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당음악학의 국제성 지향 재조명

        김희선 한국음악사학회 2015 한국음악사학보 Vol.55 No.-

        한국음악학의 효시인 만당 이혜구의 업적은 초기부터 한국음악학의 국제성을 지향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는 만당의 정치적 행위로서의 국제적 행보와 학문적 행위의 두 측면을 통해 만당 한국음악학의 국제성 지향의 성격을 재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09년 식민지 조선에서 태어난 만당은 식민지 서구식 음악교육을 받고 바이올린을 연주하였으며 경성제국대학의 영문과를 졸업하였다. 어린 시절 바이올린의 학습과 영문학 전공의 사회문화적 배경은 이후 만당 음악학의 국제성의 향방을 제시해 주었다고 보여진다. 만당의 국제성 지향은 1950년대 구미에서 구성되기 시작한 두 개의 국제학회(International Council for Traditional Music, Soceity for Ethnomusicology)의 회원으로 적극적으로 활동하면서 맺게 된 주요 학자들과의 교류로 시작된다. 만당은 다양한 정치적 행보를 통해 한국전통음악을 해외학계에 소개하고 한국음악학의 존재를 해외에 드러내는 매개자의 역할을 감당하였을 뿐 아니라 본인 또한 해외 학계의 주요학자로 활동하였다. 또한 만당은 해외학계의 동향을 국내 학계에 보고함으로서 한국음악학계에 국제성 지향을 촉구하기도 하였다. 또한 만당은 대중매체의 지면을 통해서도 한국음악학의 국제성과 현대화 작업의 필연성을 지속적으로 주장하는가 하면 이에 대한 대중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고자 하였다. 만당은 1960년대부터 자신이 능통했던 영어와 일본어로 논문발표, 저서, 논문출판, 번역에 걸친 활발한 학술활동을 펼쳤다. 만당의 영어저작물의 주제는 한국음악의 개괄적 소개, 이론, 역사 악기, 장르, 창작음악을 망라하여 한국음악 전반을 영어권 독자에게 소개하고자 하였는데, 이들 연구물은 기본적으로는 자신의 연구물의 영어번역물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만당의 영어저작물은 대부분은 해당 분야 혹은 장르의 최초의 영문저작물로 이후 해외 한국음악학 연구자들에게 한국음악연구의 입문의 단초를 제공하여 해외 한국음악학의 발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만당의 정치적, 학문적 행보는 이후 국제 음악학계의 형성과정에서 음악인류학계의 역사음악학 분과의 존립 및 아시아 음악학의 성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더 나아가 해외 한국음악학의 성립, 성장, 위상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From early stages, writings of the late Lee Hye-ku 李惠求 [Yi Hye-gu] (1909-2010), pioneer in Korean musicology, aims for internationalism of Korean music. This study attempts to reinvestigate such international aspect of Mandang’s 晩堂 works, focusing both on his political/international activities and on his academic achievements. Mandang was born in 1909, while Korea wa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e received Western music education, learned to play the violin and played at the Western orchestra and graduated from Keijō Imperial University 京城帝國大學 majoring in English Literature. Such socio-cultural background seems to have formed the foundation for his international tendency inherent in his later works as a musicologist. His internationalism became even more evident as he, as a member of two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CTM (International Council for Traditional Music) and SEM (Society for Ethnomusicology), began interacting with other renowned international music scholars. Through political venue Mandang introduces Korean traditional music to foreign scholars and worked as a intermediar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while continuing to focus on his personal research activities. He also discussed international academic issues with scholars within Korean musicology, motivating Korean scholars to ‘view the larger picture.’ Also by means of popular media and magazines, he continued to pursue and bring general attention to the goal of modernizing and internationalizing Korean musicology. From the 1960s Mandang produced various writings in English and in Japanese, as well as many translating works, to be published in various journals and books. His writings in English usually dealt with general introduction and history of Korean music, as well as general theory, musical instruments, and modern compositions to be introduced to English-speaking readers. Mostly translated from his former research written in Korean, his English writings were the first in introducing respective Korean musical genres, and played a crucial role in providing basic research material for international scholars interested in Korean music. Mandang’s political and academic activiti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oth strengthening the position of historical musicology within ethnomusicology and developing Asian music studies in general, not to mention his contribution in nurturing and in raising the position of Korean musicology in the field of ethnomusicology.

