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남해 도서 연안 민간요법의 공유가치와 지식재산으로서 재발견

        박혜영 ( Park Hey-yeong ) 남도민속학회 2016 남도민속연구 Vol.33 No.-

        민간요법은 경험과학으로서 공동체 구성원 사이에 공유되어온 지식재산이자 공유자원이다. 민간요법은 서민들의 삶의 터전과 일상생활 속에서 자생해온 치료법으로, 질병의 발생에 대한 문화적 대응이자 치유방식이라고도 할 수 있다. 치병 경험과 약재의 판별, 약초의 채취 장소와 기술 및 제약 방법 등에 관한 지식은 교환가치를 지니는 일종의 지식재산(智識財産)으로서 전통과 내력을 갖고 있다. 이런 민간요법들은 한편으로 지극히 비전문적인 것, 위험한 것, 미신적인 것,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는 비합리적인 것으로 치부되기도 한다. 민간요법은 해방 이후 한국전쟁기를 지나면서 양의학의 성장세에 위축되어왔으며, 한의학에 대한 대체의학으로 자리 잡기에도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여겨지곤 했다. 이런 경향은 일제강점기에 특히 두드러졌는데, 조선의 의학은 유구한 전통에도 불구하고, 원시적인 의술로 치부되었으며, 귀신을 다루는 미신과 같은 것으로 여겨졌다. 또 식이요법을 비롯한 정신요법이나 장기요법과 같은 각종 치료법들이 합리적인 의술로 그 실제적 효력을 인정받기도 했다. 민간요법에 대한 이런 양가적 시선은 오늘날까지도 잔존해있다. 민간요법은 단순히 합리성이나 과학성의 척도로 그 성격을 규명하기 어렵다, `합리적`인 치료법으로 자리매김해온 각종 식이요법이나 물리적인 치료 방법에 대한 실증적 접근과 더불어, 질병에 대한 인식과 치료 행위 일체를 문화적 현상으로 이해하고 인식의 층위와 그 의미를 해석해내는 작업이 수반되어야 한다. 민간요법에 대한 폄하된 시각을 바로잡고, 주술치료를 비롯한 각종 임상치료 과정에 대한 문화적 해석과 생물문화자원의 한의약적 이용에 대한 실증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본고에서 민간요법의 전승의 핵심인 전통지식의 가치를 포착하고, 국제사회에서 유전자원의 접근과 이익공유에 대한 자원안보의 문제를 근거로 전통지식 보전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논하였다. 현대사회에서 전통지식은 지식재산이자 재화나 다름없는 물적 가치를 지닌다. 생물다양성 협약에 따른 `유전자원의 접근과 이익공유`에 대한 자원안보 인식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기틀을 마련하는 것은 도서 지역의 생물문화와 관련된 지역민의 지식재산권 확보에 달려있다. 여기에 도서연안 농어민들의 종자권 보호와 민간약재의 생산 및 채취권에 대한 규약을 강화하고 더불어 민간요법의 보유자에게도 나름의 권리와 혜택을 부여하여 지식재산권을 보장하려는 노력과 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구전 및 행위로 세간에 전승되어온 민간요법의 경우 과학적으로 검증된 실질적인 임상효과와 더불어 예방의학적 차원의 건강유지와 생활개선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민간요법에 대한 학문적 검토 및 연구를 통해, 의료행위 기준을 마련하고, 세계 표준 선도 및 선점을 위한 범부처 차원의 표준화 대응 협의체 마련 및 전담기구를 설립과 지원이 요구된다. 민간요법에 실제적인 효능을 입증시키고, 단순히 치료목적 뿐만 아니라 질병예방과 건강증진을 위한 대체의학(代替醫學)으로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생물문화자원의 의약학적 이용에 대한 실증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Folk remedies are an intellectual property and a shared resource that have been shared among members of the community as experiential sciences. Folk remedies are a natural remedy for the lives of ordinary people and their daily lives, and a cultural countermeasure for the occurrence of diseases. The knowledge about the cure, the identification of herbs, the place and the technology of herb collection, and its processing method has a tradition and history as a kind of intellectual property having exchange value. These folk remedies, on the other hand, were regarded as extremely unprofessional, dangerous, superstitious, and scientifically unreasonable and irrational. After the Korean War, the folk remedies have been depressed by the growth of Western medicine, and they have been regarded as insufficient to be an alternative medicine for Oriental medicine. This tendency was particularly promin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which the medicine of Joseon was regarded as primitive medicine, despite the long tradition, and the superstition of dealing with ghosts. On the other hand, various therapies such as diet, psychotherapy and long-term therapy have been recognized as rational medicine and for their practical efficacy. This ambivalent view toward folk remedies remains to this day. An empirical and systematic approach to cultural interpretation of various clinical treatment processes, including magic therapy and herbal medicine use of biological and cultural resources, is necessary to correct the derogatory view of folk remedies. It is difficult to characterize folk remedies simply by the rationality or scientific criterion. Along with an empirical approach to various dietary and physical treatments that have been established as “reasonable” treatment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ecognition of the disease and the treatment action as cultural phenomena. Also, this should be accompanied by a task of interpreting the layer of recognition and its meaning. This paper captures the value of traditional knowledge, which is the core of folk therapy tradition, and discusses the necessity and justification of conserva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based on the issue of resource security for the access and benefit sharing of genetic resources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In contemporary society, traditional knowledge has the same physical value as intellectual property and goods. Establishing a basis for the promotion of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resources and security for the `access and benefit sharing of genetic resources` under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depends on secur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the local islanders related to the bioculture of the island area. In addi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strengthen the provisions on the protection of the seed rights of coastal farmers and fishermen and on the production and harvesting rights of private medicines, as well as on securing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the folk medicine owners by granting their rights and benefits. In the case of folk remedies that have been handed down by word of mouth and acts, it is necessary to move forward to contribute to the health maintenance and life improvement in the preventive medicine level, as well as to the practical clinical effects that are scientifically proven. Through academic review and research on folk remedies, it is required to establish standards for medical practices, to establish and support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for global standardization and preemption. An empirical and systematic approach to the clinical use of biological and cultural resources is needed to demonstrate practical efficacy of folk remedy and to establish itself as an alternative medicine for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as well as for therapeutic purposes.

