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단계 재일조선인의 한국민주화운동 - 민단민주화운동세력과 김대중의 ‘연대’를 중심으로

        조기은(Cho, Ki-Eu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75 No.-

        1970년대 일본에서는 민단계 재일조선인, 특히 민단민주화운동세력이 중심이 되어 한국민주화운동을 전개했다. 민단민주화운동세력은 한국정부에 추종하는 민단이 주체성을 회복할 것을 주장하며 민단민주화운동을 전개했다. 하지만 이들은 한국정부나 민단에 의해 북한·총련에 추종하는 “불순세력”으로 간주되어 민단에서 배제 당했다. 그 후 1972년 남북공동성명 발표를 계기로 조국통일운동을 전개했지만, 박정희 정권이 유신체제로 들어가자 조국통일을 위해서는 한국의 민주화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게 되었고, 한국민주화로 운동방향을 바꾸었다. 민단민주화운동세력이 한국민주화운동으로 방향을 전환할 때 원동력이 된 것이 김대중이었고, 김대중과 ‘연대’해 일본에서 조직을 결성하려고 시도했다. 하지만 김대중은 민단민주화운동세력을 경계하며 ‘연대’를 주저했고, 조직결성과 관련된 일체의 권한을 가지려고 해 미묘한 입장 차이를 보였다. 그러던 중에 김대중은 중앙정보부에 의해 납치를 당하는 사건이 발생했고, 민단민주화운동세력은 김대중 구명을 위해 김대중과의 사이에서 ‘연대’, 그리고 조직결성에 대한 완전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한민통을 결성하게 되었다. 이후 한민통은 일본에서 한국민주화운동을 주도하게 되었다. In Japan during the 1970s, Zainichi Korean from the Mindan-affiliated groups led the movement for democratization of South Korea. The group of Democracy uprising, they were originally the members of Mindan executive. They launched mindan democratization movement, claiming that the Mindan, which followed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restore its identity. However, the Zainichi Korean were excluded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Mindan because they were regarded as ‘Anti-state Forces’ following North Korea and Chongryon. Then, when the South-North Joint Statement was issued in 1972, they led a campaign to reunify the Korean Peninsula. Nevertheless, Zainichi Korean’ expectations for the reunification of their homeland were dashed since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declared Yushin regime. At this point, they recognized that the South Korea’s democratization was necessary for the Korean Reunification. The Zainichi Korean from Mindan had the plan to organize a group which would be Korean Congress for Democracy and Unification, Hanmintong with Kim Dae-jung. The reason is that Kim Dae-jung provided the main impetus for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for South Korea. However, Kim Dae-jung was hesitant to be in solidarity with the Zainichi Korean because both of them had difference in positions regarding Hanmintong’s authority. Meanwhile, Kim Dae-jung was kidnapped by the Korean Central Intelligence Agency in 1973. Eventually, in order to save Kim Dae-jung, the Zainichi Korean from Mindan were officially forming the organization which was Hanmintong even though there was the lack of consensus reflected differences in their positions.

      • KCI등재

        한국에 있어서 권위주의체제의 해체와 민주적 이행: 집권세력과 체제반대세력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분석을 중심으로

        안승국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09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1 No.1

