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60년대 『창작과 비평』과 번역의 문화사 - 4․19/한글세대 비평/번역가의 등장과 ‘혁명’의 기획

        박지영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3 한국문학연구 Vol.0 No.45

        본고에서는 백낙청을 중심으로 1960년대 후반 『창작과비평』의 번역 양태 및 그 이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1960년대 후반에 등장한 『창작과비평』 비평가들은 4․19세대, 외국문학 전공 한글세대 번역가란 존재성을 갖고 있다. 이들의 등장은 혁명 체험으로 대사회적 소명 의식을 갖춘, 번역 텍스트를 스스로 선택하고 중역이 아닌 원어역으로 번역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갖춘 번역가의 탄생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들은 해방과 한국전쟁을 자기 체험화하지 못한 세대로 반공주의 하에서 마르크스주의를 적극적으로 자신들의 이념으로 사유하지 않는다. 또한 이들은 4․19 혁명 이후 형성된 민족주의적 소명 의식 하에서 번역가라기보다는 비평가로 호명되기를 원했다. 그러면서도 이들은 번역을 통해서 자신들만의 비판적 이념을 생산해 내고 그 정당성을 증명했다. 그리하여 『창작과비평』의 이념적 논리는 비평문과 번역문의 논리적 결합을 통해서 비로소 완성된다. ‘citizen’(혁명적인 시기의 Bourgeoisie)의 번역어인 서구 ‘시민’의식을 변혁 이념으로 제시한 백낙청의 「시민문학론」 텍스트 자체가 번역의 완성태였다. 실제로 백낙청의 「시민문학론」은 1960년대 그의 대표작이기도 하지만, 1966년 1월 창간된 이후 『창작과비평』의 주요 논지를 총정리한 종합선물세트 같은 텍스트이다. 그는 이 텍스트에서 이 글이 실린 1969년 6월 이전 창비에 실렸던 핵심 번역 텍스트들을 인용해 가면서 자신의 논지를 펼치고 있다. 프랑스 혁명의 시민 이념을 번역하고 정통 마르크스주의보다는 서구의 신좌파적 자유주의 이념을 수용하고, 레이몬드 윌리엄즈가 소개한 D.H. 로렌스의 리얼리즘을 자신들의 입론으로 삼았다. 그것은 사회성을 외면하지 않는 도도한 문학주의의 형상이었다. 그런데 또한 중요한 점은 시민문학론의 이념은 4․19세대의 것인데, 그 실현태는 식민지, 해방공간, 한국전쟁을 모두 겪은 이중어세대 김수영, 리영희였다는 점이다. 이는 한국 사상/지식번역사의 흐름이 근대 이후 전개된 한국의 비극적 역사적 상황을 쉽게 단절시키거나, 외면할 수 없었다는 점을 증명하는 것이다. This thesis examined Changbi (『創作과批評』: Creation and Criticism)’,'s aspects of translation and its ideology in the late 1960s with Paik Nak-chung as the central figure. Changbi's critics who appeared in the late 1960s have the existential nature of the translators of the April 19 generation and Hangul generation majoring in foreign literature. The appearance of these people means the birth of translators equipped with sense of vocation to society with the experience of revolution and with the professionalism enabling them to choose translation texts for themselves and to translate original texts directly rather than indirectly. These people were the generation who had not experienced the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and did not think Marxism under anticommunism positively as their own ideology. And they wanted to be called critics rather than translators under the nationalistic calling consciousness formed after April 19 Revolution. Nevertheless, they produced their own critical ideology through translations and proved its legitimacy. Thus, Changbi's ideological logic is completed through the logical combination of written criticism and translations. Baik Nak-chung's Citizen Literary Theory text itself, which presented the consciousness of ‘citizenry’ in the West, which is the translated word of ‘citizen’ (bourgeoisie of revolutionary era), as the norms of revolutionary consciousness, was a complete form of translation. Actually, Baik Nak-chung's Citizen Literary Theory is his major work in the 1960s and is also the text like an assorted gift set that systematically organized major points of argument of Changbi published first in January 1966. He has been putting forth his argument from this text while quoting key translation texts that had been put in Changbi before June 1969 when it was first published. They translated the citizen ideology of the French Revolution, accepted as their argument the new left liberalism ideology of the West rather than the orthodox Marxism, and used D.H. Lawrence realism that Raymond Williams introduced. It was a form of lofty literature-ism without disregarding sociality. The important thing is that the ideology of Citizen Literature Theory was that of the April 19 generation but the form of its realization was that of Kim Su-yeong and Lee Yeong-hee, the bilingual generation who underwent the colonial era, the liberation space, and the Korean War. This proves that the flow of thoughts and knowledge translation history of Korea could not easily sever or turn away from Korea's tragic historical situations

