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近代 中國 博物學의 民族主義的 性格 – 旣存 硏究의 批判的 檢討를 中心으로
정택성 중국사학회 2024 중국사연구 Vol.- No.150
근대 중국 사회에서 서양 박물학의 도입과 발전은 처음부터 중국 민족주의의 발흥과 맞물려 있었다. 근대 중국 박물학에 관한 기존의 많은 연구는 민족주의의 편향적이거나 단일한 서사에 국한되어 있고 일부 연구에서는 바람직한 접근법을 제시하였다. 본고는 기존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바탕으로, 민족주의의 배경 속에서 근대 중국 박물학의 발전 맥락을 살펴보았고, 근대 중국 박물학의 민족주의적 성격을 이해하는 방식을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측면에서 파악하였다. 먼저 ‘민족 위기 극복’이라는 근대 중국의 콘텍스트에서 서양 박물학은 실업 진흥과 민지 향상을 위한 실용적인 것으로 여겨졌고, 변화와 개혁을 요구하는 진화론 사상의 탑재로서 자강과 구국 담론에서도 이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도구성’은 민족 위기 극복이라는 거시적 담론에서 일반화된 서사로 치부하기보다 그 중층적 의미를 파악해야 한다. 첫째, 박물학의 이용 목적에 있어 지역마다 시기마다 아젠다마다 그 실용성의 구체적 내용이 다양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둘째, 박물학의 이용 효과에 있어 공리주의의 작용으로 인해 박물학 지식의 생산과 보급 과정에서 착오가 발생했음도 주목된다. 셋째, 이용 방식에 있어 박물학은 과확으로서의 자율성에 의거해 어떻게 자원 확보를 위해 민족주의를 이용거나, 민족주의와 과학전문가주의 등 과학자 개인 성향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도 중요한 대목이다. 다음으로 근대 중국 지식인들은 중국 명물학과 서양 박물학의 관계를 처리해야 했는데, 청 말기의 전통적 사대부들은 서양 박물학에 대한 이해가 부족함에도 그것을 중국 명물학과 접목시켜 중국 전통 문화의 우월성을 드러낸 반면, 중화민국 시기의 박물자와 신문화운동의 문학가들은 중국 명물학 전통을 살리자는 레토릭을 활용해 근대적 박물학의 보급과 사회 윤리의 구축을 추진하고 나아가 중국만의 박물학 체계를 구축하려 했다. 대부분 연구의 ‘전통·근대’, ‘국학·서학’의 이분법적 구도와 조화론적 서술을 극복하기 위해 근대 중국 박물학자들의 취사선택, 재해석과 재정립의 과정에서 나타난 문화적 민족주의와 과학적 모더니티 사이의 대화와 충돌의 기제와 양상을 살펴보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박물학 연구를 통해 근대 중국의 과학 민족주의는 두 가지 방식으로 작용하였다. 하나는 지역성이 강한 본토 물종에 대한 연구와 확보는 자연물과 과학자, 민중, 국가 사이의 물질적 연계를 형성시키며 국가의 경계, 국가 주권, 민족 자결권에 대한 의식을 강화시키고 민족 아이덴티티에 대한 감수성을 높이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근대 중국 박물학자들은 본토 물종을 연구할 때 제국주의에 대해 민족성을 드러내는 동시에 국제 협력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과학 민족주의와 과학 국제주의를 조율하면서 모순적 감정을 겪게 되고 이 과정에서 민족 아이덴티티를 모색하게 되었다. 박물학 연구 대상인 자연물의 물질적 지역성과 보편성은 근대 중국 박물학의 민족주의적 성격을 이해하는 중요한 지점이라 보여진다.