      • KCI등재

        만당음악학의 국제성 지향 재조명

        김희선 ( Hee Sun Kim ) 한국음악사학회 2015 한국음악사학보 Vol.55 No.-

        한국음악학의 효시인 만당 이혜구의 업적은 초기부터 한국음악학의 국제성을 지향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는 만당의 정치적 행위로서의 국제적 행보와 학문적 행위의 두 측면을 통해 만당 한국음악학의 국제성 지향의 성격을 재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09년 식민지 조선에서 태어난 만당은 식민지 서구식 음악교육을 받고 바이올린을 연주하였으며 경성제국대학의 영문과를 졸업하였다. 어린 시절 바이올린의 학습과 영문학 전공의 사회문화적 배경은 이후 만당 음악학의 국제성의 향방을 제시해 주었다고 보여진다. 만당의 국제성 지향은 1950년대 구미에서 구성되기 시작한 두 개의 국제학회(International Council for Traditional Music, Soceity for Ethnomusicology)의 회원으로 적극적으로 활동하면서 맺게 된 주요 학자들과의 교류로 시작된다. 만당은 다양한 정치적 행보를 통해 한국전통음악을 해외학계에 소개하고 한국음악학의 존재를 해외에 드러내는 매개자의 역할을 감당하였을 뿐 아니라 본인 또한 해외 학계의 주요학자로 활동하였다. 또한 만당은 해외학계의 동향을 국내 학계에 보고 함으로서 한국음악학계에 국제성 지향을 촉구하기도 하였다. 또한 만당은 대중매체의 지면을 통해서도 한국음악학의 국제성과 현대화 작업의 필연성을 지속적으로 주장하는가 하면 이에 대한 대중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고자 하였다. 만당은 1960년대부터 자신이 능통했던 영어와 일본어로 논문발표, 저서, 논문출판, 번역에 걸친 활발한 학술활동을 펼쳤다. 만당의 영어저작물의 주제는 한국음악의 개괄적 소개, 이론, 역사 악기, 장르, 창작음악을 망라하여 한국음악 전반을 영어권 독자에게 소개하고자 하였는데, 이들 연구물은 기본적으로는 자신의 연구물의 영어번역물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만당의 영어저작물은 대부분은 해당 분야 혹은 장르의 최초의 영문저작물로 이후 해외 한국음악학 연구자들에게 한국음악연구의 입문의 단초를 제공하여 해외 한국음악학의 발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만당의 정치적, 학문적 행보는 이후 국제 음악학계의 형성과정에서 음악인류학계의 역사음악학 분과의 존립 및 아시아 음악학의 성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더 나아가 해외 한국음악학의 성립, 성장, 위상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From early stages, writings of the late Lee Hye-ku 李惠求 [Yi Hye-gu] (1909-2010), pioneer in Korean musicology, aims for internationalism of Korean music. This study attempts to reinvestigate such international aspect of Mandang’s 晩堂 works, focusing both on his political/international activities and on his academic achievements. Mandang was born in 1909, while Korea wa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e received Western music education, learned to play the violin and played at the Western orchestra and graduated from Keijo Imperial University 京城帝國大學 majoring in English Literature. Such socio-cultural background seems to have formed the foundation for his international tendency inherent in his later works as a musicologist. His internationalism became even more evident as he, as a member of two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CTM (International Council for Traditional Music) and SEM (Society for Ethnomusicology), began interacting with other renowned international music scholars. Through political venue Mandang introduces Korean traditional music to foreign scholars and worked as a intermediar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while continuing to focus on his personal research activities. He also discussed international academic issues with scholars within Korean musicology, motivating Korean scholars to ‘view the larger picture.’ Also by means of popular media and magazines, he continued to pursue and bring general attention to the goal of modernizing and internationalizing Korean musicology. From the 1960s Mandang produced various writings in English and in Japanese, as well as many translating works, to be published in various journals and books. His writings in English usually dealt with general introduction and history of Korean music, as well as general theory, musical instruments, and modern compositions to be introduced to English-speaking readers. Mostly translated from his former research written in Korean, his English writings were the first in introducing respective Korean musical genres, and played a crucial role in providing basic research material for international scholars interested in Korean music. Mandang’s political and academic activiti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oth strengthening the position of historical musicology within ethnomusicology and developing Asian music studies in general, not to mention his contribution in nurturing and in raising the position of Korean musicology in the field of ethnomusicology.

