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기의 조선설화집과 박물학-미와 다마끼의『전설의 조선』을 중심으로-

        조은애 ( Cho Eun-ae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6 日語日文學硏究 Vol.98 No.2

        일제강점기에 간행된 일본어 조선설화집인 『전설의 조선』의 가장 큰 특징은, 분류방법에 있어서 지리박물학의 분류를 따르고 있다는 점이다. 박물학의 관점에서 설화를 채집하고 분류하는 목적과 방법은, 18세기 일본의 박물학의 유행과 문학장르로서 「채약기採藥記」와「기담奇談」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있다. 이들의 공통적인 목적은 계몽과 교화를 위한 자료로서 설화를 수집하는데 있었다. 대표적으로『제주채약기諸州採藥記』의 편자는 박물학자의 입장에서 실제로 설화의 허구를 실증함으로서 계몽적인 자세를 취하였다.『제국이인담諸國里人談』의 경우 직접적인 교훈과 비평을 배제하는 방법을 통해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근대에 들어선 일본은 서양의 과학적인 사고의 도입과 함께 계몽의식이 강해지면서 민중의 계몽을 위한 설화채집을 다시 재현하게 된다. 일제강점기 조선에서의 설화조사와 간행사업은 이상의 흐름속에서 재현 되었으며. 특히 『전설의 조선』은 지리 박물학적인 분류 방법을 취함으로서 보다 객관적인 자료라는 특징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그러나 박물학의 성격을 이용한 객관성은 틀에 지나지 않으며 내용면에 있어서는 주관적 혹은 왜곡된 각색의 흔적에서 그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The Josun of Legend" by Miwa Tamaki is the first legendry publishing the Korean folk tales at japan. This study examines how ``The Josun of Legend`` classified the tales, thus to find out the compiler Miwa Tamaki`s intention and characteristic of the tales. That`s the feature of the natural history. Natural history came into fashion in the 18th century Japan. ``Saiyakuki``and ``kidan``were also classifying natural history In Early modern Japanese Literature. The common purpose of story collection is enlightenment of a people. An author of "Syosyusaiyakuki"inspected superstition of a story at the viewpoint of the naturalist.An author of "Syokokurizinndann"criticism was excluded and enumerated. as a result objectivity has been secured. Western civilization has been introduced in modern Japan. Enlightened sense of stronger and people sought to civilize. So narrative gathering by adding again. Especially Collected a Joseon narrative in the Joseon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It is Japan was to enlighten a Korean. "The Josun of Legend"was classifying natural history. It`s to show more objectively. But This is only a frame. The contents as recognition to a colony were limited.

