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형문화재의 가치 재인식과 창조적 계승

        임재해(Lim Jae-Hae) 한국민속학회 2007 韓國民俗學 Vol.45 No.-

        무형문화재 정책은 무형문화의 본질과 중요성을 자각하는 데서 시작되어야 한다. 그러자면 첫째 문화재의 변형을 허용하지 않고 원래대로 보존되어야 한다는 유형문화중심의 정책에서 벗어나야 하고, 둘째 유형문화의 생명력은 무형문화의 전승력에 의해서 발휘된다는 문화의 이치를 포착해야 하며, 셋째 소극적 원형보존 정책에서 적극적인 문화창조 정책으로 혁신을 해야 한다. 실제로 무형문화재는 가변적으로 전승되며 유형문화를 생산할 뿐 아니라 스스로 창조력을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유형문화재처럼 변화되지 않은 고정적 실체를 무형문화재의 원형으로 설정하는 것이 문제이다. 무형문화재 정책에서는, 융이나 엘리아데가 말하는 추상적 원형(archetype) 개념을 넘어서서 문화현상을 이루고 있는 구체적 실체로서 원형(原形)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기준은 첫째 실제 상황에서 전승되고 있는 것, 둘째 가장 온전한 형태를 갖추고 있는 것, 셋째 상대적으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정할 수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무형문화재는 실제 상황에서 전승되지 않고 있는 것이 문제이다. 무형문화재로 지정된것조차 실제 상황에서 전승되지 않은 까닭에 문화재 지정의 본디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사정이다. 무형문화는 최종 생산물로서 고정적인 실체가 아니라, 하나의 과정으로 실현되는 가변적 실체이자, 일정한 정체성을 지니면서도 사회적 유대 속에서 창조력을 발휘하는것이다. 따라서 무형문화는 독창성과 역사성, 공동체성을 갖추어야 한다. 무형문화의 독창성은 문화 창조력을 담보하고, 역사성은 전승력을 지니며, 공동체성은 사회적 공유를 가능하게 해준다. 그런데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는 자녀 중심으로 세습되며 단선적으로 전승되는 까닭에 이러한 문화적 기능들이 숨죽어 버리게 된다. 따라서 기능보유자 지정을 민주적이고 합리적으로 혁신하고 전승방식을 개방적이고 창조적으로 바꿀 필요가 있다. 첫째 민주적 운영을 위하여 종신제 지정을 임기제지정으로, 둘째 발전적 운영을 위해 세습제 지정을 능력제 지정으로, 셋째 집단적 전승을 위해 자폐적 전승을 개방적 전승으로, 넷째 창조적 전승을 위해 단선적 전승을 복선적 전승으로 바꾸는 것이 과제라 할 수 있다. 원형보존이라는 낡은 이상을 버리고, 창조적 복원이나 현재화된 계승의 길을 찾아야 한다. 그러므로 문화정책은 탈맥락화 상황의 가짜원형 복원에 매달릴 것이 아니라, 창조적인 계승을 겨냥하며 현실문화와 함께 가는 문화적 전승력을 살려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olicy of a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has to start from cognition of nature and importance about a intangible culture. In order to do like that, first, to get out of the policy centered a tangible culture that must preserve original form of a cultural property, second, we have to seize principle of culture that vitality of tangible culture manifest by means of a power of handing down of intangible culture, third, we have to reform from a negative policy of archetype preservation to a positive policy of cultural creation. Actually a intangible culture not only hand down variably and product a tangible culture but also has a power of creation itself. Therefore the problem is to establish a unchanged fixed substance like a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s a archetype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the policy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establish archy-form as concrete substance that construct cultural phenomena beyond abstract archetype Jung or Eliade has said. The barometer is like next. First, which are handing down in the real situation, second, which has the most whole form, third, which are the most oldest one. By the way the problem is that almos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don't handing down in the real situation. Even national cultural property don't handing down in the real situation, so a primary function of the cultural property appointment don't be could exhibit. A intangible culture not a fixed substance as a final production, but a variable substance that be showed as a one step, in time it has a identity and manifest a creative power in the social network. Therefore intangible culture has to possess originality, history and communality. A originality of intangible culture insure cultural creative power, history has a power of handing down, communality make possible to social common ownership. However, these cultural function can't manifest because a authorized perso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ransmit from family to family. So, we need to reform a appointment of authorized person for the democratic and rational system, and to change a handing down system for the open and creative one. First, from a whole life appointment to a tenure appointment in order to democratic operation, second, from a hereditary appointment to appointment of a according to one's ability in order to a developmental operation, third, from a exclusive handing down to a open handing down in order to communal transmission, fourth, from a single track transmission to a polyhedral handing down in order to a creative transmission. We have to cut off old idea as a preservation of archetype, to find a road forward to a creative restoration or modernized handing down. Therefore cultural policy not depend on fake archetype restoration of a beside contextual situation, but try to vitalize a creative handing down and cultural transmission power with current culture.