      • KCI등재후보

        A Socio-Cultural Interpretation of Healing Music

        Koh Eun-kang(고은강),Koh Chin-kang(고진강)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09 아시아문화연구 Vol.16 No.-

        음악학 분야에서 음악 치료는 음악의 치유의 기능에 초점을 맞춘 학제간 연구 분야로서 자리잡았다. 이와는 별도로, 민족음악학 분야에서 치유는 여러 다른 맥락에서 연구되었다. 본 연구는 사스가 창궐하였던 시기, 홍콩의 도교 의식을 통해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치유 음악을 연구분석하였다. 사스는 2003년 중국 본토에서 시작되어 홍콩을 경유지로 하여 전 세계에 빠른 속도로 확산된 전염병이다. 이 기간 홍콩인들은 극도의 경제 침체를 경험하였고, 감염의 위험을 피해서 모임을 자제하는 가운데 여타의 정치 및 문화 활동도 위축되었다. 의사를 비롯한 민간인이 감염 사망하고, 학교는 휴교하는 등 사회 전체가 전염병의 공포에 지배당하는 가운데 홍콩도교협회는 1주일에 걸친 대규모 법회를 열어 전염병의 악귀를 물리치고 병을 치유하고자 하였다. 법회는 성황을 이루어 도교 신자 이외에도 많은 사람들이 참가하여 병이 물러가기를 빌었다. 본 연구는 민족음악학의 다양한 접근을 본 연구자의 시각에서 정리하고, 치유 음악을 음악의 의미를 만드는 행위자 중심의 시각에서 접근하였다. 본 연구자는 민족음악학의 접근 방식을 내용 중심의 접근, 역할 중심의 접근, 주어진 의미에 초점을 맞추는 접근, 행위자가 만들어 가는 의미에 초점을 맞추는 접근의 네 가지 범주로 분류하였다. 기존의 민족음악학 연구는 음악 자체에 내재한 음악적 형식이나 내용, 치유 등 기타 음악적 기능이나 음악의 역할, 혹은 이미 음악에 부여되어 있다고 간주된 상징이나 의미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된 경향이 있다. 본 연구자는 민족음악학의 최근 경향과 궤적을 같이 하여, 음악을 만드는 행위자, 음악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행위자에 초점을 맞춘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 일례로 홍콩의 전염병 치유 의식을 참여관찰하여, 의미를 만드는 행위자 중심으로 연구 분석을 시도하였다.

      • KCI등재후보

        A Socio-Cultural Interpretation of Healing Music: SARS Expelling Ritual in Hong Kong

        고은강,고진강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09 아시아문화연구 Vol.16 No.-

        음악학 분야에서 음악 치료는 음악의 치유의 기능에 초점을 맞춘 학제간 연구 분야로서 자리잡았다. 이와는 별도로, 민족음악학 분야에서 치유는 여러 다른 맥락에서 연구되었다. 본 연구는 사스가 창궐하였던 시기, 홍콩의 도교 의식을 통해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치유 음악을 연구분석하였다. 사스는 2003년 중국 본토에서 시작되어 홍콩을 경유지로 하여 전 세계에 빠른 속도로 확산된 전염병이다. 이 기간 홍콩인들은 극도의 경제 침체를 경험하였고, 감염의 위험을 피해서 모임을 자제하는 가운데 여타의 정치 및 문화 활동도 위축되었다. 의사를 비롯한 민간인이 감염 사망하고, 학교는 휴교하는 등 사회 전체가 전염병의 공포에 지배당하는 가운데 홍콩도교협회는 1주일에 걸친 대규모 법회를 열어 전염병의 악귀를 물리치고 병을 치유하고자 하였다. 법회는 성황을 이루어 도교 신자 이외에도 많은 사람들이 참가하여 병이 물러가기를 빌었다. 본 연구는 민족음악학의 다양한 접근을 본 연구자의 시각에서 정리하고, 치유 음악을 음악의 의미를 만드는 행위자 중심의 시각에서 접근하였다. 본 연구자는 민족음악학의 접근 방식을 내용 중심의 접근, 역할 중심의 접근, 주어진 의미에 초점을 맞추는 접근, 행위자가 만들어 가는 의미에 초점을 맞추는 접근의 네 가지 범주로 분류하였다. 기존의 민족음악학 연구는 음악 자체에 내재한 음악적 형식이나 내용, 치유 등 기타 음악적 기능이나 음악의 역할, 혹은 이미 음악에 부여되어 있다고 간주된 상징이나 의미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된 경향이 있다. 본 연구자는 민족음악학의 최근 경향과 궤적을 같이 하여, 음악을 만드는 행위자, 음악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행위자에 초점을 맞춘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 일례로 홍콩의 전염병 치유 의식을 참여관찰하여, 의미를 만드는 행위자 중심으로 연구 분석을 시도하였다.