      • KCI등재

        『玆山魚譜』와 『海族圖說』

        김문기(Kim, Moon-Kee) 부산경남사학회 2016 역사와 경계 Vol.101 No.-

        『자산어보』는 해양생물에 대한 과학적인 관찰이라는 점에서 우리나라 박물학에서 독보적인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흥미롭게도 정약전은 어보를 저술하려 했을 때, 원래 ‘그림’이 포함된 『해족도설』을 구상했었다. 그렇지만 동생인 정약용의 충고에 따라 이 구상을 포기하고 ‘문자’만으로 이루어진 『자산어보』를 남기게 되었다. 이 글은 정약전의 이러한 ‘선택’이 가지는 역사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자산어보』는 세밀하고 경험적인 고찰을 행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을 ‘그림’이 아닌, ‘문자’로만 표현했다. ‘문자’의 한계에서 자유롭지 못한 것이다. 이런 사실은 정약전과 동시대를 살았던 郝懿行의 『記海錯』에서도 확인된다. 중국과 조선의 魚譜들은 해양생물을 기술하면서 모두 ‘문자’로 표현하고 있다. 이에 반해 동시대를 살았던 구리모토 탄슈의 『栗氏魚譜』, 『皇和魚譜』는 ‘그림’이 핵심이었다. 중국과 조선의 어보가 ‘문자’에 머물러 있을 때, 일본의 어보는 ‘그림’이 주된 지식의 매개체였다. 박물학에서 ‘그림’은 정보전달의 핵심적인 수단이었다. 정약전과 학의행이 ‘문자’라는 청각세계에서 벗어나지 못할 때, 일본의 박물학은 ‘그림’이라는 시각세계로 전환되고 있었다. 정약용은 “글로 쓰는 것이 그림을 그려 색칠하는 것보다 나을 것(文字勝丹靑)”이라고 했다. 조선 문명이 청각적 세계에서 자유롭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자산어보』는 ‘청각’과 ‘시각’의 갈림길에 선 조선의 선택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When it comes to the scientific observation of marine organisms, Jasan-Urbo holds an unchallenged position in the field of natural history in Korea. Interestingly, Jung Yak-jun originally planed Haejok-dosul(『海族圖說』) with a series of ‘illustrations’, when he had intended to write Books of Fishes(魚譜). However, having taken his younger brother Jung Yak-yong’s advice, he abandoned his original plan and composed Jasan-Urbo(『玆山魚譜』) using only ‘letters.’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ical meaning of Jung Yak-jun’s ‘choice.’ Jasan-Urbo is highly esteemed in terms of conducting detailed and empirical considerations. However, its contents were expressed in ‘letterss’, not in ‘illustrations,’ which means that this work do have limitations of to explain its own contents because it was written in ‘letters.’ The same problem is found in Jihaicuo(記海錯), written by one of his Chinese contemporaries, Hao Yi-xing(郝懿行). In other words, the contents of the Books of Fishes in China and Joseon were explained in only ‘letters.’ On the other hand, illustrations were the nucleus of Japanese Books of Fishes such as Kurishi-Gyofu(『栗氏魚譜』) and Kouwa-Gyofu(『皇和魚譜』), composed by their Japanese contemporary, Kurimoto Tanshyu. Whereas, Books of Fishes of China and Joseon limited their means to conveying knowledge to ‘letters’, those of Japan took ‘illustrations’ as the major medium of knowledge. In natural history, ‘illustrations’ were essential to deliver information. While Jung Yak-jun and Hao Yi-xing had restricted themselves to ‘letters,’ the natural history of Japan had turning its attention to the ‘illustrations.’ In fact, Jung Yak-yong contended that “letters are better than illustrations.” The civilization of Joseon was not free from the auditory world. Jasan-Urbo signifies Joseon’s choice which was made at a crossroad between ‘hearing’ and ‘sight.’

      • KCI등재

        저우쭤런의 박물학 취향과 ‘초목충어(草木蟲魚)’ 산문

        홍준형 한국중문학회 2024 中國文學硏究 Vol.- No.94

        저우쭤런은 어린 시절부터 동식물에 관심을 두고 박물학 서적 읽기를 좋아했다. 또한 당시 유행했던 진화론의 영향 속에서 인간의 진화 과정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러한 관심은 자연스럽게 생물학에 관한 관심으로 이어져 인간의 문제를 이해하고 연구하는데 생물학 지식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1920년대 중반 저우쭤런 산문의 가장 큰 변화는 ‘생활의 예술’을 추구하며 주변의 다양한 일상에 관심을 쏟는 것이었다. 이 과정에서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야생초나 나무, 새, 곤충 등이 산문의 소재가 되었다. 대부분 세시풍속이나 먹거리, 놀이와 같이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거나 주변에 흔히 볼 수 있고 인간과 매우 가까운 것들이었는데, 대상 자체에 대한 박물학적 지식과 함께 이를 둘러싼 민간 사회의 풍속과 인간의 정서와 감정을 결합하여 묘사한 것이 이 시기 초목충어 산문의 주된 특징이었다. 초목충어 산문의 또 다른 특징 가운데 하나는 동식물에 관한 전통 지식의 잘못된 부분을 바로잡고자 했다는 것이다. 주로 동식물에 관한 각종 문헌 기록이나 민간 속설 가운데 잘못 전해져 내려오거나 과학적 상식에 부합하지 않는 내용을 찾아 그 오류를 지적하고 비판했다. 여기서 전통 박물학 지식과 관련하여 저우쭤런이 문제점으로 지적한 것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중국인들이 자연을 관찰하고 이해하는 데 관심이 없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미신이나 윤리적 목적에서 잘못 전해진 지식이 많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비판의식으로부터 저우쭤런은 동식물에 관한 지식을 기록한 다양한 과거 문헌들을 검증하고 비평함으로써 과학적 지식에 바탕을 둔 새로운 윤리건설을 위한 토대를 제공하고자 했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삼도부』와 위진 박물학: 『문선집주』 유규주(劉逵注) 인서(引書)를 중심으로