      • KCI등재

        민간요법의 현대적 존재양상의 일고찰

        오정미(Oh, Jung Mi),김기덕(Kim, Ki Duk)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통일인문학 Vol.57 No.-

        민간요법은 전통사회에서뿐 아니라 현대사회에서도 살아 숨쉬는 문화이다. 다만, 사회가 변화한 것처럼 민간요법의 존재양상도 변화하고 있을 뿐이다. 이 글에서는 <경기 동북부지역 민간요법 발굴조사>에서 만난 이의영 촌장의 ‘명품 산야초’를 통해 변화하고 있는 현재의 민간요법의 존재양상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현재 우리 주변의 평범한 이웃들에게 민간요법이 어떠한 양상으로 전승되고 존재하는지 살펴본 것이다. 현대의 민간요법은 전통사회에 비해 자가 치료가 더욱 중요해졌다. 이름 모를 아무개가 행한 민간요법은 더 이상 현대사회에서 존재하기 어려워졌기에, 구체적인 특정인물, 특히 자가 치료가 중요해진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이의영이라는 특정 인물의 자가 치료를 바탕으로 한 민간요법은 민간요법의 현재적 존재양상을 이해하기 위한 좋은 텍스트이다. 이의영의 ‘명품 산야초’를 통해 알 수 있는 민간요법의 현대적 존재 양상은 세 가지이다. 첫째, 민간요법 관련 블러그와 카페, 홈페이지들이 전통사회에서의 마을을 대신하고 있다. 전통사회에서 마을을 중심으로 민간요법이 존재해 왔던 것처럼, 현대에는 온라인이라는 마을 속에서 사람들이 서로의 민간요법에 대해 소통하고 있다. 둘째, 산업적 형태의 민간요법이 강화되고 있다. 이의영 촌장과 같이 민간요법을 삶의 일환으로 수용하며 전승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민간요법을 수익창출로까지 발전시키고 있다. 민간요법 관련 블러거들은 실제로 자신이 개발한 다양한 효소와 차들을 판매하며 민간요법을 통해 수익창출을 도모하고 있다. 셋째, 현대의 민간요법에서는 학문적 형태를 필요로 한다. 대량 생산되는 민간요법 관련 상품들 속에서 사람들은 과학적인 검증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이의영이 자신의 민간요법 경험을 과학적으로 증명하기 위하여 학계와 함께 학술논문 3편을 발표한 것이 좋은 사례이다. Traditional home remedies are not the relic of the past, but a living, breathing part of the Korean culture today. Only as the society changes, the details of home remedies are also changing too. Examined in this article is the current status of present day’s traditional home remedies, through Lee Ui Young’s <Myeongpum Sanya-cho(Well-made native grass extract)> which I came to be aware during the ‘Home Remedy’ Excavation project in the Gyeonggido province’s northeast sector. The objective of this project was to determine how the traditional home remedies have been handed down to the people today. There are three new aspects of traditional home remedies that we can identify from Lee Ui Young’s <Myeongpum Sanya-cho>. First, online blogs, internet cafes and homepages are now serving as substitutes for the traditional village communities and the roles they played in the past. Back in those days, traditional home remedies were developed, shared and consumed only within the scope of village communities. Today, people who live in different places are nonetheless sharing online information, by exchanging ideas and their own experiences through a global web-based network on the internet. Second, traditional home remedies are being supported by corporate sponsorship and becoming items of professional businesses. People like village leader Lee Ui Young are not only integrating home remedies into their lives, but also creating profit from such practice. Internet bloggers are selling various kinds of enzymes and tea leaf products which they themselves developed. Third, an academic aspect is added to the home remedies’ development. People today, who are facing a vast market of mass produced home remedy items, are requiring academic inspection and verification. Lee Ui Young announced three published articles to prove the scientific nature of his own experiences in traditional home remedies.