      • KCI등재

        일본에서의 한국음악학의 전개 양상과 연구 성과 -1945년 이후를 중심으로-

        이지선 국립국악원 2023 국악원논문집 Vol.48 No.-

        이 글에서는 1945년 이후 일본에서 전개된 한국음악학의 발전 양상을 시기별로 살펴보고, 연구 성과를 분야별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의 통치 정책과 관련하여 일본인에 의한 조선음악의 조사와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던 반면에, 일본의 패전 이후로는 한국음악에 관한 연구가 현저히 줄어든다. 따라서 1945년부터 1965년까지를 일본의 한국음악 연구의 ‘공백기’라고 할 수 있다. 1970년대는 일본에서 ‘민족음악학’이 크게 성장하면서 한국음악 연구가 그 일환으로써 진행되었다. 한국음악을 주제로 한 석·박사논문이 나왔고, 관련 연구도 급증했으며, 고려악연구회가 설립(1976)되어 양국 학자들의 정기적인 학술교류가 시작되었다. 따라서 1966년부터 1970년대까지를 한국음악학의 ‘성장기’라고 할 수 있다. 1980년대는 장기간의 현지조사와 유학을 통해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졌고, 여러 세대의 학술 활동으로 연구 건수가 대폭 증가한다. 두 권의 연구서 뺷아리랑의 노래뺸와 뺷소리의 연구뺸가 출판되었으며, 아시아음악 관련 전집에 한국음악 논저가 6편이 수록되는 등 일본에서의 한국음악학의 지위가 견고해진다. 또한 고려악연구회에 의해 양국 음악학자들의 수준 높은 학술교류도 계속되었다. 따라서 1980년대를 한국음악학의 ‘확립기’라고 할 수 있다. 1990년대는 연구 분야가 크게 확대된 시기로, 궁중음악을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연구성과물이 나왔다. 특히 조선시대 음악사와 근대음악사 연구가 시작된 점이 눈에 띈다. 이전보다 연구 건수는 줄었지만, 연구의 다양성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이 시기에 한국음악학은 ‘안정기’에 접어들었다고 할 수 있다. 2000년대에 들어오면 연구의 수가 이전보다 더욱 감소한다. 이는 3세대 연구자를 중심으로 학술 활동이 전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시기를 한국음악학의 ’정체기’ 또는 ‘세대교체기’로 볼 수 있다. 이전까지 꾸준히 연구되어 오던 민요와 악기에 관한 논저가 보이지 않는 데 비해, 근대음악사는 이전 시기(1건)보다 비약적으로 증가(12건)한 점이 주목된다. 2010년 이후로는 연구 성과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연구자의 수도 늘어나며, 한국 학술지(한국어)에의 발표도 증가하는 등, 한국음악 연구가 양적·질적으로 크게 발전하는 시기이다. 따라서 이때를 한국음악학의 ‘번성기’라고 할 수 있다. 1945년 이후 현재까지 일본에서 한국음악 연구는 전 분야에 걸쳐 이루어졌음이 확인되었다. 조사된 연구는 총 190건으로,가장 많은 분야는 민속악(53건)이고, 다음으로 음악사(49건), 악기(32건)의 순이며, 그 뒤로 전반(총론, 17건), 음악 양식(14건), 음악 교류(11건), 기타(8건), 궁중음악(6건)이 따른다. 이는 일제강점기에 궁중음악에 관한 논저가 집중적으로 발표된 것과는 대조적인 양상이다. 민속악 연구가 많은 이유는 현지조사를 통한 자료수집이라는 민족음악학적 접근방법으로써 연구를 적극적으로 진행한 결과로 보이고, 음악사 중에서도 근대음악사 연구가 2000년 이후 급증하는 이유로는 일제강점기라는 특수한 상황에 관한 관심과 이 시대에 일본어로 작성된 자료로 인해 일본 연구자들의 접근성이 용이하다는 점을 생각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Korean musicology, developed in Japan since 1945, by period and the the results by fiel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Japanese research on Korean music was actively conducted in relation to the ruling policy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but after the defeat in World War II, research on Korean music decreased significantly. Therefore, the period from 1945 to 1965 can be called the ‘gap period’ of the Korean musicology in Japan. In the 1970s, as "Ethnomusicology" grew significantly in Japan, Korean music research was conducted as part of it. Master's and doctoral theses on Korean music were published, related research also surged, and the Goryeoak yeonguhoe (Komagaku Research Society) was established (1976) beginning regular academic exchanges between scholars from the two countries. Therefore, the period from 1966 to the 1970s can be called the "growth period" of the Korean musicology in Japan. In the 