      • 1960년대『창작과비평』담론과 번역

        임영광(Lim, Young-Kwang)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동서인문학 Vol.0 No.50

        본 논문은 1960년대『창작과비평』에 게제된 평론을 분석하여 문학담론을 고찰하고 문학담론의 의미망과 그 속에서의 번역의 위상을 살피고자 하였다. 1966년 창간호부터 1980년대 여름호 이후 폐간되기까지『창작과비평』은 한국문단의 문학담론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초기에 속하는 1960년대 창간호부터 1970년 봄호 시기 글들을 영역에 따라 나누어보면 번역물이 20편, 현대문학 영역이 20편, 고전문학 영역이 13편, 역사·사회 영역이 14편, 기타 7편이 있다. 특히 이 시기는 이후 시기와는 다르게 번역에 분량상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960년대 번역은 아놀드 하우저의『예술과 문학의 사회사』를 번역한 것이 총 10편으로 가장 많고, 장폴 샤르트르의 번역과 라이트 밀즈의 번역, 로버트 윌리엄스의 번역이 각 2편이다. 이는『창작과비평』의 초기 담론 구성에 있어서 번역이 중요한 위치에 있음을 알 수 있고, 특히 문학을 바라보는 관점으로서 사화학적 방법이 중요한 인식론적 배경임을 알 수 있다. 이 시기 이러한 문학에 대한 사회학적 인식을 중심으로『창작과비평』의 문학담론을 분석해보면 ‘한국’이라는 기표에 대한 이중적인 의미망이 드러난다. 그리고 한국 현실에 대해 사회학적 인식론을 통해 “근대성의 왜곡”에 관한 의미망과 “역사의 단절과 계승”이라는 의미망을 형성한다. ‘근대성의 왜곡’은 이후 백낙청을 중심으로 하는 비평가 그룹은 왜곡되지 않은 올바른 근대성 재확립을 위한 논리를 발전시키게 된다.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는 근대성 재확립을 위한『창비』의 노력으로는 일군의 사회학 연구자들의 연구를 집중적으로 출판하게 된다. ‘역사의 단절과 계승’의 의미망은 조동일을 중심으로 하는 고전문학연구자는 역사 속에서 계승되는 민중적 전통에 관한 연구를 지속한다. 그와 함께 역사학 연구자들의 ‘내제적 발전론’에 기반하는 다양한 연구들을 소개하면서 ‘역사’ 층위에서의 사회학적 인식론을 확산시키기 위해서 노력한다. This paper considered literatural discourse and examined meaning network of literatural discourse and status od translation in that through in『creation and criticism』in 1960s analyze. From the intial number in 1966 to the summer number in 1980 before ceasing to bublish,『creation and criticism』ha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roducing literatual discourse of literatary circles in korea. In early writings from the initial number in 1960s th the spring number in 1970 were divided into some realms; 20 translations, 20 contemporary literature, 13 classical literatures, 14 historical·sociological writings and other writings. Especially, writings of this period unlike writing of next period include comparative translations, to be specific, there are 10 translations about「social history of arts and literatures」of Arnold Houser and 2 translations about Jean Paul Sartre, Charles Wright Mills and Robert Williams on each. On the base of that, I could reason that a translation was an important status in early『creation and criticism』, especially T could reason that sociological method as a view looking at literatures is an important epistemological background. As I analazed literatural discourse of『creation and criticism』in sociological recognition about literatures in that period, two-ply meaning networks on korea were exposed. And It formed a meaning network about “distortion of modernity” and a meaning network about “severance and succession of history” by sociological epistemology on korea. ‘distortion of modernity’ was developed the logic to make it a right modernity establishment by the critic group including Beak Nak-Cheong. In 1970s,『creation and criticism』published a study of a sociologist to establish modernity. The classical literature worker including Cho Dong-Il maintained studies about popular tradition inheriting in history for the meaning network of ‘severance and succession of history’, And they introduced ‘immanet developmental debate’ of historians and tried to widespread sociological epistemology in history.