      • KCI등재

        산청(山淸)지역 민간요법의 실재와 전승양상

        박경용(Bak Gyeong-Yong) 실천민속학회 2011 실천민속학연구 Vol.18 No.-

        이 글에서는 경남 산청지역을 중심으로 전래의 민간요법 실재와 전승양상을 약초 채취, 자가치료, 민간치료사 활동, 약용 동식물 재배?사육 등의 측면에서 고찰해보았다. 의약이 발달한 현대사회에도 민간요법은 끈질긴 생명력으로 생업활동과 치병, 건강 증진, 먹을거리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전승되고 있다. 민간요법의 본래적 속성은 의료지식의 사회화와 호혜성의 원리에 의한 ‘자가 치료’에 있다. 민간요법 지식과 기능은 만인에게 개방, 공유되는 사회적 자산으로서 장기간의 생활실천 속에서 구축된 민속지식이다. 현대사회에서 민간요법은 생업 유지와 가업 잇기, 질병치유 효험 매료, 전통 계승의 필요성, 자가 치료수단의 확보, 의료 보시(布施)의 실천 등 여러 동기에서 전승되고 있다. 민간요법은 비록 일상생활과 경험지식의 수준에서 명맥만 유지할지라도, 제도권 의료가 다가가기 어려운 한계영역과 사각지대의 의료영역을 보완한다. 산청군의 사례를 중심으로 민간요법의 보존, 계승과 그 활용방안에 대한 몇 가지 견해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학술적 측면에서 민간요법을 소중한 무형문화자산으로 인식하여 이를 생활사적 맥락에서 개인, 가정, 공동체 수준에서 사례별로 조사, 집성해야 한다. 민간요법은 비록 과학적 연구를 통해 개개의 효능을 검정 받지 못한 ‘암묵지’ 혹은 ‘경험지’에 속할지라도, 오랜 기간 동안의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형성된 소중한 사회적 지식이자 민간과학이다. 둘째, 집성된 민간요법의 인문학적 연구결과물을 생물학, 한의약학, 약학, 보건의학, 바이오유전공학 등의 학제적 연구를 통해 약성과 효능을 과학적으로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건강 및 치료 상품을 개발해야 한다. 만성?난치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신약물질과 치료기술의 개발은 경제적 이익 창출에 나아가 인류의 건강과 생명 보전에도 큰 기여를 할 것이다. 셋째, 산청군의 입장에서 본다면, 전승 민간요법에 대한 심사를 통해 어느 정도 효능이 검증된 사안에 대해서는 군 차원의 이른바 ‘민간요법사 자격인증제’ 혹은 ‘민간요법사의 집’ 지정을 통해 기능을 체계적으로 지원, 관리하고 보존, 활용할 필요가 있다. Folk therapy is a social knowledge and a folk science, being handed down for a long time, though it is a tacit knowledge or an experience knowledge not being gained official approval by a state organ. Like the case of Sancheong(山淸) County, folk therapy has been transmitted continuously in various ways through a gathering of medicinal herbs and self-remedies, the roles of folk healers, cultivating and breeding of medicinal animals and plants etcs. In many cases, folk therapy has been effective on incurable and chronic diseases by making up for legal medicines or as an alternative measure. By the case of Sancheong County, I suggest a few ideas in followings. First, we should be recognize folk therapy as an intangible culture heritage and research concerning various dates of it case by case of individual, family and community. Second, we must verify scientifically the medicinal effects of folk therapy and develop a new medical stuff and remedy for health and cure from it. Third, for Sancheong County, it is worth supporting, using, preserving the knowledge and skill of folk healers through an social approval.

      • KCI등재

        인터넷 신문기사로 본 민간요법 유해사례의 위험성

        박정환(Jeong Hwan Park),문수정(Sujeong Mun),김성하(Sungha Kim),배은경(Eun Kyung Bae),이상훈(Sanghu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