        마티에하오 ( Tie Hao Ma ) 연민학회 2014 연민학지 Vol.22 No.-

        『삼도부(三都賦)』는 위진 박물학과 은밀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좌사(左思)는 부(賦)를 짓기 위해 비서랑이 되고자 했으며, 서진(西晉)의 비각(秘閣)에서 많은 책을 두루 읽었다. 그의 “征實”의 근거가 바로 여기에 있다. 유규(劉逵)가 주를 단 『문선집주』의 고찰을 통해 『삼도부』의 “征實”의 사조의 배후에 하나의 박물학의 세계가 나타남을 볼 수 있다, 그는 『시경(詩經)』, 『초사(楚辭)』의 비흥(比興)과 상징의 전통에서 벗어났고, 『이아(爾雅)』, 『방언(方言)』, “이물지(異物志)”에서 물(物)을 묘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삼도부』에서 사(詞)와 물(物)의 정확한 연관을 확립한 것으로 보인다. 좌사의 박물학 세계에는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내적인 충돌이 형성되었다. 첫째는 지리와 정치 -“이물지”, 양웅(揚雄)의 『촉도부(蜀都賦)』에 나타나는 지방성과 『상서(尙書)·우공(禹貢)』, 『한서(漢書)·지리지(地理志)』에 나타나는 대통일 사상 - 사이의 충돌이다. 둘째는 신화와 역사 - 『장자(莊子)』, 『회남자(淮南子)』 가운데 나타나는 도가적 우주관, 그리고 물(物)로써 물(物)을 보는 “물아관(物我觀)”과 『좌전(左傳)』과 『한서』 등 경서와 사서에 나타나는 유가 정통 사상 - 사이의 충돌이다. 『삼도부』는 “正之以魏都, 折之以王道”라는 주제를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박물학의 세계에 대해 남김없이 드러낸 것은 정반대의 효과를 불러일으키는 양식으로 빠져 들어가는 것을 면치 못하게 하였다. San du fu (三都賦: Rhapsodies on the Three Capitals) is intimately linked to the natural philosophy of Western Jin. Zuo Si requested the post of secretary and read widely from texts in the Palace Library of Western Jin to compose the rhapsodies, and its link to Western Jin’s natural philosophy is seen in the words zheng shi (征 實). Through a study of Liu Kui’s commentary on San du fu in Wen xuan ji zhu(文選 集注: the Collected Commentaries on the Selections of Refined Literature), we can see the world of natural philosophy in the words zheng shi. Breaking away from metaphors and language used in Shi jing and Chu Ci and traditional symbols, he used descriptive methods in the Erya, Fangyan, and Yiwu Zhi to establish an exact link between words and objects. The world of Zuo Si’s natural philosophy has limits, creating several internal tensions: 1) regionality in Yiwu Zhi and Yang Xiong’s Shu du fu versus grand unified thought in Shang shu-Yu gong, Han shu- Di li zhi depict the tension between geography and politics and 2) the Daoist view of the universe and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view in Zhuang zi and Huai nan zi versus traditional Confucian thought in the Confucian classics and history such as Zuo chuan and Han shu depicts tension between mythology and history. Although San du fu pursues the theme of “The Wei capital is ruled by justice, and benevolent rule makes the people bend,” it does so not by persuasion of the proper way but by inducing the reader with vivid description of the natural world.