      • KCI등재

        『채식주의자』 불역본의 번역비평을 위하여 - 베르만의 번역비평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그 실천

        이혜원 ( Lee Hye-won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8 프랑스어문교육 Vol.63 No.-

        번역에 대한 비평은 어떤 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가 ? 번역비평은 번역이라는 행위에 고유한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그러한 점에서 특정한 지향과 관점을 연루시킨다. 번역이론가 앙투안 베르만은 번역에 대한 평가나 오역 지적에 그치지 않는 분석 형식을 탐구하기 위해 『번역비평을 위하여: 존 돈』(사후 발간)에서 ‘긍정적’ 번역 비평의 밑그림을 그린 바 있다. 번역이 단지 등가어를 찾거나 충실하게 의미를 옮겨오는 행위가 아니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던 베르만은 이 저서에서 번역에 고유한 비평방법론을 모색하였다. 본 논문은 베르만이 제시한 번역비평 개념을 재성찰하여 이론 안에 내재한 실천가능성을 이끌어내기를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베르만의 비평 개념을 벤야민과 간략히 비교하여 그 ‘긍정성’을 검토해보고, 문학성과 윤리성에 대한 지향을 메쇼닉의 번역 시학과 함께 고찰해보았다. 어떤 성찰을 이론화하는 작업은 여러 사례들에 의해 뒷받침되기보다는 사례들에 의한 이론의 재성찰 속에서 가능해질 것이다. 본 논문은 정은진과 자크바틸리요에 의해 번역된 『채식주의자』 불역본에 대한 단편적 비평을 시도하여, 베르만의 번역비평 개념의 실천가능성을 알아보았다. La critique des traductions, comment pourrait-elle s'accomplir ? S'il y a des méthodes propres à l'analyse et à la critique, celles-là impliqueraient une certaine visée de la traduction et un point de vue particulier. Antoine Berman, théoricien de la traduction, a présenté dans Pour une critique des traductions : John Donne l'esquisse d'une méthode qui possède par son essence une « positivité », en cherchant la forme qui ne se limite pas à porter un jugement sur les traductions selon ses défauts. Ayant pris le départ de sa recherche par la problématique de la traduction littérale, il examine une critique propre aux traductions dans cet ouvrage. Notre étude a pour but de dégager la praticabilité immanente de la critique des traductions. Nous avons réfléchi sur son concept en tenant compte de sa positivité par une approche avec celui de Benjamin, et en comparant ses critères critiques avec la poétique de la traduction de Meschonnic. En dernier objectif, nous avons essayé, pour réaliser sa praticabilité, une critique fragmentaire de La Végétarienne, traduit par Jeong Eun-Jin et Jacques Batilliot.