        민간요법 유해사례란 예로부터 민간에 전해 내려오는 질병 치료법인 민간요법 사용 중에 발생되는 바람직하지 않거나 의도되지 않은 모든 불편감이다. 본 연구는 인터넷 뉴스기사를 통해 민간요법 유해사례의 형태와 위험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인터넷트렌드(www.internettrend.co.kr)의 웹사이트 분석평가에 의한 점유율 상위 3개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NAVER), 다음(DAUM), 네이트(NATE)를 검색 대상으로 선정하여 최근 5년간(2009년 1월 1일부터 2014년 2월 28일까지) 민간요법 유해사례의 신문기사를 검색하였다. 총 973건의 신문기사가 검색되었고 18건이 포함기준에 만족되었다. 유해사례를 경험한 사람은 총 27명으로 연령은 4개월부터 76세까지이고, 남녀 모두에게 발생하였다. 2회 이상 반복적인 유해사례를 일으킨 민간요법으로는 독성 약재인 봉삼 또는 초오를 재료로 사용하여 복용한 요법, 피부에 외용하는 식초요법, 시술자에 의한 벌침 또는 부항요법이었다. 중대한 유해사례로서 사망이 11명이 있었으며 자신이 직접 복용한 1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의료인이 아닌 무자격자의 시술에 의한 사망이었다. 국내에서 대중적인 민간요법은 인터넷 상에서 정보가 활발히 상호 교류되며 전문 의료인의 지도 없이 오, 남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국민의 보건의료측면에서 국가나 의료계가 민간요법 유해사례에 대한 위험성 홍보 및 올바른 건강정보 제공 계획을 세우고 나아가 유해사례를 보고 및 감시하는 체계도 확립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지적하는 바이다. Folk medicine is traditionally passed down to cure disease, and adverse events (AEs) of folk medicine are any unfavorable and unintended discomforts temporally associated with the use of folk medicin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Es types and risks of folk medicine through the internet news articles. Included in this analysis are all articles on the topic of folk medicine and AE reported in the top 3 online news websites (NAVER, DAUM and NATE) determined by InternetTrendTM(www.internettrend.co.kr). It was searched in the last five years (between 1 January 2009 and 28 February 2014). In total, 18 AEs articles of 973 news articles met our inclusion criteria. A total of 27 people were experienced AEs associated with use of folk medicine. Age was from 4 months to 76 years old, and it was occurred in both men and women. Folk medicine that caused AEs in twice or more was therapy that patient taking the dictamnus or aconitum of toxic herbal medicines, vinegar therapy of external use to topical skin, and cupping or bee sting therapy by practitioners. Death as a kind of serious AEs was 11 people, and 10 people were died after treatment by unqualified practitioner. Folk medicine that is popular and widely used in Korea is actively interacted wi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so it apt to misuse and abuse without guidance of health professionals. Aspects of health care system, we point out that the need for government and medical society establish not only correct health information plan and promotion of risk but also system as reporting and monitoring of AEs by folk medicine.