        Korea’s democratic transition was led by negotiations between the ruling forces and the opposition forces. The transition process involved a distinct sequence of stages. First, the ruling forces engaged in political liberalization and began to lose control power. The opposition established the NKDP(New Korean Democratic Party) and exploited the opportunity of challenge. The NKDP expanded political demands like nationwide election and constitutional reform. Second, the ruling forces reacted forcefully to suppress the opposition and the opposition pushed the regime strongly. The ruling and opposition forces perceived a standoff and began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a democratic transition. Therefore Korea’s democratic transition was marked by iterative cycles of challenge and repression. Such cycles eventually led to bilateral agreements of democratic transition. The political process through negotiated agreements resulted in constitutional reform and transition elections. Third, Korea’s transition election, the 1987 direct presidential election and the 1988 National Assembly election took place through a pact between the ruling and the opposition forces. With those elections, Korea moved from the authoritarian rule to the democratic regime. 한국에 있어서 민주적 이행은 시민사회에 억압과 통제를 행사해 왔던 집권세력이 체제반대세력의 정치적 압력에 직면해서 민주화요구를 수용함으로써 이루어졌다. 따라서 한국의 민주적 이행은 집권세력과 체제반대세력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초래되었다는 점에서 타협에 의한 이행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몇 개의 단계를 거쳐 진행되어 왔다. 첫 번째 단계에서 집권세력은 정치적 필요에 따라 제한적인 자유화조치를 취했다. 두 번째 단계에서 정치적 개방의 결과로 체제반대세력은 집권세력에 정치적 압력을 행사하면서 자생야당을 설립했다. 세 번째 단계에서 집권세력은 체제반대세력의 광범위한 정치적 저항에 억압으로 대응함에 따라 양 세력 간의 대치상태가 나타났다. 마지막 단계에서 집권세력과 체제반대세력은 대치상태를 벗어 나 민주적 이행을 위한 협상을 모색했다. 집권세력은 체제반대세력을 억압하는 데 상당한 비용과 희생을 감수해야 한다는 점을 인식함에 따라 협상의 불가피성을 인정하게 됐다. 집권세력은 야당과 민주화 일정에 대한 협의를 통해 이행선거의 시행에 합의했으며 이에 따라 집권세력과 체제반대세력은 정권경쟁을 위한 정치참여를 보장받았다. 이러한 타협의 결과로 권위주의체제는 해체되고 민주적 이행이 진전될 수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민주노총의 노동자 정치세력화 활동 및 평가: 노동조합 및 정치세력화에 대한 인식과 민주노동당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정병기 ( Byung Kee Jung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6 산업노동연구 Vol.22 No.1

        민주노총은 노동자가 자본주의 극복과 역사 발전의 주체라는 대자적 계급의식에서 출발했으며, 이를 토대로 일반 노조주의와 사회주의 및 정치적 노조주의를 지향해 왔다. 그러나 세부 실천 목표와 과제들이 자본주의 질서를 벗어나지 않는 정치적 민주주의와 사회경제적 민주주의를 추구함으로써 기본 의식 및 지향점들과 모순을 보였다. 민주노총의 노동자 정치세력화는 이러한 모순된 인식에서 출발해 의회주의 정당세력화로 한정됨으로써 성공적 의회 진출에도 불구하고 궁극적으로 실패했다. 그럼에도 민주노총 안팎의 노동자 정치세력화 평가들은 여전히 의회주의 정당세력화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거나 자본주의 정치질서에서 구조적으로 존재하는 정당세력화의 한계를 지적하지 못했다. 의회주의 정당세력화는 정치세력화의 충분조건의 하나로서 적절히 배치되어, 다양한 정치·사회·경제·문화적 노동정치들을 통해 뒷받침되어야 노동자 이해관계 대변의 목적에 부합할 수 있다. The KCTU considers the workers as the subject of sublation of capitalism and historical development based on the class consciousness fur sich and has pursued general unionism, socialism and political unionism. However, its action programs and basic projects have been contradictory to the consciousness and principles because they have contained only the political and social-economic democratic demands. Therefore, the political empowerment of working class of the KCTU was limited in parliamentarism and failed ultimately. Nevertheless, the KCTU can not banish the lingering affection for the political empowerment as a parliamentary party, and the various evaluations of it outside the KCTU can not point out the limitations of the parliamentarism in the capitalist political order. The political empowerment as a parliamentary party can answer the purpose of representing workers interests only if it is appropriately placed as a sufficient condition of the political empowerment of working class and is supported by various political,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labor politics.

