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한 번역과 번역투

        오경순 동의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간과 문화 연구 Vol.19 No.-

        ‘번역투(飜譯套, translationese)’는 국내외에서 아직 본격적으로 연구되지 않은 미개척 연구 분야이다. 번역투가 문제가 되는 것은 가독성과의 관계 때문인데 번역투 표현은 한국어 어법에 맞지 않아 낯설고 어색하며 어려워 독자의 가독성을 저해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이 논문은 번역학의 특성상 학문의 경계를 넘나드는 통합적 시각과 접근 방법을 원용한 학제간(interdiscipl inary) 연구로써 일한 번역의 번역투 문제를 다루었다. 고찰 방법으로는 번역투의 개념과 기능을 개관하고 번역투와 오역의 차이를 일한 번역문의 실례를 들어 비교․고찰하였다. 그 다음 일한 번역문에 나타나는 번역투 문제를 다섯 가지 양상 ((1)일본식후치사 (2)이중부정문 (3) ‘~に違いない’, ‘~に他ならない’ 구문 (4)피동 표현 (5)사동 표현)으로 한정해 분석하고 번역투를 제거한 번역예시를 제시하였다. 한국어와 일본어는 언어 구조상 유사한 점이 크지만 차이점도 많다. 흔히 한․일 양 언어가 유사하다는 선입관 때문에 번역 과정에서 양 언어의 문법 구조와 어법, 화용적 특징, 관용어법, 맥락 등을 고려하지 않은 일대일 대응의 직역 방법은 자칫 번역 오류 및 품질이 좋지 않는 번역투로 이어지기 쉽고 그 결과 독자의 가독성을 저해하는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논문은 독자의 가독성을 저해하는 요인 중 한 가지인 번역투 문제에 착안하여 일한 번역문에 나타난 번역투의 문제를 조명하였고 독자의 가독성을 고려하여 자연스런 한국어 표현의 번역예시도 함께 제시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새롭게 등장하는 다양한 번역이론을 실제 번역 작업에 적용하기 위해서도 꼭 필요한 작업이며 궁극적으로는 가독성 높은 양질의 번역을 바라는 독자의 요구와 기대치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질 좋은 번역물 생산에 기여할 것이다. Translationese is an academic area that has not been formally researched yet. A problem with translationese is that it hinders readers’ readability for translationese expression does not fit with Korean grammar in such a way that it can be quite awkward and difficult to understand. With that said, this report deals with the problems concerning Japanese-to-Korean translationese as a interdisciplinary study with a broad range of views and methods that goes beyond the borders of individual studies. As one method, the report surveys through the concepts and functions of translationese and compares the difference between a translationese and a mistranslation by taking a look at a JK translation as an example. Afterwards, it analyzes the problems that occur in translationese through five aspects (①Japanese proposition, ②double negative sentence, ③expressions of 「~に違いない, ‘~に他ならない」, ④passive expression, ⑤causasive expression) and shows an example without any translationese. Korean and Japanese language are strikingly similar structure-wise, but they also have many differences. Usually, due to the prejudgment that Korean and Japanese are similar, a direct translation without concerning the grammatical structures, pragmatic features, idioms, and contexts of the two languages could lead to a low quality translationese with numerous errors, and, thus, may cause some difficulties in the readability. An alternative or methodology to reduce translationese is not only something that can lead to a better quality translation, but also a very important topic that many translaters must solve. In this point of view, this report focuses on translationese problems – one of the factors that hinders the readability – sheding light on the problems on current JK translations, and gives an example of naturally translated Korean expressions, with considerations to the readability. Such attempts are important for applying all the various new translation theories into real translation process, and would ultimately contribute to meet the demands of the readers who seek quality translations with higher readability.