일제강점기의 조선설화집과 박물학-미와 다마끼의『전설의 조선』을 중심으로-
조은애 ( Cho Eun-ae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6 日語日文學硏究 Vol.98 No.2
일제강점기에 간행된 일본어 조선설화집인 『전설의 조선』의 가장 큰 특징은, 분류방법에 있어서 지리박물학의 분류를 따르고 있다는 점이다. 박물학의 관점에서 설화를 채집하고 분류하는 목적과 방법은, 18세기 일본의 박물학의 유행과 문학장르로서 「채약기採藥記」와「기담奇談」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있다. 이들의 공통적인 목적은 계몽과 교화를 위한 자료로서 설화를 수집하는데 있었다. 대표적으로『제주채약기諸州採藥記』의 편자는 박물학자의 입장에서 실제로 설화의 허구를 실증함으로서 계몽적인 자세를 취하였다.『제국이인담諸國里人談』의 경우 직접적인 교훈과 비평을 배제하는 방법을 통해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근대에 들어선 일본은 서양의 과학적인 사고의 도입과 함께 계몽의식이 강해지면서 민중의 계몽을 위한 설화채집을 다시 재현하게 된다. 일제강점기 조선에서의 설화조사와 간행사업은 이상의 흐름속에서 재현 되었으며. 특히 『전설의 조선』은 지리 박물학적인 분류 방법을 취함으로서 보다 객관적인 자료라는 특징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그러나 박물학의 성격을 이용한 객관성은 틀에 지나지 않으며 내용면에 있어서는 주관적 혹은 왜곡된 각색의 흔적에서 그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The Josun of Legend" by Miwa Tamaki is the first legendry publishing the Korean folk tales at japan. This study examines how ``The Josun of Legend`` classified the tales, thus to find out the compiler Miwa Tamaki`s intention and characteristic of the tales. That`s the feature of the natural history. Natural history came into fashion in the 18th century Japan. ``Saiyakuki``and ``kidan``were also classifying natural history In Early modern Japanese Literature. The common purpose of story collection is enlightenment of a people. An author of "Syosyusaiyakuki"inspected superstition of a story at the viewpoint of the naturalist.An author of "Syokokurizinndann"criticism was excluded and enumerated. as a result objectivity has been secured. Western civilization has been introduced in modern Japan. Enlightened sense of stronger and people sought to civilize. So narrative gathering by adding again. Especially Collected a Joseon narrative in the Joseon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It is Japan was to enlighten a Korean. "The Josun of Legend"was classifying natural history. It`s to show more objectively. But This is only a frame. The contents as recognition to a colony were limited.
김문기(Kim, Moon-Kee) 부산경남사학회 2016 역사와 경계 Vol.101 No.-
『자산어보』는 해양생물에 대한 과학적인 관찰이라는 점에서 우리나라 박물학에서 독보적인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흥미롭게도 정약전은 어보를 저술하려 했을 때, 원래 ‘그림’이 포함된 『해족도설』을 구상했었다. 그렇지만 동생인 정약용의 충고에 따라 이 구상을 포기하고 ‘문자’만으로 이루어진 『자산어보』를 남기게 되었다. 이 글은 정약전의 이러한 ‘선택’이 가지는 역사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자산어보』는 세밀하고 경험적인 고찰을 행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을 ‘그림’이 아닌, ‘문자’로만 표현했다. ‘문자’의 한계에서 자유롭지 못한 것이다. 이런 사실은 정약전과 동시대를 살았던 郝懿行의 『記海錯』에서도 확인된다. 중국과 조선의 魚譜들은 해양생물을 기술하면서 모두 ‘문자’로 표현하고 있다. 이에 반해 동시대를 살았던 구리모토 탄슈의 『栗氏魚譜』, 『皇和魚譜』는 ‘그림’이 핵심이었다. 중국과 조선의 어보가 ‘문자’에 머물러 있을 때, 일본의 어보는 ‘그림’이 주된 지식의 매개체였다. 박물학에서 ‘그림’은 정보전달의 핵심적인 수단이었다. 정약전과 학의행이 ‘문자’라는 청각세계에서 벗어나지 못할 때, 일본의 박물학은 ‘그림’이라는 시각세계로 전환되고 있었다. 정약용은 “글로 쓰는 것이 그림을 그려 색칠하는 것보다 나을 것(文字勝丹靑)”이라고 했다. 