      • KCI등재후보

        지역 문화주권의 인식과 문화창조력

        임재해(Lim Jae-Hae) 한국지역사회학회 2007 지역사회연구 Vol.15 No.2

        In the century of culture, culture production sovereignty could be said a basic human rights is weakened more than past. To distributing culture as goods, cultural expert monopolize cultural production, so general people slide down to consumer of culture. And local people became to don't have local culture sovereignty by being subordinate to urban culture because cultural goods be made in central area supply. Actually if we make level of folk's real life higher and come true cultural democracy, we have to revive a power of cultural creation, and do movement of cultural sovereignty. A true sense democracy is to be host of one's life each one. In the ordinary life cultural sovereignty ensure to that such life. Accordingly a cultural self-governing is more important than a administrative self-governing, and cultural sovereignty is more important than political sovereignty. By the way we can't have cultural sovereignty because political and economical power group command cultural power. Consequently we have to make independent cultural sovereignty from political and economical power, and recover a power of cultural creation. We can find a example of a power of cultural creation in the folk culture. While a high-class culture be given from the upside and a popular culture be supplied with one-sidedly, folk culture be made creatively can come true cultural democracy and secure cultural variety. A regional community that local folk could enjoy cultural sovereignty is a village society. Therefore we can tell village culture could be a hope of human being culture.

      • KCI등재

        구비문학에 의한 현실문화 만들기의 가능성과 필요성

        임재해 한국구비문학회 2006 口碑文學硏究 Vol.0 No.23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Current Culture Making by means of Oral LiteratureLim, Jae Hae(Andong National University) 구비문학 연구는 전통문화 읽기에서 나아가 바람직한 현실문화 만들기를 적극적인 과제로 끌어안아야 한다. 문화 만들기는 생활 속에서 문학생산 주권을 민주적으로 누리며 문화창조력을 발휘할 때 가능하다. 구비문학은 그러한 생산과 수용의 구조를 갖춘 문예작품의 훌륭한 보기이다. 그러므로 구비문학의 존재양식을 통해서 창조적인 문화 만들기의 가능성과 필요성을 문학교육과 문예창작, 웃음문화, 지역축제, 구비철학 등에 걸쳐서 다각적으로 모색한다.문제의 근본은 유명 작가 중심으로 문학생산이 독점되고 문학교육이 문학지식을 주입하는 쪽으로 편중되어, 민중의 문학생산 주권과 저마다 타고난 문화창조력을 발휘할 수 없게 되었다는 데 있다. 따라서 작가 중심의 문학생산에서 모든 사람들이 문학생산 주체가 될 수 있는 방향으로 문학교육이 이루어지고 문학문화를 만들어가야 한다. 학교에서 구비문학 교육이 더 강화되어야 하고 공동체문화로서 문학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현대 구비문학의 조사연구 활동과 인터넷문학에 참여하는 활동이 기대되는 방향이다.구비문학이 문예창작에 이바지하기 위해서는 창작판소리와 창작탈춤처럼 현대 구비문학으로 창작되고 전승되는 환경을 학계의 연구활동과 문화정책을 통해 마련해야 한다. 구비문학자의 창작 구비문학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하며, 문화정책도 현대 구비문학 창작을 지원하는 쪽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리고 작가들이 문예창작 자원으로서 구비문학 작품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구비문학 디지털 자료센터를 만들 필요가 있다. 건강하고 행복한 사회는 웃음문화의 수준과 함께 간다. 구비문학에는 웃음문화의 전통이 풍부하다. 유머자료를 읽는 것보다 우스개 이야기를 하는 것이 웃음문화를 더 적극적으로 누리는 일이다. 탈춤과 판소리, 민요에도 해학과 풍자가 중요한 미적 범주이다. 웃음문화는 구비문학으로 향유된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러므로 구비문학 자원을 더 수준 높은 웃음문화로 재창조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구비문학은 그 자체로 축제성을 지니고 있다. 탈춤과 굿놀이, 판소리를 연행하는 상황은 축제판이나 다름없다. 축제가 개성 있게 지속되려면 축제를 지탱해 주는 신화와 전설이 함께 가야 한다. 축제의 주제와 의미를 부여해주는 것도 구비문학이고, 축제의 소재와 내용을 이루는 것도 구비문학이며, 축제의 전승력을 확보해 주는 것도 구비문학이다. 이것이 바로 구비문학의 축제적 기능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는 이유이다.문학의 출발이 구비문학인 것처럼 철학의 출발도 구비철학에서 비롯되었다. 이야기를 통해서 삶의 가치와 윤리, 규범 등을 근본적으로 다시 생각하게 만들고, 속담을 통해 생활 속에서 터득한 삶의 이치를 널리 공유한다. 오히려 철학가의 경전철학보다 민중의 구비철학이 열린 철학 또는 인간해방의 철학을 추구한다. 따라서 구비철학에 갈무리된 민중의 통찰력을 분석해서 생활철학을 정립하는 데 구비문학 연구가 이바지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구비문학 연구는 바람직한 현실문화를 만들어 가는 실사구시의 구비문학으로 거듭날 수 있는 길을 열어가야 한다.

