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문학독본류의 미의식과 이데올로기 연구

        유용태(Yu, Yongtae) 중앙어문학회 2018 語文論集 Vol.73 No.-

        이 논문은 문학독본류의 미의식과 이데올로기를 연구한 것이다. 문학독본류는 근대의 문학지식과 미의식을 전수한다. 『시문독본』의 미의식이 객관적 대상을 주관화하는 미적 가치를 통해 근대전환기 문학인식을 목적으로 한다면 『문예독본』의 미의식은 주체의 미적 태도에 따른 표현에 의하여 발현하는 미적 가치에 주목하여 주관-객관화의 체험으로 미적 판단까지 일부분 포함하고 있다. 문학독본류의 미의식은 문학인식에서 판단으로 나아가는 확장을 보여준다. 문학독본류는 개인의 발전가능성에 비중을 둔 지적 능력의 향상과 감정적 언어를 통한 공감으로 일종의 신념체계로써 민족 이데올로기를 내면화하고 있다. 또한 독본의 교육적 역할과 문학제도의 승인 · 결합을 통과해야만 하는 과정에서 협력 · 순응 이데올로기를 내포하게 된다. 문학독본류는 교육을 일차적 목적으로 두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예술적 교육의 역할을 병행한다. 문학독본류의 예술적 교육은 독자에게 문학인식을 바탕으로 미의식을 규정하고 미적 판단능력까지 육성하는 것이다. 문학독본류의 예술적 교육은 근대 문학지식의 함양과 미적 판단을 육성하는 과정에서 판단의 동인에 민족을 배치하면서 민족 이데올로기를 내면화시키고 있다. 독본의 미의식과 이데올로기를 파악하고 성격과 당대적 역할을 규명하는 방법은 일제강점기 민간에서 발간된 다른 독본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일제강점기 독본들은 그 구성에 있어 문학작품의 비중이 상당히 높기 때문이다. 각 독본의 미의식과 이데올로기를 규명할 수 있다면 근대문학의 정전화에서 일제강점기 독본류의 역할과 의미를 분명히 밝힐 수 있을 것이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eek about the aesthetic sense in a category of the literature reading book and an ideology. literature reading books have been passed down the modern aesthetic sense. The understanding of the aesthetic sense of the poetry reading book is based on awareness of an objective target through subjective processes. Furthermore, the aesthetic sense in a category of literature reading book contains aesthetic judgments that are described based on aesthetic attitudes. The aesthetic sense of literature reading books does not stop at the awareness stage. it develops the area from “awareness” to “judgement.” The aesthetic sense involved in the category of literature reading books contains few major factors. First, it helps develop intellectual capacity that is limited by personal potential and also helps build stronger sympathy though emotional language. Those represent national ideology as types of belief structures. Second, it represents the domination and collaboration ideology that appears during the process of approval and combination in the literature system. Third, it plays a role in the area of arts education. Therefore, the aesthetic sense involved in the category of literature reading books helps readers to explore the rules of aesthetic consciousness and artistic judgement based on recognition of literature. The artistic education factor in literature reading books helps cultivate modern literature knowledge, develop artistic judgment skills, and pass down national ideologies to the next generations. Furthermore, identifying and researching artistic values from other types of literature books can be undertaken as a future task.

