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미래도시 전망 분석

        조성수,백효진,한정훈,이상호 한국지역학회 2019 지역연구 Vol.35 No.3

        This study aims to develop urban scenarios for future cities and validate the future city scenarios using a Delphi method. The scenarios of future city was derived from urban structure, land use, transportation, and urban infrastructure and development using big data analysis, environmental scanning techniques, and literature review. The Delphi survey interviewed 24 erudite scholars and experts across 6 nations including Korea, USA, UK, Japan, China, Australia and India. The Delphi survey structure was designed to test future city scenarios, verified by the 5-point Likert scale. The survey also asked the timing of each scenario likely happens by the three terms of near-future, mid-future and far-future. Results of the Delphi survey reveal the following points. Firstly, for the future urban structure it is anticipated that urban concentration continues and higher density living in global mega cities near future. In the mid-future small and medium size cities may decrease. Secondly, the land use pattern in the near-future is expected of increasing space sharing and mixed or layered vertical land-use. In addition underground space is likely to be extended in the mid-future. Thirdly, in the near-future, transport and infrastructure was expected to show ICT embedded integration platform and public and private smart transport. Finally, the result of Delphi survey shows that TOD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becomes a development norm and more emphasis on energy and environment fields.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도시의 모습을 시나리오로 만들고, 델파이 분석을 통해 미래도시 변화의 시기와실현 가능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미래도시 시나리오는 빅데이터 분석과 환경스캐닝 기법, 문헌연구를 통해 도시구조, 토지 이용, 교통 및 인프라, 도시개발로 도출되었다. 델파이는 우리나라와 미국, 영국, 호주, 일본, 중국, 인도 등 6개국 24명의 전문가를 통해 진행되었다. 델파이 구조는 시나리오의 실현 가능성을 리커트 5점 척도로 전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실현 시기를 근미래(10년 이하), 중미래(10~20년), 먼미래(20년 이상)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구조는 단기적으로 수위 및 광역 대도시(Global and Mega-City)를 중심으로 집중되며, 중장기적으로 지방 중소도시는 쇠퇴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둘째, 토지 이용은 근미래에 수직적, 수평적으로 혼합될 것이며, 공유 공간이 증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셋째, 교통 및 인프라는 ICT 기반의 통합 플랫폼을 통한 도시관리가 진행되며, 스마트 기술을 통해 공공 및 개인(민간) 교통이 활성화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도시개발은 교통 결절지(TOD) 중심의 개발이 활성화될 것이며, 에너지 및 환경 분야에 중점을 둘 것으로전망되었다.

      • KCI우수등재

        경관계획에서 제시된 경관 미래상의 현황 분석

        주신하,Joo, Shin-ha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1

        본 연구는 경관계획 내용 중 경관 미래상의 작성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향후 개선방안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지자체 경관향상을 위한 실용적인 경관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관 미래상을 작성하고 있는 실무자 대상 인터뷰를 통하여 미래상 작성 방법을 조사하였고, 수도권 32개 지자체에 수립된 경관계획을 조사하여 경관 미래상의 작성 형식과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경관 미래상과 유사한 목적과 형태로 작성되고 있는 도시계획 상의 도시 미래상과 지자체 비전을 담고 있는 도시 슬로건을 함께 조사하여 경관 미래상과 작성 경향 및 내용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경관 미래상의 작성 방향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경관 미래상은 주로 경관계획 수립을 위해 기본구상 작성에 앞서 조사한 경관자원현황과 관련 상위 계획의 미래상 및 목표를 참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관계획의 세부 내용 간 일치성과 관련 계획 간의 정합성을 높이는 방법이 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방법을 경관계획 수립 지침에 구체적으로 언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현재 경관 미래상은 도시 슬로건과 유사하게 구호 형태로 작성되고 있으나, 경관 미래상은 홍보의 수단이나 응용되어 활용되지 않으므로 일괄적으로 작성되고 있는 구호형 경관 미래상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그리고 경관 미래상과 도시 미래상, 도시 슬로건의 내용적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경관 미래상은 도시 슬로건에 비해 도시 미래상과 내용적 일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상위계획과의 정합성을 고려하여 작성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 분석 결과라 판단된다. 다만 향후 이러한 정합성이 유지 및 증진될 수 있도록 경관계획수립지침에서 경관 미래상 작성과 관련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isions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and to suggest improvements for it. This study overviews currents methods of making the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by group interview with hands-on workers. Thirty-two cases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are reviewed to analyze the forms and contents of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The purpose of urban vision and city slogans are fairly similar to the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therefore, this study reviews and compares them. According to this study, we conducted writing direction and policy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is written by consulting the landscape resources survey and visions of upper plans. These writing methods are able to enhance the consistency of each chapter in visual landscape planning, and the consistency between visual landscape planning and upper plans. Thus, it is desirable to revise landscape planning guidelines with this method. The current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is written in the form of a city slogan. But the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is not a means of publicity and transformational use. So, the form of the vision needs to be revised.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among the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urban vision, and city slogan. There is a closer correspondence between the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and urban vision than city slogan. This result means that it is beneficial to write the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in consideration of the upper plan. Henceforward, for maintaining and enhancing consistency detailed contents in landscape planning guidelines are needed.