1980s, in-depth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long-term fieldwork and study abroad, and the number of studies increased significantly due to academic activities of various generations. Two research books, Song of Arirang and the Study of Sound were published, and six articles on Korean music were included in a collection related to Asian music, strengthening the status of Korean music research in Japan. In addition, high-quality academic exchanges between music scholars from both countries continued by the Komagaku Research Society. Therefore, the 1980s can be called the "establishment period" of the Korean musicology in Japan. The 1990s was a time when the research field expanded significantly, and research results came out in all fields except court music.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that research on the history of music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modern music began. Although the number of studies has decreased compared to before, in terms of diversity in research, it can be said that the Korean musicology has entered a "stable period" during this period. In the 2000s, the number of studies decreased even more than before. This is because academic activities were centered around the third-generation researchers. Therefore, this period can be viewed as a "stagnation period" or "period of generational change " in the Korean musicology in Japan. It is noteworthy that while there was no articles on folk songs and instruments that had been studied steadily before, modern music history increased dramatically (12 articles)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1 article). Since 2010, research results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the number of researchers has increased, and the publications in Korean journals (in Korean) have increased, marking a period of significant quantitative and qualitativedevelopment in Korean music research. Therefore, this can be called the "prosperity period" of the Korean musicology in Japan. It has been confirmed that Korean music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all fields in Japan since 1945. A total of 190 studies were conducted, with the most popular field being folk music (53), followed by music history (49) and musical instruments (32), followed by general theory (17), music style (14), music exchange (11), royal music (6), and etc (8). This is in contrast to the intensive publication of articles on court music in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reason why so many studies on folk music seems to be the result of active research using ethnomusicological approach to collecting data through fieldwork while the reason why the study of modern music history has increased rapidly since 2000 may be because of interest in the special situation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materials written in Japanese in this period, which easily accessible to Japanese researchers.