      • KCI등재후보

        국어 교과서의 외국어 번역투에 대한 종합적 고찰

        김정우 배달말학회 2003 배달말 Vol.33 No.-

        번역투란 직역의 번역 방법으로 산출된 번역문에 존재하는 원문 외국어 구조의 전이 흔적으로, 관점에 따라 이중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모국어의 구조에서 볼 때 고유의 규칙을 어긴 이질적인 존재라는 측면에서는 번역투가 극복의 대상이 되지만, 더 나은 번역의 결과를 얻기 위한 번역 교육에 투입될 수 있는 소중한 자료라는 측면에서는 번역투가 폐기의 대상이 아니라 오히려 소중한 교육 자료이기 때문이다.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번역투 문장을 추출하여 분석한 본고의 논의도 번역투에 대한 양면적인 입장을 견지했다. 국어 교과서에서 자료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한문과 일본어 번역투에 비해 영어 번역투가 유형과 빈도 측면에서 압도적으로 많았다. 영어 번역투의 경우, 구문 형식과 굴절 요소, 전치사구, 기타의 영역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는데, 전치사구의 전이가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다. 이는 영어를 직접 번역하면서 발생한 전이 현상일 수도 있지만, 일본어를 거쳐서 들어온 중역의 결과일 수도 있다. When a work, especially literary work, sounds foreign as a result of a word-for-word translation, we often treat it as a bad work. Of course, from the viewpoint of the L-l(target language) structure, a strict translation has many things to overcome as it breaks the intrinsic rules of L-l. However, in terms of translation instruction, such a work may serve as a correctional material, a profoundly valuable aid in learning a better translation. With the instructional purpose in mind, this paper examines some of the translation works printed in the Korean textbooks used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 period. The result shows that English patterns appear overwhelmingly more in number, compared to those of Chinese and Japanese. Out of several areas investigated in syntactic forms, inflectional elements, prepositional phrases, etc., prepositional phrases turn out to be most easily transferred. This may come from the direct Korean translation of English or from the indirect Korean translation of English by way of the Japanese translation of English.

      • KCI등재

        Cather, Willa의 “Paul`s Case”의 번역에서 드러난 번역투 연구-번역투를 유발하는 원문 텍스트의 특징과 번역 방식에 근거해서-

        박옥수 ( Park Ocksue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6 동화와 번역 Vol.32 No.-

        번역은 목표 언어권의 원본과 번역본의 언어적 양식의 차이를 보여주는 번역투를 낳게 되었다. 번역투는 원천 언어 특유의 양식, 그리고 경직된 번역 방식 때문에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 자료 분석을 통해 번역투 문장을 유발하는 원문 텍스트의 특징과 번역투 표현의 유형을 제시하고, 해당 텍스트의 구체적인 번역 방식을 살펴보았다. 사례별 연구를 통해 입증된 번역투가 제시되고, 그 결과가 번역 실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번역투 연구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연구 방식은 번역투를 유발하는 원문의 특징과 번역투 양상을 기술(記述) 분석한 후에 그 결과를 정량 분석으로 정리하였다. 분석 자료는 번역투를 포함하는18개의 원천 텍스트와 38개의 목표 텍스트로 구성된다. 정량 분석 결과 38개의 텍스트에서 27개 항목이 번역투 양식을 보여준다. 정성 분석에서는 우선 원문 어휘에서 드러나는 번역투 유발 요인을 “목표 언어권에 생소한 사물과 문화”, “원천 언어권 고유의 문화 표현”, “목표 언어권에 생소한 원천 언어의 언어 규범”, “상투적인 번역투 표현을 유발하는 어휘”로 분류하였다. 각각의 항목에서 번역 방식을 분석한 결과 번역투는 번역투는 `목표 언어의 규범에 맞지 않는 표현`, `특정 어휘에 대한 습관적 번역어`, `보통 명사의 음역`, `문화와 관용표현의 축어역`, `주해 처리`의 방식으로 드러났다. 필요한 경우, 번역투 표현의 대안 번역을 제시했다. 대안 번역에서는 의미를 보충하거나 원문 텍스트에 기능적 등가를 적용하였다. Translation as a way of text production is obliged to make translationese showing difference in the linguistic style. Translationese happens to take place due to the typical forms of the source language, inflexible and awkward translation method in the operational process of main factors. Translationese is regarded as an abnormal phenomenon in the negative perspective. This study presents the features of the source text that triggers translationese, the types of specific translationese, and the translation norms of the relevant texts. The case study of the texts will define the concrete aspects of translationese. The comparative study of language interaction might contribute to deepening the existing stereotyped knowledge and structure of language model in translationese studies. The factors of the source text that triggers translationese are defined as `unfamiliar things and culture to the target culture`, `typical cultural expressions of the target culture`, `linguistic norms to the target language`, `vocabularies triggering stereotyped translationese`. On the basis of these factors, the analytical texts are selected, categorized into the cultural factor and syntactic one, and the translation norms are described according to the analytical items. As for the analytical results, translationese mainly takes place in literary translation or transliteration. A translator should consider readability the strategies of transliteration or literary translation and takes pains with structure of new expression. The readers might not prefer stiff or unfamiliar expressions in a target text.