      • KCI등재

        특집논문 : 1970년대 『창작과비평』의 이론과 실천 ; 번역의 매체, 이론의 유포 -A. 하우저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번역과 차이의 담론화

        전우형 ( Woo Hyung Cho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6

        이 논문은 『창작과비평』이 자신의 매체성을 드러내는 전략으로서, 그리고 그들이 생산한 다양한 문학담론의 이론적 토대로서 A. 하우저의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번역의 개입 양상과 그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접근은 『창작과비평』의 번역이 단순히 서구지향이나 서구취향이라는 엘리티즘의 연속선상에서, 또는 외국문학 연구자의 인정투쟁과 상징권력 정도로 인식할 때 결코 드러날 수 없는 것들, 예를 들어 번역행위와 전통과 실학, 민중문학에 대한 발견과의 관계 등을 전달하는 글쓰기 행위로서의 위상을 가늠할 수 있다. A. 하우저의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번역은 사회과학적 비명이라는 마르크시즘 문예이론의 수용 및 유포 너머 한국의 정치경제 현실에 대한 탐색을 통해 주체적 문학담론의 생산을 매개하는 하나의 실험이었다. 『창작과비평』의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번역은 번역행위에 내재하는 아날로지의 극복을 통해 단순히 번역 대상으로서 서구를 동일시하거나 모방하는 차원이 아니라, 차이를 전제로 하는 자생적인 문학답론의 신생을 궁구하는 동력으로서 종국에는 엘리트와 민중, 전통과 현대, 제3세계문학, 그리고 제3세계문학과 세계문학의 주체적 연대 가능성을 여는 계기로서 의미가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intervention and effects in Korean translation of A. Hauser``s The Social History of Art. This translation was a strategy to reveal Cha``angjak kwa Pip``yong(『창작과비평』)``s media characteristics, and theoretical foundation of diverse literary discourses they produced. These approach will reveal writing that transmits relation between translation, tradition, Shilhak(rea1ist school of Confucianism), and founding of the people literature, which was far more than just west orient or preference elitism nor struggle for recognition and symbolic power of foreign literature scholars. The translation of A. Hauser``s The Social History of Art was more than just acception and dissemination of Marxist literary theory. It was an experiment to produce subjective literary discourse mediated by researches of Korea``s political economic reality. Therefor, Cha``angjak kwa Pip``yong overcame analogy inherent in translation, not just identifying or imitating the direst, but investigated the birth of new native literary discourse which premised difference with the west. This ultimately lead to be a momentum of subjective solidarity between elites and people, tradition and present, the third world literature, the third literature and the world literature.