      • KCI등재후보

        도시 국제화와 지속가능한 미래: 부산 세계도시포럼(WUF) 추진 사례

        박석희,윤지영 주택도시보증공사 2022 주택도시금융연구 Vol.7 No.2

        지속가능한 도시 미래를 위해 도시 국제화 필요성과 방향에 대한 논의가 확산되고 있다. UN-Habitat(인간정주위원회)는 지역사회와 경제, 환경, 문화 등 도시정책 의제들을 논의하기 위해 2년마다 세계도시포럼(World Urban Forum, WUF)을 개최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26년 개최 예정인 제13차 세계도시포럼 유치를 준비하고있는 부산시 유치추진계획의 타당성을 분석하여 설계분석적 사고(design thinking) 관점에서 WUF 추진 방향, 나아가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도시 국제화 전략에 대해 논의한다. 이를 위해 1차부터 11차 WUF 의제들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고, UN 지속가능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관점에서 최근 세계 도시들이 직면한 과제와 도시발전 전략들에 대해 검토한다. 국내외 문헌자료 분석, 초점집단면접법(focused group interview) 회의, 워드클라우드 분석, SWOT 분석의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부산광역시의 WUF 유치계획의 타당성을 분석함으로써 유치추진전략 개선방향을 제시한다. 또한 부산이 동시에 추진하고 있는 2030부산월드엑스포 유치와 시너지효과 창출을 위한 전략적 연계방안을 제시한다. 이러한 논의는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도시미래 설계를 위한 도시의 국제화 전략에 대해 중요한 함의를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

        미래도시와 공간정보: 쟁점과 의제

        최진무,조창현,황철수,김형태,안재성 국토지리학회 2010 국토지리학회지 Vol.44 No.3

        Geo-spatial information is presumed to be the essential infrastructure maintaining the urban function in the future society. Korean government plans to implement the 4th Master Plan of the National Geo-Spati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from 2011. The paper suggests future policy issues and related research agenda by projecting vision of the future city and reviewing experiences of the relevant geo-spatial information applications. First, urban spatial information should be structured in such a way that it can resolve the social segregation regarding the accessibility to digital information. The urban spatial information of future should contribute to facilitating communication and strengthening the community. This implies that urban spatial information is the key factor of the future city that overcomes the disjointed modern spatial environment. Secondly, concept of the space should be reformulated for the future due to the changes in spatial inform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A more fundamental research effort is urgently required to facilitate the expansion of physical space by strategic corporation with cyber space and user participation. ‘ 공간정보’는 미래사회 및 미래도시에서 도시기능 유지를 위한 필수적 하부구조로 예측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우리 정부도 2011년부터 제4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을 실행할 예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차 도래할 미래도시의 상을 논의하고 이에 필요한 공간정보 기술과 그 적용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정책적 이슈와 학문적 아젠다를 발굴하였다. 첫째, 미래도시에 있어서 디지털정보 접근성에 대한 사회적 분리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도시공간정보가 구축되어야 한다. 즉, 미래의 도시공간정보는 사람과 사람간의 소통을 활성화시켜 궁극적으로 지역공동체를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진화하여야 한다. 이는 파편화된 공간의 단절성을 엮어줄 수 있는 핵심적 요소로서 도시공간정보가 미래도시의중심이 될 것임을 의미한다. 둘째, 공간정보와 정보기술의 변화는 미래도시공간에 대한 공간개념의 재정립을 요구하고있다. 특히 가상공간의 유기적 연계에 따른 현실공간 확장과 수요자의 직접적인 참여에 기초한 매래도시공간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 스마트시티는 미래의 도시로 충분한가?