      • KCI등재

        백석시의 언어와 미적 원리 - 백석 시의 박물학적 특성과 감각의 깊이

        고형진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5 No.-

        This thesis is about language and aesthetic principle of Baek-Seok's poem. Baek-Seok uses specific name of individual objects as a poetic word instead of generic term. He finds original Korean terms and use it as poetic expressions, which make our language and culture more beautiful and affluent. He especially uses lots of specific animal and plant terms. Also, he actively uses detailed knowledge of animals and plant. His poem has characteristic of natural history. At that time, research on natural history was widely undertaken in Japan, result of which is shown in Baek-Seok's poem. How Baek-Seok accurately distinguishes terms of color and sound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history. The language of Baek-Seok's poem has color, light and darkness, sound sense. He uses various color techniques. He uses color epithet as well as clear color image to express colors in poem. Also, he adds light and darkness concept to control light intensity of poetic picture. When he adds on sound to it, the flat picture becomes three-dimension with sound-brought energy. The way color, shade, and sound sense mixes together creating an esthetic sense touches readers on their heart and soul. This esthetic mixture sometimes dominates the entire form of Baek-Seok's poem but in other times it is used partially in the poem. Baek-Seok's poem uses diverse aesthetic techniques, so it needs a lot of effort and perspectives to fully understand its attractiveness. His poem endlessly triggers the intellectual curiosity and desire to study of researchers and its magnetism never dies out. The aesthetic principle covered in this thesis is just one of those many techniques of Baek-Seok, but it is undoubtful that it's an important element to allure readers in Baek-Seok's poem. 이 글은 압도적인 부피감과 강력한 흡인력으로 오늘날 폭넓은 사람을 받고 있는 백석시의 언어와 미적 원리를 규명하기 위해 쓰여 진 것이다. 백석시의 언어적 특징으로 흔히 방언의 완고한 구사를 들지만, 이 보다 더 중요한 특징은 ‘명명의 구체성’이다. 백석은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언어를 멀리하고 구상어들을 사용한다. 그리고 그 구상어들은 사물을 총칭하는 포괄적인 명칭이 아니라 각 사물마다 수많은 종류별로 세분된 개별 사물들의 이름들을 가리킨다. 그는 낱낱의 사물에 부여된 세부적 사물명을 시어로 사용하므로 그의 시에는 수많은 명명어들이 등장하여 우리말의 성찬을 이룬다. 백석은 우리의 생활용품과 산천초목과 인간군상들을 낱낱이 호명하고 명명함으로써 우리의 언어와 문화의 매력을 한껏 일깨운다. 백석의 시어에 나타난 명명의 구체성은 동, 식물명에 이르러 더욱 깊어진다. 백석은 동식물의 종류별로 아주 세분화된 명칭들을 시어로 사용하며, 이들의 특성과 생태에 대한 지식을 시적인 형상화에 적용하기도 한다. 이 점에서 그의 시에는 박물학적 사고가 드리워져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1935년 11월『조광』지 창간호에 ‘신박물지’란 특집이 실린바 있고, ‘조선박물학회’의 결성과『조선박물학잡지』의 간행을 통해 조선의 식물과 동물의 생태에 각종 연구물이 발표된 당시의 학술문화계 동향이 백석의 시에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짐작된다. 박물학적 사고에 접맥되어 있는 백석 시어의 세부적 명명성은 감각적 표현이 가미되면서 미학적인 완성을 꾀한다. 그의 시에는 여러 감각이 동시에 구사되는데, 그 가운데서 주목되는 것이 색과 명암과 소리감각이다. 백석의 시에는 색상 어휘가 다채롭게 구사되며, 또 명암 언어의 스펙트럼이 아주 넓다. 명암은 백석 시의 미적 원리 가운데 가장 개성적인 영역을 차지하는 것이다. 명암은 백석 시 득의의 감각 표현이며, 그의 시를 매우 섬세하고 아득한 세계로 이끄는 중요한 미적 동인이다. 백석시의 미적 원리를 형성하는 또 하나의 중요한 요소는 소리감각이다. 백석은 생명체가 내는 소리와 사물이 자기공명 내지는 충돌을 통해 내는 소리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소리감각을 시적인 미학으로 활용한다. 백석은 여러 가지의 채색기법으로 색상이미지를 구사하고 여기에 명암의 부여로 그림의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깊은 느낌을 자아내며, 그 그림에 소리공명을 일으켜 소리감각이 환기하는 정신적인 기운을 조성해 낸다. 백석의 시는 이처럼 색과 명암과 소리 감각이 이중 삼중으로 결합되어 조성되는 언어감각을 통해 독자들의 마음과 혼을 함께 뒤흔든다. 색과 명암과 소리가 어우러지는 언어의 향연은 백석의 개별 작품에서 시의 형식을 완전히 지배하기도 하고, 부분적으로 이끌기도 하면서 그의 시의 중요한 미적 원리를 형성한다.

