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번역 교육의 실제 : 불가리아 소피아대학교 한국학과 번역 수업을 중심으로

        김소영 ( Kim Soyoung ),최권진 ( Choi Gwonji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4

        해외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생들은 한국어를 활용한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취업이나 한국유학을 목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한다. 따라서 한국어의 통역과 번역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그렇지만 아직은 한국어 통번역 교육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활발한 편이 아니다. 이 연구에서는 소피아대학교 한국학과에서 진행되고 있는 번역 수업을 사례로 들어, 한국어교육의 한 분야로서 번역 교육의 실제를 보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한국어와 현지어 간의 번역 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점검하고 분석하여 효과적인 번역 교수법을 제시한다. 이 연구는 먼저 번역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검토했다. 그리고 번역과 관련하여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진 선행연구를 검토했다. 이어서 본 연구의 실제가 다루어진 소피아대학교 한국학과의 역사와 교육과정을 다루었다. 소피아대학교 한국학과에서 진행되는 번역 수업의 실제는 문학 텍스트 번역 수업과 비문학 텍스트 번역 수업으로 나누어 그 과정을 제시했다. 그리고 불가리아 학생들이 한국어를 번역할 때 겪는 대표적인 문제점을 실제 번역 결과물을 예로 들어 언급했다. Korean-language students abroad learn Korean not only to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by using Korean language, but also to pursue employment or to study in Korea. Therefore they need to have Korea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skills. However discussions and studies on Korea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education are not yet active. This study is intended to show the reality of translation education as a field of Korean-language education by taking the translation class being conducted at the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at Sofia University as an example. Through this, the problems of translation education between Korean and a local language are checked and analyzed to present effective translation teaching methods. This study first review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translation. In addition, it reviewed previous studies in the field of Korean-language education related to translation. And then the history and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at Sofia University were discussed. The reality of the translation classes at the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at Sofia University was divided into literary text translation classes and non-literary text translation classes. The typical problems that Bulgarian students face, when translating Korean, are cited as examples of actual translation.