        허정화(Huh Jeongwha) 평화나눔연구소 2022 인간과 평화 Vol.3 No.1

        도시가 인류의 주된 삶의 공간이 되어버린 지금 새로운 미래도시에 대한 열망은 지금 스마트시티로 집중되고 있다. 국가마다 도시마다 각자의 상황에 맞는 스마트시티를 그려내고 있지만 이 새로운 미래도시를 통해 도시가 가진 다양한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는 같은 꿈을 꾸고 있다. 더 나아가 스마트시티는 현대 도시가 가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써 만이 아니라 많은 국가들의 도시개발의 목표가 되고 있다. ICT와 첨단기술의 협업을 통해 도시의 문제를 해결하고 도시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자 하는 초기 스마트시티의 성공은 여러 사례로 증명되고 있으며, 노후한 도시의 재생이나 신도시개발 개발 분야 모두에서 스마트시티의 가능성에 대한 기대는 지대하다. 그러나 스마트시티의 개발 과정에서 투자 집중에 따른 또 다른 양극화와 사생활과 개인정보보호의 문제, 공공과 기술기업과 개발사업자, 금융사들 간의 이해관계 조정 문제, 시민 소외 문제 등이 나타나고 있다. 개발 논리와 금융 논리에서 벗어나 도시가 가진 본연의 가치인 자유시민의 터전이라는 점을 놓치지 않기 위해 스마트시티가 추구해야 하는 새로운 가치는 무엇인지 미래의 도시로서 스마트시티가 가야 할 방향에 대한 고민과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Now that cities have become the main living space of mankind, the desire for a new future city is now being focused on ‘smart city’. Each country and each city is drawing a smart city that suits their situation, but they have the same dream that various problems of the city will be solved through this new future city. Furthermore, smart cities are not only a technological means to solve the problems of modern cities, but are also becoming the goal of urban development in many countries. The success of the early smart city projects, which aims to solve urban problem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citizens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ICT and advanced technology, has been proven by several examples. So, there are high expectations for the potentials of smart city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s well as new city development. However, in the middle of smart city development process, some critical issues are emerging, such as another digital divide due to investment concentration, privacy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nflicts of interests amongst public institute, technology companies, developers, and financial companies, and alienation of citizens during the projects. In order to escape from the logics of development and finance, and not to miss the fact that the city is the home of free citizens, the intrinsic value of the city, what new values should be pursued by the smart city? It is time for discussion of smart city as future city for all.

      • 도시의 국제화와 지속가능한 미래: 부산 세계도시포럼(WUF) 추진 사례

        윤지영,박석희 서울행정학회 2022 서울행정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22 No.5