      • 한국의 민주화 이행과정에 관한 연구

        김상수 한국시민윤리학회 2004 한국시민윤리학회보 Vol.17 No.-

        본 연구는 한국의 민주화 이행과정을 고찰하였다. 먼저 한국 민주화 이행에 촉진적 사회변화 는 산업화로 인한 경제발전에 의한 구조적 변화와 민주화를 위한 정치집단들간의 역할에 비롯되었다. 다양한 정치적·사회 경제적 요인 중에서도 주로 도시화와 교육기회의 증가 및 폭넓은 중산층의 형성이 한국 민주화 이행의 촉진적 사회요인으로 보았다. 다음으로 정치행위자들의 상호작용에서는 학생세력과 군부세력의 상호작용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이어 한국의 민주화 이행 과정에서 그 특성은 군부권위주의 체제로부터 민주주의 체제로 옮겨가는 과정으로 요약될 수 있고, 한국 민주화 이행의 유형은 타협 또는 협약에 의한 민주화 이행 및 안정적·평화적 측면을 강하게 나타낸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한국의 민주주의가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당한 정도의 발전이 있지만, 보다 성숙한 제도로 자리잡기 위해 아직도 많은 개혁의 과제들이 남아있으므로, 여전히 정치제도·경제·사회·문화적 측면에서 개선을 위한 많은 노력이 요구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Korean democratization. The social changes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Korean democratization were derived from the structural changes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roles of political groups to democratize Korea. Of various political and socio-economic factors, this study mainly considers urbanization, the increase of education, and the wide formation of the middle class as the facilitating social factor to develop into the democratization.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interaction of political movers, in particular, the interaction between student forces and militaris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Korean democratization may be summarized into the process in which the power was shifted from military authoritarian regimes to democratic regimes. Also,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characteristics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Korean democratization strongly feature democratization by compromise or agreement and stabilized and peaceful aspects. Nonetheless the substantial developments of Korean democracy through the process, there still remain many tasks of reformation in order to root the democracy as more mature system in Korea. Accordingly, much more efforts are required for further improvements in terms of political system, and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aspects.