      • KCI등재

        전통 민간요법 발굴 및 활용을 위한 기초연구

        한지원(Han, Ji-Won),김진희(Kim, Jin-Hee),이상훈(Lee, Sang-Hun) 인문콘텐츠학회 2013 인문콘텐츠 Vol.0 No.30

        민간요법은 세대를 걸쳐 경험적 효과가 널리 인정된 하나의 전통지식(Traditional Knowledge)이자 지식자원으로서, 이에 대한 중요성이 국가 간 세계무역 흐름에서 날로 확대되어가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는 전통지식자원을 새로운 경제적 자원으로 인식하고 이를 보전하여 경제성장 동력으로 활용하기 위해 지식재산권 분쟁이 점차 치열해지고 있으며, 지적 재산권 침탈을 막기 위한 제도적 장치와 국제규범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이러한 국제적 추이에 따라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는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의 국제규범과 주요 쟁점들을 파악하여 민간요법 발굴조사에서 확보된 전통지식을 체계적 분류와 보존을 통해 전국 맵구축 및 데이터베이스화하는 한편, 이를 토대로 한국 전통의료지식의 지적 재산권 보호를 추진 중에 있다. 이 글에서는 전통 민간요법 발굴 및 다양한 문화콘텐츠 활용을 위한 전체상을 제시하였다. 다학제간적 발굴자료 및 DB구축은 우리나라 전통 민간요법에 대한 관심과 대중화를 위해 최근 각광받는 음식콘텐츠 및 건강콘텐츠 개발로 연계할 수 있으며, 인간의 정신과 육체에 대한 치료 및 정화를 고려한 힐링콘텐츠 개발 및 모바일 앱개발 등을 통한 사회에 환원하는 공익적 역할을 보여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러한 전통의료지식은 활용성 제고와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지역문화를 대표하는 체험관광 콘텐츠 구축, 한의학 엑스포 및 지역문화축제콘텐츠 기획, 의학 관련 박물관 및 문화관의 전통의료 체험교육등 에듀테인먼트적 요소를 개발하여 다양한 문화콘텐츠 활용으로 발전할 수 있다. Folk remedy is a traditional knowledge and knowledge resource with widely acknowledged experimental effectiveness through generations. Its importance is being increasingly expanded in the trend of international trading between countries. Various countries in the world are recognizing the traditional knowledge resources as new economic resources with disputes on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becoming gradually intensified in order to use them as motive power for economic growth by preserving them. Moreover, institutional mechanism and international standards for prevention of pillaging of such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re being actively discussed. In accordance with such international trend,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has established nation-wide map and database through systematic categorization and preserva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secured through survey for discovery of folk remedies of Korea by assessing the international standards and key controversial issues of the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WIPO), and presented the overview of the traditional knowledge for the purposes of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the traditional medical knowledge and utilization of diverse range of cultural contents of Korea on the basis of the database accumulated. Interdisciplinary discovery of data and establishment of database can lead to development of food contents and health contents that are recently being highlighted for the purposes of increasing the interest in and popularization of the traditional folk remedies of Korea, and will offer the opportunity to demonstrate public role of returning the benefits of such knowledge to the society through development of healing contents and mobile apps that consider the healing and purification of the minds and body of human beings. These traditional medical knowledge can be utilized as cultural contents through establishment of experience tourism contents that represent regional cultures, planning of Oriental Medicine Expo and local cultural festival contents, and development of diverse range of edutainment elements including learning through experiencing of traditional medicine at medicine related museum and cultural centers in order to enhance their utilization and creation of added values.