        지속가능한 도시 미래를 위해 도시 국제화 필요성과 방향에 대한 논의가 확산되고 있다. UN-Habitat(인간정주위원회)는 지역사회와 경제, 환경, 문화 등 도시정책 의제들을 논의하기 위해 2년마다 세계도시포럼(WUF, World Urban Forum)을 개최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26년 개최 예정인 제13차 세계도시포럼 유치를 준비하고 있는 부산광역시 유치추진계획의 타당성을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도시 국제화 전략방향을 논의한다. 이를 위해 제1차부터 11차 WUF 의제들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고, UN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관점에서 최근 세계 도시들이 직면한 과제와 도시발전 전략들에 대해 검토한다. 국내외 문헌자료 분석, FGI 회의, 워드 클라우드 분석, SWOT분석의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부산광역시의 WUF 유치계획의 타당성을 분석함으로써 유치추진전략의 방향을 모색한다. 이와 함께 부산이 동시에 추진하고 있는 2030부산월드엑스포 유치와 시너지효과 창출을 위한한 전략적 연계방안을 제시한다. 이러한 논의는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도시 미래 설계를 위한 도시의 국제화 전략에 대해 중요한 함의를 제공할 수 있다.

      • 도시의 국제화와 지속가능한 미래: 부산 세계도시포럼(WUF) 추진 사례

        윤지영,박석희 한국지방정부학회 2022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2 No.5

        지속가능한 도시 미래를 위해 도시 국제화 필요성과 방향에 대한 논의가 확산되고 있다. UN-Habitat(인간정주위원회)는 지역사회와 경제, 환경, 문화 등 도시정책 의제들을 논의하기 위해 2년마다 세계도시포럼(WUF, World Urban Forum)을 개최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26년 개최 예정인 제13차 세계도시포럼 유치를 준비하고 있는 부산광역시 유치추진계획의 타당성을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도시 국제화 전략방향을 논의한다. 이를 위해 제1차부터 11차 WUF 의제들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고, UN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관점에서 최근 세계 도시들이 직면한 과제와 도시발전 전략들에 대해 검토한다. 국내외 문헌자료 분석, FGI 회의, 워드 클라우드 분석, SWOT분석의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부산광역시의 WUF 유치계획의 타당성을 분석함으로써 유치추진전략의 방향을 모색한다. 이와 함께 부산이 동시에 추진하고 있는 2030부산월드엑스포 유치와 시너지효과 창출을 위한한 전략적 연계방안을 제시한다. 이러한 논의는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도시 미래 설계를 위한 도시의 국제화 전략에 대해 중요한 함의를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창의적인 미래 도시 개발을 위한 도시 지표 모델 개발 연구

        김억,손영석,노경민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5 No.1

        본 연구는 도시 창의성을 8가지 평가항목을 선정하여 경제, 사회, 문화, 환경 분야로 구분 해당되는 세부지표를 통하여 계층적인 통합과정을 거쳐 정량적인 지수화 과정을 통해 창의도시 평가를 도시 관점으로 변환된 지표로 나타낸 실증적인 연구이다. 기존의 인문사회학, 경제, 환경분야에서 연구하고 있는 창조도시지수와는 도시 관점의 평가체계 구축으로 차별화 된다.이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도시를 평가하기위한 지표체계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는 창의도시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수평가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set the creativity of a city as 8 categories of evaluation and used a specific index that divides into fields of economy, society, culture and environment and used a stratified comprehensive process an index process for a practical study that can express the evaluation of a creative city with an index that is changed to a city version. Thus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the creative city index that is used in existing studies in the human science, economy and environment fields.The purpose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aims to provide a frame for an index system that uses gathering and analysis to evaluate a creative city. Second, it aims to present an index evaluation model that can quantitatively measure a creative city.