조선 문명이 청각적 세계에서 자유롭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자산어보』는 ‘청각’과 ‘시각’의 갈림길에 선 조선의 선택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When it comes to the scientific observation of marine organisms, Jasan-Urbo holds an unchallenged position in the field of natural history in Korea. Interestingly, Jung Yak-jun originally planed Haejok-dosul(『海族圖說』) with a series of ‘illustrations’, when he had intended to write Books of Fishes(魚譜). However, having taken his younger brother Jung Yak-yong’s advice, he abandoned his original plan and composed Jasan-Urbo(『玆山魚譜』) using only ‘letters.’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ical meaning of Jung Yak-jun’s ‘choice.’ Jasan-Urbo is highly esteemed in terms of conducting detailed and empirical considerations. However, its contents were expressed in ‘letterss’, not in ‘illustrations,’ which means that this work do have limitations of to explain its own contents because it was written in ‘letters.’ The same problem is found in Jihaicuo(記海錯), written by one of his Chinese contemporaries, Hao Yi-xing(郝懿行). In other words, the contents of the Books of Fishes in China and Joseon were explained in only ‘letters.’ On the other hand, illustrations were the nucleus of Japanese Books of Fishes such as Kurishi-Gyofu(『栗氏魚譜』) and Kouwa-Gyofu(『皇和魚譜』), composed by their Japanese contemporary, Kurimoto Tanshyu. Whereas, Books of Fishes of China and Joseon limited their means to conveying knowledge to ‘letters’, those of Japan took ‘illustrations’ as the major medium of knowledge. In natural history, ‘illustrations’ were essential to deliver information. While Jung Yak-jun and Hao Yi-xing had restricted themselves to ‘letters,’ the natural history of Japan had turning its attention to the ‘illustrations.’ In fact, Jung Yak-yong contended that “letters are better than illustrations.” The civilization of Joseon was not free from the auditory world. Jasan-Urbo signifies Joseon’s choice which was made at a crossroad between ‘hearing’ and ‘sight.’
홍준형 한국중문학회 2024 중국문학연구 Vol.- No.94
저우쭤런은 어린 시절부터 동식물에 관심을 두고 박물학 서적 읽기를 좋아했다. 또한 당시 유행했던 진화론의 영향 속에서 인간의 진화 과정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러한 관심은 자연스럽게 생물학에 관한 관심으로 이어져 인간의 문제를 이해하고 연구하는데 생물학 지식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1920년대 중반 저우쭤런 산문의 가장 큰 변화는 ‘생활의 예술’을 추구하며 주변의 다양한 일상에 관심을 쏟는 것이었다. 이 과정에서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야생초나 나무, 새, 곤충 등이 산문의 소재가 되었다. 대부분 세시풍속이나 먹거리, 놀이와 같이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거나 주변에 흔히 볼 수 있고 인간과 매우 가까운 것들이었는데, 대상 자체에 대한 박물학적 지식과 함께 이를 둘러싼 민간 사회의 풍속과 인간의 정서와 감정을 결합하여 묘사한 것이 이 시기 초목충어 산문의 주된 특징이었다. 초목충어 산문의 또 다른 특징 가운데 하나는 동식물에 관한 전통 지식의 잘못된 부분을 바로잡고자 했다는 것이다. 주로 동식물에 관한 각종 문헌 기록이나 민간 속설 가운데 잘못 전해져 내려오거나 과학적 상식에 부합하지 않는 내용을 찾아 그 오류를 지적하고 비판했다. 여기서 전통 박물학 지식과 관련하여 저우쭤런이 문제점으로 지적한 것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중국인들이 자연을 관찰하고 이해하는 데 관심이 없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미신이나 윤리적 목적에서 잘못 전해진 지식이 많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비판의식으로부터 저우쭤런은 동식물에 관한 지식을 기록한 다양한 과거 문헌들을 검증하고 비평함으로써 과학적 지식에 바탕을 둔 새로운 윤리건설을 위한 토대를 제공하고자 했다.