      • KCI등재

        프랑수아 모리악의 『테레즈 데케루 Thérèse Desqueyroux』를 통해 본 번역 비평의 가능성 연구

        김모세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2 외국문학연구 Vol.- No.48

        Published in 1927, Thérèse Desqueyroux is one of François Mauriac's most outstanding achievements in which the author meticulously analyzes people's desires and conflicts by utilizing different points of view and changes in chronological narratives. First introduced to Korean readers in 1958, Thérèse Desqueyroux has been translated nine times first by Choi Wan-Bok and most recently by Jeon Chae-Rin in 1999. Recently there has been vibrant activity in evaluation or criticizing translated literature. The fact that target texts -which had once heavily concentrated on practical texts- are shifting their emphasis to literary texts shows that the discussion on translation is moving from "evaluation" to "criticisme." This also signifies that the debate on translation has taken the front stage in research of the foreign literature. But it seems that Korean research projects on literature translation up to now have barely been able to move past evaluating. This study attemps to go beyond the current quantitative assessment of literature translation in order to broaden the scope of discussion to include criticism.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will take the translations of literature specialists (a key characteristic of literary translation in Korea) and examine how these individuals analyze the source and target language, how they perceive the act of translating, and how they understand the work itself as literary critics themselves. This research will not assess which translation is superior or inferior, but aims to observ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version. 1927년 출판된 『테레즈 데케루 Thérèse Desqueyroux』는 프랑수아 모리악 François Mauriac의 대표작이며, 인간 내면 속의 욕망과 갈등의 양상을 다양한 관점의 변화와 소설적 시간의 변화를 통해 세밀하게 분석한 작품으로, 이 작품을 통해 모리악은 심리 소설의 대가 자리에 오르게 된다. 이 작품은 1958년 최완복에 의해 우리나라에 처음 번역 소개된 이후, 1999년 전채린의 번역에 이르기까지 총 9회에 걸쳐 번역되었다. 작품의 특성과 번역 현황을 미루어 볼 때 우리는 이 작품이야말로 ‘번역평가’에서 ‘번역비평’으로의 이행을 모색해볼 수 있는 좋은 대상이라고 생각한다. 최근에 들어 문학 번역에 대한 평가 혹은 비평 작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주로 실용텍스트에 집중되어 있던 도착어 텍스트가 문학 작품으로 변화했다는 것은 번역에 대한 시각이 ‘평가’에서 ‘비평’ 쪽으로 옮겨가고 있음을 말해준다. 이는 또한 번역에 대한 논의가 외국문학 연구의 한복판으로 들어오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국내에서 진행된 외국문학번역에 대한 검토 작업은 여전히 ‘평가’의 수준을 완전히 넘어서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앞서 진행된 문학번역평가 작업들의 바탕 위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 연구의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정량적 평가 방식을 지양하고, 번역평가와 번역비평을 잇는 연결 고리로서의 한 예를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한국에서의 외국문학번역의 주요한 특징이기도 한 연구자들에 의한 번역을 대상으로 삼아 각 번역자들이 원텍스트와 도착어텍스트를 바라보는 시각, 번역 행위를 바라보는 시각, 그리고 작품 자체를 바라보는 비평자로서의 시각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또한 우리는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번역본의 우열을 나누지 않고, 각 번역본이 가진 특징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번역 비평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해봄과 동시에, 문학번역에 대한 보다 활발한 토론의 장이 열리길 기대한다.