      • KCI등재

        통계적 검정과 데이터마이닝기법의 융합을 통한 민간요법 인식 요인 탐색조사

        유진아,최경호,조정근,Yoo, Jin Ah,Choi, Kyoung-Ho,Cho, Jung-Keun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5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3 No.2

        오늘날은 가히 웰빙과 LOHAS 시대를 넘어 힐링시대라 할 만큼 모두들 스스로의 치료(self therapy)에 관심이 많다. 이에 따라 민간요법과 관련된 분야의 활발한 산업화 그리고 질병치료가 아닌 건강증진 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대체의학이나 대체요법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이렇듯 민간요법을 통한 건강증진 및 인간의 자연치유력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민간요법에 대한 인식을 구성하는 요인들을 탐색해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인식 속성 관련 설문문항을 개발하여 요인분석 등을 이용하여 민간요법을 구성하는 요인에 대해 탐색해 보고, 인구통계학적인 특성들에 따라 인식 속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통계적 검정해 보았다. 그 결과 24개로 구성된 민간요법 관련 측정 변수들은 4개의 요인, 즉, 건강증진요인, 안전요인, 심리요인 그리고 대안요인 등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30세 이하의 젊은 층보다는 40~60대의 중장년층 그리고 학력이 높을수록 민간요법에 대한 사용경험이 높으며, 성별로는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Nowaday, beyond the time of wellbeing and LOHAS, many people have great interest in self therapy, so it is called healing era. As the folk medicine fields are actively industrialized and the interest in health improvement, not disease cure, is increased, many researches about the alternative medicine and therapy in various fields are being performed. In the times of the interest in health improvement and spontaneous, natural healing ability of human body is getting increase, it is very meaningful to search the factors which consist of recognition to folk medicine. So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questionaries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researched the factors affecting the recognition to folk medicine using factor analysis, and tested statistically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character according to demo-statistical traits. As the result, the twenty-four measurable variables related to folk medicine are sorted to four factors, ie, health improvement factor, safety factor, psycholocial factor, and substitutional factor. And overall, the middle and senior ages, the forties to sixties, and higher-educated peoples have more experiences in folk medicine than the younger ages, below thirties and lower-educated peoples. The distiction of sex makes little differences.