      • KCI등재

        한국어 번역 투의 기능과 의미 고찰 ― 글쓰기 논저에서의 번역 투 검토를 중심으로 ―

        최유숙 중앙어문학회 2023 語文論集 Vol.93 No.-

        이 글에서는 글쓰기 논저에서의 번역 투 논의를 검토하고, 그것의 수정 사례를 중심으로 번역 투의 기능과 의미를 고찰해 보았다. 우선 대학 글쓰기 관련하여 논문과 글쓰기 교재, 교양서 등을 살펴 빈번하게 논의되어온 번역 투를 찾아보았다. 대학 글쓰기 관련 연구논문은 대학생 글쓰기 사례를 통해 번역 투의 실제를 보여주고 있는 반면 글쓰기 교재는 번역 투를 심도 있게 다루기보다는 간단히 언급하는 수준이었고, 글쓰기 대중 교양서가 더 자주 번역 투를 다루고 있었다. 이어 번역 투 제시 양상을 6개 항목으로 나누어 수정 사례를 살펴보았다. 가장 빈번히 논의된 이중피동을 시작으로 피동과 사동, 영어 전치사, 일본어 조사와 후치사, 영어 시제 등의 번역 투와 수정 사례의 적절성 등을 검토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적어도 글쓰기 교육에서라면 일본어나 영어 기원 등 그 기원을 문제로 하여 번역 투를 문제시하기보다는 번역 투가 가진 기능과 의미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보았다. 각각의 번역 투가 갖는 기능과 의미는 한국어학의 논의를 빌려 거칠게나마 설명이 가능한바 이러한 설명을 토대로 글쓰기 교육에서도 글의 맥락과 장르에 따라 번역 투에 대한 섬세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 KCI등재후보

        번역투(飜譯套)의 남용과 글쓰기 교육 - 전치사 ‘about’의 한국어 전이 양상을 중심으로 -

        임형모 ( Im Hyeong Mo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20 漢城語文學 Vol.43 No.-

        본고는 대학의 글쓰기 교육에서 간과하고 있는 번역투(飜譯套)를 남용하는 현실에 문제를 제기하고자 했다. 영상 세대의 성장과 함께 무엇보다 소통이 더욱 중요해져만 가는 시점에서 번역투를 남용하는 일은 학문적 글쓰기는 물론이고 일상의 문제로 확산되고 있다. 번역 시에 생성되는 것이 번역투라고 했을 때, 번역투가 가장 많이 남발되는 경우는 한문이나 일본어를 번역했을 때보다는 영어를 우리말로 옮겼을 때이다. 특히 번역투가 일상의 언어가 됐을 때가 가장 문제가 되는데, 그중에서도 전치사를 번역할 때 발생하는 우리말답지 않은 부자연스러움에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낼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자연스러운 소통을 방해하는 요소로서 전치사인 ‘about’을 우리말로 옮겼을 때 발생하는 애매함은 글쓰기를 편하게 하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소통을 어렵게 만드는 주범이기도 하다. ‘about’은 대개 ‘~에 대하여(대한)’로 번역이 되는 것이 일반인데, 이렇게 번역했을 때 생겨나는 문제는 학문적 글쓰기는 물론 일상에서 이루어지는 언어생활에 간섭하여 사고의 깊이를 단순화하는 경향으로 작용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편하기 때문인데, 무엇보다 ‘~에 대하여(대한)’는 현재 단순한 번역투를 넘어 추상화된 한국어 표현으로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서, ‘사람에 대한 글’과 같이 기술하는 데에는 어떤 사람을 말하는 것인지 혹은 사람의 어떤 면모를 말하는 것인지 분명하지는 않아도 그 이상의 사고를 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가 있다.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을 기술한다는 것인지 알 수가 없는 상황에서 쓰고자 하는 대상을 단순화함으로써 사고의 깊이를 차단하는 일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것은 번역의 문제로 국한할 수만은 없다. 따라서 이 현상은 글쓰기를 교육하는 마당에 간과해서는 안 되는 부분이다. 대학에 입학하여 본격적으로 학문적인 글쓰기를 시작하는 시점에 바로잡아야 사회적으로 확대·재생산이 되지 않는다. 이것이 그러한 글쓰기 경향을 지양하고 사고의 깊이를 더할 수 있는 교수법을 개발해야 하는 이유이다. This paper attempted to raise the question of the reality of abuse of translationese, which are overlooked in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At this point, abuse of translation is spreading as a daily problem as well as academic writing. With the growth of the video generation, communication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ranslationese are created when translating. At this time, the most problematic case of translation is when English is translated into Korean rather than when Chinese or Japanese are translated. In particular, the most problematic is when translationese has become the language of everyday life. Among them,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unnaturalness of Korean language that occurs when translating prepositions. Above all, the element that hinders natural communication is the preposition ‘about’. The ambiguity that occurs when translating this into Korean makes writing easier. However,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the main culprit that makes communication difficult. In Korean, ‘about’ is usually translated as ‘~에 대하여(대한)’. Such translation simplifies the depth of thinking by interfering with not only academic writing but also daily life of language. The reason this phenomenon occurs is because it is convenient. Above all, ‘~에 대하여(about)’ has settled as an abstract Korean expression beyond a simple translation. For example, it is not clear what kind of person you are referring to or what aspect of person you are referring to in a description like ‘a text about a person.’ There is a convenience to avoid having to think deeply. First of all, it is not possible to know what specific content is being described. In addition, in such a situation, the depth of the thinking is blocked by simplifying the object to be written. This is an area that should not be overlooked in the field of teaching writing. This should be corrected by the time you enter college and begin academic writing. Thus, this problem cannot be socially expanded or reproduced. This is why it is necessary to avoid such a tendency to write and develop a teaching method that can add depth of thought.