      • KCI등재

        번역비평의 한 실제 : 에드거 앨런 포의 시 번역의 경우

        구태헌(Ku Tae-hun) 우리문학회 2009 우리文學硏究 Vol.0 No.27

        최근 영미문학연구회 번역평가사업단이 2005년과 2007년에 각각 『영미명작, 좋은 번역을 찾아서』1, 2 권을 출간한 것이 1백년이 넘는 국내 번역문학사에서 최초의 시도로 평가될 만큼, 여러 번역본들을 비교 평가하여 좋은 번역을 가리는 번역비평을 그동안 우리 문학사에서 큰 주목과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번역 비평이 이렇게 번성하지 못한 것은 여러 외적인 요인들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도 있겠지만, ‘다름’의 미학에 바탕을 둔 문학 텍스트를 옮긴 번역 텍스트 또한 작품마다 가지는 미학적 가치와 특성을 제대로 평가할 수 있는 어떤 객관적인 기준을 발견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번역 비평의 어려움을 인정하는 동시에, 번역이 단순히 원문의 모방이 아니라 ‘순수언어’라는 어떤 이상적인 상태에 이르기 위한 동반자적 기능을 한다는 벤야민의 주장을 염두에 두며 국내에 다수의 번역본을 가진 대표적인 영미 시인들 중의 하나인 에드거 앨런 포의 시의 여러 번역본들을 비교, 검토해보고자 한다. 포의 여러 시론들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아름다움’이라는 순수한 이상성과 암시적인 상징 관계에 놓여있는 포의 시의 번역은 이중의 짐을 떠안는 일이 될 수밖에 없다. 즉 애초의 포의 시창작의 목표가 실재하는 어떤 대상이나 내면의 어떤 구체적인 감정이 아니라 현실 너머에, 실재하지 않는 순수한 이상성이라 할 때 더구나 그런 이상 세계를 이곳의 언어로는 잡을 수 없고 잠시 엿볼 수밖에 없다는 실패의 결말이 미리 예견되어있을 때, 어떻게 그런 시를 번역할 수 있을 것인가는 물음이 포의 시를 번역하는 작업 앞에 놓여 있는 것이다. 따라서 포의 시의 번역의 어려움은 엘리엇의 비판에서도 잘 드러나듯, 시어들이 모호하게 가리키고 있는 여기 너머의 이상세계를 감지하는 공감의 능력을 가지고 있는가에 좌우된다고도 말할 수 있다. 가령, 포의 시 「율라륨」의 한 구절인 “my most immemorial year”는 시공을 넘어선 순수한 이상선의 세계로 시의 화자가 들어서는 순간의 묘사로 이해될 수 있는데, “내가 가장 잊을 수 없는 해”라는 국내 번역들은 포의 이런 상징주의적 시론에 대한 깊은 이해 없이 이뤄진 것으로 보여 아쉬움을 남긴다. 「까마귀」의 “Nevermore”에 대한 서정주 시인의 번역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어떤 번역 텍스트가 가치를 인정받게 되는 것은 원문을 통해서도 암시적으로만 표현된 작가의 의도와 작품의 미학적 가치가 번역을 통해 충분히 살아나 적절히 전달될 때 가능할 것이다. 이것이 문학작품을 번역하는 궁극적인 목적이며, 번역이 단순히 원문의 모방이나 재현이 아니라 ‘순수 언어’에 이르기 위해 원문을 시험하며 함께 성장해가는 동반자적 기능을 한다는 벤야민의 주장이 의미하는 바일 것이다. This paper starts from Walter Benjamin's well-known argument that "It is translation which catches fire on the perpetual renewal of language," which means literary translation can be defined not as a simple copy of the original language but as a process to recreate the meaning of the source text in its own language and reach a pure ideality of meaning and thought called 'pure language' by Walter Benjamin. Nothing will be more suitable for this work which tries to examine and evaluate the process and result of translation than Edgar Allan Poe's poems in that his poems and poetic theory struggle to express a purest ideality by using language as a symbol for reaching the unreachable, not a sign to indicate a fixed meaning. Most of Korean translation of Poe's poems can be said not to be satisfactory in making the symbolic effect of his poems felt well by Korean readers, one reason of which is that most of them fails in understanding and making real the original intention and effect of the poet. A translation text will be called 'good translation' and remembered as such when it succeeds in conveying the original intention and effect which could be expressed only suggestively even in the original text and emerging as 'pure language' from the harmony of all the various modes of intention.

      • KCI등재후보

        원문과 번역문의 틈새를 메우기 위한 하나의 시도 - 하인리히 뵐의 소설『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 를 중심으로