백석시의 언어와 미적 원리 - 백석 시의 박물학적 특성과 감각의 깊이
고형진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5 No.-
This thesis is about language and aesthetic principle of Baek-Seok's poem. Baek-Seok uses specific name of individual objects as a poetic word instead of generic term. He finds original Korean terms and use it as poetic expressions, which make our language and culture more beautiful and affluent. He especially uses lots of specific animal and plant terms. Also, he actively uses detailed knowledge of animals and plant. His poem has characteristic of natural history. At that time, research on natural history was widely undertaken in Japan, result of which is shown in Baek-Seok's poem. How Baek-Seok accurately distinguishes terms of color and sound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history. The language of Baek-Seok's poem has color, light and darkness, sound sense. He uses various color techniques. He uses color epithet as well as clear color image to express colors in poem. Also, he adds light and darkness concept to control light intensity of poetic picture. When he adds on sound to it, the flat picture becomes three-dimension with sound-brought energy. The way color, shade, and sound sense mixes together creating an esthetic sense touches readers on their heart and soul. This esthetic mixture sometimes dominates the entire form of Baek-Seok's poem but in other times it is used partially in the poem. Baek-Seok's poem uses diverse aesthetic techniques, so it needs a lot of effort and perspectives to fully understand its attractiveness. His poem endlessly triggers the intellectual curiosity and desire to study of researchers and its magnetism never dies out. The aesthetic principle covered in this thesis is just one of those many techniques of Baek-Seok, but it is undoubtful that it's an important element to allure readers in Baek-Seok's poem. 이 글은 압도적인 부피감과 강력한 흡인력으로 오늘날 폭넓은 사람을 받고 있는 백석시의 언어와 미적 원리를 규명하기 위해 쓰여 진 것이다. 백석시의 언어적 특징으로 흔히 방언의 완고한 구사를 들지만, 이 보다 더 중요한 특징은 ‘명명의 구체성’이다. 백석은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언어를 멀리하고 구상어들을 사용한다. 그리고 그 구상어들은 사물을 총칭하는 포괄적인 명칭이 아니라 각 사물마다 수많은 종류별로 세분된 개별 사물들의 이름들을 가리킨다. 그는 낱낱의 사물에 부여된 세부적 사물명을 시어로 사용하므로 그의 시에는 수많은 명명어들이 등장하여 우리말의 성찬을 이룬다. 백석은 우리의 생활용품과 산천초목과 인간군상들을 낱낱이 호명하고 명명함으로써 우리의 언어와 문화의 매력을 한껏 일깨운다. 백석의 시어에 나타난 명명의 구체성은 동, 식물명에 이르러 더욱 깊어진다. 백석은 동식물의 종류별로 아주 세분화된 명칭들을 시어로 사용하며, 이들의 특성과 생태에 대한 지식을 시적인 형상화에 적용하기도 한다. 이 점에서 그의 시에는 박물학적 사고가 드리워져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1935년 11월『조광』지 창간호에 ‘신박물지’란 특집이 실린바 있고, ‘조선박물학회’의 결성과『조선박물학잡지』의 간행을 통해 조선의 식물과 동물의 생태에 각종 연구물이 발표된 당시의 학술문화계 동향이 백석의 시에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짐작된다. 박물학적 사고에 접맥되어 있는 백석 시어의 세부적 명명성은 감각적 표현이 가미되면서 미학적인 완성을 꾀한다. 그의 시에는 여러 감각이 동시에 구사되는데, 그 가운데서 주목되는 것이 색과 명암과 소리감각이다. 백석의 시에는 색상 어휘가 다채롭게 구사되며, 또 명암 언어의 스펙트럼이 아주 넓다. 명암은 백석 시의 미적 원리 가운데 가장 개성적인 영역을 차지하는 것이다. 명암은 백석 시 득의의 감각 표현이며, 그의 시를 매우 섬세하고 아득한 세계로 이끄는 중요한 미적 동인이다. 백석시의 미적 원리를 형성하는 또 하나의 중요한 요소는 소리감각이다. 백석은 생명체가 내는 소리와 사물이 자기공명 내지는 충돌을 통해 내는 소리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소리감각을 시적인 미학으로 활용한다. 백석은 여러 가지의 채색기법으로 색상이미지를 구사하고 여기에 명암의 부여로 그림의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깊은 느낌을 자아내며, 그 그림에 소리공명을 일으켜 소리감각이 환기하는 정신적인 기운을 조성해 낸다. 백석의 시는 이처럼 색과 명암과 소리 감각이 이중 삼중으로 결합되어 조성되는 언어감각을 통해 독자들의 마음과 혼을 함께 뒤흔든다. 색과 명암과 소리가 어우러지는 언어의 향연은 백석의 개별 작품에서 시의 형식을 완전히 지배하기도 하고, 부분적으로 이끌기도 하면서 그의 시의 중요한 미적 원리를 형성한다.