      • KCI등재

        남통박물원(南通博物苑)과 박물학적 지식의 근대적 변용

        하세봉 중국사학회 2014 中國史硏究 Vol.89 No.-

        The Nantong Museum(南通博物苑) is the first Chinese museum established in 1905. After the Nantong Museum, museums began to spread out all across the country in China including the capital city Beijing. Analyzing the exhibition of the Nantong Museum brings out the following questions: 1. What made the founders of the Nantong Museum show valuable cultural heritages and natural object to the public? 2. What they collect and how they displayed them to public? 3. What kind of logic they choose to classify and display? By conducting a research on [南通博物苑品目(The catalog of the Nantong Museum](1914) I had strived to answer those questions in the context of changes in knowledge structure. And the following is the outcome of my study. Firstly, the exhibition of the Nantong Museum was the shaping of knowledge based on the original and visual sensation. The founder of the Nantong Museum Zhang Jian(張건) criticized speculative, exclusive traits of traditional disciplines not depending on reality. He added that China could be a modern country if Chinese scholars watch and confirm the originals in person and the public shared the knowledge. Secondly, the redistribution of knowledge was attempted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the collections. Selections of displays referred to foreign cases. At the same time, the redistribution was connected with the context of natural history in tradition(博物學) represented by leishu(類書) and bencaoxue(本草學). Especially, the collections and displays of paintings and calligraphy works stood on the tradition of the natural history in tradition that covered distinction, restoration, and criticism of them. Lastly, two levels of classification of the natural history in tradition continued at the display of natural objects at the Nantong Museum yet the ideal of the natural history in tradition was discarded, and modern, scientific ways were adopted. Afterwards, Chinese museums usually have followed this way and the Nantong Museum initiated these trends.

      • KCI등재

        『오주연문장전산고』의 도교관 -「도장총설」을 중심으로-

        김윤경 한국도교문화학회 2020 道敎文化硏究 Vol.53 No.-

        What shape did Daoism or Daoist viewpoints take at various times in the Joseon period?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Daoism in the pre-modern period – before the History of Joseon Daoism by Lee Neunghwa(李能和) – by examining how Lee Gyugyeong(李圭景) codifies and imagines Daoism, referencing mainly his 19th century book, Ojuyeonmunjangjeonsango(五洲衍文長箋散稿). It is very important to study how Daoism is defined in terms of Natural History(博物學), one of the main interests of 19th century Joseon Silhak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when it comes to a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Korean Daoism. To that end, I will research the contents of Ojuyeonmunjangjeonsango(五洲衍文長箋散稿) as well as the way that Lee Gyugyeong(李圭景) describes Daoism as a way to see how Daoism was perceived in the 19th century. 조선시대 ‘도교’ 혹은 도교관을 구성하는 요소는 시대마다 어떤 모습을 가졌는가? 이 논문은 19세기 저작인 『오주연문장전산고』를 중심으로 이규경이 ‘도교’를 어떻게 규정하고 구성하고 있는가를 통해 근대 이전(이능화의 『조선도교사』 이전) 시기 ‘도교적 구성요소’를 살펴보고자 한다. 19세기 실학의 주요한 활동 가운데 하나인, 박물학에서 도교가 어떻게 정의되고 있는가를 논구하는 것은 한국도교사 기술에서 매우 주요한 문제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오주연문장전산고』에 드러나는 이규경의 도교에 관한 전체적인 개관과 시각을 살펴보고, 19세기 조선 박물학 안에서 도교가 어떻게 인식되었는가를 탐구하였다.