      • KCI등재

        한국사회에서의 낙인효과와 적대적 배제 정치 - ‘종북좌파’/‘친일독재 세력’을 중심으로 -

        선우현 대한철학회 2018 哲學硏究 Vol.145 No.-

        In this article, I intend to reveal critically both the intrinsic crux and main problems of the politics of hostile exclusion based on the effect of labeling which was designed precisely as an impure political technique and has been operated for too long in Korean society by the conservative ruling class that centered on various negative ideological labels like ‘pro-North Korean leftist forces.’ Firstly, what is called the ‘conservative ruling class’ in Korean society is in itself an antinationalistic and antidemocratic pro-Japanese dictatorship group. Secondly, the conservative ruling class as a pro-Japanese dictatorship group has utilized politically the labeling effect which regards antigovernment Korean members as pro-North Korean or rebellious persons. This group’s hostile politics, based on the ideological labelling effect, deprives antigovernment persons and groups of the qualification of Korean citizenship, in order to hold and retain their supreme power in Korean society. Thirdly, the conservative ruling class has attempted to stigmatize the citizens who participate in a movement for democracy as a pro-North Korean leftist force, but such a politically impure manner is typically completely unjustified groundless labeling. Fourthly, the attempt to define the conservative ruling class as a pro-Japanese dictatorship force is normatively justified and resonably appraised insofar as such a definition has been proved to be worthy of confidence. Finally, the trial to consider Roh’s regime and pro-Roh (pro-Moon) groups as a kind of Yeongnam hegemonism by several critical intellectuals and current politicians from Honam region is not only merely a groundless and unconvincing labelling, but also the failed outcome of the attempt to systemize logically their emotional antipathy and repulsion toward Roh and pro-Roh (pro-Moon) groups. 이 글은 한국사회의 보수 집권 세력이 오랫동안 작동시켜 온, 동시에 그 정치 공학적 실효성이 여전히 발현되고 있는 이념적・정치적 낙인찍기의 횡행(橫行)과 그 효과에 기초한 적대적 배제 정치의 활성화 실태가 지닌 본질적인 난점과 그 부당성을 비판적으로 규명해 보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그로부터 이 글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잠정적’ 결론을 이끌어냈다. 우선, 해방 이후 한국사회를 장악, 지배해 온 소위 ‘보수 집권 세력’은 본질상 외세 의존적・반민족적인 동시에 반민주・반민중적인 ‘친일 독재 (잔존 및 추종) 세력’이라는 사실이다. 둘째, 친일 독재 집단으로서의 보수 집권 세력은, 자신의 본질적 한계와 실체를 은폐하고 지배계급으로서의 지위와 기득권을 항시적으로 보전하기 위한 통치 기법의 하나로, 자신을 향한 비판적 저항 세력을 반국가적 비국민으로 규정하여 그들에 대한 정치적 탄압과 배제가 불가피하고 정당한 것인 양, 구성원들로 하여금 오인케 만드는 낙인효과 및 그에 기초한 적대적 배제의 정치(술)을 구사해 왔다. 셋째, 독재 정권 등에 맞서 비판적 거부 투쟁을 전개한 민주(화) 세력에 대해 ‘종북좌파’ 등으로 규정지어 정치적으로 매도하는 행태는, 정치 공학적으로 기획 연출된 ‘근거 없는’ 낙인찍기의 전형적 사례이다. 동시에 그에 따른 현실적 효과를 이용해 민주(화) 세력을 한국사회에서 영구히 배제・추방하고, 통치권과 기득권을 지속적으로 장악, 향유하겠다는 것이 보수 집권 세력이 구사한 적대적 배제 정치의 최종적 지향점이다. 넷째, 친일 독재 세력이라는 규정은 사실상 보수 집권 세력의 ‘본질적 실체’를 가리키는 바, 보수 지배층에 씌어진 ‘친일 독재 세력’이라는 낙인은 ‘결코’ 정치 공학적 차원에서 치밀하게 기획된 ‘근거 없는’ 낙인찍기에 해당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더불어 그것을 통한 정치 사회적 효과를 이용해 모종의 정당화될 수 없는 불순한 정략적 의도를 관철 지으려는 적대적 배제 정치의 조작적 수법과도 연관성이 없음이 밝혀졌다. 끝으로, 일부 호남 출신 지식인 및 정치인들이 주축이 되어 제기한 ‘영남 패권주의’ 담론, 특히 노무현 정권과 친노(친문)을 ‘은폐된 투항적 영남패권주의’ 세력의 하나로 규정지으려는 시도는, 사실상 노무현 및 친노(친문)에 대한 자신들이 지닌 ‘정서적 거부감’을 무리하게 논리적으로 체계화하려는 기획의 ‘불완전한’ 산물로서, ‘근거 없는’ 낙인찍기 행태이자 그를 통해 모종의 정치적 이해관계를 관철하려는, 규범적으로 정당화되기 어려운 정치적 배제술의 하나임이 확인되었다. 이후의 작업에서는, 특정 정략적 목적을 위해 치밀하게 기획되고 조작된, 정치 윤리적 차원에서 결코 용납될 수 없는 낙인찍기의 효과와 그에 터한 적대적 배제의 통치술이 이 사회에서 종식될 수 있는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매진할 것이다.