      • KCI등재

        文化隆盛을 위한 小考(1)

        이윤희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5 No.-

        With the advent of cultural age, all of the national states throughout world go on to stand for the struggle to take their cultural priority.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come to overcome the global space and time, and so the cultural emotion dominates the daily life and industires of human beings. The culture fulled of human value system helps to prosper national economy. The current tide of the cultural age can be a blessing and opportunity for Korean people. Historically Koreans have been proved their intellectual and cultural creativity and priority throughout the world. Nowadays the so-called worldwide burning wind of Korean current is to be a new symbol of our dynamic culture of younger generation. Koreans traditionally have been considered as an enlightened people and cultural state. In order to keep and prosper our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the spirit of our ingenuity and free inquiry should be respected and guarrented in invaious fields of activity. No cultural creativity and flourish without personal freedom. A true nation of cultural people can be built up through cultural creativity of our individuals. 문화의 시대 도래는 세계인으로 하여금 인류역사상 어느 때 보다도 치열하고 예민한 각축을 하도록 만들고 있다. 정보산업의 발달이 세계의 구석구석을 알게 하고 찾아볼 수 있게 만든 결과이다. 이제는 문화적 감성이 산업과 일상을 지배하게 되었다. 인간의 가치가 숨 쉬는 문화가 살아야 경제도 사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화의 시대 도래는 우리 민족에게 큰 축복이고 기회라고 생각한다. 역사적으로 우리민족은 지적으로도 훌륭하지만 문화적 창의역량과 감수성은 세계 최고 수준임이 증명되고 있다. 세계 역사에서 유일하게 우리 민족은 오천년의 문화역사를 가지고 있다. 문화가 없는 민족은 역사에서 사라졌지만, 문화의 세기에 세계 선두에 서게 되면서 우리 문화의 저력이 세계에 확산되고 있다. 전 세계에 일고 있는 한류바람은 우리민족의 문화창조력이 전 세계에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본래 문화민족이고 문화국가이다. 때문에 문화가 융성하려면 무엇보다 문화자율성을 존중해야 한다. 자유가 없으면 문화창조⋅문화융성은 불가능하다. 지원하되 간섭하지 않는 정책이 필요하다. 잃어버린 인간을 되찾고, 인간 내면세계의 아름다운 가치가 창의적 문화로 발현될 때 진정한 문화융성국가로 발전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민속문화에 갈무리된 제의의 정체성과 문화창조력