      • KCI등재후보

        史料 번역의 번역투 개선 방안

        오재환 한국고전번역학회 2017 고전번역연구 Vol.8 No.-

        This essay dealt with translationese problem, which is one of the readability problems, in translation of Korean historical records. the translation of Korean historical records is a process of finding out words in Korean which the Korean speaker said before. Therefore, to improve translationese problem in translation of Korean historical records is very important. And I presented three types of examples of translationese often found in the translation of Korean historical records: 1) An inanimate subject, 2)species word+ genus word, 3)Verb noun form subject +a degree predicate. 사료 번역서 이용자의 증가와 함께 번역서의 품질에 대한 요구도 커졌다. 이 요구를 한마디로 묶으면 읽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 읽기 어려움을 유발하는 요인은 다양하다. 번역서의 가독성은 때로는 독자의 번역서에 대한 인상을 좌지우지한다. 번역서에 번역투가 산재한 경우는 내용을 충실히 번역하였더라도 독자에게 읽기 불편한 인상을 주고 더 나아가 내용의 이해도 방해한다. 번역 과정에서 번역투를 판별해내 줄이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한국 관찬 사료의 경우 대화를 기록한 것이 많은데, 이에 대한 기록은 한국어 화자의 말을 漢譯한 것이다. 따라서 이를 우리말로 번역하는 것은 한역한 것을 통해 본래 말했던 한국어 말을 찾아내는 과정이 된다. 이 측면에서 말하면, 번역할 때 한문의 언어적인 특성을 그대로 전이함으로써 번역투를 양산하는 것은 더욱더 극복의 대상이 된다. 사료 번역서에서 자주 보이는 번역투의 유형을 정리하면, 1)무생물 주어+생물 서술어, 2)종개념어+유개념어, 3)동사의 명사형 주어+정도 서술어 등이 있다. 이것 모두 한국어 어법에서는 낯선 것이므로 적극적으로 회피, 변환할 필요가 있다. 1)은 무생물 주어가 동사의 명사형일 경우 이 명사형 주어를 서술어로 전환함으로써 번역투를 피할 수 있고, 공손 어법과 관련되어 첨부된 명사가 주어인 경우는 대부분 그 명사를 생략함으로써 번역투를 피할 수 있다. 2)의 경우는 종개념이 낯선 것이 아닌 한 대부분 유개념어를 생략함으로써 번역투를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이 명사구가 有나 無 등의 동사와 결합하여 서술어가 된 경우에는 有나 無 등의 동사도 생략하고 종개념어만으로 서술어를 구성함으로써 번역투를 개선할 수 있다. 3)은 명사형 주어를 서술어로 전환하고 정도 서술어는 방법, 도구, 정도의 부사어로 전환함으로써 번역투를 개선할 수 있다.