      • KCI등재

        근대 문학정전에 내포된 미 이데올로기의 성격과 역할

        유용태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5

        이 연구의 목적은 근대 문학정전에 내포된 미 이데올로기의 성격과 역할을 규명하는 것이다. 예술사회학적 관점에서 문학장의 이데올로기 지향을 살펴보고 이를 반영한 문학정전의 이데올로기를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미 이데올로기의 성격과 역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학정전에 내포된 이데올로기는 국가 이데올로기가 아니라 문학장의 이데올로기이다. 문학장의 이데올로기는 역사적 의식을 강조하여 한국문학의 연속성을 확보하려는 것과 개인을 중시하고 혁신성을 포용하려는 지향점을 지니고 있다. 이를 반영하는 문학정전은 혁신적 문학에 지위를 부여하려는 개방적인 성격도 포함하고 있다. 미적 가치의 표면화된 미 이데올로기는 본원적인 미적 가치를 지향한다. 미적 가치의 내면화된 미 이데올로기는 예술적 관습과 특정 집단의 영향관계에서 자유로울 수가 없으며 이에 따라 사회적 역할을 부여한다. 이는 개인을 상상적 공동체로 호명하며 공동체로서 정체성을 부여한다. 예술사회학적 접근을 통한 문학정전의 미학적 연구는 앞으로의 과제로 남겨둔다. The goal of this is to establish the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the ideology about the beauty in the modern literary canon. This study is investigated the ideology in the literary canon by a direction of the ideology from the literature field though the sociology of art. Though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an ideology about beauty. The ideology in the literary canon is not the national ideology. It is the ideology in the literature field. The ideology from the literature field has two major intention points, that are securing continuity of overall Korean literature and accepting personality & innovation characteristics, with focusing on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Therefore, the literary canon, that contains the ideology, has open-characteristics to accept those innovative works of literature as part of their literary canon. The beauty ideology that has been come to the surface of aesthetic values aims primary aesthetic values. The beauty ideology that has been internalized with aesthetic values can not be freed from artistic practices and influences from some specific groups, therefore it has been given social roles. Those social roles are called individuals as the imaginary community, also given an identity as the community. This study leaves the aesthetic study from the literary canon with using the sociology of art for further tasks on this field of the study.

      • KCI등재
      • KCI등재

        1950년대 가난과 보수주의 시학

        정영진(Jeong, Yeong-Jin) 동악어문학회 2015 동악어문학 Vol.64 No.-

        1950년대 경제적인 가난은 명백한 사실이다. 하지만 시에서는 별로 가난에 대해 관심이 없었다. 궁핍한 생활에서 비롯한 고독과 비애의 정서를 발견하기는 쉽지만, 가난을 전면적으로 다루는 시들은 아주 적다. 서정주는 말한다. “가난이야 한낱 남루에 지나지 않는다.” 이렇게 말할 수 있는 까닭은 무엇일까. 이 글은 서정주의 시를 당대 한국 현실을 리얼하게 다룬 소설들과 겹쳐 읽으면서, 서정주 시의 미적 이데올로기와 시장경제 원리와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1950년대 ‘가난’이 저항 담론의 수행성을 구성할 수 없었던 까닭과 서정주 시의 보수주의 미학의 성격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1950년대 서정주 시처럼 자본주의 세계의 질서와 원리를 고유한 자기 원리로 번역해 낸 시인은 없어 보인다. 이때의 자본주의 질서와 원리란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체계라기보다는, 인간의 본성에 따라 사익을 추구하고 개인들은 최대의 만족을 얻기 위해 자유롭게 시장에 참여하며, 이때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따라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형성된다고 보는 ‘시장 원리(maket principle)’를 의미한다. 경제주체들의 자유로운 경쟁이 이루어지는 시장은 자기 조절 기능이 있기 때문에 인위적인 개입이 시장의 흐름을 깨는 것으로 간주된다. 서정주는 역사적 신체를 배제하고, 인간의 타고난 본성들의 향연을 이상화했다. 그는 훼손되지 않은 본연의 인간성이 다른 수많은 본연의 생명들과 자연스럽게 교류하는 세계에 영원성 내지 절대성을 부여하고자 했다. 서정주는 시장 지향의 심성(mentality)이 구축되어가는 전후사회의 집단적 무의식-교환의 감각을 내면화하는 등-을 대담하게 구도를 잡아 미학화 했다고 볼 수 있다. 어쩌면 서정주에게 전통은 ‘동양’이나 ‘신라’에 있다기보다는 ‘현실’을 수용해가는 민중들의 집단적 무의식 차원과 결부지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서정주의 보수주의 미학(시학)의 핵심은 바로 현실수용의 구조를 미학화 하는 데 있기 때문이다. The economic poverty during the 1950s is a clear fact. However, poems did not have much interest in poverty. It is easy to discover the sentiment of solitude and sorrow based on impoverished life, and, however, there are an extremely small number of poems that overall deal with poverty. Jeong-ju Seo says “Poverty is nothing but merely being ragged.” What is the reason he can make such a statement?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esthetic ideology of the poems of Jeong-ju Seo and the principles of market economy, while reading both the poems of Jeong-ju Seou and the novels that realistically depicted the realities of Korea during the time.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onservatism aesthetics of the poems of Jeong-ju Seo and the reason that ‘poverty’ was not able to compose the performance of the confrontation discourses in the 1950s. There seems to have been no poet that translated the orders and principles of the capitalism world into his or her own unique principles as the poems of Jeong-ju Seo had in the 1950s. The orders and principles of the capitalism world means the ‘market principle’ that considers that human beings pursue their own interests pursuant to human nature, individuals freely participate in the market to obtain maximum satisfaction, and the price is formed by an ‘invisible hand’ pursuant to demand and supply, rather than meaning a system that has its objective as profit-seeking. Because a market where free competition by economic agents is formed has a function of self-control, artificial intervention is regarded to break the flow of the market. Jeong-ju Seou excluded the body of history and idealized the banquet of the inner natures of people. He sought to grant absoluteness or eternal nature to the world where the undamaged human nature naturally interacts with the numerous other natural organisms. Many believe Jeong-ju Seo forms an aesthetic sense by boldly grasping the composition of the group unconsciousness in the postwar society ? internalization of the sense of exchange - where a market-oriented mentality was being constructed. Maybe, the tradition to Jeong-ju Seo could have been combined with group unconsciousness of the public accepting the ‘reality,’ rather than the ‘East’ or ‘Silla.’ That is because the core of the conservatism aesthetic (poetry) of Jeong-ju Seo is in making an aesthetic sense in the structure of acceptance of reality.