      • KCI등재

        국내 음악학 전문학술지로 본 음악이론의 연구경향(2006-2015)

        최원선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17 음악이론포럼 Vol.24 No.2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등재학술지인 『음악과 민족』, 『음악과 문화』, 『서양음악학』, 『음악논단』, 『음악이론연구』, 『이화음악논집』, 『音.樂.學』, 『음악이론포럼』 등 8개 국내 음악학 전문학술지를 대상으로, 음악이론의 연구경향(2006-2015)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국내 음악이론 논문들의 간행시기별 빈도 분석, 연구주제 영역 분석, 연구방법 분석, 학술지별 특징 분석 등을 통해, 음악학에서 차지하는 음악이론의 비중, 연구의 주요 흐름, 주된 연구방법 등 국내 음악이론 연구의 의미 있는 추이들에 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첫째, 8개의 음악학 전문학술지에서 음악이론 연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14.8%으로, 각 학술지 별로, 33.3%(『음악이론포럼』)에서 2.3%(『음악과 민족』)에 해당했다. 둘째, 음악이론 논 문은 각 학술지 별로 28.4%(『서양음악학』)에서 2.8%(『음악과 문화』)을 보유했다. 셋째, 지난 10년간, 음악이론의 게재 비중은 18.9%(2011년)에서 11.1%(2013년)을 보였다. 넷째, 음악이론 연 구의 주제 영역을 음악이론사적 배경에 따라 13개 분야로 구분했을 때, “음악의 의미·내러티브이 론”(17.0%)을 필두로 4개 영역에 60.2%의 연구가 집중되어 있었다. 다섯째, 음악이론의 연구방법 을 분석적, 이론적, 교수법적 고찰로 분류하였을 때, 71.0%가 분석적 고찰을 따랐다. 여섯째, 음악 이론가 3명의 연구가 전체 음악이론 연구의 23.3%를 차지했다. 일곱째, 음악이론 연구의 95.5%가 단독연구로서 진행되었다. 여덟째, 음악이론 연구의 13.1%는 연구비 지원에 따른 결과물로, 연구자 들은 『서양음악학』(30.4%)과 『음악이론연구』(30.4%)에서의 게재를 선호하였다. 음악이론의 연구경향에 관한 고찰은 음악학에서 차지하는 음악이론의 학문적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수단이 될 뿐만 아니라, 국내 음악이론 연구의 총체적인 변화를 깊이 있게 조망하기 위한 방법이 되며, 나아가 학문의 발전적 측면에 대한 모색을 가능하게 한다. 국내에서 음악이론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학문적으로 연구하게 된 것은 오랜 역사는 아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결과가, 음악이론에 대한 교육의 현장이나 연구영역에 있어, 우리나라 음악이론 전공자들 및 음악이론가들에게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 자료 마련’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제공해주길 기대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2006-2015) of music theories in eight Korean journals specializing in musicology that were registered at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which include Music and Korea, Music and Culture, Journal of the Musicological Society of Korea, Journal of Science and Research of Music, Ewha Music Research, Journal of Music and Theory, The Musicological Society Of Korea, and Music Theory Forum. The study thus examined meaningful progress in the research of music theories in the nation including the analysis of the publication frequency of music theory papers in the nation, research topics and areas, methodologies, characteristics by the journals, percentage of music theories in musicology, major research flows, and principal methodologi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usic theory researches accounted for 14.8% in the eight expert musicology journals with the scope of 33.3% (Music Theory Forum)~2.3% (Music and Korea) among the journals. Second, music theory papers accounted from 2.8% (Music and Culture ) to 28.4% (Journal of the Musicological Society of Korea) in the journals. Third, the publication percentage of music theories was in the range of 18.9% (2011)~11.1% (2013) for the last ten years. Fourth, the topic areas of music theory researches were divided into 13 according to the backgrounds in the history of music theories, and the findings show that 60.2% of the researches were concentrated on four areas led by musical meaning·narrative theory (17.0%). Fifth, 71.0% of the researches followed an analytical consideration when the methodologies of music theories were categorized into analytical, theoretical, and pedagogical considerations. Sixth, researches done by three music theorists accounted for 23.3% of the entire music theory researches. Seventh, 95.5% of music theory researches were carried out as independent researches. Finally, 13.1% of music theory researches were attributed to research funds with researchers preferring Journal of the Musicological Society of Korea (30.4%) and Journal of Music and Theory (30.4%) to publish their papers. An examination of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music theories not only serves as a means to figure out the academic status of music theories in musicology, but also helps to understand overall changes to music theory researches in the nation profoundly. Furthermore, it allows researchers to explore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the science. In South Korea, it was only years ago that they start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usic theories and investigate them academically.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expected to hold their significance in that they offer “basic data” to propose a new research direction to music theory majors and music theorists in the na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area of research regarding music theories.