하세봉 중국사학회 2014 中國史硏究 Vol.89 No.-
The Nantong Museum(南通博物苑) is the first Chinese museum established in 1905. After the Nantong Museum, museums began to spread out all across the country in China including the capital city Beijing. Analyzing the exhibition of the Nantong Museum brings out the following questions: 1. What made the founders of the Nantong Museum show valuable cultural heritages and natural object to the public? 2. What they collect and how they displayed them to public? 3. What kind of logic they choose to classify and display? By conducting a research on [南通博物苑品目(The catalog of the Nantong Museum](1914) I had strived to answer those questions in the context of changes in knowledge structure. And the following is the outcome of my study. Firstly, the exhibition of the Nantong Museum was the shaping of knowledge based on the original and visual sensation. The founder of the Nantong Museum Zhang Jian(張건) criticized speculative, exclusive traits of traditional disciplines not depending on reality. He added that China could be a modern country if Chinese scholars watch and confirm the originals in person and the public shared the knowledge. Secondly, the redistribution of knowledge was attempted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the collections. Selections of displays referred to foreign cases. At the same time, the redistribution was connected with the context of natural history in tradition(博物學) represented by leishu(類書) and bencaoxue(本草學). Especially, the collections and displays of paintings and calligraphy works stood on the tradition of the natural history in tradition that covered distinction, restoration, and criticism of them. Lastly, two levels of classification of the natural history in tradition continued at the display of natural objects at the Nantong Museum yet the ideal of the natural history in tradition was discarded, and modern, scientific ways were adopted. Afterwards, Chinese museums usually have followed this way and the Nantong Museum initiated these trends.
『오주연문장전산고』의 도교관 -「도장총설」을 중심으로-
김윤경 한국도교문화학회 2020 道敎文化硏究 Vol.53 No.-
What shape did Daoism or Daoist viewpoints take at various times in the Joseon period?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Daoism in the pre-modern period – before the History of Joseon Daoism by Lee Neunghwa(李能和) – by examining how Lee Gyugyeong(李圭景) codifies and imagines Daoism, referencing mainly his 19th century book, Ojuyeonmunjangjeonsango(五洲衍文長箋散稿). It is very important to study how Daoism is defined in terms of Natural History(博物學), one of the main interests of 19th century Joseon Silhak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when it comes to a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Korean Daoism. To that end, I will research the contents of Ojuyeonmunjangjeonsango(五洲衍文長箋散稿) as well as the way that Lee Gyugyeong(李圭景) describes Daoism as a way to see how Daoism was perceived in the 19th century. 조선시대 ‘도교’ 혹은 도교관을 구성하는 요소는 시대마다 어떤 모습을 가졌는가? 이 논문은 19세기 저작인 『오주연문장전산고』를 중심으로 이규경이 ‘도교’를 어떻게 규정하고 구성하고 있는가를 통해 근대 이전(이능화의 『조선도교사』 이전) 시기 ‘도교적 구성요소’를 살펴보고자 한다. 19세기 실학의 주요한 활동 가운데 하나인, 박물학에서 도교가 어떻게 정의되고 있는가를 논구하는 것은 한국도교사 기술에서 매우 주요한 문제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오주연문장전산고』에 드러나는 이규경의 도교에 관한 전체적인 개관과 시각을 살펴보고, 19세기 조선 박물학 안에서 도교가 어떻게 인식되었는가를 탐구하였다.