        김이섭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0 No.25

        In keinem anderen literarischen Werk Heinrich Bölls spielt die aktuelle politische und biographische Vorgeschichte eine dermaßen große Rolle wie in Die verlorene Ehre der Katharina Blum. Durch die Einführung eines ungenannten Berichterstatters schafft Böll die Möglichkeit, die geschilderten Ereignisse aus dem kausalen und chronologischen Zusammenhang herauszulösen. Obwohl die von ihm dargestellten Vorgänge lediglich einen Zeitraum von einer Woche umfassen, stellt er das Leben seiner Protagonistin und deren Charakter ausführlich dar. Die Beschreibung Katharinas durch die verschiedenen Quellen ermöglicht diese komplette Darstellung. Von daher ist es beinahe selbstverständlich, daß die Übersetzungsarbeit dieser Erzählung eine sehr schwierige Aufgabe und zugleich eine anreizende Herausforderung ist. Es muß also zunächst danach gefragt werden, ob überhaupt eine richtige, plausible, authentische Übersetzung möglich sei. Damit ergibt sich auch die Frage nach dem Begriff Äquivalenz. “Hat das Original einen bestimmten Sinn, dann fordern wir im allgemeinen, daß sein Abbild den selben Sinn oder, realistischer gesagt, soweit wie möglich denselben Sinn besitze. Das zentrale Problem der Übersetzung zwischen natürlichen Sprachen besteht darin, den Sinn unverändert zu erhalten.” Das Ziel meiner Arbeit wäre, die vorhandene Lücke zwischen Orignaltext und Übersetzungstext auszufüllen. Mit der Gegenüberstellung der beiden Texten kann man sich einem objektiven, vergleichenden Standpunkt nähern. 번역작업은 모방과 동시에 창조이다. 번역자는 원작에 담겨져 있는 내용을 그대로 재현해야 하는 과제뿐 아니라, 원작을 전혀 다른 문화환경에 어울릴 수 있도록 새롭게 다듬어야 하는 과제도 안고 있다. 따라서 번역자는 모방과 창조라는 모순적인 창작원리를 부둥켜안고 힘겨운 여정을 완주해야 하는 고독한 주자(走者)일 수밖에 없다. 노벨상 수상작가인 하인리히 뵐의 작품 『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는 이 작품이 담고 있는 과도한 당파성과 정치적인 담론으로 인해 사회적으로 엄청난 파장을 야기했다. 이 작품의 번역은 그만큼 독일사회와 정치현안에 대한 지식과 식견을 전제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관찰자의 관점이나 줄거리의 전개방식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문맥의 실타래를 붙들고 있기가 여간 힘들지 않다. 어쩌면 원문과 번역문의 틈새는 필연적으로 생겨날 수밖에 없고, 그 틈새를 메우려는 시도 또한 불가능한지도 모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출발어의 환경에 충실하면서도 도착어의 환경에 부응할 수 있는 번역의 가능성을 타진해보는 것은 번역문학의 고양(高揚)과 문화의 다양성이라는 맥락에서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고 하겠다. 지금까지 번역비평은 우리에게 매우 생소한 문학영역이었다. 하지만 우리 문학에서 번역문학이 차지하는 비중이 너무나도 방대하기 때문에 더 이상 번역비평을 등한시할 수는 없다. 번역문학과 번역비평의 관계는 서로 배척하는 관계가 아니라, 신뢰하고 보완하는 관계로 자리매김해야 한다. 번역비평이 활성화되어야 번역문학 또한 새로운 자극과 영감을 얻을 수 있다. 객관적이면서도 세심한 번역비평을 통해 번역문학은 자신의 현주소를 확인하고, 자신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계기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문학 번역과 번역 비평의 가능성 - The Vegetarian의 사례를 중심으로

        소영현,배하은 상허학회 2024 상허학보 Vol.70 No.-

        본고에서는 한강의 소설 『채식주의자』의 영어본 텍스트인 The Vegetarian을 둘러싼 오역 논쟁을 메타적으로 검토하고, 가시화된 문학 번역을 둘러싼 논점을 예각화화면서, 그간 본격화되지 못했던 번역 비평을 시도하였다. The Vegetarian의 국제문학상 수상 이후로 문학 번역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으나, 그 논의는 오역 논쟁에 갇혀 문학 번역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로 진전되지 못했다. 번역은 언어 간, 국가 간, 문화 간, 텍스트 간 권력 관계의 불균형성이 중첩된 위계 구조를 온몸으로 통과하는 일이며, 그 권력의 불균형성은 번역가의 위치성을 통해 가시화되는 것이기도 하다. 본고에서는 문학 번역을 번역의 정치성과 번역가의 위치성으로 가시화되는 권력 문제의 차원으로 이해하면서, 오역 논쟁을 문학 번역의 이론적 실천 과정과의 관련 속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The Vegetarian을 둘러싼 오역 논쟁의 이면에 가려진 권력의 문제는 번역 비평이 왜 번역의 윤리학과 정치학에 대한 논의로부터 출발해야 하는지를 시사한다. 번역 비평에 의한 이러한 검토는 번역된 ‘한국’과의 관계 속에서 새롭게 발견되고 있는 ‘한국문학’의 중층적 구성의 맥락에 대한 이해를 넓혀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article seeks to expand translation criticism beyond the scandal of translation. It delves into the heated debate surrounding the alleged mistranslation of The Vegetarian, illuminating critical issues in literary translation, especially following The Vegetarian’s win of the International Booker Prize. Despite ongoing discussion, there has been a lack of a deeper rethinking on these significant matters. Translation goes through the hierarchy structured by inequalities among languages, nations, cultures, and texts, which is often unveiled by a translator’s positionality. Hence, this article discusses literary translation within the dimension of power dynamics through the lens of the politics of translation and postionality of translators, while revisiting the controversial scandal of The Vegetarian’s alleged mistranslation by employing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pproach to literary translation. The overshadowing issue of hierarchy within literary translation underscores the necessity for literary translation criticism based on the ethics and politics of translation. This discussion on translation criticism aims to offer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rediscovered Korean literature’ and its multi-layered contexts associated with ‘the translated Korea.’