      • KCI등재

        불어불문학과 번역 교육 개선을 위한 제안- 문화 교육 도구로서의 실무번역 -

        박선희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3 프랑스어문교육 Vol.44 No.-

        프랑스의 민법 조항과 가족 제도를 번역하는 수업을 통해서 어떻게 상호 문화 학습과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지 설명하였다. 번역 과제를 수행하면서 학생들 스스로 원문에 나타난 문화 정보들을 먼저 찾으면서 문화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교사는 이후의 번역물 감수 수업에서 학생들의 문화 학습 과정에서 미진했던 부분을 보완하는 문화 교육을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직업으로서의 번역은 원문과 이중어사전만을 활용해서는 제대로 된 번역을 할 수 없으며, 번역의 출발 문화와 그에 등가하는 도착 문화도 알아야 상품으로서 가치 있는 번역물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외국어문학과에서는 번역 수업을 외국어 교육을 위한 도구로 비중있게 다루어 왔으나, 본 연구를 통해서 번역 수업은 언어 교육 뿐만 아니라 직업 교육과 원천/목표 상호 문화를 습득할 수 있는 좋은 교육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불문과에 불어 닥친 실용 교육 요구로 문화 교육이 늘면서 상대적으로 언어 교육이 위축되고 있는 것을 걱정하는(이정민, 2009: 114) 작금의 불문과의 현실에서 <실무번역> 수업은 문화 교육과 직업 교육뿐만 아니라 언어 교육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적인 교육 도구이다. 향후 <실무번역> 수업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교육 과정이 확립됨으로써 불문과의 번역 수업이 <학습번역>을 넘어 <실무번역>으로 활성화되기를 기대해본다. La traduction est une discipline largement enseignée dans de nombreux départements de langue et littérature françaises en Corée. Cependant ses méthodes pédagogiques ne diffèrent guère de celles de la « version », par opposition au « thème », laquelle a pour objet d’améliorer la compréhension des textes rédigés en français. Ce phénomène est principalement dû au fait que la traduction n’est considérée que comme un outil d’enseignement de langues étrangères. Or, une telle conception de la traduction empêche d’atteindre l’objectif pragmatique qu’elle vise, que l’on ne réalisera qu’en fournissant l’opportunité de formation professionnelle aux apprenants. Le présent article insiste donc sur la nécessité d’introduire la traduction pragmatique dans les cours de lecture de textes pratiques en premier cycle, outre les cours conventionnels de traduction didactique, dont le but principal est d’enseigner la langue française. Ces cours de traduction, que propose l’article, se situent à mi-chemin entre un cours de traduction didactique et un cours de traduction professionnelle destinée aux étudiants en master ou plus. Si la traduction didactique met surtout l’accent sur l’enseignement linguistique, la traduction pragmatique présente une plus grande variété de fonctions éducatives, notamment culturelle, négligée jusqu’ici par la première, car la pratique de la traduction comme métier requiert non seulement une connaissance approfondie des langues de départ et d’arrivée, mais aussi des deux cultures. La traduction pragmatique est donc un outil très utile permettant non seulement d’enseigner la langue, mais aussi la culture, tout en ajoutant un côté vocationnel. Le présent article vise à démontrer les possibilités d’éducation culturelle, entre autres, offerte par les cours de traduction pragmatique, d’autant plus que le thème n’a jamais été traité de façon approfondie, voire abordé. Pour ce faire, seront présentés des exemples d’apprentissage des cultures de départ et d’arrivée dans un cours de traduction pragmatique : les étudiants seront amenés à apprendre les différences culturelles, en traduisant eux-mêmes les articles du Code civil et des textes sur le système de l’adoption et des noms de famille français en coréen. Ces exemples nous permettent de constater que l’éducation des deux cultures, de départ et d’arrivée, est indispensable dans un cours de traduction pragmatique, alors qu’elle est facultative et secondaire dans un cours de traduction didactique, qui se contente de ne présenter que la culture de départ, si l’éducation culturelle a lieu. Le cours de traduction pragmatique peut donc constituer un excellent outil d’enseignement culturel, qui consiste à faire connaître non seulement la culture de l’autre, mais aussi à permettre de la comparer à la sienne et de comprendre les différences.

      • KCI등재

        평생교육법 영문 번역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조순옥 한국평생교육학회 2022 평생교육학연구 Vol.28 No.3