강혜선(Kang Hye-Sun) 한국문학회 2006 韓國文學論叢 Vol.43 No.-
This essay illuminate the relatedness between the notable features of Kim-Ryo"s Chinese poetry and the trend of wide encyclopedic knowledge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Intellectuals wrote a great variety of wide encyclopedic knowledge. Kim-Ryo interested in this trend also wrote categorical explanations of fishes. That book"s name is Uhae-ieobo. The contents of the book are interesting. He recorded the ecology of fishes and the local customs in the Uhae-ieobo. While he was exiled in Buryong and Jinhae, he took interest in wide encyclopedic knowledge. Especially he had a vast stock of knowledge in the living necessaries. After he returned from the place of exile, he grew vegetables and fruits, flowers in his farm and garden. Manseonwainggo, the collection of poems is based on his actual experience of growing vegetables and fruits, flowers. In addition he wrote the poems on the theme of the living necessaries. In this collection of poems, he wrote the poems in his own way which was annotated. Annotations of the poems have a strong resemblance to kinds of Mulbo, categorical explanations of things. Kim-Ryo"s poems are lyric and sensitive on the theme of his every day lives. He expresses vegetables and fruits which he had grow and eaten every day. He expresses flowers which he had grow and watched every day. He expresses living necessaries which he had used every day. These poems show the change of lyric poem under the influence of wide encyclopedic knowledge and practical science.
김문기(Kim, Moon-Kee) 부산경남사학회 2016 역사와 경계 Vol.99 No.-
이 글은 근세 동아시아에서 물고기에 대한 전문서인 ‘어보’가 출현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동아시아에서 본격적으로 어보가 출현했던 것은 16세기 말이었다. 1596년에 편찬된 屠本畯의 『閩中海錯疏』가 그것이다. 『민중해착소』는 중국 최초의 ‘수산생물지’로 평가받는다. 일본 최초의 어보는 1719년에 편찬된 간다 겐센(神田玄泉)의 『日東魚譜』이다. 『일동어보』는 동시에 일본 최초의 ‘魚類圖鑑’이기도 하다. 일본의 어보는 처음부터 ‘圖鑑’으로 시작되었다는 것이 주목된다. 조선 최초의 어보는 1803년에 편찬된 金鑢의 『牛海異魚譜』이다. 한국 최초의 어보는 중국보다는 207년, 일본보다는 84년이 지나서 출현했던 것이다. 중국의 어보 중에서 聶璜의 『海錯圖』(1698)는 동아시아 최초의 ‘魚類圖譜’라고 할 수 있다. 丁若銓의 『玆山魚譜』(1814)는 자연과학적인 관찰과 묘사에서 중국과 일본의 어보들에 견주어 결코 손색이 없다. 동아시아 3국의 어보를 비교했을 때 주목되는 것은 일본의 어보들이다. 18세기 후반에 이르면 일본의 어보들은 양적이나 질적인 면에서 중국과 조선의 어보들을 압도했다. 도미 ․ 넙치 ․ 개복치 등 단일어종에 대한 전문어보가 출현한 것은 물론이고, 『皇和魚譜』를 비롯한 민물고기 전문어보도 여럿 저술되었다. 일본 어보에서 가장 중요한 특성은 바로 ‘그림’이다. 최초의 어보가 ‘圖譜’에서 시작되었던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일본 어보들은 ‘글(譜)’보다는 ‘그림(圖)’이 정보전달에서 핵심이었다. 『衆鱗圖』, 『栗氏魚譜』, 『梅園魚譜』, 『水族四帖』 등에 묘사된 생동감 있는 그림은 어류박물학에서의 성취를 잘 보여준다. 근세 동아시아 3국은 모두 어류박물학이 발전했다. 어보는 어류지식이 형성되고 발전하는 과정을 잘 보여준다. 