        임재해(Lim Jae-Hae) 실천민속학회 2007 실천민속학연구 Vol.10 No.-

        제의는 초월적인 존재를 대상으로 특정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일정한 의식을 갖추어 비는 것을 말한다. 제의를 가능하게 하는 힘은 초월적인 존재를 상정하는 사유력과 함께 현실적으로 성취하기 어려운 삶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타력적 문제해결의 의지이다. 자력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간절한 소망이 있는 사람은 누구든 타력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들게 마련인데, 그 지점에서 만나는 것이 제의이다. 그러므로 아무리 문화적으로 발전한 사회라 하더라도 제의로부터 자유로운 사회는 없다. 주술에는 신이 개입되지 않으나, 제의에는 반드시 신이 개입되어 있다. 주술에 따라 나타나는 긍정적 결과는 '효과'로 인식되나, 제의에서 결과는 '영험'으로 인식된다. 제의는 영험을 기대하는 종교적 목적 때문에 거듭되지만, 의례는 사회적 의식으로서 모두 일회적이다. 일생의례는 의례를 거칠 때마다 사회적 공인에 의해 그 목적이 필연적으로 획득되는 까닭에 되풀이할 필요가 없다. 의식(ceremony)은 초월적 영험을 기대하며 비는 일도 아니고, 사회적지위를 새로 획득하는 통과의례도 아니다. 의식은 제의와 의례의 절차 구실도 하지만, 일상생활의 시작과 끝을 비롯하여 각종 행사를 의미 있게 하는 구실을 한다. 무교, 유교, 가톨릭의 제의는 아래와 같은 체계를 이룬다. 제의의 체계는 종교의 차이에도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신을 맞이해서 즐겁게 대접한 뒤에 돌려보내는 것이 제의의 기본이다. 무교의 굿: 청신(請神)→오신의식과 기원→송신(送神)→음복 유교의 제사: 강신(降神)→헌작과 접대의식→사신(辭神)→음복 가톨릭 미사: 강림(降臨)→봉헌의식과 기도→성체봉안→영성체 신을 섬기는 방식은 귀한 손님을 맞이해서 대접하는 손님 접대의식과 다르지 않다. 그렇다면 엘리아데가 말하듯이 제의는 천상의 신성모델을 보기로 형성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인간사회에서 모범으로 여기는 접대의식을 보기로 형성되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제의는 문화창조력의 원천이다. 의식주생활은 물론 다양한 예술활동의 창조와 발전에 이바지했다. 제의는 문화사와 예술사 서술의 첫 장을 차지하며 고대 정치사의 중심에 있었을 뿐 아니라, 문화적 유전자 구실을 하면서 민족문화의 정체성을 확보해 주는 문화로 여전히 살아있다. 그러므로 제의는 미래문화 창조의 원천 구실을 하면서 인류사와 함께 갈 것이다. Ritual is to pray for a transcendental existence in order to specific purpose, and it has an established ceremony. The power that make ritual possible is a thinking power that imagine a transcendental existence and a will of 'a solving problem by outside help' that try to solve problem of real life. Everybody who have a wish can't solve oneself try to solve problem by outside help. In that point, we meet to ritual. Consequently there is no society has develop culturally to free from ritual. There is no god in magic, while there is god in ritual surely. One recognize a affirmative result of magic as a 'effect', and a result of ritual as a 'miraculous efficacy'. Ritual is continued to perform with religious purpose look forward to 'miraculous efficacy', but rite is performed one time socially. We don't need to continue a rite of our whole life, because rite achieve its purpose by means of social authorization at the same time. Ceremony is not to pray a miraculous efficacy, and not passage rite that get a new social position. Rite do function as like procedures of ritual and rite, but it do function make several event meaningful in the beginning and the ending of ordinary life. These three religion ritual compose system as like next. Gut of Mugyo: invitation god → play with god and pray → send god → Yeumbok worship of Confucianism: god's coming → offering a cup of liquor → Sasin → Yeumbok a Christian mass of Catholic: god's coming → consecration and prayer → enshrinement Host → communion A schema of ritual has something in common although difference of religion. A pattern of serving God is not different with a serving guest. If it is so, as like Eliade said, ritual is not made by divine model of heaven, rather than is made by a model of serving guest in ordinary life of secular society. Ritual is a resource of a power of cultural creation. Ritual contribute to not only clothing, eating, housing life, but also creation and development of artistic activities. Ritual secure first page of the artistic and cultural history, and always be in a center of the ancient political history, and not only do function as cultural DNA but also still live in current society as modern culture that ensure a identity of national culture. Actually ritual will do a resource function that create future culture, and lead a history of human being.