        이 연구는 국내외에 거주하는 외국인 연구자와 실무자에게 우리나라 「평생교육법」을 정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며, 통일성을 확보한 영문 번역을 제공할 수 있도록 평생교육법의 영문 번역의 적절성을 분석하고 개선사항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법령정보센터에서 제공하고 있는 「평생교육법」의 영문 번역을 대상으로 번역어의 적절성, 번역의 통일성, 번역의 불완전성 여부를 기준으로 번역의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첫째, 번역어의 올바른 선택 측면에서 ‘학습’, ‘평생학습도시’, ‘평생학습센터’, ‘학습휴가’, ‘학습계좌’, ‘평생교육사’의 번역 등에 대한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일적 용어 사용과 관련해서는 ‘평가인정’, ‘평생교육 과정’, ‘평생교육 상담’을 조항에 따라 다르게 번역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번역어의 통일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함께「평생교육법」원문에 포함되지 않는 표현의 표현 등의 불완전한 번역 문제 역시 나타나 이의 수정이 필요함을 밝혔다. 「평생교육법」의 영문 번역의 적절성을 검토한 초기 연구인 이 연구에서 복수의 개선안이 제안된 조항에 대해서는 최선의 번역어 선택을 위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후속 연구에서는 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조항을 포함한 평생교육법 전 조항을 대상으로 언어적 측면에서의 번역 오류까지 검토한다면 더 완전한 평생교육법의 영문 번역이 제안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기계번역 포스트에디팅(MTPE)을 활용한 러시아어 번역교육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전혜진 한국노어노문학회 2022 노어노문학 Vol.34 No.1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design and develop a Russian translation education curriculum using Machine Translation Post-Editing (MTPE). Empirical research, such as learners' error analysis of MTPE results, mainly consists of research results in other languages. On the other hand, in this paper, an experimental attempt is made to develop a Russian translation education design and curriculum using MTPE, and to present examples of practical application of translation education. The tasks for developing a Russian translation education curriculum using MTPE are as follows: First, the necessity and effectiveness of introducing MTPE into translation education are studied. Second, translation education theories are reviewed in connection with language teaching methods, and the correlation and problems between translation education and language teaching methods are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paper explores the possibility of using MTPE and studies the methodology by focusing on Russian translation education. Third, methodology to improve post-editing competence is researched , and post-editing guidelines that aim for completeness of translation and communication of translation are established. Fourth, as core strategies for Russian translation education using MTPE, 'communication-oriented Russian translation education' and 'process-oriented Russian translation education' are set, and 'a curriculum for cultivating Russian communicative translation competence using MTPE' is developed. Fifth, 'a curriculum for cultivating Russian communicative translation competence using MTPE' is linked with the field of Russian translation education to present actual cases, and the expected effects and implications of the curriculum are analyzed. 오늘날 기계번역과 함께 포스트에디팅은 번역학계와 언어서비스 산업 분야에서 하나의 트렌드가 되었고, 인간과 기계가 협업하여 번역의 신속성, 생산성과 정확성을 보장하는 번역의 새로운 시대가 열렸다. 최근 몇 년 동안 스스로 학습 능력을 갖춘 '딥 러닝(Deep Learning)'에 기반을 둔 기계번역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이제 기계번역과 인간번역 결과물의 품질 차이가 좁혀지고 있다. 하지만 기계번역만으로는 부족하고 취약한 점이 많기 때문에, 기계번역을 한 후 포스트에디팅을 하는 번역 과정, 즉, 기계와 인간이 협업을 하는 번역 과정과 번역 방식이 새로운 패러다임이 되었다. 따라서 교육기관은 이러한 언어서비스 산업에서의 획기적인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언어서비스 산업 현장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전문 번역사에게 새로운 번역 실무 환경에 부응하는 번역 역량(translation competence)이 요구되므로, 통번역 대학원과 학부 교육 현장에서도 번역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하여 교육 모형을 설계하고 교육 방법론을 도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통적인 번역교육의 틀에서 벗어나 기계번역 포스트에디팅(Machine Translation Post-editing, MTPE)을 활용한 번역교육을 도입하는 혁신적인 전환이 요구된다 할 수 있다. 이는 급변하는 번역 실무 환경의 변화에 부응한다는 측면뿐만 아니라. 번역 학습자들의 번역 학습 효과를 배가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시너지 효과가 크다. 기계번역 포스트에디팅을 활용한 번역교육이 실제 소통적 번역 과정을 체험하고 번역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그러므로 본 논문의 목표는 기계번역 포스트에디팅(MTPE)을 활용한 러시아어 번역교육 과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다른 언어권의 연구 결과물은 학습자들의 MTPE 결과물의 오류 분석 등 실증적, 경험적 연구가 주를 이룬다. 이와 달리 본고에서는 실험적 시도를 하여 MTPE를 활용한 러시아어 번역교육 설계와 교육 과정을 개발하고, 번역교육의 실제 적용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MTPE를 활용한 러시아어 번역교육 과정 개발 사례는 번역 전 단계(기획하기) - 번역 단계(기계번역) - 번역 후 단계(포스트에디팅)로 수행하는 인간과 기계가 협업하는 번역 활동 과정의 메커니즘을 제시하는 번역교육의 새로운 방향이자 지향점이 될 것이다, 아울러 과거의 전통적인 결과 중심적인 번역교육의 틀을 깨고 소통 중심적이고 과정 중심적인 번역교육의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위한 실험적 시도로 간주할 수 있다.