그렇지만 이들 사이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문제는 이것이 단순한 ‘차이’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엄연한 ‘격차’로 발전했다는 사실이다. 이 글에서 소개한 동아시아 3국의 어보들에 대한 비교 및 그 박물학적인 의미는 후속논문을 통해서 밝히도록 하겠다. This study examines the emerging process of the books of fishes(魚譜) in the premodern East Asia. It was by the late 16th century that those literatures in earnest began to appear in the East Asia: Minzhong-Haicuoshu (『閩中海錯疏』) compiled by Tu Benjun(屠本畯) in 1596. It is evaluated as the first version of ichthyography in China. In Japan the first book of fishes is Nitto-Gyofu(『日東魚譜』) compiled by Kanda Genshen(神田玄泉) in 1719. It is also the first ‘Atlas of Fishes’ in Japan. It is worthy of notice that the Japanese books had a shape of ‘illustrated book’ from the outset. And the first one of fishes in Chosun is Woohaeri-Eobo(『牛海異魚譜』) compiled by Kim Ryo in 1803, which emerged 207 and 84 years later than China and Japan. Among those literatures in the respective countries, the Japanese ones are remarkable. By the latter 18th century they were overwhelming i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Not only the specialized works on a single fish species such as Porgy, Flounder, and Mola mola, but the books of freshwater fishes like Kowa-Gyofu(『皇和魚譜』), the various ones were written in Japan. The most important feature in the Japanese ones was the illustration. As the first version was made as an illustrated guide, the ‘illustration(圖)’ rather than the ‘writing(譜)’ was the key to tell its information. The illustrations expressed animatedly in Shyurinzu(『衆鱗圖』), Kurishi-Gyofu(『栗氏魚譜』), Baien-Gyofu(『梅園魚譜』), Suijoku-Shichyou(『水族四帖』) etc. represents a great achievement in the natural history of fishes.
근세 일본의 『동의보감』 어류지식 연구(Ⅰ) ―통신사 의원문답을 중심으로, 1636~1717―
김문기 부산경남사학회 2019 역사와 경계 Vol.111 No.-
This paper is the first in a series of studies on ichthyological knowledge of Dong-ui-bo-gam in the early modern Japan, specially focusing how Japanese accepted knowledge of Joseon’s fishes from 1636, when Dong-ui-bo-gam was introduced at Japan through the diplomatic missions, to 1717, when before the Survey of Joseon’s Medicinal Ingredient(朝鮮藥材調査) was conducted through the settlement for Japanese in Joseon(倭館, Wae-Gwan). In Japan, medication-based herbalism turned gradually to natural history which defines the ‘thing(物)’ itself. This tendency is definitely showed in Sun-sang-pil-ue(『鮮桑筆語』) written during the Diplomatic Mission in 1682, which has questions about 75 species plants and animals that the Japanese could not identify. Ino Jakusui(稻生若水) who appeared in the Diplomatic Mission in 1711 was writing about 1,000 volumes of a book, Sho-butu-rui-san(『庶物類纂』). This