      • KCI등재

        민속문화의 공유 가치와 민중의 문화주권

        임재해(Lim Jae-Hae) 한국민속학회 2004 韓國民俗學 Vol.40 No.1

        민속문화 유산은 무상으로 공유 가능한 문회이기 때문에 경제적 가치로 환원할 수 없는 무한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 그러한 가능성은 무형문화이자 말의 문화이며, 공동체문화인 민속문화의 존재양식에 있다. 따라서 가부장적 권위와 개인적 독점이 가능한 유형문화와 글의 문화, 고급문화와 달리, 민속문화는 무상으로 공유 가능한 민주적인 문화 양식이다. 민속문화는 본질적으로 공유되고 소통되는 것이어서 누구나 문화생산 주권을 민주적으로 누릴 수 있는 문화이다. 민중의 문화창조력이 발휘되어야 지역마다 다양한 민속문화를 생산할 수 있어서 문화다양성을 확보하고 민족문화의 전통을 창조적으로 이어갈 수 있다. 그런데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처럼 문화가 거래되고 유통되면서 예사 민중들은 문화소비자로 전락하고 문화생산 주권을 상실하게 되면서 민족문화의 전동을 단절하게 되었다. The heritages of folk-culture have a unlimited value that don't reduce as economic value, because this culture is available to share. That possibility caused by characteristics of intangible culture, verbal culture and communal culture in folk-culture. Therefore, unlikely tangible culture and high class culture, folk-culture is democratic cultural way that be available to share gratuitously. Folk-culture is a culture of folk that be share to everybody, When a power of cultural creation by folk was showed, every local societies would product to variety folk-cultures, so national culture could pass a traditions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But nowadays folk lose a sovereignty of cultural production and become to consumer only. These situation means a extinction of traditional nation culture. A policy of cultural industry encroach on a cultural sovereignty of folk seriously by instigating commercial trades. More important thing is not a economic value of cultural goods, but purposive value of a culture itself that make higher quality of human life. Because a economic wealth also could have meanings when it invest in a enjoyment of high quality human life. Therefore a policy of cultural industry not cultural policy but economic policy. Because that is anti-cultural policy to kill a power of cultural creation and to invade a cultural sovereignty of folk. Conclusionally we must try to caution a self-contradictory of cultural industry and to cognize a value of cultural sovereignty.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문화융성(文化隆盛)을 위한 소고(小考)(1)

        이윤희 ( Yun Hee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5 No.-

        문화의 시대 도래는 세계인으로 하여금 인류역사상 어느 때 보다도 치열하고 예민한 각축을 하도록 만들고 있다. 정보산업의 발달이 세계의 구석구석을 알게 하고 찾아볼 수 있게 만든 결과이다. 이제는 문화적 감성이 산업과 일상을 지배하게 되었다. 인간의 가치가 숨 쉬는 문화가 살아야 경제도 사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화의 시대 도래는 우리 민족에게 큰 축복이고 기회라고 생각한다. 역사적으로 우리민족은 지적으로도 훌륭하지만 문화적 창의역량과 감수성은 세계 최고 수준임이 증명되고 있다. 세계 역사에서 유일하게 우리 민족은 오천년의 문화역사를 가지고 있다. 문화가 없는 민족은 역사에서 사라졌지만, 문화의 세기에 세계 선두에 서게 되면서 우리 문화의 저력이 세계에 확산되고 있다. 전 세계에 일고 있는 한류바람은 우리민족의 문화창조력이 전 세계에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본래 문화민족이고 문화국가이다. 때문에 문화가 융성하려면 무엇보다 문화자율성을 존중해야 한다. 자유가 없으면 문화창조·문화융성은 불가능하다. 지원하되 간섭하지 않는 정책이 필요하다. 잃어버린 인간을 되찾고, 인간 내면세계의 아름다운 가치가 창의적 문화로 발현될 때 진정한 문화융성국가로 발전하게 될 것이다. With the advent of cultural age, all of the national states throughout world go on to stand for the struggle to take their cultural priority.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come to overcome the global space and time, and so the cultural emotion dominates the daily life and industires of human beings. The culture fulled of human value system helps to prosper national economy. The current tide of the cultural age can be a blessing and opportunity for Korean people. Historically Koreans have been proved their intellectual and cultural creativity and priority throughout the world. Nowadays the so-called worldwide burning wind of Korean current is to be a new symbol of our dynamic culture of younger generation. Koreans traditionally have been considered as an enlightened people and cultural state. In order to keep and prosper our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the spirit of our ingenuity and free inquiry should be respected and guarrented in invaious fields of activity. No cultural creativity and flourish without personal freedom. A true nation of cultural people can be built up through cultural creativity of our individuals.