      • KCI등재

        희곡 번역본에 나타나는 번역투와 공연대본에서의 수용 - 체호프의 『갈매기』를 중심으로 -

        윤현숙(Yoon Hyun Sook) 한국노어노문학회 2020 노어노문학 Vol.3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안톤 체호프의『갈매기』를 중심으로 그동안 번역투로 지적되어 온 어휘와 구문들이 실제로 번역본에 어느 정도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고 이러한 번역투를 유발하는 러시아어 원문의 특징을 짚어보는 것이다. 아울러 희곡 번역은 원작의 뜻뿐만 아니라 배우의 연기와 관객의 수용까지 염두에 두어야 하는 작업이므로, 이러한 번역본을 기반으로 만든 공연대본도 분석 대상에 포함하여 번역본에 나타난 번역투를 제거하려고 어떠한 수정 전략을 사용하는지 고찰하는 것이다. 번역투란 원천 언어의 간섭 등에서 비롯된 부자연스러운 목표 언어표현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번역투의 문제는 다른 장르의 번역보다 특히 희곡 번역에서 심각성이 두드러진다. 이는 무엇보다 희곡이 연극의 대본이며 배우의 대사이기 때문이다. 번역투가 발생하는 요인은 다양하지만 본고에서는 첫 번째 요인인 번역가의 기계적인 번역에 중점을 두고, 원문의 특정 표현에 대해 다양한 번역이 가능하고, 또 다양한 번역이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번역가의 기계적이고 상투적인 번역으로 인해 희곡 번역본에 나타난 획일적인 번역 양상을 짚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희곡 번역본에 나타난 번역투를 어휘와 구문 그리고 담화 층위로 분류한 다음 층위별 하위범주로 유형화하여 비교 분석한다. This study aims to choose and classify the examples of the translationese that appear in the translations of Anton Chekhov"s Seagull, to analyze the transformation strategies of how to modify them in the performance script, and to find effective solutions against them. The translationese is an unnatural target language expression resulting from the interference of the source language. In this respect, the problem of translationese is more serious in the drama translation than in other genres. This is because, above all, drama is the script and the actor"s dialogue. Therefore, the dialog of the drama translation must be colloquial so that the actor can speak naturally, and it must be immediately conveyed to the audience and immediately understood. However, there is very little study on the drama transl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much of the words and phrases that have been pointed out as translationese actually appear in the translated texts,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Russian text that causes translationese. In addition, intends to analyze what transformation strategies are used by theater people to remove translationese from scripts.

      • 영-한 번역과 번역투 문제의 전향적 극복

        김정우 동의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간과 문화 연구 Vol.19 No.-

        번역은 언어를 매개로 하는 문화 변용의 현장이다. 그러므로 번역자는 원천언어와 목표언어에 대한 감각과 구사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ST와 TT 양쪽 언어에 대한 필요한 만큼의 이해와 적용에서 균형이 깨질 때 번역투의 문제가 발생한다. 필자는 번역투에 대한 대처 방안을 단기적 대증 요법과 중장기적 예방 요법으로 나누어 제시했다. 전자에 관해서는 사고의 보편적 흐름을 바탕으로 하는 순차번역 기법을 적극 활용하여 구조적 차이를 극복할 것과,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는 실용적인 이론을 개발할 것을 제안했으며, 후자에 관해서는 모국어의 구조적·어휘적 특성을 번역자가 평소에 최대한 내재화하여 실제 작업에서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 The present author has suggested the two practical methods to overcome those negative effects derived from English-Korean translated stylistics. One is called as the short-term allopathic treatment, and the other as the long-term preventive treatment. For the former, the author has alledgedly maintained that translators could successfully overcome the difficulty in bridging the structural differences and safely produce desirable target text by using the progressive translation techniques based on the common trend of thought. Additionally, the deep research of contrastive grammar between ST and TT should be further digged out, in like that of the mobility of viewpoint. For the latter, the author has suggested that translators had better master the typical traits of structure and words in TT and use them in their real work.