voluminous book shows that Japanese at that time were driven by a desire for natural history. Furthermore, a new fact about practical usage of Dong-ui-bo-gam is unearthed. The earlier studies consider generally that contents of Dong-ui-bo-gam were discussed in earnest since the Diplomatic Mission in 1711. In this respect, Etsu-ho-shoku-motsu-hon-zou(『閱甫 食物本草』) published in 1671 is absorbing because it is confirmed that this book refers to the Dong-ui-bo-gam by demonstrating ‘salmon(鮏)’ and ‘sea cucumber(海鼠)’. In Yamato-hon-zou(『大和本草』) published in 1709, ichthyological knowledge of Dong-ui-bo-gam is reflected and respected well. In particular, ‘entanglements of error’ is the most feature in the interchange of ichthyological knowledge between Korea and Japan. When Japanese scholars demonstrated fishes of Dong-ui-bo-gam, 15 species of 29 species in total did not exist in Japan and were used with other names in Chinese characters. Sometimes the demonstration of fishes of Dong-ui-bo-gam was mistaken. There were errors in some medicinal herbal knowledge of scholars of Joseon who had conversations with Japanese scholars. According to Sun-sang-pil-ue, Sung Wan(成琓), the official litterateur of Joseon, gave wrong answers around half of the 14 species of fishes. When Ino Jakusui asked Joseon’s scholars the Korean name of ‘salmon(鮭)’, they said ‘trout(松 魚)’, and these wrong answers had much influence on Japanese scholars later. In other words, ‘entanglements of error’ itself was part of natural history. 본 연구는 「근세 일본의 『동의보감』 어류지식 연구」에 대한 첫 번째 글이다. 『동의보감』에 대한 정보가 처음 일본에 알려졌던 병자사행(1636)부터 왜관을 통한 ‘조선약재조사’이전인 1717년까지를 대상으로, 일본에서 조선의어류지식을 어떻게 수용했는지를 살펴보았다. 일본에서는 약물중심의 본초학을 넘어, ‘物’자체를 규명하려는 박물학으로점차로 전환되고 있음이 감지된다. 임술사행(1682) 때의 『선상필어』는 이러한 움직임을 뚜렷하게 보여준다. 거기에는 자신들이 규명하지 못했던 75종의동식물에 대한 질문을 담았다. 신묘사행(1711) 때에 등장하는 이노우 쟈쿠스이는 1천 권을 목표로 『서물류찬』을 편찬 중이었다. 방대한 분량을 자랑하는이 책은 당시 일본의 박물학적 욕망을 보여준다. 『동의보감』의 활용에 대한 새로운 사실이 발견되었다. 지금까지 연구는 대체로 신묘사행(1711)부터 『동의보감』의 내용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고 보았다. 이런 점에서 1671년에 간행된 『열보식물본초』는 주목된다. ‘연어(鮏)’와 ‘해삼(海鼠)’을 변증하면서, 『동의보감』을 살펴보았음이 확인된다. 1709년에 간행된 『대화본초』에는 『동의보감』의 어류지식이 잘 반영되어 있고, 『동의보감』의 어류지식에 대한 깊은 존중이 보인다. 朝・日간 어류지식의 교류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오류의 錯綜’이다. 일본학자들이 『동의보감』에 있는 물고기를 변증하려 할 때, 전체 29종에서 15 종은 일본에 아예 없거나, 다른 한자명을 사용했다. 『동의보감』의 물고기 변증 자체가 잘못된 경우도 있었다. 일본학자들과 대화했던 조선학자들의 본초지식에는 오류가 많았다. 『선상필어』를 보면, 성완은 14종의 물고기 가운데절반 가까이를 엉뚱하게 대답했다. 이노우 쟈쿠스이가 ‘연어(鮭)’의 조선이름을 물었지만, 조선학자들은 ‘송어(松魚)’라고 답했다. 이때의 잘못된 대답은이후의 일본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오류의 착종’은 그 자체로 박물학의 일부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