      • KCI등재

        포커스 그룹 운영을 통한 제주도 민간요법 사용경험 연구

        안덕균 ( Duk Kyun Ahn ),이정화 ( Jeong Hwa Lee ),백승민 ( Seung Min Baek ),김슬기 ( Sul Gi Kim ),최선미 ( Sun Mi Choi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2 탐라문화 Vol.0 No.41

        이 연구의 목적은 제주도 지역의 민간요법 특징을 이해하기 위하여 제주도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민간요법 사용경험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제주도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포커스 그룹 운영을 통하여 수집한 자료를 질적 내용 분석절차에 따라 분석한 결과 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제 1범주인 "제주도에서 많이 사용하는 약리적 민간요법", 제 2범주인 "제주도의 지리적 여건을 활용한물리적 민간요법", 제 3범주인 "일상생활 속 제주도의 건강관리방법", 제 4범주인 "제주도의 독특한 주술요법"이다. 제주도 주민들이 사용하는 민간요법은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것 외에도 육지와 독립된 고유의 자연환경에서 유래된 것들이 다수 있었다. 향후 이러한 고유의 요법들의 잠재적인 효과에 대한 과학적·실증적인 연구에 더해 요법 사용의 기저에 내재된 제주도 주민들의 심리와 풍습에 대한 인류학적인 고찰이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olk remedies used in Jeju Island, which differ from those practiced on the mainland, to determine its characteristics. We conducted a focus group discussion and in-depth interviews with a chosen sample of Jeju Island residents. Based on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script derived from the focus group discussion and in-depth interviews, we elicited four categories concerning the characteristics of folk remedies in Jeju Island: "prevalent pharmacological folk remedies," "physical folk remedies incorporating the geological environment," "daily health management," and "unique localized psychological folk remedies." Jeju Islanders use unique folk remedies as well as therapies that are commonly used in other regions of Korea. Further practical scientific research on the potential efficacy and effectiveness of such remedies is required. Additionally, underlying psychological factors and customs pertaining to the use of folk remedies need to be investigated.

      • KCI등재

        일제강점기 신문류에 기술된 민간요법의 양상과 전승양태

        김영완 택민국학연구원 2022 국학연구론총 Vol.- No.30

        They published a variety of newspapers such as Dong-ha Ilbo, Maeil Shinbo, Chosun Jungang Ilbo, Jungwoe Ilbo, etc.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ose newspapers introduced folk remedies that may cure daily diseases with ease at home. Those articles described remedies to cure and prevent seasonal and daily illnesses that people may experience often during the seasonal changes of summer and winter and during every day lives. They took the opportunities of a newspaper to spread news to public and tried to provide the people with domestic living tips via those articles. Those folk remedies introduced by the newspapers were mostly simple prescriptions which used one or two medicinal materials only. It was easy to use the remedies as the methods were simple. The remedies included various methods such as traditional Korean medicine, folk medicinal experiences based on th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erapies that transmitted orally, mixed remedies with modern medicine that was introduced after Korea opened its policy, etc., all of which were introduced as a wide category of folk remedies. The study collected folk remedies introduced on newspapers and confirmed the sources of the folk remedies via Danbangshinpyeon and other medicine-related historical materials published back then, and, reviewed the transmission situations of folk remedies that had been continuously used by the people after Korea's liberalization, through the contents of each city and county's journals. 일제강점기에는 동아일보 · 매일신보 · 조선중앙일보 · 중외일보 등 다양한 종류의 신문류가 간행되었다. 신문에는 당시 일상에서 질환이 발생했을 때 가정에서 간단하게 치료할 수 있는 민간요법을 기사로 소개하고 있는데 여름·겨울의 계절에 따라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계절성 질환과 일상생활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생활질환을 중심으로 예방 및 치료법을 기술하고 있다. 신문이 지니고 있는 소식의 대중적 전파라는 특징을 활용하여 가정내 생활상식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신문에 소개된 민간요법은 한 두가지 약재만을 이용하는 단방(單房)이 대다수로 이용법이 단순하여 누구나 쉽게 활용 가능하였다. 그리고 한의학 치료법, 한의학에 기반한 민간의 경험방(經驗方), 구전(口傳)으로 전해진 치료법, 개항이후 도입된 근대 의약품과의 혼용사용 등이 모두 민간요법이라는 커다란 테두리 안에서 범용되어 소개되었다. 신문류에 소개된 민간요법을 당시 간행된 단방신편 및 의료관련 사료를 통해서 이 시기 민간요법의 연원을 확인하고, 광복이후 지속적으로 민간에서 사용된 민간요법의 전승양태를 시군지(市郡誌)속 내용을 통해서 함께 살펴보았다.