      • KCI등재

        일한 번역의 번역투 연구 ‒ 피동표현과 사동표현 번역문을 중심으로 ‒

        오경순 한국일본근대학회 2014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3

        본 논문은 일한 번역 과정에서 번역투와 오역의 발생 빈도가 높은 피동표현과 사동표현을 중심으로 번역투와 가독성의 측면에서 고찰・분석하고, 문제가 되는 번역투와 오역의 경우는 대안번역을 제시하였다. 고찰 방법으로는 문학작품의 일한 번역문에 나타나는 피동표현과 사동표현의 다양한 예를 번역투와 가독성의 측면에서 집중 고찰하였다. 그 다음 엄선한 세 그룹 실험자를 대상으로 번역 실험을 실시하고, 실험자 세 그룹 의 번역문과 글쓴이의 대안번역을 가독성 평가 전문가 그룹에게 의뢰하여 다각도로 가독성 검증을 시도하였다 . 이러한 고찰 방법론은 기존의 번역 연구와는 차별화된 구체적인 시도이자 번역 능력 향상을 꾀하고 번역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번역 연구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가독성을 중시하는 질 좋은 다양한 번역 연구 방법론의 한 가지 시도로써 번역학 연구가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and analyzes the translationese in the Japanese-Korean translation process as well as the frequently mistranslated passive and causative expressions, suggesting the alternative translation method. The methodology of the study is distinct from the established study, thus can be recognized as a new method which can be employed in translation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will sugest the evaluating criteria of translationese in Japanese-Korean translation, in terms of theobjective and reliable perspective, and can contribute for translation of high quality and readability.

      • KCI등재

        중한 번역에서의 글쓰기 전략 연구-중국인 학습자의 번역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금지아(Keum, Jia)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 Vol.0 No.65

        통역과 달리 번역은 내용을 분석하고 사전 등의 참고 자료를 찾아볼 시간적 여유가 주어진다는 점에서 우수한 도착어 텍스트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모국어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한국어를 도착어로 하는 만큼 ‘재구성’ 과정에서 다양한 번역투가 섞인 문장을 만들어 낸다. 이러한 번역투 문장을 만들어 내는 이유는 도착어 역량이 제대로 함양되지 못한 면도 있지만 번역 글쓰기 연습의 부족에도 이유가 있다. 번역 글쓰기는 일반 글쓰기와 달리 출발어 텍스트의 간섭을 받기 때문이다. 이러한 번역투 문장에서 벗어나 완성도 높은 결과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초벌 번역 이후에 도착어 텍스트의 일관성에 초점을 맞춰 재번역과 윤문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체계적인 번역 글쓰기 교육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들의 언어적 특수성을 고려한 ‘중한 번역에서의 글쓰기 전략’을 제안하였다. 서론에 이어, 2장에서는 번역과 글쓰기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드러나는 번역에서의 글쓰기 능력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번역투 문장을 통해 본 글쓰기 전략에 대해 살펴보았다. 중국인 학습자들의 중한 번역 모의 테스트 결과를 제시한 후, 문제점과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해 보았는데, 이 논의는 2장에서 살펴본 번역 글쓰기의 이론적 전제 하에 진행되었다. In the Chinese-to-Korean translation, the L1 Chinese L2 Korean learners, whose Korean proficiency is unlikely to be native-like, merely tend to produce some sentences typically marked with the translationese. This is caused not only by the insufficiency of the translator’s L2 proficiency, but also by the deficiency of the training and exercises of the translation writing. To avoid the translationese and produce highly accomplished works, translators, after the first translation, shall retranslate and polish the texts with the special attention on the sentential and discourse coherence. Thus, a systematic training for the translation writing is necessary. Considering the linguistic properties of Chinese, this study attempts to propose the writing strategies in Chinese-Korean translation. After the introduction, Section 2 inspects the relation between translation whereby the necessity of writing capability in translation gets confirmed. Section 3 discusses the writing strategies with some translationese sentences as examples produced by Chinese students in simulation tests of Chinese-to-Korean translation. The discussion involves the analysis of the problems and the suggestion of solutions, based on the theoretical premise of translation writing, as proposed in section 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