      • KCI등재

        디지털 예술 시대에 있어서 헤겔의 미적 가상화

        배용준 ( Bae Yong-jun ) 한국동서철학회 2021 동서철학연구 Vol.- No.99

        헤겔의 예술이론의 중요한 원리가 되는 이론은 미적 가상화 이론이다. 미적 가상은 미의 이념이 가상의 형태로 드러난 이념상이자 진리의 표상이다. 그런데 헤겔은 미적 가상의 규정에서 물질과 자연을 배제하고 정신적인 것, 이념, 자율성, 체계성의 개념으로 예술작품에 가치를 부여한다. 그런데 이러한 미적 가상의 규정은 현대 예술에 오면서 한계에 직면한다. 현대의 예술작품은 자율이 아닌 기계적 필연성이나 정신이 아닌 물질과 자연적인 것을 예술로 표현하기 때문이다. 벤야민의 사진 예술이론을 시작으로, 3D 스캐너와 3D 프린터를 이용한 원화를 복제하는 프로젝트, 그리고 인공지능을 이용한 회화가 등장했다. 그래서 이전의 전통적으로 그 고유한 예술의 정체성을 주장한 고유성과 일회성, 역사성도 무의미해졌다. 이 결과가 말해주는 것은 헤겔의 미적 가상의 체계성이 변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상의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서 헤겔의 미적 가상의 규정과 원리, 그리고 이를 고수하는 체계성이 변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하고자 한다.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Hegel's art theory is aesthetic appearance. The aesthetic appearance is an ideological feature and an expression of truth in which the ideology of beauty has been revealed in a virtual form. Hegel, however, excludes matter and nature from aesthetic appearance regulations and places value on artwork with the concepts of spirituality, ideology, autonomy, and systemicity. However, these aesthetic appearance regulations have been changed with contemporary art and face limitations. This is because modern works of art express materials and natural things, not mechanical necessity or spirit, as opposed to freedom. There has been the appearance of Benjamin's theory of photographic art, projects to clone an original artwork using 3D scanners and 3D printers, and painting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us, the features of uniqueness, one-time,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that traditionally claimed the identity of the unique art have become meaningless. Such results indicate that Hegel's aesthetic appearance systemicity has to be changed accordingly. In light of the above, this paper aims to examine and to state that Hegel's aesthetic appearance regulations, principles, and the systemicity of clinging to them should be changed.

