 뉴스 번역, 번역가 연구 혹은 제도적 번역, 영상 번역, 통역의 5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언어 조합은 영어-중국어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영어 - 스페인어, 그리고 영어 - 아랍어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국내외 번역 연구 주제는 대동소이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세부 주제 측면에서 볼 때 국내에서는 번역 정책 연구, 그리고 문학에서의 화자의 목소리와 내재성 등의 주제에서 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핵심어: 라우트리지, 계층적 클러스터링, 텍스트 마이닝, 번역학, 번역 정책 □ 접수일: 2022년 9월 6일, 수정일: 2022년 9월 28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이 논문은 2022년 국립공주대학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것임. ** 주저자, 국립공주대학교 관광&영어통역융복합학과 조교수(First Author, Professor, Kongju National Univ., Email: jeongnayoung@kongju.ac.kr)*** 교신저자, 부경대학교 산업및데이터공학과 산업데이터공학융합전공 부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Pukyong National Univ., Email: jihwan@pknu.ac.kr)

      • KCI등재후보

        칠십인역 영어 번역 NETS

        우상혁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2020 구약논집 Vol.16 No.-

        본 글에서는 칠십인역의 영어 번역인 ‘새영어칠십인역번역(NETS)’의 번역 정책과 번역 방법, 번역 대본 등을 검토한다. 칠십인역은 이중 번역이다. 이중 번역을 할 때 발생하는 문제는 번역 대상의 원문을 어느 정도 고려하느냐이다. 칠십인역을 현대어로 번역할 때는 히브리어 성경을 어디까지 참고해야 하는가의 문제가 된다. 칠십인역을 현대어로 번역할 때 가장 많이 논의되는 주제는 상류 vs. 하류 논쟁이다. 히브리어 성경에 무게 중심을 두는 태도를 상류 관점이라고 한다. 반면, 칠십인역에 힘을 실어 주는 태도는 하류 관점이라고 한다. 하류 관점은 칠십인역이 비록 번역이기는 하지만, 번역된 후 자율적이고 권위 있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아들여졌다는 전제 위에 있다. 상류 관점에 의하면 도착 언어인 칠십인역이 출발 언어인 히브리어 성경에 종속된다고 한다. 따라서 히브리어 성경이 칠십인역의 의미를 결정하는 심판자라고 한다. 칠십인역을 불어로 번역한 [알렉산드리아 성경]은 하류 관점을 취하는 반면, [NETS]는 상류 관점을 택한다. 교회사에서는 헬라어가 신적 영감을 받았다는 ‘헬라어 진리’(veritas graeca) 시대와 히브리어가 하나님의 계시를 나타낸다는 ‘히브리어 진리’(veritas hebraica) 시대가 번갈아 한 번씩 있었다. 편역자의 의도가 있는지 알 수 없지만, [알렉산드리아 성경]은 ‘헬라어 진리’ 진영에 속하고 [NETS]는 ‘히브리어 진리’ 계보를 잇는다. 칠십인역 우리말 번역 작업의 출발은 상류와 하류 논의를 기반으로 칠십인경이냐 칠십인역이냐 문제에서 시작한다. This article reviewed information and discussion on NETS's translation policy, translation method, translation vorlage, etc., which is an English translation of the Septuagint. The Septuagint is a double translation. The problem with double translation is to what extent the original text of the translat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translating the Septuagint into modern language, the question arises how far the Hebrew Bible should be referred to. The attitude of placing the gravity in the Hebrew Bible is called the upstream view. On the other hand, the attitude of empowering the character of the Septuagint is said to be a downstream view. The upstream point of view is that the Septuagint, the arrival language, is subordinate to the Hebrew Bible, the starting language. Therefore, Hebrew Bible is said to be the judge who determines the meaning of the Septuagint. The downstream point of view is that the Septuagint, although it is translations, are autonomous and independent text after it have been translated. Translated into French, the "Alexandria Bible" takes a downstream view, while NETS takes an upstream view. The most talked-about topic when translating the Septuagint into modern language is the upstream vs. downstream debate. Such discussions need to be dealt with seriously to prepare for the translation of the Korean language of the Septuagi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