      • KCI등재

        Was ist eine gelungene Übersetzung? Zu den Kriterien und dem Anspruch von Übersetzungskritik

        ( Frank Heibert ) 서울대학교 독일어문화권연구소 2020 독일어문화권연구 Vol.29 No.-

        문학 번역을 근거에 기반하여 비평하는 것은 복잡하다. 주관적인 그리고 객관화가 가능한 요소들은 구별될 수 있을 텐데, 그것들이 타당하고 유효한 정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더불어 번역의 기술적 측면과 예술적 측면의 텍스트 현상을 구분하는 것은 유용하다. 번역 비평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점은 번역이 읽기와 마찬가지로 정당한 유희 공간을 갖춘 해석의 행위라는 인식이다. 이때 해석되는 것은 서술 태도와 양식적 언어 형상화의 상호작용을 통해 생겨나는, 한 텍스트가 발전시키는 어조의 효과이다. 그러므로 번역 비평은 원작과 번역이 각각 추구하는 효과가 동일한가를 평가하려고 시도한다. 각각의 문학 텍스트는 요소들과 관점들의 다층적 혼합물이기 때문에 문학번역을 비평적 시선으로 바라봄에 있어 다음의 두 가지 점이 중요해진다. 첫째, 번역자가 정하는 우선순위이다. (왜냐하면 언어와 문화적 맥락이 다르므로 문학 번역은 결코 원본에 완전히 상응하지는 않으며, 그렇게 될 수도 없고 되려고 하지도 않는다.) 둘째, 번역자가 원본과 번역 사이에 존재하는 그때그때의 문화적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시간적 간극을 어떻게 다루는가 하는 점이다. 독일과 한국 간의 문화교류와 관련하여 문화적 차이를 다루는 다양한 기법들을 보다 상세히 고찰하는 것이 유익할 수 있기에 작은 보론으로 추가했다. 종합적으로 나는 이 논문을 통해 비평적 시선으로 문학 번역의 복잡성을 해명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더불어 어떤 기준들에 근거하여 구체적 번역을 평가할 수 있는지 제시하고자 한다.

      • 스코포스리론으로 본 한중번역작품 비평

        리려(Lee Ryeo)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16 중국조선어문 Vol.206 No.-

        스코포스리론은 번역의 목적을 핵심으로 도착어언어, 문화환경에서 원문저자, 발신자, 번역가, 목표독자 등의 상호관계를 번역행위속에서 고려하고 번역을 다문화교류로 보고있다. 이는 문학번역비평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주었다. 이런 스코포스리론에 립각하여 문학번역비평을 진행할 시 번역가에게는 번역목적에 달성하기 위해 적합하고 다양한 전략을 택할수 있는 권리가 주어진다. 본고는 과거 전통번역비평의 틀에서 벗어나 스코포스리론을 토대로 《아프니까 청춘이다》의 번역본 (《因为痛, 所以是青春》)을 목표독자의 코드전환에서 생기는 차이를 사회적, 문화적, 언어적 측면에서 고찰하여 구체적인 번역비평을 진행함으로써 필자는 문학번역 결과물을 가늠할 시 단일한 자대로 평가를 하지 말고 다양한 시선으로 평가를 진행해야 한다는 사상을 전달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