      • KCI등재

        한국과학사에서 본 석주명

        신동원 ( Dong Won Shi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2 탐라문화 Vol.0 No.40

        한국 나비에 대한 연구로 잘 알려진 석주명은 단순한 생물학자를 넘어선 인문사회학자이자 과학사상가였다. 1929년 일본의 가고시마 농고를 졸업한 후 귀국하여 나비연구를 시작했다. 잘 알려져 있듯이, 그는 생물학 분야에서 1933년~1950년 7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여 한국산 나비의 종을 확정짓고, 나비의 분포를 파악했다. 1945년 이후 그는 한국산 나비에 관한 역사적, 언어학적 고찰 등 "나비의 한국학"으로 관심을 넓혔다. 더 나아가 그는 과학사적 측면에서, 1949년 한국 최초의 박물학사 책인 『한국본위 세계박물학연표』를 집필하는한편, 제주도 방언 연구와 지역학적 연구를 수행했고, 세계어인 에스페란트어와 조선어의 관계 설정에 대해 사유했다. 그의 나비에 관한 생물학적 연구와 그가 수행한 인문사회학적인 연구에는 변종과 종의 문제, 표준과 차이에 관한 철학적, 방법론적 유사성이 담겨 있었다. 나비연구, 방언연구, 국학연구 등을 관통하는 공통점은 ``특수를 통해 보편으로 접근한다.``는 것, ``보편의 이름으로 특수를 무시하는 것이 옳지 않다."는 일종의 과학 사상이었다. 이에 입각해 그는 실제의 자연세계에서, 언어 세계에서, 제주도라는 지역 세계에서 그것을 실증해내려고 했다. 그 작업의 결과로서 나비연구, 방언 연구, 제주도 지역학 연구, 박물학사 연구, 에스페란토어 연구가 보고된 것이다. Seok Joo-myung, well-known for his research on butterflies in Korea, was not only a biologist, but also a liberal arts scholar and natural philosopher. After graduating from Japan`s Kagoshima Agricultural High School in 1929, he returned to Korea and began studying butterflies. As known to many, he shared his knowledge on the species and distribution of Korean butterflies by publishing seventy and more papers in the field of biology from 1933 to 1950. Since 1945, he expanded his interest to the Koreanology of butterflies, which included historical and linguistic studies related to Korean butterflies. His 1949 publication entitled World Chronology of Natural History as Seen From Korea was Korea`s first chronological book on the history of science. At the same time, he studied the use of dialect in Jeju Island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Esperanto and the Korean language. His biological research on butterflies and liberal arts studies deal with the problem of species and variants, and explore disparities from a philosophical/methodological perspective. The similarity between his research on butterflies, dialects, and studies on Jeju Island is the adoption of a universal approach through specialization. He adhered to the scientific thinking that it is wrong to overlook deviations for the sake of conformity. He attempted to provide evidence for such beliefs in the world of nature, language, and Jeju. As a result, he reported notable findings in his research on butterflies, dialects, Jeju region, history of natural science, and Esperanto.

      • KCI등재

        조선후기 박물학적 취향과 김려의 한시

        강혜선(Kang Hye-Sun) 한국문학회 2006 韓國文學論叢 Vol.43 No.-

          This essay illuminate the relatedness between the notable features of Kim-Ryo"s Chinese poetry and the trend of wide encyclopedic knowledge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Intellectuals wrote a great variety of wide encyclopedic knowledge. Kim-Ryo interested in this trend also wrote categorical explanations of fishes. That book"s name is Uhae-ieobo. The contents of the book are interesting. He recorded the ecology of fishes and the local customs in the Uhae-ieobo. While he was exiled in Buryong and Jinhae, he took interest in wide encyclopedic knowledge. Especially he had a vast stock of knowledge in the living necessaries. After he returned from the place of exile, he grew vegetables and fruits, flowers in his farm and garden. Manseonwainggo, the collection of poems is based on his actual experience of growing vegetables and fruits, flowers. In addition he wrote the poems on the theme of the living necessaries. In this collection of poems, he wrote the poems in his own way which was annotated. Annotations of the poems have a strong resemblance to kinds of Mulbo, categorical explanations of things. Kim-Ryo"s poems are lyric and sensitive on the theme of his every day lives. He expresses vegetables and fruits which he had grow and eaten every day. He expresses flowers which he had grow and watched every day. He expresses living necessaries which he had used every day. These poems show the change of lyric poem under the influence of wide encyclopedic knowledge and practical science.