      • KCI등재

        약초민간전승요법의 다학제간 접근방식에 의한 조사방법론연구

        신용욱(Shin, Yong-Wook)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42 No.-

        민간전승요법은 민속학, 식물학적, 언어학적, 본초학(약리학)적 지식등의 다양한 학문적 기반을 두고 공동으로 연구해야 하나 주어진 제약성 또는 가치공유의 한계로 민속학, 식물학, 언어학, 약리학 전공자들과의 협동연구가 어려운 현실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학제간 접근방식에 기초한 생애사적 조사방법론을 구축하고자 하였다.<br/> 본 연구에서는 사전설문조사를 통하여 식물의 효능과 식물성상에 근거하여 식물명의 방언대조표를 작성하였고 조사 대상지역에서 빈용되는 민간전승요법의 현황을 질환별로 이용하는 약초, 적용방법 등에 대해 조사한 뒤 이 결과를 심층면담에 이용하였다. 심층조사에서는 생애사적연구방법을 통하여 제보자 1인 기준 2~3시간 동안의 면담을 진행하면서 제보자 삶에 내재된 민간전승요법을 조사하였다.<br/> 이러한 조사를 통하여 도출하게 된 결론으로는 다학제간 연구를 위해 서는 사전설문조사를 통한 언어학적, 식물적인 조사가 선행되어야 하고 제보자와 관계를 강화시키고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민간전승요법의 전승방법, 제보자의 성별에 따른 심층면접 질문을 다르게 해야 원활한 조사가 됨을 알게 되었다. 남성은 결과중심, 여성은 관계중심으로 면담을 이끌어가야 원활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Folk therapy has been transmitted continuously in various ways. Though folk medicines, as a tacit knowledge, are not verified and approved officially its pharmacological effects by scientific tests, it is an important folk science and native knowledge handed down for a long time. Because of In many cases, folk therapy has been effective on incurable and chronic diseases by making up for legal medicines or as an alternative measure. Despite the needs for interdisciplinary, It is difficult to carry out collaborative research among Folklore, botany, linguistics, pharmacology experts. Therefore In this study, intend to build a life history research methodology based on a interdisciplinary approach. Survey was carried out in a 3 phase, in a first phase of survey, carried out in May to July 2008, in order to understand current status of folks remedies or practice have an Interview with 401 resident in West Gyeongnam Province. In this phase, Among 401 cases, utilizing folk<br/> medicinal practice, we assort herb oriented remedies and exclude ethnic religious customs or non-scientific practice, and focus on authentic local medical customs in Kyung-nam province. To identify botanical origin of the folk medicine, by describing local name, scientific name and Drug name. Base on the result first phase of the surveys, we made a questionnaire, which is evaluated recognition of 144 folks remedies against 34 syndromes on the subjects were 152 rural residence. Folk taxonomy and nomenclature is different from classification of botany. This article is the answers about them. I used the method of ethnobotanical identification combined with participant observaton and refered to botanical textbooks about the methods of gathering, prepararing and using of those herbs. In this study, through 2 phase of pre-survey, writing a list of dialects in contrast based on efficacy and Appearance of the herb. In-depth study, using biographical research methods, remedies inherent in informer's life were investigated through interviews per person for two to three hours. The results of this survey were summarized as follows: It showed that the traditional knowledge on medicinal herbs above is handed down mainly to women. The folk knowledge of traditional medicine is passed down differently between man and woman. According to the traditions of folk medicine and Gender Differences in informer in-depth interview questions should be different. Interview between men and women have different ways that is, When interviewed men, it should be results-oriented and interview women Relationship-ori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