      • KCI등재

        대학에서의 번역 교육 – 실무 번역 교육 차원에서 실시되는 CAT 툴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소고

        김창건 한국독어독문학회 2020 獨逸文學 Vol.61 No.2

        Angesichts der vierten industriellen Revolution denken Universitäten darüber nach, was für eine Bildung sie künftig anbieten werden. Besonders im Bereich der Translationswissenschaft wurde und wird wegen der qualitativen Verbesserung der maschinellen Übersetzung und deren Verbreitung im Alltag eine Krise ausgemacht. Um dieser Krise zu begegnen, bieten im Rahmen der praxisorientierten Übersetzerausbildung manche Fachbereiche an einigen Universitäten einen Unterricht oder einen Workshop zur CAT-Tool-Schulung an. Das CAT-Tool ist ein Werkzeug zum Übersetzen, das sich bereits als weltweiter Branchenstandard etabliert hat. Aber abgesehen von denjenigen, die auf dem Sprachdienstleistungsmarkt tätig sind, werden oft Begriffe wie maschinelle Übersetzung, KI-Übersetzung oder CAT nicht richtig unterschieden und es ist auch üblich, dass universitäre Übersetzerausbilder selbst keine Praxiserfahrungen mit der CAT oder mit dem CAT-Tool haben. In diesem Kontext kann man sich fragen, ob im Rahmen der universitären Übersetzerausbildung eine CAT-Tool-Schulung angeboten werden muss. Die vorliegende Arbeit definiert die Begriffe „universitäre praxisorientierte Übersetzerausbildung“ und „CAT-Tool“, und erklärt, wofür ein CAT-Tool eingesetzt wird, wie gebräuchlich es in der Praxis ist und wie es funktioniert. Sie analysiert, was und wie man unter welchen Bedingungen mit einem CAT-Tool übersetzt, und versucht dadurch die Frage zu beantworten, ob eine CAT-Tool-Schulung im Rahmen der universitären praxisorientierten Übersetzerausbildung sinnvoll sein kann.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들어서면서 대학은 앞으로 어떤 교육을 제공해야 할지 고민하고 있다. 특히 기계 번역의 품질이 향상되고 관련 서비스가 상용화되면서 유독 통번역학 분야에서는 AI 시대나 4차 산업 혁명으로 인한 위기가 자주 언급되었다. 시장의 변화에 대응하는 번역 교육의 일환으로 일부 대학의 특정학과에서는 CAT 툴을 활용하는 수업을 개설하여 실시하고 있고, 수업을 개설하여 진행하지는 않지만 관련 워크숍을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사실 CAT 툴은 이미 글로벌 언어 서비스 산업에서 표준으로 자리를 잡은 번역 수단이다. 하지만 언어 서비스 분야 관계자 이외에는 ‘기계 번역’, ‘AI 번역’, ‘CAT’ 등의 용어를 혼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고, 번역 교육자들도 CAT이나 CAT 툴 관련 실무 경험이 없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면 번역 교육자들조차도 익숙하지 않은 CAT 툴 관련 교육이 현재 대학의 실무 번역 교육 차원에서 제공될 필요가 있을까? 본 논문은 제목에 제시된 용어 ‘실무 번역 교육’과 ‘CAT 툴’의 사용 범위를 정의하고, CAT 툴의 사용 이유·사용 현황·작동 원리 등을 설명하고, CAT 툴 관련 번역 실무의 범위·형태·조건의 측면을 감안하여 현재 대학에서 실시되는 실무 번역 교육의 제한성과 CAT 툴 교육 제공의 필요성 여부에 대해 답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고전번역원 부설 고전번역교육원 교육과정의 분석