      • 논문(論文) : 국공내전시기 중국민주동맹(中國民主同盟)의 독자성 모색

        손승희 한국중국근현대사학회(구 중국근현대사학회) 2010 중국현대사연구 Vol.48 No.-

        改革開放之后, 中國在經濟方面的改革及其取得的成果要求對政治方面也進行相應的改革。中國政府主張要强化共産黨領導下的民主黨派的作用。但是, 民主黨派爲了較好的發揮對執政黨牽制與監督的作用, 保證其政治上的地位與作用, 至少要確保其獨特性。在此, 有必要探索作爲中國一個民主黨派-民主同盟的起源, 井從現在中國多黨合作制的曆史持續性側面對其進行把握。本文將從19世紀40年代民主同盟的獨自性確立方面對其作用及意義進行探討。民主同盟最爲重視的是民主與和平。他們制定憲法與召開國民大會的過程都體現了其對民主秩序的要求。在國共分裂與內戰的情況下, 他們所主張的依然是和平。民主同盟將自身定位爲民主與和平的守護者。因爲他們所追求的是, 在任何情況下都要以和平爲前提用政治協商的放式來解決問題, 其程序與過程都應當是民主的, 井且也要用這樣的方式來建立國家。民主同盟將自身定義爲`非武裝政黨`。他們通過輿論活動, 用呼우群衆理性的方式來制約國共的武裝力量。他們的原則是徹底的民主與和平。他們希望通過民主的程序與操作方式來組建國共兩黨與少數民主黨派共同組建的聯合政府。倂且, 他們將實現中國的民主化看作是民主同盟的作用與曆史任務。爲此, 首先就要阻止國共的武力沖突, 民主同盟的作用依然隨之逐漸凸顯出來。民主同盟흔樂於站在中立的立場上對國共兩黨進行調和。爲此就需要維持民主同盟的獨立性與中立性。在當時有可能爆發國共內戰的情況下, 民主同盟積極促成了國共政治協商會議, 爲了和平建國采取了五項決議。但是對於反對這些決議的國民黨, 民主同盟力求實現反對內戰、改造政府、召開國民大會等解決方案。此外, 民主同盟還往來於國民黨、共産黨及美國特使馬歇爾之間, 努力調和國共沖突與內戰。但是最終內戰還是爆發, 調和國共阿黨的努力還是失敗了。在二中全會上, 民主同盟也不得不承認調和國共兩黨這一任務的失敗。但是民主同盟仍然沒有放棄對於解決國共沖突這一問題的期望。爲了應對國共兩黨厭倦內戰重新協商談判情況的出現, 民主同盟不斷强化其組織能力, 最大化集聚人民的力量。但是民主同盟也開始認識到, 自身應該從爲調和國共兩黨而存在的黨派聯合體的位置中脫離出來, 開始准備成爲獨立的政治團體或者是政黨的組織與力量。民主同盟確信, 到了那個時候, 自己不僅要發揮國共兩黨之間調和者的作用, 同時也要發揮出將中國引領到和平民主之路的決定性作用。爲了應對"那一天", 可以흔好地實現國共兩黨間的調和作用, 民主同盟認爲關鍵是要維持在國民黨與共産黨之間的獨立性。民主同盟不參加國民大會也是`爲了維持其獨立的立場與調和者的身빈`。因爲只有站在超然而獨立的第三者的立場上, 才能對國共兩黨之間的政治斗爭進行調和。民主同盟顯示出了持接以合法公開的方式來爲民主與和平斗爭的意志。但是由於國民黨政府持續的獨裁政治與對民主人士的鎭壓, 民主同盟成爲非法化的組織, 總部也被解散。民主同盟在成立之時, 倂沒有准備關於國家建設的長期大策。伴隨調和國共兩黨的失敗, 民主同盟開始了更爲長期的和組織化的准備。民主同盟不同於爲了獲得政權實現自己政治理想的一般政黨。民主同盟在國共兩黨之間對其進行調和, 爲了建立新的國家, 有着過渡時期的特征。民主同盟雖然在調和國共兩黨的過程中可以維持其獨立的平衡作用, 但是當國共兩黨投入內戰井拒絶政治協商之時, 民主同盟的作用也開始被弱化。通過維持在國共兩黨間的獨特性與中立性來用和平與民主的方式實現中國統一的民主同盟的目標與意圖, 最后以失敗告終。

      • KCI등재

        ‘수동혁명적 민주화 체제’로서의 87년 체제, 복합적 모순, 균열, 전환에 대하여 : 87년 체제, 97년 체제, 포스트민주화체제

        조희연 한신대학교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013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Vol.0 No.24