      • KCI등재

        근세 동아시아의 魚譜와 어류지식의 형성

        김문기(Kim, Moon-Kee) 부산경남사학회 2016 역사와 경계 Vol.99 No.-

        이 글은 근세 동아시아에서 물고기에 대한 전문서인 ‘어보’가 출현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동아시아에서 본격적으로 어보가 출현했던 것은 16세기 말이었다. 1596년에 편찬된 屠本畯의 『閩中海錯疏』가 그것이다. 『민중해착소』는 중국 최초의 ‘수산생물지’로 평가받는다. 일본 최초의 어보는 1719년에 편찬된 간다 겐센(神田玄泉)의 『日東魚譜』이다. 『일동어보』는 동시에 일본 최초의 ‘魚類圖鑑’이기도 하다. 일본의 어보는 처음부터 ‘圖鑑’으로 시작되었다는 것이 주목된다. 조선 최초의 어보는 1803년에 편찬된 金鑢의 『牛海異魚譜』이다. 한국 최초의 어보는 중국보다는 207년, 일본보다는 84년이 지나서 출현했던 것이다. 중국의 어보 중에서 聶璜의 『海錯圖』(1698)는 동아시아 최초의 ‘魚類圖譜’라고 할 수 있다. 丁若銓의 『玆山魚譜』(1814)는 자연과학적인 관찰과 묘사에서 중국과 일본의 어보들에 견주어 결코 손색이 없다. 동아시아 3국의 어보를 비교했을 때 주목되는 것은 일본의 어보들이다. 18세기 후반에 이르면 일본의 어보들은 양적이나 질적인 면에서 중국과 조선의 어보들을 압도했다. 도미 ․ 넙치 ․ 개복치 등 단일어종에 대한 전문어보가 출현한 것은 물론이고, 『皇和魚譜』를 비롯한 민물고기 전문어보도 여럿 저술되었다. 일본 어보에서 가장 중요한 특성은 바로 ‘그림’이다. 최초의 어보가 ‘圖譜’에서 시작되었던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일본 어보들은 ‘글(譜)’보다는 ‘그림(圖)’이 정보전달에서 핵심이었다. 『衆鱗圖』, 『栗氏魚譜』, 『梅園魚譜』, 『水族四帖』 등에 묘사된 생동감 있는 그림은 어류박물학에서의 성취를 잘 보여준다. 근세 동아시아 3국은 모두 어류박물학이 발전했다. 어보는 어류지식이 형성되고 발전하는 과정을 잘 보여준다. 그렇지만 이들 사이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문제는 이것이 단순한 ‘차이’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엄연한 ‘격차’로 발전했다는 사실이다. 이 글에서 소개한 동아시아 3국의 어보들에 대한 비교 및 그 박물학적인 의미는 후속논문을 통해서 밝히도록 하겠다. This study examines the emerging process of the books of fishes(魚譜) in the premodern East Asia. It was by the late 16th century that those literatures in earnest began to appear in the East Asia: Minzhong-Haicuoshu (『閩中海錯疏』) compiled by Tu Benjun(屠本畯) in 1596. It is evaluated as the first version of ichthyography in China. In Japan the first book of fishes is Nitto-Gyofu(『日東魚譜』) compiled by Kanda Genshen(神田玄泉) in 1719. It is also the first ‘Atlas of Fishes’ in Japan. It is worthy of notice that the Japanese books had a shape of ‘illustrated book’ from the outset. And the first one of fishes in Chosun is Woohaeri-Eobo(『牛海異魚譜』) compiled by Kim Ryo in 1803, which emerged 207 and 84 years later than China and Japan. Among those literatures in the respective countries, the Japanese ones are remarkable. By the latter 18th century they were overwhelming i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Not only the specialized works on a single fish species such as Porgy, Flounder, and Mola mola, but the books of freshwater fishes like Kowa-Gyofu(『皇和魚譜』), the various ones were written in Japan. The most important feature in the Japanese ones was the illustration. As the first version was made as an illustrated guide, the ‘illustration(圖)’ rather than the ‘writing(譜)’ was the key to tell its information. The illustrations expressed animatedly in Shyurinzu(『衆鱗圖』), Kurishi-Gyofu(『栗氏魚譜』), Baien-Gyofu(『梅園魚譜』), Suijoku-Shichyou(『水族四帖』) etc. represents a great achievement in the natural history of fis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