      • KCI등재

        서남해 도서연안 생물문화다양성의 활용과 민속지식의 확장가능성

        박혜영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6 民俗硏究 Vol.0 No.33

        The wisdom of life and cultural genetics held by ordinary people who have effectively used biocultural resources can be referred to as ‘folk knowledge’. Folk knowledge is a shared resource traditionally used by the community, and, in modern society, folk knowledge has a material value no different from intellectual property or goods. The present study compares and examines the concepts of traditional knowledge, transmitted knowledge, and indigenous knowledge with that of folk knowledge, and deals with folk knowledge as an intangible heritage capable of contributing to the sustainable advancement of the human race. In order to describe the somewhat unfamiliar concept of biocultural diversity in the folklore studies field, the researcher retroactively examined international discourses on bio diversity and cultural diversity. The study enhances the necessity of finding bio diversity and linguistic diversity and the value of utilizing folk knowledge as a knowledge resource. The study discusses the necessity and justification of folk knowledge preservation on the basis of the issue of resource security regarding genetic resource access and profit sharing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lso, the study takes note of biocultural area procurement, which becomes the grounds for the identity and cultural creativity of island and coastal residents, as well as folk knowledge as its source, and examines the extensibility and utility of folk knowledge. 생물문화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해온 서민들의 삶의 지혜, 문화적 유전자를 이른바 ‘민속지식(folk knowledge)’으로 일컬을 수 있다. 민속지식은 전통적으로 공동체에서 통용되던 공유자원이라고 할 수 있으며, 현대사회에서 민속지식은 지식재산이자 재화나 다름없는 물적 가치를 지닌다. 본고에서 전통지식과, 전승지식, 토착지식의 개념을 민속지식과 비교고찰하고, 인류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무형유산으로서 민속지식을 다루었다. 민속학 분야에서 다소 생경한 생물문화다양성의 개념을 서술하고자, 생물다양성과 문화다양성에 대한 국제적 담론들을 소급하여 살폈다. 생물다양성과 언어다양성 발굴의 필요성과 민속지식이 지닌 지식자원으로서 활용 가치를 제고하고, 국제사회에서 생물유전자원의 접근과 이익공유에 대한 자원안보의 문제를 근거로 민속지식 보전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논하였다. 또한 도서민의 정체성과 문화창조력의 근간이 되는 생물문화권 확보와 그 원천자원으로서 민속지식을 주목하고, 민속지식의 확장 및 활용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 KCI등재

        구비서사의 놀이적 특성과 문화적 창조력

        심우장 ( Sim Woo-ja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3 고전문학과 교육 Vol.26 No.-