        남지만(Nam, Ji-man) 대동한문학회 2018 大東漢文學 Vol.55 No.-

        본고에서는 고전번역교육원의 교육과정을 개설과목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이 시기를 구분하였다. (1) 제 1기 1974년~1985년:한학세대 재교육 및 연구ㆍ번역 중심의 교육 (2) 제 2기 1986년~2007년:한문 구문해석과목 중심의 서당식 교육 재연 (3) 제 3기 2008년~현재:한국고전번역원 설립 이후 구문해석 위주 교육에 대한 반성과 번역 실무교육에 대한 관심 증가 제 1기에는 교육의 목표가 기존 한학출신자들에게 한글 번역 원고 작성을 교육하고 연구능력을 함양하여 역자로 양성하는데 있었다. 2기에는 한 학출신자들이 감소하여 입학생들의 한문능력이 저하되자 한문 문리를 교육하기 위해 한문 구문해석 과목이 증가하여 한문 어학교육의 특성이 강화되었다. 3기에는 한국고전번역원의 설립과 더불어 정책적인 관점에서 교과목의 조정이 이루어졌다. 한문 구문해석과목과 역사과목, 법제, 사상 등 전체 교과목의 균형을 중시하고, 번역실무교육을 강화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44년간의 개설과목에서 나타나는 흐름을 보면 환경의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보다는 입학생의 특성에 따라 교육내용이 수동적으로 변화한 측면이 있다. 인재상의 측면에서 보면 교육원 설립 초기에는 연구능력과 번역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목표였다. 그러나 80년대 중반 이후 교육과정은 한문 구문해석능력 습득에 치중하여 연구측면에서는 오히려 퇴행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기존의 ‘문리’(한문구문해석력) 교육 이외에도, 문장력과 지식 및 연구역량 측면의 교육이 보충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we classify the curriculum of the educational course of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as follows. (1) The first period 1974~1985: Education that had the function of reeducation for the Hanhak students(Classical Chinese generation students) and the translation-oriented education (2) The second period From 1986 to 2007: Replay of the Sodang-style (old Korean tradional school) education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classical Chinese sentence parsing course (3) The third period 2008 ~ present: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the reflection on the education based on the classical Chinese sentence parsing course and the interest in the translation education increased In the first period, there was an emphasis on encouraging existing Hanhak students(Classical Chinese generation students) to advance their research skills and translating into Korean. In the second period, as the number of Hanhak students decreased, Quantity of the classical Chinese sentence parsing courses encreased. In the thirdperiod, the point of education was to strengthen the translation education. The overall trend seems to be that the contents of education have changed passive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rather than preemptively responding to changes. In terms of human resources, it was aimed at talented people with research ability and translation ability at the beginning of the institute. However, since the 1990s, the curriculum has been rather regressive in terms of training functional translation workers. In order to improve this, besides the traditional ‘Munri’ (interpreting ability of Chinese sentenc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education of knowledge and research capability. The current curriculum of the institute is divided into a short term intensive learning course and a maximum of 2 years. The research course is operated by a 2 year deepening course, The process of training classical translators should be shortened to four years. It is advisable that further proficiency is obtained through a separate graduate course.

      • KCI등재후보

        Translation Strategies and Their Implications for Translation & English Pedagogy

        남원준 한국통번역교육학회 2009 통번역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한영번역교과과정에서 번역전략의 학습과 적용이 갖는 교육적 효과에 관해 천착한다. 특히, 3단계로 나누어 진행된 사례연구를 통해 번역전략기반의 교육적 접근이 번역교육은 물론, 영어교육에도 효과가 있다는 점을 보이며 이를 교육현장에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본 접근을 통해 학습한 학생들은 번역전략을 선택ㆍ적용하는 과정에서 번역원문을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 검토, 사고함으로써 이전보다 향상된 한영번역을 수행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배양된 능력은 번역교육을 통한 영어교육 또는 영어교육을 통한 번역교육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며, 두 학문분과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 있어 연계점으로 간주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연구에서는 3단계의 과제수행을 통해 우선 번역원문의 어떤 부분이 번역문제(translation problem)인지를 규명하고, 학생들이 이를 어떻게 번역하는지를 분석한 후, 어떠한 번역전략(translation strategies)이 적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어떻게 학생들이 이러한 전략을 실제 번역에 적용함으로써 향상된 번역을 수행하는지를 알아본다. 이를 통하여 번역전략기반의 접근이 번역교육과 영어교육에 어떠한 함의를 갖는지를 살펴본다.