      • KCI등재

        김중혁 소설에 나타난 도시성 연구 - 『1F/B1 일층, 지하 일층』에 나타난 도시 문명의 조건 -

        김정남 ( Kim Jeong-nam ) 한민족문화학회 2016 한민족문화연구 Vol.55 No.-

        본 연구는 현대 도시 설계도와 운영 시스템을 내장하고 있는 하나의 기획물이라고 할 수 있는, 소설집 『1F/B1 일층, 지하 일층』에 수록된 단편소설을 대상으로, 구조와 개체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형성된 도시사회(urban society)의 성격 전반을 표상하는 도시성(urbanity)이라는 도시 생활의 전형적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근대체제로 이행해가는 데 따른 사회변동성, 경쟁ㆍ밀도ㆍ이질성을 유발하는 생태 공간적변수 외에도, 공적 통제기구의 발달,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는 테러와 대규모 사고 등의 위험사회의 징후들에 이르기까지, 도시의 정치적ㆍ경제적ㆍ이데올로기적 특성을 부조하는 데 원동력이 된 작가의식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냇가로 나와」에서는 도시를 가로지르는 천천(千川)을 배경으로 풍속의 유민이 되어버린 뗏목꾼 ‘통나무 김씨’를 통해 도시환경의 질적 변화를 고찰하고, 도시인의 삶이 어떻게 비생태화하는지를 예각적으로 포착하고 있다. 「C1+Y=:[8]:」에서는 스케이트보더들만이 알고 있는 도시의 길을 통해 현대 도시의 혈관이라고 할 수 있는 도로망의 폐쇄성에 대한 성찰을 이끌어내고, 도시의 과밀성에 대한 대안으로 스케이트보더들이 하나의 유토피아로 삼고 있는 보드빈터를 통해 도시 공간의 허파라고 할 수 있는 ‘빈 터’의 가치를 부여한다. 한편, 「유리의 도시」에서는 알루미노코바륨이 들어 있는 유리에 초음파가 발사되는 총을 쏘면 유리가 갑자기 수축해 이탈한다는 설정을 통해, 온통 유리 외벽으로 이루어진 빌딩 숲속에서 살아가는 현대 도시에서 가해지는 테러의 위협성과 공포를 형상화하였다. 이러한 미증유 공포는, 예고 없이 찾아올 도시문명의 아포칼립스(apocalypse)를 비수처럼 내장하고 있다. 「1F/B1」, 「3개의 식탁, 3개의 담배」는 모두 도시 관리와 제어시스템에 기반한 소설적 상상력을 펼쳐 보인다. 전자의 경우는 팔십층짜리 초현대시 복합상가 건설을 계획하고 있는 비횬개발과 SM(slash manager)으로 지칭되는 ‘네오타운 건물관리자연합’ 사이의 ‘암흑의 전투’를 배경으로 망의 형태로 네트워크화되어 있는 도시관리조직의 배후를 탐색하고 있다. 후자는 미래도시의 한 시점을 배경으로 한 SF소설로서 인간의 생명마저도 데이터의 형태로 관리되고, 삶과 죽음까지도 무의미한 유희로 여겨지는 미래 과학도시의 불모성을 의미심장하게 전해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도시인이 상상하는 이상주의적 자연관에 대한 성찰을 제기하는 「바질」은 도시 한복판에서 괴식물로 자라난 바질을 통해 원시적자연의 공포를 제기함과 동시에 자연의 공포를 거세했다고 여기는 인간의 교만에 대한 반성적 사유를 요구하고 있다. 「크랴샤」는 마술을 모티프로 있어야 할 것을 단지 낡았다는 이유로 사라지게 하는 도시화의 지배적 논리에 맞서 사라진 것들을 어떻게 다시 불러들여야 할 것인가를 고민하고 있는 작품이다. 마술이란 있었던 것을 사라지게 하는 것이 아니라, 사라진 소중한 꿈들을 다시 나타나게 하고 현현케 하는 불가능성의 가능성이라는 것을 말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김중혁의 소설집 『1F/B1 일층, 지하 일층』은 현대 도시를 규율하는 시스템과 구조, 그 안에서 작동하는 삶의방식, 더 나아가 그 대안적 측면을 총체적으로 고찰한 보고서이자 현대도시의 파국성을 드러낸 묵시의 알레고리다. 거대한 문명의 괴물로 변해버린 현대 도시의 시스템 속에서 우리는 지금 어디로 가고 있으며, 그것이 가리키는 파국의 상황성을 막아내거나 적어도 늦추기 위해서는 무엇을 꿈꾸어야 하는지 그는 이렇게 문학적 주문을 외고 있다. This study is explores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urban life representations of urbanity that characterized the first half of the urban society shaped by the interplay of structures and objects, in Kim, Jung-hyeok``s short story collection 『1F/B1』 that built in a modern urban designs and operating systems that can be described as one of the project. It aims to draw awareness writers that Social volatility due to go to shift to the modern system, spatial ecological variables that lead to competition and the density and heterogeneity and The development of public control mechanisms, ranging from the signs of social risks, such as terrorism and large-scale accidents occur frequently recently. 「냇가로 나와(Take the riverside)」is that how keenly captures the life of the city changed to a non-ecologization through a ‘rafter Kim’ have been marginalized rivers(千川) across the city in the background and examines the qualitative change of the urban environment. 「C1+y =:[8]:」 in eliciting reflection on a closed road network of blood vessels that can be said of the modern city through the street of the city that knows only the skateboarders. As an alternative to the overcrowded city gives the value of the empty space that skateboarders could be called the lungs of the city space through the ‘skateboarder``s space’ in regard to one of the utopia. 「유리의 도시(City of Glass)」 was symbolizing the fear and threat of terrorism applied in modern city living in a building made of glass curtain wall, through the hypothesis that take a shot being fired ultrasound in a glass containing ‘aluminoco-barium’ sets of glass that suddenly shrink to escape. This unprecedented terror, has built the apocalypse of urban civilization come like a dagger without notice. 「1F/B1 」is in the form of a network in the ‘Fight of the dark’ background between eighty-storey ultra-modern complex commercial ‘Bihyon development’ and SM(slash manager) is planning the construction that ‘Neo-town building management Union’ referred to and explore the hinterland of urban management in networked organizations. 「3개의 식탁, 3개의 담배 (Three tables, Three cigarettes)」 is as a SF novel, the futuristic city in the background, human life even being governed as the form of data, regarded as a meaningless play, even life and death is found to draw the devastation of future science city. Finally, 「바질(Basil)」 is demanding reflective reason for this is that human pride and at the same time raising the overgrowth primitive nature of fear through the masses to plant basil in the heart of the city castrated the natural fear. 「크랴샤(Krasha)」 is that how things work gone against the prevailing logic of urbanization that you have to disappear with a magic motif, just worn out the reasons contemplating whether to need to come back. As noted above, Kim, Jung-hyeok``s short story collection 『1F/ B1』 is the whole report, the system governing the modern urban structure, the way of life that works in it, and even on the whole consideration to the alternative side and the allegory of the apocalypse reveals the catastrophe of the modern city.