        이 논문은 구비서사에 대한 재미 연구의 일환으로 그것의 놀이적 특성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놀이적 성격을 특화하여 ‘서사놀이’라는 술어로 풀어보았다. 서사놀이란 서사적인 정보를 놀이화하는 것으로 ‘서사’에서 이야기적 요소를 가지고 오고, ‘놀이’에서 참여와 경험이라는 요소를 가지고 왔으며, 양쪽에서 공통적으로 의외성과 규칙이라는 요소를 가지고 온 것이다. 일정한 서사 규칙 아래에서 캐릭터를 부여하고 스토리를 만들어 의외성을 즐기면서 참여자들과 더불어 서사를 경험하는 일종의 게임이다. 이 논문에서는 서사놀이를 패턴인식을 중심으로 구상해보았다. 놀이의 기본적인 방식이 바로 패턴인식이라는 점, 구비서사의 경우는 특성 상 논리적인 이해보다는 패턴으로 이해하는 것이 더 적절한 장르라는 점과 패턴인식은 그 자체로 재미를 줄 수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하였다. 재미란 결국 학습을 목적으로 패턴을 흡수하고 있을 때 두뇌가 보내는 피드백이다. 패턴과 연관시켜서 서사놀이의 계기를 셋으로 나누어 살아보았다. 우선 ‘패턴발견’이다. 주어진 서사작품에서 패턴을 발견해내는 일은 일반적인 놀이에서 하는 것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패턴적용’이다. 패턴발견은 그 자체로도 재미를 줄 수 있지만, 발견된 패턴을 또 다른 서사작품에 적용함으로써 재미를 줄 수도 있다. 마지막이 ‘패턴체험’이다. 패턴체험은 서사놀이에 참여하는 구체적인 개인이 당대의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패턴의 새로운 변주를 접하고 자기 내부의 흔들림을 경험하는 것을 말한다. 구비서사의 전통을 가지고 현재를 체험하고 놀이하는 것은 구술문화의 전형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항상성을 구현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구술문화의 항상성은 곧 현실 문화의 창조력과 깊은 연관을 가지고 있다. 구술문화가 현실 문화와의 관련성을 구체화하면서 구비서사와 같은 구비전승물을 현실 문화에 맞추어 끊임없이 재창조하기 때문이다. 이 지점에서 구비전승이 지향하는 바는 과거에 관한 태만한 호기심이라기보다는 오히려 현재 사회의 문화적 가치라는 말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fun in researches and educations of oral narratives. Especially we are interested in game’s characteristics of it. Basically games pursue a fun, so if we emphasize it, we will get the way to the fun in researches and educations. In this study, we suggest the narrative-game as the way. The narrative-game is constructed of the game’s characteristics to be tuned into the present cultural context. As we generally discover, apply and experience the patterns of the games during playing them, the narrative-game is composed of pattern-cognition(pattern-discovery and pattern-application) and pattern-experience. Pattern-discovery is the work to discover the patterns in traditional oral narratives. Pattern-application is the work to apply the patterns to the other narratives and seek the variation of them with state of that period. Pattern-experience is the work to seek the solution of comtemporary problems with the variation of comtemporary narratives. These game’s characteristics of oral narratives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homeostasis in orality. New cultural creativities is based on the homeostasis in oral culture and society. So the narrative-game can be the major way to explain the cultural creative power of oral narratives.

      • KCI등재

        문화자산으로서 민속문화 유산의 경제적 가치 재인식

        임재해(Lim Jae-hae) 비교민속학회 2004 비교민속학 Vol.0 No.27

        On conversing century from economic era to cultural era, the relationship of economy and culture become to convert with position. According as one recognize that culture lead to the economic development, we are concentrating to cultural industry. Especially folk culture, that is, intangible properties remark not limited cultural industry, unlike material properties. Unesco also watch with deep concern intangible properties newly. Because folk culture related with ordinary life of people, it practice to create national image, and this cultural image assist with refreshment export of goods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If material properties go abroad, that is not allowed carrying out, but if folk culture like as intangible properties go abroad, that is exportation our culture. Because folk culture originated by local communal society, it give full play to their power of culture creation, and make insure a variety of culture, and practice real cultural democracy that citizen could be secured sovereignty of cultural production. Therefore the insurance of cultural sovereignty that centered folk culture carty out decisive faculty not only a development of politic but also a development of economy. Future Society is predicted as 『Dream Society』. Almost of customers will buy the stories of goods more than material goods. A creation of story is more important than the productions of goods. The animations and characters in disneyland also belong to the industry of stories. A folk culture phenomena such as myth, legend and folktale will be concerned especially. A development of new technical goods that originated tradition of folk culture such as home freezer only for Kimchi and Ondol-bed and so on, also secure us for economic value. But more important thing is not a economic value of cultural goods, but purposive value of a culture itself that make higher quality of human life. Conclusionally, because a economic wealth also have meanings when it invest in a enjoyment of high quality human life. Therefore Samuel Huntington also insist that culture is really important, recen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