      • KCI등재

        한국고전번역원 부설 고전번역교육원교육과정의 분석-1974~2017, 44년간 개설과목을 중심으로-

        남지만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18 大東漢文學 Vol.55 No.-

        In this paper, we classify the curriculum of the educational course of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as follows. (1)The first period 1974~1985: Education that had the function of reeducation for the Hanhak students(Classical Chinese generation students) and the translation-oriented education (2)The second period From 1986 to 2007: Replay of the Sodang-style (old Korean tradional school) education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classical Chinese sentence parsing course (3)The third period 2008 ~ present: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the reflection on the education based on the classical Chinese sentence parsing course and the interest in the translation education increased In the first period, there was an emphasis on encouraging existing Hanhak students(Classical Chinese generation students) to advance their research skills and translating into Korean. In the second period, as the number of Hanhak students decreased, Quantity of the classical Chinese sentence parsing courses encreased. In the thirdperiod, the point of education was to strengthen the translation education. The overall trend seems to be that the contents of education have changed passive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rather than preemptively responding to changes. In terms of human resources, it was aimed at talented people with research ability and translation ability at the beginning of the institute. However, since the 1990s, the curriculum has been rather regressive in terms of training functional translation workers. In order to improve this, besides the traditional ‘Munri’ (interpreting ability of Chinese sentenc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education of knowledge and research capability. The current curriculum of the institute is divided into a short term intensive learning course and a maximum of 2 years. The research course is operated by a 2 year deepening course, The process of training classical translators should be shortened to four years. It is advisable that further proficiency is obtained through a separate graduate course. 본고에서는 고전번역교육원의 교육과정을 개설과목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이 시기를 구분하였다. (1)제 1기 1974년~1985년:한학세대 재교육 및 연구・번역 중심의 교육(2)제 2기 1986년~2007년:한문 구문해석과목 중심의 서당식 교육 재연(3)제 3기 2008년~현재:한국고전번역원 설립 이후 구문해석 위주 교육에 대한 반성과 번역 실무교육에 대한 관심 증가 제 1기에는 교육의 목표가 기존 한학출신자들에게 한글 번역 원고 작성을 교육하고 연구능력을 함양하여 역자로 양성하는 데 있었다. 2기에는 한학출신자들이 감소하여 입학생들의 한문능력이 저하되자 한문 문리를 교육하기 위해 한문 구문해석 과목이 증가하여 한문 어학교육의 특성이 강화되었다. 3기에는 한국고전번역원의 설립과 더불어 정책적인 관점에서 교과목의 조정이 이루어졌다. 한문 구문해석과목과 역사과목, 법제, 사상 등 전체 교과목의 균형을 중시하고, 번역실무교육을 강화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44년간의 개설과목에서 나타나는 흐름을 보면 환경의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보다는 입학생의 특성에 따라 교육내용이 수동적으로 변화한 측면이 있다. 인재상의 측면에서 보면 교육원 설립 초기에는 연구능력과 번역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목표였다. 그러나 80년대 중반 이후 교육과정은 한문 구문해석능력 습득에 치중하여 연구측면에서는 오히려 퇴행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기존의 ‘문리’(한문구문해석력) 교육 이외에도, 문장력과 지식 및 연구역량 측면의 교육이 보충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중국 대학 내 한국어 번역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기초 연구-번역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전패영 한중인문학회 2023 한중인문학연구 Vol.79 No.-