      • 도시의 기억을 어떻게 보존할까? - 서울미래유산 사업의 사례연구 -

        조은영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16 문화예술경영학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도시의 기억을 보존하는 방법으로 서울미래유산 사업의 사례를 들어 정리하였다. 이에 대한 논의의 지점을 집단기억과 장소의 기억 개념을 통해 제시하고자 했다. 집단기억은 사회적으로 형성된 기억을 의미하며, 장소의 기억은 장소에 구현된 기억이 실체를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집단기억과 장소의 기억 개념을 중심으 로 서울미래유산 사업의 사례를 분석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문제 설정은 도시의 기억을 어떻게 보존할까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되었지만, 기억을 보존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지는 않았다. 본 연구는 서울미래유산 사업을 집단기억의 개념으로 이해하고자 했다는데 의미가 있으며, 도시의 공간을 기억, 보존 등의 측면에서 바라보았다 는데 가치가 있다. 연구는 차후 서울미래유산사업의 실증적인 분석을 진행하는데 기초적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Seoul future heritage project,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way of preserving urban memory. The major point of discussion was suggested through the concepts of collective memory and memory of place. Collective memory means the memory that is formed socially, and memory of place refers to the substance of memory that is realized in a place.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ase of Seoul future heritage project by exploring the concepts of collective memory and memory of place. Although the research began from the question of how to preserve urban memory, it does not suggest specific ways to preserve the memory. The study has a significant in that it attempted to understand the project with the concept of collective memory and shed light on urban space in the perspectives of memory, preservation, etc. A basic direction for empirical study has been suggested in the study, and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will be able to provide a perspective on the Seoul future heritage project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