        이 글은 87년 체제를 ‘수동혁명적 민주화체제’로 파악하고 그것이 갖는 ‘모순적복합성’, 내적 균열, 그것의 위기와 전환을 논의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민주화’ ‘체제’라고 할 때, 그것은 ‘민주주의적 원리(담론, 정신)’가 ‘대중적-국민적(popular-national)’ 원리가 되어, 구 독재세력을 포함한 모든 정치적·사회적 행위자들에게 거부할 수 없는 규정력과 일관된 관계성을 만들어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민주주의 원리의 헤게모니적 지위,이를 배경으로 하는 ‘민주주의 헤게모니 블록’의 출현, 이 내부에서의 반독재 자유주의세력(liberal)의 이니시어티브 등으로 표현된다. 다음으로 수동혁명적 체제라고 할 때, 그것은 아래로부터의 능동혁명적 도전에 의해 독재체제의 대중적 기반이 붕괴하고 민주주의체로의 전환이 필연화되었지만 그러한 전환이 급진적으로 전개되지 않고 구 지배블록의 이니시어티브가 관철되는 타협적 경로로 전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필자는 수동혁명 내에 ‘능동성’이 존재한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수동혁명은 그것이 능동혁명의 ‘위협’에의해 강제되었고 또한 복합적 모순을 내장하고 있는 만큼, 그것이 전개됨에 따라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균열선을 보이며 역동적인 ‘구성적 각축’ 과정을 겪게 된다. 이런 프레임하에서, 1987년 이후 변동과정을 몇 개의 사건들을 계기로 경합국면으로 나누었다. 즉 1987년 이후의 제1경합국면으로서 1987년 6월 민주항쟁·6·29선언으로부터 1990년 3당합당까지의 시기, 제2경합국면은 3당합당 이후 1997년 대선까지의 시기, 제3경합국면은 1997년 대선 이후 2007년 대선까지 민주정부 10년, 제4경합국면은 2008년 이후 이명박 정부(신보수정부)의 출현 이후 박근혜 정부의 성립까지의 시기이다. 제1경합국면에서 제3경합국면은 87년 체제, 즉 민주화체제에 해당하는 것이며, 제4경합국면은 포스트민주화체제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필자는 ‘87년 이전의 역동성으로부터 87년을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이 글은 ‘87년이후의 역동성으로부터 87년을 분석’하고자 했다.

      • KCI등재

        특집 : 박근혜 정부의 정책과 한국사회의 전망; "수동혁명적 민주화 체제"로서의 87년 체제, 복합적 모순, 균열, 전환에 대하여 87년 체제, 97년 체제, 포스트민주화체제

        조희연 ( Hee Yeon Cho )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013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Vol.24 No.-

        이 글은 87년 체제를 ‘수동혁명적 민주화체제’로 파악하고 그것이 갖는 ‘모순적복합성’, 내적 균열, 그것의 위기와 전환을 논의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민주화’ ‘체제’라고 할 때, 그것은 ‘민주주의적 원리(담론, 정신)’가 ‘대중적-국민적(popular-national)’ 원리가 되어, 구 독재세력을 포함한 모든 정치적·사회적 행위자들에게 거부할 수 없는 규정력과 일관된 관계성을 만들어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민주주의 원리의 헤게모니적 지위, 이를 배경으로 하는 ‘민주주의 헤게모니 블록’의 출현, 이 내부에서의 반독재 자유주의세력(liberal)의 이니시어티브 등으로 표현된다. 다음으로 수동혁명적 체제라고 할 때, 그것은 아래로부터의 능동혁명적 도전에 의해 독재체제의 대중적 기반이 붕괴하고 민주주의체로의 전환이 필연화되었지만 그러한 전환이 급진적으로 전개되지 않고 구 지배블록의 이니시어티브가 관철되는 타협적 경로로 전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필자는 수동혁명 내에‘능동성’이 존재한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수동혁명은 그것이 능동혁명의 ‘위협’에의해 강제되었고 또한 복합적 모순을 내장하고 있는 만큼, 그것이 전개됨에 따라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균열선을 보이며 역동적인 ‘구성적 각축’ 과정을 겪게 된다. 이런 프레임하에서, 1987년 이후 변동과정을 몇 개의 사건들을 계기로 경합국면으로 나누었다. 즉 1987년 이후의 제1경합국면으로서 1987년 6월 민주항쟁·6·29선언으로부터 1990년 3당합당까지의 시기, 제2경합국면은 3당합당 이후 1997년 대선까지의 시기, 제3경합국면은 1997년 대선 이후 2007년 대선까지 민주정부 10년, 제4경합국면은 2008년 이후 이명박 정부(신보수정부)의 출현 이후 박근혜 정부의 성립까지의 시기이다. 제1경합국면에서 제3경합국면은 87년 체제, 즉 민주화체제에 해당하는 것이며, 제4경합국면은 포스트민주화체제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필자는 ‘87년 이전의 역동성으로부터 87년을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이 글은 ‘87년이후의 역동성으로부터 87년을 분석’하고자 했다.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e complex contradiction, internal cleavages, its crisis and transformation, defining the so-called ``1987 regime`` as the democratization regime of the passive revolution type. Here, the ``democratization regime`` means that the democracy principle, discourse or spirit became a national-popular one, and, as its result, wield a coherent inter-relational influence on all political and social actors as formally irresistible. This results in emergence of ``democratic hegemonic bloc`` and strong initiative of the political liberals with anti-dictatorship background with the bloc, etc. What I want to imply with the ``passive revolution`` character is that, although the popular base of dictatorship broke down by the help of bottom-up active revolutionary struggle, the democratization proceeded with the compromise character and in the top-down way, in which the former initiative of the old dictatorial ruling bloc has been kept in the whole process. However, I argued that there is activeness within the passive revolution, which means that the passive revolution goes through a dynamic constructivist competition among diverse political and social actors along unexpected cleavage lines, because it has been possible by the ``threat`` of bottom-up struggle, aimed at active revolution, and has had diverse complex contradictions in it. Under this kind of theoretical frame, I divided four competition phase by some important conjunctural political events. The first phase is from the Great Democratic Struggle in June 1987 and June 29th Declaration to the ``Three Parties-Merger`` in 1990. Thereafter, the second covers the period to the year 1997, when the financial crisis broke out and the Korean government rushed to the IMF bailout, on the one hand, and the first opposition party government emerged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December 1997. The third one continues for 10 years of so-called ``democratic government`` from 1998 to 2007. Thereafter, the fourth one covers the period after emergence of neo-conservative government headed by Lee Myung-bak. I defined the former three phases as the period of ``democratization regime``, while the fourth phase as ``post-democratization`` regime. Here, I tried to analyze the ``1987`` change not from ``pre-1987`` dynamics, but from ``after-1987`` one.