        본 연구는 중국 대학에서 사용되는 번역 교재 4권을 분석함으로써 중국 대학 내 한국어 번역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중국 대학 내 한국어 번역 교육의 현황을 보면 한국어 번역 수업은 교육내용이나 교육 방식, 과목 유형, 학점 등이 대학마다 상이하다. 그러므로 중국 대학 내의 한국어 번역 교육과정이 아직 덜 정립되는 상황이라 확인할 수 있다. 대학들의 다양한 번역 교육과정을 일일이 살펴본다는 것이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번역 교육과정을 가장 직관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번역 교재를 ‘교수·학습 상황’과 ‘내적 구성’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기로 하였다. 교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중국 대학 내 한국어 번역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에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번역 교재나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사용 대상과 목표를 명확히 설정해야 하고 교육과정의 단계화, 체계화, 조직화가 필요하다. 둘째,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학습자의 역할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육과정을 설계할 때 번역 이론, 번역 실천, 번역 기교 등 교육내용의 배열·조직 방식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육과정이나 교재를 개발할 때 적절한 상호문화적인 지식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교육과정이나 교재를 개발할 때 번역 텍스트의 난이도를 일관성이 있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교육과정이나 교재를 개발할 때 번역 실천이나 실습 부분의 제시 방식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중국내 대학교 한국어과 번역 관련 교과목 및 교재에 대한 연구

        朴银淑 한중인문학회 2018 한중인문학연구 Vol.58 No.-

        중국에서 실행되고 있는 번역 교육의 현황과 특징들을 연구하기 위해 중국내 111개 대학한국어과 번역 관련 교과목과 기존 한국어 번역 교재들에 대한 자료 수집과 통계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성과들로는 1)한국어 전공 교과목에서 통번역이 적당한 학점과 교육 시간 점유. 2)번역 교과목 개설 및 교육 내용의 체계성 구비. 3)번역 교육의 세분화․구체화 경향. 4) 여러 층위에 적용하는 교재의 증가. 5)번역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의 증가 추세. 6)전국적 범위와 수준의 번역 경기대회 및 번역 관련 프로젝트의 증가 등이 있다. 현존하는 문제점으로는 1)번역 전공 교수 부족. 2)학습자들의 언어 수준․지식 등의 제한으로 번역 교육에 장애 조성. 3)한중-중한 통번역 교육 내용의 부실. 4)번역 교육내용과 번역수준 평가 기준 미비. 5)다양한 학습자들의 요구와 수준에 적합한 중한-한중 통번역 교재 부족. 6)학습자들의 번역 실천 및 현장 실습 기회 부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실로부터 추출한 과제로는 1)한국어 번역 교육에서 한국어 언어능력 및 한중 양국사회와 문화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갖춘 번역 인재 양성 중요시. 2)번역 전공 교수 양성에서 중국 내 자체 양성과 중한합작 양성 방안 모색. 3)번역 연구와 교재 개발의 적극 권장과추동. 4)번역 교육 내용과 평가 기준 마련. 5)번역 오류 분석과 모범 번역문 데이터 구축 등이있다. 이는 번역 교육뿐만 아니라 교재 편찬과 번역 교육 연구에 있어서도 아주 유용하며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To analyse the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translation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department in Chinese universities, this study conducted a descriptive statistics in 111 universities in China, where there are Korean department. The results:1) lectures o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are heavily weighted on credit and hours in Korean language eduction; 2) lectures and contents are being gradually in systematics; 3)the eduction shows a trend of segmentation and embodiment; 4) several level of text books are being developed; 5) the resources for the education are increasingly diversified; 6) national level of contests or projets on translation or interpret are being increased day by day. Through the research several problems were found as follow: 1) lack of qualified lecturers; 2) the students are still in low level of skills on translation due to their poor Korean and language background; 3) the education contents is still not ample enough; 4) lack of qualified evaluation system for translation education; 5) text books are not well suitable for the level and variacity of education; 6) lack of practice and internship for the students. On the result, there request following works to do: 1) for qualifying the translation education, the students must be heavily trained not only on Korean language but also they need to learn plentiful knowledge on Korean society and culture; 2) lecturers should not only come from Chinese teachers. There is a strong needs for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Korea on training lecturers; 3) there should be more researches conducted on the subject; 4) a standardized evaluation system must be established; 5) there needs data base accumulation on translation error cases and texts. These data is not only necessary for education itself, but also of great help for text books development and related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