      • KCI등재

        1920년대 동인지 문학 운동과 미 이데올로기

        차혜영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4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24 No.-

        This study aims to contemplate aesthetic autonomy and movement in 1920's coterie magazine literature. Coterie magazine-writer made their own aesthetic ideology, aesthetic self-consciousness, and literary medium. They made cultural sense and association, at last establish their own original status of Korean modern literature. Their aesthetic ideology as combination of individual subject and art is early 1920's characteristic property. 'Pureness' that is regarded in the same light with aesthetic autonomy, played Korean special role

      • KCI등재

        교과서 시작품의 선정 원리에 관한 연구

        오정훈(Oh Jeong H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3

        시교육을 통해 문학교육의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제재에 해당하는 시작품의 선정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편향된 가치관에 빠져 다양한 측면의 작품 선정 기준을 고려하지 않으면 학생들의 감동을 이끌어내기 어렵다. 이에 문학적 측면, 교 육적 측면, 편성적 측면의 요소들을 다각도로 살펴 이러한 조건들에 충족되는 작품 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 문학적 가치성과 미적 범주의 균등한 안배, 시 갈래의 특성 을 온전히 보여 줄 수 있는 작품을 문학적 측면의 고려 요소로 선정해야 한다. 또한, 교육적 측면에서는 가치, 수준, 흥미의 요소들을 고려해야 한다. 교육적 가치를 구현 할 수 있으며, 학생의 수준에 부합하고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작품이어야 한다. 편성적 측면과 관련해서는, 다양한 시대의 대표작품과 특정 이념에서 벗어나 다양한 이념을 수용하는 성향의 작품이 교과서에 수록될 필요가 있다. 문학, 교육, 편성적 측면의 조건들을 충족시킨 작품은 학생들의 감동을 이끌어 내어 문학적 감수성과 상 상력을 신장시키는 데 기여하리라 본다. In choosing poems in poetr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elect a poem revealing its own special identity at a level of a form and contents from the literary viewpoint, and also to include the poem, which equally reflects aesthetic categories dealt with in literature, in a textbook. In short, it s necessary to select the poetry works that could obviously show the musicality, pictorial characteristic, and implicity of a poem differentiated from other genres of literature on the basis of the agreement to the value of literary works; however, it won t be desirable to handle the aesthetic categories in literature lopsidedly. It is almost impossible to accept all poetry works that correspond to the principle at a literary aspect at the chalkface; accordingly, it s necessary to contain the things which meet the standard of a goal , content , and method applicable to the principle of an education aspect among the poetry works suited for the literary principles. In other words, value , standard , and interest should be considered. It s because only the work that premises its value, but considers a student s level and can arouse a student s interest, is able to reach the essential goal of poetry education. Thus, it s necessary to look into the elements at the level of time and ideology at a practical, concrete aspect after taking the principle of an cultural & educational aspect into account. Time which corresponds to the principle of an constitutional aspect is the concept putting an emphasis on getting out of time bias & closing ; thus, it s imperative that a writer and work, which could represent the proper time while adhering to openness that can cover the works created during a variety of periods on the basis of poetical literature history and critical research outcome, should be selected. In addition, in relation to ideology , the attitude of selecting works that lean too much on specific ideology and value should be rejected in the frame of macroscopic ideology. The biased attitude favoring specific ideology and value is obviously an obstacle to the goal achievement of the whole poetry eduction, and further, it s because such an attitude cannot but have its limit at an aspect of diverse experiences and formation of values.

      • KCI등재

        지역 문학과 문학교육 : 탈식민적 관점에서 본 지역문학교육

        최현주 ( Hyun Joo Choi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4 문학교육학 Vol.45 No.-