      • KCI등재

        문화냉전기 미국의 아시아음악연구와 1960년대 국악의 국제화

        김희선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9 이화음악논집 Vol.23 No.3

        In the 1960s,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gugak) academic community took notice when American ethnomusicologists and composers visited South Korea to give a series of lectures, conduct intensive field recording, and composed works for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Scholars view such cultural flows as the beginnings of the internationalization of South Korea entering into the modern era. However,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growing interest in Korean music by American scholars and composers, the status of Asian music and ethnomusicology in the US during the 1950s and 1960s should be scrutinized. In the US, Asian Studies, as part of International Studies, was shaped and constructed by the Cold War politics of the 1950s and financially supported by non-governmental agencies including the Rockefeller Foundation, Ford Foundation, and Asia Foundation, which helped to establish university academic centers for this area of study. Similarly, the fields of ethnomusicology and Asian music research were nurtured by the same foundations, and because of such solid financial support, Asian music studies begun to grow throughout the 1950s and 1960s, reflecting the cultural politics of the US and repositioning the world as an ‘international’ spher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ultural paths of why and how American ethnomusicologists and composers turned to Asia, and their political and cultural context that reflected US Cold War politics. In addition, I examine cultural foundation grants for those American individuals who came to Korea through Japan, as part of the vanguard of ‘internationality,’ based upon the direction and movement of both Cold War and global cultural politics. This paper provides a broad, multi-dimensional overview which will help to explain the internationalism of gugak in the 1960s in relation to the cultural environment. 1960년대 미국의 현대음악 작곡가들과 민족음악학자들은 한국을 방문하여 국악기를 위한 작품을 남기고 특강을 진행하고 국악의 녹음과 기록을 남겼다. 또한 같은 시기 현대적 제도화를 마련한 국악계는 미국을 통해 국제학계와 교류를 시작하였다. 국악의 수월성을 국제적으로 보증한 기표이자 당대 국악의 현대성과 국제성의 상징으로 기술되어 온 이들 사건은 미국과의 관계를 기초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당대 글로벌 문화정치학의 관점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이 연구는 당대를 관통한 문화냉전에 주목하고 1960년대 국악 국제화의 사건들을 입체적으로 재구성하고 의미의 재해석을 시도한다. 미국에서 지역학으로서의 아시아학은 냉전 정치학의 필요에 따라 구성되었고 문화냉전에 깊숙이 관여한 민간재단인 록펠러재단, 포드재단, 아시아재단 등의 기금과 지원으로 지역학과 아시아학은 1950년대 이후 미국 대학 안에 자리잡았다. 1950년대 중반이후 ‘전 세계의 민속음악’을 연구하는 민족음악학의 성장과 함께 1960년대 초반부터 아시아음악연구도 본격화되는데 이는 전 세계를 새로운 ‘국제’로 재편하려는 미국의 문화정치학과 궤를 같이 하는 것이었다. 아시아의 필요성에 주목한 미국 내 냉전정치학은 미국 내 아시아음악에 대한 관심과 연구의 배경이었고 미국 작곡가와 학자들의 아시아 방문에 중요한 맥락이었다. 이들은 문화냉전과 관련이 깊은 민간재단의 기금과 후원으로 아시아 음악 연구를 진행하였고 이 과정에서 일부는 일본을 경유하여 한국에 도착하였다. 또한 당대의 국악계도 이들의 기금과 초청으로 새로이 구성된 국제 음악학계에 참여하여 국악의 ‘국제성’을 수행하였다. 아시아 음악을 중심으로 미국-아시아의 경계를 넘나든 이들의 활동과 1960년대 국악계가 꿈꾸었던 국제성은 횡단하고 교차하는 글로벌 문화정치학의 전략과 이해의 경합과 협상의 상호작용이 가져온 결과였다.