      • KCI등재

        중경 임시정부 시기 신한민주당의 성립과 활동

        류동연 역사학연구소 2018 역사연구 Vol.- No.35

        This study is about the New Korea Democratic Party(新韓民主黨) which has notreceived much attention compared to the Korean Independence Party(韓國獨立黨)and the National Revolution Party(民族革命黨) with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the Republic of Korea(大韓民國臨時政府). Since 1942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conducted ajoint venture is significant in that it was the integration of the independence movement,but the forces were also poses a problem that the conflict may be deepened. Therefore, due to the difference in activity routes, the forces that had a criticalview on the existing powers appeared, and in February 1945 the New KoreaDemocratic Party(新韓民主黨) was formed, centering on them. The main opposition New Korea Democratic Party(新韓民主黨) pointed out thatindependence activists have been focusing only on fraudulent propaganda since theestablishment of the new party, and only focused on protecting their interests. Andto expand and reform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大韓民國臨時政府) to gain active independence movement and international recognition. The New Korea Democratic Party(新韓民主黨) wanted to get recognition of theAllies through practical independence movement such as armed struggle. It alsoworked to expand and reform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大韓民國臨時政府). However, the results were not successful due to the checks ofthe Korea Independent Party(韓國獨立黨), the absence of a party's core leader, andnon-discriminatory activities. Although the New Korea Democratic Party failed to produce results, its formationand activities were notable in that it has created a new structure for the interimgovernment. 이 연구는 그동안 중경 임시정부 내에서 큰 주목을 받지 못했던 신한민주당에대해 살펴보았다. 1942년 이후 진행된 임시정부의 좌우 합작은 독립운동 세력 간의통합이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지만 갈등이 심화될 수 있는 문제점도 내포하고있었다. 때문에 기존 세력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가진 세력이 등장했고, 이들을중심으로 1945년 2월 신한민주당이 성립되었다. 신한민주당은 성립 이후 기존의 독립운동세력들이 기만적인 선전에만 치중하고,자신들의 이권을 지키는 것에만 급급했던 점을 비판했다. 그리고 적극적인 독립운동과 국제적으로 승인을 얻기 위한 임시정부를 확대·개조할 것을 주장했는데, 무장투쟁과 같은 실질적인 독립운동을 통해 연합국의 인정을 받고자했다. 이를 위해조직을 강화하고, 중국 국민정부와 재미 한인들의 지원을 얻고자 했으며, 임시정부내에서 임정의 확대·개조를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임시정부 여당인 한국독립당의견제와 당의 확실한 구심점이 되는 지도자의 부재, 그리고 차별성 없는 활동 내용으로 인해 소기의 성과를 내지 못했다. 비록 신한민주당이 성과를 내지 못했지만 당의 성립과 활동은 한국독립당과 민족혁명당의 양당 사이에서 제3의 정당으로써 자신들의 의견을 개진하고 활동했다는점에서, 그리고 임시정부의 새로운 구도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것이었다.