        문학교육의 장에서는 문학교육 담론의 효과로서의 이성의 배치와 감성의 분할이 이루어진다. 문학 교육의 주체라 할 수 있는 학생들은 문학교수 학습의 주체이기보다는 교사와 정전의 수용자로서 지배 담론의 효과에 의해 이성적으로 배치되거나 감성의 분할을 경험하게 된다. 현실 문학교육에 있어서 학생은 자신의 인식이나 판단으로부터 소외되어 있다는 점에서 문학 교육 담론의 식민적 영역에 배치되고 분할된 식민적 존재라 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탈식민주의 이론은 문학교육의 틀을 구조적으로 재조정할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는 탈식민주의 이론을 통해 교사와 학생이 문화적 문식력과 문학을 둘러싼 문화의 본질을 재정립할 뿐만 아니라 문학과 역사의 상호작용을 재평가함으로써 문학교육의 식민성을 극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학습주체가 가진 내면의 식민성을 극복하고 스스로의 정체성을 재구성해낼 뿐만 아니라 문학교육의 장을 열린 구조로 재편해낼 수 있는 저항적 이론으로 탈식민주의 이론이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따라서 개별적인 존재로서의 학생 개개인이 자신의 삶의 주체로 귀환할 수 있는 문학교육이야말로 그 자체로서 보편적 가치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일상을 살아가는 구체적인 개체로서의 정체성과 감각에 바탕을 둔지역문학교육이 이제는 필요한 시점이다. 최근 삶의 구체적 근거, 모순과 해결의 근거로서의 지역을 소재로 한 지역문학의 중요성이 대두하고 있으며, 지역문학교육을 문학교육의 주요한 근간으로 삼아야 하는 당위가 요구되고 있다. 지역문학 교육은 문화적이면서 정치적이고 동시에 이데올로기적인 영역을 아우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지역문학 교육은 다매체적이며서 학문적 통섭의 가능성까지 담보해내고 있다는 점에서 대단히 역동적이면서 총체적인 문학교육의 주요 영역으로 상정할 수 있다. 동시에 현재까지 진행되어온 문학교육이 가지고 있던 식민적 양상을 근본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동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같은 지역문학교육이 실현된다면 문학교육의 당위는 미적 윤리학의 구현이 될 것이다. 보편성과 일반성보다 개별성과 특수성에 토대를 둔 구체적 개인이 정체성과 미적 판단의 단초가 되는 문학교육이 가능해질 것이다. 이는 소수자가 문학의 주체로 새로운 문학의 장을 생성함으로써 모두가 평등한 문예적 소통을 가능하게도 할 것이다. 이제 지역문학교육에 근간한 새로운 문학교육의 혁신이 필요한 시기가 당도했고, 이를 반드시 현실화시켜야 할 때이다. This paper aims to study Local - Literature Education on Post-colonialism. Local - Literature Education represents individual identity, social relations, political events, ideological struggles and historicity. So Local - Literature Education should be research new methodology of Literature education. I suggest a field of Local - Literature Education methodoloy on Post-colonialism in this paper. This work enables us to infer the meaning of dissolution and reconstitution of present Literature Education. Also, Local - Literature Education is the internalized work asking for the current field of Literature education to overcome the closed space of controller and controlled one and to expand the Literature educational prospect toward the field of social and history. In this sense, the field of the Local - Literature Education is not value-free and ideologically neutral. It has to function to overcome inner colonial identity and establish the ideology of resistance in order to get over ideology of colonial rule. In addition, it seems necessary to begin or rebegi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as creative act or interaction in relation to the post-colonial culture fields and Local - Literature Education. The field of Local - Literature Education on Post-colonialism renews the methodology of Literature Education and preoccupies the possibility of resistance of colonialism.

      • KCI등재

        노동 소설의 성장 소설적 가능성에 대한 고찰

        김한식 ( Kim Han-sik ) 국제어문학회 2004 국제어문 Vol.31 No.-

        The Labor Novel has not been founding its appropriate site in our literary history even though more than 20 years have passed; neither the appreciation of labor novel has not ended nor it has been on the process. The appreciations of labor novel done recently are not satisfactory as most of them are done by the critics of those times when labor novel had made issue. Therefore, there is nothing novel about the critics` latest comments. They could be an overstatement viewed by the past or a warning statement of not disconnecting with our literary history in terms of recent situation. In other words, people who were for labor literature in the past still stay in that area and people who have kept a distance from it from the beginning cannot approach to labor novel. Now it is time to think over how we fix position of labor novel in our literary history. It is naturally important and has a significant meaning to explain the meaning of labor novel according to the past times. By the way, talking about the labor novel with only the view of times` reflection is not enough. Literary meaning should be more than the mirror of times. With point of this view, labor novel should be considered as a completed narrative. This thesis tried to find out the meaning of labor novel`s being in the formation novel or formation narrative. Formation in terms of an individual`s awakening was not only possible in the dawning of bourgeois. I tried to reconsider the labor novel in terms of laborer`s formation-people usually call it awakening-in this thesi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