      • KCI등재

        아프로쿠바니스모(afrocubanismo)의 의미와 한계: 룸바를 중심으로

        이은아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3 이베로아메리카硏究 Vol.24 No.1

        Afrocubanismo was a dominant cultural trend as well as artistic movement of Cuba during the 1920s~1940s. It also occupied a central place in nationalist discourse. Rumba, more so than any other Afro-Cuban popular music genre, was reinterpreted as a national music practice as well as an artistic embodiment of cubanness. This study mainly analyzes the scholarly contribution to cuban ethnomusicology and the contradicting ways in which Alejo Carpetier and Fernando Ortiz understood afrocubanismo, by delving into their ambivalent perspectives on rumba. The first chapter examines how rumba, as a core signifier of afrocubanismo, pervaded all genres of art in this period, both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The second chapter discusses the commercial adaptation and reinterpretation of rumba in order to highlight the ambivalence that the elite and middle class experienced toward cultural expressions that bore African influences. The third chapter focuses on Carpentier’s La Música en Cuba, his contribution to Cuban contemporary musicology and also his biased perspective on rumba. The fourth chapter examines Ortiz’s criticism of afrocubanista poets, especially their appropriation of rumba as thematic material and linguistic experiment based on what was conceived as the mulato spirit. Carpentier and Ortiz reveal their contradictory attitudes toward a racially and culturally based cubanness and a deeply rooted belief in the inherent superiority of whites over afrocuban heritage. The study argues that Carpentier and Ortiz failed to overcome their contradicting disposition toward afrocubanismo. Nevertheless, they were successful in laying out the foundational theories on cubanness, while producing pioneering work in national musicology and personifying its textual embodiment. 아프로쿠바니스모는 20세기 초, 특히 1920년대부터 40년대 사이 쿠바의 예술계와 대중문화계 전반을 휩쓴 문화 현상이자 운동이며, 쿠바성(cubanness)을 이루는 시대적 담론이었다. 아프로쿠바니스모가 가장 활발한 영향력을 드러낸 영역은 아프로쿠바 음악으로, 그중에서도 특히 룸바 음악이라고 할 수 있다. 룸바는 단순한 음악 장르를 넘어서 아프리카성, 혹은 쿠바성과 연관된 예술적 기호로 사용되었다. 1장에서는 예술 전반에서 중요한 소재로 차용된 룸바 음악의 확산, 변형, 소재의 점유 방식을 살펴보고 아프로쿠바니스모의 의미와 한계를 논의한다. 2장에서는 룸바에 대한 국내외적 수용과 해석을 다룸으로써 엘리트 계급과 대중계층 사이의 모순적 경향을 확인해 본다. 3장에서는 알레호 까르뻰띠에르(Alejo Carpentier)가 저술한 음악사인 『쿠바의 음악 La Música en Cuba』을 중심으로 30, 40년대 쿠바에서 룸바의 형태와 리듬을 도입한 고전음악을 살펴보고, 까르뻰띠에르의 해석을 통해 아프로쿠바 음악에 대한 그의 편파적 시각을 살펴본다. 4장에서는 아프로쿠바니스모의 철학적·이론적 토대를 제공한 페르난도 오르띠스(Fernando Ortiz)의 시평, 특히 룸바를 소재로 삼은 아프로쿠바니스타 시들에 대한 해석을 살펴봄으로써 그가 지닌 인종과 문화에 대한 모순적 인식을 점검한다. 까르뻰띠에르와 오르띠스는 쿠바의 민족음악학의 토대를 마련함으로써 쿠바성을 주창하고 예술적 실천을 모색한 지식인이었지만 아프로쿠바니스모의 모순과 한계를 극복하지 못했다. 이는 당시 쿠바성 담론 자체가 지닌 한계와 모순에 대한 근거로 삼을 수 있다.

      • KCI등재

        한국음악학과 에믹(emic)/에틱(etic) 논제

        이용식 ( Yong-shik Lee )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03 音樂論壇 Vol.17 No.-

        There are two viewpoints to investigate culture in anthropology: emic and etic. The expression emic/etic was coined by the American linguist, Kenneth L. Pike, who also developed the theoretical issues involved. Pike built up the emic/ etic distinction to define sets of contrasting units and to describe their distribution, behavior, and arrangement in both verbal and nonverbal domains. The anthropologist Marvin Harris later applied the distinction to set up a relationship between "emics," the "mental," and the "native" on the one hand, and "etics," the "behavioral," and the "observer" on the other. Ethnomusicologists adopted the emic/etic distinction in their study of musical culture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emic/etic distinction can be applied in transcription. There may be an etic transcription, that is, noting all distinctions in sound which the transcriber can, and an emic transcription which gives only the essentials. In Korean musicology, foreign scholars normally try to transcribe musical phenomena perceived by the transcriber as much as possible while native scholars tend to transcribe them with less detail. However, it is not the ma竹er of viewpoints of foreign versus native scholars. Within native scholars, there are diverse points of view to perceive music in accordance with their approach to the music. The emic/etic distinction usually involves the insider/ outsider issue. In Korean musicology, there have been some instances that the interpretations of musical phenomena by native and foreign scholars are different. For instance, Lee Hye-gu disagreed with Jonathan Condit’s 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notation system. It is true that all native scholars may acquire the emic view. Rather, it is a schola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method that he/she can approach musical culture in emic or etic view. A scholar must have a dialectical mind to balance emic/etic viewpoint in order to understand the deep structure of musical cultu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