      • KCI등재

        1950년대 대구지역 혁신세력의 동향과 정치활동

        허종 ( Heo-jong ) 대구사학회 2017 대구사학 Vol.129 No.-

        대구는 한국전쟁기에 점령과 수복의 과정이 없어 좌우세력의 충돌을 피할 수 있었고, 일부 진보세력도 잔존할 수 있었다. 여기에 패전 직전까지 내몰린 이승만 대통령의 무능력, 권력 연장을 위해 법을 유린하며 일으킨 정치파동과 발췌개헌, 사사오입개헌, 지역 언론의 이승만과 자유당에 대한 비판적인 성향 등이 더하여 시민의 반독재 정서와 정권 교체의 열망이 높은 지역이었다. 시민의 기대는 1952년 대통령선거와 1954년 국회의원선거에서 야당 후보 지지로 표출되었고, 1956년 정부통령선거에서 조봉암과 장면에게 압도적인 지지를 보내면서 절정에 이르렀다. 이는 혁신세력이 활동할 수 있는 토양이 되었다. 대구지역의 혁신적인 인물은 진보당 결성 추진의 한 축이었던 서상일을 중심으로 세력을 결집하였다. 그러나 진보당 결성을 앞두고 서상일이 이탈하면서 혁신세력은 진보당과 민주혁신당으로 분열하였다. 혁신세력의 분열은 정치노선의 차이보다는 지역에서 영향력을 가진 일인의 향방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분열 속에서도 혁신세력은 진보적 정치이념과 지향을 확산시키고 시민들의 지지를 획득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러나 두 정당은 역량의 분산과 정권 교체를 열망한 시민의 기대를 외면하여 지지 기반을 확장하기는커녕 축소되었고 군소정당으로 전락하였다. 1958년 이승만 정권의 탄압으로 진보당이 해산되어 혁신세력의 중심이 무너졌고, 민주혁신당은 선거에서 참패하여 존재 의미조차 알기 어려운 지경에 처하였다. 이후 혁신세력은 와해되어 1960년 4월 혁명이 발발하기 전까지 별다른 활동을 벌이지 못하였다. 1950년대 혁신세력의 활동은 4월 혁명기에 대구지역이 진보적 사회운동을 펼친 대표적인 도시로 부상하는 토대가 되었다. In the 1950s, Daegu was able to avoid the confrontation and conflict between the left and right forces, and some progressive forces could remain, as it did not have a process of occupation and restoration unlike most parts of the country during the Korean War. The inevitability of the citizens' anti-dictatorship and regime change, due to the incompetence of President Rhee, who was driven to just before the defeat, and the political wave and excerpts, Respectively. It was expressed in the 1952 presidential election and the 1954 parliamentary election as support for the opposition party, culminating in overwhelming support for the opposition party in the 1956 presidential election. These local backgrounds and civic consciousness have become the soil for progressive forces to work on. Progressive figures in the Daegu area concentrated on Seo Sang-il, who was one of the pillars of the formation of the Progressive Party. However, in the face of the formation of the Progressive Party, the departure of Seo Sang-il has divided the progressive forces and divided into the Progressive Party and Democratic Innovation Party. The division of the progressive forces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direction of the person with influence in the region rather than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litical route and the strategy. Even within the division, the progressive forces tried to spread the progressive political ideology and orientation and to win the consent and support of the citizens. However, the two parties have been reduced rather than expanding their support base, turning away from the expectation of citizens who are eager to replace the regime, and becoming a small party. In 1958, due to the suppression of the Rhee administration, the Progressive Party was dissolved and the center of the progressive forces collapsed, and the Democratic Innovation Party was defeated in the election. Since then, the progressive forces have collapsed and failed to do anything until the April revolution. However, the activities of the progressive forces in the 1950s became the basis for Daegu to become a representative city where progressive social movements took place during the April Revol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